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무용심리상담 직무분석 기반 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오유진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3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무용 분야의 새로운 직업으로서 무용심리상담 직무에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책무와 과업의 기준을 탐색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 무용심리상담 직무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학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용심리 및 심리상담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을 실시하여 무용심리상담 직무를 분석하고 현재 대학 무용계열 학과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심리상담의 직무를 분석한 결과, 무용심리상담 직무는 무용, 심리학 및 심리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역량을 기반으로 심리상담을 실시하여 무용전공자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심리상담, 무용심리기술 훈련,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직무에 따른 필수적인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 대학 무용계열 학과의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용전공자에게 적합한 심리 및 상담 교과목의 개설, 무용심리 및 상담 교육의 체계화된 교육과정 기준 개발, 무용심리 교육의 학문적인 독자성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만들어진 학교와 만들어진 학생: 고백 실천으로서의 학교프로파일 연구

        오유진,손준종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ocially constructed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through high school profile. According to Foucault’s governmentality, high school profile can be defined the technology of the self as a confession practice. School profile includes information about school type, characteristics of student population, parents, comm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School profile constructs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School profil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required documents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university entrance. High schools confess themselves through school profile as a confess practice and school profile is regarded as a ‘truth’ about school and students. To accomplish our aim, we us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bout school profiles of 64 high schools in Busan-city. As a result of quantitative-qualitative analyzing profiles, there were differences of students’ characteristic by school types.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were classified four types: ‘Differentiation through the spontaneous exclusion; the school of uncommon relative advantages and the best student of all-rounder’, ‘Attempt to pass the boundary; the school that makes an effort to escape the General High School image and student that almost reaches to top level’, ‘Moving forward a little bit in assigned identify; a dedicated and compassionate school and student that make steady and persistent effort’, ‘Settle for the present; a realistic school and student that is influenced by environment’. School profile was used as a means of reconstructing identities and subjectivities given to school and students by strengthening the horizontal stratification of high school.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해 각 학교에 요구되는 학교프로파일은 특정 학교가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그리고 학교 내 교육 프로그램들을 대상화하여 기록하고, 이를 대학에 제출하는 일종의 문서화 된 고백 실천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Foucault의 고백 논의를 활용하여 고백 실천의 자아 테크놀로지로서 학교프로파일을 정의하고 학교프로파일에 드러나는 고백 실천 전략과 이를 통해 구성되는 학교 정체성과 학생 주체의 유형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64개의 고등학교의 학교프로파일에 대한 양적,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프로파일의 양적 분석은 학교유형에 따라 학생 특성 서술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학교프로파일의 질적 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학교의 고백 실천 전략과 학교 정체성 및 학생 주체의 구성은 크게 ‘자발적 배제를 통해 차별화하기: 남다른 비교우위를 드러내는 학교와 다재다능한 학생’, ‘경계 넘기를 시도하기: 일반고의 이미지를 벗어나려는 학교와 뒤질 것 없는 학생’, ‘부여된 정체성에서 조금 나아가기: 헌신적이고 온정적인 학교와 노력하는 착한 학생’, ‘주어진 현실에 머무르기: 현실주의적인 학교와 환경의 영향에 갇힌 학생’의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이와 같이 사회적으로 차별적으로 구성된 학교 정체성과 학생 주체는 대학입시에서 학교프로파일이 고등학교를 등급화 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학교와 학생은 자신에게 부여한/부여된 특권적 또는 부정적 정체성을 강화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학교프로파일을 단순히 학교 정보를 제공하는 행정적 기능으로 바라보는 것을 넘어, 학교와 학생 주체를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통치의 장치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학교 정체성과 학생 주체의 위계적 분류화가 대학과 고등학교의 서열화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여성복식에 표현된 가슴의 패션 정체성 : 19세기 한국 · 프랑스를 중심으로 Focusing on Korea and France in the 19th Century

        오유진,최현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4 디자인포럼21 Vol.7 No.-

        본 연구는 패션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패션의 정체성을 보다 확실히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디자인 발상의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패션 정체성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위해 19세기로 연구 시대 범위를 한정했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을 한국과 프랑스로 선정했다. 이러한 연구 범위 안에서 문헌 및 실증 자료들을 통해 패션과 문화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한국과 프랑스의 패션 정체성을 비교 연구한다. 특히, 여성의 가슴에 관한 두 나라의 인식의 차이가 어떻게 패션 디자인에 다르게 표현되었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발전적인 디자인 발상을 통한 패션계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한국과 프랑스의 가슴의 패션 정체성을 비교해본 결과, 양국 모두 모성성, 관능성, 패션성이 공존했다. 단 이러한 가슴의 패션 정체성의 표현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19C 한국과 프랑스 여성복식에 표현된 가슴의 패션 정체성은 '은폐/노출'이라는 양면성을 갖고 복식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양국 모두 가슴의 각 정체성 성격 마다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정체성 성향이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은폐/노출'이라는 양면적 성향에 있어서는 관능성에 있어서 대조적인 차이를 보이고 모성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성향을 띠고 있다. 또한 패션성에 있어서는 프랑스는 은폐와 노출이 모두 나타난데 반해 한국은 은폐적 성향을 띠고 있다. 이것은 양국간의 가슴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곧 문화적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패션과 문화사이의 밀접한 상호 관련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여성 패션에서 가슴의 패션 정체성과 복식문화의 상관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각기 다른 문화권이나 시대는 각각 고유한 패션 정체성을 갖는데, 이러한 상호 독립적이면서 상이한 패션의 상대성에 대한 존중은 넓은 시각에서 패션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새로운 패션을 창출하는 원동력이 된다. The women's dress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France is influenced by diffrent socio-cultural trend. The two fashion trends in Korea and France build diffrent fashion identity based on their cultural influences. It causes diffrent perceptions and expressions of the dress styles to women's breasts in the oriental and western society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shion identity more clearly based on the theorem of the fashion identity, also to prove the availability of using it as the groundwork for studying the design concept. This thesis focused on the 19th century to suggest a concrete example to explain the fashion identity. In addition, Korea and France are selected for the same reason. Korea and France fashion identity is compared each other in this study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d actual proof based on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and the culture. Especially, the diffrence of cognition of the breas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studi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it is expressed in the fashion design and to search the way of development of fashion world is seek for through more developing design concept on the basis of it. As the result of the fashion identity study about the breasts in Korea and France, the nature of motherhood, sexuality, and fashion was shown for two countries. Yet, the way the breasts fashion identity was expressed was different in two countries. This differentiation come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breasts in the two countries, which means different culture of them. In other words, fashion and culture have a close relationship, and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breasts fashion identity and dress culture could be expected. In addition, different culture and time perio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ashion identity. Those are independent and relative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is is helpful in understanding fashion the role and meaning of it through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breasts fashion identity expressed in women's dress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France. Also, it suggested the foregoing way of the future fashion identity of the present dress design through the comparison of old dress style. The fashion ident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aking the new fashion and approving a culture relativity in accordance to the global trend of the present fashion. The fashion identity forms the initial factor of the conception of fashion design. Pursuing one's own fashion with identity would make that fashion even more active and confident.

      • KCI등재

        성별·학력별 청년 노동시장의 이행 궤적과 유형 비교

        오유진,김교성 한국노동연구원 2019 노동정책연구 Vol.19 No.3

        This study observed the trajectories and types of youth labor market transition in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s. Because individual transition does not only take place in the labor market, this study includes housework or care work in the analysis, and labor status is measured by decent jobs.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wide gap in the ratio of decent jobs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female college graduates have more subdivided types than male college graduates.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similar patterns, however, male high school graduates continue to have not decent jobs, while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have a complicated transition trajectory including vacancies and housework.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youth policy which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individual youth rather than assuming a single youth. 본 연구는 청년기의 노동시장 경험이 동일하지 않고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 점에 주목하여 청년집단별 노동이행 궤적을 관찰하였다. 일자리의 입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괜찮은 일자리’를 통해 이행과정을 측정하고, 개인의 이행이 노동시장 내에서만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행상태에 가사․양육을 포함하였으며, 성과 학력을 교차하여 4개 집단별로 고유한 궤적의 유형을 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학력에 따라 괜찮은 일자리 비율의 격차가 크고, 대졸여성은 대졸남성보다 세분화된 유형을 갖고 있었다. 고졸여성과 남성은 비슷한 유형을 보이지만, 고졸남성은 괜찮지 않은 일자리가 지속되는 반면, 고졸여성은 미취업상태와 가사․양육형태까지 나타나 복잡한 이행 궤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정책의 대상을 단일한 청년으로 상정하지 않고 개별 청년이 지닌 특징과 그들이 처한 상황을 고려한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Nanoscale Observation of Charge Redistribution in Pb(Zr,Ti)O3 Thin Films on Pt

        오유진,조윌렴,J. H. Hur 한국물리학회 200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7 No.3

        We report charge redistribution in polycrystalline Pb(Zr0:52Ti0:48)O3 (PZT) thin lms on Pt electrode. A sol-gel method is used to make ferroelectric PZT thin flms. Highly (100) and (111) oriented PZT thin flms are prepared on Pt/Ti-coated SiO2/Si (100). Drying conditions before crystallizing heat treatments have been explored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 Surface charge and polarization of the PZT flms are observed by detecting an electrostatic force exerted on the biased conductive probe. Poling behavior is likely to have a relation with leakage current in the ferroelectric thin flms. Trapping behavior of space charges is strongly dependent on the bottom electrode.

      • KCI등재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검토 및 제언 - 미래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강조점을 중심으로

        오유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4

        본 연구는 역량에 기반 한‘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미래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강조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한다. 세 가지 논점을 통해 이러한 목적에 접근하는데, 우선 거시적 차원에서 미래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연결지점들을 적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적인 관점에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제언의 강조점은 미래교육에 대비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근본 취지에 대한 적확(的確)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에 새로 등장한‘기능’부분의 서술이 최신 도덕심리학의 선행 연구물들의 성과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개선되어야 함을 논구하는데 주어진다. 더불어 본 논문은 도덕적 기능(moral functioning)에 대한 도덕심리학의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아동·청소년의 도덕심리 발달과정을 가설적 학습 발달과정으로 재구조화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content system of the‘2015 revised ethics education curriculum’which is competency-based. And it gives some suggestions focusing on future education and a general guidelin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pproach this goal, three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on a macroscopic level, this study points out the logical connection points between future education and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is,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I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ethics education curriculum from an analytical perspective. And then, I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emphasi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 should improve the descriptions of the ‘functioning’ part, which newly added to the content system. To make it more rigorous, we should reflect the results of the latest moral psychological researches. This study also suggests a further need for a series of studies on reconstructing the hypothetical moral-developmental learning process about Korean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