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이용하여
2016년까지 우리나라 해외여행객의 총 출국 누적 인원은 1억 6천 8백만 명에 이른다. 국외여행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국외여행 관련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학계에서는 여행상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재고하고자,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여행 상품의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는 연구가 이어져 왔다. 그러나 수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소비자의 만족도 재고 방안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 자유화가 약 28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해외여행 관련 불만족은 야기되고 있다. 이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여행상품속성에 관한 연구들에 비해 여행상품 기획자가 상품을 구성하는 개별속성에 대한 인식과 상품속성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하여 여행상품을 기획 및 판매 운영하는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소비자 집단의 국외여행상품의 핵심요인들을 최대한 반영하여 치열한 아웃바운드의 여행시장 내에서 여행사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 상품 구성과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등에 참고자료로 제공하여 여행객들의 불만족을 최소화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외여행상품속성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헤비유저들로 구성된 소비자 집단과 여행업계 실무전문가들로 구성된 여행사 집단을 대상으로 1차 전문가 의견조사와 2차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조사를 수행한 후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전용 솔루션인 Expert Choice 2000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 내용으로는 먼저 1차 여행사 집단의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 소기준인 계층 3의 관광목적지는 관광지 요소, 일정구성 요소, 호텔 요소로 구성 되었고, 관광지 요소를 구성하는 계층 4는 관광지 근접성, 관광지 유명도, 쇼핑물품의 신뢰성, 선택 관광의 품질성으로 구성되었다. 반면, 소비자 집단의 1차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 소기준인 계층 3의 관광목적지는 관광지 요소, 일정구성 요소로만 구성되었고 관광지 요소를 구성하는 계층 4는 관광지의 많은 유적지, 관광지의 자연경관, 관광지의 편의성, 선택 관광의 다양성으로 구성되어 여행사 집단과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여행사 집단의 계층 3의 인적서비스는 국외여행인솔자 요소, 현지가이드 요소, 여행사 직원 요소로 구성되었고, 소비자 집단의 계층 3의 인적서비스는 외부직원 요소, 내부직원 요소로 구성되었다. 여행사 집단에서 인적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4에서는 국외여행인솔자 동행여부와 여행사직원의 예약 및 상담에 대한 충분한 시간할애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소비자 집단의 인적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4에서는 국외여행인솔자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국외여행인솔자의 리더십, 국외여행인솔자의 친절성으로 구성되어 여행사 집단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 간의 우선순위(Priority order)를 분석해 본 결과 전체 43개의 핵심요인들 중에서 여행사 집단에서는 짜임새 있는 일정 구성(8.6%)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고, 관광지 매력성(7.4%), 여행상품 가격의 합리성(7.3%), 국적기 이용 여부(7.2%), 국외여행인솔자의 위기대처능력(6.5%)의 순으로 상위 5개의 핵심요인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 집단에서는 관광지 매력성(10.5%)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상품 가격의 합리성(7.6%), 여행참가 구성원(6.3%), 짜임새 있는 일정 구성(6.3%), 항공기 여정의 편의성(4.6%)의 순으로 상위 5개의 핵심요인을 형성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은 향후 아웃바운드의 여행시장 내에서 여행사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 상품 구성 및 서비스 제공 등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사용되어 지길 기대한다. The total number of overseas travelers in Korea reached 168 million By 2016. As the demand for overseas travel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sumer damage related to overseas travel is also steadily increasing. In the academic world,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attributes of travel product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reconsider consumer satisfaction with travel products. However, despite numerou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ways reconsidered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re have been still dissatisfied with overseas travel products about 28 years after the Liberalization overseas travel. It was revealed that previous studies researched recognition of individual attributes of travel products, importance and priority of travel products attributes for travel planners. However these researches had a limitation in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as compared with the study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for the consumer. In regard,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which were planning and selling and the consumer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and the consumer group, to maximiz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vel agency with reflected consumer’s core attributes about the overseas travel product in the fierce outbound travel market. In addition, it aims to minimize dissatisfaction of consumers by providing consumer based marketing strategies, product composition and customized servi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previous researche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which were composed the attribut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The first Expert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 group which were composed heavy users and the travel agency group which were composed with executive experts in travel industry. After conducting the first expert opinion survey and the pairwise comparison survey was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pert Choice 2000, which is an exclusive solution f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the attribut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s the result of percep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travel destination which was the evaluation sub-hierarchy criteria of Hierarchy 3 was composed of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schedule composition and hotel through the first opinion survey of consumer group. Hierarchy 4 consisted of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was composed with the proximity of tourist place, reputation of tourist attraction, reliability of shopping items and quality of optional tour.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first opinion survey of the consumer group, the tourist destination of Hierarchy 3, which was the evaluation sub-hierarchy criteria, was composed of only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and schedule composition. The Hierarchy 4 consisted of the tourist place element was composed of many historical sites, natural landscape, convenience of tourist places and variety of optional tour. It was shown definite difference from the travel agency group. In addition, the human services of the Hierarchy 3 of the travel agency group consisted of the elements of travel guide of overseas travel, local guide and travel agency staff, and the human services of the Hierarchy 3 of the consumer group consisted of the external staff and internal staff. In Hierarchy 4, which was composed with human services in the travel agency group, it consisted of whether or not to travel with overseas travel guide and sufficient time for reservation and consultation of travel agency personnel. On the other hand, in Hierarchy 4, which consisted of human service in the consumer group, was composed of information of destination, leadership and kindness of overseas travel guide. It was shown the difference from the travel agency group.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the priority order among the key factors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In the travel agency group was found ou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structured schedule composition (8.6%) among the total 43 factors in the travel agency group. The tourist attraction (7.4%), the rationality of travel product prices (7.3%), the use of nationality plane (7.2%) and the ability of overseas travel guide to cope with cope with crises (6.5%) were composed of the 5 high priority factors and follow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the tourist attraction (10.5%)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umer group. The rationality of travel product prices (7.6%), travel participant (6.3%), structured schedule composition (6.3%) and convenience of plane travel (4.6%) was composed of the 5 high priority factors and followed in this order.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two groups about the key factor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were derived. W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uggested that the key factors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and the consumer group will be a valuable resource. Therefore it will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vel agency in the outbound travel market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product composition and service.
수입 자동차와 국내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국내소비자와 미국소비자 구매태도 비교
김태현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제품 중에서 자동차를 빠질 수 없다. 하다못해 누가 자동차를 구입했다고 하면, 어떤 차종을 구입했는지 물어보며 관심을 갖는다. 수입 자동차의 판매량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예년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상류층에서 구입하여지만 저렴한 수입 자동차의 모델 출시로 구입조건이 한결 나아져 젊은 사람들도 구입을 많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제 자동차 제품의 국내 진입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FTA협상타결로 곧 완전한 수입개방화에 앞서 국내 소비자들의 외제 자동차의 의식은 어떤지를 알아보았고, 한충민(1998)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소비자들의 국산 자동차와 외제 자동차에 대한 구매 행동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국산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190명과 외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43명의 소비자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중요한 연구 결과는 첫째, 국내 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지도에 대해서 국산 자동차 보다는 외제 자동차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왔다. 외제 자동차에 대한 막연한 기대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국산 자동차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신뢰를 회하려는 노력과 더 많은 마케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 자동차가 예전보다 점유율은 늘어났지만 아직도 국내 소비자들은 수입 자동차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서는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개인적 규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아직도 우리 소비자들은 수입자동차를 구입할 때 주변사람들의 영향을 받고 있는 있지만 예년의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사회적 규범의 영향이 낮아지고 있는 것도 중요한 연구 결과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국산 자동차의 구매 행동에 초점을 두어 진행 되었던 기존의 연구를 외제 자동차와 비교하였고 미국 소비자들과의 비교연구로 확장한 것을 의의를 둘 수 있다. Automobiles can’t be left out among products consumers are mostly interested in. The sales of imported automobil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lso, in recent years, imported automobiles were purchased by the upper class, who are economically affluent, but nowadays, more young people are purchasing imported automobiles. This study researched and compared Korean consumers’ preferences in buying behaviors of domestic automobiles and imported automobiles. When one person purchases an automobile, others influences his / her decision.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sis with 190 consumers who own domestic automobiles and 43 consumers who own imported automobiles in Jeonju region.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Korean consumers had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imported automobiles than on domestic automobiles. It seems that vague expectations on imported automobiles played a role here, and for domestic automobile manufacturers, they would have to put more efforts and marketing to retrieve confidence on their automobiles. Second, although a market share of imported automobiles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domestic consumers are still influenced by social norms in attitudes towards imported automobile brands.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n consumers’, who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norms more than by social norms.
본 논문에서는 eMMC를 이용한 비동기용 불휘발성 메모리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NVSRAM은 SRAM과 불휘발성 메모리 기술이 접목된 소자로 시스템 정전시에 처리하던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백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 손실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NVSRAM은 해외에서 2Mbytes 단위의 높은 단가로 판매하고 있고 신뢰성 진단 기능에 많은 제한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메모리 모듈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4Mbytes 단위의 PSRAM, 데이터 저장을 위한 1Gbyte 단위의 eMMC, 고성능 메모리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승압 회로를 설계 및 적용하여 모듈의 전원이 80% 이하가 되었을 때 모듈 내부의 메모리 컨트롤러로 저전압 감지 신호인 SAVE_REQ를 전달하여 데이터 백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데이터 백업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충분한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승압 회로에 슈퍼 커패시터를 적용하여 모듈 전원이 ON 상태일 때는 충전하고 시스템 정전시 충전된 전력을 승압하여 모듈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모듈 내부의 메모리 컨트롤러를 통해 PSRAM을 쓰기 동작시에 65ns, 읽기 동작시에 70ns의 Access Time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간섭받지 않고 읽기와 쓰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비동기 방식을 적용하고 워드(Word) 단위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의 SDMMC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eMMC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자가 진단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eMMC Memory Map을 설계하였으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듈 내부의 MPU를 통해 RTC를 구현하여 모듈의 주요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의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ppm의 에러율을 보이는 에러 보정 코드를 적용한 CRC32를 구현하였다. In this thesis, a method to implement the design of asynchronous non-volatile memory module Using eMMC is presented. NVSRAM is a device that combines SRAM and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to instantly back up processed data in the event of a system power failure, minimizing the threat of data loss. Existing NVSRAM is sold abroad at a high unit price of 2Mbytes,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reliability diagnosis function. The memory module designed in this thesis is implemented using the 4Mbytes of PSRAM for data processing, the one Gbyte of eMMC for data storage, and a high-performance memory controller. By designing and applying a step-up circuit, when the power of the module is less than 80%, the low voltage detection signal SAVE_REQ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controller inside the module to perform data backup operation.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time for data backup, the super capacitor is applied to the boost circuit to charge when the module power is ON, and boost the charged power in case of a system power failure and supply it to the module. For data processing, PSRAM is configured to operate with an access time of 65ns for write operations and 70ns for read operations via a memory controller inside the module.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high-speed read and write operations without interference, an asynchronous method is applied to implement word-bas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eMMC data storage system is implemented to utilize the SDMMC function of the memory controller to store data. To implement a self-diagnostic system, the eMMC memory map can be designed to efficiently maintain data. Also, RTC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MPU inside the module to record the main operating status of the modul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ata reliability of the module, CRC32 algorithm with an error correction code showing an error rate of 0ppm was implemented.
MVNO 제도 도입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책적 연구 : T.A.I.D.A. 시나리오 분석법의 응용
김태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An MVNO is a firm that provides mobile telephony services to its customer, but does not have an allocation of spectrum and uses part an MNO's network.There are 5 trends for influencing telecommunication market which impacts on MVNO : Intensifying competition, limitation of telecommunication market, digital convergence, workable competition policy, diversification of demand. The scenario of introducing MVNO is composed of two most significant factors among those described above. : workable competition policy (a strength of access obligation) and digital convergence (a degree of connectivity with other industry). A combination of each factor makes a variety of scenarios. MVNO Policy can be decided by each scenario independently.Scenario decides a different strategic alternatives according to eac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ne of the most efficient for adapting MVNO is dependent on government's the given policy trend and the environment of market. 본 논문은 MVNO 제도를 도입하기 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도입에 있어 국내 사정에 가장 적합한 규제제도를 찾기 위한 연구이다.시나리오 분석을 위해 T.A.I.D.A 방법론이 응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통신 시장의 환경 분석의 방안으로 통신시장의 경쟁 심화, 통신시장 포화, Convergence, 정부의 경쟁활성화 정책, 소비자의 욕구 다양화의 trend를 도출하였으며 가장 영향이 큰 트렌드인 경쟁활성화 정책과 디지털 컨버전스를 응용한 환경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또한 정책 분석의 방안으로는 MVNO 진입자의 종류와 망제공자의 종류에 따른 시나리오 Matrix를 구성하였다. 이 두 시나리오는 접속 의무 강도라는 공통 요소로 연계된다.시나리오는 각각의 장단점에 따라 다른 정책적 대안을 결정하게 만든다. MVNO 제도 도입이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시나리오는 정부의 정책 기조와 시장의 상황이 어떠한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수평 배향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특성 향상을 위한 광학 보상 방법
본 연구는 수평 배향 액정 디스플레이의 측면시야각에서의 높은 명암대비비의 대칭적 분포를 구현하기 위한 광학적 보상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세 개의 일축성 필름을 이용한 보상방법에서 필름 두께에 따른 위상지연의 변화로 인한 푸앵카레 구면 상의 빛의 편광상태 변화 경로를 계산하여 경로에 따른 전체 시야각에서의 각 경로에 따른 명암대비비의 대칭성을 표준편차를 통해 얻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광자들은 수직교차 되어있고, 액정은 면 내에 균일하게 수평배열 되어있다. 보상 방법은 기존의 세 개의 일축성 필름인 A/C/A-plate를 사용한 것이다. 각 광학소자에서의 위상지연을 계산하고, 빛의 편광상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extended Jones matrix method를 이용하였고, 4x4 matrix를 통해 광 투과 특성을 계산한 후 시야 별 명암대비비를 구하였다. 계산을 통하여, 전체 시야각에서의 고른 명암대비비 분포를 갖기 위해 표준편차가 가장 낮은 편광상태 변화 경로를 따라야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넓은 시야각에서의 대칭적이고 균일한 명암대비비를 갖는 수평 배향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일축성 보상필름의 최적설계조건을 구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optical compensation method to improve the symmetry of contrast ratio for wide viewing angle homogeneous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First, the phase retardation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compensation film is calculated, and then the phase change is presented at the Poincaré sphere. The phase retardation and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element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extended Jones matrix method. In addition, the transmittance and the contrast contour are also calculated by using the Berreman's 4x4 matrix method. The simulation is carried out for a homogeneously aligned LC cell with positive A/C/A-plate compensation film. From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rast ratio, we confirmed the symmetry at each viewing angl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tandard deviation and calculated the optimum design condition of the uniaxial compensation film for the homogeneously aligned LCD.
보 구조물의 엄밀한 진동해석을 위한 개량된 단일요소 스펙트럴해석법
스펙트럴요소법(SEM)에서 구조물 부재에 작용하는 외부하중을 다루는 방법에는 단일요소법(OEM)과 쌍요소법(TEM) 두 가지가 있다. OEM은 외부하중을 구조요소의 경계에 작용하는 유효절점하중과 모멘트로 나타내어 구조요소 전체를 하나의 유한요소로 나타내는 모델링 기법이다. TEM은 외부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구조요소를 두 개의 유한요소로 나누고, 외부하중을 두 개의 유한요소가 결합하는 절점에 작용하는 절점하중과 모멘트로 나타내는 모델링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OEM은 유한요소의 어셈블링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해석 결과가 부정확하다. 반면에, TEM은 유한요소의 어셈블링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지만 항상 정확한 해석결과를 제공한다. TEM이 갖는 해석결과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의 어셈블링이 없이도 정확한 해석결과를 구할 수 있는 개량된 단일요소법(IOEM)을 SEM을 기반으로 하여 제안하였다. 해석적으로 SEM기반 TEM모델을 SEM기반 OEM모델의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IOEM모델을 개발하였다. 수치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OEM, TEM 및 IOEM의 정확성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현재 전문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s에 게제되었다(Vol. 119, pp. 333-342, 2016). In the spectral element method (SEM), there are two methods to deal with an external loading applied on a structure member. First method is to represent the structure member as a single finite element subjected to effective nodal forces and moments at two boundary nodes of the finite element, which is called the one-element method (OEM). Second method is to represent the structure member as two finite elements, where the external loading is represented by the nodal forces and moments at the joint of two finite elements, which is called the two-element method (TEM). The OEM does not require assembly of finite elements, but provides inaccurate dynamic responses. On the other hand, the TEM requires assembly of finite elements, but always provides exact dynamic responses. Based on the exactness of TEM, this thesis proposes a new SEM-based solution technique, called the improved one-element method (IOEM). The IOEM can provide exact dynamic responses without assembly of finite elements. The IOEM is developed by analytically transforming the SEM-based two-element model into the form of the SEM-based one-element model.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the accuracy of the OEM, TEM, and IOEM is evaluate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thesis have been published to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s (Vol. 119, pp. 333-342, 2016).
스포츠클럽 치어리딩 참여가 여중생의 평형성, 리듬감, 근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여중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치어리딩 참여에 따라 평형성(동적평형성, 정적평형성), 리듬감, 근력(하지근력, 체간근력) 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C시의 중학교 여중생으로 스포츠클럽의 치어리딩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14명과 비참여 학생 14명으로 각각 분류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8주간의 스포츠클럽 프로그램에 참여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적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ESS test를 사용하였고 동적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odified Bass Test of dynamic balance를 사용하였다. 또한, 리듬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Drake의 Rhythm Test중 Forms A를 사용하였고, 근력 측정을 위하여 배근력 측정기와 제자리 멀리뛰기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측정된 자료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중생의 평형성 검사에서는 치어리딩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어리딩의 참여는 여중생의 평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다. 둘째, 여중생의 근력 검사에서는 치어리딩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어리딩의 참여는 여중생의 근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다. 셋째, 여중생의 리듬감 검사에서는 치어리딩 참여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치어리딩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학교스포츠클럽 치어리딩의 참여는 여중생들에게 평형성, 근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중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치어리딩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the change in balance (dynamic balance, static balance), rhythm, muscle strength(lower muscle strength, trunk muscle strength)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cheerleading program. 14 students were given a physical measure before the study, Then they took part in the cheerleading program of the school sports club for 8 weeks and then they were also given a physical measure. On the other hand, another 14 students group who didn’t attend the program were given a physical measure. For the physical measure, Drake used Forms A during the Rhythm test to measure the rhythm of rhythmic gymnastics, and used a long jump in the abdominal muscles for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s.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version 22.0) program for the Window Handling Progra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participants gorup conducted higher score than the normal group in the students equilibrium test. Thus, the participation of cheerleading is an effective exercise to improve the middle school student's equilibrium. Second, the strength te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eerleading program showed a higher level achievement compare to the normal group. Therefore, the participation of cheerleading is an effective exercise for improving the strengths of middle school girls. Thir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test of a sense of rhythm after the study. The strength of the test group showed that the test group conducted a cheerleading test was higher than a group of people who conducted a cheerleading test. Thus, the participation of cheerleading is an effective exercise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turns out that participation of cheerleading program in school sports club is effective exercise program to encourage middle school girls to improve their balance of equilibrium, rhythm, and stam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middle school girls will continuously apply cheerleading lessons to the educational scene.
DME/Air 비예혼합화염의 NOx 생성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DME(Dimethyl ether; CH3-O-CH3)는 1개의 산소원자와 2개의 메탄기가 결합된 에테르 화합물로서 최근 디젤엔진, HCCI(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엔진, 가스터빈 연소기 및 LPG 대체연료, 연료전지 등의 다양한 용도에 그 적용성이 검토되고 있다. 최근에는 DME 연료의 분무 및 착화특성, 연소속도 및 희박 연소한계 등에 대한 기초 연구들이 보고 되어 있다. 또한 디젤엔진에서 DME를 사용한 경우의 엔진 성능 및 NOx 배출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젤엔진에서의 NOx 생성특성은 반응열, 필요 공기량 및 화염온도 등의 연료 물성 외에도 연료 분사시기, 착화시기 및 EGR 등의 연소조건 및 연소과정 중의 압력변화와 같은 연소 천이조건(Transient condition)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동일 운전 조건에서의 NOx 생성량이 각 연료의 NOx 배출특성을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DME 연료의 NOx 생성특성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NOx 생성요인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는 실용엔진에서 검토하기 이전에, 각각의 NOx 생성인자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단순화염을 대상으로 한 기초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DME 화염의 NOx 생성특성에 대한 기초연구는 디젤엔진 등의 실용 연구에 비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화염특성 관찰이 용이한 동축 확산화염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DME, C2H6, 그리고 LPG의 주성분인 C3H8의 화염형상과 NOx 배출특성을 검토하였으며, NOx를 포함한 DME 연료의 상세 반응기구를 정립하고, 실험결과를 토대로 탄화수소계열 연료에 비해 DME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인 부분 예혼합적 연소특성과 O-C 결합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DME(CH3-O-CH3) 화염, 동일한 메탄기를 갖는 C2H6(CH3-CH3) 화염 및 DME와 원소비율이 동일한 C2H6-O2 혼합연료(C2H6-1/2O2) 화염을 대상으로 정립된 반응기구를 이용하여 대향류 비예혼합화염에서 NOx 생성특성을 수치적으로 검토하였다. 동축 제트화염의 실험을 통하여 DME의 NOx 발생량은 동일 질량유량의 C3H8 화염에 비해 약 40 % 정도 적게 배출되며, 동일 공급열량의 조건에서도 약 10 % 적게 배출됨을 확인하였으며 대향류에서의 수치해석을 통해 DME 화염의 EINO가 탄화수소 계열인 C2H6보다 감소하는 주된 인자는 DME 내부에 존재하는 ‘O’원자에 의한 DME의 부분 예혼합적인 연소특성이며, 탄화수소계열의 C-C 결합 대신에 존재하는 O-C 결합에 의한 반응구조의 차이도 EINO의 감소에 다소 영향을 미치며 본 연구 범위내에서는 동일 화염온도 조건의 경우에는 위 두 인자의 NO 저감 효과는 6:1의 비율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김태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성숙기에 접어들기 시작한 전자산업 속에서 사용편의성을 제품혁신의 돌파구로 활용 하고있다. 전자기기의 종류와 기기당 기능 수가 늘어남에 따라 보다 쉽고 보편적인 조작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고 기업의 컨버전스 전략으로 인해 기기에 포함되는 기능이 늘고 있으나, 사용하기 불편하고 복잡하여 소비자가 기능피로(feature fatigue)를 겪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음향기기에서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면이 클린한 느낌의 터치방식의 컨트롤러를 채용하는 제품들이 저변을 확대해 가고 있다. 고가의 하이앤드급 음향기기에서는 중요인터페이스인 콘트롤러에는 여전히 다이얼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터치 방식과 다이얼 방식을 비교해서 사용성 측면에서 어느방식이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가가 연구의 중심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심화 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첫 번째 단계에서 인지심리학의 주의와 인지를 관해서 사람의 인지과정중에 주의가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사람의 주의가 사용자의 사용성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사람의 감각중 제일 반응속도가 빠르고 가장 직관적인 촉각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외부자극을 인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사람의 촉각을 중심기반으로 촉감인터페이스에서 가상의 촉감이 어떤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촉감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사례연구를 통해서 물체중심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능동적 접촉의 성격을 내포한 제품들이 출시된 제품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사람의 컨트롤에 따라 반응이 제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음향기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음향기기 인터페이스에서 메뉴버튼의 지니고 있는 성격을 분류해 보았고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로터리방식 노브가 입력의 정확성이 탁월함을 알수 있었고 콘트롤 다이얼의 재질 및 후가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민감하게 작동하는 음향기기에서 콘트롤러도 능동적 접촉요소가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피험자들의 콘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주관적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서 데이터를 얻었다. 다음으로는 음향기기 콘트롤러 노브의 사용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표본샘플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정서상태와 생리적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뇌파측정시스템(EEG)를 통한 분석을 통해서 최적의 사용성을 가진 콘트롤러 의 가이드라인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콘트롤러의 크기비율에 따라서 사용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소비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촉감인터페이스 활용한 콘트롤러 디자인 적용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Approaching in adolescence, from the key item within the electronics industry which starts applies a use usability in the breach of product innovation. Per type and the machinery and tools of electronic instrument the functional valence according to extending, sees and easily the necessity which will adopt the fabrication method which is universal, with vergence strategy of the enterprise to become is caused by and the func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machinery and tools is increased, to be inconvenient uses and, is complicated and the side effect where the consumer undergoes a functional fatigue (feature fatigue) occurs the actual condition where is. Th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user interface the products which employ the control of method of the phosphorus one impression where the whole surface will be big magnify a base and they are going. To the control which is an important interface as ever is the actual condition which employs a dial mode from high and the class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of high price. Hereupon consequently compared a method and a dial mode and from the use characteristic side which method in the user more intuitional and the convenience which uses center of research was. Before entering into the deepening process of the research which sees with attention of stamp psychology refers the attention should have participated how in cognitive process of the person,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d the attention of the person from the use frost of the user should have affected how about, researched the stamp from first time phase. The first reaction velocity in the sense of the person quickly the antenna which is most intuitional goes through what kind of process from second level and recognize the external magnetic pole about, the antenna of the person to examine in central base the feeling of imagination goes through what kind of process from feeling interface and in the user about is delivered the case study where the feeling interface to examine is applied leads and occupies the majority of the product where the products which contain the character of the spontaneous contact which the character in the object center has come out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was. According to control of the person the reaction first sensitively from third phase, researched about th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which reacts. Roh rotary method accuracy of input excels from the human engineering side to try to classify the character which the menu button has from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interface examined about quality of material and after processing of the control dial to be the possibility which will know. Is caused by with of the users and sensitively, control keeps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there was a spontaneous contact element from th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which operates. Last in order to examin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control use characteristic of Roh from produces the sample sample from phase and the analysis which leads the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EEG) will be able to measure the emotional condition and a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user leads and guide line of the control which the use characteristic of optimum has escape the possibility of doing was. According to size ratio of research result control there being a use frost difference, the possibility of knowing was. Like this the feeling interface which is easy the consumer uses a contents finished a research with the fact that presents the data which is necessary to the control design application at the time of which ap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