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성 발달에서 경험의 역할과 쟁점

        이상훈(李相勳),오헌석(吳憲錫)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경험은 전문성 발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으나 전문성 발달과 경험의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들은 일관성 있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경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전문성의 발달에서 경험의 역할을 경험적 지식, 지식의 맥락적 활용 능력, 암묵지, 자동성 획득의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문성과 경험의 관계에 관한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경험과 지식의 관계, 둘째, 경험과 학습의 관계, 셋째, 경험의 깊이와 폭에 관한 것이다. 쟁점의 분석 결과 전문성의 발달에서 경험은 분석적 지식과 서술적 지식 보다는 절차적 지식에 영향을 미치고, 경험이 학습으로 연계되는 데는 특정 조건이 필요하며, 비구조화된 문제상황에서는 경험이 깊이와 함께 폭이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성과 경험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는 점, 특히 최근 전문성 연구에서 주목되고 있는 적응적 전문성 연구에서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issues about a role of experience in expertise development. The experience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factor in expertise development. However, many empirical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were not consiste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prior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analyzed the related issues. In this study, the role of experience in expertise development was divided four aspects acquisition of automaticity, ability of knowledge contextual utilization, acquisition of tacit knowledge, and construction of experiential knowledge. The issues on experience and expertis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learning, and the breath and depth of experience. Through this issue, I described that experience affects the procedural knowledge, rather than analytic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re are certain conditions required to be linked experience to the learning, and experienced with not only the breath and but depth may be important at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These issues have implications on theories and practice of expertise, especially adaptive expertise research.

      • KCI등재

        VR경험이 VR광고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감능력의 조절적 영향을 중심으로

        김주란 한국광고PR실학회 2018 광고PR실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경험의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기반으로 한 광 고캠페인의 VR경험(experience)을 새롭게 규명하고 VR캠페인 경험(experience), 공감 (empathy), 광고태도, 구매의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VR캠페인 경험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20∼30대 남녀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VR경험의 조사도구는 체계적 절차에 의해 척도를 개발하여 하였다. 본 연 구결과, VR경험은 공감각 경험, 촉각적 경험, 현실감 경험, 감각적 경험, 행동적 경험 요 인으로 새롭게 밝히고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VR를 통한 경험이 태도, 구매의도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VR경험이 긍정적인 광고태도에 나아가 제품에 대 한 구매의도로 이어질 수 있어 VR경험 효과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공감수준에 따라 VR경험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나 심층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VR경험에 대한 이론적 틀과 이를 토대로 한 실증 적 분석을 제시하여 학문적·실무적 차원에서 VR경험의 광고효과 분석의 출발점을 제 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VR experience and empathy work fo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investigates key questions about VR experienc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surveying 300 VR users. The study clarified the concept of VR experience as spatial experience, tactile experience, sensory experience, realistic experience and behavioral experience and developed and purified the measures of VR experience. The results indicated VR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ad. Attitude toward ad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Empathy levels partially influenc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R experience and attitude. The study regarding vital roles of VR experience would offer the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 KCI등재

        맥락적 접근을 통한 119응급의료서비스 사용자 경험 분석

        김태선(Kim Tae Sun)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1

        경험경제와 상품의 속성 변화를 배경으로 디자인의 영역이 서비스, 시스템 등 무형적 상품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19응급의료서비스 경험을 디자인의 대상으로 보고 서비스사용자의 경험에 관계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주로 문헌연구와 해석적 연구의 두 방법이 사용되었다. 우선 문헌연구는 경험관련 개념이해와 119응급의료서비스 현황 파악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해석적 연구는 119응급의료서비스 사용자와 제공자 대상의 면접조사에 사용되었다. 면접조사는 총 8명의 서비스 사용자 대상의 1:1 개별면접조사와 총 11명의 현직 119구급대원 대상의 집단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상호주관성을 바탕으로 조사된 경험내용의 해석과 분석을 실시하고 119응급의료서비스의 문제점을 도출했다. 경험 관련 개념의 연구결과, 체험과 경험의 의미가 다르며, 이에 체험이 경험으로 기억되는 특정 환경, 정황의 관계를 생각할 때, 경험연구에 있어맥락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119응급의료서비스 경험조사결과, 사용자의 서비스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비스사용자 차원의 사고자의 위기 수용정도 요인과 위치근접 요인, 서비스 제공자 차원의 제공자 개인의 상황대처 능력 요인과 태도적극성 요인, 시스템 차원의 시스템지원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119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가 사고자의 최종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을 볼 때, 서비스 경험개선을 위한 각 요인별 접근을 통한 개선을 모색하되 사고자의 최종 결과가 긍정적으로 종료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Moving to experience economy, industrial design is extending its domain including intangible products such as service, systems and so on. Hence this study aims to influencing factors o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experi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adopted literature review and interpre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mainly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user experience were explored and present conditions of 119 EMS were researched. Next, understanding 119 EMS experience, 8 users and 11 providers of 119 EMS were interviewed. Then, fromanalyzing the experience of interviewees, complaints were classified and influencing factorswere drawn. Considering a certain circumstance of experience which influences experience remembered different from experience undergone, contextual approaches are essential in user experience research. Having the perspective, through interviewing users and providers of 119 EMS, influencing factors of 119 EMS experience are classified into 3 dimensions; service user(physical crisis acceptance, situational accessibility), service provider(ability to handle situation, initiative attitude), and service system(system supportiveness). Because of the tendency that the victims' accident affects global assessment on 119 EMS experience, the dimension and factor based approach is executed focusing on positive accident consequence of the victims. This study is conceptually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undergone and experience remembered. Practic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119 EMS experience. Although, as a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tries to have deep understanding on the interviewees, a large scaled survey should still be subject to further research. Future study to include other researchmethods such as survey will be promising in order to take the benefits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discerned concepts relating with experience and class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119 EMS experience based on the interviewresult.

      • KCI등재후보

        공조(共組)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 - 연극활동 과정을 중심으로

        김경애(Kim Kyung-A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인 의미화에 집중한 경험학습론의 관점을 공동체의 지평으로 확장시켜 놓고, 경험학습에 있어서의 역사성과 상호작용성의 측면, 즉 개별성과 공유가능성이라는 모순된 특성이 어떻게 관련지어질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BR>  예단이라는 적극적 공동경험 구성과정 사례에서 볼 때, 공동경험 구성과정은 상이한 경험세계를 가진 개별 학습자들이 모여, 그들의 경험세계를 내어놓고 공유하면서 하나의 통일된 경험을 직조해가는 과정으로, 궁극적으로 각자가 하나의 유기체의 부분인 것처럼 기민하게 호흡을 맞추게 되는 결과에 이르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이렇게 참여자들 각자의 경험이 표출, 파괴, 조율, 융합되어, 하나의 통일된 조직화의 힘을 발휘해가는 공동경험 양상을 ‘공조’라는 용어로 설명하였다.<BR>  하나의 완결된 경험구성과정을 학습과정으로 볼 때, 경험을 공조하는 과정은 ‘공조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조학습은 1) 인간탐구의 과정이라는 점, 2) 앎-인격적 관계-사랑이 묶여있는 학습형태라는 점, 3) 학습능력으로 언어뿐 아니라 지성, 신체, 감성 등을 포함한 기민한 소통능력을 포함한다는 점, 4) 학습자들이 맥락적으로 사고하고,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 5) 암묵지까지 공유하여 공동지식화하고 있다는 점, 6) 공조경험의 성취로서 확립되는 공동체성을 가진 학습공동체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ing the learning process when people experience collectively.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documen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from the case, ‘YeaDan’ drama troupe, were analyzed.<BR>  The organizing process of collective experience by actors of ‘YeaDan’ consists of four dimensions: 1) self-confronting and self-dismantling to make themselves open to a new experience, 2)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the new role of the work, 3) tuning and sharing interpretation of the work, 4) harmonizing as if all are the part of an organic body.<BR>  This study proposes a particular conceptualization of organizing collective experience as revealed in the case of ‘YeaDan’: ‘co-organizing experience’. This conceptualization is based upon Dewey"s theory on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Prior experience influences how the new experience is organized. So the prior experience of all the participants has to be shared, merged, and united, to organize a complete collective experience. ‘Co-organizing’ means that diverse people share their unique experience to form a shared experience frame, and organize a complete collective experience based on that frame. It ends with a creative ensemble in which all the members work in perfect harmony.<B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 new concept for explaining the related phenomena. This work expands the horizon of the perspective on experiential learning from personal meaning-making to collective-sharing and organizing. It shed new lights on the connectibility of the individual experiences to be merged each other.

      • KCI등재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른 옴니채널의 등장과 브랜드 경험

        김수진,김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Brand experience design is to give consumers experience with brand value and concept. It puts focus on the value of experience and helps to build a brand identity. As the value of experience increases, and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been accelerated by smart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tablets, and PCs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GPS, more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experi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onsumers based on smart devices. And, these days, consumers of the digital generation do not simply purchase products, but they purchase products on smart devices to ge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lso, they prefer interaction which is bilateral, active communication to unilateral, passive one. All these prove the importance of real experience. With these comes the OMNI-Channel, a platform which tears down the wall between on-line and off-line and enables consumers to experience a brand through purchase, distribution, and marketing in an integrative manner, which indicates a new possible experiential approach that allow us to differentiate our brand from other brands by using visual factors of the brand strategically. This study’s aim is to define the concept of brand experience design which is being newly formed based upon OMNI-Channel that uses every channel available including smart phones, PCs, and off-line shops so that consumer’s experience can continue seamlessl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needs of consumers for experience and experience design by reviewing the related cases at home and abroad, to show how brand experience design has changed, and to provide a direction of development. 브랜드 경험이란, 브랜드의 가치와 개념에 상응되는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경험(Experience)의 가치에 주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돕고 있다. 경험의 가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가 무선인터넷, GPS와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의 발달을 가속화시키며 소비 패러다임에 스마트 커머스(Smart Commerce)라는 큰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통한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관계와 경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대 소비자들이 단순 구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세대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자신의 경험과 주관적인 만족을 위해 소비하며 일방적 소통보다는 상호작용, 즉 직접 참여하여 교류하는 쌍방향의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선호하면서 실질적인 경험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런 흐름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쇼핑에서 유통, 마케팅까지 통틀어 하나의 브랜드를 통합적으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인 옴니채널(OMNI-Channel)이 등장하였고, 이는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채널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타 브랜드와 차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적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PC, 오프라인 매장 등 이용 가능한 모든 쇼핑 채널을 통하여 고객 경험이 끊이지 않게 집중하는 옴니채널을 기반으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브랜드 경험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외 시도되고 있는 사례들을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경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옴니채널의 분류별 특징을 분석하여 변화하고 있는 브랜드 경험 전략과 그에 따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대한 설명가능성 - 경험학습론과 공동체학습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경애(Kim Kyung-A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논의는 기존의 경험학습 논의가 경험의 중요한 속성인 상호작용성보다는 개인적인 반성을 강조하는 논의로 전개되어온 과정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공동체 학습론과 조직학습론에서 공동경험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공동체 학습론과 조직학습론을 통해 공동학습이 개인학습을 지원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키는 차원,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학습방법의 유용성, 공동학습을 통한 집단의 비전과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 개별경험의 차원으로 환원될 수 없는 공동학습의 차원 등이 밝혀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개인경험과 공동경험의 구분과 관계 규정 문제, 공동학습의 목적설정 문제, 공동학습에서 공유되어야 하는 것과 공유방법의 문제, 개인들의 기존경험을 뛰어넘는 혁신적 학습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논의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이러한 측면이 향후 개인의 선행경험이 공동의 경험으로 조직화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서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Experience seems private and inaccessible from others, but when we are experiencing, it is within the context of collective thought and shared situations. So to understand experience, we have to focus on the collective experience within a social context, such as a community. But as theory of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developed, the focus has moved on the individual reflection following the concrete experience.<BR>  The theory of community learning and organization learning is more focused on collective learning. These theories found out that 1) collective learning makes synergy within participators, 2) dialogue and collaboration is effective as a way of learning, 3) it"s possible to develop collective vision and identification, and 4) there is "α", which cannot be reduced to individual learning.<BR>  But there remain some thesis to be explored and developed: 1) how 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experience and collective experience, 2) where to locate the purpose of collective learning, 3) what to be shared and how to be shared, 4) how to make it possible to exceed the limit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make a innovative collective learning. These aspects sh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ase study which explores the organizing process of individual prior experience into a collective experience.

      • KCI등재

        개신교 '경험신학'의 원천으로서의 경건주의: 고트프리드 아놀드의 『경험신학』(Theologia experimentalis)을 중심으로

        이상조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rasp the theological core of ‘experiential theology’ that pietists say, and to criticize it theologically, by analyzing Gottfried Arnold’s Experienced Theology (Theologia experimentalis, 1714), a radical pietist in the 17th century. The primacy of experience over reason was a key point emphasized by the Pietists. For the Pietists, the experience of God was not only the goal of proclamation and teaching, but also the theological method and criterion. The experience of God was the most important central theme for the proper growth of faith. Therefore, August Hermann Francke emphasized his ‘conversion experience’, and Nikolaus Ludwig Graf von Zinzendorf expressed the moment of mystical experience with God as the concept of ‘theology of the heart’ (Herzenstheologie). Spener, who is called the father of pietism, also defended ‘experiential theology’, saying that true theology is “moving and training the heart, not pure science.” By the way, among the German pietists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t was Spener's disciple Gottfired Arnold (1666-1714) who developed experiential theology the most clearly than Zinzendorf, Franke, and Spener. Therefore,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content of Arnold's ‘experiential theology’ in Experienced Theology (Theologia experimentalis, 1714), it is revealed that Arnold's concept of ‘experience’ is directly connected to his theological theory of rebirth, and would like to reflect critically on what it means theologically. 본 논문은 17세기 급진적 경건주의자인 고트프리트 아놀드의 『경험신학』을 분석하여 경건주의자들이 말하는 ‘경험신학’의 신학적 핵심을 파악하고, 이를 신학적으로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성에 대한 경험의 우위성은 경건주의자들이 강조하던 핵심이었다. 경건주의자들에게 있어서 하나님에 대한 경험(Erfahrung)은 선포와 가르침의 목표일 뿐만 아니라 신학적 방법과 기준이기도 했다. 하나님에 대한 경험은 올바른 신앙의 성장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중심 테마였다. 그랬기에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는 자신의 ‘회심 체험’을 강조했고, 친첸도르프(Nikolaus Ludwig Graf von Zinzendorf)는 하나님과의 신비적 경험의 순간을 ‘마음의 신학’(Herzenstheologie)이라는 개념으로 표현하였다. 경건주의 아버지라 일컬어지는 슈페너도 참된 신학이란 “순수 학문이 아니라 마음의 감동과 훈련”이라며 ‘경험신학’을 옹호했다. 그런데, 17~18세기 독일의 경건주의자 가운데에서 친첸도르프, 프랑케, 슈페너보다 경험신학을 가장 극명하게 전개한 사람은 슈페너의 제자인 고트프리드 아놀드(Gottfired Arnold, 1666-1714)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놀드의 ‘경험신학’의 내용을 『경험신학』(Theologia Experimentalis, 1714)을 분석하여 아놀드의 ‘경험’ 개념이 그의 신학적 중생론에 직접 잇닿아 있음을 밝히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신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비평적으로 성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성인대학생을 위한 선행경험학습 학점인정 방안 연구 -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임욱빈,이선희,황영아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대학 내 성인학습자의 사전 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기 위한 선행경험학습인정제도의 운 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에 선행경험학습인정제도 운영원리와 절차를 제시한 기존 문헌 을 분석하고, H 대학의 환경을 고려하여 선행경험학습인정제도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제 성 인학습자로 구성된 학과에의 적용을 통해 절차를 보다 구체화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양식을 개발하 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경험학습인정제도 운영원리를 토대로 평가체제 측면에서는 교과목성취 기준을 고려한 평가기준 마련, 평가 시 외부전문가 포함, 평가를 위한 조직 구성・운영, 학습자 측면에 서는 학습설계 상담 및 지원제공과 홍보, 운영체제 측면에서는 실무자 연수 개최, 만족도 조사 등의 실 제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경험학습 학점인정 절차는 평가 준비 및 공지, 신청자 상담 및 신청, 학점인정 평가 및 심의, 학점인정 승인 및 서비스 평가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운영 방안에 따라 실제 평가에의 적용 단계에서는 평가에 활용되는 교과목별 평가기준, 선행경험학습학점인 정신청서, 자기평가체크리스트, 서류체크리스트, 선행경험학습 평가서(개별위원용) 및 종합평가서, 학점 인정사정표, 학생 통보용 평가결과서, 이의신청서, 서비스평가지 등의 양식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형식교육, 비형식교육 뿐 아니라 무형식경험까지를 포함하는 성인학습자 대상 대 학의 선행경험학습인정제도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of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to identify the prior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as credits. Accordingly,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suggested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the prior learning was analyzed, and a management plan for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system was drawn up in consideration of the H university’s situation. In addition, various forms were developed and refined which utilize and shape up the procedures through application to departments composed of adult learn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ased on the principle of operation for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system, in the aspect of the evaluation system, it was derived to prepare evaluation criteria that consider the achievement of the subject, to include external experts in the evaluation, and to organize and operate an organization for evaluation. In the aspect of learners, to provide learning design consultation and promote the system were derived. And training program for workers and surveying satisfaction were derived in the operating system aspect. In addition, the procedure for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was presented as preparation and notification of evaluation, counseling and application for applicants, evaluation and deliberation of credit recognition, approval of credit recognition and service evaluation. At the stage of application to actu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finally derived operation plan, various forms for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were developed.

      • KCI등재

        경험 요인 분석을 통한 패키지 디자인 개발 방법 연구

        최혜정(Choi, Hye Jeong),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최근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험 소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가운데, 패키지는 제품 보호 및 정보전달의 도구에서 고유의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 자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번 H.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안한 전략적 경험 요인인 감각(Sense), 감성,(Feel) 인지(Think), 행동(Act), 관계(Relate)의 다섯 가지 항목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 경험 유발의 요인을 분석하여, 새로운 패키지 개발 프로세스와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경험의 정의와 경험 디자인이 부상한 배경, 경험적 차원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을 정리하고, 다음으로 번 H. 슈미트의 다섯 가지 경험 모듈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 경험 유발 요인 유형을 기존 디자인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패키지 디자인 개발 사례에 대입하여 실증하였다. 다섯 가지 경험 요인은 패키지 안에서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패키지는 감각을 자극하여 만족을 제공하고, 즐거움, 따뜻함, 안정감 등의 감정을 경험하게 한다. 또한 합리적 소비라 설득하며, 제품을 운반하거나 개봉하는 과정에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관계적 측면에서 이상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하여 사회 안에서 소비자 자신의 위치와 관계성을 재확인하게 한다. 다섯 가지 경험 요인들은 개별적이기 보다는 하나의 혼합물로서 작용한다. 디자인 개발 시 우선적으로 ‘총체적 경험 콘셉트(Holistic Experience Concept)‘를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등의 ‘세부적인 경험 요소(Experience Factors)‘를 개발하도록 한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은 창의적인 패키지를 통해 고객을 위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유도한다. As the experiential consumption is gaining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cent market environment change, the perception on package is moved from a tool for protecting products or providing its information to a ‘product itself’ offering unique exper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d experience factors in package design through Bernd H. Schmitt’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a new approach and a process of package design development. As for research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experience, the background of the experience design appearance and the meaning of package design in the experience economy. Then the experience factors in precedent package design was analyzed through the Bernd H. Schmitt’s five experiential modules. Finally the study was demonstrated on package development case study. The five experience factors affect on package as follows. Package satisfy customers’ needs as a sense stimulus, and makes people feel delight, warmth or stability. And package persuade to think it is a rational consumption and it provides special experience in carrying and opening package. As for ‘relate’, ideal life style expressed on package convince customers of his/her position and relationship in their society. The five factors rather work as a mixture than individual factor in a package. On a design process, a ‘holistic experiential concept’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n ‘experience factor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should be created based on the concept. This design approach is expected to create a new value of package design.

      • KCI등재

        고객경험이 고객 인게이지먼트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합쇼핑몰을 중심으로-

        김우곤,조희영,박노현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nsumers who use the complex shopping m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ustomer experience of a complex shopping mall affects customer engagement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As an attribute to measure customer experience, it consists of four factors: educational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scapism experience.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d experience of using complex shopping malls. 467 copies of the collected valid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educational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scapism experience among the customer experiences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cious participation of customer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aesthetic experience and escapism experience among customer experiences of complex shopping mal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ssion of customer engag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the customer experienc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ustomer engag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conscious participation, passion, and social interaction factors of customer engagement in complex shopping mall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has been sufficiently proven.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와 관계지속의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객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속성으로서 교육적 경험, 심미적 경험, 오락적 경험, 현실도피적 경험 등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고객 인게이지먼트는 의식적 참여, 열정, 사회적 상호작용 등 3개의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복합쇼핑몰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는 20대에서40대까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유효표본 46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와 AMOS 2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 중 교육적 경험, 심미적 경험, 오락적 경험, 현실도피적 경험 등의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의식적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 중 심미적 경험, 현실도피적 경험 등의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열정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의모든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합쇼핑몰의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의식적 참여, 열정,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모두가 관계지속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