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 간, 개인 내에서 학습자의 학업불안과 지각된 유능성이 자기모니터링을 매개로 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습자의 정서나 동기는 학습태도나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높은 성취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런 과정에서 학습자의 정서와 인지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는 드물며, 이런 학습자 변인이 실제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자기조절의 세부적인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불안과 유능성 지각이 실제 학습에서 이뤄지는 자기조절과정 중 하나인 모니터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수업에서 대한 학습자의 학업불안과 지각된 유능감을 측정하였으며, 수업 중 그 날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퀴즈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오늘 습득한 내용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판단을 내리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업불안과 지각된 유능감 차이가 자기모니터링의 정확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개인 내 연구를 통합하여 실시함으로써 개인 안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학업불안과 지각된 유능감이 학습의 모니터링과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학업불안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메타인지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결국 낮은 학업성취를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학업불안을 많이 느끼는 상황은 정확한 메타인지활동을 방해함으로써 학업에 부정적인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유능성이 높은 학습자는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정확한 메타인지판단을 내렸으며 이런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성취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개인 내에서 나타나는 지각된 유능감의 변화는 메타인지판단의 정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지각된 유능감이 학업불안처럼 상황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며 인지전략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오랜 시간 축적되어 개인적인 특성으로 굳어졌을 때 비로소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구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적인 동기와 정서적인 측면이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자기조절과정 중 하나인 모니터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며 학업불안과 지각된 유능감이 개인 내에서 동기변인으로 작용하는데 있어 그 메커니즘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모니터링과 같은 메타인지과정이 학업성취를 높이는 효과적인 인지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학습과정에서 이런 메타판단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학습자의 학업불안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과정중심평가를 통해 개인적인 유능감을 지각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

      • 학습전략 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태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전략 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전략 훈련은 아동의 학업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습전략 훈련은 아동의 시험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도내에 소재 하는 K 초등학교 6학년 6개 학급 모두 사전검사(학업불안 검사, 시험불안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가장 동질성이 높은 학급을 선정하여 통제 집단으로 하였으며, 각 집단의 학생 수는 30명 (남 19, 여 11)으로 구성되며, 전체 연구 대상은 6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실험설계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서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시험치기, 그리고 정보처리 등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로 학습전략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학습전략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전략 훈련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을 종속변인으로 삼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주 4회(화, 수, 목, 금)씩 2개월에 걸쳐서 총 30회의 훈련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처치에 앞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에 대한 사전검사를 수행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8주간의 훈련이 끝난 후에,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전략 훈련에 따른 종속변인의 변화를 통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학습전략 훈련을 받은 아동이 학습전략 훈련을 받지 않은 아동보다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전략 훈련은 학습능력수준에 따라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전략 훈련은 성별에 따라 학업불안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training program on Learning anxiety and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effects do the learning strategies program have on Learning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What effects do the study skills program have on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children sampled from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It took 8 weeks to implement learning strategies training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 t-test, two-way ANOVA by using SPSSWIN program for comput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nxiety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traine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was reduced more than control group in academic anxiet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nxiety according to group and level of study abilit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nxiety according to group and sex.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traine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was reduced more than control group in test anxiety.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ccording to group and level of study ability.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ccording to group and sex. In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strategies program training in elementary school played an essential role on reducing academic anxiety and test anxiety.

      •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 학업지연행동, 학업적의지전략, 학업불안 간의 관계

        김혜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s,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will strategies, and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5 graduat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wher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establishe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Docks online app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nxiety and career barriers, academic anxiety and academic delay behavior, career barriers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would strategy and academic delay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lower the career barriers of graduate students, the lowe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he higher the academic will strategy, the lower the academic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the measured structural model showed good fit. In the final model, the academic will strategy of graduate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academic anxiet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cademic anxie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found to have been suppressed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장벽, 학업지연행동, 학업적의지전략, 학업불안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대학원이 설치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원생 총 2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방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방식 설문조사는 구글독스 온라인 앱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상관분석, 기술통계분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학업불안과 관련한 변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육대학원생의 학업불안과 진로장벽, 학업불안과 학업지연행동, 진로장벽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학업적 의지전략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정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이 낮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이 낮을수록, 학업적 의지전략이 높을수록 학업불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측정된 구조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그리고 최종모형에서는 교육대학원생의 학업적 의지전략은 학업지연행동과 학업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과 학업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이 학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지연행동의 억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으며,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중국 헤이룽장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안정감과 학업불안의 매개효과

        두이웨이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99

        본 연구는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업효능감의 경향을 분석하여 성별, 학교급, 양육 경험, 성적 순위의 차이 와 이 4가지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종합적이고 건강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가정교육, 학교 돌봄 및 사 회적 지원의 관점에서 가정내 부모의 자녀교육여건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업효능감에 대한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2]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의 성별, 학교 순위(전문대학, 일반 학부대학, 중점대학), 양육 경험,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3]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성, 학업불 안, 학업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설문 지는 헤이룽장(黑龍江)성 동북임업대학, 동북농업대학, 하얼빈공과대학, 하얼빈 공업대학, 헤이룽장대학, 헤이룽장간호고등전문학교, 하얼빈석유학원, 쑤이화학 원, 헤이룽장농업개간직업대학 등 19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배포되었다. 설문조사는 2023년 7월 3일부터 8월 22일까지 모바일 설문지 앱을 사용하여 진행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19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자료 수집은 비확률 샘 플링(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의 편리한 샘플링 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823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이에 대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교육에 적극적이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이며 학업불안의 정도가 낮고 중등도의 학업효능 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은 성별, 학년, 양육 경험, 학업성적 등 인구학적 변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관한 결과를 보면, 부모가 아들과 딸을 양육하는 방식에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 부모의 양육태도는 거부형과 과보호 형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애정형이 여학생보다 낮았다. 학교급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습효능감 면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의 거부형은 학교급에 따라 전 문대학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일반학부대학은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거부형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애정형과 과보호형의 경우, 애정형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보다 더 높은 애정형 평균점수, 과보호형은 전문대학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과보호형 평균점 수를 보였다. 그리고 안정감의 경우, 학교급에 따라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 보다 더 높은 안정감 평균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학업불안의 경우, 전문대학 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학업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업효능감의 경우, 학교급에 따라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학부 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보다, 중점대학은 일반학부대학보다 더 높은 학업 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육경험의 경우, 학업효능감은 양육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있었는데 7-9세는 0-3세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적순위의 경우, 학업불안은 성적순위 자술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 났고, 학업효능감 변수는 성적순위 자술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 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방식의 거부형, 애정형, 과보호형과 안정감 변수는 성적 순위 자술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성, 학업 불안 및 학 업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이다. 먼저 거부형 부모의 양육태도와 과보호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학업효 능감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감의 경우, 학업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줄 때 안정감과 학업불안 이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안정감을 매개함으로써 학업효능 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적극적인 애정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을 더하고 학업효능감을 높인다. 소극적 거부형과 과보호형 부모양육 태도는 안정 감과 학업효능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과 학업불안이라는 이중매개를 통해 간 접적으로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애정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증가 및 학업불안의 감지를 통해 학습효능감을 높일 수 있 다. 소극적 거부형과 과보호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저하와 학업불안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업효능감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불안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효능감의 매개체로서도 이중매 개작용을 통해 안정감과 함께 작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함을 알 수 있다. 헤이룽장(黑龍江)성은 중국 동북부에 있는 중국에서 경제발전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성으로 가정교육 연구,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연구,‘평생교육’발전, ‘가정교육 지도센터’건설 등 실천에서 뒤처진 위치에 있다. 동시에 헤이룽장 (黑龍江)성은 곡물과 인구가 많은 성으로서 중국의 전통 농업 문화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 특성이 강하다. 사회문화적 개념과 관습은 중국의 다른 지역에 따 라 상당한 지역적 차이가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 으로는 남성 지상주의, 남성이 다음 세대가 부모의 노후를 책임진다는 전통적 관점과(養兒防老)(袁小波, 杜鹏, 2023), 아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두고 훌륭한 인 재가 되기를 바라는 관점(望子成龍)(谢小平, 付康, 邹文理, 2023), 일부 부모들은 딸에게 더 넉넉한 일상적 경제적 지원 등 문화적 관념과 풍습이 있으나 여전히 남성 지상주의 문화가 남아있다. 따라서 이런 역사, 문화적 측면을 근간으로 하 여 헤이룽장(黑龍江)성에서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효능감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역사와 문화 전통의 영향으로 기본적으로 자녀와의 관계에서 주도적, 심지어 지배적 위치에 있는 중국 부모들은 자기 부모의 양육태도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자기 행동과 교육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출발하여 대학생의 심리상태를 항상 주 시하고 학생의 학업 생활을 둘러싸고 부모가 자신의 관점에서 거부형, 과보호 형의 소극적 부모의 양육태도를 개선하고 애정형의 적극적 부모의 양육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자녀의 안정감을 높이고 학업불안을 감소시키며 자녀의 학업효 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부모의 양 육태도를 함양하여 자녀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회생활에서 건강하게 성장하고 훌륭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법과 규 정을 어떻게 정착시킬 것인가에 대한 심도있는 접근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적 측면에서는 평생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한국의 선진경험을 참고하 고, 대학의 교수와 부모모임 등 사회조직을 결합하고, 대학을 학생과 부모의 연 계를 통한 학부모교육센터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가정교육에 관한 평생교육과 정을 개설하고, 가정교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서 학부 모와 아이가 부딪히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에 대해 최적화 조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학자, 대학과 사회의 공동과제가 되어야 한다.

      • 시험 및 학업불안 감소를 위한 게슈탈트-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빈의자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배성훈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시험불안과 학업불안,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감소시키고 내외통제성에서 내적통제 경향으로 향상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은 게슈탈트 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통합한 통합치료라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사설연구소에서 광고를 통해 모집한 18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9명씩 나누 후 실험집단에게 주 2회, 100분 동안 10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험불안과 학업불안, 특성불안에 있어 유의미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상태불안과 내외통제성의 경우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결 후 30일 후에 검사한 결과에서는 시험불안, 학업불안, 특성불안이 여전히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지속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상태불안 역시 30일 후 검사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내외통제성에 있어서는 오히려 외적통제를 하는 경향으로 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게슈탈트-인지행동 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시험불안과 학업불안,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which minimizing test, academic, state and trait anxiety and improving internal control tendency. This program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synthesis treatment that Gestalt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re integrated. 18 middle school students recruited by counseling center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test.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ith 9 students each. It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10 times program for 100 minutes twice a week that test, academic and trait anxiety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in the case of state anxiety and internal control tendency. The result after 30days stated that test, academic and trait anxiety had still decreased, and state anxiety also showed continuing decrease; however, external-control tendency was shown rather than internal one. In conclusion, There are desirable effects on dispelling test, academic, and state and trait anxiety in the Gestalt-cognitive behavioral integrated therapy.

      • 학습된 무력감 및 학업불안과 과제 난이도 및 제시순서별 계열완성과제간 상관연구

        시지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5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rrelational research on the learned helplessness and academic anxiety on performance between easy water jug tasks and difficult water jug tasks, and between first order of easy tasks and second order of difficult tasks, and vice versa. The subjects were total 380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girls. The tools of this study were Learned Helplessness Scale and Academic Anxiety Scale. There were two types of task difficulty. One was easy water jugs and the other was difficult water jugs to middle school girls. And also there were two kinds of task presentation. One was easy tasks first and then difficult tasks, and the other was difficult tasks first and then easy task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otal and subfactor score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anxiety including worry and emotionality as subfactors. Therefore learned helplessness and academic anxiety are important psychological traits of middle school girls. 2.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difficult water jug performances was higher than those of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asy water jug performances. Therfore middle school girls difficult task performances are hindered by their learned helplessness. 3.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anxiety and difficult water jug performance was higher than those of between academic anxiety and easy water jug performances. Therefore middle school girls difficult task performances are hindered by their academic anxiety. 4.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difficult water jug performances in the first order were higher than those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ifficult water jug performances in the second order. Therfore the order of task presentation on performances of middle school girls are important in school situation. 5.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anxiety and difficult water jug performances in the first order were no difference than those of academic anxiety and difficult water jug performances in the second order. Therefore academic anxiety on task performances of middle school girls are important regardless of task difficulties and task 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