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천지역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이은경 대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포천지역 중학생의 학습무기력과 회복탄력성의 상태는 어떠하며 이 두 변인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포천시 소재 5개 중학교 학생이며 시 소재지와 읍·면 소재지 중학교에서 1, 2, 3학년 학생 총 319명을 임의 표집 하였다. 청소년 회복탄력성 측정은 ‘YKRQ-27’(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로 하였고 학습된 무기력은 ‘학습된 무기력감 진단척도’(신기명, 1990)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집단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1프로그램으로써 t검증, 분산분석, 상관 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천지역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감은 5점 만점 중에서 평균 2.15 점으로서 비교적 낮았다. 성별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다소 더 높았으며, 학년별로는 3학년이 1학년보다 다소 더 높았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 중에서 3.56점으로서 보통 수준이다. 대체로 성별로는 차이가 없으나 하위 요인인 ‘생활 만족도’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1, 2학년이 3학년보다 다소 더 높았다. 셋째, 학습된 무기력과 회복탄력성은 부적 관계에 있다. 인과관계를 명확히 단정할 수는 없으나 회복탄력성이 낮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은 높았다. 그 설명량은 약 43%였다. 넷째,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편이지만 이러한 경향은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3학년보다는 1,2학년이 다소 더 나았다.

      •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병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점수가 높은 학생들 28명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28명의 학생들 중 14명을 실험집단에 무선 배치하였으며, 나머지 14명의 학생들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는 9월 3일부터 10월 2일까지 총 16시간에 걸쳐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특별한 처치없이 정상적인 일과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통계 처리에는 SPSS/WINDOWS 18.0이 이용되었으며,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현재 행동을 평가하고 욕구 충족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도록 하여 자기 삶의 주인이 바로 자신임을 인식하게 하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완화시켜 주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보여 준다. 둘째, 학습된 무기력의 7가지 하위 요인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결여, 수동성, 과시욕 결여, 책임감 결여 요인들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게 하여, 자신감 결여나 수동성, 과시욕 결여, 책임감 결여 등의 하위 요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이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어과를 제외한 수학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닌 태도 및 정서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학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된 무기력이 감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절한 학습 프로그램이 진행된다면 수학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선택이론에 기반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된 무기력의 감소는 학생들의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야기하여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습된 무기력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상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areer maturity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We explore the mediation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0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Daegu and Gyeongsan cities.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learned helplessness, career maturity, and resilienc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ith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rectly influenced on learned helplessnes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in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maturity.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resilience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learned helplessness. Fourth, resilience had no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maturity influenced b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an be improved by lowering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at learned helplessness influenced by paternal psychological helplessness can be lower by enhancing resilience.

      • REBT를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문계 여고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효과

        원혜미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REBT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비합리적인 신념을 확인하고 논박하여 합리적인 신념으로 수정하고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수용, 인정하며 구성원간의 지지와 격려를 통하여 성취감을 극대화시켜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 부적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20명의 인문계 여고생을 실험(10명), 통제(10명) 집단으로 구성하여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부적응 척도지를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을 위하여 KSD를 실시하여 KFD의 수정 보완된 임상적 해석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이상의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된 무기력이 더 감소하였다. 둘째, REBT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교생활부적응이 더 감소하였다. 셋째, REBT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부적응이 높은 청소년의 KSD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회기별 프로그램의 진행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마음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며, 자신이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내면사고가 미술매체의 활용으로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성장한 모습을 인지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과 계획으로 인하여 구성원들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부적응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REBT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신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수정함으로써 객관적인 자기 이해와 구성원들 간의 마음의 소통을 경험 할 수 있었고. 그 결과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부적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rt therapy program applied REBT techniques confirms learned helplessness of adolescent and on affect reached the school maladjustment.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make their mind change positively sense of accomplishment to maximum through confirming and refuting the irrational belief ,which makes their belief change as rational belief admitting and accommodating their own image through supporting and encouraging among members. 20 girl stud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of experiment. They are devided two group, experiment (10 subjects) and controlled group (10 subjects), which were performed for 12 program of session for 90 minutes once a week. To verify the result of the research, t-test was operated with scale paper about learned helplessness and school maladjust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lso for qualitative analysis, KSD analysi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KFD revised clinical analisys. The obtained result through the procedure and method described as below. First, REBT art therapy program declines learned helplessness of experiment than controlled group. Second, REBT art therapy declines school maladjustment of experiment than controlled group. Third, REBT art therapy program causes positive effect on highly learned helplessness and school maladjustment while experiment was participated in REBT. In the progress of weekly program, students express their think and mind more activel, changing their negative mind to senc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using art media. Also, in this program, they recognize their advanced behaviors while making efforts and plans to maintain it. As a result, I know that there is reduction of learned helplessness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of the participated members. This result presents that REBT art therapy program that revises their irrational belief helps to experience objective self-comprehensive and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to sum up, it causes positive change to learned helplessness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 노숙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윤태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노숙인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숙인 일시보호시설, 자활시설, 재활시설을 이용한 남성 노숙인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와 일반적 자기효능감, 학습된 무기력,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포함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25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9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3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숙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학습된 무기력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된 무기력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구학적 변인 중, 노숙기간은 자기효능감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건강상태는 학습된 무기력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근로유무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상관을, 학습된무기력에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인구학적 변인 중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각 주요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노숙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그 하위요인 모두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학습된 무기력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된 무기력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노숙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하위요인 모두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노숙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social support perceived by homeless people has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To this end, 251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social support, general self-efficacy, learned helplessnes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for male homeless people using temporary shelter, self-support, and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homeless people. Among them,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SPSS 23.0 based on data of a total of 232 people, excluding 19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homeless peop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self-efficac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rned helplessness. In addition, general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arned helplessness. Second,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homeless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health statu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arned helplessness.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work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arned helplessness. Third, as a result of controll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learned helplessness and self-efficacy, the correlation of each major variable was confirmed, and both social support perceived by homeless people and its sub-facto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d helplessness. And general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arned helpless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both social support and sub-factors perceived by homeless people were completely mediated by gener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homeless people and learned helpless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 외부통제소재와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 학습된 무기력과 회피중심대처의 간접(매개)효과

        오도학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irect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Avoidance coping in relation to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nger expression style. For this, 234 students of G university in Gyeongnam area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IPC(Internality, Powerful others, and Chance) Locus of Control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the Learned helplessness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K-CSI).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include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and the results indicated an acceptive goodness of fit indies. Also,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cts,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dual indirect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avoidance coping in each model set by three subfactors of anger expression style(anger-control, anger-out, anger-in), in each model where anger-out and anger-in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learned helplessness and avoidance coping have a complete dual indirect effect. In the model in which anger-control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ual indirect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avoidance coping is not significant.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지각된 통제감과 반복적 부정사고의 매개효과

        임소희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3

        이 연구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과 반복적 부정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학습된 무력감 진단척도, 개정된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 보속적 사고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ver. 3.0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학습된 무기력, 반복적 부정사고 간의 정적 상관, 지각된 통제감 간의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 반복적 부정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이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지각된 통제감과 반복적 부정사고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을 야기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의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수준별 이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학업성취도의 조절 효과

        김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ability-based mobile class affect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helplessness of learners, and what differences of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helplessness between the ability-based mobile class and regular class the learners have in part of gender and level during the three years of a middle school. To verify similar problems as these, 541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that organized three different ability-based mobile class for three years, and a middle school that have had no experience at all in these fields had been tested as subjects for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Helplessness Testing. To analyze the result, the Three-way ANOVA of Windows SPSS 12.0 was carried into effect and verified at the significant level was a = .05 . The fe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ents who were ability-based mobile class were less stressed out about exams and relations with teachers and friends than those who were not. Also, there were less instances of Learning Helplessness in the school where the students were ability-based mobile class. In the case of Academic stre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f you put together the results, it is stated that math classes extended for a long periods of time and achievement level classes that lowered the levels of learning helplessness were more effective to school life and the education. The regular classes that were not ability-based mobile classes were mostly stressed out by stress from exams and learning helplessness, in the case of the male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middle levels. In the case of the girls, there were no differences either, and in contrast, the girls from the higher levels seemed to experience less stress. In the class that were not ability-based mobile classes however, the high level male students seemed to experience more stress due to friend relationships than the others.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determined that the low level and middle level female students’ stress and learning disabilities need some help. We should also keep in mind the high level male students’ stress with their friends. It seems that students in the classes that were ability-based mobile classes were all vulnerable to stress and learning disabilities, regardless of gender but in the order from low to high. To keep on enforcing ability-based mobile classes, we must make sure that the low level students do not rebel against stress and learning helplessness. Since ability-based mobile classes by Academic Achievements are operating widely, we must work hard to find a good way to educate the students, using the effects of learning helplessness and academic stress on different genders and levels as a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