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T분야 여성 중간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영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IT분야 여성 중간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을 탐색하여 이들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IT분야의 소프트에어 개발업무를 하는, 과장급 이상의 30~40 대, 초등학교 이후 청소년기까지의 자녀를 둔, 조직경험 8년 이상의 경력단절하지 않은 여성 중간관리자인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Jonathan Smith(2009)의 해석 현상학적 분석 방법(IPA)에 근거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자료 분석 결과, 4개의 주제 및 1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과도기적 IT환경에서 고숙련 관리자로 성장’, ‘예측 불가능한 IT분야 시간 압박’, ‘일과 가정 모두의 관리자로 균형잡기’, ‘IT분야 워킹맘 관리자로 새롭게 열어가는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주제들은 ‘편견과 차별이 잔존하는 과도기적 IT분야 조직문화’, '강도 높은 IT 업무 환경에서 일과 가정의 관리자로 모범 보이기‘, ’전문가 중간관리자에게 주어진 책임의 무게‘, ’일-가정 시소타기‘, ’돌봄시간 부족으로 흔들리는 아이‘, ’바쁜 워킹맘 관리자이기에 소원해지는 관계들‘, ’워킹맘, 나를 관리하며 버티기‘, ’양립을 도와주는 지원군들 배치하기‘, ’가정에서의 규칙 만들어가기‘, ’중간관리자로 성공의 의미를 조정‘, ’가정경제의 주체‘, ’프로그래머, 워킹맘 관리자로 나를 세우기‘, ’유리천장속 IT분야 워킹맘들의 멘토 관리자‘, ’IT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유연한 여성 관리자‘ 의 하위주제로 구성됐다. ‘과도기적 IT환경에서 고숙련 관리자로 성장’은 IT분야의 느리게 변화하는 남성중심의 과도기적 조직 문화 속에서 여성 중간관리자들이 고숙련 전문가이자 중간관리자로 성장해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뜻한다. ‘예측 불가능한 IT분야 시간 압박’은 IT분야의 예측 불가능한 강도 높은 환경이 워킹맘 중간관리자가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압박하였음을 나타냈다. ‘일과 가정의 모두의 관리자로 균형 잡기’는 IT분야 여성 중간관리자들이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으로 다양한 대처방안을 만들어 일․가정 모두의 관리자로 균형을 잡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IT분야 워킹맘 관리자, 새롭게 열어가는 정체성’은 IT분야 워킹맘 관리자가 다중역할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인식하여 주체적인 삶을 살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IT분야 여성 중간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과 그 체험의 심층적인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IT분야 여성 중간관리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IT분야 여성 중간관리자에 대한 경험은 이들이 일-가정을 양립하는데 실제적인 심리적 도움을 주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ork-family balance experiences of female middle managers in the IT field to help them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rticipants, who were mid-level managers in their 30s and 40s at the manager level and above, who had children from elementary school to adolescence, who had 8 years or more of organizational experience and who did not cut their careers, who were involved in software development in the IT fiel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IPA of Jonathan Smith (2009). As a result,, 4 major themes and 14 sub-theme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were ‘growth as a high-skilled manager in a transitional IT environment’, ‘unpredictable time pressure in the IT field’, ‘balancing work and home as a manager’, and ‘a new identity as a working mom manager in the IT field’. The topics were 'transitional IT field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persist', 'Set an example as a manager of work and family in an intensive IT work environment', 'The weight of responsibility given to an expert middle manager', and 'Ride on a work-family seesaw' , 'Children shaken due to lack of care time', 'Relationships that become estranged because of busy working moms as managers', 'Working moms, manage me and hold on', 'Arranging supporters to help coexist,' 'Making rules at home', 'Adjusting the meaning of success as a middle manager', 'The main agent of the home economy', 'Establishing me as a programmer and a working mom manager', 'The mentor manager of working moms in the IT field in the glass ceiling', 'Flexible female manager who improves the efficiency of IT work It is composed of sub-themes of '. Growing into high-skilled managers in a transitional IT environment’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female middle managers strive to grow into high-skilled experts and middle managers in the slowly changing male-centered transi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IT field. ‘Unpredictable time pressure in the IT field’ indicates that the unpredictable and intense environment in the IT field has put pressure on the time required for middle managers of working mothers to balance work and family. ‘Balance as a manager of both work and home’ shows the process of female middle managers in the IT field trying to balance themselves as managers of both work and home by creating various phys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oping measures. ‘Working Mom Manager in IT Field, Newly Opening Identity’ shows how a working mother manager in the IT field tries to live an independent life by recognizing her identity in multiple ro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female middle managers in the IT field and expands their understanding by exploring the work-family balance experience of female middle managers in the IT field and the in-depth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The experiences of female middle managers in the IT fiel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them develop their leadership and provide practical psychological help to work-family balance.

      •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교육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권미연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aim of this paper is in investigation on the politic reform measures of the vocational trainings for the unemploye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system. As the Korea has becom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ince we were under the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ystem,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personal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unemployed workers have been mass-produced. The government knew that enterprises' information would directly affect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power, and it believed that the manpower training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could solve the serious unemployment problem. So it started the vocational trainingin IT for jobless workers. Because of the lack of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short-term goal establishment, however, it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ave been criticized that they are just waste of the training cost exposing many problems. Thus, on this study, I divid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into 4 types, like the setting up of the curriculums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agencies, selecting people who are qualified for the trainings, the outcomes of the trainings, and finally politic support for the training etc. to draw the problems and find the solutions after analyzing them. As the result of the study, I want to propose some politic improvement measure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s should be opened based on the local or each training institutions' specialty. Second, the selecting system should be made upon consideration on the trainees' special qualities. Third, the training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employment to achieve its results. Fourth, the existing free training system should be changed into the partial fee charging in order to complement the trainees'moral slackness and clearly prescribe the responsibilities beforehand. 이 연구의 목적은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교육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IMF관리체제이후 정보기술이 개인의 경쟁력으로 인식되는 정보사회가 되면서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였다. 정부는 기업들의 정보화가 국력향상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알고 범국가적인 과제로 IT인력 양성을 실업대책의 하나로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은 행정적 경험부족과 단기적인 목표 설정 등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며, 훈련비용의 낭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IT분야 실업자직업훈련 현황 중 행정기관별 교육과정 개설, 교육대상자선발, 교육성과, 교육지원정책의 네 가지 유형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의 특성과 교육기관별 차별화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개설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생 특성을 고려한 선발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취업서비스 연계로 교육효과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생의 도덕적 해이와 책임감 부제를 보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무료 교육을 부분 유료화 해야 한다.

      • IT分野의 技術標準과 特許制度와의 關係

        최봉묵 忠南大學敎 特許法武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It won't be exaggerated that in the 21th century global standard will affect strongly competition power of a nation as well as an enterprise. According to a report of OECD, about 80% of world trades are affected by related standards. Especially 50% of EU products are allowed to trade only when the compulsory standards are satisfied. Therefore all the enterprises in the world are making an effort to standardize. On the other hand, a standard technology is closely connec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of the technology. Because the standard technology can be used only a person who has the right of it allows it to be used, it is an important matter to review the range of IPRs. Especially in the cas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T) which are complex and correlated each other, the possibility that they include many IPRs (specially patent) is high. So many enterprises are trying to make their IPRs adapted as global standards. Therefore,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s such as ITU are recommending the rightful enterprises which participate in standardization process to submit information about related IPRs and statements granting a license to an unrestricted number of applicants on a non-discriminatory basis and on reasonable terms and conditions to use the said IPRs. At the same time, they are trying to investigate other IPRs themselves to maximize the purpose of creating the public goods through social spread of technologies But as the validity of the statements submitted by the said rightful enterprises and the analyzing point about the said non-discriminatory basis and on reasonable terms and conditions are not clear, there is still the possibility of raising a trouble. Also, opening the said information of the P R s is not compulsory and exact investigating is actually difficult. Therefore there are still many cases where important IPRs are uncovered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 Furthermore, if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said rightful enterprises are denying to submit the said statements to monopolize related market, which results in disorder of healthful market system, it is issue whether the said case is against the Antimonopoly Law. And though the Antimonopoly Law is applied,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of admitting enforcement. In this paper, based on the said problem, beginning with summarized introduction to IPR(especial1y patent) and standard system which are crucial in the IT oriented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viewpoi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s about the said issue in the process of or after standardization are analyzed. Especially, in case the two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the actions which have to be taken are analyzed in various viewpoints such as those of patents law and dispute mediations. But, as the issue has not been interested nationwide, it is to be regretted that the data about the issue was not enough to analyze it from more various viewpoints. I hope that it will be studi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constant interest and analysis in the future.

      • IT분야 예비창업자의 성격5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혁신성, 자기 효능감

        신하성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근년에 들어, 부동산 경기 침체, 조선업·자동차 산업 등의 영업활동 저하, 구매력의 감소, 공급과잉, 실업 증가, 재고 누적 등과 일련의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인한 극심한 경기 침체 최근 일련의 정치적 불안에서 연유한 경기불황을 의미하며, ‘박근혜정부’에서 ‘문재인정부‘로 정권교체에 따라 새 정부가 들어서서, 경기회복을 위한 경제정책들을 시행하여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힘을 쏟고 있다. 속에 많은 남녀 구직자들이 취직을 포기하고 창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중 가장 선호하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IT/인터넷 분야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IT기기 여기서는 통신, 모바일, 소프트웨어, 인터넷 등에 관련된 하드 또는 소프트웨어 전체를 말한다. 의 사용이 일상생활화 되면서 각종 IT기기들을 활용한 창업이 성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반증하듯이 코딩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다른 말, 해당 컴퓨터 언어를 이용해 게임 및 소프트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을 가르킨다. 을 배우려고 희망하는 사람들이 급속히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기관 각 대학 코딩 강좌 개설, 정부지원 코딩전문 교육원, 사설 학원, 한국 직업 개발원 등으로 코딩과 관련된 교육기관들을 일컫는다. 역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창업은 경제활성화에 중요한 영역이며, 현재와 같이 ‘고용없는 성장시대’에 IT분야 창업은 산업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젊고 유능한 인력들에게 창업을 권유, 지원하고 있다....

      • 대학 연구개발 전략 및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IT분야를 중심으로

        김영진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5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to deduce influential factors which influence on R&D strategies and influences of outcomes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col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efficient resourc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by establishing the required standard when carrying out above activities. There are two big parts in this study. the first one is the document research to draw a theoretical model, and the other one is actual analysis to prove the deduced model.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were investigated for drawing the theoretical model, and positive analysis study were carried out with derived theories form the document inquire through a survey. especially, the positive analysis was promoted by setting up a relation between influence factors, strategies and outcomes about collage R&D. From the positive analysis, the relation between circumstances and strategies, and between circumstances and outcomes are like below in short. First of all, there is a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research group and single group which researches only by a collage, and betwee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R&D group and the group which carries out industry-academic R&D relation to external circumstance factor and R&D strategy. Secondly, there were not big difference between whole internal circumstance factors and R&D strategy, but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ofessional researcher's participation level after analyzing by each internal circumstance factor. Thirdly, the market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and the level of technology change(development) were found out as positive(+)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otal outcomes from collage R&D in relation between whole circumstance factors and collage R&D outcome. fourthly, the market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influence positively on direct outcomes, and the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the level of technology change(development), the level of preparation research instruments influence positively on indirect outcomes. on the other hand, budget management and control were found out as a negative(-) variable. Lastly, from analyzing relation between whole circumstance factors and each R&D(5 items)'s result, the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influence on contribution of import increase as an affluent variable, and the market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and technology change(development) affluence contribution of export promotion. in addition, the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affluence on contribution for commercialization, and the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and the level of technology change(development), and the level of research instrument's preparation influence on contribution for scientific technology development. in case of ability of application to other fields, the market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technology change(development), the level of budget management and control, the level of research instrument's preparation were influ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size of new product/new technology was found out as a critical variable influencing on 5 dependent variables. Only research about R&D strategy and outcomes of information technology collage has been done because of various restrictions, but a research about all collage fields is needed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study on a R&D strategy of an advanced country's collage and influent factors on its outcome to compare with ours is also needed. finally, the research about collage R&D and outcomes which is connected to region improvement system(RIS) is also needed according to the decentralization system.

      •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프로그래밍언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

        박진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언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현재 운영되고 있는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프로그래밍언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2005년 4월 1일 현재 전국에 20개의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보통교과에 비해 전문교과의 이수 단위가 높게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프로그래밍언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이 특성화고 운영 시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분야라고 인식하고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기초 교육을 위하여 컴퓨터일반과 프로그래밍을, 전공심화 교육을 위하여 네트워크, 웹프로그래밍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하는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전문교과 교사들은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 입학당시 학생들의 IT 교과목에 관한 이해도와 프로그래밍언어에 관한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전문교과 교사들은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프로그래밍언어 교육 시 주된 수업방식으로 일제학습 즉 교사 주도형 수업방식을 주된 수업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목적은 교육 프로그래밍언어의 습득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전문교과 교사들은 IT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전문 교과 교사가 부족할 경우 유사과목 전공 교사를 일정기간 연수 후 활용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사과정 이수와 관계없이 각 분야의 대학 전공자나 산업체 경력자를 채용하여 충원하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working at specialized high school in IT department in order to offer the effectiv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ming language curriculum .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on IT, now, throughout the nation 20 specialized high schools on IT are being managed on April 1st in 2005 and most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on IT organize the curriculum which has the higher completion unit in specialized course than that in regular course. An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orking in IT field think tha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are the most important aspect whe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s managed. In addition, they regard computer generality and programming as the area to be instructed in priority for the basic of major. Also they realize that network and web programming should be focused for the professional course. Second, they think that it is low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urses of IT and programming when the students ente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they think that the main teaching method is "teachers-leading" when they teach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they see the purpose of the programming language as the acquirement of the programming language. Finally, if the professional teacher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on IT are insufficient, they prefer to using the teachers of the similar major after the training and positively examine the plan to employ the person getting the degree in each field regardless of the completion of the teacher course and the experienced man in the industry.

      •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IT 분야 기본 어휘 선정 및 분석

        이수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5

        본 연구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IT 분야의 기본 어휘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어휘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IT 분야의 기본 어휘 목록에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떠한가? 둘째, IT 분야 기본 어휘를 IT 세부 분야별로 분류했을 때 각 분야별 기본 어휘의 분포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IT 분야의 기본 어휘를 학습의 중요도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했을 때 특징은 어떠한가?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자 2001년부터 2011년까지의 연구물들을 분석한 결과 2008년 이후부터 양적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재 개발이 연구의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그 중 기본 어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특정 목적 영어 교육에 관한 이론을 적용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직업 목적 한국어 어휘를 직업 목적 한국어 기본 어휘와 직업 목적 한국어 전문 어휘로 나누어 본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직업 목적 한국어 어휘 선정을 위한 방법론으로 어휘 선정의 일반적인 방법 중 객관적 방법과 주관적 방법을 절충한 종합적 방법을 택하였다. 연구 방법은 IT 분야의 기본 어휘의 선정 기준을 언급한 뒤, 전체적인 연구 절차를 수립하여 진행하였다. IT 분야 기본 어휘를 선정하기 위해 텍스트를 선정하고 IT 전문용어 사전인 『텀즈』를 토대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말뭉치의 형태소를 분석한 뒤, 수정 및 교정 작업을 거쳐 고빈도 순으로 명사 어휘를 추출하였다. 고빈도 순의 명사 어휘가 실제 IT 분야의 텍스트 상에 나타나는 빈도를 파악하고자 텍스트 출현 빈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빈도수 1,000 이상의 어휘 목록을 만들었다. 1,000 이상의 빈도수를 보인 어휘들을 일반 어휘, 전문 어휘, 반전문 어휘로 분류하였으며, IT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어휘의 중요도 판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총 429개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IT 분야 기본 어휘’를 선정하였으며, 빈도와 등급별로 어휘를 목록화하였다. 또한 IT 분야 기본 어휘를 어종별, IT 세부 분야별, 등급별로 어휘를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IT 분야의 기본 어휘를 어종별로 분석한 결과 연구 문제에서 예상한 바와 달리 외래어보다 한자어가 높게 나타났다. IT 세부 분야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IT 분야의 기본 어휘가 컴퓨터 분야에 가장 많았으며, 단말기기 분야에 가장 적었다. 또한 IT 분야의 기본 어휘는 전문 어휘보다 반전문 어휘가 많이 나타났다. IT 분야 기본 어휘를 등급별로 분석했을 때 IT 분야 말뭉치에 고빈도로 출현하는 어휘 중 절반 이상이 학습의 중요도도 높은 어휘로 판정되었다.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을 논하고자 본 연구에서 선정한 IT 분야 한국어 기본 어휘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그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학습 계획을 수립한 뒤, 이를 토대로 ‘IT 한국어 기본 어휘 배우기 ?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용’이라는 명칭의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전체 ‘IT 한국어 기본 어휘 배우기’의 시스템은 등급별 어휘 학습, IT 세부 분야별 어휘 학습, IT 전문용어 검색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학습 단계에 따른 어휘량과 학습 과정을 세분화하여 실제적인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T 관련 직업에 종사하고 있거나 취업할 예정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IT 분야 기본 어휘 목록은 교육과정 개발이나 교재 개발의 참고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移動通信分野의 中國 IT 産業現況과 韓國企業의 競爭優位 確保 方案

        정연두 成均館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mmunication market of China and to present the cooperative ways for the successful advancement of Korean telecommunication enterprise.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China show the magnitude if its population. The wire telephone service has 190 million subscribers (distribution rate of 15.7%) at the end of June 2002, Which ranked the second largest in the subscribers(distribution rate of 13.9%), which is one of the frist rate in the worl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industry after its introduction in 1987. Every year, its subscribers increase over 2million, and following its footstep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IT) industries and internet market also increase very rapidly.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n 4.5million as of the end of June 2002, and shows the third largest number in the world after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particular, the cellular phone is lead by young generations and therefore future prospect for its market is ever increasing in the long ru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in China is rapidly increasing since most world-wide enterprise such as Motorola, Lucent, Erisson have already strengthened their marketing activities. They have changed their technical system from analog to GSM system in the early 1980s. In a direct competition against this GMS technology, CDMA technology is introduced and first commercialized in the world by a Korean enterprise. So far the Korean companies such as LG and Samsung are doing fairly well in the highly competitive Chines market.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enterprises in China are now facing a direct competition from other foreign-based enterprises, They need a new approach in production, sales and research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other Korean companies in order to make th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from local partners, they also need a change of perspective, say a positive attitude to become a local enterprise by themselves. Finally, the Korea-based telecommunication may need to endlessly devote to cut down the cost in using the most advanced CDMA technology by a stre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order to acquire their own unique technology and then to create the new high-tech value added goods not only in China but also every region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