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상담치료전공대학원생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정미향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성찰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치료 대학원생의 교육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였고 상담전공 5학기차 이상 이수한 대학원생과 졸업생 8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자료를 획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12개의 하위구성요소와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긍정적 정서 경험’, ‘성숙한 관계형성’, ‘자기인식의 확장’, ‘전문상담가로의 도약’으로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상담전공 대학원생은 대학원 과정을 통해 자기성찰을 경험함으로써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관계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함하며 인간적으로 성장하고, 추후 전문상담자가 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f-reflectiv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therapy to provide specific data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counseling therapy 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ere mobili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data were obtained from 8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who had completed more than 5 semesters of counseling major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12 subcomponents and 4 componen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meaning was derived from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mature relationship building',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leap to professional counselor'.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experience self-reflection through graduate study, so that negative experiences change positively, that they recognize positive changes in relationships, that they grow humanely, and that they set goals to become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future. Finally, limitations related to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정경화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B시󰡐Y󰡑초등학교 재학생의 어머니 10명을 선정하여 이들 중 5명에게 17회기로 구성된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후로 어머니의 정서지능 검사, 가족건강성 검사, 동적가족화(KFD) 그림 검사를 하였다. 검사결과 분석은 SPSS WIN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대응표본 t 검정을 하여 양적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동적가족화(KFD) 그림 검사결과 분석은 행위, 양식, 상징, 역동성, 특성을 기준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정서지능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다. 둘째,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가족건강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다. 셋째,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동적가족화(KFD)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가족건강성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가족건강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가족건강성을 고려하여 구성한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어머니에게 적용함으로써 가족의 잠재력을 북돋울 수 있는 내면의 힘과 공감적 부모역량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mily health by implementing parent educ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10 mothers of students attending B-city ‘Y’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nd five of them were provided with a parent educ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consisting of 17 session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amily health test, and kinetic family drawing (KFD) test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est result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performing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paired t test using SPSS WIN 26.0. The analysis of kinetic family drawing (KFD) test results, which is difficult to confirm statistically, was analyzed qualitatively based on the actions, the styles, the symbols, the dynamics, and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 educ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parent educ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family health. Third, parent educ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has an influence on positive change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mily health in KF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mily health. Applying parent educ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mily health, it will help the mother have inner strength and empathic parent capacity that can enhance family's potential.

      •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공감, 감정표현불능, 자존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연주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공감, 감정표현불능, 자존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 시에 소재한 S 대학교의 대학생이다. 처치 집단은 상담 관련 학과 내에서 전공선택으로 개설된 ‘집단상담’ 수강생 26명이다. 통제집단 연구대상은 처치 집단과 동일한 학교의 대학생들로 상담 관련 학과 또는 유사 전공생 52명이다. 처치 집단은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에 주 1회, 매회 90분, 총 6주 동안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공감 척도,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집단 간 사후 점수들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으로 정리했고,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을 실시한 처치 집단의 효과성을 더 분명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공감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공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감정기술 어려움 수준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감정기술 어려움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반응’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인인 관점 수용과 정서적 공명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인(관점 수용, 정서적 공명)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반면 게슈탈트 관계성 집단상담을 실시했던 처치 집단의 감정표현불능의 하위 요인(감정 인식 어려움)과 대인관계의 하위 요인(공감적 관심)의 경우에는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on empathy, inability to express emotion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university student at S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26 students of ‘Group Counseling’, which was opened as a major selection within the department related to counseling. The study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were 52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as the treatment group and counseling-related departments or similar majors.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Gestalt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once a week, each time for 90 minutes, for a total of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empathy scale, the alexithymia scale, the self-esteem scale, and the interpersonal response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estalt group counseling, the differences in post hoc scores between groups were summariz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to more clearl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group that conducted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the response A sample t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Gestalt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empath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Gestalt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path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the difficulty level of emotional skills than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Gestalt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vel of difficulty in emotion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elf-esteem than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Fourth,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had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scores for 'interpersonal response' and the scores for perspective acceptance and emotional resonance, which are sub-factors, than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Gestalt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verall score and sub-factors (perspective acceptance, emotional reson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ub-factor of inability to express emotions (difficulty in recognizing emotions) and the sub-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pathic interest) in the treatment group that conducted Gestalt relational group counse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그림동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정숙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연령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그림동화를 활용한 미술치료로 언어능력을 향상시켜 학령기 아동발달에 있어서 언어 지체로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예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그림동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용·표현 어휘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그림동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구문이해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그림동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B시 D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아동이며 연구방법은 그림동화책과 미술치료 매체를 통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주 2회씩 13주에 걸쳐 총 25회기로 진행하였다. 1회당 60분으로 회기별 동화책 내용과 연구참여자의 활동과 반응을 기술한 활동지로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는 수용·표현 어휘력검사, 구문의미이해력 검사, 언어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사전, 사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그림동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대다수가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존감이나 자아탄력, 학교생활 부적응, 또래 및 사회성 부족 등 정서·행동 문제를 다룬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언어발달에 있어서 단순한 그림책 읽어주기에서 벗어나 그림동화책과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합한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연구 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language skills of school 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language development is slower for their chronological age through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and to prevent problems resulting from their delayed speech.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utilizing picture books on children with multicultral family backgrounds,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2)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ies 3) language problem-solving skill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a second grader from a multicultural family in D elementary school in B city. The researcher designed a program that combined picture books and art therapy mediums and provided the subject with two sessions a week for 13 weeks, 25 sessions in total. Each session lasted for 60 minutes, and different picture books and activity record sheets were used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subjec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experiment, the researcher tested the subject'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ies, and language problem-solving skills for pre- and post- comparison. The analysis showed that picture books were useful mediums for art therapy and helped improve the subject's language skills. Previous studies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ostly concentrated on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such as self-esteem, ego-resiliency, school maladjustment, peer conflict or lack of soci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therapy programs that actively make use of picture books as a art therapy medium can effectively impro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학찬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회기 중에 “짝 프로그램”을 일부 추가하였다. 대상 아동은 B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여학생으로 또래관계가 형성 되지 않는 어려움 등으로 의뢰되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B시 S 지역아동센터에서 2018년 10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주1 회 50분 동안 총 2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중 15회 ~ 20회기에 걸친 6회기 동안은 친사회적 행동 향상을 위해 또래와 함께하는 짝 미술치료를 실시 하 였다. 측정 도구로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선희(1991)가 개발하고 최영희 (2002)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내용을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사용하였던 것이며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Wrightsman(1974)가 사용한 이타성 척도, Eisenberg(1989)의 이타성 자기보고척도 및 Fey(1995)가 사용한 타인수용척도를 분석하여 정희원.김경연(2005)이 개발한 척도 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투사그림검사로는 동적학교 생활화(KSD)그림검사의 사전 . 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스트레스지각 검사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 자신문제, 가정생활에서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대인관계에서는 약간의 스트레 스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 척도 검사에서 전체적인 점수는 상승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보 및 자기희생 하위영역에서는 미미한 수준의 점수 하락이 나타났다. 셋째.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에서 나타난 친구와의 관계에 있어 변화는 긍정적이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짝지의 괴롭힘과 폭행으로 인하여 학교생활이 아동에게는 부정적인 장소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사전검사 때 보다 많은 친구가 표현되고 역동성이 보이는 등 학교가 긍정적인 장소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tress and prosocial behaviors of single parent family children by performing personal art therapy. And some “pair programs”have been added in this process. The target child is a 4th grade female student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B city. It was commissioned by the mother's request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peer relationship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held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for a total of 24 sessions from October 2018 to March 2019, once a week for 50 minutes. During the six sessions of 15 to 20 sessions of the program, art therapy with peers was conducted to improve prosocial behavior. As a measurement tool, it was developed by Park Sunhee (1991) to measure the stress of the child, and Choi Younghee (2002) reconstructed the contents used to measure the stress of the youth and used it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behavior of children, Jeong Hee Won and Kim Kyung Yeonwe analyzed the altruistic scale used by Wrightsman(1974), the self-report scale of altruistic by Eisenberg(1989) and the scale of other people used by FEY, And the developed scale was reconstructed by them(2005). The picture test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 test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pictu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showed a positive change in stress, which is a sub - area of stress perception, in school life, self - problem, and family lif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is a little but increased stress Second, the pro-social behavior scale tes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core, but a slight drop in scores on the concession and self-sacrifice sub-area. Third, the change of between friends was positive in the KSD picture test. In the pre-test, school life was a negative place for the child due to the bullying and assault of the partner. But in the post-test, it is seen that more friends are expressed and dynamism , and the school has changed into a positive place. In conclusion,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stress reduction and prosocial behavior improvement of child in a single parent family.

      • 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25-year-old female nursery teacher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B, who showed severe lethargy and low self-esteem due to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had alcoholism and insomnia. With the aim of reducing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clients, art 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25 sessions, 5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from January 2022 to April 2022.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client's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 program's job stress scale and Beck's depression scale (BDI)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 person in the rain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a projection pictu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helping to reduce stress. There were changes in stress reduction in all areas related to work, peer, administrative, parent, child, and environment, which are sub-areas of the job stress test. In addition, the PITR showed a decrease in overall stressors and a change in coping ability. Second,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n childcare teachers, helping to relieve depression. The degree of depression, which was measured as severe depression with a total of 27 points in the BDI pre-test, was 12 points in the post-test, showing a decreas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to a mild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verall in all areas of emotional, cognitive,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symptoms, each sub-area of the depression test, showing a positive change.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with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practical and specific art therapy practice data applicable to childcare teachers in similar cas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시 D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5세의 여성 보육교사로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감으로 인해 심한 무기력감과 낮은 자존감을 보이며 알코올 중독 증세와 불면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내담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에 목적을 두고 2022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주 1~2회 50분씩 총 25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내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직무 스트레스 척도, Beck의 우울척도(BDI)를 실시하였으며 투사 그림검사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를 실시하여 비교 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주었다. 직무스트레스 검사의 하위영역인 업무 관련, 동료 관련, 행정 관련, 학부모 관련, 원아 관련, 환경 관련 모든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감소 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에서도 전체적인 스트레스 요인의 감소와 대처능력 향상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우울 해소에 도움을 주었다. BDI 사전검사에서 총점 27점으로 심한 우울 상태로 측정되었던 우울 정도가 사후검사에서는 12점으로 가벼운 우울 상태로 우울정도가 감소되는모습을 보였다. 또한 우울검사의 각 하위영역인 정서적 증상, 인지적 증상, 동기적 증상, 생리적 증상 모든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있는 보육교사에게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사한 사례의 보육교사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미술치료의 실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상담이론과 실제’수업이 대학생의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영숙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대학생의‘상담이론과 실제’수업이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참여관찰법과 집단조사법으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독립검증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최종성적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은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가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을 통해 상담이론과 실제의 수업요인(정서적, 태도적, 인지적)과 공감능력, 대인관계, 최종성적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수업요인 중 정서적 요인인 대학생활만족도와 최종성적과 상관이 있었으며, 수업요인 중 태도적 요인인 수업태도의 경우 오프라인 개별 수업태도, 오프라인 조별 수업태도가 공감능력과 상관이 있었으며, 또 다른 태도적 요인인 과제의 경우 조별과제 점수와 공감능력과 상관이 있고 피상담 경험은 의사소통능력, 최종성적과 상관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요인 중 인지적 요인인 성적은 최종성적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상담이론과 실제의 수업요인(정서적, 태도적, 인지적)이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최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학년이 높을수록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최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이론과 실제의 수업요인 중 정서적 요인인 오프라인 수업만족도가 높을수록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요인 중 태도적 요인인 오프라인 조별 수업태도가 좋을수록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 집중도가 낮을수록, 피상담 경험보고서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온라인 집중도가 높을수록 최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요인 중 인지적 요인인 기말고사 성적이 높을수록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는 전공 선택 과목 수업을 통한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향상의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n-/offline blended class 'theories and practice of counselling' on college students' empathy,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including class factors(emotinal factors, attitude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dependent variables. For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for differences in empathy,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inal grade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found, i.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s in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ents in higher grade showed higher levels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ents with religions showed higher levels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an atheist counterparts. Secondly, analyse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class factors (emotional, attitude, and cognitive factors) and dependent variables/final grade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emotional factor)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inal grades, that as for attitude factor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off-line class attitude and empathy, between attitude to group activity in off-line class and empathy, between group project during off-line class and empathy, and between participation in personal counseling and communication/final grades, and that as for cognitive factors final grades(GPA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id-term/final exams scores. Third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al analyses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las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athy,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inal grades as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empathy level was influenced by grade (i.e. higher graders showed higher empathy), higher satisfaction with off-line class, final exam scores, that communication level was influenced by grade (i.e. higher graders showed higher empathy), lower level of concentration on on-line class, active participation in personal counseling, final exam score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not influenced by any predictor variables, and that final grades were influences by higher level of concentration on on-line class alone.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together.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improving empathy,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through regular courses in universities.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이민아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격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아동은 B시의 장애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7세 남자 아동으로 심리상담센터에서 실시한 K-WISC IV검사결과, IQ 58로 경도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에 정서조절능력이 부족 및 잦은 공격행동으로 인하여 또래 관계가 원만하지 않으며 자존감이 낮은 모습을 보여 부모님과 협의한 담임교사에 의해 의뢰되어 상담을 시작하게 되었다. 미술치료는 아동이 다니고 있는 어린이집 특성화실에서 2022년 12월 2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주 2회, 50분간 실시하여 총 25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Shield와 Cicchetti(1997)의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김정민(2013)이 번역하고 사용한 자기 정서조절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 정서조절능력 검사는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 척도로 나뉘고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공격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하여 국내에서 예비연구를 거쳐 표준화된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에서 정서적 반응성과 공격행동 척도를 사전·사후·검사로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부정적 정서를 신체로 드러내는 것이 감소하고 위축된 모습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변화가 있었다. 아동은 치료자의 공감적 태도와 감정인식 및 표현을 위한 다양한 매체로 활동하며 부정적 정서를 이완하였고 분노의 감정을 보이는 아동에게 치료사가 자기감정 인식, 생각하기, 행동하기로 단계로 나누어 질문하고 수용하고, 반영 및 지지하는 등의 개입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도 기능적 정서조절 점수는 증가하였고 역기능적 정서조절 점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감정조절의 어려움과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했으나 후기에는 욕구 좌절 시에도 적응적 의사표현이 증가하며 다양한 매체 활용을 통한 감정 표출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긍정적인 언어적 표현과 태도를 보여 공격성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의 미성숙한 감정표현을 미술활동을 통해 안전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돕고 감정을 이완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조절능력 향상과 공격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경도 지적장애 아동들이 자주 겪는 또래관계에서의 어려움과 좌절, 그로 인한 분노의 경험을 미술치료로 승화하고 자신의 내적, 외적인 자원을 찾아 긍정적 자아형성에도 도움을 주었다. 이는 유사한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reduction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target child is a 7-year-old male child attending a disability integrated daycare center in P City, and as a result of a K-WISC IV test conducted by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t was found to have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ue to the lack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frequent aggressive behavior, peer relationships are not smooth and self-esteem is low, so counseling was commissioned by the homeroom teacher who consulted with his parents.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rom December 2, 2022 to February 28, 2023, at the daycare center where children attend,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5 sessions.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emotional control ability test tool was used by Kim Jung-min (2013) translated and used by Shield and Cicchetti (1997)'s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The self-emotional control ability test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cales, and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pre-, post-mortem, and test.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CBCL), developed by Achenbach and Rescorla (2000) and standardized in Korea, was used. In this study, the attack behavior scale was compared, analyzed, and compared, projected, and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was a change in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peer relationships in which negative emotions were exposed to the body decreased and contracted. Children acted as various media for the therapist's empathy,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and controlled their behavior through interventions such as asking, accepting, reflecting, and supporting children who relax negative emotions and show anger emotions. In the pre- and post-test, the functional emotional control score increased and the dysfunctional emotional control score decreased. Second,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arly days, it was difficult to control emotions and aggressive behavior, but in the late stages, adaptive expression of intentions increased even when frustrated, and aggression decreased by showing positive verbal expressions and attitudes to one's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various media.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safely express immature emotions through art activitie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otional control and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practical and specif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children with similar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