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Prokofiev의 "Sarcasms Op.17"연구 분석

        박미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프로코피에프는 (Sergey Prokofiev,1891~1953) 러시아 작곡가로 20세기 피아노 음악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작품은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던 작곡기법을 도입해 소나타 등 다양한 형식으로 피아노 작품을 100곡 이상 작곡하였는데,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형식과 현대적 기법을 혼합한 신고전주의적 특징을 많이 남겼다. 이는 이후 피아노 음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의 초기작품 중 하나인 <Sarcasms Op.17>은 1912년~1914년에 쓰인 곡으로 5곡으로 이루어진 모음곡이다. 이 작품은 5곡 모두 개성이 뚜렷하며, 그의 고전적 요소(The Classical element), 현대적 요소(The Modern element), 토카타적 요소(The Toccata element), 서정적 요소(The Lyrical element), 괴기함적 요소 (The Grotesque element)들을 잘 활용하여 작곡된 곡이다. 또한 이 곡의 작곡기법 특징은 주제의 순환기법과 모방기법, 복조성, 잦은 전조, 잦은 박자변화, 급격한 악상의 변화, 반복리듬, 혁신적인 불협화음 등을 찾아볼 수 있다. <Sarcasms Op.17>은 고전과 현대적 요소 그리고 피아노를 타악기적인 요소로 잘 보여주었으며 독특한 작곡기법으로 인해 피아노 음악 발전에 기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Sergey Prokofiev is a Russian composer and occupy prominent place in the twentieth century. He instituted new composing skills that nobody used before in his works and composed more than 100 piano works with various forms like sonata. His works have traditional form of class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that mixed with modern technique. That had a huge influence on piano music. One of his early works Sarcasms Op.17 was composed between 1912 and 1914 and this work consists of five pieces. They have unique individualities and show his 5 elements very well. The five elements are The Classical, The Modern, The Toccata, The Lyrical, and The Grotesque elements. In addition, the features of his composing skill of this music are cycle method of a theme, imitation technique, bitonality, frequent modulation, frequent changing beat, drastic changes of a theme, repetitive rhythm, and innovative dissonance. Sarcasms Op.17 shows the Classical element, the Modern element, a piano as percussion instrument. Therefore, Sarcasms Op.17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piano music due to unique composing skill.

      •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영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방법전공 박미영 지도교수 임병우 본 연구는 경제자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 자본과 문화자본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전라, 대구, 경북의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응답자 가 고령의 노인이라는 점과 설문 응답의 용이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 능한 한 경노당을 제외한 노인복지관을 조사 대상 장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9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사회자본, 문화자본, 경제자본 간의 인과관계와 이런 인과관계가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11개 가설이 설정되어 모두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연구가설 중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를 통해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가 설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 경제자본 도 중요하지만,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사회적 노력 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안정과 자긍심 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자본은 개인 간의 관계와 사회적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회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안 을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자본은 예술, 문학, 음악, 스포츠 등의 문화 활동을 통해 형성 되며,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한다. 끝으로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경제자본 뿐만 아니라 사 회자본과 문화자본도 매우 중요한 역할하기에 이러한 자원들을 조화롭게 결 합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 노인 삶, 만족도

      •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박미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students in the 6th grade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n ju city. Through the results of questionari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measured. Academic achievement was based on the results of First National Achievement Test related to 5 subjects(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by zero-orde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WIN 12.0.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uggested: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thought facilitating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each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n't predictabl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lation with friends and academic activ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related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general explanation ability was slightly improved but it didn't make a big difference. Only the relation with friends, a sub-factor of school-related adjustment, was confirmed as a meaningful prediction factor.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factors except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relation with the teacher, and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and the factor of thought facilitating were confirmed as meaningful prediction factor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related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se findings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of guidance for teachers to help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programs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students.

      • 어린이집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수행 요구

        박미영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새로운 국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영아반 보조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수행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보완되어 더 질 높은 보육환경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8개시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영아반 보조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0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보육교사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직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영아반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였고, 영아반 보조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육 이수 조건으로는 보육교사 교육원 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적어도 1년 정도의 교육기간을 거쳐 영유아에 대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영아반에서 보조교사가 필요한 상황은 ‘교육활동 전개 시’, ‘화장실 사용 및 손 씻기 지도 시’, ‘간식과 식사지도 시’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의 적정 연령대는 ‘만30세 이상’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하루 일과 중 보조교사가 필요한 시간은 ‘하루 평균 3∼4시간’ 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는 보육업무가 가장 집중되는 오전 일과시간에 보조교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아반 보조교사 투입 시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영아보육의 질 증진에 대한 인식은 거의 대부분의 교사가 ‘그렇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반 보조교사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인성과 품성’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 배치 시 교사 대 영아의 적정비율에 대한 결과는 ‘영아의 인원에 관계없이 각 반에 1명씩 배치되어야한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하위 영역에서는 ‘교직능력 함양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기대하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업무는 단순히 보조교사로서의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영아에게 바람직한 모델로서 교사의 기본 태도와 자질 및 능력까지 요구하는 것으로 보이며, 신뢰감이 바탕이 되어 성인과 애착을 형성하는 영아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혼합연령을 담당하는 보육교사와 소규모 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역할수행 요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달의 차이가 큰 영아들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 연령반과 소규모의 어린이집일수록 영아반 보조교사의 지원 및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제도의 시행 초기에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요구를 제시함으로써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효율적으로 정착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토성에 따른 길경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변화

        박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길경 재배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길경의 약효 성분을 극대화하고자 마사토(masato), 배합토(soil mix), 양질사토(loamy sand), 사양토(sandy loam) 등 4수준의 토양을 이용하여 토성에 따른 길경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합성 유효광량을 인위적으로 30~2000 μmol/m2/s까지 증가시키며 광합성률을 측정하였을 때, 배합토에서 기공전도도ㆍ증산률ㆍ광합성률이 가장 높았고, 사양토에서 가장 낮았다. 사양토에서는 수분이용효율ㆍ포차가 높게 나타났다. 양질사토와 마사토는 대체적으로 모든 광반응에서 양호하였다. 재배 토성별 길경의 생육조사에서는 지상부는 양질사토 > 사양토 > 배합토 > 마사토 순으로 생육이 양호하였고, 지하부는 양질사토 > 배합토 > 사양토 > 마사토 순이었다. 일반성분은 평균적으로 수분은 77.3%, 조지방은 2.6%, 조회분은 3.2%, 조단백질은 6.0%, 탄수화물은 10.9%의 함량을 보였다. 길경의 사포닌 분석 결과 platycodin D, platycodin D3,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의 사포닌 함량은 282.4, 104.7, 29.1, 19.1 mg/100g 순이었고, 재배 토성별 결과는 platycodin D,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총질소ㆍ유기물ㆍ인산 함량이 높았던 배합토와 사양토에서 높았고, platycodin D3는 모든 토양에서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재배 토성별 길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높았고, 동일한 농도(8 mg/ml)에서 비교하였을 때 전자공여능은 70% 이상,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0% 이상 활성을 보였다. 대체로 배합토와 양질사토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 취학 전 영어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

        박미영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recent trend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in order to investigate its essential problems and to suggest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which was conducted to 54 kindergarten teachers. Questionnaires include 47 items in 3 categories. What these questionnaires cover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background, quality and opin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second, the actual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nglish in kindergartens and private institutions; third, the text and th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According to research, most teachers(84.4%) highly agree that interests and motive to learn English are teaching objects in early English Education. 46.9% of teachers think teaching about listening and speaking simple sentence need to be learned and 37.5% of the teachers think teaching alphabet, listening and speaking of words need to be learned as the most of subject of English teaching. For the question about effect of early English education, most teachers think it's very effective. Teachers answered singing songs and gestures(59.4%)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picture or flash card(37.5%) are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Actually the debate over teaching English from early childhood in Korea has continued since 1970's. As a result, English became one of regular course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1997. In conseque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nglish has been rapidly implemented. There has been established a lot of English educational programs and private institutions for preschool children. However, many people have not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 education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So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a successful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First, English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required to have English educational background such as major in English education.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activate preschool children's interest and motivation. In order to get a better result of the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who are biologically better equippe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an adul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utilize their language acquisition ability. Secondly, the program of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preschool should be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s program in order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ienci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language. Thirdly, English language textbooks and materials should be improved through a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by English language specialists. Plus, English education programs which take advantage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current curriculum.

      • 자원봉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활동지속성, 대인지지수준의 영향에 관한 요인

        박미영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analyze influences of the motivations of join, the persistence of activities and the levels of personal supporting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female volunteers. And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doing a survey for a group of 222 female volunteers. This research's conclusion and proposal are as follows. First, classfying relig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 of surveying objects, Catholics were at the highest rates, Buddhists and the people without a religion were the second, Christians were the third, and the others were the last. And by academic levels, more than college graduates, high school graduates, under middle school graduates were in order. Also in the states of economic, the levels of middle were at the highest rates, then the level of top and bottom were in order. And in the physical conditions understanding with subjective, healthy sides were more than half, normals and not healthy ones were in order. Second, the results in relation to persistence of activities are as follows. In the general features, the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were the academic levels and the states of economic. Thus the lower academic levels went down, the less periods of volunteer work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academic levels went up, the more periods of volunteer work increased mostly. Third, in the levels of personal supporting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were academic levels, states of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In the results of seperated analyzing the level of personal supporting with a perfect score of Likert 5 points, they were shown highly in general. And by academic levels, more than college graduates were at the highest rates. In the states of economic, top was the highest. And in the physical conditions, healthy sides represent the highest rates Therfore,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ing like this, it is as follows that showing the methods of revitalization about the female volunteers work. First, as you see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academic levels have no influence in the activities of volunteer work. Also the higher economic condition and good healthy's states are, the more the motivation of joining, persistence, and the level of personal supporting are influenced. Thus, it can be found that the ways giving an economical compensation or medicare for keeping themselves in good health in compensatory level. Second, also it is able to be a good way to introduce incentive system in order to join the various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는 여성 자원봉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활동지속성, 대인지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여성 자원봉사자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많았고, 불교와 종교 없음이 그 다음이었고 기독교, 기타 순이었으며,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고졸, 중졸 이하 순이었다. 그리고 경제상태는 중이 가장 많았고 상, 하 순이었으며,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 절반을 넘었으며, 보통, 불건강한 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지속성과 관련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학력수준과 경제상태인데,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자원봉사활동기간이 짧은 반면에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기간이 대체로 길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지지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학력수준, 경제상태, 건강상태였다. 대인지지수준을 Likert 5점 만점으로 분산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수준별로는 전문대졸 이상이, 경제상태별로는 상이, 건강상태별로는 건강한 편이 가장 높게 나타나 신체가 건강하고 경제적 여유가 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대인지지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방안을 재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결과에서 도출된 바와 같이 자원봉사 활동에 있어 학력은 무관하며 경제상태와 건강상태는 양호할수록 참여동기와 지속성 그리고 대인지지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여성들에게 경제적 보상이나 건강유지를 위한 보상차원의 의료적 혜택을 주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미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ams for reducing speech anxiety that have been carried out in Korea using meta-analysis. A total of 86 studies from 1994 to the first half of 2017 were selected and 93 cases were extracted. The random effects model was used to analyze 20 moderators based on the overall effect s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cont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type.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1.547, which is very large.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composition theory and media, the cognitive technique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total group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 the cognitive emotional behavior techniqu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and the behavior technique in the college student group. Only the values of the total group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analysis of task suggestion revealed that it was most effective when a task was presented in all groups. The values of al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type are as follows. Domain 1: The results of analysis by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chool level,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showed the largest effect,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erms of group gender ratio, the female-dominant group showed the greatest effect,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omain 2: The results of analysis by operation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ll grou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s in 7 to 9 sessions, and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in 10 to 12 sessions. Only the results of the total and college student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erms of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al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twice per week,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erms of the length of each session, al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61 to 90 min,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n terms of group size, al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8 persons or l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 in 9 to 12 persons,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in 8 or less persons, and the college student group in 13 to 16 persons. The results of all groups except the college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in terms of the session time of day, the tota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lunch time, and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showed the largest effect after school. Only the results of the tota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in terms of the period of program, the total group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8 weeks or longe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 weeks or less,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in 5 to 7 weeks, and the college student group in 8 weeks or longer.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groups. Seventh, in terms of the location of program, the tota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the other locations,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in the classroom, and the college student group in the other locations.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tota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s. Eighth, in terms of class unit, all the three groups, that is, tot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non-class unit.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tota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s. Domain 3: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measurement instruments and desig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easurement instrument,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Man-Taek Lee (1994) was most effective,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erms of the number of measured variables, single variable measurement showed the largest effect,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erms of experimental design, true experimental design showed the largest effect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n terms of screening test, the cases that have conducted screening test showed the largest effect,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in terms of participating motivation, voluntary participations showed the largest effect,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omain 4: The results of analysis by publication type and research type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ublication years, the publications between 1994 and 2000 showed the largest effect,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erms of publication type, the researches published by masters showed the largest effect,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erms of researcher type, the researches of general graduate schools showed the largest effect,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words: public speaking anxiety, group counseling, program, program effect, speech anxiety, reducing speech anxiety, meta-analysis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진행된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94년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86편을 선정하여 93개의 사례수를 추출하였다. 무선효과 모형으로 전체 효과크기와 구성내용별 특성과 구성유형별 특성에 따른 하위 20개의 조절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547로 아주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구성내용별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이론 및 매체에 따른 분석에서는 전체 집단과 초등학생 집단은 인지기법, 중·고등학생 집단은 인지정서행동기법, 대학생 집단은 행동기법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와 초등학생 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과제제시 여부에 따른 분석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과제를 제시했을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중·고등학생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성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다음과 같다. 영역1: 참가대상에 따른 분석에서는 첫째, 학교급의 경우 중·고등학생 집단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집단 성비는 여자 우위 집단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영역2: 운영방식에 따른 분석에서는 첫째, 총 회기 수는 전체, 초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7회기∼9회기, 중·고등학생 집단에서 10회기∼12회기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와 대학생 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주당 회기 수는 모든 집단에서 주 2회 일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회기 운영시간은 모든 집단에서 61분∼90분 이하 일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집단크기는 전체 집단 8명 이하, 초등학생 집단 9명 이상∼12명 이하, 중·고등학생 집단 8명 이하, 대학생 집단 13명 이상∼16명 이하 일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대학생을 제외한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운영 시간대는 전체와 초등학생은 점심시간, 중·고등학생은 방과 후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와 초등학생의 경우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운영기간의 경우는 전체 8주 이상, 초등학생 4주 이하, 중·고등학생 5주∼7주, 대학생 8주 이상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운영 장소의 경우는 전체와 초등학생은 기타, 중·고등학생은 강의실, 대학생은 기타 장소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와 초등학생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덟째, 학급단위의 경우는 전체,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집단 모두에서 비학급 단위일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와 초등학생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영역3: 측정도구 및 설계방법에 따른 분석에서는 첫째, 측정도구는 임만택(1994)의 측정도구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변인 측정개수에 따른 분석에서는 단일측정일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실험설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순수 실험설계일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선별검사에 따른 분석에서는 실시한 경우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참가동기에 따른 분석에서는 자발적 참여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영역4: 출간형태와 연구자 유형에 따른 분석에서는 첫째, 기간별 출간연도의 경우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출간되었을 때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출간형태의 경우는 석사가 출간한 연구물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연구자 유형의 경우는 일반대학원의 연구물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컴퓨터교과에서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성취동기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미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고등학생의 성취동기에 따라 정보사회와 컴퓨터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 두 학습방법의 효과를 비교·검증하여 성취동기수준에 따라 바람직한 학습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학습자의 성취동기수준에 따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이다. 본 연구의 결과 협동학습은 성취동기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학업성취에 효과적이고 특히 성취동기가 낮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학습은 성취동기가 높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학교교육의 목적이 전인교육에 있으므로 성취동기수준을 고려한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의 장점들을 적용하여 교육 본래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하여야 할 것임을 시사하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competi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in computer scie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problem was established as follows: problem : What ar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competitive lea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was more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competitive one in lower Achievement motivation group(p<.001). Second, the competitive learning group was more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cooperative one in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group(p>.05). In other words, both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competitive learning one was also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in higher achievement motive group.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for the lower achievement motivation group and the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and on academic achievemen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especially more effective for the lower achievement motivation group on academic achievement. The competitive learning was only effective to lower achievement motivation group on academic achievement.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ompetitive learning should be employed by the level of learner's achievement motivation.

      • 클리포드 D. 시막의 『시티』에 나타난 도시와 인간의 관계성 탐구

        박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클리포드 D. 시막의 『시티』라는 SF 작품에 나타나는 도시와 인간의 관계성을 탐구하고 있다. 작품에서 도시와 인간의 관계성을 빚어내는 양상들을 찾아 각각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고, 그 결과물과 실제 도시와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 도시적 삶의 가치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반추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시막의 유년 시절과 반도시주의적 도시관은『시티』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도시관은 작품을 쓸 무렵인 미국의 1940〜60년대 도시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인식과도 관련있다. 『시티』에 나타나는 반도시주의적 특성은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도시를 버리고 전원생활을 하는 것과 대규모의 도시에서 인구가 갑자기 감소하면서 자연스럽게 저밀도의 도시를 형성하는 것이다. 『시티』에 나타난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등장인물들이 상호적 활동 속에서 도시를 경험하거나 의식 속에 각인하는 방식을 찾아내고,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특수하며 구체적인 양상들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한 양상들은 도시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상호작용, 도시의 장소성, 광장공포증이라는 병리 현상 속에서 주로 나타난다. 『시티』에서 인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요소는 교환, 기억, 욕망, 직업과 취미이며, 각 요소의 사회, 문화적 의미들을 분석함으로써 도시는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결정짓는 물리적 공간이자 사회적 공간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티』에서 구현하고 있는 미래도시의 장소성과 그 장소성의 변화를 추적하는 과정에서는 도시의 장소성이 사회의 구성원들의 존재론적 안정감과 정체성,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드러난다. 200여 년의 고립된 전원생활로 인해 발현한 광장공포증이라는 병리적 현상이 보여주는 문학적 아이러니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도시문화의 다양성과 사람들이 도시에서 눈부신 수의 조합으로 만들어 내는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입증해 준다. 결론적으로, 『시티』에서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도시와 전원에서의 삶을 통해 탐구한 도시와 인간의 관계는 밀접한 공생 관계이자 길항 관계이다. 공생 관계 속에서 도시와 인간은 서로 이롭게 작용하여 성공한 도시와 인간 사회를 형성한다. 하지만 길항 관계 속에서는 도시가 자본이나 기술, 욕망, 부적절한 정책을 중심으로 작동하게 되어 결국, 인간소외를 부추긴다. 인간에게 도시는 일터이자 삶의 터, 놀이터로서, 총체적인 삶의 양식을 영위하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이자 사회 문화적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가 인간과 공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도시는 상호작용의 중심이자 다양한 인간 활동의 연결 고리가 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and people in the science fiction work, City by Clifford D. Simak. In this study, we will look into the symbolic meanings of each of the aspects that cre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and people in the work, and insp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and the actual city. It allows us to reflect on where the value of urban life comes from in reality,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City was influenced by Simak's childhood and anti-urban view of cities, and the latter was also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awareness of American cities in the 1940s and 1960s when he wrote the work. There are two types of anti-urban characteristics in City: living in the country after abandoning the city, and necessarily forming a low-density city as the population suddenly decreases in the large c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and people in Cit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characters experience the city in mutual activities and imprint it in their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specific and concrete aspects that connote the relationship of the city and people. Such aspects are mainly seen in human interaction in the city, the placeness of the city, and the pathological phenomena of agoraphobia. In City, the elements that demonstrate human interaction are the exchange, memory, desire, occupation and hobby. By analyzing sociocultural meaning of each element, we can see that cities serve as both a physical space and a social space that determine how people interact. The placeness of the future city implemented in City and the process of tracking the change of placeness make us grasp the influence of placeness of city on ontological stability, ident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members of society. The literary irony of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agoraphobia, which is manifested by the isolated rural life of 200 years, approves that what people need is the diversity of urban culture and the interaction that people create in a city with a brilliant number of combinations.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and the people explored through the life in the city and rural area which are embodied in City, reveals a close symbiosis and an antagonism. In symbiotic relationships, cities and people work to benefit each other to form successful cities and human societies. However, in antagonistic relationships, cities are operated by capital, technologies, desires, and inappropriate policies, which eventually encourage human alienation. For humans, the city is a workplace, a place of life, a playground, and a place where the integrated ways of life are carried out. Therefore, in order for a city, which is a physica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o maintain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humans, the city should be a center of interaction and a link of various huma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