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립공원에 대한 인식" 바로 잡아야

        김용근,Kim, Yong-Geun 한국자연공원협회 1991 한국자연공원 Vol.50 No.-

        이 글은 본회 학계회원이며 미국 Texas A&M대서 관광위약학 박사(국립공원자원관리)학위를 취득한후 동신대 환경조경학과에 재직중인 김용근교수가 세계일보사서 심층특집으로 연재해온 "르포 국립공원"에 대한 관계학자로서의 소감과 우리나라 국립공원이 당면한 주요한 문제의 정곡을 찌른 것이 요약됐기에 세계일보사의 노고에 감사하면서 필자의 협조로 전재한다.

      • Effect of pH on PAH Transport in Brush Border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of Rabbit Proximal Tubule

        김용근,우재석,이상호,Kim, Yong-Keun,Woo, Jae-Suk,Lee, Sang-Ho The Korean Physiological Society 1988 대한생리학회지 Vol.22 No.2

        The effect of pH on the rate of PAH uptake was studied in rabbit renal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BLMV) and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s (BBMV). In the absence of Na in incubation medium, a decrease in external $pH(pH_0)$ led to an increase in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 by BLMV. In the presence of Na, the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 was unaltered when the $pH_0$ decreased from 8.0 to 6.0 but further decrease in $pH_0$ to 5.5 increased significantly the uptake. The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 was not affected by an alteration in pH per se in the absence of a pH gradient with or without the presence of Na. However, the presence of Na stimulated the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 in all pH ranges tested over that measured in the absence of Na. A similar pattern of pH dependence on the PAH uptake was observed in BBMV but the presence of Na did not alter the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 pH gradient. Kinetic analysis for BLMV showed that Na or pH gradient increased Vmax of the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 without a change in Km val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H is transported by $OH^-/PAH$ exchange process in the luminal membrane, but the pH dependence in the BLMV is not unequivocally consistent with an anion exchange process. The PAH transport is dependent on Na in BLMV but not in BBMV. 가토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분리한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BBMV)과 basolateral membrane vesicle(BBMV)에서 rapid filtration 방법으로 PAH 이동에 대한 pH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BLMV에서 용액내 Na이 없을 때 외부 $pH(pH_0)$를 8.0에서 5.5까지 감소시켰을 때 probenecid-sensitive PAH 이동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용액내 Na이 있을 때 $pH_0$가 8.0에서 6.0까지 변화하여도 PAH 이동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5.5까지 더욱 감소시켰을 때 PAH 이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vesicle 내 외에 pH gradient없이 $pH_0$를 내부 $pH(pH_1)$와 동일하게 변화시켰을 때 PAH 이동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PH gradient가 없을 때 시험된 pH범위에서 Na은 PAH 이동을 증가시켰다. BBMV에서도 BLMV에서와 유사한 pH 의존성을 보였으나 Na의 존재는 PAH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BLMV에서 동력학적 분석 결과 일정한 $pH(pH_1)$에서 $pH(pH_0)$ 감소는 Km에 변화없이 PAH 이동에 대한 Vmax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BBMV에서 PAH 이동에 대한 pH의 영향은$OH^-/PAH$교환기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나 BLMV에서 pH 의존성은 음이온 교환기전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또한 BLMV에서는 PAH 이동이 Na에 의존하나 BBMV에서는 Na에 의존하지 않음을 가르킨다.

      • KCI등재

        무지개송어의 사료단백질 이용에 관한 연구

        김용근 한국수산학회 197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7 No.4

        Casein을 蛋白源으로하고 粗蛋白質과 脂質의 含量을 調節한 飼料로서 推무지개송어를 12日間 飼育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무지개송어의 體重은 飼料中의 蛋白質 含量이 많을 수록 增加하며 蛋白質의 含量 40% 부근에서 最大値에 達하고 그 以上 蛋白質이 壇加하여도 體重은 增加하지 않았다. 體蛋白質의 增加도 飼料中의 蛋白質 含量이 40% 부근에서 最大値에 가까워지며 그 以上 蛋白質의 增加하여도 變化는 적었다. 2) 蛋白質의 利用値는 飼料中의 蛋白質 含量이 많을 수록 增加 하였으나 體蛋白質의 蓄積率은 蛋白質의 含量 40% 부근에서 最大値에 達했다. 3) 以上의 結果에서 Casein을 蛋白源으로 하는경우 稚무지개송어의 蛋白質 要求量은 飼料率 40%라고 생각했다. 4) 飼料의 蛋白效率(y)은 蛋白質의 含量(x)이 많을 수록 減少하고 그 關係는 y=4.91-0.034x의 方程式으로 表示 할수 있었다. 5) 飼料의 蛋白質 含量과 飼料效率 및 飼料係類와외 關係를 檢討하였다. The utilization dietary protein in young rainbow trout was investigated when feeded with the diets of controlled levels of casein and lipids for 12 days. The composition of the diet is shown in Table 1. Body weight gain was in proportion to the protein content in diet up to 40%, and the maximum was obtained with 40.4% of crude protein (Fig. 1, Table 2). On the other hand, the accumulated protein in body also showed almost maximum value around 40% of protein level in the diet and the change of accumulated protein showed a little with moreprotein level(Fig. 3, Table 2). The protein accumulation rate(protein accumulated/protein consumed) showed its highest value at about 40% of protein level, while the protein utilization value (protein accumulation rate x protein content of diet) attained its highest value at 54.8% of protein level (Table 3). With the above results it is observed that the requirement of dietary protein for young rainbow trout is about 40% of protain in the diet when casein is used as the sole protein source. In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the lower protein level in the diet, the highez PER yields and the more the quantity of protein increases, the more PER decreases and its relation could be figured out as an equation of y=4.91-0.034x (Fig.4). Nose measured PER utilizing the diet which result of this, it is reported that PER rate of casein dropped within the extent of 25% protein in diet. The reason why such a different PER rate appeared at the low protein level is revealed as the carbohydrate is low but the lipid high in capacity of utililzing nutrients for rainbow trout.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in content of diet and the conversion factor, feed efficiency we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한국여자의 소금 및 질소대사에 관하여

        김용근,양일석,정순동,Kim, Yong-Keun,Yang, Il-Suk,Chung, Soon-Tong 대한생리학회 1975 대한생리학회지 Vol.9 No.1

        In order to study the dally metabolism of sodium chloride and of nitrogen, 24-hour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593 normal Korean females whose ages varied from 2 to 80 years old. The volume,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and the osmolality of the urine, add the total nitrogen were determined, along with the resting pulse rate and the blood pressure. The daily urine volume was maintained at $1,000{\sim}1,300\;ml/m^2/day$ in all age groups while the chloride concentration and osmolality of the urine samples were approximately 200 mEq/liter and 600 milliosmoles, respectively, in most of age groups. Hence the daily urinary output of sodium chlorid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5g/m^2$/day in adult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daily excretion of total nitrogen amouted to approximately $5{\sim}6g/m^2/day$.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verage Korean females live on low-protein and high-salt diets throughout their life. Despite a known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the high salt intake, none of the subjects employed in this work showed any sign of hypertension.

      • KCI등재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김용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3 No.4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o the organizations mana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nclude libraries has caused some confusion to the identity of libraries and librarianship. The libraries and librarians in the societies whose library development lags behind like ours prefer being called information centers or information specialists to libraries$.$md librarians. This paper traces what has been discussed for the professionals,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 and how librarians, who want to be treated properly in status as professionals, understand the professionalism. 도서관을 비롯한 지식정보관리기관의 경영에 정보기술의 도입은 도서관과 사서직의 정체성에 혼란을 주고 있다. 도서관의 발전이 더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사서라는 명칭을 싫어하고 정보센터나 정보관리기관과 정보전문직으로 부르기를 희망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서직의 전문성 논의에서는 주로 무엇을 다루어 왔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전문직으로서의 지위와 대우를 받으려고 노력하는 현장 사서직은 전문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사서직에 대하여

        김용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hip in Korea.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onditions of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have been formalized but lack in fulfilling the standards required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s of and the educational system for librarians. It also traces how the research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activities of the library association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ibrarianship. 이 연구는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찾으려고 시도되었다. 외형적으로는 사서직이 전문직으로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 오래 동안 논의되어 온 사서직 자격제도, 교육제도 등도 다시 고찰한다. 사서직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문헌정보학 연구와 사서들의 의지가 모이는 전문직 단체의 활동은 전문성 확보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