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타운을 기반으로한 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박수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서울시에는 어느 도시보다도 많은 대학교가 밀집되어 있는데, 대학교의 입지가 해당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대학과 지역 간의 공간인 ‘캠퍼스타운(Campus Town)’은 해당 대학이 지닌 성향과 문화적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캠퍼스타운은 상업화로 인하여 주점, 노래방 등 대부분 소비 위주의 유흥 상업시설로 가득하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2016년부터 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학제안사업으로 13개소를 선정하여 ‘캠퍼스타운(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캠퍼스타운의 발전에 관한 정확한 제도나 사례가 없는 상황이다. 이는 캠퍼스타운 개선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캠퍼스타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지역과 대학이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캠퍼스타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캠퍼스타운의 대학문화 정체성과 특성을 찾기 위한 연구로서, 현재 서울시 내 캠퍼스타운의 문화공간의 특성과 환경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도출해 고려대학교 캠퍼스타운에 문화공간을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 캠퍼스타운 계획을 위한 요소와 계획과정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주변 대학촌을 중심으로

        송규철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등교육 인구의 증가와 대학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질적 · 양적으로 성장한 대학 캠퍼스는 좁은 의미의 단지계획 차원에서 도시적인 감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Campus Town) 역시 도시전체의 계획 수립과 그 맥락을 같이 해야한다. 그러나 현 대학촌은 대학 캠퍼스내부와 외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연계성이 부족하고 캠퍼스를 중심으로하는 대학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촌의 기능도 자연발생적인 존립에 의존하고 있어 정책적·계획적 배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이, 첫째, 매개·완충공간으로서가 아닌 맹목적인 상업화에 편중되게 하고, 둘째, 대학의 성격과 무관한 단순히 도시의 일부분으로서 무계획적인 건물군으로 메워져가게 하며, 셋째, 건축적 배치개념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계획없이 사람-건물-도시의 유기성을 깨뜨리고 있다. 본 연구는 위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학촌 주변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대학촌의 본질적인 역할의 수행을 위한 Desige Criteria와 적절한 공간계획계획 과정을 제시하기 위한 작업으로 첫째, 대학촌의 일반적인 개념고찰과 국내 대학촌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대학의 성격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고, 둘째, 단국대학촌 캠퍼스타운계획을 위한 주변현황조사로 체계적인 계획작업을 위한 사전자료를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촌의 자립성과 자생력 유지를 위하여 대학촌의 주체인 대학인의 주(住)요구를 캠퍼스타운계획 중 시설물 계획에 반영하였으며, 넷째,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매개공간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촉매로서 작용할 도시부족시설 유치로 도시와 대학 캠퍼스의 원할한 유대와 교류확대 효과를 기대하였다. 이러한 캠퍼스타운 공간계획이 계획대상지에 적용된 계획요소와 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황분석을 통한 주요반영요소(Design Criteria)와 기대효과로는 ① 지역지정과 건축전 지정 : 기존의 경직된 법체계의 융통성 ② 경사지와 호변공간 활용 : 자연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 ③ 대학촌의 코아(Core)역할 : 밀집된 대학문화의 구심점 역할 ④ 대학촌의 특수성 표현 : 대학촌 독자적인 기능과 공간의 표방 ⑤ 도심권과의 접근성 : 도시-대학촌-대학 캠퍼스 간의 유기성 확보 또한, 건축물 계획시 반영요소(Design Criteria)로 ① 건축물의 배치, ② 용도, ③ 규모, ④ 형태, ⑤ 색상 및 재료계획 - 지역주민과 대학인이 공존할 수 있는 쾌적한 정주공간 조성과 캠퍼스타운계획의 방향제시 The University Campu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ite planning to a Urban planning point of view. The present Campus Town is isolated from campus inside and short of organic connection, active university life.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campus town is, 1. To be the tendency of commercial zone, not buffer zone. 2. The building extension without Campus Town plan and Urban plan. 3. Non organic relationship with Human ↔ Building ↔ C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asic and general considerations and concept of campus town character and function. 2. Basic data by the present site survey for the Dankook University Campus Town plan. 3. Residential needs of campus life for the independence and self survival. 4. Profer distribution of urban facilities in the Campus Town for the active campus life. The design concepts an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istrict and construction line assignment : flexible legal code. 2. Practical use of lakeside and slope : activ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3. Characteristic of Campus Town : unigue function and space. 4. Access to the down town : organic connection Campus Town ↔ Campus. Design criteria to be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① Architectural site plan ② Usage ③ Scale ④ Shape and Form ⑤ Color and Material

      • 캠퍼스타운의 유·무형적 유산속성의 활용을 통한 대학문화 활성화 연구

        김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대학 교육은 근대 개혁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인, 일본인, 그리고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고등교육기관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광복 이후, 사립 학교들이 대학으로 인가를 받기 시작했고, 소수 의 지식인 계층이 향유했던 대학 교육은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한 가지의 문화이자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기 억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대학문화가 정의되기 시작했으며, 대학-지역사회 사이에 영향을 끼쳤다. 캠퍼스타운, 대학 마을이자 대학가로고도 불리는 이 공간은 대학생들의 학사 일정과 캠퍼스의 위치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전했는데, 코로나 펜데믹 이후 학생들의 부재에 따른 침체를 겪으 며 단조로운 캠퍼스타운의 상권에 큰 타격을 입혔다. 코로나 종식 후, 학생들이 학교에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은 심 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절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와 캠퍼스타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고찰하고자 했다. 캠퍼스타운과 대학 사이의 단절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했는데,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마지막으로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이다. 신촌 캠퍼스타운은 연세대학교를 비롯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대형 종합 사립 대학교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형성 되기 시작한 캠퍼스타운이기에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두 번째 로 동아대학교는 하나의 캠퍼스가 아닌 세 개의 멀티 캠퍼스를 각 목적에 맞게 운영 중인데, 이 중에서도 부민캠퍼스는 오픈형 캠퍼스를 추구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을 비교할 목적으로 선정 했다. 이 세 곳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주 통행로, 출입구의 위치, 대중교통과의 거리 등 다양한 근거로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에 필 요한 조사를 공통 설문, 심층 면담, 공간 분석 프로그램(Space Syntax) 등 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했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들은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캠퍼스는 대부분 주 출입구를 사용하고, 담으로 경계를 구분하여 캠퍼스타운과의 단절을 표현하고 있다. 실제로 연세대학교와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차량 통행 위주의 도로로 인한 보행자의 통행 위험성, 지리적인 위치 등의 이유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오픈형 캠퍼스를 유지하고 있는 부민 캠퍼스의 경우에는 지역사회와 꾸준 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고, 지역주민들은 학교를 자유롭게 통행하고 있 었으며, 주 출입구가 따로 없다는 상반된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캠퍼 스타운과 대학의 단절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정체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 번째, 오픈형 캠퍼스 및 대학 도시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세계 여러 유명 대학 도시 사례를 보았을 때, 대부분은 도시 계획에 관여할 만큼 중 심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거나, 명확한 경계를 두지 않고서 도시와 공생하 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들은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는 담이나 대형 건물들을 설치하고, 정문 외의 다른 출입구로는 쉽게 통행할 수 없다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학과 도시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 자 집단이며,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명 대학 도시들을 벤 치마킹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걸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 차량 위주의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보편적으로 학생들은 대중교통이나 도보를 이용하여 통학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로 자체는 차량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른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을 해소할 수 있고, 조금 더 캠퍼스를 많이 활용 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지역 문화유산 및 대학 박물관 등의 유·무형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창출이 필요하다. 대학 박물관, 근현대문화유산 등의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역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 학과 도시, 즉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출 하여 학생과 지역주민 외에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방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를 활용한 캠퍼스타운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고찰하였다. 대학문화라는 정체성과 캠퍼스타운 내에 산재한 다양한 유산을 활용하는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 용하기 위한 해외 벤치마킹 사례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지역성 을 더욱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특색을 강화한다면 단조로운 캠퍼스타운 을 재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university education began after the modern reform and was l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by Koreans, Japanese and foreign missionaries. After liberation, private schools began to be approved as universities, and university education enjoyed b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has become a culture and institution that most people can experience today. As a result, the university culture that began to form in people's memories began to be defined and influenced betwee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The space, also known as campus town, university village, and university district, develop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ollege students' academic schedules and campus locations, but suffered a slump caused by the absence of studen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en though students returned to school after the end of COVID-19,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is seriou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disconnect factors and seeking ways to do so. This study sought to define and examine the concept of university culture and campus town. Three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Yonsei University's Sinchon Campus,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and finally Dong-A University's Bumin Campus. Sinchon Campus Town has a large number of large comprehensive private universities such as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judged worth researching because it was the first campus town in Korea. Second, Dong-A University operates three multi-campus campuses for each purpose, not one campus. Among them, the Bumin Campus was selected to compare the three campuses and campus towns in that it pursues and maintains an open campus. Based on these three sites,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analyzed on various grounds, such as the main passageway, entrance location, and distance from public transportation, and necessary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mmo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Space Syntax. Currently, Korean universities operate closedly, and most campuses use the main entrance and border with walls to express a disconnection from campus towns. In fact, Yonsei University and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received many negative responses in student perception surveys due to the risk of pedestrian traffic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roads centered on vehicle traffic. However, in the case of Bumin Campus, which maintains an open campus, it has been steadily interacting with the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are free to pass through the school and there are no main entranc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sought ways to resolv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and secure identity accordingly. First, the introduction of open campus and university urban concepts is necessary. Looking at the cases of many famous university cities around the world, most of them act as central spaces or coexist with cities without any clear boundaries.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a conflicting characteristic that they cannot easily pass through other entrances except the main gate by installing walls and large buildings that set clear boundaries. Universities and cities are concepts and groups that can never be separated, and in order for campus towns to be activated, famous university cities must be benchmarked to analy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establish ways to apply them. Second, the problem of vehicle-centered traffic should be solved. In general, students often commute by public transportation or walking, but the road itself is often composed mainly of vehicles. Only by solving the resulting traffic problem can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be resolved,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ake more use of campu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cultural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heritage and university museum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local heritage that shows regional identity, such as university museums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at can revitalize universities and cities, i.e., campus tow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and considered ways to revitalize campus towns using university culture. More overseas benchmarking case studies will be needed to present the identity of university culture and revitalize various heritage scattered in campus towns and utilize them as policies. By defining the locality more clearly and strengthening its character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monotonous campus town.

      • 혁신지구 조성을 위한 기성시가지 내 캠퍼스타운 활성화 계획방향 : 성균관대학교 명륜캠퍼스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렴군룡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0

        혁신은 시대적 화두로서 인류 역사의 전반 과정에서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탈산업화와 서비스업의 등장으로 대변되었던 우리 사회의 변동은 최근에 새로운 질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데, 그 핵심은 기업가(entrepreneurship) 정신을 가진 창조적 계급이 혁신 활동을 통해 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하며 새로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혁신은 개인의 뛰어난 역량이나 천재성으로 우연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아이디어의 연관성을 찾아 융합하는‘협업적 혁신’이다. 수요자와 공급자의 상호작용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도시의 밀도와 다양성을 필요로 한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 진입하면서 데이터 생성 및 활용이 집중되는 도시가 혁신 활동의 중심으로 되고 있다.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서비스를 개선하는 혁신의 실험실이자 플랫폼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혁신지구는 이렇게 부상하고 있는 도시형 혁신공간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며, 이런 혁신공간에서 다수의 대학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공간·시설, 지식·인적, 경제적 자원 등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동시에 교육, 연구, 봉사의 사회적 임무를 가지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혁신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는 캠퍼스타운을 활성화 계획방향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내용 및 방법으로는 첫째, ‘혁신지구’와 ‘캠퍼스타운 활성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가능성을 논술한다. 둘째, 대학을 중심으로 한 혁신지구 사례를 통해 혁신지구에서 대학과 지역사이의 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성균관대학교 명륜캠퍼스 주변지역에 과한 현황조사를 통해 캠퍼스타운 조성의 필요한 요소를 정리한다. 넷째, 앞서 정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요소별 계획 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결론을 요약하면, 혁신지구와 캠퍼스타운의 구성요소는 공간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 가능하다. 공간적 요소는 기존 혁신지구의 구성요소인 경제적 자산, 물리적 자산, 네트워크 자산과 지역자산이 포함되며 사회적 요소에는 대학이 각각 공공과 지역에 대한 상화간의 역할이 포함된다. 성균관대학교 명륜캠퍼스를 대상으로 주변의 혁신 선도 주체, 인큐베이터, 카페, 오픈스페이스, 공유작업공간 등 공간적 요소와 시설지원, 시설개방, 지역활성화 등 사회적 요소를 분석한 결과, 공간적 요소에서 부족한 면이 많았으며, 특히는 경제적 자산, 물리적 자산, 지역자산 부분에서 개선되거나 활용되어야 하는 부분이 많았다. 본 논문은 이제까지 주로 연구되어온 캠퍼스타운 관련 연구들과 달리 혁신지구의 관점에서 캠퍼스타운을 살펴보았다. 또한 혁신지구 조성을 위한 캠퍼스타운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고 대상지를 통해 검증한데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업 방안에 대한 연구 : 한신대와 강북지역의 캠퍼스타운 조성 계획수립과정을 사례로

        송주민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3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업과 파트너십 기반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서울시 정책으로 촉발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의 초기단계 계획수립과정을 분석하고 합의한 사업에 대한 이해집단별 우선순위 도출과정을 통해 사업실행에 유의미한 자료을 제시한다. 시작부터 대학과 지역사회 구성원이 밀접한 논의 하에 전개되었던 ‘한신대-강북지역’의 협력적 계획수립과정을 분석사례로 진행했다. 이를 위해 대학-지역사회 협력형 캠퍼스 조성과 협업 등에 대한 개념과 동향 등을 살펴보았고, 한신대와 강북지역의 지역적 맥락과 경험, 계획수립 과정과 도출내용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수립한 캠퍼스타운 추진목표와 세부요소들을 토대로, 핵심 실행주체이자 참여그룹인 대학과 지역사회 관계자를 대상으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묻는 AHP 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에 기반한 질적 양적 분석결과를 통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과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이해관계 집단별 사업의 우선순위, 개별 사업에 대한 중요도 등은 차이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이를 조율하고 합의할 수 있는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 과정을 제대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선행 해외사례 등에서도 나타나듯, 이질성을 드러낼 수 있는 상호주체 간 협력 프로세스를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가 주요한 과제이다. 이를 인지하고 본 사업계획에 이 과정 또한 부차적인 것이 아닌 중요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와 현안 등을 포괄하는 협력사업은 고정적인 목표와 우선순위 설정이 아닌 ‘단계적 논리’를 적용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시기별, 연차별, 장소별, 참여주체별 등 가변적인 상황과 다양한 형태를 고려하여 목표, 우선순위 등을 협의해나가야 한다. 셋째,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지방)정부 정책으로 유인되고 추진되는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마중물 지원을 통해, 지원기간(3년 등) 후에는 자생적인 파트너십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사업 등을 벌여나가게끔 하는 것이 계획이지만 현재로서는 정부의 예산과 정책의 지원에 의존하며 진행이 되고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 그룹의 이해와 필요, 사업우선순위가 정부의 정책적 목표와 상충될 가능성을 내포하는 지점이다. 정책적 목표는 거시적인 사회지표와 분위기에 좌우될 개연성이 있다. 서울시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포괄적 지역재생 측면에서 계획된 캠퍼스타운 사업이 2018년 이후 창업, 일자리 창출로 정책적 중요도가 변경되었다. 본 사례에서도 나타났지만 이러한 정책목표가 캠퍼스 현장의 욕구, 중요도와 대립되는 경우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 원칙, 즉 정책목표를 지역현장에 맞게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상충하는 지점이 괴리가 크다면 대학-지역사회 주체들은 어떻게 대응을 하며 협력사업을 진행할 것인지 등의 대안을 보다 면밀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university and community and suggest for promoting partnership-based project. Analyz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itial stage of ‘campustown project’ triggered by the Seoul City policy and presenting meaningful data for the project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iority of the interest groups for the project. Case of 'Hanshin University-Gangbuk community', which was developed under close discussions between both groups from the beginning, is a example of analysis. To this end, I examined the concepts and trends of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And analyzed local context of Hanshin University along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operative-based plan. Based on the goals and detailed elements of campustown plan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AHP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k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university & community stakeholders who are the core implementing body and participating groups. On the basis of case-bas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suggestions for the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iorities of the project by interest group including university and community are different. There are needs to establish decision-making processes that can be coordinated and agreed upon. As is evident from precedence abroad cases, the process of creating mutual cooperation system is itself a major task. Second, cooperative projects covering various subjects and issues of local community should be pursued by applying ‘by stages logic' instead of setting fixed goals and priorities. It is necessary to discuss goals and prioriti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such as time, place and participant. Third, campustown project wa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 policy. It is planned to make sustainable project based on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after the support period(three years). But it is now proceeding with reliance on government budget. There is a potential for project priorities and needs of university & community group to conflict with the government's policy goals. Policy goals are likely to depend on macroeconomic indicators and moods. In the case of Seoul, the policy importance of campustown project, which was originally planned for comprehensive local rehabilitation, was changed to supporting startups and job creation after 2018. There would be cases where the policy goal is confronted with the desire of local stakeholders. Making the principle of responding to this is also important task.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conflicting point, university-community actors should take more precautions how to cope with that situation, and how to reconfigure the policy objectives according to the local needs.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정책변화에 따른 공급가능 규모 분석

        이창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347

        Due to the resumption of face-to-face classes following the stabiliz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for studio apartments near universities, further burdening students with housing expenses. The stability of housing for the young population is deteriorating due to a surge in lease scams. Despite the convenient accessibility to transportation, the 2030 Youth Housing policy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ntil April 2023 has resulted in inevitably high rental fees. Moreover, the policy tends to exclude student groups who find it difficult to rely on a stable income, including not only students but also young professionals entering society. As of April 2023, a total of 44,147 units of Youth Housing in transit areas have been supplied, achieving approximately 68% of the policy goal of 65,000 units.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housing supply has been un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 youth population, and although the supply is gradually increasing, including upcoming housing projects, it has been concentrated in specific districts. In May 2023,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xpanded the polic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Youth Safe Housing" and adding areas within 50 meters of major roads as new potential locations. However, it is anticipated that achieving the goal of supplying 120,000 units by 2030 will be challenging.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36 approved sites and platform separation distances as of March 2023, the average distance of platform separation in the approved sites was 255m. An analysis of the up-zoning in the approved sites revealed that 113 locations (78%) up-zoning their zoning, with 60% (62 locations) changing from the third and second general residential areas to quasi-residential areas or general commercial areas. In other words, the range of 250 to 350 meters from transit areas lacks areas suitable for up-zoning, and due to concerns such as public complaints, most projects were implemented within the 250-meter range of transit areas. In May 2023,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organized the policy into Youth-Safe Housing and expanded the policy goal by adding 50m along the arterial road as a new locationable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houses that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policy reorganization, it was analyzed that 62,612 units within 250m of the station area and 4,116 units along the main roads could be supplied. Considering the currently approved 45,120 units, a total of 110,875 units are expected to be supplied,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the policy goal. If the station influence area is maintained at 350m, 106,590 units are expected to be supplied, but this cannot be an alternative because the project promotion in the range of 250m to 350m is expected to be low. The 100m range of the university district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80% of the second general residential area, and it was analyzed that 4,644 units could be supplied assuming that the quasi-residential area is upgraded.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block the side effects of the upgrade of the use zone in some area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and appropriate incentives are needed to promot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business operators, and universities around the university. 서울시 1인가구 145만여 가구 중 청년가구는 48.4%를 차지하고 이 중 임차비율은 81.6%에 이른다. 서울시는 2016년「서울특별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2026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6.5만호 공급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중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의 과도한 임대료와 주민의 입지반대, 용도지역 변경 인센티브의 시행자 환원에 따른 특혜논란 등 부정적 시선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사업자 참여확대를 위해 역세권 범위를 250m에서 350m 범위로 확대하였고, 2023년 4월 ‘청년안심주택’으로 추진체계를 개편하면서 역세권 범위 250m 환원과 더불어 간선도로변 50m 범위의 준주거지역을 새로운 입지대상지로 추가하였다. 본 연구는 사업승인이 완료된 역세권 청년주택 사례를 분석하여 용도지역 변경 현황 및 입지현황을 분석하고 청년안심주택 개편으로 변화되는 입지가용지를 비교하고, 신규 정책대상지로 대학가를 제안한다.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현황 분석결과 2023년 3월 현재까지 44,147호가 사업승인되어 목표량 6.5만호의 68%를 달성하였고, 승강장 경계에서 평균 255m 이격된 지역에 입지한 것으로 분석되어 역세권 범위 250m∼350m 내에서는 사업이 저조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는 250m∼350m 범위에 용도지역 상향조정 가능 지역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해석 가능하다. 용도지역 변경 현황은 전체 135개 사업소 중 준주거지역으로 상향된 사업지가 48개소(35.6%), 상업지역으로 상향된 사업지가 56개소(41.5%)이며, 변경 전 용도지역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인 사업지가 64개소(47.4%), 제2종일반주거지역인 사업지가 26개소(19.3%)로 분석되었다. 역세권 범위에 따른 입지가용지는 250m 범위일 때 45.77㎢, 350m 범위일 때 84.55㎢로 나타났고, 입지가능 범위 축소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이 가장 많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은 250m 범위일 때 10.1㎢(가용지의 45.7%)에서 350m 범위일 때 17㎢(가용지의 21.1%)로 나타나 가용면적 증가대비 사업시행가능 지역의 증가량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급가능 주택은 2016년 사업시행시부터 2018년 역세권 범위 조정 전까지 입지가능지 대비 실제 사업시행면적 비율(1.65%)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250m 범위일 때 6.2만호, 350m 범위일 때 10.6만호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고, 간선도로변 50m범위 준주거지역에서 공급가능한 4,116호를 고려하여도 2030년 12만호 정책목표 달성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년주택 정책목표 달성과 학생인 청년의 주거안정을 위해 청년안심주택 신규 정책대상지로써 대학가를 제안한다. 대학가는 역세권에 비해 저렴한 임대료 책정이 가능하고 「서울캠퍼스타운 조성사업」등 장소중심 정책연계성과 대학의 기숙사 수용률 제고, 지역주민 협력 및 상생에 있어 상대적인 강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교시설 100m 범위 분석결과 제2종일반주거지역이 80%로 구성되어 있고, 공급가능 주택은 4,645호로 분석되었다. 엔데믹(endemic)시대 대학가는 원룸수요 증가와, 전세사기 급증으로 학생인 청년의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서울시의 청년안심주택 개편 실효성 확보와 추진동력 제고를 위해 대학가 등 청년 밀집지역의 신규 정책대상지 추가를 위해 청년밀집지역의 현황분석과 입지대상지 추가에 따른 부작용 방지, 사업참여 촉진방안 등 다양한 추가연구를 통해 청년이 있는 곳에 청년주택이 공급될 수 있는 세밀한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 대학 캠퍼스 확장에 의한 캠퍼스 타운 연계 연구 및 설계 : 국민대학교와 정릉3동 일대를 중심으로

        김태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는 기반지역인 정릉 3동 배밭골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와 지역의 상생관계 구축은 지역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관계는 보통 대학로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으로는 혜화동의 대학로나,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대학 명칭으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학로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역시 지역과의 관계 강화 및 체험·문화·상업 등의 커뮤니티 확장을 위한 캠퍼스 타운 및 대학로의 형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캠퍼스와 커뮤니티의 설계 기본사항에 대해 파악하기 위하여 캠퍼스마스터플랜과 커뮤니티의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지 분석에서는 거시적 관점의 도시 분석과 대상지의 현황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교통과 인프라 입지에 대한 거시분석을 선행한 후 대상지 인근의 건축물, 경사, 자연요소, 휴게 및 보행 환경, 지역 인프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은 북한산과 북악산이 형성하는 구릉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경사가 심한 조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조건이 불리하다. 이와 동시에 오래된 건축물과 낡은 도시 외부 환경, 침체된 상권 등 전제적으로 도시침체가 유지되며, 대학 캠퍼스와의 상생관계 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수 있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설계 전략을 7가지의 항목으로 수립하였고 첫 번째로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 개방공간, 두 번째로 보행구간 사이 낙후된 휴게 공간 정비 및 확보, 세 번째 유연한 대지경사 극복, 네 번째 대학 강의, 동아리, 연구실의 분배, 다섯 번째 지하연결을 통한 확장성 및 동선 유연성 확보, 여섯 번째 대학 인근 문화 및 상권형성, 일곱 번째 국민대의 정문으로서의 상징성 강화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설계는 국민대학교에 부재한 중앙광장 형성을 중심으로 지하로는 캠퍼스 연결, 자상으로는 매스의 확장성을 예측하여 계획되었으며, 기존 캠퍼스의 마감계획과 경사에 순응하는 매스계획을 통해 기존 캠퍼스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정릉 3동 일대 부지는 대학 캠퍼스 타운과 국민대학교의 대학로의 시작점으로서 계획되었으며, 여기에는 상업 및 문화, 운동시설과 창업지원 등의 학생지원시설이 일부 배치되었다. 공통적으로 지하공간은 주차장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족한 교내 주차공간을 확보함에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정릉권역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제 캠퍼스를 이용하는 교직원 및 학생들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함에 따라, 추가적 데이터 보완 및 확보가 요구된다. Kookmin University, located in Jeongneung-dong, Seongbuk-gu, has not yet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Baebatgol in Jeongneung 3-dong, the neighboring area.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fos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surrounding region. This relationship is often exemplified by the presence of a vibrant university street, such as Daehak-ro in Hyehwa-dong, or commonly known university streets like those near Hongik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campus town and university road for Kookmin University, enhancing its 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fostering opportunities for shared experiences, culture, and commerce. To begin, the study commenced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ampus master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target site. The sit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both a macro and micro perspective, encompassing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arget site's buildings, slopes, natural elements, nearby recreational an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local infrastruc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situated amidst the hilly terrain formed by Bukhansan Mountain and Bukaksan Mountain, pose challenges due to severe slope conditions. Furthermore,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urba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arget site exhibits signs of decline, including aging buildings, neglected external surroundings, and stagnant commercial districts. Consequently, establish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y campus becomes challenging. Based on the analysis, a design strategy was formulated with seven key considerations. First, Creation of campus open spaces for local residents. Second, Enhancement of underdeveloped rest areas along pedestrian routes. Third, Adaptable land slope management. Fourth, Incorporation of university lectures, clubs, and laboratories. Fifth, Prediction of underground campus connections and above-ground expansion to address the absence of a central square at Kookmin University. Sixth, Integration of the new site in Jeongneung 3-dong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 campus town and Kookmin University's version of Daehak-ro. Seventh, Provision of student support facilities, such as commercial and cultural establishments, sports facilities, and start-up support. Additionally, addressing the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t the university has been prioritized, with underground parking lots designated as a primary feature of the plan. This study utilized the Jeongneung Reg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Service Report as its foundational dat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further data coll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as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available data from faculty and students who actively use the campus.

      •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통합형 실버타운 개발방안 연구

        순희자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15679

        Rapid change in the paradigm of senior citizens’ housing facilities appears when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s takes place in the country. Meanwhile, due to the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another pillar of population, the occurrence of unused facilities and land in university campus has visualized. This study bega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 of silver town in university campus has rational background with the approach of two issues resulted from this demographic analysis. It also applies creative ageing to the development of silver town from the view that we revitalize the elderly as a member of society with creativity not as a subject of care and prote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successful life for them by drawing various measur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geing silver town in university campus by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elderly generation. This study has proceeded to draw a development plan which reflects the views of consumers through the AHP analysis and provid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Summarizing the direction of analysed development from this study,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plan, in which creative aging service flow forms the system of ideal life for the elderly and its value increases, is suggested. Second, the design for accessibility, comfortability, nature-friendliness, facilities of use, and safet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optimize the university land and facilities as a location for silver town’. Third, ‘educational program service’ should include the various programs related to productive technical training, cultural and artistic training, and disease/health care training. Fourth, ‘university infrastructure and network connecting service’ should be utilized by connecting between infrastructure and network. Fifth, ‘life support service’ is require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nd necessary facilities for all aspects of their life. Sixth, ‘personalized-content service’ should be developed as humanities-based, project-based, digital-based, health, culture and arts-based programs. Seventh, it is necessary to produce high-quality customized service for the elderly by applying creative ageing program to ‘preference factor based on consumer values’. Eighth, ‘integrated community between generations’ must be utilized to activate productive functions and increase socia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Ninth, in the aspect of ‘facility connecting utilization’,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should be enhanced by operating social services and interacting with communities. Finally, specific plans to make profits with 'investment-efficient business model', 'integration operated business model', and 'creative activity-based business model' were suggested to realize silver town as university based enterprise economically. The creative ageing silver town development in university campu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a new way to approach the two issues; aging society and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In addition, we hope that university campus becomes the mediator of social unification between old and young generations, and play the pivotal rol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as the place where it provides the support of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ir housing facilities and successful ageing. reative aging, silver town in university campus, university based enterprises, Service Reflux, Physical Connection, Service Support, Integrated Management, Revenue Model, Successful Ageing. 우리나라에서 노인주거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는 베이비부머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시작되었다. 한편 인구의 또 다른 축인 학령기 인구의 감소로 대학의 유휴 시설 및 토지의 발생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에서 기인하는 두 가지 문제의 접근 방안으로 대학캠퍼스 내 실버타운 개발이 합목적성을 갖추고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하였다. 노인인구에 대한 시각이 배려와 보호의 대상이 아닌 창조성 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활동을 활성화 시키는 측면에서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을 실버타운 개발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세대의 선호요인을 반영한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실버타운 개발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도출하여,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지원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HP 분석을 통한 중산층 대상의 유료노인주거복지로서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실버타운 개발에 대한 수요자의 시각과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하여 조사된 공급자 시각이 균형 있게 반영된 개발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개발의 지향점을 요약하면, 첫째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서비스 환류가 노인의 이상적인 삶에 대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가치가 상승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개발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대학캠퍼스 부지를 활용한 입지의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접근성, 쾌적성, 자연 친화성, 편리성, 안전성 측면의 설계와 디자인이 반영되도록 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에서는 생산적 기능 교육프로그램, 문화·예술적 교육프로그램, 건강·질병관리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넷째, ‘대학 인프라 및 네트워크 연계서비스’는 인적 자원, 정보및 교육시설, 교육목표 실현을 위한 인프라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계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다. 다섯째, ‘생활 지원 서비스’는 생활전반에 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시설지원을 반영하여 개발한다. 여섯째,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는 인문 기반, 프로젝트 기반, 디지털 기반, 건강·문화·예술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서비스한다. 일곱째, ‘수요자 가치관에 따른 선호요인’은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노후생활을 위한 완성도 높은 서비스지원체계의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덟째, ‘세대 간 통합 커뮤니티’는 커뮤니티의 특성에 따라 생산적 기능 활성화와 사회활동 증진 방안이 활용되도록 한다. 아홉째, ‘시설연계 활용’에서는 서비스 운영과 지역사회 교류를 중점으로 실버타운과 지역사회 운영비와 사회적 비용을 줄이면서 사회복지 효과를 증진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캠퍼스 내 실버타운이 학교기업으로서‘경제성’을 현실화하기 위하여‘투자비 절감형 수익 모델’ ‘통합 운영형 수익 모델’ ‘창조적 활동 기반형 수익 모델’로 수익창출이 가능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실버타운 개발방안은 고령사회, 학령인구 감소라는 두 가지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이다. 아울러 대학캠퍼스가 노년층과 청년층의 세대 및 사회적 통함의 매개체가 되고, 노인주거의 질적 향상과 성공적인 노화를 지원하는 장소로서 노인복지에 중추적 역할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