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S.Prokofiev의 "Sarcasms Op.17"연구 분석
박미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프로코피에프는 (Sergey Prokofiev,1891~1953) 러시아 작곡가로 20세기 피아노 음악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작품은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던 작곡기법을 도입해 소나타 등 다양한 형식으로 피아노 작품을 100곡 이상 작곡하였는데,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형식과 현대적 기법을 혼합한 신고전주의적 특징을 많이 남겼다. 이는 이후 피아노 음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의 초기작품 중 하나인 <Sarcasms Op.17>은 1912년~1914년에 쓰인 곡으로 5곡으로 이루어진 모음곡이다. 이 작품은 5곡 모두 개성이 뚜렷하며, 그의 고전적 요소(The Classical element), 현대적 요소(The Modern element), 토카타적 요소(The Toccata element), 서정적 요소(The Lyrical element), 괴기함적 요소 (The Grotesque element)들을 잘 활용하여 작곡된 곡이다. 또한 이 곡의 작곡기법 특징은 주제의 순환기법과 모방기법, 복조성, 잦은 전조, 잦은 박자변화, 급격한 악상의 변화, 반복리듬, 혁신적인 불협화음 등을 찾아볼 수 있다. <Sarcasms Op.17>은 고전과 현대적 요소 그리고 피아노를 타악기적인 요소로 잘 보여주었으며 독특한 작곡기법으로 인해 피아노 음악 발전에 기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Sergey Prokofiev is a Russian composer and occupy prominent place in the twentieth century. He instituted new composing skills that nobody used before in his works and composed more than 100 piano works with various forms like sonata. His works have traditional form of class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that mixed with modern technique. That had a huge influence on piano music. One of his early works Sarcasms Op.17 was composed between 1912 and 1914 and this work consists of five pieces. They have unique individualities and show his 5 elements very well. The five elements are The Classical, The Modern, The Toccata, The Lyrical, and The Grotesque elements. In addition, the features of his composing skill of this music are cycle method of a theme, imitation technique, bitonality, frequent modulation, frequent changing beat, drastic changes of a theme, repetitive rhythm, and innovative dissonance. Sarcasms Op.17 shows the Classical element, the Modern element, a piano as percussion instrument. Therefore, Sarcasms Op.17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piano music due to unique composing sk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recent trend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in order to investigate its essential problems and to suggest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which was conducted to 54 kindergarten teachers. Questionnaires include 47 items in 3 categories. What these questionnaires cover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background, quality and opin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second, the actual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nglish in kindergartens and private institutions; third, the text and th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According to research, most teachers(84.4%) highly agree that interests and motive to learn English are teaching objects in early English Education. 46.9% of teachers think teaching about listening and speaking simple sentence need to be learned and 37.5% of the teachers think teaching alphabet, listening and speaking of words need to be learned as the most of subject of English teaching. For the question about effect of early English education, most teachers think it's very effective. Teachers answered singing songs and gestures(59.4%)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picture or flash card(37.5%) are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Actually the debate over teaching English from early childhood in Korea has continued since 1970's. As a result, English became one of regular course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1997. In conseque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nglish has been rapidly implemented. There has been established a lot of English educational programs and private institutions for preschool children. However, many people have not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 education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So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a successful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First, English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required to have English educational background such as major in English education.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activate preschool children's interest and motivation. In order to get a better result of the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who are biologically better equippe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an adul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utilize their language acquisition ability. Secondly, the program of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preschool should be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s program in order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ienci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language. Thirdly, English language textbooks and materials should be improved through a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by English language specialists. Plus, English education programs which take advantage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current curriculum.
본 연구는 길경 재배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길경의 약효 성분을 극대화하고자 마사토(masato), 배합토(soil mix), 양질사토(loamy sand), 사양토(sandy loam) 등 4수준의 토양을 이용하여 토성에 따른 길경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합성 유효광량을 인위적으로 30~2000 μmol/m2/s까지 증가시키며 광합성률을 측정하였을 때, 배합토에서 기공전도도ㆍ증산률ㆍ광합성률이 가장 높았고, 사양토에서 가장 낮았다. 사양토에서는 수분이용효율ㆍ포차가 높게 나타났다. 양질사토와 마사토는 대체적으로 모든 광반응에서 양호하였다. 재배 토성별 길경의 생육조사에서는 지상부는 양질사토 > 사양토 > 배합토 > 마사토 순으로 생육이 양호하였고, 지하부는 양질사토 > 배합토 > 사양토 > 마사토 순이었다. 일반성분은 평균적으로 수분은 77.3%, 조지방은 2.6%, 조회분은 3.2%, 조단백질은 6.0%, 탄수화물은 10.9%의 함량을 보였다. 길경의 사포닌 분석 결과 platycodin D, platycodin D3,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의 사포닌 함량은 282.4, 104.7, 29.1, 19.1 mg/100g 순이었고, 재배 토성별 결과는 platycodin D,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총질소ㆍ유기물ㆍ인산 함량이 높았던 배합토와 사양토에서 높았고, platycodin D3는 모든 토양에서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재배 토성별 길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높았고, 동일한 농도(8 mg/ml)에서 비교하였을 때 전자공여능은 70% 이상,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0% 이상 활성을 보였다. 대체로 배합토와 양질사토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수행 요구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새로운 국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영아반 보조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수행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보완되어 더 질 높은 보육환경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8개시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영아반 보조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0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보육교사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직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영아반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였고, 영아반 보조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육 이수 조건으로는 보육교사 교육원 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적어도 1년 정도의 교육기간을 거쳐 영유아에 대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영아반에서 보조교사가 필요한 상황은 ‘교육활동 전개 시’, ‘화장실 사용 및 손 씻기 지도 시’, ‘간식과 식사지도 시’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의 적정 연령대는 ‘만30세 이상’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하루 일과 중 보조교사가 필요한 시간은 ‘하루 평균 3∼4시간’ 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는 보육업무가 가장 집중되는 오전 일과시간에 보조교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아반 보조교사 투입 시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영아보육의 질 증진에 대한 인식은 거의 대부분의 교사가 ‘그렇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반 보조교사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인성과 품성’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 배치 시 교사 대 영아의 적정비율에 대한 결과는 ‘영아의 인원에 관계없이 각 반에 1명씩 배치되어야한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하위 영역에서는 ‘교직능력 함양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기대하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업무는 단순히 보조교사로서의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영아에게 바람직한 모델로서 교사의 기본 태도와 자질 및 능력까지 요구하는 것으로 보이며, 신뢰감이 바탕이 되어 성인과 애착을 형성하는 영아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혼합연령을 담당하는 보육교사와 소규모 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역할수행 요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달의 차이가 큰 영아들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 연령반과 소규모의 어린이집일수록 영아반 보조교사의 지원 및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제도의 시행 초기에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요구를 제시함으로써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효율적으로 정착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박미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students in the 6th grade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n ju city. Through the results of questionari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measured. Academic achievement was based on the results of First National Achievement Test related to 5 subjects(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by zero-orde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WIN 12.0.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uggested: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thought facilitating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each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n't predictabl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lation with friends and academic activ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related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general explanation ability was slightly improved but it didn't make a big difference. Only the relation with friends, a sub-factor of school-related adjustment, was confirmed as a meaningful prediction factor.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factors except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relation with the teacher, and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and the factor of thought facilitating were confirmed as meaningful prediction factor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related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se findings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of guidance for teachers to help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programs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students.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영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방법전공 박미영 지도교수 임병우 본 연구는 경제자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 자본과 문화자본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전라, 대구, 경북의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응답자 가 고령의 노인이라는 점과 설문 응답의 용이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 능한 한 경노당을 제외한 노인복지관을 조사 대상 장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9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사회자본, 문화자본, 경제자본 간의 인과관계와 이런 인과관계가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11개 가설이 설정되어 모두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연구가설 중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를 통해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가 설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 경제자본 도 중요하지만,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사회적 노력 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안정과 자긍심 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자본은 개인 간의 관계와 사회적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회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안 을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자본은 예술, 문학, 음악, 스포츠 등의 문화 활동을 통해 형성 되며,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한다. 끝으로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경제자본 뿐만 아니라 사 회자본과 문화자본도 매우 중요한 역할하기에 이러한 자원들을 조화롭게 결 합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 노인 삶, 만족도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박미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일사례연구이다. 비행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프로그램은 White와 Epston(2015)의 이야기치료 이론에 기반을 두고 비행청소년의 비자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위해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D시 소재 S중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총 10회기에 걸쳐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검사지 분석, 각 과정별 내용 분석, 연구자 관찰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대상 학생은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실시 초기에는 스트레스로 인해 짜증과 화가 많이 나 있었고, 인지 정서 행동에서 위험하고 공격적인 부적응의 모습을 보였으나 프로그램 종결시에는 자신의 강점과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자원들을 알게 되며 자신의 정체성을 새로 다지는 계기가 되어 희망적인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긍정적인 행동으로 보여주고 스트레스에 대해 대안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담초기에는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자신을 원망하며, 자신과 타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불만이 많았지만 프로그램 종결시에는 자신의 긍정적인 요소를 알아가게 되어 새로운 정체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이 함께 행복한 ‘행복의 다이너마이트’의 이야기를 완성해가는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낮은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유용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첫째,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을 비행청소년인 중학교 남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연구이기에 성별을 고려한 전문적 프로그램의 질적 연구의 병행. 둘째,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을 좀 더 다양한 계층인 초, 중, 고등학생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병행. 셋째, 본 연구인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 검증을 위한 장기적인 후속연구의 실시. 넷째, 이야기치료프로그램이 주기적,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환경에서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is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a story therapy program on stress cop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juvenile delinquents. The theory of story therapy by White and Epston (2015) was revised to create the story therapy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in consideration of the involuntary characteristics of juvenile delinquent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Is the story therap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ress coping ability of juvenile delinquents? -Is the story therap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for juvenile delinquents? The stress coping ability scar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to answer those two questions, and the stor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8 weeks in 3rd grade boys at S middle school located in D c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alysis was performed on test paper input, results obtained in process, and researcher’s own observ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ory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ress cop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juvenile delinquents.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rapy program, the target students were very annoyed and upset due to stress, and showed dangerous and aggressive behavior in cognitive and emotional adjustment. However,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y becam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available to deal with difficult situation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establish their identity. And, through hopeful stories, they showed positive behaviors to indicate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behavior and showed changes in which they specifically presented alternative activities in response to stress. And at the beginning of the counseling, they resented themselves because they lacked confidence due to low self-esteem, evaluated themselves and others negatively, and had many complaints. However,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y became acquainted with their own positive elements, brought a new sense of identity, and changed positively enough to complete the story of “Happiness Dynamite,” where they themselves, along with others, became happy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ory therapy program is useful for improving low stress cop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juvenile delinquents. There are four things to consider in future research. First, since the story therapy program is a case study involving male delinquent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a qualitative study that includes gender as a variable may be conducted. Second, the subject pool may be diversified by including juvenile delinqu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ird, a long-term follow-up study may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ory therapy program. Fourth, the effectiveness of the story therapy program may be investigated in an environment where in can be conducted periodically.
외식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수행전략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미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시장 경쟁의 심화와 서비스 산업의 발전은 모든 것을 경쟁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경향을 강화시켰고 그 과정에서 감정의 상품화, 즉 감정노동이 주목받게 되었다. 감정노동은 고객만족과 이윤추구를 위해 조직의 관리규범을 따르는 것으로 조직이 강요하는 감정표현을 수행하기 위하여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감정표현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갈등과 혼란이 극대화되면서 소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서비스산업의 종사원들은 육체노동이나 정신노동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자아를 노동과정에 투입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감정노동 수행자들은 자칫하면 자아에 커다란 손상을 입기 쉽다. 인간의 감정을 기업경영에 도구적으로 활용하려는 추세가 멈추지 않는 한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강화되어 갈 것이다. 우리가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는 현실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지는 못한다 할지라도 개인의 심리적, 육체적 안녕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조직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감정노동 수행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식업체 종사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선행변수가 감정노동 수행전략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종사원들의 강인성 정도와 감정소진 정도를 분석하여 감정노동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외식업체 종사원 50명을 대상으로, 2008년 8월 3일부터 8월 10일까지 7일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정․보완된 설문지를 8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총 400부를 배포하여 분석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22매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차이검증(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방안의 필요성을 파악한 결과 매우 필요하다 42.5%, 필요한 편이다 48.4%로 해소방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소방안 방법으로는 여가활용을 위한 복지서비스 제공과 작업과 휴식시간 적정배분, 작업환경 개선, 건강진단 및 상담프로그램 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종사원들의 스트레스 발생대상을 분석한 결과 직장상사가 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객이 28%로 두 번째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종사자들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에 따른 소진현상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세 번째, 조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강인성의 정도와 소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강인성 정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감정노동에 따른 소진정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인성은 강인함의 정도에 따라 소진정도와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현재는 부족하더라도 교육에 의해 향상될 수 있으므로 향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강인성 측정 및 강화교육이 필요하다. 종사원들은 이미 감정노동에 의해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진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감정노동 관리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네 번째, 직급, 근무시간, 근무경력, 월평균 소득, 근무부서 등에 따른 종사원들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급이 높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근무경력과 월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종사원들의 감정소진 경험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급, 근무시간, 경력, 월평균 소득, 근무부서 등을 고려하여 종사원을 세분화하는 과정을 거쳐 그룹을 구성하고 각 그룹별 맞춤교육 및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에서 강인성과 상황의 급박성 요인을 선행변수로 사용한 선행연구는 많이 부족하였으며, 외식업체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강인성이 종사원들의 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강인성은 서비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향후 종사원 채용 시 강인성 정도를 측정하여 채용한다면 감정노동에 의한 소진현상을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강인성 요인은 교육에 의해서도 향상되는 것이므로 현재 외식업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강인성을 수시로 체크하고, 강인성 정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면 감정소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가족기능의 변화
박미영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유아의 성격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어머니들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기를 이해하고 자아존중감에 변화를 가져오며, 가족기능의 변화로 인한 관계개선을 체험함으로써 자기이해가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 개선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에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어떠한가? 1-1. 개인별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어떠한가? 1-2. 성격유형별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어떠한가? 2.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에서 가족기능의 변화는 어떠한가? 2-1. 개인별 가족기능의 변화는 어떠한가? 2-2. 성격유형별 가족기능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지역의 유치원에 재원 하는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39명을 대상으로 자기이해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8회기동안 실시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에 대한 응답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에 의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료 3주 후 같은 방법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전 회기에 참석하지 않은 4명을 제외한 35명의 질문지를 회수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해가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 중 커뮤니케이션, 가족 내의 역할, 정서적 반응, 정서적 관여, 행동통제에 가져오는 변화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가족기능은 제석봉(1996)의 가족 및 조직 기능검사로 연구 대상자가 속한 가정의 기능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변화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인 성격유형은 1번이었고, 상위 수치 변화 10명 중 7명이 비통합의 스트레스 점에 있는 대상자들이었다. 성격유형별 변화는 대상자의 수와 관계없이 1번 유형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둘째,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에서 가족기능은 행동통제를 제외한 커뮤니케이션, 가족 내의 역할, 정서적 반응, 정서적 관여 영역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개인별 가족기능의 변화를 보면 커뮤니케이션에서 타인의 요구에 민감한 2번 유형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고, 역할 영역에서는 변화의 특성이 일정하지 않았다. 정서적 반응의 개인별 변화는 통합방향의 안정지점에 있는 대상자들이 많았다. 따라서 자기이해는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었으며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변화가 미비했던 행동통제 영역은 마음의 변화를 행동으로 옮기고 실천 하는데 프로그램 운영기간이 짧아 행동변화를 위한 학습과 연습의 기회가 부족했다고 판단되어 좀 더 시간을 두고 노력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과 가족 기능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역할, 정서적 반응, 정서적 관여에서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으나 행동통제 영역에서는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This study examined a change in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 by carrying out Enneagram targeting mothers who have important influence upon toddlers' development in personality. The aim was to examine that self-understanding has potentiality for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 by which a program allows mothers to understand themselves, to have a change in self-esteem, and to experience relational improvement by a change in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this objectiv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What about a change in maternal self-esteem in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pplication of Enneagram? 1-1. What about a change in self-esteem by individual? 1-2. What about a change in self-esteem by personality type? 2. What about a change in family function in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pplication of Enneagram? 2-1. What about a change in family function by individual? 2-2. What about a change in family function by personality type? This study carried out self-understanding program for totally 8 sessions with twice a week, targeting 39 mothers who have children in fully 3, 4, 5 years old of attending kindergarten in Incheon region. To examine a change in response to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 through this program, it carried out pre-test by questionnaire, and conducted post-test with the same method after 3 weeks of the termination in the program. Except 4 people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whole sessions of program, the questionnaires of 35 people were collected. This study measured the change level of self-understanding in communication, role within family, emotional response, emotional involvement, and behavioral control out of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 The self-esteem test was used the self-esteem scale that was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was adapted by Jeon Byeong-je(1974). The family function was grasped the function of home to which the research subjects belong, with Je Seok-bong(1996)'s family and organization function test. Data analysis was used Paired Sample T-Test. For verify regularity of sample, it carried out Kolmogorov-Smirnov Test, which is one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pplication of Enneagram had influence upon a change in self-esteem, and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elf-esteem. Second, in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pplication of Enneagram, the family function showed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spheres of communication, role within family, emotional response, and emotional involvement, except the behavioral control. Given seeing a change in family function by individual, type No. 2, which is sensitive to other person's demand, showed the largest change. In the sphere of role, the characteristics of a change weren't consistent. As for a change by individual in emotional response, there were subjects at the point of stability. Accordingly, self-understanding can be known to have influenced family function, and to have brought about a significant change. The sphere of behavioral control, which had a significant change, was short in the period of operating program in practicing by moving a change in mind to behavior, thereby being judged to have been lacking in an opportunity of learning and practicing for a behavioral change. Thus, it is thought to be a part that needs to be endeavored with having more time. Given examining as a whole,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pplication of Enneagram was indicated a significant change in communication, role, emotional response, and emotional involvement of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 but failed to elicit a change in the sphere of behavioral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