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 부진아를 위한 기초학력진단 시스템 연구 : 초.중등학생 중심으로

        송성영 목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5

        국민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여 세계화·정보화·다양화를 지향하는 교육체제의 변화는 교육의 양적인 팽창을 급속하게 가져왔으나 질적 저하를 초래하였다. 이런 현상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의 결과로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이 증가하게 되었고,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이라는 관점에서 모든 학생이 최소한의 기초 학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기본학력 책임지도제라는 운영계획을 학교급별로 수립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기초학습기능에 결손이 있거나 교과별 최소 학업성취수준에 미달하는 기초학력부진학생의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기초학력이 부족할 경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결손의 정도가 누적 심화되어 학습활도에 흥미를 잃게 되고 정상적인 학습활동은 어려워지는 등 학습권 제약은 물론 성인이 된 후에도 기능적 문맹형태로 이어져 개인적으로 불행한 삶과 연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학과의 사칙연산과 분수, 소수를 중심으로 첫째, 기본 단계를 학생 등록과 동시에 학습단계에 맞춰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기초학력 진단결과를 평가와 동시에 기록함으로써 현재의 능력에 알맞게 단계를 재조정하고 요구수준을 낮추어 단계적으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둘째, 학생은 연습문제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을 할 수 있으며, 단계보기를 통해 진행단계를 인식하면서 진단평가를 실시할 수 있으며, 셋째, 가정교육과의 연계 면에서 학부모는 자기자녀에 대한 기초학력진단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열람 할 수 있어 보충지도 및 보상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고, 넷째, 교사는 학생 개개인에 대한 전 항목, 전 단계의 내용 열람과 입력 및 수정 등 진행 단계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항목별 학습단계가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체계적이면서도 정확한 진단으로 올바른 처방을 할 수 있도록 UML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분석 체계화하고, 비주얼 베이직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효율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비주얼 데이터 관리자를 활용하여 기초학력 진단시스템을 개발 구현하였다. Meet in various desire of people and change of education system that intend Globalization·information·diversification brought quantitative swelling of education festinately but caused qualitative decline. A student who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is insufficient by result of various cause including this phenomenon increased, and reached to establish operation plan that is foundation·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responsibility map emperor to make all students can possess minimum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in vantage point of substantiality of foundation·basis education by School dimension In case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slump student's problem which loss is or is short in subject smallest studies accomplishment level to primary subject moisture royal tomb in education spot present becomes serious rawly and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is insufficient, according as school year rises, degree of loss loses interest in accumulation deepened busywork and can be connected and associate with unhappy life individually in functional illiteracy form after become restriction as well as adult of right that is studied that normal busywork is felt constraint. Therefore, This treatise is four arithmetical operations and a fountain, decimal as the central figure with mathematics First, establish because setting basis step in studying step at the same time student registration, and do so that can worm with database and reset stage and lower request level and feel sense of accomplishment gradually suitably in present ability recording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diagnosis result at the same tine estimation Second, a student can execute diagnosis estimation as can do own leading busywork through exercise, and recognize progress step through step example Third, in link aspect with home training students' parents particularity about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diagnosis result about own children because can do inspection by supplementation guidance and compensation activity be connected can, Fourth, teacher did to do whole administration about progress step such as all item student's each person, contents inspection of all step and input and correction, and so that can do right formula by diagnosis that item studying step is systematic and correct being linked to database Using UML system that analyze and systematize, and detail using Visual Basic develop, and develop and embodied bas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diagnosis program because using visual data administrator to manage efficient data base.

      • 개별화 수업을 통한 아동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관한 실행 연구

        김연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18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초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읽기 능력 진단 및 개별화 수업을 실행한 후 결과를 검증한 실행 연구이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문제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다문화 배경 아동의 읽기 능력이 일반 가정 아동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나 외부 교육으로 보상이 가능하다는 점과 아동마다 언어 발달정 도, 한국어 능력 수준, 읽기 하위 능력이 다르므로 사전 진단을 통한 개별화 수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Ⅱ장에서는 읽기 능력과 개별화 수업의 개념 정의 및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읽기 능력을 정의하고 학생 개개인의 입국 시기, 배경지식, 한국어 수준 등의 특성과 같이 한국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개별화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수업 설계 과정을 제시했다. 연구 참여자의 기본적인 정보와 한국어 교육 노출 정도, 학습 및 생활 태도, 가정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읽기 능력 향상 개별화 수업의 설계의 기본 바탕이 되는 실행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7명의 연구 참여자를 두 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0차시씩, 총 20차시의 수업을 계획하고 수업에서 활용할 도서 목록 선정 기준 7가지와 도서 선정의 이유를 밝히고 회차별 활동 내용을 소개하였다. Ⅳ장에서는 개별화 수업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도구인 KOLRA 한국어 읽기 검사와 기초 학력진단 검사를 소개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하여 개별화 수업의 정량적 효과를 분석했다. 그리고 수업 회차별 관찰 일지와 학습자와의 면담을 토대로 개별화 수업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밝힘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 방법과 교육적 효과

        오수진 대전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04

        사이버 교육은 더 이상 미래의 추상적인 교육방법이 아닌 현재의 또다른 교육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사이버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시-도 뿐 아니라 여러 교육관련 기관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16개 시-도 교육청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이라는 사이트를 개설하여 무료로 운영하는 등 사이버 교육을 현 교육에 적절히 접목시켜 활용하여 있다. 여러 가지 매체 중에서도 요즈음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매체가 인터넷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과 자기주도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사이버 가정학습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하여 사이트의 운영 방법을 알아보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분석하여 운영 및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대전의 초등학생 5학년 60명, 초등교사 100명, 5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둘째, 교육자원의 공유를 통해 사교육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 주도,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통해 아동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기름과 동시에 사고하는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아동-교사-학부모의 연계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가정학습은 아동이 스스로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아동-교사-학부모가 연계되어 함께 학습하는 이상적인 학습의 형태로 거듭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아동-교사-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그러한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교사는 학교급에서의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적극 활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아동과 학부모 역시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습의 장인 동시에 대화의 창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활용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물리학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윤현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학생들의 물리학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한 첫 단계로, 타당화된 물리학 기초학력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과학과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기반 문항과 물리 오개념 문항을 포함한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문항은 5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 29인 및 물리교육전문가의 검토를 통한 타당화 과정을 거쳤고, 이후에 학생 연구참여자 747명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되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개발한 진단도구는 교육과정기반 문항 68개와 오개념 문항 20개로 구성 되어, 학생이 고등학교 물리학 학습에 필요한 시작점으로써 적절한 수준의 과학 성취도를 지니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교육과정기반의 문항이 물리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판별해내는 적절한 진단도구임이 확인되었고, 반면에 오개념 문항은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판별하기에 적절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타당화 된 교육과정기반 문항의 구분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의 물리학 기초학력 부진 여부를 판단하고, 개별 학생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이 학습 곤란을 겪는 물리학 성취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의 물리학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물리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기초학력책임지도제 실천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지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9519

        전환점에 놓여 있는 변화와 혁신의 시대에 재건과 변혁의 기반인 교육 의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다. 신학력관, 학습주의, 절대평가로의 움직임과 함께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력 저하와 교육 격차 심화에 대해 교육의 평등과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이슈와 정책들이 쏟아지고 있 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초학력 보장은 최근의 사회적 관심으로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2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연대별 특징을 가지며 변 화를 거듭해 왔다. 그럼에도 기초학력의 개념과 진단평가 시행 방식에 대한 의견이 아직도 엇갈리고 있으며,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2022.3) 이 후 모든 고등학교에서 기초학력책임지도제가 의무화되었지만 현장에서는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고등학교 교사이자 기초학력지원 컨설턴 트로 경험한 실천 사례들과 이를 통한 기초학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고등학교에서 기초학력책임지도제의 온전한 구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기초학력 보장지도에 대한 발전적 방 향성을 제안해 보았다. 연구자가 시기별로 변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교육적 배경이 되 는 문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찰과 자기 변혁(self-transformation)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드러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 중에 서 자문화기술지를 채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초학력 보장지도에 대한 실천 경험을 연대기적-서사적 내레이션으로 기술하였고, 다양한 고등학 교 유형별 사례를 통해 현장의 문제의식과 어려움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자는 정규수업에서의 교과 부진아 지도, 복합적으로 부진 원인을 치유하고자 하는 두드림 학 교, 기초학력책임지도제를 경험했다. 정규수업에서의 부진아 지도가 교실 안에서의 1단계 지원이고, 학교 단위로 지원협의체를 가동하여 학생을 복합적으로 지원하는 두드림 학교는 2단계에 해당하며, 학교 밖의 기관 과 연계하여 전문적이고 심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3단계라 할 수 있 다. 현재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2)에 따른 가장 완성된 형태 는 이러한 3단계 다중 안전망이 탄탄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또, 고등학교에서는 기초학력 개념의 혼란과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진단평가, 직업기초능력평가 등의 혼재와 중복, 대학 입시를 최우선시하 는 풍토와 고등학생이 지니는 심리적 특성 및 부진의 누적과 심화 상태,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도나 프로그램, 가동 인력풀 제공의 현실적인 어려움 등을 고려했을 때 중학교와는 완전히 다 른 상황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고등학교에서 기초학력책임지도 제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중등이라는 동일 범주 안에서 중학교와 같은 사 업이 아닌 고등학교에 맞는 기초학력지원 프로그램과 시행 계획, 정책이 수립되어야만 한다. 더불어 본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의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한 시 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본적으로 기초학력이나 기초학력 보장지도에 대한 새로운 개 념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기초학력을 단순한 교과 지식 차원 이 아닌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주체적인 구성원으로 필요한 필수적 역량 의 개념으로 바라보고 인권의 측면으로 접근해야 함을 뜻한다. 둘째, ‘개별 학생의 성장을 확인’ 하기 위한 표준화된 진단 도구를 개 발하고, 기초학력 보장의 범위를 미취학 아동으로 확대해야 한다. 셋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비롯 기초학력책임지도제의 실질 적 필요성과 쓰임이 있어야 하며 당위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학 생들이 중복으로 응시해야 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기초학력 진단 평가, 직업기초능력평가 등을 통합하여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넷째, 초등은 물론 중학교와도 차별화된 고등학교만의 기초학력 프로 그램, 계획 및 정책이 절실하다. 협력 강사, 튜터, 외부 학습지원센터의 활용, 심리지원과 진로체험, 문화체험 영역에서의 실질적 콘텐츠의 제공 을 고등학교 상황에 맞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기초학력 미달인 학생들은 학습 동기나 의욕이 없고 지속적으 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진단과 보정을 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학습 관 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보다 세밀하고 실효성 있는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초학력 지원은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인권이며 모든 학생들이 미래 성숙한 사회 구성원이자 시민으로 당당한 삶을 영위해 갈 수 있는 토양이라 할 수 있다.

      • 영어 시작 단계 초등학습자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 분석

        이윤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9484

        본 연구는 영어 시작 단계 초등학습자의 영어 교육환경 실태를 조사하고 기초 리터러시 능력을 진단하여 그 격차 및 원인을 분석하고 기초 리터러시 능력의 격차 해소에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 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탐구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시작 단계 학습자들의 영어 교육환경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영어 시작 단계 학습자들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는 어떠한가? 셋째, 영어 시작 단계 학습자들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의 원인은 어떠한가? 제시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B 광역시 G 지역에 소재한 G 초등학교 2학년 학생 16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초 조사 설문과 기초 리터러시 진단 검사를 진행하였다. 신뢰성을 위하여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아동 6명과 3학년 영어전담교사,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구 대상 아동의 영어 교육환경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아동이 영어 정규교육과정 이전에 영어에 노출되거나 학습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아동 중 과반수의 아동이 영어를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있었으며 영어학습 방법으로는 사설 영어 학원과 공부방 및 영어 방과 후 학교를 통해 학습하는 연구 대상 아동이 전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기초 리터러시 능력에서 결과적으로 알파벳 능력, 파닉스 능력, 읽기 유창성 능력 모두에서 격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읽기 유창성 능력의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읽기 유창성 능력에서 벤치마크 목표점수에 도달한 아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그에 비하여 위험 수준 커트라인에 해당하는 아동의 비율이 다른 두 영역에 비해 높았다. 셋째, 리터러시 능력 격차의 원인은 영어 정규교육과정 외에 이루어지는 영어학습의 시기와 기간, 아동의 가정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기초 조사 설문 분석 결과 연구 대상 아동들은 대부분 부모님의 권유로 영어를 시작하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면담 결과 3학년 영어전담교사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모두 영어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의 원인으로 사교육과 가정환경을 꼽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교육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적합한 기초 리터러시 진단 도구를 통해 구체적인 영어 능력을 진단하고 적절히 피드백한다면 학습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어 시작 단계 아동의 영어 정규교육과정 시기 및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결정적 시기에 아동이 영어를 접할 수 있도록 영어 정규교육과정 시기를 재조정하고 관련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이 자기 주도적으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이 필요하다. 아동이 진단 결과와 교사의 피드백을 통하여 자신의 리터러시 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와 가정의 도움을 받아 주도적으로 영어를 학습하게 되면 전체적인 영어 실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며 사교육 의존도도 크게 줄 것이다. 또한 학교 교육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어려운 수준별 학습도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 해소를 위해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으나 해결보다 예방에 목적을 둔 다양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