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Mechanism for insensitivity of GIRKcurrent to bradykinin in mouse atrial myocytes

        최선옥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Modulation of G protein-gated inwardly rectifying K+ (GIRK) channels via G protein-coupled receptors is a prime mechanism regulating heart rate. We have shown in the previous study that regulation of cardiac GIRK channels by Gq protein coupled receptors (GqPCRs) is via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2) depletion and it occurs in a receptor-specific manner. The inhibition of GIRK current (IGIRK) by phenylephrine(PE) was (mean ± SE) 33.4 ± 2.6%, but the extents of inhibition induced by bradykinin(BK) was negligible, only 9.0 ± 2.5%. Despite extensive studies,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receptor-specificity remains enigmatic. In the present study, we probed mechanism of receptor-specificity. We confirmed that BK could induce PIP2 hydrolysis in mouse atrial myocytes using a phospholipase C (PLC)δ pleckstrin homology domain-green fluorescent protein fusion constructs. One possibility of receptor specificity is that membrane PIP2 levels during stimulation of PLC by BK stimulation would be maintained high via a simultaneous activation of PIP2 resynthesis. To test this hypothesis, we blocked synthesis of PIP2 by 50 µM wortmannin, phosphatidylinositol-4-kinase inhibitor. In the presence of wortmannin, BK-suppression of IGIRK was still 8.9 ± 2.3%, indistinguishable from BK effect in control condition. Furthermore, BK did not induce intracellular Ca2+ increases, which is supposed to be a mechanism of PIP2 synthesis during activation of bradykinin recep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ensation for PIP2 hydrolysis does not contribute to receptor-specificity of Gq-mediated GIRK channel regulation. The results, taken in conjunction with previous data for GIRK channel regulation. by PIP2 (Cho et al., in press), accorded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differential regulation of IGIRK by different GqPCRs results from spatial proximity of receptor and channel protein. Key words : Gprotein-gated inwordly rectifyingK+(GIRK), GqPCRs, PE, BK, wortmannin, atrial, myocyte.

      • 대학생의 성패귀인이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선옥 배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성패귀인이 자아탄력성 및 대학 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도 10월 10일 ~ 10월 28일에 D시에 소재한 P대학교와 M대학교에서 설문을 실시하였고, 20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조사에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많은 외적귀인을 하고 있었다.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성별 간 전공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대학 생활 중 사회체험분야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적응을 더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패귀인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내적귀인인 능력과 노력변인이 성패귀인 중 자아탄력성과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패귀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 능력변인의 경우 학업활동, 진로준비, 개인 심리에서, 노력변인의 경우 학업활동과 개인 심리에서 낮은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성패귀인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패귀인 중 능력과 타인변인이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운 요인이 부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핵심어 성패귀인,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 존 파울즈의 소설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연구

        최선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20세기 후반에 활약한 영국의 소설가 가운데 존 파울즈(1926-2005)는 치열한 주제 의식과 소설 형식에 대한 독창적인 실험정신으로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의 주제는 실존주의 사상을 기반으로 한 개인의 진정성 탐구, 운명과 맞서 싸우는 개인의 자유의지, 과학 정신과 예술정신의 대립, 역사와 문명의 발전에 대한 지적 탐색, 진화의 법칙과 적자생존의 논리, 소설 장르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모색 등을 망라하고 있다. 상호텍스트성을 좀 더 넓게 분석한 사람은 프랑스의 문학이론가인 제라르 주네트이다. 주네트의 통텍스트성은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하나의 텍스트가 명시적이건 암시적이건 다른 텍스트와 서로 연결하는 모든 관계를 뜻한다. 주네트는 텍스트를 크리스테바류의 상호텍스트성, 파라텍스트성, 메타텍스트성, 하이퍼텍스트성, 그리고 원텍스트성 등 5가지 하부 유형으로 나눈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포스트모던 메타픽션 소설가인 존 파울즈의 작품에 나타난 형식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의 특성은 파울즈 소설의 상호텍스트성을 현대 서사이론의 대가로 평가되는 제라르 주네트의 통텍스트성 이론으로 분석한다는 점이다. 파울즈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세 작품을 연구과제로 정하고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주네트의 다섯 가지 통텍스트 하위 개념을 비평적 척도로 사용하여 분석하려 한다. Among British novelist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John Fowles (1926-2005) is critically renowned for his keen sense of subject matter and creative experiments with the novel form. His themes include exploration of individual authenticity based on existentialism, individual free will that challenges fate, conflict between scientific thought and artistic spirit, intellectual investigation of history and civilization,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urvival of the fittest, and navigation of new possibilities of the novel genre. French literary theorist Gerard Genette conducted a broader analysis of intertextuality. As a comprehensive concept, Genette’s transtextuality refers to any relationship that connects one text to another, whether explicit or implicit. Genette divides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into five subtypes: intertextuality in general following Kristeva’s definition, paratextuality, metatextuality, hypertextuality, and architextuality.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analyze form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work of John Fowles, a representative postmodern meta-fiction novelist. Doubtlessly, Fowles’s novels are ripe with intertextuality, owing to his outstanding intelligence, extensive coverage of literary traditions of all ages and countries, profound knowledge in philosophy, history, scienc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civilization history. This dissertation examines intertextuality in Fowles’s novels by juxtaposing a renowned modern narrative theorist Genette’s concept of transtextuality. Focusing on Fowles’ three representative novels, this project adopts Genette’s five subconcepts of transtextuality as a framework for critical analysis.

      • 자녀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 영·유아 부모를 중심으로

        최선옥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족이 정서적인 결속을 맺고 융통성 있게 발달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중요한 것이 의사소통인데 가정생활을 원만하고 행복하게 영위하는데 있어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은 필수적이다. 가장 가깝고, 가장 깊게 사랑을 하는 것도 부모와 자녀 사이이지만, 바람직한 대화를 이끌어 가기에 가장 어려운 것도 부모와 자녀의 사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런 필수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정 내에서의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방법을 모색한 결과 자녀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대화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말을 이해하기 전에 부모의 조언이나 충고부터 하려고 시도하는 대화의 방법이나, 너-전달법 등인 폐쇄적이고 직접적으로 자녀를 자극하는 대화 방법은 멀리해야 한다. 그리고 먼저 상대방을 이해하겠다는 생각으로 대화에 접근하는 '경청하기'(공감적 경청)나 '표현하기'(나-전달법) 등 개방적인 대화방법을 사용하여서 걸림돌에 걸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자녀와의 친밀한 대화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대화 방법은 점점 각박해지고 여유를 잃어 가는 우리의 가족관계나 인간관계에서 윤활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대화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우리나라의 가정에서 대부분 비 촉진적 의사소통을 쓰고 있는데 이는 언론매체를 통하여 전 국민을 위한 촉진적 의사소통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상담관계에서 개인의 근본적 변화를 위하여 상담자가 촉진적 의사소통을 하듯이 부모도 상담교육을 어느 정도는 받을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자녀를 대할 때 상담자의 역할을 어느 정도 만큼은 수행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부모-자녀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새로운 차원에서 재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부모에게 자녀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 부모-자녀관계의 회복을 위한 대화법 등과 다양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으로 교육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되어야겠다.

      • 미용 고등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전공 선택 인식 및 교육 만족도

        최선옥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대상으로는 충청권(대전, 청주)지역 미용교육에 참여하는 YL미용고등학교, KD미용고등학교 외 1곳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윤운성(2015)이 개발한 한국형 에니어그램 간편 성격유형 검사와 설문조사를 본 연구자에 의해 직접 배포 후 설명과 함께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9가지 성격 유형 중 1유형이 23.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6유형(13.0%), 5유형(12.2%), 8유형(12.0%), 9유형(11.5%) 순으로 나타났다. 힘의 중심별 성격 유형을 살펴보면 장(본능8, 9, 1) 중심이 47.2%로 가장 많았고, 머리(사고 5, 6, 7) 중심이 33.1%, 가슴(감정 2, 3, 4) 중심 19.8% 순이었다. 가슴 중심 유형의 경우에는 적성(M=3.73), 취업 및 진학 유리(M=3.59), 주위 권유(M=2.92) 순으로 미용과목 선택 동기가 높았고, 머리 중심 유형은 적성(M=3.36), 중학교 성적(M=3.29), 취업 및 진학 유리(M=3.16) 순으로 미용과목 선택 동기가 높았고, 장 중심 유형은 적성(M=3.88), 취업 및 진학 유리(M=3.41), 중학교 성적(M=3.07) 순으로 미용과목 선택 동기가 높았다. 또 미용교육 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장(본능)>머리(사고)>가슴(감정)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비전 인식도 조사는 가슴(감정) 중심 유형의 경우에는 헤어디자이너(M=3.69), 메이크업 전공자(M=3.29), 네일(M=3.25) 순으로 비전 인식도가 높았고, 머리(사고) 중심 유형은 헤어디자이너(M=3.35), 네일(M=3.24), 메이크업 전공자(M=3.18) 순으로 비전 인식도가 높았고, 장(본능) 중심 유형은 메이크업 전공자(M=3.57), 헤어디자이너(M=3.52), 네일(M=3.46) 순으로 비전 인식도가 높았다. 희망하는 보충교육은 가슴(감정) 중심 유형의 경우에는 현장적응교육(M=3.86), 인성교육(M=3.65), 실기심화교육(M=3.37), 이론교육(M=3.35) 순으로 보충하기를 희망하였고, 머리(사고) 중심 유형은 현장적응교육(M=3.80), 인성교육(M=3.38), 실기심화교육(M=3.25), 이론교육(M=3.22) 순으로 보충하기를 희망하였고, 장(본능)중심 유형은 현장적응교육(M=3.88), 인성교육(M=3.54), 실시심화교육(M=3.39) 순으로 보충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학생의 학년에 따라 교육과정 선택 동기 및 교육학습 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전공에 대한 비전 인식도 및 희망 보충 수업은 평균값이 비슷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미용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미용전공 선택에 대한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앞으로의 진로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네트워크 중립성에 관한 국제 동향과 비교분석

        최선옥 인하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echnologies evolve, the era of convergence environment in which all communication lines are converged has arrived. In this convergence environment, telecommunication network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ccordingly controversies arise regarding the network neutrality. Today the discussions surrounding this issue are being carried out incessantly in US and in EU studies supporting for the argument that the use of network should be open to all users have been made public. And in Japan, they are making a strong and strict regulation about network neutrality. Each country is preparing a suitable regulation policy for the country. But the problem is that in Korea the very concept of network neutrality is not being properly understood. Thus, this study will propose a right way that Korean network policy should follow by examining the process of how the meaning of network neutrality has been changed, looking at the importance of it and comparing the national situation with the overseas cases. 기술이 발전하면서 음성과 방송을 포함한 모든 통신망이 하나로 수렴해 가는 컨버전스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환경에서 통신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중립성에 대한 논의가 커지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산업계는 물론 정치계에서도 관련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EU 또한 회원국에 네트워크 자체가 이용자 모두에게 열려있어야 함을 주장하는 연구문서가 공개되기도 하였다. 일본에서도 네트워크 중립성을 강하게 규제할 것을 준비하는 등, 각 국가별로 자국의 실정에 맞게 네트워크 중립성에 대한 규제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아직 그 개념조차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 중립성의 개념이 변화한 과정을 살펴보며 현재의 네트워크 중립성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의 논란을 비교, 분석해 국내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국내 네트워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독서치료 사례연구

        최선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통상 아동기를 일컬어 부모님의 도움 아래 아무런 걱정이 없는 행복한 시기라고 말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초등학생들은 학업 성적에 대한 부담감, 과중한 학원과 개인과외 공부에서 오는 스트레스, 왕따 문제, 외모 불만족, 부모 이혼이나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예외 없이 일상생활 속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다. 이 스트레스는 현실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치료(대처)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5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살펴보고, 독서치료를 통해 스트레스의 정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이해하고 이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원만히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지도 방안으로서 독서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t-검정하였으며, 검사 비교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한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전 조사에 의하면 가족관계 문제가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업문제, 일상생활문제, 교사관계문제, 친구관계문제, 건강 및 신체 발육 문제, 오락 및 여가활동 문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후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친구문제, 학업문제, 일상생활 문제, 가족관계 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여 독서치료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양식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학생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능동적인 대처양식이 증가한 결과로 나타났다. 반면, 신비적 대처양식과 수동적 대처양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이 선택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능동적인 대처양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효율 적으로 적용한다면 첫째,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학생 자신의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는 자각된 스트레스와 그렇지 못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확연한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다. 둘째, 예방적·발달적 측면에서 학급전체를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얻는 효과가 클 것이다. 셋째, 사서교사가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고, 책 읽는 습관을 길러주며, 도서관 이용법을 지도하는 등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이행해주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뿐 아니라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학교 현장, 상담기관, 도서관, 사회복지 기관에서 교육과 상담 및 치료 차원에 서 독서치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Usually, A person's childhood is the period of their life when they are called happy period. However, without an exception, today's schoolchildren are exposed to the stress of everyday life. This stress comes from the burden to school records, and a too heavy institute and individual extracurricular study, school bullying, dissatisfaction of their own look, divorce of parents, or economic hardship, etc. This stress has affected primary school students educationally and realistically. So, the necessity for a program of various medical treatments came to rise. The research of a book was carried out in S elementary school in Kyonggi province, korea for a fourth grader child and watched the grade of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and coping style, and intended to find what kind of change in terms of the grade of stress and coping style over stress would have through bibliotherapy program. Especially, it was going to understands an elementary school child's stress and coping style, and verify effect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as a device of helping amicable adoption for the various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and these come to experience.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verifying the effect of a bibliotherapy program, before and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inspection has done about an elementary school child's everyday life stress and coping style. Then after sample t-test of the result, the conclusion which used as the foundation the main results which authorized and were obtained by public prosecutor comparison is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before the bibliotherapy program to the stress measure used with the measurement tool, the family relation problem showed the highest stress, in the next, it appeared in order of a studies problem, an daily life problem, a teacher relation problem, a friend relation problem, health and growth problem, entertainment and leisure problem. After bibliotherapy program' s enforcement, I looked at whether there having been any difference in the stress degre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who comes to experience in a usual life, and it appeared that there is an affirmative effect with the bibliotherapy program because meaningful reduction on the friend problem, the studies problem, the daily life problem, and the family relation problem has shown. Secondly, although the average of a schoolgirl appeared highly on the whole when seeing the results of an investigation of a stress coping style by the sex, consequently, in research it appeared that the active coping style has increased between both boy and gir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schoolgirls chose the mystical and the passive coping styles were more than boy students, but statistically, it doesn't have meaning. Therefore, we can say that a bibliotherapy program helps an active coping style both boy and girl students. Such a research result has the following current-events points. If the bibliotherapy program is applied effectively First, it can help students to express his inherent inside difficulty naturally. This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b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ling ability with the stress which were aware and not aware. Second, by carrying out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whole class, it is expected to have dramatic effect in terms of prevention and development-side. Third, by librarian teacher runs the bibliotherapy program, the duty of school library was from only offering information simply, building reading custom, and guiding library directions etc, but they will be recognizes as carrying outa more active duty and we also can expect to raise a librarian teacher's specialty. Forth, probably, bibliotherapy is variously utilizable at education, consultation, and a medical treatment dimension in the school spot, a consultation organization, a library, and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아파트주민의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선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to improve community welfare among apartment residents because higher self-realization and quality life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will be helpful to make ideal community leading to community welfare. In order to attain this objective by research, a total of 407 inhabitants living in apartments located in Gyeongsan city a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community participation, volunteering service participation by general resi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religion, family number and type of apartment. But donation participation is not significant in all these factors.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n the whole by general residents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number of family, residence period of apartment and floor space of apartment. Second, self-efficacy levels in community participation is ‘Normal’ and among the secondary factors, autoregulation effect feel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nfidence appear to influence in order of speciality. Self-efficacy by general resi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ve parameters i.e. occupation, monthly income, academic background, type of apartment and floor space of apartment. Sense of community level is totally ‘Normal’ and among the secondary factors, sense, sufficient feeling, emotional relationship, and the feeling of solidarity appear to impact in order of community feeling and mutuality influence. Sense of community by general resi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ve parameters viz. age, monthly incom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protector, type of apartment and floor space of apartment. In case of leader part, leader action level is ‘Normal’, and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sympathy, persuasion, and presentation of vision appear to influence in order of community formation. Leader action level by general resident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monthly incom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protector, and type of apartment.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leader did not influence the community participation because of narrow difference in each apartment. Particularly, president neighborhood woman is an exceedingly influential person among several leaders. The satisfaction of leaders at all levels like higher captain management, president neighborhood woman, subdivision of a city´s district,·and the head of a neighborhood association showed a similar level. With regard to community space, generally established community space of each apartment is an average of 15.4 numbers. In total of 22 community space, the apartments where 20 communities are established as maximum. This will raise a community participation by increased availability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 space with the house concept which to at hereafter LOHAS type. Thirdly, there is a statistical inter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factor and community participan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factor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are community space, leader part, sense of community which have made a meaningful effect, but self-efficacy has no effect.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some development plans to improve the community participation factor have been suggested as follows. Leading to the community activation and participation from apartment residents will increase sense of community as a new community. The use of apartment unit·application will be new for evolu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through activation of regional network. Also, the leader of one apartment resident displays a maximum potential energy. In order to lea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with education and sustainable and suitable programs for more than a month's period to have increased effect and ability of leader's empowerment. Cultivation of Sense of community will help to raise the feeling of solidarity and the feeling of sufficiency through variety of resident participations. The combination planning among residents such as sufficient desire of apartment resident, induction of interest about apartment community and implementation of apartment community action will also help to improve community participation. The apartment residents prefer to easily accessible internet portal site or apartment home page, which will help to recognize community participation developed, education and advertisement program about community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아파트주민의 지역사회참여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서 아파트주민의 지역사회참여 요인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지역사회참여를 통해 주민의 자아실현과 삶의 질을 높임으로서 지역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상적인 지역사회를 만드는데 일조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산시에 위치한 아파트단지의 입주민 407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사회참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참여는 연령, 종교, 가족원 수, 아파트소유형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부참여는 모든 변인들이 유의미하지 않았고, 주민조직참여에서는 연령, 최종학력, 아파트소유형태, 아파트평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적인 지역사회참여는 연령, 결혼상태, 월평균소득, 가족원 수, 아파트거주기간, 아파트소유형태, 아파트평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참여 요인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전체적으로 ‘보통’이며, 하위변인별로는 자기조절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직업, 월평균소득, 최종학력, 아파트소유형태, 아파트평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공동체의식 수준은 전체적으로 ‘보통’이며, 하위변인별로는 소속감 및 상호영향의식, 충족감, 정서적 친밀감, 연대감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동체의식은 연령, 월평균소득, 요보호자 유무, 아파트소유형태, 아파트평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리더 역할에서 리더 행동 수준은 전체적으로 ‘보통’이며, 하위변인별로는 공동체형성, 공감, 설득, 비전제시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리더 행동은 월평균소득, 요보호자 유무, 아파트소유형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리더 유무는 아파트단지마다 큰 차이가 없으므로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고 부녀회장이 리더로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다. 그리고 리더에 대한 만족도는 관리소장이 가장 높았으며 부녀회장과 통·반장 등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공간에서 각 아파트단지에 보편적으로 설치된 전체인 커뮤니티 공간은 평균 15.4개이고, 총 22개의 커뮤니티 공간 중 20개가 설치된 아파트가 가장 많았으며, 향후에는 로하스(LOHAS)적인 주거개념으로 커뮤니티 공간의 설치와 이용도가 증가하여 지역사회참여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지역사회참여 요인과 지역사회참여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참여 요인이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커뮤니티 공간, 리더 역할, 공동체의식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참여 요인의 향상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주민의 공동체 활성화와 주민참여를 이끌기 위한 커뮤니티 공간의 확보로서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의 활용과 더불어 새로운 커뮤니티로 공동체의식을 확대시키고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화참여의 새로운 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파트주민의 리더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기 위해서는 리더의 임파워먼트를 향상과 자질향상을 위해 지자체나 주거복지연대, 지역사회복지관 등에서 월 1회 이상 지속적이고 적절한 교육과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공동체의식 함양은 아파트주민의 욕구충족 및 아파트공동체에 대한 관심 유도, 아파트공동체 활동 활성화 등을 통한 주민 간의 단결도모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율적인 주민참여를 통해 연대감과 충족감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파트주민이 정보의 근접성이 용이한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아파트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참여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