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서구적 관점에서 본 트랜스휴머니즘 대응 전략

        박성원,정재용,강정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9 동향과 전망 Vol.- No.107

        This study examines transhumanism as one of the efforts for post- Eurocentrism and compares the transhumanism of Western society and Korean society by using the causal layered analysis, which is a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e field of futures studies. Transhumanism is defined as a movement in which humans are encouraged to intellectual, physical, and emotional enhancement through engineering and biological manipulation, freed from unnecessary pain or illness and enjoy longev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stern society grasped the emergence of transhuman as digitization at the litany level, while Korean society searched for differences between concepts and origins related to transhumanism and existing ideas. At a social structural level, Western society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and social system that spreads and expands transhuman technology, while Korean societ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ranshumanism with technology to cop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economic crisis. At a world view level, Western society has discussed the separation of humanism and the ambiguity of human and machine boundaries through the discourse of transhumanism, while Korean society criticizes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ing on society. At a cultural psychological level, Western societies warn of the danger of transhumanism in the destruction and es탈서구적관점에서 본 트랜스휴머니즘 대응 전략 235 chatological view of mankind, while Korean society allows a view of human and transhum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lationships as complementary and mutually reciprocal rather than a dichotomous view of survival or extinction of the humanity.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we present alternative strategies for exogenous change, we need to focus more on the strategy of reversal, the strategy of fusion, and the deconstructive strategy as well as the existing compliance and resistance strategies. 미래의 사회변화를 암시하는 주요 통찰은 여전히 북미와 서유럽 등 서구 세계에서얻을 수 있다는 믿음은 우리 사회에서 여전하다. 국내에서 발간되는 많은 미래 보고서들은 대부분 외국 사례에 의존하고 있다. 이 연구는 탈서구적 노력의 하나로트랜스휴머니즘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미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원인다층분석법을 활용하여 서구 사회와 한국 사회의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하여 비교, 고찰하였다. 트랜스휴머니즘은 공학적, 생물학적 조작을 통해 인간이 지적, 육체적, 감성적 증강을 꾀해 불필요한 고통이나 병에서 해방되어 장수를 누리려는 운동으로 정의된다. 분석 결과, 표상적 단계에서 서구 사회는 트랜스휴먼의등장을 디지털화로 파악하는 반면, 한국 사회는 트랜스휴머니즘과 관련된 개념 및기원과 기존 사상과의 차별점을 탐색하였다. 사회구조적 수준에서 서구 사회는 트랜스휴먼 기술을 확산하고 확대하는 문화적, 사회적 시스템의 구축을 강조한 반면, 한국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이나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기술로 트랜스휴머니즘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세계 보편적 수준에서 서구 사회는 트랜스휴머니즘이라는 담론을 통해 인간중심주의의 탈피, 인간과 기계의 경계 모호화 등을 거론한반면, 우리 사회는 과학기술이 이끌어 가는 사회가 매우 위험하다며 과학기술중심주의를 비판한다. 문화·심리적 수준에서 서구 사회는 인류의 멸망, 종말론적 시각 등에서 트랜스휴머니즘의 위험성을 경고한 반면, 우리 사회는 생존이냐 멸종이냐는 이분법적 시각보다 인간과 트랜스휴먼, 인공지능과 관계를 상호보완적, 상호호혜적으로 보는 시각을 허용한다. 이 연구는 외생적 변화에 대한 대안적 전략을탈서구적 관점에서 본 트랜스휴머니즘 대응 전략 233 내놓을 때 기존의 순응과 저항의 전략뿐 아니라 역전의 전략, 혼융의 전략, 해체적전략에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음도 덧붙여 제안한다.

      • KCI등재

        ‘인간 극복’과 니체의 트랜스휴머니즘

        이진우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4 No.-

        I am focusing here on the main issues that have been recently raised and dispute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thought of the overman(Übermensch) and transhumanism. Transhumanism is a loosely defined movement or a new attitude of mind that is welcoming the new technologies enhancing human mental and physical capacities, combating diseases and slowing down the process of aging, and exercising control over moods and mental states. Transhumanists believe that it is possible and desirable to improve human nature by means of technology. Some transhumanists maintain that significant similarities can be found between the concept of the posthuman, as put forward by transhumanists, and Nietzsche’s concept of the overman. But some transhumanists reject Nietzsche as an ancesteor of the transhumanists movement. The discussion of human enhancement or overcoming the human remains, in my view, confounded by a failure to distinguish important concepts. What does it mean to overcome the human? Nietzsche had actually little to say about technology as a means of self-overcoming. When Nietzsche comes to say about the human enhancement, it is beyond doubt that he means it morally concerning the meaning of life. If we can agree that the technological enhancement of our capacities doesn’t automatically make the human better, we have to distinguish Nietzsche’s moral transhumanism and the technological transhumanism. In addition, I argue that Nietzschean concept of the human enhancement provides us rather a critical viewpoint to see the limit of the technological transhumanism. 인간의 자기 극복을 역설한 니체가 트랜스휴머니즘의 선구자로 인식되고 있다. 생명공학, 유전공학, 나노공학, 로봇공학으로 대변되는 현대의 막강한 기술권력은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성마저 변화시키고자 한다. 기존의 인간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인간향상 기술을 통해 인간은 더 이상 자연에 의해 지배받지 않고 오히려 자연의 지배자가 되는 포스트휴먼 단계를 기술적, 윤리적으로환영하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트랜스휴머니즘이라고 부른다. 일련의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인간의 자기극복을 역설한 니체와 인간 조건의 기술적 극복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 사이에 피상적 수준에서 근본적 차원에 이르기까지의 유사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트랜스휴머니즘의 아이디어들이 니체에게서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입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니체가 정말 트랜스휴머니즘의 선구자인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향상과 기술을 결합시키는 ‘기술적 트랜스휴머니즘’과 지상에서의 존재의 의미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니체의 ‘도덕적 휴머니즘’을 구별한다. 기술적 트랜스휴머니즘은 니체의 위버멘쉬를 과학과 기술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 존재로 파악함으로써 니체가 주장하는 인간극복의 도덕적 의미를 간과한다. 영원회귀 사상과본질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니체의 위버멘쉬 사상은 오히려 21세기의 기술적 트랜스휴머니즘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야기 목회상담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

        장보철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트랜스휴머니즘은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인 한계를 가진 유한한 인간이 인공지능 을 비롯한 기계의 힘을 빌려서 인간의 유전적인 약점을 극복하는, 이른바 인간 향상 (human enhancement)을 강하게 주장한다. 본 소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이해를 이야기 목회상담의 기독교적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교회의 역할 을 모색하고자 한다. 크게 세 가지로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이해를 다루고 있다. 첫째, 현재의 인간 조 건은 종착점이 아니며, 진화를 향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대상이다. 둘째, 인간 조 건 향상은 인간의 제한적인 힘으로는 불가능하며 기계와의 공생과 상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셋째, 유한한 존재로서 인간의 본래적 특성인 고통, 결핍, 질병, 죽음 등은 인간에게 위협이 되기에 제거해야만 한다. 이러한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이해를 이야기 목회상담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먼저, 고통, 결핍, 부족, 문제, 죽음 등은 우리에게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기에 향상시켜야 할’ 대상이 아니다. 그러한 것들은 우리 인간의 삶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계는 인간이 과거와 현재에 경험하는 것들을 인간처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 지는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담자와 내담자 서로의 이야기와 해석적 렌즈가 연결되 어 의미를 찾아가야 하는데, 기계는 내담자인 인간과 교류할 수 있는 선험적인 경험 과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의 지나온 과거와 현재를 지배하 고 있었던 고통스러운 이야기를 대신하는 희망의 대안적 이야기를 재저작화하는 것은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본래적 특성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적인 인간 이해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 창조되었다“는 기독교적 인간 이해에 정면으로 배치되며 제어할 수 없는 인공지 능 시대의 도래와 트랜스휴머니즘의 도전 속에서 한국교회는 신학적으로 적합하고 성경에 기초를 둔 기독교적인 인간이해를 재정립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ranshumanism claims and supports human enhancement. Human enhancement means that human beings who have lots of deficient physical, psychologic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can overcome the genetic drawbacks through the power of machines. This article critically analyzes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nshumanism and tries to search for the human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through the lens of narrative pastoral counseling. This article summarizes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nshumanism with three points. First, transhumanism argues that the present human condition is not ended but needs drastic betterment for evolution. Second, human enhancement will be impossible with the limited capacity of humans, and only be posssible through symbiosis and cohabitation with machines. Third, suffering, deficiency, disease, and death as natural characters of finite human beings are threats for humans, so have to be eliminated.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nshumanism is critically analyzed through narrative pastoral counseling. First, Sufferings, deficiencies, limitations, problems, death are not objects to enhance because they are not desirable to us. They are significant components of human life. Second, machines cannot interpret past and present experiences, and give them meaning as humans do. The reason is that machines have no prior experiences and stories to communicate to humans. Third, to re-authorize alternative hope stories is humans’ specific natural traits that machines cannot be alternated.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Korean church need to rebuild a theologically proper and biblically- based human understanding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allenge of transhumanism..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Today we are facing an era of posthumanism. A posthuman refers to a human person in a state beyond/post being human, and posthumanism means an ideology or a movement that seeks to be beyond/post being human, that is, beyond/post humanism. In a sense, humanism is moving towards posthumanism through transhumainsm as a transitional humanism, which is somewhere in a halfway between humanism and posthumanism. Considering this radical change of human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a question whether we could still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In order to do so, first, this paper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erms such a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o this analysi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in an essential continuity, thereby encountering the same criticisms as anthropological dualism, reductionism, individualisticism, and anthropocentricism. Next, it is significant that some groups seek religion or spiritual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by arguing for the compatibility of posthumanism and religion/spirituality. They are different from many forms of posthumanism which are secular or anti-religious. However, a careful analysis of those groups show that they are sure to inescapably encounter those above-mentioned criticisms raised against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Therefore what is lacking or missing in such posthumanism and in posthuman religious groups is a robust understanding of relationality, namely, an indispensability of relationality, which could be learned from contemporary “renaissance or revival of Trinitarian theology” in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argues that we could still talk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not only because humans could not be completely resolved into algorithms or data-processing, but also because relations ‘with-in’ humans and even ‘with-out’ humans would be very necessary in such a posthuman era. 오늘날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은 인간됨(being human)을 넘어서는 상태에 있는 인간을 가리키며,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인간됨을 넘어섬을, 즉 휴머니즘(humanism)을 넘어섬을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이다. 어떤 의미에서 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사이의 중간 어딘가에 있는 과도기적 휴머니즘(transitional humanism), 즉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을 거쳐 가고 있다. 인간들이 철저하게 변화하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 우리가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여전히 말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질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용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의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본질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둘 모두 동일한 비판들에 직면할 수 있다. 즉, 둘 모두 인간론적 이원론, 환원론, 과도한 개인주의, 인간중심론 때문에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몇몇 단체들이 포스트휴머니즘과 종교/영성사이의 양립 가능함을 주장함으로써 종교 또는 영성을 추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들은 세속적이거나 반(反)-종교적인 많은 형태들의 포스트휴머니즘과는 다르다. 하지만, 이러한 단체들 조차도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서 제기되는 위의 네가지 비판들에 직면하는 것을 확실히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종교단체들에게서 부족하거나 빠진 것은 관계성에 관한 강력한 이해, 즉 관계성의 필수불가결성이다. 여기에 관해서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나는 현대적 “삼위일체 신학의 르네상스 또는 부흥”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도 인간이 알고리듬 또는 데이터-처리로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인간들 내에서의 관계들과 인간들 외에서의 관계들이 그러한 포스트휴먼시대에서 매우 필수적일 것이기 때문에,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삼위일체에 관하여 우리가 여전히 말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이식형 의료기기의법적 위험에 대한 연구 - 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정보보안을 중심으로 -

        김성용,정관영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고려법학 Vol.- No.105

        이 글은 예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로부터 비롯된 이른바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에 접어들게 되면서, 이를 실현할 수단인 이식형 의료기기가 내포하고 있는 개인정보 및 정보보안의 법적 위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아직은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았거나, 어쩌면 일어날 것 같지 않아서 다소 생소한 느낌이 드는 글로 비춰 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생소한 느낌은 점차 현실화 되어 가고 있다. 다름 아닌 공상과학 영화에서 인간의 신체는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서 다양한 가능성으로 비춰지고 있듯, 이제는 현실에서도 실현불가능하게 보였던 일들을 보고, 느끼고 경험하는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아직은 희박한 가능성이라고 하지만 첨단과학기술은 인간의 유한한 생물학적 조건을 기계와의 흡수․통합으로 탈신체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트랜스휴머니즘 사고(思考)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트랜스휴머니즘적 사고가 현실화될 수 있도록 기여한 이식형 심장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 ICDs), (체내)이식형 달팽이관(Cochlear Implants), 컴퓨터 의족(의수)(Foot Drop Implants)과 같은 인체 이식형 의료기기는 이상적인 트랜스휴머니즘의 중심에 서게 됐다. 결과적으로 이식형 의료기기는 신체장애로 고통 받는 이들에게 한줄기 희망을 선사하며 인간친화적인 트랜스휴머니즘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그렇다면 인간과 기계와의 흡수․통합으로 이상적인 트랜스휴머니즘의 실현 수단으로써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이식형 의료기기 수혜자, 즉 이를 이식받은 인간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트랜스휴먼은 자연적·생물학적 존재인 인간과 포스트휴먼으로 알려진 인공지능 사이의 경계쯤으로 정의되고 있는바, 이식형 의료기기를 삽입한 인간이 인간에 가까운 트랜스휴먼인 것인지 아니면 트랜스휴먼에 가까운 인간인 것인지 궁금하다. 아울러 이런 의문으로부터 이식형 의료기기를 이식받은 자는 개인정보보호법상 정보주체로서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인지 역시 궁금하다. 앞으로 이식형 의료기기를 이식받게 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금처럼 한 두 개의 기기를 이식한 경우 외에도, 신체의 1/3, 1/2 또는 신체 대부분을 이식형 의료기기를 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연적·생물학적 존재가 아닌 새로운 인간 존재로 바라보게 될 가능성은 없는 것인지 의문이다. 바로 모두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인간의 개념과 다가올 미래사회의 전혀 새로운 인간의 개념을 논하는 것은 이상적인 트랜스휴머니즘 실현의 수단인 이식형 의료기기가 내포하고 있는 법적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할 것이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제2조 제3호에서 밝히고 있는 ‘사람(인간)’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는다면 현행법만으로는 이식형 의료기기를 이식받은 자에 대한 정보주체의 법적 권리를 보장할 수 없게 되어 이들의 법적 불안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식형 의료기기는 유무선통신기능이 가능한 디지털 전자기기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외부와 송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자의 치료 설정 등 많은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식형 의료기기는 데이터의 무결성에 대한 악의적인 변경이 일어날 수 있고, 데이터 기록 및 전송과정에서 환자 정보와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악의적인 공격에 취약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인... As we enter the so-called transhumanism era which stems from unpredictably fast-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egal risks of personal data and data security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by means of realizing it. Therefore, it may be seen unrealistic or felt somewhat unfamiliar. As we have seen in science fiction movies, the human body is seen as various possibilities in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Although it is still a rare possibility, high-tech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the transhumanistic thinking of pursuing de-bodyization by absorbing and integrating human finite biological conditions with machines. And implantable medical devices such as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ICDs), cochlear implants and computer prosthetics that helped make this transhuman thinking a reality have become at the center of ideal transhumanism. As a result, the implantable device gave a ray of hope to those suffering from physical disabilities and provided a direction for what ideal transhumanism is. If so, how we define the recipients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ho hold an important position as means of realizing transhumanism through absorption and integration of humans and machines? Transhuman is defined a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which are natural and biological beings, and posthuman, known as artificial intelligence, so I wonder if the human who inserted the implantable medical device is a transhuman close to a human or a transhuman close to a transhuman. In addition, it is curious whether a person who has received a transplant type medical device can be protected as an data subject under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With implantable medical device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ose who 1/3 or 1/2 of the body, or most of the body consist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ill be viewed as a new human being rather than a natural or biological one. Discussing the human concept that everyone takes for granted and the completely new human concept in the future society is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the legal risks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hich are an ideal means of realizing transhumanism. If a new concept of humans is not established within the scope of interpretation of Article 2, No. 3 "People(Human being)" of the current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legal anxiety over beneficiaries embedded with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nder the current law will continue.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re digital electronic devices that can perform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can generate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Thus,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hich contain a lot of personal data, such as setting up patient care, are vulnerable to malicious attacks that violate patient data and privacy during data recording and transmission. As transhumanism and implantable devices which are human aspirations cannot be separated, legal risks such as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cyber data security are bound to coexis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ideal transhumanism. The scope of interpretation of Article 2 No. 3 "People(Human being)" of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the security risk under Article 28-2 of the same Act can be said to be the legal risk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ranshumanism.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과 니체의 출산으로서의 생명개념

        이선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3 No.-

        In this essay, I examine the context, where Nietzsche’s Philosophy is generally taken to be Trans-humanists and argue for the conclusion to the contrary based on his concept of life that makes the core of his existential philosophy. Depend on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the human enhancement program of Trans-humanism could either be supported or be opposed. On an one hand, Nietzsche’s concept of self-overcoming with th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seems to provide some clues that support the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of Trans-humanism. But on the other, the contrary can be supported by Nietzsche’s concept of human life as Childbirth because his thought acknowledges the limits of human condition. Because the current controversy over Trans-humanism are focused on the question of the possibility of human condition mainly, Trans-humanists put a strong emphasis on Overman or Trans-human. Rather, it makes Trans-humanism hardly hold the concept of life based upon the general experiences of self-overcoming in nature, human life, and human body. I claim in this essay that Nietzsche’s concept of life should be considered as Childbirth. Then his concept of overman, that is, self-overcoming gains a physical space. Human life through Childbirth can function as a principle to create all of the experiences in nature, human life and human body. The human enhancement program neither contains the process of Childbirth from the dynamic nature nor satisfy the usefulness for the human life. It even justifies the instrumentation of human body. Trans-humanism is criticized by Nietzsche’s concept of life for the pursuing the human enhancement only while ignoring the process of Childbirth. 이 글은 니체철학이 일반적으로 트랜스휴머니즘의 입장이라고 간주되는 이유를 살펴보고 과연 니체철학이 트랜스휴머니즘과 만날 수 있는지를 ‘생명’의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니체철학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입장에 대해 긍정할 수도 있고 부정할수도 있다. 한편으로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인 견해를 제외한다면 니체의 예술가적 창조를 통한 자기극복은 트랜스휴머니즘적인 인간 종의향상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전개될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니체 철학은 인간의 한계적 조건에 대한 긍정으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트랜스휴머니즘에 반대 입장으로서 니체의 출산으로서의 생명 개념에 의해 지지될수 있다. 오늘날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 조건의 가능성에 집중하여 위버멘쉬나 트랜스휴먼을 강조하는데 이런 방식으로는 자연이나 인간 삶, 그리고 몸에 있어서의 자기극복의 경험에 근간하고 있는 생명 개념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생명중심적 관점에 따라 니체의 생명개념이 출산으로해석될 때에만 위버멘쉬의 개념 또한 공간적인 장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출산으로서 삶은 자연, 삶과 몸의 경험을 창조할 수 있는 조건이자 근거로 작동한다.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향상 프로그램은 자연의 생명운동에서 나타나는 출산과정을 드러내지 못하며 인간 삶에서 요구하는유용성에 부응할 수 없고 몸의 도구화를 정당화시킨다. 그러므로 니체의 생명개념을 통해 볼 때 트랜스휴머니즘은 생명의 출산하는 과정을 무시한 인간 향상의 추구로 비판될 수 있다.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의 혁명적 생명 연장과 기독교: 사이보그와 영생

        김영원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0 문학과종교 Vol.2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적이고 기독교적 인간학의 입장에서 트랜스휴머니즘 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이보그를 통한 생명 연장의 문제에 대하여 분석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이 추구하는 사이보그 기술을 통한 영원에 가까운 생명의 획득은 데카르트의 영육이원론과 인간 정신이해에 기초해 있으며, 자유 시장 경제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에 반해 기독교의 부활과 영생에 대한 가르침은 인간의 정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담고 있으며, 정신과 몸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담고 있다. 더욱이 기독교의 부활과 영생의 관념은 오랜 역사적 경험을 통하여 인간 욕망의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반성을 품고 있으며, 그 반성을 기초로 인간의 욕망을 극복한 새로운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해 왔다. 이러한 점에서 기독교의 부활과 영생에 대한 사상은 사이보그 기술을 바탕으로 한 트랜스휴머니즘의 생명 연장에 도전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트랜스휴머니즘의 사이보그 기술을 통한 영생추구를 비판하고 인도하는 오래된 지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issue of revolutionary life extension through cyborg technology within transhumanism is critical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and Christian anthropology. The idea of the near-eternal life of transhumanists is based on the Cartesian mind-body dualism, and it cannot escape the influence of free-market Capitalism. In contrast, the reflections on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in Christianity are arguably bear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nd and holding a holistic view of the mind-body problem. Furthermore, through the lessons of its history, Christian thinkers came to realize the danger of the evil proclivity of human beings and to suggest a new possibility of future beyond human desire. In this sense, the Christian idea of eternal life can be useful guidance for the transhumanist’s pursuit of near-eternal life.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에 도전 받는 기독교 신학: 인간론, 구원론, 종말론을 중심으로

        우병훈 한국개혁신학회 2020 한국개혁신학 Vol.68 No.-

        This essay aims to evaluate the anthropology, soteriology, and eschatology of transhumanism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criptures and Reformed theology. Transhumanism is the belief that humans can change their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through technology. First, transhumanists radically change the understanding of humanity. They claim that if only information patterns about human identities are preserved, humans are preserved, and that the physical parts of human beings are just jelly. In contrast, the anthropology of the Bible, Christian tradition, and Reformed theology regards human beings above all as “psycho-somatic unity”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imago dei). Second, the question that transhumanists ask of Christianity is closely rela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salvation. Some of them seek salvation through the preservation of information or data. Others seek salvation through “brain manipulation” or “enhancement.” On the contrary, the Scriptures and Reformed theology teach that salvation must be given by grace through Jesus Christ. The incarnation of Christ is a reminder of the preciousness of the human body. The soteriology presented by the Scriptures is not an individualistic view but a view that pursues the common good of the community. Third, transhumanists pose a number of challenges in eschatology. They pursue three types of immortality: “biological immortality,” “bionic immortality,” and “virtual immortality.” Contrary to this, Christianity teaches both a personal and a cosmic end. The Scriptures closely relate human resurrection with God’s eschatological judgment. The resurrection of the eschaton is a resurrection of the whole person, both soul and body. The eschaton is a complete victory over sin, death, and Satan. The eschatological resurrection not only relates to humans but also to the renewal of the whole universe. The core of the eschatological blessing is the completion of fellowship with God and the fullness of fellowship with angels and believers. In conclusion, the anthropology, soteriology, and eschatology of transhumanism are incompatible with the Scriptures and Reformed theology. Transhumanism assures that technology will super-humanize us, but, in fact, the result is de-humanization. 본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론, 구원론, 종말론을 전통신학 및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이 가진 신체적, 정신적 조건이 기술을 통해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고 보는 사상이다. 첫째,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급격하게 변화시킨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인간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정보 패턴만 보존된다면 인간은 보존되는 것이며, 나머지는 젤리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성경과 전통신학 및 개혁신학의 인간관은 인간을 무엇보다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영-육 통일체”로 본다. 둘째,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이 기독교에 던지는 질문은 구원에 대한 이해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된다. 그들 중에 어떤 이들은 “정보(데이터)”의 보존을 통해서 구원을 획득하고자 한다. 다른 이들은 “뇌파조작”이나 “증강”을 통해서 구원을 획득하려고 한다. 이와 반대로, 전통신학과 개혁신학은 구원은 반드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은혜로 주어진다고 가르친다. 그리스도께서 성육신하신 것은 인간이 지닌 육체의 소중함을 일깨워주신 것이다. 성경이 제시하는 구원관은 개인주의적인 관점이 아니라 공동체의 공공선을 추구하는 구원관이다. 셋째,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종말론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도전을 제기한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세 종류의 불멸성 즉 “생물학적 불멸성”, “생체공학적인 불멸성”, 그리고 “가상적 불멸성”을 추구한다. 기독교는 개인적이고 우주적인 종말을 가르친다. 성경은 인간의 부활과 하나님의 종말적 심판을 긴밀하게 연결시킨다. 종말의 부활은 영혼과 육체를 모두 가진 전인으로의 부활이다. 그것은 죄와 사망과 사탄에 대한 완전한 승리이다. 종말의 부활은 단지 인간들과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온 우주의 갱신과도 연관된다. 그 축복의 핵심은 하나님과의 교제의 완성이며, 천사와 및 신자들과 나누는 교제의 충만함이다. 결론적으로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론, 구원론, 종말론은 개혁신학과 양립할 수 없다. 트랜스휴머니즘은 기술이 우리를 초(超)인간화 할 것이라고 장담하지만, 사실 그 결과 생기는 것은 비(非)인간화이다.

      • KCI등재

        트랜스 휴머니즘 관점에서 분석한 사이보그 캐릭터디자인 연구 - <공각기동대>를 중심으로 -

        애홍연,김홍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6

        As a branch of post-humanism, trans humanism seeks to improve human conditions by "intentional evolution," affirming the trans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human spirit and flesh by science and technology. The SF genre of animation and film visually specifies these reasons. The long-length animation and live action film, which takes Japanese cartoonist Masamune's original comics as the source, develops different points of view of trans humanism on the same source narrative.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yborg character design shown in the feature animation series and the due diligence film, and to compare each of its types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prospects of post-humans in which these trans humanistic designs are oriented. First, we analyzed the character designs of Kusanagi Motoko, Barto and Tachikoma, the cyborg characters of the feature animation series <Ghost In The Shell(1995)>, and then analyzed the character designs of the cyborg characters Mira Callian, Barto and Spider tanks in the due diligence film, to compare the two.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methods, we extracted types of complex hardening, menstrual hardening and biomimicry, an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type of cyborg character extracted, we were able to see what the differences were between the trans humanistic outlook of the 1990s and 2000s and the prospects of trans humanism and the exist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perceived as a reality. Motoko Kusanagi, the main character of Oshii Mamoru's animated cyborg, released in 1995, showed a radical post-human outlook as a hub that flows through the data network beyond the combination of humans and machines, while Mira Callian, the protagonist in the 2017 due diligence film, suggested an alternative to accepting the daily life of trans humanism as a reality amid vigilance and concern over the prospects of the former. 포스트 휴머니즘의 한 갈래로서 트랜스 휴머니즘은 ‘의지적 진화’에 의한 인간의 개선을 추구한다. 과학과 테크놀로지에 의한 인간 정신 및 육체에 대한 변형과 강화를 긍정하는 트랜스 휴머니즘의 표현은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SF 장르에서 구체화되었다. 그 대표적 작품 중 하나인『공각기동대』는 장편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로 제작되었으며 동일한 원천서사에 대한 서로 다른 시점의 트랜스 휴머니즘을 전개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편 애니메이션 및 실사영화에 나타난 사이보그 캐릭터 디자인을 분석하고, 그 각각의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트랜스 휴머니즘 디자인이 지향하는 포스트 휴먼의 기대와 전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장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 캐릭터인 쿠사나기 모토코, 바토, 타치코마의 캐릭터 디자인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실사영화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 캐릭터인 미라 캘리언, 바토, 스파이더 탱크의 캐릭터 디자인을 분석해 양자를 비교하였다. 분석과 비교의 방식을 통해 복합강화, 생리강화, 생물체모방 등 유형을 추출했으며, 추출된 사이보그 캐릭터 유형이 지니는 각각의 특성과 의의를 살핌으로써, 1990년대와 2000년대의 트랜스 휴머니즘 전망과 트랜스 휴먼과 인공지능의 존재가 현실태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오늘날 트랜스 휴먼의 전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1995년 개봉된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의 사이보그 캐릭터 주인공 쿠사나기 모토코는 인간과 기계의 결합을 넘어서 데이터 네트워크 속에서 유동하는 허브로서 새롭게 갱신-‘진화’-되는 급진적인 포스트 휴먼 전망을 보여주었으며, 2017년의 실사영화 속의 주인공 미라 캘리언은 전자의 전망에 대한 경계와 우려 속에서 트랜스 휴머니즘이 현실화되어 가고 있는 일상을 수용하는 포스트 휴먼의 윤리적 대안을 제시하였다고 할 것이다.

      • 트랜스휴머니즘 등장에 따른 사회복지의 미래 이슈

        김정현(JeongHyeon Kim),박성원(Seongwon Park) 미래학회 2017 미래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인간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신체의 변형, 확장, 증강을 꾀하는 트랜스휴먼 현상을 진단하고, 이런 현상의 가속화에 따라 사회복지 분야에서 어떤 미래 이슈가 발생할 것인지 예측한다. 우리는 인공지능, 자율 주행차, 유전공학, 초연결기술 등 우리사회가 한창 논의하는 제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들의 방향성이 인간 신체의 변형 및 확대에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앞서 언급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트랜스휴먼 사회에 직면하고, 새로운 환경 에 적응하기 위해 지적, 육체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할 것으로 예측한 다. 트랜스휴먼 사회가 도래한다고 가정할 경우, 사회복지 분야에서 많은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는 노령·질병·장애·실업 등의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여 사회보장,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정책을 통해 국민의 생존 권리를 보장하고 복지를 증진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가 가정하는 트랜스휴먼 사회는 기술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고, 각종 질병 및고통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추구하고 있어 사회복지 측면에서 많은 미래 이슈가 양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미래이슈를 발굴하기 위해서 우리는 퓨처스 휠 방법론을 적용해보았다. 도출한 미래이슈를 근거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트랜스휴머니즘 시대를 준비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The article analyzes the phenomenon of transhumanism in which humans attempt to transform and enhance their physical bodies and intelligence by utilizing radical technologies, and forecasts issues of the futur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e argue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our society seriously debates now in considering how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utonomous car, bio engineeing, and internet of everything have influence on Korean society is heading for transhuman society. We forecast that humans will experience rapid changes on their bodies and minds in order to adapt to the era of tranhumanism. In this assumpti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ill face lots of changes in terms of its policy, laws, and social institutions. It is because social welfare deals with issues of aging, disease, disability, and unemployment. The transhuman society will have a big impact 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 order to forecast social welfare issues of the future in the rise of transhumanism, we conduct futures wheel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futures studies, and suggest how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an prepare for the era of transhum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