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주거지 주민의 정주의식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영통지구 거주주민 조사 중심으로
이은경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과거의 주거란 사람들이 휴식하고 만족하며 피난처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욕구와 갈망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상태에 의해 형성되었다. 하지만 산업화와 함께 이루어진 도시의 급속한 성장은 인구증가 현상을 야기 시켰고, 이로 인해 많은 주택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특히 서울의 인구 집중 현상은 토지 공간의 부족에 따른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인해, 서울 주변지역이 이동 대상지역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서울 주변지역은 서울과의 높은 접근성과 낮은 지가와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면서 대규모 택지 개발에 의한 아파트 중심의 신주거지가 건설되었다. 신주거지가 형성되면서부터 최근 신도시 건설에 있어서의 신주거지는 주거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투자가치로써의 비중이 점차 증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수도권 신도시의 사례연구, 그리고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신주거지의 주민 특성을 분석하고 정주요인으로 예상되는 이유를 조사하여, 주민의 정주의식이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신주거지에 대한 개발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민의 정주의식이 미래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신주거지 주민의 주거이유, 투자가치 등 어떠한 요인들이 정주의식에 필요한지 수원시 영통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 정주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근무지와 가까운 거리가 높게 나타났고, 투자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지와 가까운 거리와 투자가치가 주거이동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정주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거주하고 있는 인접지역에 신주거지역이 건설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주변지역과 연계되는 광역교통체계와 대중교통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민의 정주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역교통체계와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정주의식 변화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정주의식은 유동적이므로 지역주민의 개인적 삶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건에 의해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이 향상 될 것이다. 정주의식이 부족하면 지역지체간 일체감이 상실되어 지역발전이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이 지역발전을 위한 전제일수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가 수행해야 할 최대의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영통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에 필요한 영향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주거지 주민들이 지역에 대해 정주의식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자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고, 주거이동 걱정 없이 이곳에 정착하여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교통, 교육, 지역경제를 포함한 물리적 환경개선이 필요하며, 지방정부의 적실성 있는 정책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비록 수원시 영통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는 있으나,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이 도시발전에 필요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정주의식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
이은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ere are many kinds of writing and reports widespread on basic technique of playing the piano. We hav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t when we look into the circumstances of the present piano education in Korea. In about the 1700s, many musicians had tried to develop the organ-style instrument for a piano with an interest in music for a piano. At the beginning, the attitude of playing the piano focused on developing the various techniques. Howev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ccording to the musical stream of tone color, many musicians placed an emphasis on how the player poses his/her attitude, shoulders and arms, hand-wrist and hand-back, naturally making a more precise change. Even though such a surprising development of piano education technique and methodology were achieved, the writer found the truth which learners have acquired wrong technique for playing the piano due to the learner's emotional elements and bad environments of transferring of attitude knowledge for playing the piano. Such a tendency for wrong attitude is applied for not only children but also adolescents and adults. It must be considered adolescent and adults to re-begin to play the piano lesson, even though the steps of the ages are various, most cases children learn to play the piano at the basis level for the first time. But when we consider learners' ages, they have various steps of ages. Learners need repetitive practice experience more than they expected to learn correct attitude, and also need adaptable ability and right technique. When a teacher guide the learner how to play the piano for the first time, he/she choose the simple melody to play at every music books. But as the piano lesson, continues learners naturally approach the harmony of musical pieces of a little high level of rhythm through practicing simple melody. While western music is made up of three parts; rhythm, melody and harmony. Learning a piano means that learners naturally learn to access rhythm, melody and harmony as a process of learning western music.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learners to study the basic attitude of melody and harmony produced by the various kinds of interval. For example, we can find the truth that adult learners, including over middle aged learners, sometimes persist to use their wrong playing techniques for a piano and they try not to change it when they had already learned for the first time a long time ago. The second, in children's case they try to develop only a high level of technique for playing the piano with the unstable attitude of learner's finger muscles. Now the new direction for piano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completion of flexible technique to correct the basic, wrong attitude, including change. The third, photos materials with the practical procedures of correct attitude will be showed on the more precise and right technique for playing the piano through five years' experience. Each photo on wrong technique for playing a piano is suggested and explained on the concrete correct attitude. These are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technique. The fourth, in the basic step of playing the piano, sometimes a teacher is apt to commit some mistakes by monotonous cram study or cram practice for a piano lesson, putting aside the direction of the right attitude for it. In conclusion, this report is focused on suggesting some good techniques with various correct attitude to give learners self-conceit and satisfaction during a piano lesson through "The Study on Wrong Attitude and Correct Technique of Playing the Piano", targeting on the effective Correct Methodology for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including over Middle Aged-Learners.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 세대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이은경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문초록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지역 세대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조리교육전공 이은경 지도교수 박계영 한국은 농업의 발달로 쌀과 잡곡을 주식으로 하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수산물이 풍부하고, 조·육류와 채소류를 이용한 조리법과 함께 장류, 김치류, 젓갈류 등의 발효식품의 개발로 식품저장기술도 일찍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핵가족화 등이 우리 식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전통음식이 외면되고 있으며, 각종 의례음식도 간소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성인병의 발생률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민 건강을 위협시키고 있다. 최근 한류바람을 통해 한식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도 과학적으로 우수성이 입증되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한국 전통음식이 세계로 널리 퍼지는 것은 우수성을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이에 관련된 연구는 특정 인구학적요인에 관련된 연구만이 진행되어 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대별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비교하여 각 세대에 맞는 전통음식의 개발 방향과 계승·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음식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10대에서는 ‘왕실반가의 화려한요리, 20대에서는 ‘명절음식 또는 절식’이라고 답한 반면, 30대와 40대에서는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음식’ 이라고 응답하여 세대별 차이를 보였다.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에서는 10대와 20대에서 ‘별로 관심없다’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매스컴을 통해서‘ 전통음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전통음식을 주로 먹는 때는 10대-30대에서 ‘명절’로 가장 많았으며, 40대 이상에서는 ‘평소에’ 주로 먹는다고 응답하였다. 전통음식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서는 ‘우리 고유의 음식이기 때문’에 전통음식을 훌륭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상해서’ 전통음식이 훌륭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하였다. 전통음식 개선방법에서는 ‘맛’이 가장 많았으며,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새로운 조리법을 개발해야 한하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통음식을 더욱 계승하고 발전시켜야한다고 묻는 질문에서는 10-30대에서 ‘약간 그렇다’고 대답하였으며, 전통음식의 발전을 위해서는 10대, 20대에서는 편의 식품화를, 30대에서는 다양한 상품개발, 40대 이상은 정부의 홍보를 발전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할 점으로 선택하였다. 전통음식의 기호도조사결과 밥류에서는 비빔밥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흰밥은 30대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며, 10대와 20대에서는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류의 경우 호박죽이 가장 높았으며, 면류는 냉면의 기호도가 높았고, 모든 연령층에서 다른 음식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류의 기호도 조사결과 만둣국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탕류의 경우 추어탕의 경우 모든 세대에서 낮게 나타났다. 찌개류에서는 김치찌개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30대와 40대 이상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골류에서는 쇠고기전골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신선로가 10대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조림류의 경우 장조림이 가장 높았으며, 콩조림의 경우 10대, 20대에서 낮게 나타났다. 볶음류의 경우 오징어볶음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40대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야채볶음의 경우 30대에서 가장 낮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이 및 찜류에서는 갈비찜이 가장 높았으며, 전류의 기호도조사결과 완자전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김치류에서는 배추김치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나물류는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콩나물순으로 나타났으며, 취나물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젓갈 장아찌류에 대한 조사결과 오징어젓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떡류의 경우 인절미가 가장 높았으며, 송편, 경단, 증편순으로 나타났다. 과정류의 조사결과 약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청류의 경우 식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결과 30대, 40대 이상에서는 전통음식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10대, 20대의 관심도는 낮게 나타났다. 전통음식이 일반적인 식사형태이기 때문에 30대 이상에서는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세대가 낮아질수록 많이 접해보지 못한 경우가 많아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시사점을 제시하면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에서의 전통음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사료된다. 전통음식의 조리방법이 복잡하다고 응답한 결과가 가장 많았으며, 전통음식이 훌륭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식상해서’, ‘맛이 없어서’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전통음식의 우수성을 인식시키고, 전통음식을 이용한 다양한 조리법 개발과 조리법의 간소화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매스컴이나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가공식품 개발로 현대인이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발전시켜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세대별 한국 전통음식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하고 전통음식의 이해를 넓혀 앞으로 진행되어질 전통음식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피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복합혼합물을 함유한 화장품 제조 및 임상 효과
국문초록 피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복합혼합물을 함유한 화장품 제조 및 임상효과 이은경 지도교수: 정숙희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화장품은 다양한 성분이 들어간 복합물의 집합체로써, 천연물의 복합물의 효과간섭을 확인하고, 그 효능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 혼합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확인하고, 피부임상을 통해 미용 및 화장품산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천연복합혼합물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초임계추출로 녹차, 수증기증류 추출로 미나리, 깻잎, 초피의 정유, 에탄올 추출로 우엉, 와송, 갈근을 같은 비율로 혼합하였다. MTSassay를 사용하여 각 추출물과 천연복합혼합물을 RAW 264.7 세포에서 독성을 확인하여 안정한 농도인 100 ug/mL에서 진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개별 추출물 중 초피정유가 100 ug/mL에서 91.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복합혼합물은 100 ug/mL에서 93.15%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개별 추출물 중 초피정유가 81.0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복합혼합물은 100ug/mL에서 85.16%의 활성도를 나타냈다. NO 생성 억제는 개별 추출물 중 와송이 100 ug/mL에서 71.6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복합혼합물은 100 ug/mL에서 75.19%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천연복합혼합물을 Cytokine assay 중 TNF-α, IL-1β, IL-6를 확인해 본 결과 TNF-α 62.12%, IL-1β 74.92%, IL-6 40.06%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실험을 기반으로 천연복합혼합물을 함유한 클렌징과 에센스를 피부임상을 진행한 결과, 포피린 감소, 모공 축소, 멜라닌색소 감소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천연복합혼합물이 세포실험에서 항산화와 항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피부임상결과 미용 및 화장품산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 :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
이은경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trength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and Moderating Role of Internal Attribution Graduate Schol of Peace & Security‧Counseling Psycholgy Sangji University Counseling Psychology Major Lee Eun-Kyeng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and moderating Role of Internal Attribution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e perception of strength i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targeting 208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and Internal Attribu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ir perception of strength. It was cla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inclination of Internal Attribution, and the perception of strength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we used Model 4 of Hayes (2020) SPSS PROCESS macro to confirm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parameters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support and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results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in relation to the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This means that social support can directly affect cognition of perception of strength, but it also indirectly affects self-accepta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nal Attribution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trength, the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of university students are recognized only in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strength. The effect of adjusting the Internal Attribution was noted. Social support in low or average populations with low Internal Attribu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impact on 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a high tendency for Internal Attribution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of strength regardless of social support. This means that for students with a low tendency to Internal Attribution,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raising awareness of their perception strength. Fourth, analysis using Model 5 of Hayes (2020)'s SPSS PROCESS macro to examine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parame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he conditional effect was noted when the Internal Attribution was low or average.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in various direction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raise perception of strength, it is necessary to seek social supporters and consider self-acceptance attitudes together. Students with low Internal Attribution propensity also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fferent interventions in perception of strength, based on the result that social support is a strong precursor to perception of strength. key word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trength,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internal attribu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내 4년제 대학교의 재학 중인 대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은 모두 강점인식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 강점인식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수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만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다. 내적 귀인성향이 낮거나 평균인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반면 내적 귀인성향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 지지와 관계없이 높은 강점인식 수준을 보였다. 이는 내적 귀인성향이 낮은 학생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에 대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5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내적 귀인성향이 낮거나 평균의 경우 조건부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강점인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강점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원을 찾아주고, 자기수용 태도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내적 귀인성향이 낮은 학생은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의 강력한 선행변인이 된다는 결과에 따라, 대학생의 귀인성향에 따라 강점인식의 개입방법이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주요어 : 대학생, 강점인식,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