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의식, 소비가치, 선택기준이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수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 환경 오염 문제로 인해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 활동으로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화장품 시장 역시 친환경 분야의 시장 증대를 꾀하고 있지만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시장에서 ‘친환경’이라는 트렌드의 영향은 구매력으로 크게 이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태도와 관심이 실제 친환경 구매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환경의식이 구매의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있으며, 소비가치가 구매의사를 구매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환경에의 의식 수준, 소비에 두는 소비자의 중요 가치, 친환경 화장품 선택 시 고려하는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는 친환경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구매 행동까지 이르게 하는 소비 패턴을 다각도로 파악함으로써 친환경 화장품 개발 및 마케팅 전반과 관련된 친환경 화장품 시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en steadfastly escalating to a global scale, and so has consumers’ concern. As the demand becomes greener, so does the supply. For different industries, various researches 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eco-friendliness and sale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customers’ environmental awareness, consumption values behind purchase, and factors of consideration, greener -both environmental and economic- direction of the cosmetic industry can be provided. When purcha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s all played a role, but performance was the highest factor in purchasing decisions, followed by sustainable disposal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companies may aim to captivate the greener market by advertis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through sustainable disposal methods.

      •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프랑스 가곡 연구

        배수진 경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전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년 1월27일- 1791년 12월5일)는 첼로독주곡을 제외한 모든 장르의 곡들을 작곡하였다. 2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의 오페라와 협주곡, 교향곡 등은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지만, 그의 가곡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남아있는 곡의 수 또한 다른 장르에 비해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모차르트는 1777-1778년, 잘츠부르크를 떠나 일자리를 찾기 위해 예정되었던 파리 여행을 시작한다. 여행 도중 만하임에 머무르며 일자리를 찾던 모차르트는 그곳에서 프랑스 언어로 된 두 개의 아리에트(ariette)『새여, 해마다(Oiseaux, si tous les ans, K.307)』와 『외로운 숲에서(Dans un bois solitaire, K.308)』을 작곡한다. 이 두곡은 모차르트의 유절 형식 가곡과는 다르게 통작 형식으로 작곡된 가곡이다. 특히 『외로운 숲에서(Dans un bois solitaire, K308)』는 만하임 악파의 영향을 받아 소나타형식으로 작곡되어 졌으며, 오페라의 극적인 내용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의 가곡의 특징 중 하나인 음악과 극의 결합을 잘 보여주고 있다.

      • 관찰자 측정 말하기 능력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배수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말하기 능력 척도가 대중 연설에 국한되어 있어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말하기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통상황이 요구하는 말하기 능력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관찰자 평가 말하기 능력을 구성하는 하부 차원으로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언어적 요소의 경우 소통목표파악 능력, 논리 능력, 주장 능력을 제시하였으며, 비언어적 요소의 경우 시각적 및 음성적 요소를 제시하고 이를 측정하는 20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관찰자 측정 말하기 능력이 어떠한 구성타당도를 가지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총 108명의 실험 참가자들의 설문과 관찰자 측정에 의한 말하기 평가 결과에 대해 탐색적 인자분석을 실시, 두 개의 인자인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인자를 확인했다. 인자 적재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여섯 개의 문항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총 14개의 문항으로 관찰자 측정 말하기 능력 척도의 하부 차원 측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관찰자 측정 말하기 능력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총 다섯 개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관찰자 측정 언어적 표현력은 논쟁성향 및 토론능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의사소통불안과는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냈다. 또한 관찰자 측정 비언어적 표현력과 논쟁 성향, 토론 능력, 의사소통불안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여 동반 타당도를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관찰자 측정 언어적 표현력과 자기평가(파악 능력 / 논리 능력 / 주장 능력)과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평가 비언어적 표현력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했다. 또한 관찰자 측정 비언어적 표현력과 자기 평가식 언어적 요소(파악 능력 / 논리 능력 / 주장 능력)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기 평가식 비언어적 표현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수렴 타당도 역시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찰자 측정 언어적 표현력은 사회적 바람직성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관찰자 측정 비언어적 표현력은 사회적 바람직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차별 타당도를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관찰자 측정 말하기 능력 척도를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는 것이 부분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찰자 측정식과 자기 보고식으로 측정한 말하기 능력이 상이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과제 부여식 말하기 능력을 측정의 말하기 능력 하부 차원을 제시하고 타당성을 검증해 봄으로써 향후 보다 정교한 척도 개발을 위한 바탕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부분적으로 타당성이 검증된 관찰자 측정식 언어적 표현력과 비언어적 표현력 척도를 활용하여 말하기 능력 향상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observer-measured task-oriented speaking competence. I identified two factors affecting the speaking competence by examining literature. They were verbal and non-verbal areas. The verbal area is composed of an ability to recognize the communication goal, an ability to organize message logically, and an ability to argue consistently. The non-verbal area has visual and vocal competence dimens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speaking competence scale, after creating 20 statements reflecting 5 sub-dimensions, I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n, I examined the relations of the newly emerged two dimensions, which I called verbal and non-verbal factors respectively, with 5 other criterion variables, which were the argumentativeness, the debate competence,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self-reported speaking competence, and the social desirability. Results showed that the non-verbal speaking compet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scale whereas the verbal competence didn't have any correlation with it. Second, neither of the speaking competence areas had any relation with the debate competence. Third, both of verbal and non-verbal competence area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Forth, the both of speaking competence areas measured by observers had a positive relation only with the non-verbal area of the self-reported speaking competence. Finally, the verbal competence didn't have any relation with the social desirability whereas the non speaking competence had a correlation with social desirability. Overall the results partially validated the newly constructed observer-measured speaking competence scale. In sum, the observer-based speaking competence scale is more valid way of measuring speaking competence than the self-reported speaking competence although the self-reported speaking competence showed the better concurrent validity. Finally, I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tat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 화학물질 유출사고를 대비한 오염퇴적토의 펜톤산화처리 연구

        배수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hemical industry and the growing dependence of other industries on the chemical industry, the use and transportation of chemicals also steady rise. So, the number of chemical accidents that occur during the handling or transportation of chemicals has been risen. When chemical accidents occur, a portion of chemicals a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by volatility and non-volatile chemicals flow into water systems or soil environments. Released hazardous chemicals can cause pollution in the ecosystem, especially hazardous chemicals that residue in sediment can’t be treated using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manual so f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eatment technique for residual hazardous chemicals in sediment after chemical accident. Using Fenton oxidation degradation of hazardous organic materials contaminated sediment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isphenol A(BPA) and Nitrobenzene(NB) were selected as model compounds, and sediment dredged from HyungSan river was used as a model sediment for artificial contamination. Adsorption and desorption studies showed that both BPA and NB have residual properties on sediment.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 the presence of contaminants in the aqueous solution, the presence of NAPL in the aqueous solution, the presence of contaminants on the sediment and aqueous solution, and contamination on the sediment with the presence of NAPL. Decomposition studies wer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salt at sea water level assuming the occurrence of a chemical accident in sea, and the tendency of the degrad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to the elapsed tim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chemical accident was also studied. Both target substances could be decomposed about 95% within 10 minutes when dissolved in water, and with 2~20 mM of H2O2 and 0.5~4 mM ferrous iron or more could be decomposed within 30 minutes if they were in NAPL state. If salt existed in the aqueous phase at 30 g/L similar to sea water condition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reduced to about 52% by chlorine ions, and when NaCl decreased to 3 g/L and 0.3 g/L,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reduced by about 37% and 20%. In sediment, 95% or more could be decomposed within 10 minutes when the target is in dissolved state, and 90% or more of the target compounds could be decomposed within 30 minutes as they exist in NAPL. Furthermore,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he target material tends to decrease as the elapsed time other the chemical accident increases. As a result of decomposition using a scale-up reactor about 20 L, BPA showed a decomposition efficiency of approximately 90% within 30 minutes and NB within 60 minut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daphinia magna ecological toxicity test before and after the Fenton oxidation for contaminated sediment showed that both BPA and NB had a toxic reduction rate of 100 percent and a daphinia magna survival rate of 90 percent or more.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contaminated sediment dredged in the event of a chemical accident can be treated quickly with chemical oxidation process and harmless could be achieved the oxidation.

      • A. Scriabin의 piano sonata no.2,op. 19에 관한 연구

        배수진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크리아빈 (Alexander Nikolaevich Scriabin, 1872-1915))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활동한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서 후기 낭만주의를 계승하는 한편 신비주의라는 종교철학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자신의 음악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수적으로 적으나 계속적인 실험과 발전의 흔적으로 각 작품마다 진보적인 일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신비주의에 근거한 여러 기법들을 사용함으로써 작품의 독창성뿐만 아니라 전통적 조성에서 벗어나 무조성으로 가는 음악사적 과도기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스크리아빈의 음악적 특징과 발전 과정은 특히 그의 10개의 피아노 소나타에 잘 드러나 있다. 본 논문은 스크리아빈의 음악에 있어 초기 작품에 속하는 피아노 소나타 제2번을 중심으로 각 악장의 형식구조, 선율, 화성어법에 관하여 분석, 연구한 것이다. 먼저 스크리아빈의 사상적인 배경과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의 개괄을 통해서 간략하게 음악세계와 전개과정을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피아노 소나타 제2번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음악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악장으로 구성되는 이 소나타는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을, 제2악장은 종결구를 갖는 3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성에 있어 3음이 생략된 3화음을 주요 동기에 배치하거나 4도 구성 화음이 나타나고, 조성에 있어 빠른 전조나 이명동음적 전조가 자주 보여지는 등 인상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리듬이 주요한 음악적 표현 기법으로 사용되었는데, 제1악장은 불규칙한 리듬분할과 복합 박자, 세분된 리듬의 확장 등이 나타나며, 제2악장에서는 셋잇단음표의 일관된 리듬이 보여진다. 이외에도 모방, 동형진행, 오스티나토 등의 대위적 기법이 나타나며, 넓은 음역의 분산화음과 그 위에 펼쳐지는 상성부의 선율은 쇼팽이나 리스트의 피아노 음악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Alexander Nicolavich Scriabin(1872-1915), the composer who provided a bridge between 19th and 20th century music, created a special harmonic technique based on mysticism which flowed from religion and philosophy. If we were to know this works more deeply, it should helpful to study the sonata No. 2 op. 19 which has a transitional role to the formation of his mysticism. Scriabin mainly composed piano works. His ten piano sonatas among his piano works showed his musical development very well. First, he had imitated the atmosphere of Chopin, used the chromatic technique like Liszt, Wagner, and Debussy and then came to have distinctive style with misticism and the use of prometheus chord.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Piano Sonata No.2 from his 1st period. Sonata No.2, Op.19 "Fantasia" has a transitional role to the formation of his mysticism. It had the structure of classicism., the expression of Romanticism and the various technique of chromatic technique of Debussy but his music are regarded as the unique rhythm and the mystic chord which reflects his philosophy. Scriabin started from the post-Romanticism and as a linkage, connected the post-Romantic music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new music of the twentieth century. He was a frontier musician attempting complex expression with his own unique role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post-Romanticism and pre-20th music. In the viewpoint of history of musical transition, Scriabin was Surely one of the greatest musicians with an important role and great contribution.

      • 라반 움직임 이론을 적용한 배우의 움직임 연구 : '라반 움직임 이론을 적용한 연구 사례 발표회'를 중심으로

        배수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배우들이 하고 있는 신체 훈련의 한계를 넘어 단순히 신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배우의 정서를 자극 시키고 창조적 움직임을 만들 수 있는 신체 훈련 방법으로 라반 움직임 이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라반 움직임 이론이 스타니슬라브스키나 메이예르홀드, 자끄 꼬포, 아르토, 그로토브스키의 현대 연기론과 같이 심리와 신체가 유기적으로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배우를 위한 훈련으로서의 가능성과 라반 움직임 이론이 가지는 움직임 교육으로서의 특성을 연구하고 그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5명의 배우가 훈련과 작품제작에 참여하였고 총 11주간의 작업과정을 통해 라반 움직임 이론을 몸으로 습득하고, 라반 움직임 이론 중 Body와 Effort 요소를 적용하여 즉흥극을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토대로 참가자들과의 심층면담과 제작과정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라반 움직임 이론의 배우 훈련으로서의 가치를 정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몸과 움직임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라반 움직임 이론은 신체와 움직임에 대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해 놓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몸과 움직임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분석의 틀을 통해 자신의 몸과 움직임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게 하며, 변화의 방향성을 발견하게 한다. 셋째, 움직임 분석에 대한 적절한 용어를 제공하여 참가자들 사이의 소통을 더욱 쉽게 한다. 넷째, 분석의 범위를 확대시켜 다양한 신체언어 창조를 돕는다. 움직임이 있는 대상은 물론이고 움직임이 없는 대상이라고 하더라도 움직임으로 분석이 가능하게 하며 신체를 통해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창조할 수 있다. 다섯째, 라반 움직임 이론 중 에포트의 활용을 통해 심리적 접근에서 벗어나 신체 행동을 통해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의도적으로 에포트를 변화시키는 것은 곧 전혀 다른 움직임을 드러내게 하며 자연스럽게 참여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상태를 변화시켜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에포트를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라반 움직임 이론 중 에포트의 활용을 통해 캐릭터의 움직임을 창조할 수 있다. 같은 움직임이라도 에포트의 변화를 통해 전혀 다른 의도의 움직임으로 분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도적인 에포트의 사용은 연기자의 목적과 의도를 더욱 분명하게 한다. 본 연구는 무용의 이론인 라반 움직임 이론을 배우의 신체 훈련으로 제시하고 실제 연구 사례를 통해 그 가능성과 효용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배우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알고 신체의 영역을 키워나가려는 노력만이 창조적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창조적 움직임의 확장은 곧 창조적 인물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라반 움직임 이론 중 일부만 진행되었다는 점은 논의되어야 될 부분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ed Laban movement analysis as a physical training method which can make creative movement and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actors beyond the limits of physical training that actors generally practice, not just creating a beautiful and healthy body. Also, in terms that Laban movement analysis emphasizes an organic role of psycology and body like modern acting theory of Stanislavski, Meierhold, Jacques Copo, Artaud Grotowski, I studied the characteristic as the movement education that Laban movement analysis has and a possibility as training for actors and tried to identify value. For this study, 5 actors who is active in the field participated in training and productions and learned Laban movement analysis with body through the working process of a total of 11 weeks and made improvisations by applying Body and Effort Elements in Laban movement analysis. Based on this process, reserch result in which the value as an actor training of Laban movement analysis is organized throudh in-depth interview woth participants and discussion of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information about one's body and movement can be obtained. Laban movement analysis classified body and movement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and we can have a framework to analyze about one's body and movement based on this. Second, objective assessment is possible about one's body and movement through a framework of analysis and direction of change can be found. Third,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s much easier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terms about movement analysis. Fourth, It help to create a variety of body language by expanding the scope of analysis. It is possible to analyze with movement not only moving objects but unmoving objects and you can create a dynamic movement through body. Fifth, through use of Effort in Laban Movement analysis, methodology which stimulates psychology through physical action away from th psychological approach is presented. Changing Effort intentionally reveals any different movement and we can see that it naturally affects the psychology of the participants. Therefore, Effort can be used as a method which stimulates psychology by changing the state of the body. Sixth, through ise of Effort in Laban movement analysis, movement of characers can be created. Despite the same movement, it can be analyzied as movement of a complerely diffrent intention through change of Effort. So use of intentional Effort makes the purpose and intent of actors more clear. The meaning og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Laban movement analysis which is a dance theory as physicial training of actors an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were examined throufh actual study cases. Only actors' learning to know their own body and effort to develop the area of body can make the creative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creative movement can contribute to making creative people. However, you should think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besed on th part og Laban movement analysis and Ongoing research will have to be peformed.

      •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과학우수아의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및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배수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과학우수아의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차이를 비교하여 현재 영재학급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영재교육원에 선발된 5, 6학년 과학영재 54명, 영재학급에 선발된 5, 6학년 과학영재 237명, 과학우수아 242명을 포함하여 총 533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및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급 과학영재들은 과학우수아와 창의적 성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교육원 과학영재에 비해 창의적 성향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영재학급 과학영재들은 과학우수아와 과제집착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교육원 과학영재에 비해 과제집착력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영재학급 과학영재의 과제집착력 평균이 과학우수아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영재학급 과학영재들은 과학우수아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교육원 과학영재에 비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과학영재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평균이 과학우수아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인 과학적 설명형에서는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영재학급 과학영재는 영재교육원 과학영재들에 비해 낮은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보이지만 과학우수아와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영재학급 과학영재의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점수의 평균은 과학우수아들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영재학급 과학영재 선발 방식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학급 학생 중에 영재성이 잠재되어 있는 학생 모두를 선발하지 못하고 있어 영재학급 선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영재학급 수업과 더불어 일반학급에서도 학생들의 영재성을 길러줄 수 있는 개별학습 및 수업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