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교과서 서술 특성 : 반편견(Anti-bias) 교육의 관점에서

        이선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respect the diversity and develope their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ther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it is the human bias which interferes that. To respect the diversity and develop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thers, anti-bias education should begin in areas close to student from early years. In particular, ‘families’ are close area to students than any other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hat families should be covered from anti-bias education point of view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 and bias on ‘families’ and the textbook narrative aspect on 'familie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This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textbook description from the anti-bias education point of view. During the study,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about cognition and bias on families, and the textbook description were analyzed from the anti-bias education point of view simultaneously. In order to conduct the survey, 278 students from second-grader to sixth-grader in Jeju-city answered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Also, from the anti-bias education point of view, an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of 'families'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families unit of fourth grade「social studies」textbook and「families」textbook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select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on on familie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set count on initial marriage institution composed of both parents and children, blood relative. They had not only high cognition on various families but also high bias about them. Second, they had high cognition on gender equality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However, cognition on democratic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different from their real lifestyle. Third, they cognized that they had encountered typical families in the textbooks, bu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families through the real media around the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on 'families' in the textbook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 revised in 2009 attached importance to pluralistic values, and curricula and the textbooks were aiming at raising citizens who had a grounding in multi-culture. Hence, the 'families' in the textbook was described in a way that an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various familie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Second, 'families' in the textbooks was in culture ․ pluralism ․ diversity area, and the contents of textbook description were mainly about the cultural change and diversity. There were only a few details about forming the identify of family, cognition on bias and discrimination against various families, and interdependence and coexistence relationship.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re were many cognitive objectives and affective objectives, but there were few behavioral objectives. Third, with regard to the description of contents of 'families' in the textbooks, there was mainly factual knowledge, which guided students to the general knowledge. Only introducing students to fragmentary knowledge without inducing them positive and critical thinking cannot develop their ability to cope with bias, and rather intensifies bias instead. Therefore,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anti-bias education should begin with understanding the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textbook should be written in consideration with inducing students positive and critical thinking. 초등 사회과에서는 나와 타인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타인의 입장에 공감하는 능력을 교육 목표로서 강조한다. 하지만 인간의 편견은 이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며, 어린 시절부터 사회화 과정을 통해 습득된 편견은 자기도 모르게 내면화되어,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는다. 따라서 다름을 존중하고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스스로의 편견을 인식하고, 자신이 가진 편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반편견 교육은 어린 시절부터 학생과 가까운 교육 영역을 통해 시작되어야 한다. 반편견 교육은 개인과 집단의 특별함을 인정한다.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 민족 또는 인종 간의 문화를 넘어 주변의 다양한 생활 영역에 대한 편견을 인식하고 편견에 대응하는 능력 기르기를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와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기 위한 반편견 교육이 초등교육에서 필요하며, 그 교육의 영역에 ‘가족’이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초등학생들에게 ‘가족’은 학교 수업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소재일 뿐 아니라 학생들의 보편적인 삶이며, 사회의 배경과 역사 따라 다양한 문화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앞선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편견을 조사하고, 교과서의 ‘가족’의 내용 서술 특징을 반편견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서술이 반편견 교육의 관점에서 얼마나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선정한 대상은 제주시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생 2~6학년 학생 278명이다.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교과서 서술 특성의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가족」교과서와 4학년「사회」교과서의 가족 단원으로 선정하였다. 반편견 교육의 관점에서 교과서의 내용과 내용 제시 방법 분석 틀을 마련하여 ‘가족’에 관한 서술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들의 가족에 대한 인식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들은 가족의 모습을 파악하는 데 있어 양부모와 자녀, 혈연, 초기 결혼제도를 중시하고 있었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그에 대한 편견 의식 또한 높았다. 둘째, 가족 구성원의 양성평등 인식과 민주적 참여에 대한 인식은 높았지만, 민주적 참여에 대한 인식과 생활에서의 실천에서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교과서에서는 가족의 전형적인 모습이 많다고 생각하고, 실제 주변의 매체를 통해서는 가족의 다양성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교과서의 ‘가족’ 서술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2009 개정 교과서에서는 다원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다문화 소양을 지닌 시민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가족’에 관한 서술은 사회 변화에 따른 다양한 가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었다. 둘째, 교과서의 ‘가족’은 문화 ․ 다원성 ․ 다양성의 영역으로 문화의 변화와 다양성에 대한 내용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가족에 대한 정체성 형성, 다양한 가족을 바라보는 편견과 차별에 대한 인식, 상호 의존과 공존 영역의 내용은 매우 적었다. 영역별 목표 또한 인지적, 정의적 목표가 많고, 행동적 목표는 적었다. 셋째, ‘가족’ 내용의 서술 접근 방법에 있어서는 사실적 지식의 전달, 보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지식 전달이 대다수였다. 적극적이고 비판적 사고가 없는 지식의 전달은 편견에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지 못하고 오히려 편견을 강화하게 된다. 초등학생은 다양한 가족형태의 수용, 양성평등, 가족 참여로서 민주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편견이 높다는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실생활과 교과서 속에서 접하는 가족의 차이, 학생의 인식과 실제 행동과의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 교과서에서 다양한 가족의 문화를 사실적 지식 차원에서만 많이 제시하는 것은 오히려 편견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는 학생의 편견을 인식하고 편견에 대응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도록 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적극적이고 비판적 사고의 방법이 구현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할 것이다.

      •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박지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다문화교육에서의 다양한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편견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가? 둘째,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편견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가? 셋째,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가? 이를 위해 편견 감소와 내러티브의 활용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편견감소교육의 의미,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한 내러티브의 의미를 알아보고 편견감소교육에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한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어서 프로그램에 활용할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의 선정 방법과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의 단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목표 체계를 세웠다. 프로그램의 핵심 목표를 ‘편견 감소 및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으로 설정하고 하위 영역별 목표를 인지적, 가치적, 기능적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핵심 영역을 인식, 성찰, 대응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 영역에 따른 차시별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루어야 할 주제인 편견의 의미와 특성, 가족구성, 인종, 문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편견에 대응하는 능력을 고려하여 이를 지도하기에 적합한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선정하고 지도 내용을 차시별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활용 편견감소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드러내기, 풀어내기, 바로잡기, 나누기, 새로 맺기의 5단계로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의 기본 틀을 설계한 후에는 핵심 영역별 교수․학습 과정안을 총 10차시 분량으로 구성하고, 영역의 개관, 영역의 목표 및 내용 체제, 교수․학습 개요와 함께 제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4학년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한 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한 개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절차는 사전검사,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편견 검사 도구와 다문화 태도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의 검사 도구들을 참고하여 수정 및 재구성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경기도 안산지역 S초등학교 5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학생 활동 결과물, 교사 관찰 일지, 학생 소감문을 통해 수집한 질적 연구 결과를 추가로 분석하여 프로그램이 편견 감소와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은 편견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견 검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편견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모든 하위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다문화 태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 영역 중 다양성, 보편성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다만 관계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의 인지적, 가치적, 기능적 목표를 모두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학생들의 반응과 변화 모습을 통해서 편견이 감소되고 다문화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으며, 이후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교수․학습 구안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문화 제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편견감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서 다양한 편견의 영역을 다루며,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김봉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State by Kim, bong he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anti-bias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teachers' previous experience on anti-bias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tasks were designed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how they differ from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2. What is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state and how it differs from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of the teachers,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To achieve such goals, 300 preschool teachers were subjected in this study who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well as at public, incorporate, private,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a scale used in previous studies (Kim, Rae-gyeong, 2001; Kim, Hee-sook, 2008; and Jo, Mi-hyeon, 2005) based on the 'areas of bias' which were originally presented by Hall and Rhomberg (1995),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with two preschool education expert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anti-bias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 interests in and knowledge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felt it necessary to conduct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was 'more or less' indicating relatively low satisfaction level. In all areas of the questions,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had high interests in, perceptions on, necessity and satisfaction for the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reasons for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interaction with empathy'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As for the aims of the anti-bias education, 'respect within community, role of collaboration'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Such results were shown high among the teachers who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ha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contents of the anti-bias education, 'culture' and 'gender role' contents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culture' became.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had the highe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gender role.' As for the role of a teacher, 'interaction with preschoole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interaction role of a teacher became. Regarding the activity subjects, 'family and neighbor' was the most favorite subject by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in preschool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the anti-bias education was 'implementation by necessity' and the most common implementation method was 'integrative implementation with other teaching are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the following variables of the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The anti-bias education was alloted mostly to a 'sharing stories' segment in daily schedule in preschool. 'Visual medium' was used the most as a teaching medium,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Manu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used the most commonly as a reference material, and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Regarding the teacher training, 'no participation yet' answer was the most comm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y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work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ethod of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anti-bias education was mostly 'autonomous training'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previous experience with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problem of the teacher training was 'the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which also significantly varied by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types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suggestion for improvement was 'diverse and specific teaching method.' The most common culprit of the lack of anti-bias education was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recourses'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As for the suggestions for an activation plan, 'encouraging teachers to understand education contents and scope' was emphasized the most,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f the teachers. ※ Key Words : Preschool Education, Preschool Teacher, Anti-bias Education 국문초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가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유아교사의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를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과 국공립·법인·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김희숙, 2008;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내용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관련 지식정도는 ‘있다’가 많았고, 필요성 인식은 ‘필요있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만족도는 ‘보통’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모두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와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관심, 인식, 필요성 인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 항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목표로는 ‘공동체 속 존중, 협동하는 역할 인식’ 항목을 가장 큰 목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교육내용으로는 ‘문화’와 ‘성역할’에 관한 내용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는데, ‘문화’에 관한 내용은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으며, ‘성역할’에 관한 내용은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다. 활동주제는 ‘가족과 이웃’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현장실태를 알아본 결과, 실시정도는 ‘필요시 마다’가 가장 높게 나왔고, 실시방법으로는 ‘모든 영역과 통합적으로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이 이루어지는 일과로는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매체로는 ‘시각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참고자료로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참가 정도는 ‘참가한 적 없음’이 가장 많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의 연수방법은 ‘자율적 연수’가 주로 이루어졌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문제점으로는 ‘연수기회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보완점은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다. 반편견 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수 학습자료 및 자원부족’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내용과 범위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모’를 가장 강조하였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주요어 : 유아교육, 유아교사, 반편견 교육

      • 편견 (Anti-bias)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실태 조사

        김희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실태가 원장의 교육경력, 시설유형, 반편견 교육받은 경험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원장 204명이며, 연구도구는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준하여 χ2 검증, t 검증, F 검증을 실시하였고, 범주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é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대다수의 어린이집 원장들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정도, 관련지식,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의 증진을 강조하였고, 교육목표는 ‘공동체 속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협동하는 역할’을, 교육내용은 ‘가족구성’을, 교사의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교육활동에 따른 주제는 ‘가족과 이웃’을 꼽았고,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많아 만족도가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를 알아본 결과,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반편견 교육에 대해 어린이집 원장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의 실시정도는 ‘필요시마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실시방법은 반편견 교육을 모든 영역과 전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실시하기 보다는 ‘특정 주제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수매체는 ‘시각매체(도서자료 등)’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참고자료는 ‘상업적 지도 자료집’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연수 참가정도는 경력이 높은 원장일수록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수방법은 ‘관련서적․잡지 등의 자율적 연수’가 주로 이루어지며, 국․공립 어린이집과 반편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원장일수록 활성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문제점으로 ‘워크숍 또는 폭 넓은 연수기회부족’을, 보완점으로는 ‘구체적인 수업방법’을, 활성화 방안으로 ‘교재 및 교구의 보급’을 강조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반편견 교육자료 개발’과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 제공’을 현장에서 요구하였다. 특히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의 경우, 반편견 교육받은 경험이 있는 원장일수록 더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국․공립어린이집 원장과 반편견 교육받은 경험이 있는 원장일수록 전체적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교육활동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어린이집에서 반편견 교육활동이 좀 더 현실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들이 연수교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정책차원의 제도적 규정이 마련되어야 하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 반편견 교육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반편견 교육이 유아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정과 연계하여 부모들도 반편견 교육에 참여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what kind of influence the level of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f the director of child center has on the status and cognitive level of directors on anti-bias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204 directors of child center in Chung cheong buk-do, and the notion ‘the domain of anti-bias’ formulated in the studies of Hall and Rhomberg (1995) was used as the primary research tool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erformed the χ2 validation, t validation and F validation tests as the main analytical tool of the research. Furthermore, it implemented the Scheffé verificatio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groups classifi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analysis on the directors of child center on anti-bias education showed that large majority of direc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as well as acquiring related knowledge.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anti-bias education is to foster ‘reciprocal interaction of emotional feelings’, education goal was to impose a ‘role of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as a member of a community’, contents of the education was ‘constructing and composing a family’ and the role of the teacher was to ‘encourage reciprocal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One of the key topics covered in anti-bias education was ‘Family and Neighbors’ and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average’ to the question of level of satisfaction of current anti-bias education, thus showing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was below satisfactory.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anti-bias education showed that majority of the directors of child center were neither content nor satisfied with the current level and practice of anti-bias education. Concerning the frequency of anti-bias education, most respondents believed that suc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henever necessary, and they preferred the education to be focused on particular topic ‘rather than covering a general topic across all domains and programs.’ Most of the respondents incorporated ‘visual media (literary materials, etc)’ as the primary teaching tool, supplemented by other related ‘commercial teaching materials’ as reference material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nti-bias education was higher as the participation level of directors in the field of anti-bias education increased. Concerning the method of training, autonomous training methods like related books and magazines were the most commonly found types, and directors having received anti-bias education or having experiences in state/public child center tend to be more active in promoting anti-bias education. One of the major issues and problems found in the research was the ‘insufficient number of workshops and opportunity to receive the concerned education’, and ‘specific teaching method’ was raised as a subject of supplementation, and ‘distribu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were proposed as a mean to solve thes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nti-bias education materials reflecting the needs of our society’, and ‘providing diverse and detailed teaching methodology’ were also raised by the participants. In particular, in case of develop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is was more necessary for directors with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s, showing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s a conclusion, directors with higher education background, and directors with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r state/public child center tend to have a higher recognition of the need of anti-bias education, and provide more active teachings in this field.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and actualize anti-bias education in more and more child center across the country, the government must provide policy oriented system to guarantee higher participa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of child center to participate in anti-bias education related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 opportunities. In addition, these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able to foster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provide specific and fundamental anti-bias education to children in wide range of topics. Finally, these anti-bias educations should simply not be limited to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but rather should be developed in a direction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provided to the children at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 우익권위주의, 사회지배지향성 및 접촉이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나우빈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의 접촉이 그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키는지와 접촉과 편견의 관계에서 우익권위주의와 사회지배지향성이 조절효과를 지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생과 대학원생 41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과의 우호적이고 협동적인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그들에 대한 편견이 낮았다. 둘째, 우익권위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이 높았다. 셋째, 사회지배지향성은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행청소년에 대한 접촉과 편견의 관계에서 우익권위주의와 사회지배지향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편견에 대한 사회지배지향성 및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본 연구의 표본이 두 가지 성향에서 동질적인 특성을 보였으며, 우익권위주의나 사회지배지향성이 높은 사람이 비행청소년과의 접촉자체를 하지 않아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추론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에 있어서 접촉과의 관련성을 국내연구로서는 최초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접촉경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비행청소년을 위한 선도대책 및 이해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우익권위주의와 사회지배지향성이 편견에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 또한 국내연구에서는 처음 시도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ether contact with juvenile delinquents can decrease prejudice against them,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and prejudice. The subjects were 41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contact with juvenile delinquents were friendly and cooperative, the less prejudiced against them.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the less prejudiced against juvenile delinquents. Thir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did not influence prejudice against juvenile delinquents.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and prejudice about juvenile delinquents did not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prove the effect of contact on the prejudice against juvenile delinquents and the effect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on prejudice.

      • 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신체외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신체외모에 대한 유아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신체외모 인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반편견 교육활동의 효과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반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연령에 따라 유아의 신체외모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 금천구 독산동에 위치한 D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만 4, 5세 유아 38명이며 그 중 19명(만 4세 10명. 만 5세 9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8주 동안 반편견 그림책을 들려주고 문학적 접근을 통한 교육 활동을 총 16회 전개하였으며,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통해 유아의 신체외모의 인식변화를 검사하였다. 신체적 외모 하위요소로는 얼굴 모습, 피부 색깔, 체형, 그리고 키로 선정한 권현수(2000)의 논문을 참고 하였다. 면접그림도구는 양미현(2000)의 ‘유아가 인식하는 편견의 영역 분석’에서 타당성을 검증받은 그림 16장중 김윤경(2003)이 수정·보완한 8장의 그림을 사용하였으며, Lerner와 Korn(1972)의 VCL(verbal checklist)을 수정·인용한 권현수(2000)의 면접문항을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를 위해 문학적 접근에 사용한 반편견 그림책은 <반편견 도서 분석 기준>에 근거하여 선정하였으며, 아동 문학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신체외모의 영역 중 얼굴모습(장애. 외모), 피부색, 체형, 키를 포함하는 8권의 동화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반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신체외모 인식과 연령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연령에 따라 유아의 신체외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들보다 신체 외모에 대한 편견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연령에 따른 신체외모의 인식 중 키에 대해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반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신체외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 보다 신체외모에 대한 편견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단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효과임을 생각할 때 장기적으로 반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유아들은 편견 없는 시각을 형성하고, 유아자신 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만 5세 유아가 만4세 유아보다 좀 더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이 효과적인 결과를 볼 때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적합한 시기에 반편견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좀 더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how is young children’s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what influence anti-prejudice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a literary approach have on changes in children’s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and whether effects of anti-prejudice education activities differ by ages. For this purpose,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issue. What influence does a literary approach through anti-prejudice picture books have on changes in children’s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8 young children at ages of 4 and 5 attending D nursery, which is located in Doksan-dong, Geumcheon-gu, Seoul. Of them, I have taken 19 kids (10 at the age of 4, and 9 at the age of 5)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I have carried out the total of 16 times of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a literary approach by reading them anti-prejudice picture books. Then, I have examined changes in their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through pre- and post-tests. As for sub-elements of physical appearance, I have referred to Gwon’s (2000) paper, which selects facial expressions, skin colors, body shapes, and stature as such sub-elements. As for the picture tool for interviewing, I have used the 8 pictures that Kim (2003) modified and made up from the 16 pictures the validity of which is verified by Yang’s (2000) ‘analysis of areas of prejudice recognized by young children.’ I have also used Gwon’s (2000) interview question items, which are resulted from modification of and quotation from Lerner & Korn’s (1972) VCL (verbal checklist). The anti-prejudice picture books used in the literary approach for experimental processing have been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Norms of Analysis of Anti-Prejudice Books.’ I have selected and used 8 fairy tales containing facial expressions (disability, and exterior appearance), skin colors, body shapes, and stature among other physical appearance areas. I have implemented a two-way variate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literary approach through the anti-prejudice picture books has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and 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approach through anti-prejudice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by their ages, we can find out that the 5 year old children’s prejudice of physical appearance reduced more than the 4 year children’s. Especially, the 5 year old children more positively recognized stature than the 4year old children in their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approach through anti-prejudice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of physical appearance,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s prejudice reduc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s. Considering that such effects were fulfill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young children can form non-prejudiced views, understand and care for others as well as themselves if a long-term literary approach through anti-prejudice picture books is carried out. Also, given the result that the anti-prejudice education through the literary approach was more effective for the 5 year old kids than for the 4 year old kids, we can expect greater educational effects if anti-prejudice education is implemented timely with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properly considered.

      • 편견 교육과 관련된 어머니의 경험 및 인식 조사

        이순행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어머니의 인식과 태도가 학력과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가정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정을 파악하고, 부모를 위한 반편견 교육프로그램이나 활동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유치원 3곳과 파주시에 소재한 유치원 5곳의 원아 어머니 총 354명이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문지를 통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는 내용과 다문화, 성, 장애, 가족 구성, 능력의 영역에 대한 어머니의 사회적 편견을 알아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은 대부분 한두 번 정도 접해본 경험이 있으며, 반편견 교육 내용에 따라 경험의 정도가 달랐다. 즉 성과 장애에 대해서는 접한 경험이 많았으나 다문화, 가족, 사회적 지위나 능력에 대한 경험은 없거나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을 접한 방법은 주로 매스컴과 자녀교육기관이었다.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 조금 이해하는 수준이었으며, 가정에서의 교육은 가끔 실시하는 정도였다. 어머니의 학력과 월소득에 따른 반편견 교육에 대한 경험은 차이를 보였는데 학력이 높은 어머니가 반편견 교육에 대한 경험이 많았으며, 반편견 교육내용으로는 다문화, 성, 장애 영역에 대한 경험이 많았다. 그리고 반편견 교육방법으로는 자녀와의 대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편견을 보면, 장애, 성, 가족 구성에대한 편견은 잘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문화와 능력의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편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편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태도는 학력과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학력.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다문화, 성, 장애에서 편견이 컸다. This study examined mothers' experience of anti-bias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prejudice views, then, tried to know if those mothers' recognition are different by their academic careers and income levels or not. Study subjects are 354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3 kindergartens located at Goyang-city and 5 kindergartens located at Paju-city, Kyonggi-do. The instruments used questionnaire which are concerning mothers' experiences of the anti-bias education and mothers' prejudices about multi-culture, sex, handicaps, family organization, and a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One-Way ANOVA and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mothers have experienced anti-bias education one or two times only, their experiences were different of educational contents; they had many experiences of sex and handicaps, but they had few experiences of multi-culture, sex, social status, and ability. They have met with the anti-bias education through mass media and kindergarten. Mothers' experiences of the anti-bias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ir academic careers and monthly income levels; mothers of high educational level had more experiences of the anti-bias education. They used the educational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mostly. Second, as for the prejudices mothers have, they had few prejudices of handicaps, sex, and family organization, however, the prejudice degrees were higher in the area of multi-culture than those of any other areas. Mothers' recognition of prejudices were different by their academic career levels and income levels; the lower were the levels of academic career and income, the bigger were their prejudices of multi-culture, sex, and handicaps.

      •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나미진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G초등학교 5학년 아동 56명이다. 기간은 총 8주이고 연구 절차는 연구 대상의 선정, 예비 검사, 사전 검사, 반편견 교육활동(anti-bias curriculum), 사후 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측정 도구와 반편견 교육활동을 위해 사용된 반편견 동화이다. 반편견 교육활동은 반편견적 내용을 담은 동화를 총 8회에 걸쳐 읽고 문학적 접근을 통해 그에 관한 아동들의 생각과 경험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되었다.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자아존중감 하위 요인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 아동의 대인관계 수준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되었다.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대인관계 하위 요인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anti-bias curriculums based on literature approaches might chang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do anti-bias curriculums based on literature approaches affec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Second, how do anti-bias curriculums based on literature approaches affec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sonal rel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6 children from G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for a total of eight weeks. As for the procedure, subject selection was first performed, followed by preliminary test, pretest, an anti-bias curriculum, and post-test. A tool to measure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used along with an anti-bias fairy tale for anti-bias curriculums. An anti-bias curriculum was implemented by reading an anti-bias fairy tale over a total of eight sessions and sharing children's ideas and experiences through literature approaches.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WIN 12.0 program.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made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self-esteem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anti-bias curriculum based on literature approaches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self-esteem. Secon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made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anti-bias curriculum based on literature approaches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personal relationship.

      • 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혜정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어린 시기의 유아라도 주변 사람들이 갖고 있는 고정관념과 사회적 편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능한 한 조기에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회에서 충분한 근거 없이 통용되고 있는 편견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편견에 비판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에 관한 반편견 반영 도서를 활용한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를 동등한 또래로서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 4세와 5세 비장애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와 G시에 소재하는 H 유치원과 J유치원의 4세와 5세 각 2개 학급씩 4개 학급의 유아 100명으로 하였다. 장애에 관한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으로 4세와 5세 집단을 배정하였고, 통제집단에도 4세와 5세 집단을 배정하였다. 장애 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Favazza와 Odom(1995)이 제작한 「유아용 수용척도」(Acceptance Scale for Kindergartner : ASK)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3개의 연습항목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수용을 반영한 총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들이 ‘장애’라는 개념을 모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도 추가되어 있다. 유아는 Favazza와 Odom(1995)이 사용한 응답지에 개인별로 직접 표시하도록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로 Favazza와 Odom(1995)이 내적일관성신뢰도와 반분검사신뢰도를 산출하였는데, 내적일관성신뢰도는 .79로 반분검사신뢰도 계수는 .7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제공한 결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장애에 대한 수용태도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들에게 장애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한 실험집단 남아와 통제집단 남아의 장애에 대한 수용태도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한 실험집단 4세와 통제집단 4세, 그리고 실험집단 5세와 통제집단 5세간의 장애에 대한 수용태도에는 각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4세와 5세에서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의 연령이 낮아도 수용적인 태도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에 대한 편견이 자리 잡기 이전인 6세 이전에, 특히 4세와 5세에 성별에 관계없이 장애에 대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반편견 반영도서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장애수용태도에 변화를 가져온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에 장애에 대한 반편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령대와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수용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는 측정방법과 도구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유아의 발달에 적절하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짧은 중재기간의 효과라는 것을 생각할 때, 보다 장기적인 교육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중재를 실시하여 효과를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 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 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자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 미 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지도교수 : 조 홍 중 본 연구는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을 올바른 방향으로 모색하고 현장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각장애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지체장애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 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실험집단 유아 20명, 통제집단 유아 20명으로 총 40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검사 결과 장애인식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고 동질집단으로 가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유아의 장애아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1971년 Lerner와 Schroeder의 체형에 관한 연구, 유아들의‘실제어휘’(Active Vocabulary)에 근거를 두고 있는 Lerner와 Korn(1972)VCL(verbal checklist)를 서숙희(2001)가 우리문화에 맞게 수정, 인용하여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선정된 그림동화는 Derman-Sparksdhk The A. B. C. Task Fore(1989)가 제시한 “반편견 어린이 도서 분석의 10가지 방법”에 의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12편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6주 동안 매주2회씩 12회에 걸쳐 반편견 그림동화를 듣고 토의활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생활주제별로 시행했으며 실험동안 의도적으로 장애와 관련된 활동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t-test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유아들이 반편견 그림동화 토의활동을 실시 한 시각 장애에 대한 인식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시각장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들이 반편견 그림동화 토의활동을 실시 한 청각 장애에 대한 인식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청각장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 유아들이 반편견 그림동화 토의활동을 실시한 지체장애에 대한 인식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지체장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은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에 대한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편견 그림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유아들에게 장애인의 특성과 능력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고 지속적인 연계성과 체계적인 교육내용을 갖고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