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채규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5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improvement of cholestero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raspberry for the utilization as functional food material. This study consists four chapters: Chapter Ⅰ. Effect on antioxidant acitivities and lipid improvement of water extracts from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during maturation Chapter Ⅱ. Effect on antioxidant acitivities and lipid improvement of ethanol extracts from unrip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Chapter Ⅲ.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mass production process and storage stability of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Chapter Ⅳ.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of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Chapter 1. Black raspberry during maturation were extracted by water using the reflux extraction method. The extracts were determined a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total anthocyanin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Cholesterol secretion inhibition in HepG2 cell, hydroxy-methylglutaryl-coenzyme A (HMG-CoA) reductase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in pre-matured black raspberry decreased while anthocyanin increased from 0.13 to 10.70 mg/g at 35 days after fruit set. The antioxidant activities due to DPPH and ABTS radical scavening acitivities, reducing power and FRAP determination decreased as black raspberrys were matured. Moreover, it is clear that the content of many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gall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rutin, myricetin, luteolin and kaempferol was diminished during maturing. Cholesterol secretion was inhibited of unripe black raspberry in HepG2 cell. Also, HMG-CoA reductase activity of unripe black raspberry were the most effective. These result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improvement of cholesterol of water extracts from unripe black raspberry. Chapter 2.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improvement of extracts form black raspberry during matura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s of unripte black raspberry. Therefore, the unripe black raspberry were extracted by water and ethanol for using the reflux extraction method.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of 50% ethanol extract of unripe black raspberry showed 265.58±1.06 and 44.59±1.92 mg/g, respectively. Gallic acid content was high in water extracts, and the content of ellagic acid was high in ethanol extrac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50 value: 89.55±0.19 μg/m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50 value: 197.87±0.65 μg/mL), reducing powr and FRAP of 50% ethanol extracts were the most effective. Cholesterol secretion was inhibited of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in HepG2 cell. Also, HMG-CoA reductase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were the most effective. These result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of 50% ethanol extracts. However, the effects of cholesterol improvement was the highest with water extract. Chapter 3. Standardization i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is very important. It is a standard component of standardization based on the stability, the ease of analysis technology, time and cost analysis, researchers and developers, should be performed. Validation of ellagic acid, as a marker compound in the standardization of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developed for functional health food, was attempted by a analytical method. Ellagic acid was validated for its LOD (limit of detection), LOQ (limit of quantitation), precision, accuracy, and recovery by HPLC relative to the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 The LOD and LOQ were 0.6 μg/mL and 1.9 μg/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recovery test was 102.92-104.96%. The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in the ellagic acid for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was 0.55-1.88% and 0.61-2.14%, respectively.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ellagic acid was validated in analytical method as a marker compound in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Chapter 4. The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ellagic acid were studied after oral administration for 24 hours to water extracts from unripe black raspberry. The kinetic profiles of Cmax, Tmax, T1/2 of ellagic acid were analyzed by fiting to a non-compartmental model with WinNonlin software version 6.3 program. The following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obtained with oral administration of 150 mg/kg at 22±2℃ in plasma : Cmax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 0.264±0.109 μg/mL; Tmax (time for maximum concentration) : 0.600±0.223 hour; T1/2 (half-life) : 1.018±0.195 hour; MRT0-∞ (mean residence time) : 1.494±0.309 hour. As a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cholesterol from black raspberry were the highest in unripe black raspberry. In addition, the 50% 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other extracts from unripte black raspberry. However, the effects of cholesterol improvement was the highest with water extract. In the application of bokbunja as a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 foods, the government selected unripe black raspberry unskilled and water extract in consideration of its economic feasibility.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ater extracts from unripe balck raspberry was established, and the application of ellagic acid was validatied in analytical mthod as a marker compound in water extract from unripe black raspberry.

      •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학습을 위한 교수자의 온라인 기반 수업 활동체제 분석 :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배수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48

        The unprecedented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has had a great impact on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 'non-face-to-face culture' formed throughout society is We hav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we can participate. This has an impact on school education as well, leading to a rapid transition to an all-out 'online education'. This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s, and only after the pandemic situation due to COVID-19 was faced, a foundation was formed to expand from offline school to online school through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rought a lot of confus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learn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concerns about students who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posed to school and community life, and content-oriented classes focused on knowledge transfer reduced learn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resulting in resistance fromparents and students.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of online-based classes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teachers) who communicate closely with students in schools, and the importance of the space and its role can be re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change of learning for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onlin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is based on content, and Jenkins(2006) ‘participatory learning’ is what can be sugges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articipant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ipatory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in a digital space, share them with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and engage in active participatory activities. Participatory learning focuses on enabling learners in the digital age to take an interest in the problems of others and society and work with community members to solve them so that their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society. Therefore, participatory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present ag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long with a thematic approach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rest, and instructional design for social experience beyond the space of the school are emphasized. In order to put it into practice, I believe that the competence of the instructor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ystematically examine how teachers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actual school education field. Instructors are influenced and interact and make decisions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community. Considering this environment, qual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activity theory’ was used as the analysis frame. To this end, four professors who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were selecte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their class cases, and each activ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In particular, the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of instructors for participatory learning was analyzed step by step through the process of trying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that occur within the activity system. The difficulties were objectively identified and directions were drawn to practice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ctivity system of instructors who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in online-based classe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contradiction between the existing system that adheres to formal education and the current system that embraces new changes was the most common. ‘The digital-based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ormal and customary school education practices' were derived as a secondary contradiction.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is contradi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e activities of participatory learning were improved and developed step by step, a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the instructor for online-based participatory 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contents.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chaotic school education field in the face of a rapid transition to a pandemic, and presents a practical direction through systematic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operat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professor who wants to practice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future. 코로나19로 발생한 사상 초유의 팬데믹(Pandemic)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형성된 ‘비대면 문화’는 온라인 환경에서 외부와 연결되고, 소통하며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는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면적인 ‘온라인 교육’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는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현실이며 코로나19로 인해 팬데믹 상황을 맞이하고 나서야 본격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오프라인 공간인 학교에서 온라인 공간인 학교 외부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게 되었다. 하지만 교육 환경의 급격한 전환은 학습자의 사회, 경제, 문화적 배경에 따라 발생하는 교육격차의 문제 외에도 많은 혼란을 가져다주었다. 비대면 교육의 확대로 인해 학교와 공동체 생활을 충분히 접하지 못한 학생들에 대한 우려와 지식 전달 위주의 콘텐츠 중심의 수업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떨어뜨리며 학부모와 학생의 반발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교수자(교사)의 역량에 따라 온라인 기반 수업의 만족도가 크게 차이 나는 모습이 보이며 학교라는 공간과 그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재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학습 형태의 급격한 전환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해 콘텐츠 중심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에 대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는 것이 Jenkins(2006)의 ‘참여적 학습’이다. 참여적 학습은 디지털 공간에서 개인이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고 이를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 공유하며 적극적인 참여 활동을 이루어나가는 ‘참여적 문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가 타인과 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구성원과 협력해 그들의 활동이 사회에 기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참여적 학습은 현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관심에 따른 주제적 접근과 함께 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학습환경 그리고 학교라는 공간을 넘어 사회적 경험을 위한 교수설계가 강조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교수자의 역량을 중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참여적 학습’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수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영향을 받으며 상호작용 및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러한 교수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택하였으며 ‘활동이론’을 분석 틀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적 학습을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실천한 교수자 4인을 선정해 그들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활동체제의 구성요소에 맞추어 각 활동을 분석하였다. 특히 활동체제 내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적 학습을 위한 교수자의 체제적 발전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는 교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교육 현장에서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기반 수업에서 참여적 학습을 실천한 교수자의 활동체제를 종합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형식적인 교육을 고수하는 기존 체제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려는 현 체제 사이에서 발생하는 1차적 모순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디지털 기반으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 환경과 형식적이고 관습적인 학교 교육 관행’이 2차적 모순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참여적 학습의 실천 활동이 단계적으로 향상되고 발전되는 모습이 확인되었으며 분석 내용을 종합해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 운영을 위한 교수자의 실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급격한 전환을 맞이해 혼란한 학교 교육 현장에 참여적 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실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연구의 결과가 향후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하고 운영해 나가는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Measurement of natHF (α,X) cross sections from Eα = 29 to 45 MEV

        Nguyen, Chi Trung Sungkyunkwan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31981

        The excitation function of medical interest isotope 178W/178mTa is investigated via natHf(α,x)178W reaction. The method has been changed to minimize the recoil effect by using additional aluminum foils. While investigating the reaction of natHf(α,x)178W, the cross-section of many other isotopes have been measured. natHf(α,x)178W 반응을 통해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178W/178mTa 의 핵반응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포일을 이용하여 되툄현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natHf(α,x)178W 핵반응을 분석하면서 여러 동위원소의 핵반응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 세계화ㆍ정보화의 인터넷뱅킹 활성화 방안 연구

        배영한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1980

        인간의 경제 사회는 수렵 사회에서 농업 사회로 또 공업 사회로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세계 경제는 과거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과 전자 상거래를 통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은 인간의 삶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고 점차 정보의 비중과 영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화가 된다는 것이 모든 문제의 해결 열쇠는 아니며 낙원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현대 사회는 정보의 부족보다는 지나치게 풍부한 정보로 인한 정보의 역기능도 발생 할 수가 있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의 정보는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교환으로 각 국의 경제는 세계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와 같은 IT(Information Technology) 산업의 발달이 현대의 정보화 사회의 경제재인 것이다. 이번 본 연구는 정보화 사회 디지털 경제로 불리는 21세기의 현대 사회에 정보가 경제에 미치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고 현재 정보가 세계의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금융 환경 변화로 인한 금융기관 정보의 인프라 구축과 함께 금융 환경에 가장 영향력을 갖는 인터넷 뱅킹을 중심으로 외국 및 우리나라의 현황 분석을 통하여 미래 금융 산업의 방향을 예측 해보고 우리나라 인터넷 뱅킹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산업 사회에서 정보 사회로의 급격한 전환을 하고 있는 현 사회에서 정보가 갖는 경제적 가치는 무엇인가? 컴퓨터의 네트워크 발달과 인터넷 대중화는 지구를 하나의 정보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주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서는 정보의 수요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양에서 질적으로의 변화도 오게 된다. 정보는 독립된 하나의 경제재라서 다른 산업 분야와 연계하여 생산과 효율성에 효과를 미치는 촉매제이다. 경제학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성격의 정보는 여러 형태의 경제적 효과를 갖는다. 사회의 발전 과정은 생산 기술의 변화와 함께 바뀌어 갔는데 혁신적인 기술의 발달로 생산력이 증대될 때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이라 부르는데 현대사회가 정보의 생산과 유통으로 생산력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부분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오늘날 사회를 디지털 경제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인터넷 전자 상거래 등 새로운 방법으로 경제 행위를 수행케 하였다.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금융산업에서도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의 긍정적인 측면에 상대적으로 정보 공급량과 정보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인한 정보 과잉과 정보 격차, 진정한 민주주의 실현 여부, 사생활 침해, 문화적 고유성 상실과 인간 소외, 컴퓨터 범죄, 국제 정보 질서의 불균형 등 많은 정보화 사회의 문제점 또한 안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경제는 기존의 경제 구조와 틀을 바꾸어 버리고 새로운 경제의 패러다임으로 부상 중이다. 세계 각 국의 경제도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 상거래가 급성장하는 등 디지털 경제로 이행하고 있다. 인터넷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경제 가치를 지닌 수단으로 등장함으로서 세계의 경제는 글로벌화 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의 발달이 성장, 물가, 무역, 산업 구조 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고 거시적, 미시적 효과를 예측해 볼 수 있다. 자원의 빈국인 우리나라에는 정보 산업이 보다 중요시되며 보다 많은 개발과 투자가 요구되고 각 국도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기 위한 투자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들은 오래 전부터 디지털 경제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고 국가 경쟁력 및 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보 기술 및 정보화의 원활한 흐름과 사용을 위한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시되어 정보 통신 기반 강화 및 정보화 촉진 노력에 많은 힘을 기울이고 있다. 디지털경제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으로 정보 통신 인프라 구축, 고도화, 정보 기술을 활용한 전자 정부 구현, 사회 각 분야에서의 정보화 확산, 전자 상거래 부분에서의 주도권 선점을 위한 정보화 계획 및 전략을 제시하여 추진하고 있다. 인터넷의 세계적 확산과 함께 디지털 경제는 경제 분야뿐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등 인간 생활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경제 시대에서의 현재까지의 변화는 앞으로의 변화와 비교하면 전주곡에 불과 할 수도 있다. 각 국가들의 주도권 경쟁도 보다 가속화되어 질 것이고 우리나라도 미래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대응책의 마련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특히, 금융 산업의 경우 정보 통신 기술 발달에 의한 인터넷 뱅킹의 활성화는 미래의 금융 혁신과 금융의 세계화로의 추진을 가속화시킬 것이고 향후 금융산업에 있어서 인터넷 뱅킹의 경쟁력이 세계 금융을 주도할 국제 은행으로서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및 인터넷 금융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정보화 사회의 환경 및 문화 기반과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으로 정보 기반을 확립하고 노동 시장에서의 정보의 인적 기반을 확충하며 자본조성을 통한 노력으로 자원의 빈곤을 극복하고 미래의 주도 사업의 하나인 금융산업속의 인터넷 뱅킹 활성화의 기반 확충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Man's economic socity have kept developing from hunting socity to agricultural socity, to industrial socity continously. But today world economy is changing rapidly than other past time. Through internet and electronic commerce it is a change into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ty. It is making greatly changes for man's life to make rapid progress of information network technology and gradually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information grow bigger and bigger. But it is not only the key of solution for all the problem to make information socity but also the meaning of paradise. In the present socity excess information more than less information can make the antifunctions of information. Today by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ty through multi-media and internet each nations economy is becoming globalization, the development of such information technology is the economic material of the present information-intensive socity. On this study considering the influnce of information to the present socity, in 21century called information intensive socity and digital economy analyzing information make a certain influnce about financial industry and hereaf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inancial environment internet banking and the construction of infra information as it's background are essential for changing financial environmental also. Korea and other foreign nations have to analyzed to the main point of internet banking and the direction of financial industry in future. The method of Korea activate internet banking is suggested. What is the economic value of information in the present socity changed abruptly from industrial socity to information socit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network and the popularization of internet make the earth join one information network. In an uncertain time the demand of information is on the increase and become quality from quantity. Every aspect of information give good value for world economy but as the anti-functions of information-intensive socity are illegal abuse of private information, disturbing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hacking. We must solve this anti-functions of information as soon as posible. In conclus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for banks in Korea to make coresponding strategies for the information intensive and global socity such as the early establishment of ultra high speed network and infrastructure for transpot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cluding appropriate education system. For the second time, market structure with activ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will be changed dramatically from producer-oriented to consumer-oriented. Financial market in Korea will be moved to customers from banks so banks need to enhance their service and make their banking products for the customers with information. These give banks in Korea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our financial commodities on international markets.

      • A study on optimal reference sensor placement for active control of road noise based on coherence analysis

        박윤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79

        Road noise is the primary noise source of vehicles and is directly related to vehicle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NVH) performance. To attenuate vehicle interior noise caused by such tire–road interactions, the active noise control (ANC) strategy has been applied in the automotive industry. A set of reference sensors is included in active road noise control (ARNC) systems, and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locations of the sensors to accurately identify the transfer path of vibrations that induce road nois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ARNC system by finding optimal sensor locations among numerous candidate points on the vehicle. The trial-and-error method is time consuming for the selection of the final sensor set because it evaluates the noise reduction for all possible sensor combination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determine the subset of reference sensor locations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signals and the Fisher information matrix. The proposed method selects the sensor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vehicle interior noise as the first element of the subset. The subset is expanded in such a way that the next sensor is iteratively selected as a measure of the determinant of the coherence information matrix. This methodology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cost of performing a simulation because the initial sensor set consists only of signal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output signals. 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yielded a reduction in road noise of approximately 7 dBA, which corresponds to an error within 0.2 ∆dBA of the target noise reduction. 노면소음은 차량 NVH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된 소음원이다. 능동소음제어(ANC) 기술은 타이어와 도로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차량 내부 소음을 감소시키는 유망한 솔루션이다. 노면소음 능동제어(ARNC) 시스템에는 노면소음을 유발하는 진동을 취득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세트가 포함되며, 진동 전달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의 위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ARNC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후보 센서들 중에서 최적의 센서 세트를 찾아야 한다. 가능한 모든 센서 조합을 시뮬레이션 하는 시행착오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관성 분석 및 피셔 정보행렬을 사용하여 참조 센서 위치 집합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론은 출력 음압 수준 신호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하나의 센서에서 시작한다. 초기 센서 세트는 상관성 정보행렬의 행렬식을 극대화하여 원하는 센서 개수까지 반복적으로 확장된다. 이 접근 방식은 계산량을 상당히 감소시켜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법을 적용하여 얻은 결과는 약 7 dBA의 광대역 노면소음 감소를 나타내었고, 모든 주행조건에서 목표 소음 감소 결과의 0.2 ∆dBA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 Alternative methods of active roll control in ground vehicles

        조경일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1995 해외박사

        RANK : 231966

        능동형 현가시스템의 주목할만한 현상은 심한 횡가속도를 동반하는 코너 링에서의 차체 롤 현상을 없애는 것인데 평상시에는 현가시스템을 stiff하게 하지 않아도 되 현가의 도로 격리기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효율적인 두 가지의 롤 컨트롤시스템을 연구하기위해 Half-car model을 구성하였는데, 첫 번째 방법은 차체의 현가 스프링 마운트 부위를 차별적으로 움직이는 방식인데 예를 들면 차체의 좌 우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로 롤 컨트롤 액츄에이터가 유압유체를 좌우로 펍프하는 것이다(Level Control type). 두 번째 방법은 앤티롤 바 혹은 스태빌라이저 바를 가동시키는 방식이다. 회전 혹은 선형 액츄에이터가 앤티롤바를 비틀어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평상시에 앤티롤바가 현재와 같이 stiff할 필요가 없다. 두 시스템의 중요한 차이점은 첫 번째 방법은 현가스프링과 댐퍼를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앤티롤바를 통해서 행하는 것ㅇ다. Half-Car-model을 위해 수직(heave)과 롤(roll)을 고려한 Bondgraph 모델을 구성하였는데 Unsprung mass를 포함한 경우와 아닌 경우 두 가지경우에 대해 구성하였다. 모델들에 대한 동작 방정식들이 유도되었고 롤 모션 제어를 위한 컨트롤 개념이 구상되었고 그 다음에 더욱 복잡한 full-car model에서 그 효과 성을 입증하였다. 첫 번째 롤 컨트롤 방법에서 Sky-hook 이론을 이용한 반등동형 연속댐퍼가P-I-D(proportional-Integral) 컨트롤 제어되는 롤 컨트롤 액츄에이터와 결합되면 롤 모션을 이상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모션과 롤 모션에 대한 eigenvalue를 의도한 대로 컨트롤 할 수 없다. 이때 Sky-hook액티브 댐핑의 컨트롤을 확장하여 수직과 롤 모션을 독립적으로 컨트롤 하게끔 하면 eigenvalue를 독립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방법에서는 롤 컨트롤 액츄에이터 움직임을 P-I(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제어에 의하여 수직과 롤 모션에 대한 eigenvalue를 의도한 대로 컨트롤 할 수 있다. 구성된 모델들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도로로부터의 격리성과 횡가속도에 의한 롤을 쉽게 연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심각한 비선형적 현상과 실제적인 반능동형 댐퍼를 쉽게 시뮬레이션에 포함시킬 수 있다. 롤 컨트롤 시 롤 모멘트의 차량 앞뒤 분배현상(Roll Moment Distribution)을 연구하기위해 7 자유도 RPH(Roll, Pitch, Heave) model이 구성 되었는데 이 모델은 Roll, Pitch, Heave모션을 갖는 Full-Car 차체에 앞에 언급된 Half-Car차량 현가 계를 포함시켰다. 마지막으로 비 선형 타이어를 포함한 10 자유도 Full-Car 차량이 구성되었고 이에 관하여 부록에 묘사시켰다. 이 모델은 횡 방향의 코너 링에 의한 움직임과 7자유도의 RPH model을 접목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심각한 비상주행시의 시스템평가에 이용하였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향백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1965

        Even if the buildings have become larger, higher and used for multipurpose due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lack of land along with the growth of cities, open space system was defined as an obligatory section according to building act made in May 1991 in order to create better urban environments, and the regulation of endowing incentives has been reinforced to reduce its subsequent opposition and to ensure more open spaces. According to such obligatory regulations, most of the relevant high-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ensured open space. There have been considerably positive effects in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improvement of passers-by's environments through ensuring the space of open space and provision of a resting space;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doubts in qualitative aspec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cation and efficiency of open space with propriety and analyze them. S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rea, location, and patterns of design on the open space, which was required legall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tect some problems for the legal system and design of the open space. Also, the study shows some suggestions to revitalize the open space against the problems. First, in case of high-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dimension's basis of the sum of floor space make an overture by legal, but in case of high-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it has to contain more details than plottage and population, and incentive programs are necessary for positiveness what amount of security for public open space with good quality, more space for public open space Second, due to the location of open space and the passive regulations on the facilities built within open space and the installation of excessive plantings and obstacles, people had difficulties in having access to open space and in distinguishing it, or it could be easily used for other purposes with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that would satisfy the minimal regulations on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ake measures of instruction and inspection and make investment for the built space so as not to be privatized after its construction. Third, open space was installed in the high-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complexes without considering its correlation with their neighboring sites so that it might be privately used for some residents within the apartment. In addition, it was not linked with its neighboring sites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lan the space systematically by establishing the location where open space would be installed at the time of planning high-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 한국 지역사회교정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196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정부 각종 통계자료와 문헌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지역사회교정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범죄예방 정책과 대안은 범죄로부터 사회를 방위하기 위한 수단으로 범죄자를 구금하고 범죄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소극적인 범죄예방활동에 중점을 두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범죄자로부터 사회를 방위하고 범죄를 줄이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대책으로서 범죄를 줄이고 사회재통합을 강조하는 지역사회 교정의 방안이 도입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사회교정 활성화 방안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교정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배경,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에 대한 바람직한 대책으로서 지역사회교정제도를 먼저 도입해서 운용하고 있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제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우리 나라의 지역사회교정의 시행과 발전과정에 관한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지역사회교정에 관한 최근 범죄백서의 통계를 통해 보호관찰의 죄명 별현황·재범현황과 사회봉사명령·수강명령현황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섯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가석방과 보호관찰, 사회봉사명령, 수강명령 등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범죄예방과 범죄자 교정의 효과적 대안으로는 지역사회교정방법의 중시되고 확대 도입되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더욱이, 지역사회교정방법은 범죄자를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보호, 재활등의 협력을 통하여 그들로 하여금 지역사회에 원활히 적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에 재범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사회교정제도의 도입과 운용은 범죄를 줄이고 범죄자와 사회와의 재통합을 통해서 재활을 높이는 방안이므로, 향후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proposes the activity of the Community-based Corrections through recent statistics and professional literature. Untill now, the measures of protection society from crime is focused on treatments of correctional facilities that separate offenders from society and preventive activity from crime. The polecy have no effect on preventing or reducing possibility of their crime commitment. It is contempted that some day they make their comeback to community. Accordingly, Community-based Corrections appears in order to support the offenders to integrate into the community.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inquire into its concept, theory back ground, introduction, contents of the Community-based Corrections. Second, this study inquire in to Community-based Corrections of the advanced nations ; America, Kingdom of England, Germany, France and Japan in order to effective analysis of these system. Third, I suggested the enforcement and developing course and probation etc law of the Community-based Corrections in Korea Forth, through recent statistics of community-based corrections in Korea, this study analysis the present situation a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lassified name of crime of probation, the present situation of second crime of an probation,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service order, the present situation of attending lecture order and so on. Finally, this study suggest on the method of reform of Community-based Corrections in Korea through questions which is caused during the enforement as parole and probation, social service order, attending lecture order and so forth. In conclusion, it should be emphasied that community gives offenders the resources and services which already exist in their own community, and then the community-based corrections should be responsive to community integration with manpower and meterials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