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피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복합혼합물을 함유한 화장품 제조 및 임상 효과

        이은경 남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피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복합혼합물을 함유한 화장품 제조 및 임상효과 이은경 지도교수: 정숙희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화장품은 다양한 성분이 들어간 복합물의 집합체로써, 천연물의 복합물의 효과간섭을 확인하고, 그 효능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 혼합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확인하고, 피부임상을 통해 미용 및 화장품산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천연복합혼합물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초임계추출로 녹차, 수증기증류 추출로 미나리, 깻잎, 초피의 정유, 에탄올 추출로 우엉, 와송, 갈근을 같은 비율로 혼합하였다. MTSassay를 사용하여 각 추출물과 천연복합혼합물을 RAW 264.7 세포에서 독성을 확인하여 안정한 농도인 100 ug/mL에서 진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개별 추출물 중 초피정유가 100 ug/mL에서 91.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복합혼합물은 100 ug/mL에서 93.15%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개별 추출물 중 초피정유가 81.0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복합혼합물은 100ug/mL에서 85.16%의 활성도를 나타냈다. NO 생성 억제는 개별 추출물 중 와송이 100 ug/mL에서 71.6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복합혼합물은 100 ug/mL에서 75.19%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천연복합혼합물을 Cytokine assay 중 TNF-α, IL-1β, IL-6를 확인해 본 결과 TNF-α 62.12%, IL-1β 74.92%, IL-6 40.06%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실험을 기반으로 천연복합혼합물을 함유한 클렌징과 에센스를 피부임상을 진행한 결과, 포피린 감소, 모공 축소, 멜라닌색소 감소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천연복합혼합물이 세포실험에서 항산화와 항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피부임상결과 미용 및 화장품산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발도르프 교육사상에 의한 심상표현 지도 방안

        이은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eaching policy for expression of image according to Waldorf educational ideology - Focusing on 4thgradestudentinelementaryschool Eun-Kyung Le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ung,Byung Guk ) ABSTRACT A fine art is a realm of arts that create and develop visual impression or idea through the visual and formative language, and the education of its aims to foster whole man able to succeed and develop art culture as well as to promote aesthetic attitude of feeling and enjoying the beauty of world, and to improve imagination, critical ideas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However, in the reality of Korea, such true goals of fine art is just textbook or theory, so that our students need the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 by experiencing real art and by cultivating their emo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art education, this research has a goal to apply the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based on Steiner educational ideology in the art education of Korea. Steiner educational ideology argues the education for whole man focusing on internal world of human through art education. Based on such an ideology, Waldorf school provides the education relevant to achieve true goal of human since his or her birth through practicing education art, education based on art for a long tim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Waldorf art education is effective to Korean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or not, this research evaluated following subjects by developing a draft of lesson based on the theory of education art and art education of Waldorf: 1)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est of 4th grade children of Korea in art course. 2)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4th grade children of Korea. 3)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ression of image of 4th grade children of Korea. As a result, Waldorf art education did not mak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est and aesthetic experience of above students but did mak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image expression of children. Even though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is result according to applied institutions and subject, this suggests an important thing the art education of Korea has to follow. First, the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provided the opportunity of spiritual joy and free expression to our students. Second, through the hydro water color painting, one of the art course of Waldorf school, the students overcame the fear of free expression and was not deterred by form. Third, the art education of Waldorf is not separated from other courses and is useful i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urth, the art education is useful to improve creativity, imagination, and aesthetic sensitivity of art teachers by themselves. 발도르프 교육사상에 의한 심상표현 지도 방안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이은경 미술은 시각적 느낌이나 생각을 시각적 조형 언어를 통하여 창조, 발전시켜 나아가는 예술의 한 영역으로 미술교과 교육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주변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 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이러한 미술의 본질적인 목적은 교과서와 한낱 이론에 불과하기에 우리 학생들에게는 진정한 예술을 체험하고 예술을 통해 정서를 함양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을 토대로 한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을 우리나라 미술교육에 적용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슈타이너 교육사상은 예술교육을 통해서 인간의 내면세계를 중시하는 전인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같은 이념아래 슈타이너가 세운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오래전부터 예술을 교육의 근간으로 하는 교육예술을 실시해 옴으로써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 날 때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목적을 그대로 성취할 수 있는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도르프 미술교육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4학년생에게 유효한지를 알아 보기위해 교육예술론과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을 토대로 한 수업 안을 작성하여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보고 아래와 같은 사항을 검증해 보았다. (1)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2)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미적체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3)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심상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결과 발도르프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에게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미적체험에는 영항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아동의 심상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적용 기관과 대상에 있어서 일반화하는 데는 제함점이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 미술 교육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 학생들에게 정신적인 즐거움과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둘째, 발도르프 학교 미술교육과정의 하나인 습식 수채화 수업을 통하여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 주었다. 셋째,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따로 떨어져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에 유용하다. 넷째, 발도르프 학교에서 미술교육은 교사 스스로 창의성과 상상력과 미적 감수성을 일깨우려고 노력하게 한다.

      • 어린이 피아노 교육의 올바른 연주자세 연구

        이은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re are many kinds of writing and reports widespread on basic technique of playing the piano. We hav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t when we look into the circumstances of the present piano education in Korea. In about the 1700s, many musicians had tried to develop the organ-style instrument for a piano with an interest in music for a piano. At the beginning, the attitude of playing the piano focused on developing the various techniques. Howev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ccording to the musical stream of tone color, many musicians placed an emphasis on how the player poses his/her attitude, shoulders and arms, hand-wrist and hand-back, naturally making a more precise change. Even though such a surprising development of piano education technique and methodology were achieved, the writer found the truth which learners have acquired wrong technique for playing the piano due to the learner's emotional elements and bad environments of transferring of attitude knowledge for playing the piano. Such a tendency for wrong attitude is applied for not only children but also adolescents and adults. It must be considered adolescent and adults to re-begin to play the piano lesson, even though the steps of the ages are various, most cases children learn to play the piano at the basis level for the first time. But when we consider learners' ages, they have various steps of ages. Learners need repetitive practice experience more than they expected to learn correct attitude, and also need adaptable ability and right technique. When a teacher guide the learner how to play the piano for the first time, he/she choose the simple melody to play at every music books. But as the piano lesson, continues learners naturally approach the harmony of musical pieces of a little high level of rhythm through practicing simple melody. While western music is made up of three parts; rhythm, melody and harmony. Learning a piano means that learners naturally learn to access rhythm, melody and harmony as a process of learning western music.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learners to study the basic attitude of melody and harmony produced by the various kinds of interval. For example, we can find the truth that adult learners, including over middle aged learners, sometimes persist to use their wrong playing techniques for a piano and they try not to change it when they had already learned for the first time a long time ago. The second, in children's case they try to develop only a high level of technique for playing the piano with the unstable attitude of learner's finger muscles. Now the new direction for piano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completion of flexible technique to correct the basic, wrong attitude, including change. The third, photos materials with the practical procedures of correct attitude will be showed on the more precise and right technique for playing the piano through five years' experience. Each photo on wrong technique for playing a piano is suggested and explained on the concrete correct attitude. These are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technique. The fourth, in the basic step of playing the piano, sometimes a teacher is apt to commit some mistakes by monotonous cram study or cram practice for a piano lesson, putting aside the direction of the right attitude for it. In conclusion, this report is focused on suggesting some good techniques with various correct attitude to give learners self-conceit and satisfaction during a piano lesson through "The Study on Wrong Attitude and Correct Technique of Playing the Piano", targeting on the effective Correct Methodology for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including over Middle Aged-Learners.

      • 유치원교사의 아동권리인식 및 아동권리존중실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광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인식 및 아동권리존중실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존중실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 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 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이명 순(2012)의 연구에서 황주현(2017)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아동 권리존중실행을 측정하기 위해 김진숙(2009)이 개발하고 이은경(2018)의 연구 에서 수정‧보완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 측정을 위해 유 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ekamp & Apple, 1986; Howes & Smith, 1995) 를 토대로 이정숙(2003)이 개발하고 황주현(2017)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 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존중실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아동권리존중실행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 유치원 교사를 위한 아동권리인식에 대한 교육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수립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 '2007 개정 교육과정' 문법영역에 대한 분석적 고찰

        이은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Curriculum is the most basic guidance that teachers perform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A textbook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curriculum, thus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is adopted. That is to say, curriculum has abstract and global contents, but this is concretely realiz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in classroom. So it is necessary to verify that curriculum is appropriate and valid without reference to the size of change. If curriculum is not appropriate, textbook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at curriculum also may be inappropriate.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on February, 2007. It is named as '2007 Revised Curriculum' in a sense of partial regulation-complement without striving for the full change of existing curriculum. Now studies on grammar section in ‘2007 Revised Curriculum’ have been done usually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such as the problem of revisory process, the direction of grammar curriculum, the improvement, and so 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grammar section in '2007 Revised Curriculum' on the side of selecting, organizing, and describing contents, and considered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grammar sectio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students between 1st and 10th grade, and kept an eye on its change by usually comparing with grammar section in the 7th curriculum. As the result of examining '2007 Revised Curriculum', contents related to media were added, and contents related to statement were emphasiz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on the side of selecting contents. Content system was reconstructed with categories of knowledge, investigation, reality, and coherence, and it was difficult to rationally explain the change of content system on the side of organizing contents. Also the arrangement of learning contents in each grade took on a different aspect from the 7th curriculum,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t viewpoint from the 7th curriculum was assumed. ‘2007 Revised Curriculum' acquired more concreteness and definitude than the 7th curriculum with suggesting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example of content factor’ together, and using action verb frequently when suggesting learning contents on the side of describing contents.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tent faithfully by selecting it from grammar section in ‘2007 Revised Curriculum’ as the primary data. Now the revised curriculum is at the introduction stage, so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discussion as it is applied to schools. 교육과정은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교수·학습활동을 해나가는 가장 기본적인 지침이다. 교육과정의 내용에 따라 교과서가 개발되며, 그에 따라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채택 된다. 즉 교육과정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내용이나 이것은 교실의 교수·학습 상황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과정은 그 변화가 크든 작든 간에 변화의 방향이 적정하고, 타당한 것인지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교육과정이 적절하지 못하다면 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교과서, 교수·학습방법 또한 모두 적절하지 않은 못한 것이 되고 말 것이다. 2007년 2월 개정 교육과정이 공고 되었다. 기존 교육과정의 전면적 변화를 꾀하지 않고, 부분적인 수정·보완의 의미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이라 명명하고 있다. 지금까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에 대한 연구는 개정과정의 문제점, 문법 교육과정의 방향 및 개선점 등 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 내용의 선정, 조직, 기술의 측면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1~10학년의 국어과 교육과정 내 문법 영역이며, 주로 7차 교육과정 문법 영역과의 비교를 통해 그 변화에 주목하였다. 내용 선정의 측면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 관련 내용이 추가 되었으며, 담화 관련 학습내용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했다. 내용 조직의 측면에서는 내용 체계가 지식, 탐구, 실제, 맥락의 범주로 재구성되었는데, 내용체계의 변화에 대한 합리적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학년별 학습 내용 배열이 7차 교육과정과 다른 양상을 보여 7차 교육과정과 다른 관점이 전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내용 기술의 측면에서는 학습 내용을 제시할 때 ‘성취기준’과 ‘내용요소의 예’를 함께 제시하고, 행동 동사를 자주 사용하여 7차 교육과정보다 구체적과 명확성을 획득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문법영역의 학습내용을 1차적인 자료로 택하여 충실히 이해하는데 주력하였다. 개정교육과정은 현재 도입단계에 있으므로 앞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되면서 더 많은 논의가 진행되리라고 본다.

      • 한국십진분류법 심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이은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KDC,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akes an important role in libraries. But while knowledge is developing in accordance with our society, KDC cannot catch up with it because it has not been revised since 1996 which is 10 years ago. Especially with classifying literature in psychology, the subdividing classification item has an unreasonable structure and it requires the necessity of redistributing subdivision expansions according to the relative studies. Now it is classified with general psychology and parapsychology which are theoretical grounds in psychology, and applied psychology which has an expanding study are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However, in applied psychology it is difficult to classify literature because it does not suggest any subdivision items. And it shows an inconsistency of classification structure as well because counseling, an applied area developed from Psychology, is classified in sub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 theoretical characterization and research field in psychology, and to analyze and compare its classification structure with KDC, DDC, LCC, NDC, UDC, and PsycINFO CS which i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Furthermore, this study has suggested an alternative classification method of KDC in psychology. First, classifying literature by theory and applied field with satisfaction to the study field.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has classification items mostly about theories of general psychology. And it is inconsistent as studies in applied psychology are subdivided by relative theme. Therefore this study has taken the psychology area which is applied to the applied study as an example and subdivided applied psychology items according to that. Second, like DDC and NDC, physiological psychology and clinical psychology are subdivided as one item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categorize new themes. Third, counseling psychology, a sub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has been subdivided in applicable psychology because of the expansion of applied area. Fourth, the classification terminology affected by NDC has been revised into that of DDC and PsycINFO CS since the latter was made at the time when psychology emerged. For instance, 'abnormal' used in abnormal psychology in KDC and NDC has been changed into 'mental disorder' or 'mental psychopaedic' which is general and scholastic terminology. Fifth, psychology in KDC has clear divisions such as abnormal psychology, clinic psychology, etc., but it does not have enough subdivisions. Therefore this study has expanded subdivisions while 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 items of LCC, DDC, and PsycINFO CS since they have sufficient expansion. Sixth, NDC and KDC affected by DDC shows an inconsistency in classification by subdividing same level studies into different levels of subdivision. So this study offers room for future insertion of new themes. 도서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인 KDC는 현대사회가 발달하고 더불어 학문이 발달함에도 불구하고 10여 년 전인 1996년에 개정된 이후 개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최근 동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심리학 분야의 문헌을 분류해 보면, 분류항목의 전개가 불합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학문영역별 세목전개에 있어서 재배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KDC 심리학 분야는 심리학 분야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 일반심리학과 의사 심리학을 중심으로 분류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학문의 발달로 인하여 심리학의 응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나 응용심리학이라는 항목만을 두었을 뿐 세목이 전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심리학의 개론서와 응용서의 위치가 각각 다른 주제 분야에 배치되어 있으며, 심리학에서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한 응용학문인 상담학의 경우 임상심리학의 하위세목에 전개되어 있어 분류구조의 계층성에 부합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심리학의 학문적인 특성과 연구영역을 고찰하고 KDC를 비롯한 DDC, LCC, NDC, UDC, 그리고 미국심리학회의 분류체계인 PsycINFO CS와 심리학의 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KDC 심리학 분야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문체계에 따르되 이론과 응용분야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기존의 분류체계는 이론중심인 일반심리학의 항목위주로 분류되어 있다. 특히 응용심리학의 일반은 심리학에서 세부전개가 관련 주제 아래 전개되므로 분류체계가 이원화되고 있다. 현대 응용학문에 적용되어지고 있는 심리학의 분야를 반영하여 응용심리학의 항목에 전개해 나가도록 하였다. 둘째, DDC와 NDC처럼 새로운 주제의 삽입, 전개가 가능하도록 생리심리학의 항목을 임상심리학과 함께 하나의 목으로 전개하여 임상심리학의 성격을 분리하지 않고 통일성 있게 전개하였다. 셋째, 임상심리학의 하위에 있는 상담심리학을 그 응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응용심리학의 세목에 구분하여 전개성을 넓혔다. 넷째, NDC의 영향을 받은 분류용어들을 학문의 생성과 동시에 개발된 DDC나 PsycINFO CS의 분류용어들을 우리 실정에 맞게 반영하였다. KDC와 NDC는 이상심리학의 분류용어가 ‘이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일반적이고 학술적인 용어인 ‘정신병리’ 혹은 ‘정신장애’라는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다섯째, KDC의 심리학 분야는 이상심리학, 임상심리학 등의 구분이 명확하나 전개가 간략하다. 따라서 전개력이 풍부한 LCC, DDC, PsycINFO CS의 분류항목들을 참고하여 그 전개성을 확대시켰다. 여섯째, NDC와 KDC의 경우 동등한 학문을 하위항목에서 전개하고 있는데 이는 분류의 학문적 계층구조가 맞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여 신주제의 삽입에 대한 전개의 여유를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