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복적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에 대한 실행연구 :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의 효과와 변화를 중심으로

        양진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S초에서 2016년도부터 오랜 기간 유지해 온 회복적 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사들이 경험한 회복적 철학의 실천 및 적용 과정이 궁극적으로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서울의 공립초등학교인 S초에서 회복적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가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천공동체의 발전단계인 잠재기, 결합기, 성숙기, 관리기, 변형기의 구체적인 단계에서의 본 회복적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오랜 기간 해당 교원학습공동체가 유지 및 발전되어 올 수 있었던 요인을 핵심리더의 성공 경험, 학교 경영자의 적극적 지원, 동료 간 깊은 유대감, 일상의 나눔, 분산된 리더쉽, 참여 유도 장치 마련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또한 연구자가 참여자가 되어 8회기 동안 운영된 회복적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의 실행과정을 구체적으로 탐구해보았다. 매 회기별 교사들의 경험과 성찰을 정리하였고, 사전 및 사후 개별 면담을 통해서 S초 회복적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가 궁극적으로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소통, 친밀감 형성, 이해와 포용이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통 요인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자신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다양한 이야깃거리에서 서로 연결되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친밀감 형성 요인에서는 교사의 권위주의적인 지도 방식에서 벗어나 수평적인 관계에서 이야기를 편하게 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서로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둥글게 모여앉아 서로 경청하고 공감하며 공동체의 힘이 가운데로 모아지는 서클의 동그라미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 이해와 포용에서는 학생들의 마음과 욕구를 파악하려는 교사의 노력이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다릴 줄 아는 마음의 여유를 갖는 것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의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가 아닌 일반 공립 초등학교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회복적생활교육 교원학습공동체의 특징을 파악하고, 교원학습공동체의 효과성을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의 변화로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언택트(untact), 온택트(ontact)를 강조했던 지난 2년 동안의 시간을 되돌리기 위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육 현장에서는 관계 회복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즉 관계 맺기를 통해 존중과 책임의 문화를 바탕으로 평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회복적생활교육이 코로나 상황 이후 교육 회복의 방법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교육 현장에서 회복적생활교육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갈등전환 방안 모색 : 회복적 생활교육을 중심으로

        조성민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It can be said that unification in true meaning is the status under which both external unification such as legal·institutional unification and internal unification such as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are made at the same time. However, during the division period of over 70 years,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have lived in different politics·economy·society·culture and therefore, it seems more difficult to have internal unification such as social integration than external unification. If we look into the case of Germany which experienced unification in advance of Korea, East and West Germans still blame each other without making whole internal unification even at this time when more than 20 years have passed since unification. Therefore, like the case of German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nified Korean society would experience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who have different thoughts. If negative relationships are formed between social members due to contradictory social structu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them. Wrong social structure has been already formed in Korean society where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people negatively recognize each other. As a result, negative relationships are created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people in Korean society and therefore, conflict is generated between them. The bigger problem is that due to negative aware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conflict with them, a social structure can be formed after unification in unified Korea, under which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negatively recognize each other and conflict is generated between the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ositively transform conflict with North Korean refugees, to restore relationships with them, and to seek conflict transformation measures in order to create a social structure under which people will positively recognize North Korean refugees. It is necessary to render students, the principals of future unification, with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m to peacefully transform conflict occurr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after unification and to seek a method to have internal unification of unified Korea.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newly arrang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form a right social structure to positively recognize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positively transform conflict with them in Korean society so that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refugees may be restored. In this context,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the researcher properly applied ‘Restorative Discipline’ aiming at formation of peaceful school community structure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mmunity members to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then, developed a new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Restorative Discipline’ is composed of 3 phases; ‘Sympathy with North Korean refugees’, ‘Respect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phase of ‘Sympathy with North Korean refugees’ and ‘Respect for North Korean refugees’, it made students recognize difference from North Korean refugees, made them have sympathy with and respect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further made them correct wrong Korean social structure under which people negatively recognize North Korean refugees. Finally, in the phase of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refugees’, it mainly dealt with various conflicts occurring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people in order to make students think measures to peacefully transform conflict with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positively form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refugees.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Restorative Discipline, developed for preparation of unification in true meaning with integration through transformation of conflict with North Korean refugees, suggested following implications to the direction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First, it is required to make students positively recognize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make them sympathize emotion and desire of North Korean refugees. Second, through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t is required to make students recognize difference between from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people who lived in different living conditions each other for a long time of division and to make students have respect for North Korean refugees without wrong prejudice. Third, it is require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people through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ppearanc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Restorative Discipline, one of education methods as an approach of conflict transformation, will give a help to change wrong social structure of Korea negatively recognizing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n, it will give a help for students to integrate with North Korean after unification in the long run. 진정한 의미의 통일은 남북한의 법적·제도적 통일이라 할 수 있는 외적인 부분의 통일과 남북한 출신 사람들 간의 사회 통합이라 할 수 있는 내적인 부분의 통일이 동시에 이루어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70여 년이 넘는 분단의 세월 동안 남북한 사람들은 너무나도 다른 정치·경제·사회·문화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법적·제도적 통일보다 사회 통합과 같은 내적인 통일을 달성하는 것이 훨씬 어려울 것이다. 한국보다 먼저 통일을 경험한 독일의 경우를 살펴보면 동서독 지역 사람들끼리 서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비난하면서 통일이 이루어진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온전한 내적인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독일의 사례처럼 법적·제도적 통일 이후 통일한국의 사회에서도 서로 다른 생각과 사상을 가진 남북한 출신 사람들 사이에서 다양한 갈등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이다. 모순적인 사회 구조로 인하여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부정적인 관계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갈등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 이다. 이미 한국 사회에서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북한이탈주민들과 남한 사람들이 서로를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잘못된 사회 구조가 형성되었다. 그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들과 남한 사람들 사이에 부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서 다양한 갈등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갈등 상황으로 인하여 통일 이후 통일한국에서 남북한 출신 사람들이 서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회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남북한 출신 사람들 사이에서 각종 갈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온 통일이라 할 수 있는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갈등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환하여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올바른 사회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구체적인 갈등전환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통일의 주체가 될 미래 세대인 학생들에게 통일 이후 남북한 출신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갈등 상황을 평화적으로 전환하여 통일한국의 내적인 통일을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학교 통일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북한이탈주민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올바른 사회 구조를 형성하고,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갈등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환하여 북한이탈주민들과의 훼손된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는 내용이 담긴 학교 통일교육을 새롭게 다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회복적 정의를 바탕으로 평화로운 학교 공동체 구조 형성 및 학교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관계 회복에 목적을 두고 있는 ‘회복적 생활교육’을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적절하게 활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회복적 생활교육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은 ‘북한이탈주민 공감하기’, ‘북한이탈주민 존중하기’, ‘북한이탈주민과 관계 형성하기’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이탈주민 공감하기’ 단계와 ‘북한이탈주민 존중하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차이를 인정하고,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공감과 존중의 마음을 가지면서 북한이탈주민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한국의 잘못된 사회 구조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북한이탈주민과 관계 형성하기’ 단계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과 남한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갈등 상황을 다루어 학생들이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갈등 상황을 평화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고,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두었다.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갈등전환을 통해 학생들이 북한이탈주민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남북한 출신 사람들 간의 통합이 이루어진 진정한 의미의 통일을 준비할 수 있도록 개발된 회복적 생활교육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은 한국의 학교 통일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학교 통일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북한이탈주민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의 감정과 욕구에 적극적으로 공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 통일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오랜 분단의 세월 동안 서로 다른 생활환경에서 살아온 북한이탈주민들과 남한 사람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인정하고, 차별과 잘못된 편견 없이 북한이탈주민들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 통일교육을 통해서 북한이탈주민들과 남한 사람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갈등전환 접근 방식의 교육 방법 중 하나인 회복적 생활교육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의 새로운 출현은 북한이탈주민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잘못된 한국의 사회 구조를 바꾸어 북한이탈주민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장기적으로는 통일 이후 학생들이 북한 출신 사람들과 통합을 이루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지역사회요인의 학교폭력피해에 대한 공간적 영향력 분석

        최선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59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mmunity-related factors affect school bullying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school bullying and conducting spatial analysis of places where bullying occurs, using relevant nation-wide data at city, gun, and gu level. A gener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community-related factors that affect school bullying, and the outcomes of the two regression analyses were compared to ide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ces of school bullying, in addition to finding ou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nalysis, 2016 data on school bullying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nd 2015 community-related factors, independent variables. Community-related risk factors included population density, unstable residential condition, level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inappropriate use of land, crime rate,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community-related bullying-inhibitive factors included police force and the level of CCTV install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related risk factors that affected school bullying―without consideration for spatial characteristics―the share of people who receive basic livelihood subsidy (a proxy for poverty rate), the share of multi-cultural households (level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the share of youth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t high school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Second, when community-related bullying-inhibitive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actors that affected school bullying were the share of people who receive basic livelihood subsidy (a proxy for poverty rate), the share of multi-cultural households (level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t high school. Third, regarding spatial distribution of school bullying per 10,000 students, a high level of school bullying was observed across the country. It was confirmed that, for different types of bullying place, the pattern of a frequent school bullying varied in quartile spatial distribution. Fourth, regarding a spatial analysis, the share of multi-cultural households (level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and the share of youth population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both an analysis of community-related risk factors and an analysis that also included bullying-inhibitive factors. Fifth, according to a general regression analysis without consideration for spatial characteristics, community-related factors that affected school bullying included the share of people who receive basic livelihood subsidy (a proxy for poverty rate), the share of multi-cultural households (level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the share of youth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t high school. However, with 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at took into account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llying places, the influential factors were the share of multi-cultural households (level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and the share of youth popula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a gener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different outcomes regarding factors that affected school bullying. More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examine community-related factors at the level of eup, myeon, dong or schools. 정부에서는 학교폭력예방을 위하여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제정, 학교경찰관 제도 도입, 학생보호인력 활성화지원,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 지원, 안전한 등하굣길 만들기, 학생안전 알리미 서비스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학교폭력의 원인을 규명하고 학교폭력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개인과 가족, 학교와 지역 등 학교폭력과 관련된 요인을 개인에서 지역까지 확장하는 연구들이 계속 진행 중이다. 최근 지역요인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사회해체이론, 지역사회 집합효율화를 연구하는 범죄학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는 하나 자료의 한계로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지역사회요인이 학교폭력피해에 공간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 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폭력피해와 학교폭력피해 유형별 공간자기상관분석을 통해 학교폭력피해의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사회요인이 학교폭력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일반회귀분석과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두 값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단순한 영향 요인을 찾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간적으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요인이 학교폭력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로 2016년도 학교폭력피해 자료를, 독립변수로는 2015년도 지역사회요인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역사회의 위험요인으로는 인구밀도, 주거불안전성, 지역이질성, 부정적토지이용율, 범죄율, 청소년인구비율, 학급당 학생수 비율, 그리고 억제요인으로는 경찰인력, CCTV 설치 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교폭력피해율의 공간분포에서 서울의 대부분의 지역과 경기도 외곽지역,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 많은 지역에서 높은 수준의 학교폭력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피해 유형별 공간분포에서도 전국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교폭력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피해 유형별로 사분위 공간적 분포에서 높은 수준의 학교폭력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의 패턴이 각각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체 학교폭력피해율 중 ‘모욕 및 협박’이 34.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모욕 및 협박’의 사분위 공간적 분포가 전체 학교폭력피해율 사분위 공간적 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피해율에 대한 공간적 분석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을 나타내는 Moran's I 값이 0.50으로 높은 공간적 자기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폭력피해 유형별 공간적 자기상관을 나타내는 Morna's I 값이 ‘0’에 가까운 값으로 공간적 자기상관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역사회 위험요인 중 국민기초생 활수급자비율(빈곤율)은 전체 학교폭력피해와 학교폭력피해 유형 중 폭 력 및 감금, 모욕 및 협박, 따돌림, 사이버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구비율(지역이질성)은 전체 학교폭력피해와 학교폭력피해의 모든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인구비율은 전체 학교폭력피해에 영향을 미치고,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는 전체학교폭력피해와 학교폭력피해 유형 중 폭력 및 감금, 강제적 심부름, 모욕 및 협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험요인과 억제요인을 모두 포함한 전체 지역사회요인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비율(빈곤율)은 전체 학교폭력피해와 폭력 및 감금, 모욕 및 협박, 따돌림, 사이버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구비율(지역이질성)은 전체 학교폭력피해와 모든 학교폭력피해 유형에 영향을 미치고,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비율은 전체 학교폭력피해와 폭력 및 감금, 강제적 심부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간분석에서 지역사회 위험요인 중 학교폭력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다문화가구비율(지역이질성), 청소년인구비율이 학교폭력피해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오차모델에서는 학교폭력피해율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Lagcoeff.(Lambda)값을 보면 0.65(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피해율은 주변지역의 평균 학교폭력피해율에 65% 정도의 높은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폭력피해에 있어 인근지역의 학교폭력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 가까이 있을수록 해당지역도 그 영향을 받아 학교폭력피해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위험요인과 억제요인을 모두 포함한 지역사회요인 중 다문화가구비율(지역이질성)이 학교폭력피해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고, 청소년인구비율이 학교폭력피해율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오차모델에서는 학교폭력피해율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Lag coeff.(Lambda)값을 보면 0.65(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피해율은 주변지역의 평균 학교폭력피해율에 65% 정도의 높은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폭력피해에 있어 인근지역의 학교폭력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 가까이 있을수록 해당지역도 그 영향을 받아 학교폭력피해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선형회귀 분석에서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비율(빈곤율), 다문화가구비율(지역이질성), 청소년인구비 율,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비율이 학교폭력피해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회귀분석에서는 다문화가구비율(지역이질성)과 청소년인구비율만 학교폭력피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문화가구 학생을 위한 특별한 정책 수립, 농산어촌지역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시설 및 방과 후 학교(무상) 지원, 그리고 경찰의 지역순찰활동과 CCTV설치를 통한 감시활동 강화, 회복적생활교육 정책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요어 : 학교폭력피해, 공간분석, 지역사회, 사회해체이론, 합리적선택이론, 회복적생활교육, 탐색적공간분석

      •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이성수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국문 초록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심리전공 이성수 이 연구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가설은 크게 2가지 범주 5개 세부 항목으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교생활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Ⅰ-1,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행복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Ⅰ-2,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회복탄력성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Ⅰ-3을 설정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직접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학교생활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Ⅱ-1.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행복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Ⅱ-2를 설정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D 도시에 소재한 S 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1개 학급을 실험집단,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학급을 비교집단, M 초등학교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전후 학교생활 만족, 행복,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연구목적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 행복, 회복탄력성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분산분석과 Scheffe test, 그리고 t-test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생활 만족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 참여하는 것은 학교생활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의 구성 요인 중 학습활동을 제외하고 친구관계, 교사관계, 긍정경험, 환경만족, 심리안정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이런 연 구결과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행복 수준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행복 수준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중요한 지표인 낙관주의와 친구 관계가 높아지고, 그 차이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런 연 구결과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통제집단보다 자기조절 능력, 긍정성, 자기 신뢰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결과는 학생들이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감정을 앞세우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학교 규칙이나 학업에 인내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등과 난관 또한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가진 친구들에게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점,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육환경 및 교육과정 구성이 중요하다는 점, 부적응 학생들의 상담 및 생활지도에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주제어 : 회복적 생활교육, 학교생활 만족, 행복, 회복탄력성

      •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점

        이혜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에서는 회복적 생활교육을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회복적 생활교육과 아들러 심리학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그 유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떤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회복적 생활교육과 아들러 심리학은 존중, 책임, 관계, 평등 등 핵심가치가 같고, 민주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동일한 목표를 가진다. 서클과 학급회의는 둘 다 존중과 평등을 전제로 하여 공동체적 접근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회복대화와 격려대화는 공감과 경청으로 열린 질문을 사용하고, 비난 없이 솔직하게 자신을 표현하는 대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주요이슈에서는 회복적 생활교육의 책임과 아들러심리학의 논리적 결과 모두 학생들이 더 긍정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 안에서 학생들이 그릇된 행동에 대한 책임을 논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학교 안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 질 때 책임도 함께 배우게 된다. 이렇게 볼 때 논리적 결과는 처벌의 대체기술이 아닌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는 대안적인 가치에 합당하다. 즉 회복적 정의의 가치와 일치하는 좀 더 체계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의 공동체성과 아들러 심리학의 사회적 관심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서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하고 공동체에 공헌하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존중과 평등을 바탕으로 문제를 함께 공유하고 해결하는 서클과 학급회의의 실천들을 통해 공동체성과 사회적 관심은 같은 의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아들러 심리학의 교육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육적 이론기반의 형성, 사회적 평등을 추구하는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로의 변화, ‘자기돌봄 회복대화’를 통한 사회적으로 유용한 life style의 추구, 학생의 잘못된 목적을 수정하는 ‘목적회복서클’의 제안이다. 이러한 시사점은 회복적 생활교육을 아들러 심리학에 접목한 시도로 회복적 생활교육의 새로운 확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회복적 생활교육, 아들러 심리학, 회복적 정의, 교육적 시사점 The present study discusse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Adlerian psycholog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restorative practices and Adlerian psychology by focusing on their similarities, followed b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consideration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and Adlerian psychology share the same core values, such as respect, responsibility, relationship, and equality, and the same goal of promoting a democratic community. Both circles and class meetings resolve issues through a communal approach informed by respect and equality. Restorative and encouraging dialogue enables one to use open-ended questions based on empathy and willingness to listen to others and express oneself without blame. Both the responsibility of restorative practices and the logical consequence of Adlerian psychology provide a way for students to make more positive choices on major issues. Embracing systematic education in school under the paradigm of restorative justice will teach students a sense of responsibility by allowing them to logically accept their responsibility for wrong behavior. Thus, the logical consequence represents an alternative value that realizes restorative justice, not a substitute for punitive discipline. That is, it is a more systematic concept consistent with the value of restorative justice. Next, the community spirit in restorative practices and the social interest of Adlerian psychology enable a life as a member of one's own community, cooperating with other members and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rgued that, through the circles and class meetings, which share and solve problems based on respect and equality, community and social interest have the same meaning. Lastly, Adlerian psycholog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restorative practices: formation of educational theoretical basis of restorative practices; transition to a more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devoted to social equality; pursuit of a socially useful lifestyle through “self-care restorative dialogue”; and proposal for a “purpose-restoring circle” that corrects a student's misguided purpose. These implications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restorative practices into new realms through their integration with Adlerian psychology. Keyword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Adlerian psychology, Restorative justice, Educational implications

      •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강인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effects class cohes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is established. <Question> Does th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effect class cohesion and its sub-factors(class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group unity, communication)? To verify the questions, four 5th grade classes in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tested on it's class cohesion scale. One of the class was chosen based on the most similar qualities with the researcher's class. The researcher's class was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class was placed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th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for 5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give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feedback reports each session feedback reports, post program self-report scales and the researcher's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he observation were collected. After the data collec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done using I-STATistics(Km & Baker, 2009).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lass cohesion and its sub-factors(class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group unity, communication).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improvements of the class cohesion. 'Our class atmosphere is also good, seems to reduce the students' arguments in the future', 'Classroom seems to be peaceful, and now I can trust my classmates.', 'The friendship towards my classmates is getting better.' These responses suppor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With the observation analysis and self-report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improve class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group unity, communication. First, the activities such as being respectful to others and apologizing for their wrongful behavior helped to improve the class atmosphere. Second, the problem solving circle method resolved the conflicts within the classroom in which improved students' mutual trust with another. Third, decision making circle process improved classroom morale and group unity. Fourth, talking about their feelings improves communication in depth.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is that th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effects the developing class cohesion.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First, it will develop appropriate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applied to whole school. Second, it will developing proper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while taking into account children's stage of development. 본 연구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학급응집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가설은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과 그 하위요인이 높을 것이다’로 설정했다. 위의 연구문제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Y초등학교 5학년 학급 중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6주 동안 10회기의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학급응집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된 학급응집력 검사는 강신석(2000)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statics(Kim & Baker, 200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의 차이, 실험집단의 전-후 검사 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다. 본 연구의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미국 San Francisco Unified School Distric에서 활용중인 서클 활동(Circle process)을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 적합하게 재구성한 프로그램으로,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 향상을 목적으로 1회기당 4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했다. 실험집단에는 6주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학급응집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과 그 하위요인인 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소감문 및 관찰 내용 분석 결과,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급 분위기가 좋아지고, 의사소통이 활발해지고, 친구 간에 신뢰가 형성되었으며, 학급에 대한 소속감과 사기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을 시사해 준다.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학급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초등학교 아동이 학급 구성원간 의사소통 및 학급분위기, 사기, 일치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을 학교 단위로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각 학년 수준에 적절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의 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혜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의 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의 학급응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의 교우관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Y시의 S초등학교 6학년 학급에 학급응집력검사와 교우관계검사를 실시한 후, 동질성이 확보된 2개 학급에 대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여, 실험집단에는 3주 동안 3회기의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에 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양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 사전·사후검사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하여 비모수 검정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따른 제한점 보완을 위하여 구성원들에게 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의 하위영역들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한 줄 소감을 작성하도록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개입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학급 내에서 비교적 문제가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신뢰서클 방식으로, 학급 구성원 모두가 둥글게 모여 앉아 평등한 기회로 이야기 나누는 서클과 초기 청소년들의 흥미와 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혼합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입은 초기 청소년의 학급응집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학급응집력의 하위요인인 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 수준이 상승하였다. 둘째,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입은 교우관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교우관계의 하위요인인 만족감, 민감성, 신뢰감, 의사소통, 이해성, 친근감, 개방성 수준이 상승하였다.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친구와 더욱 가까워지고, 친구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서클을 통하여 생각이나 행동 등에 있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마음을 심어주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담임교사를 포함한 학급의 구성원 전체가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되는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공동체로의 통합 과정을 통하여 구성원 모두가 협동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더불어 구성원들이 서로를 더욱 가깝게 받아들이고 격려하며,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초기 청소년의 학급응집력(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과 교우관계(만족감, 민감성, 신뢰감, 의사소통, 이해성, 친근감, 개방성)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공감과 연결을 통하여 서로를 더욱 가깝게 받아들이며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로의 통합과 협력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이 다양화되고 심화되는데 있어, 응보적 관점의 대안으로 등장한 회복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학교폭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측을 의미한다. 회복적 생활교육을 토대로 갈등상황에 이르더라도 대화와 협력을 통하여 갈등을 전환시키는 힘을 키울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to learn about how the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influences early adolescents. The research questions to confirm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influence the class cohesiveness of early adolescents?; Second, what effect does the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have on the fellowship of early adolescents? For this research a class cohesiveness and a friend-relationship measurements were administered in the 6th grade class of S elementary school in Y-city, Gyeonggi–do. And one clas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The two classes were homogeneous. Using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ree sessions of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for three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did nothing.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e same class cohesiveness and peer relationship post-test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lass cohesiveness and pre-test and post-test. The Mann-Whitney U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was used for the homogeneity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o compare the change that occur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the satisfaction rate by asking the participants to write a sentence about what they thought about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program to complement for the limitations in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is a trust circle that is used when there is relatively less serious problems in the class, where students sit around in a circle and talk about issues and do some restorative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to be appropriate for early adolesc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of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improving early adolescent’s cohesive learning.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ome improvement in class atmosphere, spirit, sense of unity, mutual trust, and communication, all of which are sub categories of the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Second, the involvement of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s was meaningful for the participants in significantly improving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sensitivity, trust, communication, understanding, friendliness, and openness, which are sub categories of friend-relationships.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became closer to their friends and they described that it was an opportunity to get to know each other better. The group made it possible for the participants to be able to acknowledge each other’s feelings and to realize the fact that each person’s thought and actions can be different. Third, it helped for the participants healthy communities. Through the restorative life education program, all the members of the class including the homeroom teachers were integrated into one community. Through this process of integration into the community, all the members became cooperative. In addition, it helped the participants to get closer to each other, to encourage them, and to build trust. In the present study, the ‘restorative life-education program’ went through successfully and statistically enhanced the class-cohesiveness (class atmosphere, mutual trust, spirit, sense of unity, communication) of early adolescents and peer relationships (satisfaction, sensitivity, trust, communication, openness, friendliness, confid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ve helped each other to accept and support each other more closely through empathy and connection, and this implies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cooperation into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ransition from a retributive point of view to a restorative view will lead to a positive change in prevent school violence. The results imply that we can develop the power to transform conflict through dialogue and cooperation.

      •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감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현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연구는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의 S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27명)과 통제집단(27명)을 각각 한 학급씩 선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만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9주 동안 매주 1~2회씩 16회기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일주일 뒤 동형의 검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였다. 아동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척도와 Bryant(1982)의 정서공감 척도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Furman과 Buhrmester(1985)가 개발한 NRI(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를 유안진 외(2002)가 수정・보완한 또래관계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공감능력 전체 및 정서적 공감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또래관계의 질 전체 및 하위영역인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또래관계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관계형성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과 학교 구성원 간 상호존중과 신뢰, 공감을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관계형성 단계의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소수의 문제 아동 중심의 접근이 아니라 모든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는 학급 단위 프로그램으로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주제중심 활동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핵심어: 공감능력, 또래관계의 질, 관계형성, 회복적 생활교육 프로그램

      • 초등학생의 회복적 생활교육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강옥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in the classroom by revealing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kind of experiences do students have through participation in restorative discipline?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4th grade, 5th grade and 6th grade students who agreed to the interview, whose homeroom teachers are active in the restorative disciplin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restorative practitioner group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teams, including 13 students who experienced restorative discipline during the first semes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184 formulating meanings, 49 themes, 16 themes clusters, and 7 categories were derived.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was categorized, including “participated once,” “difficulty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feeling safe and comfortable in class while connected with classmates,” “maintaining restorative discipline with the help of teachers,”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the classroom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restorative discipline enables life changes and positive values ​​and attitudes,” and “expanding and practicing restorative discipline outside of school.” The primary objec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was “to understand myself and others deeply and restore relationship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ssential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were derived by practically and concretely expl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restorative discipline. Second, by revealing the contents and the time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restorative discipline, directions and guidelines were provided for teachers who practice restorative discipline so that they can focus and pay more attention to it. Finally, it revealed that students can sufficiently play a role as both an agent of conflict resolution and a conflict mediator through restorative discipline. 이 연구의 목적은 학급에서 회복적 생활교육을 경험하는 초등학생들의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밝혀 본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은 회복적 생활교육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학생이 겪는 회복적 생활교육 참여 경험의 구조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는 광주·전남지역의 회복적 생활교육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회복적 실천가 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는 담임교사의 4∼6학년 학급 학생 중 면담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1학기 동안 회복적 생활교육을 경험 한 학생 중 총 3팀,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면담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184개의 구성된 의미, 49개의 주제, 16개의 주제 묶음, 7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의 회복적 생활교육 참여 경험의 본질에 대한 구조는 ‘일단 참여함’,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면서 힘들어함’, ‘학급 친구들과 연결되면서 학급을 안전하고 편안하다고 느낌’,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회복적 생활교육을 유지해 감’, ‘학급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경험하며 회복적 생활교육에 적극 참여함’, ‘회복적 생활교육이 삶에 배어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 성장시킴’, ‘회복적 생활교육을 학교 밖으로 확장하여 실천함’이었다. 초등학생의 회복적 생활교육 참여 경험의 핵심 주제는 “나와 타인을 깊이 이해하고 관계를 회복해 가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회복적 생활교육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그 특별한 경험의 과정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탐색하여 회복적 생활교육의 참여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도출하였다. 둘째, 회복적 생활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의 시기와 내용 등을 밝힘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에게 어떤 부분에 더 집중하고,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과 지침을 제공하였다. 셋째, 회복적 생활교육을 통해 학생이 갈등 해결의 주체자이자, 갈등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