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의 매체적 특성에 따른 연기방법 연구

        김연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무대에서 활동하던 배우들이 매체연기를 접했을 때 적응하지 못하고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영화의 기술적인 요소들을 이해하여 무대연기와 다른 영화라는 매체에 적응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고려한 연기방법론을 고찰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현대 영화의 제작현장에서 영화가 갖고 있는 매체적 특성을 카메라․사운드․편집․장면화 등으로 나누고 각 구성요소가 갖는 특징과 배우의 연기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리얼리즘의 미학이라고 불리우는 영화에서 배우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연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그 구체적인 연기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대연기와는 다른 영화연기의 가장 큰 특성을 클로즈업의 도입으로 인한 마이크로적인 연기로 보는데, 영화연기는 기본적으로 연극연기에 반해 극도로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요구한다. 배우의 얼굴이 대형 스크린에 비현실적으로 확대되어 보이기 때문에 배우들은 조금의 가식이나 과장도 허용되지가 않는다. 하지만 항상 섬세한 연기만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는 카메라의 눈을 통해 모든 것이 촬영되어지고 프레임 안에서 보이는 것만이 관객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배우는 카메라의 쇼트 크기에 따라 연기를 변형해야 한다. 즉, 쇼트의 크기가 관객과의 거리인 것이다. 이 거리감에 의해서 배우들은 때론 과장되거나 때론 미세한 연기를 구현해야 한다. 영화배우들은 이러한 기술적인 특성들을 이해하고 그것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의 연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이게 해야 한다. 이러한 배우의 연기는 편집이라는 작업을 거쳐 관객들에게 보이게 된다. 이렇게 영화에서 배우들의 연기는 기술적인 요소들의 결합으로 관객에게 영화적 리얼리티로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인 특성들 때문에 배우의 내적진실이 방해받기도 한다. 카메라의 위치와 앵글․ 마이크의 위치․조명, 그리고 편집에 의한 분절촬영까지 현장에는 배우의 내적충동과 진실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많다. 이러한 기술적인 요소들로 인한 배우의 내적진실을 유지함에 있어 그 방법으로 전통적인 연출가들의 다양한 연기이론을 적용시켜 무대연기에서 쓰였던 정서적인 방법들이 영화연기에서도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적용시켰고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매체의 특성에 맞는 테크닉들과 논자의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얻어진 지식들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음으로써 영화연기에 적합한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영화적 진실이란 관객을 고려한 것이지 배우의 연기를 고려한 것이 아니다. 배우들은 자신의 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영화의 구성요소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연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배우들이 이러한 영화의 기술적 매커니즘을 이해하는 데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이 연구논문은 배우들이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그 요소들이 배우들의 연기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무대배우들이 영상매체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카메라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출하는데 보다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쓰여졌다. This dissertation suggests acting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heatre, in order to help stage actors understand technical elements of the film and overcome difficulties that they may experience when they first perform screen acting. For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re categorized under four elements; i.e., camera, sound, editing, and mise-en-scene. And,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our elements and screen acting, detailed acting methods that can help stage actors act at the film in a more effective way are suggested. This dissertation views the characteristics of screen acting that is most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stage acting as a micro acting method. Due to the micro acting method, which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correspond to a close-up shot, screen acting requires much more delicate and natural acting from actors than stage acting does. At the close-up shot, because actors’ face is enlarged to an unrealistic degree on a screen, they are not allowed to act with even slight pretense or exaggeration. However, they are not required to always perform delicate acting. At the film, the audience can only see what is captured through a camera shot; therefore, screen actors should adapt their acting methods to the size of a camera shot. In other word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a camera shot, they should sometimes perform delicate acting but othertimes perform exaggerated acting. Therefore, in order to skillfully adapt their acting methods to the size of a camera shot and perform effective screen acting, screen actors should underst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Furthermore, screen acting can be seen by the audience only after an editing process; namely, actors’ acting is complete only after it is combined with such technical elements of the film. However, such technical elements may also disturb the “inner truth” of actors. At any filming site, various elements that can disturb actors’ inner truth are found such as cameras, microphones, lightings, and non-sequential shooting for editing. Therefore, based on traditional methods to maintain stage actors’ emotion and various classic acting theories, the author suggests methods to maintain actors’ inner truth despite the existence of such disturbing elements at a filming site. The author also suggests, based on her personal experience as a professional screen actor, practical acting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The cinematic truth is not for actors, but for the audience. Actors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so that they can more accurately deliver their emotion and intention to the audience.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stage actors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uch characteristics of the film.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nd its effect on screen acting and suggests solutions to overcome common difficulties that stage actors may experience in the film thereby helping them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nd thus perform better screen acting.

      • '영상연기' 관련 교과교육을 위한 학습모형 개발연구 : 대학의 전공교과를 중심으로

        이남훈 세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영상연기’ 관련 교과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교육 방법론으로 연구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주제는 ‘영상연기’에서의 연기방법론과 교육론을 전제로 연기전공에서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체계화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핵심인 3단계 과정과 각 과정별 16주차 교육으로 세분화하고 실제 학생들의 ‘영상연기’ 커리큘럼의 적용과 관찰로 이를 검증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국내 대학 영상연기 커리큘럼을 조사하고 이를 수강한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한 후 연구자의 방법론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토대 위에 본고는 프로그램을 과정별 3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관찰한 후 실제 프로그램 이수자들에게 다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무대연기 중심으로 획일화된 현행 연기 교육 문제점의 대안으로 시작된 본 연구는 미래 연기 교육의 발전을 위한 올바른 방향과 학생 진로선정의 확장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고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연기교육의 향후 과제와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문의 주축이 되는 프로그램 훈련 단계와 학습 프로그램 내용 연구는 ‘영상연기’교육을 위한 연기 일반론과 매체적 특성에 따른 영상연기 이론에 연구자의 경험적 지식 체계와 결합하여 구축하였다. 이 외에도 국내, 외 선행 연구되었던 ‘영상연기’ 교육 관련 논문들과 단행본들을 참고하여 개별 사례의 검토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로 도출되었던 내용들도 본 연구에 힘을 실었다. 연구된 내용들은 연구 적용 대상자들을 위한 ‘16주 커리큘럼’ 개발로 이어졌고, 16주 커리큘럼이 대학 ‘영상연기’ 관련 교과목의 훈련 프로그램으로 연결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상연기 1’, ‘영상연기 2’, ‘영상연기 3’ 수업을 통해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적용대상자들은 영상연기에 대한 경험이 없거나 미비한 수준으로 연구자는 보다 단계별 실효성을 위해 ‘영상연기 1’ 수업을 듣고 ‘영상연기 2’를 경험하도록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모든 프로그램 단계의 마지막에는 프로그램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프로그램 성과의 객관적 실효성을 검증받았다. 검증 결과는 5점 만점에 평균 4.7이상을 상회하는 지표가 나왔고 연구자의 프로그램이 ‘영상연기’ 교육을 위한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음을 검증되었다. 비록 연구자가 근무하는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2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지만 이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연구를 확장할 것을 밝히는 바이다. 이제는 디지털이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고 모든 매체들은 아날로그적 개념을 벗어나 서로 융합하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영상은 이러한 융·복합적 매체의 진화에 그 중추를 이루고 있다. 이에 ‘영상연기’는 연기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무대중심의 연기교육이나 단발적으로 경험하는 ‘영상연기’ 교육의 현행교육제도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하나의 교안이 제시되었길 바라며 또한 미래 연기교육에 기여하는 논의가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 영상연기에서 ‘즉각적인 주의집중’을 위한 이미지 활용 방안 연구

        박옥출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대본을 통해 구축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선택하여 주의를 기울여 집중함으로써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연기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무대연기에 익숙한 배우가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매체의 촬영현장에서 어떻게 하면 짧은 시간 안에 ‘즉각적’으로 인물로서 주의집중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영상매체에서의 연기환경은 연극 무대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배우는 수동적인 위치에서 연기를 수행할 수밖에 없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즉각적으로 연기할 것을 요구받는다. 이때 배우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즉각적인 주의집중이며, 촬영 전(前) 단계에서부터 촬영 직전의 순간까지 배우는 인물에 대한 이미지를 주의의 대상으로 선택하여 집중함으로써 즉각적이며, 정확하게 인물로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주의집중은 여러 대상이나 생각 중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라는 선별(selection)을 핵심기능으로 간주하는 주의와 선택된 이것에 모든 의식을 쏟는 정신적인 힘을 의미하는 집중이 합쳐진 용어로, 영상연기에서 요구되는 ‘즉각적인 주의집중’은 배우가 신속하고 빠른 시간 안에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창조적이고 진실된 연기를 완성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선택적으로 의식을 모으는 힘이라 할 수 있으며, 촬영이 시작되는 순간에 배우가 배역으로 행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주의집중은 작가가 창조한 가상의 삶을 연기해야 하는 배우에게 있어서 연기의 창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가상의 삶은 상상을 통해 배우의 연기로 표현이 된다. 이때 작품이 요구하는 상상의 실재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 주의집중이며, 배우의 상상력은 이미지의 발현을 통해 이루어지고 구체화된다. 이에 배우는 대본을 기반으로 상상을 통해 구축된 인물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주의집중의 대상으로 선택함으로써 맡은 배역의 인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미지에 주의집중을 할 때 배우는 인물로의 심리·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영화 <싱크홀>과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의 촬영현장에서 이미지를 활용하여 즉각적인 주의 집중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본에 근거한 상상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상상력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하며 새로운 이미지로 변화된다. 연구자는 대본을 통해 구축된 이미지를 매번 재생할 때마다 고정화된 이미지가 아닌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들이 재생되는 것을 경험 하였다. 둘째, 이미지들은 실체적이고 구체적일수록 더욱 또렷하게 생성되어 재생되며, 이는 배우가 인물의 감정을 느끼고 인물로 주의집중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셋째,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것은 이미지에 대한 주의를 자동화하여, 급박하게 진행되는 촬영현장에서 언제든 즉각적으로 연기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위의 과정을 통해 배우 내면에는 인물에 대한 이미지들이 구축되며, 이를 대상으로 선택하여 주의집중을 할 때 배우의 심리·신체를 변화시켜 인물로 존재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인물의 감정에 부합하는 말을 발화함으로써 환기되는 이미지는 현재 인물의 심리적인 충동을 배우에게 일으키게 하여 배우의 심리·신체를 변화시킨다. 발화를 통한 이미지의 환기는 내적 이미지의 구축이 전제 되어야 한다. 여섯째, 콘티를 활용하는 것은 대본을 통한 이미지를 구체화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상의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시점에서 그렸던 이미지들은 콘티를 통해 명확하게 구체화 되며, 대본 분석으로는 얻을 수 없는 정보뿐만 아니라 대본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상황의 다른 측면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화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This paper researches methods for actors to immediately perform media acting in a filming location by concentrating their attention on the chosen image that has been constructed from the script. The study started from the concern on how actors who are more accustomed to act on a stage can effectively and instantly concentrate their attention on their designated characters in sets for films and drama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acting environment in filming location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on stages, which can place actors to perform their acting in a relatively passive position and can even demand them to act immediately in any circumstances. What the actor needs the most to overcome these obstacles is ‘Immediate Concentration of Attention.’ By selecting the images relevant to the character one performs as the main subject of his or her attention and concentrating on it from the pre-filming phase to the moments before the acting, actors can immediately and accurately become that character they focus on.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a terminology that combines ‘Attention’, which regards ‘selection’ of what to do among multiple options as its primary function, and ‘Concentration’, a mental activity that spends a substantial amount of consciousness on the chosen subject. The ‘Immediate Concentration of Attention’ required in media acting is a process in which an actor undertakes to complete his or her creative and genuine acting by rapidly focusing one’s consciousness into the character in an active and selective manner. It is a state of mind that makes actors act as their role at the moment the shooting begins.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affects the creativity of actors who have to live imaginary lives created by the scriptwriter. The characters in the scripts are expressed through the actor’s imagination.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lets actors focus on the actuality of the imagination that is demanded by their works, and their imaginations become more specified in the process. Thus, actors can exist as their designated roles by selecting the specific images of the constructed characters as the main subject for their concentration and can further experienc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during the transition procedure to their characters. The utility and the practicality of ‘Immediate Concentration of Attention’ using images verified in filming sets for the movie <Sinkhole> and the drama <Arthdal Chronicles> are as follows. 1. Images created by imagination from the scripts change into new imagery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one’s originality. The researcher experienced images from diverse viewpoints constructed in the process instead of one fixed image whenever the image was played. 2. The more realistic and specific the images are, the clearer they are created, which helps actors feel the character’s emotions and focus their attention on them. 3. Playing images repeatedly automatizes actors’ attention to the image, and it allows them to immediately perform their actions whenever necessary in a fast-paced film sets. 4. The process above constructs images regarding the character in the actor’s inscape which is then selected by the actor to become who he or she is supposed to be. 5. Images aroused from uttering lines adequate to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 raises psychological impulses and changes the mind and the body of the actor fitting to the character. Construction of inner images must be a prerequisite to this process. 6. Utilizing continuities is helpful to specify the image. Images drawn from diverse viewpoints can be more clearly specified through continuities. This utilization can bring information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script as well as images of other areas that were not revealed in the script.

      • 스마트폰 영화를 위한 매체연기 테크닉에 관한 연구

        유정석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4

        전 세계적으로 단순한 휴대용 이동 통신기기에 불과했던 휴대폰은 ‘내 손안의 PC'이자 온라인 미디어인 스마트폰으로까지 발전되어 우리의 삶 속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에 대한 관심과 시장은 더욱더 크게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우리 미래를 더욱 더 편리하고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큰 아이콘으로써 성장이 입증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영향으로 스마트폰 영화의 탄생이 이루어졌다. 이는 기존의 영상매체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게 되었고, 이러한 매체적 다양성에 맞추어 배우들로 하여금 이러한 영상 매체의 다변화 속에 그에 알맞은 연기 테크닉을 찾아보고자 본고는 본 연구를 하려한다. 스마트폰 영화는 기존의 영화와 완전히 다른 체계의 영화가 아닌 영화가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그리고 필름영화에서 디지털영화로 바뀌어 오면서 가지고 있는 특성들과 스마트폰만의 특징, 그리고 글로벌시대에 맞는 소셜네트워크의 특성들이 적용된 디지털 영화가 진화한 매체라 할 수 있다. 이런 스마트폰의 등장은 제작비의 절감 효과와 편집을 함에 있어 기존의 시스템보다 훨씬 간편화되었고 또한 누구나 손쉽게 영화를 찍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체에 대한 평등성과 대중성의 확산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리고 더불어 스마트폰 영화는소셜네트워크를 통해서 쉽고 빠르게 제작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박찬욱, 박찬경 형제 감독이 제작한 스마트폰 영화 <파란만장>이라는 작품은 2011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단편영화 부분 최고상인 “황금곰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영화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스마트폰 영화는 영화의 발전 속에서 항상 그 매체에 맞는 연기로 변화하였던 배우들에게도 큰 의미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배우들의 영상매체 연기행위의 기회를 확대함과 동시에 더욱더 전문적인 다시 말해 연기에서 보다 더 자연스럽고 사실적이고 세밀한 연기를 필요로 하게 되고, 또 이를 지향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화라는 매체에서 배우의 연기는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원하고 있다. 그리하여 많은 연기교육이론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중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연기 교육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과 리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연기 교육법이 전 세계적으로 배우의 사실적인 연기교육법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 및 사설 연기교육 단체에서의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아직도 현장으로 나갔을 경우에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는 영상매체 현장과의 사이에 적용되는 연기테크닉의 현장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연기교육의 현장에서도 배우의 매체 연기 수업이 더욱 더 그에 맞게끔 발전해야 이러한 변화에 발 맞춰 녹아들 수 있다고 본고는 생각한다. 다시 말해 보다 중요한 것은 시대적 흐름에 따른 발전과 변화는 배우의 연기에도 분명히 적용된다는 사실이다. 물론 연기의 본질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서 새로운 매체가 나타날 때마다 배우들은 그에 따른 적응을 해왔고 그에 알맞은 연기 테크닉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영상매체는 끊임없이 발전할 것이며 어떤 형태로 바뀔지는 그 누구도 모른다. 스마트폰 영화의 등장은 간편화, 소형화, 대중화를 통해 기존 영화와는 차별적으로 배우에게 새로운 기회일 뿐만 아니라 연기 테크닉 적으로도 무대적 주의, 정서적 기억법, 신체적 행위법 등에 많은 적용이 가능해 졌다. 이에 배우들은 스마트폰 영화라는 새로운 미디어에 적응하기 위해 훈련을 하고 교육적으로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정주영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32319

        In modern society, with highly sophisticated civilization and technology, people seem to lose their interest in plays or stage art due to widespread media entertainment like movies, TV and video games. In other words, these modern media sources do not only have a great impact on economic industry but also areas in modern arts. In these moder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cting has also been constantly changed and even those video game characters are adapting themselves to proper roles according to the acting. These changes may also have affected actors and actresses in their acting as well.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acting in categories of movies and TV where cameras are used because of audience's demand, social atmosphere and technology development. Especial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moted appearance of mass media like movies and TV, and demand for adaptive stage acting for plays that are no longer typical. So the acting is still changing and developing to the changes of mechanism, not only to the changes of society or styles. Important elements for producing movies or TV drama are visual images, editing, acting, and etc. Above all, acting in front of camera, under the circumstance that movie is a category of play ; it takes a crucial part that shows the performance of actor's role. So, camera acting is considered more crucial than other elements and requires further study about it. 'Camera Acting' means 'all the acting and performance shown in motion images through the camera'. Also, it differs from stage acting before the appearance of camera.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amera acting from the early era of Korean movies to the modern period of film industr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most sophisticated technology provides entertainment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dded to TV programs and movies. This change has developed Korean camera acting in its own particular style under influence of politics, social issue, cultural situation and box office conditions. Korean camera acting was originated from the early era of movies, but it was not originally from actual actor's acting. In the early days, we needed a person to deliver a story of silent film and this promoted the appearance of Byeonsa(silent film's interpreter) and camera acting. This could be an origin of the camera acting because the Byeonsa delivered story of silent film with speech and gesture, although he did not actually performed acting in front of camera, and it helped the audience to understand and feel like the Byeonsa was actually acting. The Byeonsa's role expanded an area of silent film with more expressive and visual elements as we can see in plays. In other words, the Byeonsa's performed a role that vitalizes the silent film and elevates the film to a level of art. A Yeonsegeuk(kino-drama) is a form of play combined with moving pictures. That is, a traditional play added with motion picture to screen for audience. This was the first fusion art between two media. The form of Yeonsegeuk is to show the scene that has limit with time and space on the stage by using motion picture where the outdoor scene is required. In the beginning, it just showed backgrounds of play, but has developed further to the recent form of movies with more theatrical elements in the scenes. In history of acting, the importance of Yeonsegeuk play is that facial expressions of actors, which was only performed on stage, now can be realistically perform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media called 'movie'. That means, it was a great turning point at the appearance of Talkies(talking picture) that includes actor's actual acting. When facial expressions with relaxed muscl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actor's voice, more with natural lin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Talkies. That is,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people evaluated more visually on actor's facial expressions but now the voice and lines of actors have become a greater issue. This actors' acting training skill was not well structured and at the rampant situation, usage of shinpa-drama(melodrama) actors' appearance and their stage line acting method creates error. In 1945, the time of independence, Korea went through chaotic, violent and ideological period and then suffered from Korean war in 1950 that nearly demolished the whole nation and people. After the war, armistice agreement in 1953, Korean movies faced a new era with great actors (Kim Dong Won, Hwang Jung Soon, Jo Mi Ryung, Choi Moo Ryong, Choi Eun Hee, and etc) who were not only play actors but also influenced camera acting in that time. Those Korean actors struggled to conserve movie production eve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like period of independence and Korean war and they took a great role to entertain and cheer Korean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those harsh circumstances in play and movies. From 1960's, Korean movies started to develop and faced a challenge as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s opened business and TV drama flourished. This provoked movie businesses in Korea to widen its variety and style with new expressions. The golden age of Korean movies also provided golden career for actors like Kim Sung Ho, Choi Moo Ryong and Kim Ji mi who had an experience both in play and movies in 1950's. Later in 1960's, when youth movies dominated the movie business with uprising stars like Shin Young Kyun, Shin Sung Il, Um Ang Ran, Moon Jung Suk, Ko Eun Ah, and etc, the main actors grew prosperou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In this time, TV drama also took a great part in dedication of developing camera acting. As Korean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 (KBS) first aired in 1961, weekend drama became so popular that TV distribution in every household was common and peop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drama, as well as movies, actors and their acting. More interestingly, the play actors performed multiple actings from TV to a movie, according to types of acting. In 1960's, the TV drama was on live due to technical difficulty of recording and acting of the actors seemed like performing on stage set when camera recorded as moving. That is to say, this created new camera acting combining both play acting and TV acting. In 1990's, Korean movies and drama were the main resources for 'Korean Wave' and they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and later in whole Asia and the world. As we can see,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Korean movies and drama is its high quality. Comparing to Hollywood movies, Korean media offers low price with high quality in categories of production, scenario, filming and art that approached to Asian people with familiar topics and content. Now, as we are living in the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adapt ourselves into new environment. To do so, techniques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y guide us to a new challenge. In Motion Capture acting, it is essential to imply actor's internal conflict with specific physical movement and send a clear message to audience. Thus, the actor should analyze target character's lines and acts then synchronize with it internally. So the actor has to react promptly on the other actors and stage properties. To do that, the actor needs ensemble acting (rehearsal) and skill (reaction acting) to react promptly against environment. VR and AR movies are not just the technologies providing virtualization visually, they deliver various experiences for the audience even with senses of smell and tactile feeling by using sophisticated devices. In films, actors are recommended to perform in a long shot because small cuts may interfere them to focus. In ordinary movies, we can edit small cuts with various techniques but it hardly works on AR and VR movies. The technology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llowed us to replace actual characters with imaginary ones, but it is still required for the actors to perform natural acting that includes vivid and active expressions. Although it is certain that we have to adapt ourselves to those fast-paced changes in movie industry and acting, we lack in systemized teaching for acting and need further study indee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camera acting that has maintained itself under social chaos and changes, with support from steady actors who searched for new styles in camera acting and dedicated themselves. In conclusion, I hope that we can take a distant view on Korean camera acting and study further about its changes more actively. 오늘날 고도로 성장한 문명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영화나 TV, 영상게임 등과 같은 영상매체에 매료되어 연극이나 무대예술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매체들은 산업적 규모는 물론이고 대중문화예술 측면에 있어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문화예술적 변화 속에서 연기 또한 그 변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영상게임 캐릭터조차 게임 속 역할에 맞는 연기를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배우의 연기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나 TV드라마 연기와 같이 카메라를 통하여 보여주는 연기에 있어서도 사회적 정서, 관객의 시대적 요구, 기술의 발달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영화와 TV 등 다양한 매스미디어가 등장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연기에 있어서도 무대연기, 즉 이전의 연극연기에서 벗어나, 보다 자연스러운 매체별 적합한 연기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연기는 단순한 사회적 변화나 스타일의 변화가 아닌 메커니즘적 변화와 맞물려 현재에 이르러서도 꾸준히 변모되며 성장하고 있다. 영화나 TV드라마 제작 환경에 있어 필요한 요소들은 영상, 편집, 배우의 카메라 연기 등이다. 이중 카메라 연기는 영화가 극이라는 것을 상기하면, 영화는 ‘배우가 맡은 역할의 행위하는 것’을 보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카메라 연기는 영화에 포함되는 그 어느 요소보다도 중요성이 인식되며 그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카메라 연기’는 미디어, 즉 영화나 TV드라마를 포함하여 ‘배우의 연기를 카메라를 통해 보여주는 모든 영상 속 연기’를 의미한다. 또한 카메라가 등장하기 이전의 연극무대연기와는 다른 형식의 연기이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초기부터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까지, 배우의 카메라 연기가 중심이 되는 영화와 TV드라마를 포함한 첨단 영상기술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영화 등에 이르기까지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한국 카메라 연기는 우리의 특수한 정치․사회, 문화적 상황과 극장상영 조건을 바탕으로 우리 나름의 독특한 양상으로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카메라 연기는 초기 영화에서 태동하였지만, 영화 속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로 시작한 것은 아니다. 외국에서 유입된 무성영화의 내용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해설자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변사의 출현이며 카메라 연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변사가 카메라 앞에 직접 나서서 연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가 없는 영화를 보면서 배우 못지않은 말과 행동으로 관객에게 설명하고 보여줌으로써 영화의 이해를 도모했기 때문에 변사의 역할은 배우가 직접 카메라 연기를 구사한 듯한 느낌을 들게 했기 때문이다. 변사의 활동은 시각적 요소와 대사를 중심으로 한 공연적 요소가 결합하여 무성으로 제작된 영화들의 표현영역을 확대시켰다. 다시 말해 무성으로 제작된 영상 매체에 변사의 연기가 더해져 영화로서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며, 예술적 가치를 드러내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쇄극은 연극공연 중에 영화장면을 삽입한 공연양식이다. 쉽게 말해 기존 연극의 효과에 영화라는 새로운 매체를 결합하여 연극 상황과 연결되는 장면을 극중에 상영한 것이다. 이는 최초의 매체간의 융합예술인 것이다. 연쇄극 형식은 공간과 시간적 제약이 많은 무대 위에서 표현이 어려운 정경이나 장소의 극적 장면을 촬영해 두었다가, 공연 중에 야외 장면이 필요한 대목에 이르면 조명이 꺼지면서 동시에 스크린이 내려져 연극의 내용이 영상장면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연극의 배경을 보여주는 정도였지만, 영상장면이 극적요소를 더해감으로써 그 비중이 커져 영화적 형태로 변모하였다. 연기사적으로 연쇄극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무대를 배경으로 행해졌던 배우들의 연기가 영화라는 매체와 결합하여 보다 사실적 구현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후 배우들의 연기가 직접 포함되는 발성영화로 이어지는 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다. 무성영화시대에 배우들의 연기가 ‘얼굴 근육의 이완적 표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면, 발성영화시대에는 ‘배우의 소리, 즉 자연스러운 대사’가 중요시 여겨졌다. 다시 말해 ‘자연스러운 표정’을 중요시 여겼던 이전의 무성영화가 시각적으로만 평가 받았다면, 이제는 소리, 즉 배우의 대사와 음성이 중요했다. 이는 배우들의 연기훈련 기술이 체계적이지 못했고, 다급한 상황에서 당시 만연했던 신파 연극 배우들의 출연과 그들의 무대 대사연기 방식을 대안적으로 사용하는 과오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사회적 혼란과 이데올로기적 격동기를 겪게 되고, 이어서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상당히 피폐해졌다. 그러나 1953년 휴전협상 이후 한국영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 김동원, 황정순, 조미령, 최무룡, 최은희 등 당대 최고의 영화배우들도 대거 등장하게 되는데, 비록 이들이 연극배우 출신들이지만, 각 매체들을 넘나들며 당시 연기에 있어서는 카메라 연기를 대변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사회적 혼란과 국난 속에서도 우리 영화인들은 고군분투하며, 영화제작의 명맥을 이어왔다. 특히 배우들은 영화와 연극을 넘나들며 혼란과 전쟁으로 말미암아 지치고 상처받은 민중을 달래고 격려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했다. 1960년대 들어 한국영화는 장족의 발전을 한다. 더구나 한국방송이 개국하고 TV드라마가 점점 확산되면서 한국영화는 도전을 받았다. 그 영향으로 한국영화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작품의 경향을 다양화하고 표현에 있어 새로운 것을 추구하였다. 한국영화의 풍요와 황금기는 곧 배우들에게도 전성기이며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였다. 1950년대에 이미 연극무대와 영화를 오가며 검증을 받은 김승호, 최무룡, 김지미 등이 대표적 배우들이었다. 이어 신영균과 60년대 청춘영화라는 새로운 형식과 함께 등장하여 열기가 급부상하게 했던 신성일, 엄앵란, 문정숙, 고은아 등이 후발주자들로 새로이 합류하면서 한국영화는 이 시기 주연급 배우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성했다. TV드라마도 한국 카메라 연기 발전에 한 몫을 하였다. 1961년 한국방송(KBS)이 개국되면서 주간 연속극 열기를 시작으로, TV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대중들은 영화와 더불어 TV드라마에도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자연스레 배우와 그들의 연기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연극배우들이 영화나 TV드라마를 넘나들며, 각 매체에 따른 연기를 구사하였다. 1960년대 TV드라마는 기술적 문제로 녹화가 아닌 생방송으로 송신하였는데, 이때 배우들의 연기는 무대세트 안에서 연기하듯 하고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촬영하였다. 다시 말해 연극연기와 TV드라마 연기를 혼용한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탄생시켰다. 1990년대 영화와 한국드라마는 한류의 중심 대중매체로 자리를 잡는다. 한국영화와 드라마는 중국 시장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그 인기를 누리며 각광 받기 시작한다. 이렇듯 한국영화와 드라마가 비상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질적 우수성 때문이다. 미국영화 등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연출, 시나리오, 촬영, 미술 등 전반적인 프로덕션이 질적으로 우수하고, 장르가 다양하며 아시아인들에게 친근감을 주는 주제와 소재를 다루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리면서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도 새로운 환경으로의 적응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중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은 카메라 연기에 새로운 방향과 도전을 제시하였다. 모션캡쳐의 연기술은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통해 내적갈등을 더욱 함축하면서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이 필수이다. 배우는 캐릭터가 취하는 대사와 행동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내적 동기화가 필수이다. 모션캡쳐 연기술에 있어 실제 배우나 실제 소품에 대한 반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사 배우와의 앙상블 연기가 필요하며, 환경에 대한 사실적 반응을 할 수 있는 숙련된 ‘반응 연기술’이 필수이다. VR․AR 영화는 단지 영상을 통한 가상세계를 시각적으로만 느끼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연동 장비를 통해 시각과 청각을 넘어 촉각과 후각까지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배우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구분 동작이 많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연극에서처럼 긴 호흡으로 완결된 한 장면을 연기해야만 한다. 기존 영화에서처럼 다양한 영상 기술을 활용해 수많은 컷을 연결하는 방식의 연출은 VR․AR 영화에 적용하기 어렵다.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의 발전은 실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들의 구현은 물론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현실로 만들 정도로 첨단화 되었지만, 실사 영화에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는 여전히 실제 배우의 몫이므로 배우들의 연기는 필수이다. 이렇듯 시대가 변하면서 연기의 형식도 변화하기 마련인데, 현재 우리나라는 배우 연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와 기술에 발맞춘 연기교육 시스템 구축이 미미하여 그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시대적 혼란과 부침 그리고 사회적 변화 속에서도 배우들의 연기는 멈추지 않고 활동함은 물론, 메커니즘 발전과 같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적응하며 그때마다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모색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이 본문을 통해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조망하고, 각 시대별 연기의 변천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가상현실을 활용한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의 가능성 연구

        문원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의 비대면 교육 가능성을 고찰하고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에 가상현실을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현재 국내 카메라 연기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실기교육은 물리적, 공간적 제약에 따른 교육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물리적,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고 전문적인 커리큘럼의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연기와 가상현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 두 가지의 접목을 통해 시대상에 맞는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의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방법을 구축하고자 한다. 오늘날 국내 카메라 연기 분야는 세계 유수의 영화제와 방송상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위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차세대 카메라 연기 배우들의 육성이 중요하다. 국내 카메라 연기법은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을 시작으로 그 계보를 잇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훈련법들을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법이 필요하다. 본연구에서는 심리학의 전반적인 적용과 카메라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과정을 가상현실 기술과 융·복합해 시의적절한 카메라 연기 교육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기술의 발전은 현실 세계와 유사한 가상현실을 창조해내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그 가능성은 더 무한해질 것이다. 가상현실의 특징인 상상성, 몰입성, 현존성, 상호작용성은 카메라 연기의 중요 요소인 상상, 정서, 체험, 교감과 연관성이 확실하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 플랫폼의 효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한 후 플랫폼 제작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과 가상현실은 동떨어져 있지만 융·복합한 플랫폼은 충분한 효용가치가 있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가치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능력 있는 기획·개발자들이 가상현실 기반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 플랫폼을 제작하기를 바란다. 그래서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문적인 카메라 연기 실기교육을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asibility of online education regarding practical training for on-camera acting and seeks a way to apply virtual reality toward practical training for on-camera acting. Currently, domestic on-camera acting education institutions are limited by physical and spatial constraints. In order to train the next generation of actors, it will be necessary to overcome these physic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develop a professional curriculum for virtual on-camera act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on-camera acting and virtual reality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fic and professional method of on-camera acting educ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virtual age. Today, on-camera acting field in Korea has achieved awards at world-leading film festivals and broadcasting ceremonies. In order to build on this status, it is important to foster the next-generation of on-camera actors. Domestic on-camera acting education uses the American acting method, derived from Stanislavski's system. However, a new education method is needed to better suit the present era. This study aims to devise a modern on-camera acting education method that combines and applies modern psychology and camera mechanisms to virtual reality technology. Advances in technology have made virtual reality similar to reality, and the possibilities will become even more unlimited in the post-COVID19 era. Key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such as, imagination, immersion, presence, and interaction, are clearly related to important elements of camera acting, such as, imagination, emotion,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his research aims to check the feasibility of using virtual reality as an on-camera acting education platform, it aims to design a curriculum appropriate for this type of virtual education platform, and presents guidelines for how a virtual education platform for on-camera acting might be cre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acknowledge that virtual reality in its current form may not be best-suited for on-camera acting education; however, we also assess virtual education platforms to have sufficient utility potential, and we expect their utility value to further increase as technology develop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competent planners and developers will be able to produce a virtual reality on-camera acting education platform. We hope that future learners who want to receive on-camera acting education will be able to study virtually, unbound by physical and spacial constraints.

      • 한국 대학 영화 연기 교육 시스템 연구

        정민영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71

        연기의 기원은 연극의 기원과 같다. 그리스 시대 고대 희랍극에서부터 연기가 시작되었다. 이처럼 역사가 오래된 연극 중심의 연기에서 다양하고 많은 연기술이 생겨나왔으며, 그 연기가 근간이 되어 영화 연기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영화는 만들어진지 불과 100년 밖에 지나지 않지만 급격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영화의 메커니즘이 무한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가는 과정에도 영화 연기는 그 기술이나 기계의 발전을 따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영화 연기는 연극 연기와 다른 특성으로 인해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영화는 감독에 의한 영상 중심의 편집 예술이며, 카메라를 통해 배우가 연기를 행하고, 카메라의 움직임, 쇼트 사이즈에 따른 발성법, 편집의 예술이라는 요소로 나누어지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에서 영화 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헐리우드의 영화 연기 발전사와 국내의 영화 연기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대학 중 영화 연기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들을 중심으로 일본의 니혼대학교 영화학과의 연기 관련 교과목과 상세히 비교 분석해보았다. 니혼대학교에서는 감독, 촬영 음향, 영상 이론, 연기로 파트가 나뉘어 교육을 하고 있으며, 세심하게 연기 전공자들의 교과과정에 맞추어 연기 교육이 따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런 반면 국내에서는 연기 과정보다는 제작 중심 또는 스텝 중심의 영화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영화 연기 전공자는 영화적 메커니즘과 연기의 기초인 호흡, 발성, 움직임 등 연기 전공에 맞는 교과과정으로 4년간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영화 연기 전공 커리큘럼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대학교에서는 일본 무용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국내 대학은 전통 가면극을 민속 연희라는 수업으로 교육하고 있는 학교도 있었지만 1학기로 국한되어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음악, 무용, 언어, 연기가 합해져 있는 전통가면극은 종합 예술이며, 카메라의 메커니즘적 교육과 함께 병행되어지면 연기의 다양한 기초적 지식들을 체득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국내의 영화 관련 학과에서는 한시라도 빨리 전공에 맞는 세부적 교과과정이 만들어져야하고, 전통 가면극 같은 신체 표현 교육을 통한 연기 기초 지식 체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영화 연기 전공자들이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올바른 연기 교육 교과과정을 마련하여 연기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영화 연기 교육의 입지 마련 및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 영화연기에서 즉흥연기 활용의 유용성 연구 :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Etude) 활용을 중심으로

        양은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배우가 영화연기에서 즉흥연기를 활용할 때 얻는 유용성에 관한 것이다. 배우의 연기에 대해 이 연구에서는 ‘단순히 대본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예술로써 창조하는 것’임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영화 현장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현재도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배우가 영화연기를 하기 위해서는 동시대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 조건이며 이에 맞는 연기법을 찾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화연기의 메소드로 고전 연기 이론인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를 적용해 연기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의 상업 영화, TV 드라마 현장은 배우의 연기에 ‘즉흥성’을 요구한다. 경제적 논리에 의해 흘러가는 현장은 시간에 쫓기는 일이 많으며 언제나 변수가 많다. 사전에 정해졌던 일들이 촬영 당일 현장에서 바뀌는 일도 그만큼 흔하다. 그렇기에 영화배우는 사실상 언제나 즉흥연기를 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하는 것이다. 배우가 사전에 여러 가지 에쮸드를 수행하며 촬영을 위한 연기를 준비한다면 현장에서 즉흥연기를 할 때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쮸드는 ‘잘 짜인 즉흥극’으로써 시나리오의 주어진 상황을 가지고 연기하되 연기의 순간에는 자유롭게 즉흥성을 가지고 연기할 수 있는 연기법이기 때문이다. 에쮸드는 일반적인 즉흥연기와는 달리 배우에게 철저한 사전 준비를 요구한다. 동시에 일단 극이 시작되면 즉발적인 반응으로 연기해야 한다. 배우의 지성과 감성을 모두 사용해서 연기하는 방법인 것이다. 배우가 영화연기에서 에쮸드를 활용했을 때 가지는 이점은 크게 여섯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먼저 불연속적 촬영에서 논리적 일관성을 가지고 연기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둘째로 ‘주의 집중’을 통해 카메라에 대한 긴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로 현장의 특성상 리허설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촬영에 빠른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넷째로 전체 맥락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애드리브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로 감독의 디렉션에 빠르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언어 에쮸드 훈련을 통해 지문만 있는 대본을 연기할 때도 어려움 없이 연기하며 미장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 있다. 배우는 다양한 스타일의 영화연기를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훈련하며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현장에서 영화연기를 하는 배우에게 유용한 제안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is about the usefulness of improvisation when an actor acts in films. The study presupposes that the actor does not simply reproduce the script but creates art out of it. The film production environment has been transforming as the production technology continuously evolved. To properly perform in this ever-changing environment, an actor nee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ilm production and find the most suitable acting methods. For this, the study recommends applying the classic theory of Stanislavski’s Etude as the primary film acting technique. Nowadays, improvisatory acting skill is highly demanded, especially when shooting commercial films or television series. At production sites, there is a daily pressure on completing scheduled shooting within budget and on time, and unexpected changes to the pre-set often arise on the day of filming. The actor should be prepared to show his/her improvisation skills to quickly respond to such variables and time pressures on set. Practicing various techniques from Etude before shooting can be effective because Etude takes a “well-organized improvisation” approach. It lets the actor perform freely under the given scenario. Unlike general improvisation, Etude requires a thorough preparation from the actor because he/she is expected to act and respond immediately by using both intelligence and sensibility as soon as the play begins. There are six advantages to applying Etude in film acting: 1. Etude enables an actor to act with logical consistency in the nonchronological filming process. 2. Etude helps him/her to focus and reduces the anxiety and tension of being surrounded by cameras. 3. Etude allows him/her to immerse fully and rapidly into filming even when rehearsals are not possible. 4. The actor can bring out effective ad-libs without being out of context. 5. The actor can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the wide range of requests from the director. 6. The Silent Etude technique will help him/her perform well even when there are no lines but only continuity directions, supporting effective mise-en-scène making. Actors need to constantly study, train, and apply different acting techniques in diverse film and filming environments.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that would be useful for film 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