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민저널리즘의 '地域性'과 지역언론 발전방향 연구

        김민남,안영민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大學院論文集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civic journalism(public journalism) movement of America and to suggest a guideline by searching an implication of civic journalism for a localism in Korean local journalism. We hope to find a way for Korean local journalism under financial crisis to solve its structural problem. It would not be easy to adapt journalism model of America to Korea, because of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difference of both countries. But this paper proposes some preconditions before adaption.

      • KCI등재

        Thyroid function in obes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안영민,문순정,김순기,서영주,이지은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8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23 No.3

        Purpos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focus on thyroid function in pediatric obese patients, but no nationwide study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function and obesity has yet been conducted in Korea. We aimed to evaluate thyroid dysfunction in obese Korean children. Methods: We analyzed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thyroid hormone levels among 975 Korean boys and girls aged 10–18 years and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2013–2015). Results: Average serum thyrotropin (TSH) and serum free thyroxine (fT4) levels in the nonobese group were 2.7±0.1 µIU/mL and 1.3±0.0 ng/dL, respectively, and those in the overweight group were 3.1±0.2 µIU/mL and 1.2±0.0 ng/dL. Serum TSH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bdominal obesity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P=0.023). fT4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both the overweight and abdominal obesity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P<0.001, P=0.014). Serum TSH level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abdominal obesity and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Serum fT4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bdominal obesity (P=0.014). Conclusion: Korean children with abdominal obesity showed increased TSH and decreased fT4 level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 KCI등재후보

        소아 결핵 진단에 있어서 결핵 특이항원자극 인터페론 감마 측정검사의 임상적 의의

        안영민,이희우,박화영,손근찬 대한소아감염학회 201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7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QuantiFERON-TB Gold (QTB) for diagnosis of latent tuberculosis in children.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112 children who were tested by tuberculin skin test (TST) and QTB for detection of latent tuberculosis (TB) in Eulji Gener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7 to June 200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 Of the 112 participants, the clinical TB group included 15 (13.4%), the contact group included 43 (38.4%), and the non-contact group included 54 (48.2%). Positive rates of TST and QTB were 100% and 80% in the clinical TB group, 64%and 14% in the close contact group, 27% and 0% in the casual contact group, and 52% and 2% in the non-contact group,respectively. Sensitivity of QTB was 80.0% and specificity was 92.6%. Agreement between QTB and TST was poor (κ=0.209). We also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ate of QTB increased as the age of the patient increased (P =0.011). A QTB indeterminate result was observed in 11 (9.8%) subjects. QTB was retested in 15 subjects. In 5 of the 6 subjects who had positive results initially, positive results persisted for a median 2.2 months after termination of treatment. Conclusion : Although QTB was associated with several problems, including low sensitivity and a high rate of indeterminate results, it had clinical importance due to its high specificity. We found good correlation with regard to exposure and QTB positivity, including that of young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However, clinical application of interferon-γ releasing assay for young children for diagnosis of active and latent tuberculosis will require additional prospective studies.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QuantiFERON-TB Gold (QTB)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과 문제점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TST와 QTB를 시행 받은 소아청소년 112명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TST와 QTB의 양성률은 각각 59.8%, 15.2%였고, 두 검사의 일치도는 낮았다(κ=0.209). QTB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0.0%, 92.6%였다. QTB 양성율은 임상적 결핵군, 긴밀 접촉군, 일반 접촉군, 비접촉군에서 각각 80%, 14%, 0%, 2% 였으며, 판정보류의 빈도는 9.8%였다. QTB 추적 관찰이 시행된 환자 중, 초기QTB 양성이었던 6명 중 5명은 치료 종료 후 평균 2.2개월까지 양성이 지속되었다. 결 론:소아에서 QTB는 민감도가 낮고, 판정보류의빈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으나, 특이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므로, TST의 특이도가 낮은 점을 보완하여 결핵의 진단 및 치료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관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안영민,김원중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7 교류분석상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과 불안 간의 관계에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H군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임의 표집 을 하여 각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이며,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랐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로 고등 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자기격려, 불안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검 증 결과, 사회적 관심과 불안이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관심이 강하며, 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관심, 자기격려, 불안의 변인간의 상 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심은 자기격려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과는 부 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기격려는 불안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사회적 관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격려는 완전 매개역할을 보여, 사회적 관심은 자기격려와 함께 작용 을 할 때는 자기격려를 거쳐 불안을 낮추는 간접적인 효과만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관심이 행동적 자기격려 및 정서적 자기격려와 함께 작용을 할 때는 불안을 낮추는 직접적인 영향과 행동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다. 후속연구로 자기격려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 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高品質 豚肉 生産을 위한 고구마 사일리지의 開發에 關한 硏究 : 3. 肥肉豚에 대한 고구마 사일리지 給與가 豚肉의 品質에 미치는 影響 3. Effects of Supplementing the Sweet Potato Silage on Pork Quality

        安瑛敏,高永杜,文勝式,陳詳根,鄭孟和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9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2 No.-

        육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다양해지고 있어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육의 풍미 및 육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돈육 일반성분과 물리적인 성질 및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고구마 사일리지 제조는 고구마의 외부에 부착된 흙을 수세하여 마쇄한 후 고구마 사일리지 1은 고구마 70%, 맥강 20%, 대두박10%를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고구마 사일리지 2는 고구마 70%, 맥강 30%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조지방, 조단백, 조회분을 조사하였고, 물리적 성질로는 pH, 보수성, 연도, 육과 지방색, 관능검사,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에서 수분은 고구마 사일리지 2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P<0.05) 반면에 조지방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물리적 성질인 pH의 변화는 대조구와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보수성은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연도는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다. 육색의 변화는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로 명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측정부위에 따라 값의 변화가 심하였다. 지방색은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가 대조구에 비하여 황색도가 낮아 좋은 결과 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가 대조구에 비하여 풍미는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보였지만(P<0.05), 다즙성, 견고성, 탄력성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관능검사 성적은 고구마 사일리지 2 급여구가 가장 좋은 성적을 얻었다. 도체특성에 미치는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체중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지육율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로 등지방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 보수성과 연도는 대조구에 비해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구가 더 나은 결과 나타내었으며, 육색과 관능검사, 도체특성 결과도 대조구에 비교해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나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시 특히 고구마 사일리지 1 급여구의 경우 돈육의 육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of sweet potato silage on carcass and its meat quality in finishing gilts. Two sweet potato silages containing same ingredients with different ratios(silages 1 and 2; 70 and 70% sweet potato, 20 and 30% barley bran, 10 and 0% soybean meal, respectively) were fermented for 21 days in 500 kg-capacity silos. Finishing gilts were fed a commercial finishing diet(CONT), or the same basal diet plus 0.4kg silage 1(TRT 1) or silage 2(TRT 2)/head/day beginning from 90kg of body weight, 18 heads per group, up to approximately 110kg of final weight and slaughtered. After measuring carcass traits, loin eye sections were removed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sensory evaluation on the fresh and cooked meat was performed by the panel test and the whol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Backfat thickness was reduced in TRT 1 and TRT 2 compared with CONT, but carcass weight and dressing percentag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feeding regimens. Compared with CONT, TRT 1 and TRT 2 had greater water holding capacity, tenderness, fat color and palatability scores including flavor and reduced brightness, with no difference in pH, juiciness, firmness and gumminess. Overall, TRT 2 exhibited the greatest sensory evaluation score.

      • KCI등재후보

        아들러(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안영민,김원중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아들러(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을 위해 경남 H군 M고등학생 24명을 선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보한 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2명씩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는 SPSS Window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해 반복측정변량분석의 기술통계를 실시 후,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1개월 후 두 집단 동시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효과 지속성을 검증 하였다. 또한 참가자의 자기보고식 소감문과 참가 후 자기평가와 관찰 조사를 통해 양적 검증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사회적 관심 전체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가 향상되었다. 참여자의 자기평가 질적 분석에서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자기 자신이 변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 및 친구에 대한 관심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자기격려를 통해 스스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사회적 관심의 향상을 위해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elf encouragement self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on ego-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interest of adolescents. To apply the program of this study and to verify the effect, 24 students from M highschool in H-county, Gyeongnam were selected, in-advance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to secure homogeneity, and 12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12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carry out technical statistics of repeated measures ANOVA for the statistics of the data analysis, and in-advance and post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for both groups for comparison, and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for both groups at the same time after 1 month to verify the continuity of the effect. Also, quantitative verification was supplemented with self reporting type impression review and self assessment and observation survey after the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all of ego-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interest were improved after carrying out self encouragement self counseling program compared to before carrying it out. In the participants' self assessment qualitative analysis, it was reported that, self encouragement and self counseling program were helpful for improving the self-confidence that they can change and interest in friends, and to grow as a person who can contribute to society, and to solve the problems in daily lives through self encouragement.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stablish systemic self encouragement self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adolescents' ego-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