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대학병원의 진료과별 단위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박원덕 관동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치과대학병원의 건축계획에 대한 연구이다. 치과대학병원을 대상으로 부문별․전문 진료과별 면적분포와 그 특성을 분석․고찰하여 치과대학병원의 공간계획을 함에 있어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치과대학병원 중 서울, 부산, 경북, 강원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치과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인터뷰를 통하여 치과대학병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도면분석․현장조사를 통하여 이용체계와 소요실의 구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문 진료유형별의 진료행위 및 공간구성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기준으로 적정 단위공간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치과대학병원의 최근경향, 운영상의 기준, 시설기준, 조사대상병원의 운영현황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부문별 면적분포와 진료부문을 제외한 부문별 구성상의 특성과 Unit & Chair와의 상관관계 및 소요실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전문 진료과별 면적분포 및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 전문 진료과별 및 특수진료실의 공간분석을 통해 소요실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진료공간의 유형별 분석과 전문 진료과 및 특수진료실의 행위별 단위공간의 적정면적을 제안하고 이를 조사병원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제6장에서는 각 장의 소결을 종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면적 분포를 통한 부문별 구성 첫째, 치과대학병원의 전체 면적은 Unit & Chair의 수와 비례하였고 평균면적은 89.68㎡이고, Unit & Chair 1대가 진료실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24.83㎡로 나타났다. 둘째, 5개조사병원에서 진료용 Unit & Chair 수와 병원 총 면적과의 관계는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진료부문은 상관이 낮고, 관리부문, 연구부문, 공용부문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전문 진료과 특성과 소요실 및 특수진료실 현황 첫째, 치과대학병원의 진료부문에서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 과는 구강 악안면외과로 16.7%이고, 보철과 14.43%, 교정과 11.08%, 보존과 10.95%, 치주과 10.27%, 소아치과 9.87%, 구강 악안면 방사선과 9.4%, 구강내과 7.85%, 예방치과 5.12%, 구강병리과 4.25%순이고 구강병리과와 예방치과는 진료실 공간이 구성되어 있지 않는 병원도 있다. 둘째, 진료특성에 따른 진료과와 소요실의 관련성이 높은 부분은 구강 악 안면외과는 중앙수술실, 보철과는 중앙기공실, 교정과는 모형제작실(기공실), 소아치과는 격리치료실, 보존과는 근관장실과 보존과내의 소수술실, 구강내과는 검사실과 물리치료실, 구강 악 안면 방사선과는 X-ray촬영실과 C.T실, TOMO실, 영상처리 판독실, 구강병리과는 조직검사실, 예방치과는 교육홍보실로 나타났다. ③전문 진료행위별 적정 단위공간의 제안 첫째, 전문 진료과별의 진료행위, 진단장비, 진료기구, 이용행태에 따른 Unit & Chair 1대당의 적정 면적은 조사병원에 비해 다소 크게 나타났다. 구강 악안면외과 12m², 보철과 12.6m², 교정과 10m², 소아치과 9.5m², 치주과․보존과․구강내과 8.74m²로 나타났다. 둘째, 치과대학병원은 최근 많은 환경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고령인구의 증가를 고려한다면, 장애인 진료실 및 노인치과 진료실의 충실과, 복수진료를 고려한 대기공간의 확보 등 환자중심적인 시각에서의 공간적인 배려가 요구된다.

      • 공간적 측면에서 치과병원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을 중심으로

        장지혜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중심으로 치과병원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방안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과 병원 공간 사용자는 크게 치과 의사와 진료보조원, 환자로 나뉠 수 있다. 치과 의사와 진료보조원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동선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불필요한 동선은 공간의 낭비를 가져오며 일의 효율성 또한 저하시킨다. 장애인을 포함한 환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을 위해서는 우선 그 공간을 사용할 장애인의 동작 특성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치과 병원은 치유를 위한 공간으로서 환자의 치료 받을 권리를 존중 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를 가진 사람도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barrier free design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중심으로 치과 병원 공간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방안을 논의하고 공간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여러 자료에서 추출하였다.

      • 치과병원 중간관리자로서의 치과위생사 역할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미르치과 네트워크 중심으로

        배은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치과병원 중간관리자로서의 치과위생사 역할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 미르치과 네트워크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 약 900여 명 중 중간관리자 치과위생사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편 발송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의료기관 및 근무특성, 진료부분과 관리부분의 역할, 구성원과의 관계(협조도, 친밀한 분위기, 수평관계, 신뢰감), 기회(교육, 연수, 보수, 승진), 직무만족(일에 대한 만족감, 성취감, 성과보상, 업무재량권), 직장만족(업무량, 복리후생제도, 근무환경 및 조건병원의 경영상태, 애사심)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분포를 보면 연령은 30~34세가 43.2%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상태는 기혼이 53.4%로 많았다.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이 70.3%로 가장 많았다. 2. 연구대상자의 병원 및 근무특성분포를 보면 총 근무 년 수는 6~7년이 30.5%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근무 년 수는 5년 이하가 42.4%로 많았다. 직장이동 횟수는 1곳이 37.3%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의사 수는 6~10명이 41.5%로 많았고, 전체 치과위생사 수는 21~40명이 38.1%로 가장 많았다. 진료실 의사 수는 1명이 41.5%로 가장 많았으며, 진료실 치과위생사 수는 5명 이하가 40.7%로 많았다. 직위는 팀장이 43.2%로 가장 많았으며, 1일 평균 환자 수는 40명 이하가 43.2%로 많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에서 연령은 40세 이상이 관리부분 역할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결혼상태는 기혼이 관리부분 역할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병원 및 근무특성에 따른 역할에서 총 근무 년 수는 11년 이상일 때 관리부분 역할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현재 근무 년 수는 8~10년 일 때 관리부분 역할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0.01), 직장이동횟수는 1곳일 때 진료부분 역할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직위는 부장급이 관리부분 역할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4. 병원 및 근무특성에 따른 기회에서 진료실 의사 수는 3명 이상일 때(p<0.05), 진료실 치과위생사 수는 11명 이상일 때(p<0.01), 직위는 부장급일 때 (p<0.05) 기회가 높게 나타났다. 5. 병원 및 근무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에서 전체 치과위생사 수는 20명 이하 일 때(p<0.05), 직위는 부장급 일 때 (p<0.001)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6. 병원 및 근무특성에 따른 직장만족에서 직장이동 횟수는 3곳 이상 일때(p<0.05), 전체 의사 수는 3명 이하 일 때(p<0.01), 전체 치과위생사 수는 20명 이하 일 때(p<0.05), 진료실 의사 수는 2명 일 때(p<0.05), 진료실 치과위생사 수는 11명 이상 일 때(p<0.01) 직장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7. 병원 및 근무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에서 전체의사 수는 3명 이하 일 때(p<0.05), 직위는 부장급 일 때(p<0.05), 1일 평균 환자 수는 61명 이상일 때(p<0.05) 조직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8.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이 많을수록, 전체 의사 수가 적을수록, 기회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료실 의사 수가 많을수록, 진료역할이 적을수록, 기회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중간관리자 치과위생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것이 조직의 활발한 관리와 유지를 이끌어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중간관리자 치과위생사 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효율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roles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s middle managers of dental hospitals. The subjects were 118 dental hygienists in middle manager position among about 900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Mir Dental Hospital Network, an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18 dental hygienists by post. For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 and work, roles of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embers of hospitals (cooperation, friendly atmosphere, horizontal relationship, and reliability), opportunity (education, training, payment, and promotion),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on work, achievement,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and job discretion), satisfaction of work place (work load, benefit plan, working environments and management condition of organization, and loyalty)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ge of 30 to 34 years old the most people belonged to accounted for 43.2%. In the marital status, married people accounted for 53.4%and most people had educational background of college graduation accounting for 70.3%. 2. In the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hospitals and work, six to seven years of career accounted for the most, 30.5%. For years of career in the current work place, less than five years accounted for 42.4%. For the number of changing jobs, one time accounted for 37.3%. Six to ten dentists, for total dentists of hospital, accounted for 41.5%. For the number of total dental hygienists, twenty-one to forty dental hygienists accounted for the most, 38.1%. For the number of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in a medical office, one dentist a medical office accounted the most for 41.5%, and less than five dental hygienists a medical office accounted for 40.7%. Team manager accounted for 43.2% as posi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less than 40 patients visits accounted for 43.2% as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day. 3. In the ro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role showed high in the over 40 years old people (p<0.01), and presented high in the married people in the marital status (p<0.01). In the rol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work, the management role showed high in the people with over 11 years of career (p<0.05), people with 8 to 10 years of career in the current work place (p<0.01), and people with experience of changing job once (p<0.05). For the position, the management role presented high for the level of a department manager (p<0.001). 4. In the opportun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work, the opportunity showed high in over three dentists a medical office (p<0.05), over 11 dental hygienists a medical office (p<0.01), and in the level of a department manager (p<0.05). 5. In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work, job satisfaction showed high in hospitals having less than 20 dental hygienists in total (p<0.05), and in the level of a department manager (p<0.001). 6. In the satisfaction of work pla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work, satisfaction of work place showed high in people with experience of changing jobs more than three times (p<0.05), in hospitals having less than 3 dentists in total (p<0.01) and less than 20 dental hygienists (p<0.05), in two dentists a medical office (p<0.05)and over 11 dental hygienists a medical office (p<0.01). 7.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work, organizational commitment presented high in hospitals having less than 3 dentists in total (p<0.05), in the level of a department manager (p<0.05), and in more than 61 patients visits regarding average number of patients a day (p<0.05). 8. For th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fluenced as the age was older, fewer dentists in total existed, more opportunities were provided,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9. For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work place, satisfaction of work place was affected as more dentists were in a medical office, role of medical treatment was smaller, more opportunities were provided,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verified that eleva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positioned in middle manager lead to activ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organization.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drawing up a plan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necessary for dental hygienists positioned in middle manager to be responsible for their jobs and conduct their roles effectively.

      • 치과병원의 경영전략 사례연구 :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박영국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0년을 목전에 둔 지금 치과대학병원은 환자의 진료라는 문제 뿐만 아니라 경영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난제에 직면하여 있다. 먼저 국내 환경의 변화로서는 보다 양질의 진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의료를 의ㆍ식ㆍ주에 부가하여 또 하나의 기본 권리로서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수반되는 병원에 대한 권리 의식의 증가를 꽂을 수 있다. 또한 필연적으로 대형화할 수 밖에 없는 대학 병원과 재벌의 의료계 진출에 따른 경쟁의 발생과 이로 인한 자기 희생적 시설 투자가 강요되고 있다. 이에 부가하여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의료 보험수가가 지배하는 의료공급체계로 인한 경영 여건의 악화에 봉착하여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의료 시장의 개방이라는 난제가 목전에 다가와 있다. 특히 치과대학 병원의 경우 그 대상이 되는 치과 질환이라는 자체가 치명율이 낮으며 만성적인 병의 진행을 가짐과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가격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어려움은 더욱 큰 실정이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치과대학 병원은 일반 의과대학병원과는 다른 특이한 경영전략이 필요하며, 성공적인 치과병원 경영 사례의 연구와 분석 및 이에 근거한 미래지향적 경영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전략적 경영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성공적 경영을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전략적 경영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 전략은 선택의 여지가 아니고 오히려 필수적인 것이다. 둘째, 전략적 경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전략적 경영이 나오게 된 배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문제에 부딪혔을 때 전략적 패러다임으로 문제에 접근을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전략을 단순히 하나의 분석틀로만 생각한다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유효 적절한 전략의 수립은 어려운 것은 전략의 본질적인 의미에서 깨달을 수 있다. 셋째, 전략적 경영은 고객의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것을 위한 전략은 또 하나의 자원의 낭비가 될 것이다. 전략은 무한한 상황 하에서는 의미가 없다. 자원이 유한하기에 하나를 버리고 하나를 취하게 되는 것이 전략이다. 무엇을 취해야 하고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넷째, 전략적 경영은 그것이 영리조직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왔지만 성격을 달리하는 비영리조직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비영리를 취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비영리조직은 영리조직이 생산하지 못하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공공재를 생산한다는 의미와 함께, 그 급부로 세금의 혜택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비영리조직에서의 전략적 경영의 적용이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비영리조직이 공공의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유한한 자원의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사례에서 경영전략의 효익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경영전략이 주효 하였음을 인지하였다. (1) 지속적인 직원 교육을 통한 전 직원의 경영마인드 제고 및 경영의 중요성 인식 (2) 각종 위원회를 활성화 하여 보다 당면과제를 구성원이 직접 해결 (3) 각종 홍보활동을 통한 진료 권역의 지속적 확장 (4) 인화단결을 기본으로 한 인사 정책과 감사 제도의 활용으로 인한 합리적 경영 (5) 진료 및 진료지원부문의 조직 개편을 통한 다기능 수행 (6) 효율적인 경영정보시스템의 구축 (7) 진료환경의 개선으로 인한 근무의욕 고취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자들에 의한 진료서비스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치과병원 경영을 도모함으로써 미래의 경쟁력 있는 치과병원 경영전략수립 자료의 일단으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nagement of dental hospitals has been challenging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a reasonable level of income and high-rank reputation by domestic competition, and encountering the threat of entrepreneur-based hospitals. Dental hospitals, especially university infirmaries are facing against various issues of a qualified patient care as well as management efficiency. The domestic change in managemental environment forces the hospital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to cor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consumer group. An inevitable competition with entrepreneur-managed hospital and the domestic health care market structure controlled by HMO drive the university hospital to reform the management strategies. Dental disease itself is not so critical as disorders in the body elsewhere and chronic in its nature which makes bigger price-elasticity. To overcome all the hurdle, the dental hospitals are obliged to establish the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which is based upon the actual case study and discriminative to the medical hospitals. It is the aim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suggest the working remedies for further management and marketing p olicy.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review of the brief history, management environment, recognition of the crisis situation,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the strategies, and the efficiency of the very strategies were analyzed. The eight keys to success in financial status and eventual management situation attributed to ; 1)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by continuous employee education, 2) activation of the various committees followed by problem solving by their own, 3) expansion of hospital umbrella by effective public relation, 4) effective control in management of man power, 5) restructuring of the main and supporting system, 6) building up effective information system, 7) desirable motivation with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8) favorable response from union shop. These results signify that the strateg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tatus and will result in favorable assets in the future management goals.

      • 한국 건강보험의 치과진료수가 항목변화와 요양급여비용 지급현황 연구

        이향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의 목적은 1977년부터 한국의료보험 실시 이후 2006년 현재까지 29년간의 치과건강보험 진료수가 항목변화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각 항목별 변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치과진료 행태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에서 최근 5년간(2001년~2005년) 심사 결정되어 지급된 요양급여비용 중 치과에서 다 발생되는 처치 및 수술항목의 요양급여비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이에 따른 연구방법은 1977년부터 2006년까지 보건복지부 및 심사평가원에서 발행된 ‘진료수가 책’을 수집하여 29년간 치과 진료수가 항목변화를 연도별로 분석하였으며, 전국 종합전문요양기관(치과진료과목이 있는 3차기관), 종합병원, 치과병원(치과대학부속병원 포함), 치과의원에서 청구되어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심사결정 지급된 요양급여비용을 심사평가원에 구축되어있는 전산 시스템인, D/W(Data Warehouse) 및 D/B(Data Base)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치과에서 다 발생되는 즉일충전처치(Treatment for One Visit Filling). 와동형성(Cavity Preparation), 발치(Extraction), 치주수술(Scaling, Root Planing, Subgingival Curettage) 각 항목별 요양급여비용을 분석하였다.연구결과 1977년 치과에서 주로 산정되는 진료수가 항목수은 총 86개였으나 2006년 현재는 총 246개로 증가하였다. 즉일충전처치(Treatment for One Visit Filling)와 아말감충전료(Amalgam Filling) 요양급여비용은 매년 감소하였고 치과병원과 치과의원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지역의 기관당 청구금액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복합레진충전(Composite Resin Filling)의 요양급여비용은 계속증가 하였으며, 성별 구성비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계속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 치과의원 2005년 진료비중 복합레진충전 요양급여비용은 남자치과의사 40대 49.68%, 여자치과의사 30대 64.09%로 여자치과의사의 요양급여비가 높았다.치석제거 요양급여비용은 2001년 비교 2002년에 -67.53% 감소되었으나, 치근활택술 요양급여비용은 68.05%증가하였다. 2005년 전치발치의 요양급여비용은 2005년 종합병원의 요양급여비용이 17.86%증가하였으며 연령별 구성비는 2005년 60대 30.43%, 50대 22.83%, 70대 10.75%이다. 구치발치의 요양급여비용은 2005년 전체 요양급여비용이 5.09%증가하였으며, 완전매복발치는 2005년 종합전문병원의 증가율이 18.53%로 가장 높았다. 2005년 구치발치, 난발치, 매복발치의 소재지별 현황 요양급여비용은 서울지역보다는 인천지역, 경기지역, 전북지역 등의 기관당 청구금액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따라서 위에서 조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측면에서도 예방치료항목은 계속 발전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치과는 예방치료가 최우선되어야 하며 그 다음이 조기치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기우식증 치료인 즉일충전처치 요양급여비용이 매년 감소되고 있는 분석결과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조기치주질환 치료인 치석제거의 보험급여확대와 광중합형 복합레진충전(Light-cured Composite Resin Filling), 광중합형 글레스 아이오노머 시멘트(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충전 등 질 좋은 충전재료의 보험급여확대는 우리 모두의 시급한 과제이다. In this study, item variations in dental service reimbursement in Korea national dental insurance fee schedule for a period of twenty nine years from 1977 to 2006 are systematically examined and concretely organised. Further, dental treatment expenses for treatment and surgical operation items which have frequently been generated from dental service are specifically analysed amongst various dental treatment expenses approv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HIRA) for the past five years from 2001 to 2005 in order to study the variations in dental treatment behaviour.The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were to i) analyse item variations in dental service reimbursement per year by collecting 'service reimbursement report' issu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and HIRA from 1977 to 2006, ii) utilize the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HIRA through its data warehouse and database from 2001 to 2005, and iii) analyse dental treatment expenses per item such as treatment for one visit filling, cavity preparation, extraction, scaling, root plaining, and subgingival curettage.According to this study, the total number of dental service reimbursement items was eighty six in 1977 and the number increased to 246 as of 2006. The dental treatment expenses for treatment for one visit filling and amalgam filling have decreased each year with the lowest demand for payment in Seoul area where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are densely aggregated. On the contrary, the expenses for composite resin filling have continuously increased with more males than females from 2002 to 2005. Among the general dentist fee in 2005, the dental treatment expenses for composite resin filling showed higher expenses amongst the female dentists with 49.68% of male dentists in the forties and 64.09% of female dentists in the thirties.In addition, the dental treatment expenses for scaling decreased by 67.53% and the expenses for root plaining increased by 68.05% in 2002 compared to 2001. The status of dental treatment expenses per specific item in 2005 are as follows: i) the expenses for anterior teeth extraction increased by 17.86% amongst general hospitals with 22.83% in the fifties, 30.43% in the sixties, and 10.75% in the seventies in terms of age distinction, ii) the expenses for posterior teeth extraction increased by 5.09% in terms of the overall dental treatment expenses, iii) the expenses for impacted teeth showed the highest increase with 18.53%, and iv) the expenses for posterior teeth, impacted teeth, and complicated extraction showed higher demands for payment amongst the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Incheon, Gyunggi, and Jeonbuk areas than in Seoul.Therefore, preventive treatment items need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dental health amongst the citizens. In dentistry, preventive treatment i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early treatment. However, the research result showing the decreasing amount of dental treatment expenses for treatment for one visit filling raises several issues. Expansion of dental insurance coverage for scaling, light-cured composite resin filling, and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must be facilitated.

      • 치과병원 경영전략 사례 : 개원 유형별 경영분석 중심

        김학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최근의 치과 병원 경영환경은 치과의사의 자연증가로 인한 치과의사 1인당 환자수의 감소로 인한 경쟁의 심화, 환자요구의 다양화, 서비스요구의 고급화, 네트워크치과, 중, 대형치과의 등장, 치과시설 및 서비스의 상향평준화 현상 등으로 심한 내부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과계에는 변화된 경영방식이 도입되게 되었다. 치과의원 개원형태는 크게2가지유형으로 구분된다. 그 첫 번째가 전통적인 단독개원이며 또 하나는 공동개원 형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언급한 2개의 유형 외에 2가지 형태를 더 첨가하여 아래와 같이 4가지의 치과 개원 유형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1) 경영지분을 보유한 원장들과 고용된 의사로 구성된 치과 2) 경영지분을 보유한 원장들로만 구성된 치과 3) 전 지분을 보유 경영중인 원장1명과 고용의사로 구성된 치과 4) 원장1명으로 구성된 치과 위의 4가지 유형의 45개 치과병원을 설문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공동개원 형태가 단독개원 형태보다 치과의 경영 성과 측면에서는 우위에 있다는 결론이 나왔으나, 파트너쉽 분열에 대한 위험이 상존하여 고위험,고수익이라는 투자의 기본원칙이 입증 되었다. 한편 단독개원 형태는 안정성, 관리의 용이성 등의 강점이 계속 보장 될 수 없고 노후에 대한 준비가 전혀 안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과거와 달리 치과 개원가에서 새로운 이슈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이 있다면 그것은 "성공"에 대한 정의이다. 치과의사의 성공 모델 요소는 크게 3가지이다. 1)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식 2) 고품질의 진료를 통한 사회기여 3) 경제적 성취도 성공모델이란 이세가지 요소의 우선 순위와 비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개원 유형, 경영전략 등을 결정하기에 앞서 치과의사 본인의 성공에 대한 정의를 먼저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dental clinic management type is being divided into group practice and solo in general, for much more fierce competition with each other dental clinics. In this study we have classified dental management type to partner & pay, partners, solo & pay and solo, in which surveyed their management indexes. We have known, through survey of 45 samples of dental clinics, that group practice dental clinics are much more high-returned in gross product by one dentist and more productive for labor cost, rental cost, material cost etc than solo dental clinic. But group practice is not always alternative to solo for every dentist because management type is for vision, mission, want and life-style of each dentist. So the strategy of dental management should be defined to define "My success" and "Goal", set up a management plan and tactics.

      • 치과대학병원의 인터넷 홈페이지 홍보실태에 관한 연구

        김성량 광주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71

        Internet home pages of univesity dental hospitals in Korea often tend to increase displeasure of the users owing to poor systematic network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in fact, they do not work as effective hospital pr media with little understanding as pr media. For this study, research was done on real states of internet home pages of 11 university dental hospitals in Korea as of the end of April 2001, and here some objective models are suggested for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university dental hospital hompages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data and comparing them each other.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ggest some good measures for effective hospital PR.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above all, it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home pages that the management of these pages is more important than establishment of them. Secondly, these home pages may well be utilized as media for hospital marketing. Thirdly,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medical consultaion on internet home pages should be prepared.

      • 일 대학치과병원 예방치과 운영전후의 환자진료행태와 진료비용변화

        홍효경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는 예방치과 운영중단 전후의 환자진료행태와 진료비용을 조사했습니다. 2017 년 9 월 1 일부터 2019 년 8 월 31 일까지 SPSS 버전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카이-제곱 검정 및 T- 검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예방치과 운영기간 진료건수는 58.3 %에서 예방치과 운영중단기간 41.7 %로 감소하여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진료비용을 비교 한 결과 총 진료비는 예방치과 운영기간 521,308,872원에서 운영중단기간 379,724,995원으로 141,583,877원으로 감소했습니다. 진료행태별로 진료비용을 비교 한 결과, 불소도포 비용이 가장 감소했습니다. 진료행태별 진료건수는 예방치과 운영기간 총 13,520건에서 운영중단기간 9,685건으로 3,835건(28.4 %) 감소했습니다. 진료행태별 1 인당 진료건수를 비교 한 결과, 불소도포는 예방치과 운영기간 1.90건(0.04)에서 운영중단기간 1.48건(0.03)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본 연구는 대학치과병원의 예방치과 운영중단으로 인한 진료행태변화와 진료비용의 변화를 확인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예방치과의 중단으로 인해 접근성의 부재와 전문예방치과치료의 제한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대학치과병원의 예방치과치료의 질 관리와 지속적으로 전문화된 예방치과치료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시행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atient treatment behaviors and medical expense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From September 1, 2017 to August 31,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using SPSS version 24.0 statistical program, and 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cases from 58.3% of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s to 41.7% of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dical expenses, the total medical expenses during the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 decreased from 521,308,872 won to 379,724,995 won during the discontinuation period, 141,583,877 won. As a result of comparing treatment costs by treatment style, the cost of fluoride application was most reduced. The number of medical treatments by treatment behavior decreased 3,835 (28.4%) from a total of 13,520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s to 9,68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treatments per person by treatment behavior, the fluoride application during the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reduced from 1.90 (0.04) to 1.48 (0.03) during the discontinuation perio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treatment behavior and the change in the cost of treatment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the oper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at university dental hospital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lack of access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professional preventive care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We expect that we can provide quality medical services by providing quality preventive care and continuous management of preventive care at university dental hospitals.

      •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응급진료실의 내원환자 분석

        박미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목 적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방문하는 치과 응급 환자를 조사하여 치과 응급실 방문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원인에 따른 처치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서 치과 응급환자의 응급실 방문의 목적을 파악하여 응급실을 담당하는 의사의 환자 진료를 돕고, 성별, 나이, 1년간의 추이 분석과 방문 원인을 비교분석 함으로서 성별과 나이, 시기에 따른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볼 수 있다. 또한 시기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치과응급실에 인원이 많이 필요한 시기를 알 수 있어 필요한 인력을 적절히 배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응급환자에 대한 통계자료를 통한 적절한 분석과 조사가 진단과 치료를 빠르게 해주어 환자들의 치과적 응급상황에 잘 대처하게 해줄 것이며, 그 예후 또한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 법 2013년 5월 1일부터 2014년 4월 30일까지 1년간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조사 내용은 환자의 성별과 나이, 응급실 방문시기, 방문원인과 진단명, 응급실에서 받은 1차 처치를 조사하였다. 방문 원인에 대한 카테고리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임상 진료과 별로 만들고 각과 관련된 원인에 맞추어 방문한 원인을 따로 항목화 시겼다. 방문원인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주된 불편을 호소하는 방문 원인의 항목을 따랐다. 방문한 환자 1282명의 차트를 전수 조사하여 하였으며, 전자 의무기록이 사용된 2013년 12월 14일 이후의 챠트는 전자 의무기록을 조사하였고, 그 이전시기의 챠트는 스캔된 챠트는 컴퓨터로 광화일을 조사하였고, 재방문이 없는등의 이유로 컴퓨터화 되지 않은 602명의 챠트는 의무기록실에서 빌려서 조사하였다. 환자 의료기록을 조사할 때 환자의 응급실 방문 날짜, 나이, 성별, 방문원인, 진단명, 일차처치, 특이사항을 항목별로 기록하였다. 1282명의 전수 조사를 통해서 모이게 된 자료들은 방문원인은 세부항목을 나누어서 조사를 하고, 그 추이를 분석하였다. 응급 환자 분석을 진단명으로 분류하여보니 100여가지에 달하는 진단명의 다양한 환자들이 응급실을 방문하였다는 것을 알수 있었으나 통계자료로 제시하기에는 부적절하여 교정적, 내과적, 보존적, 보철적, 소아적, 외상적, 외과적, 치주적, 기타 원인의 9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고, 항목 중에 제일 많은 빈도수의 상병명과 일차처치를 통계자료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했다. 이번 논문에서 주목해서 볼 점은 응급실의 방문 환자의 수가 소아청소년의 수가 많고, 성인의 응급 원인과 그 경향이 다를것이라 생각해서 만 0세~19세 사이의 소아청소년 환자들을 자료를 따록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모든 환자들의 자료는 응급실 최초 방문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작성하였고, 반복 방문 시에는 원인이 같은 경우는 같은 경우로 보고 진행하였다. 동일한 인물이라 할지라도 방문 원인이 다르거나 방문원인이 같더라도 일주일 이상이 경과된 이후에 방문한 환자의 자료는 서로 다른 것으로 보고 조사하였다. 결 과 2013년 5월 1일부터 2014년 4월 30일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는 총 1309명으로 집계되었으나 이 중 챠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수납처에 수납이 되지않은 방문 전산상의 기록만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1282명의 환자들이 대상이 되었다. 연령별로는 0-10세 사이가 28.2%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21-30세, 31-40세 군이 15.9%와 15.0%로 뒤를 따르고 있었다. 성별의 비는 남성 761명, 여성 521명으로 남녀의 비율이 1.5 : 1로 남자에서 더 큰 내원을 보였다. 방문 시기의 경우 9월이 159명으로 12.4%를 보여 가장 높았으며, 2월 120명(9.3%), 5월 116명(9.3%)이 그 뒤를 따라 높은 환자의 방문 비율을 보였다. 이에 반해 11월과 4월은 각각 72명(5.6%)과 79명(6.1%) 환자 수로 가장 낮은 방문 비율을 보였다. 방문 환자 수가 제일 많은 9월은 방문 환자수가 제일 적은 11월에 비해 약 1.7배의 방문 환자 수를 보였다. 요일별 방문 환자수는 공휴일이 10.6명의 평균 방문 환자 수를 보여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일요일(6.9명), 토요일(5.4명) 순으로 방문 환자 수가 많았다. 환자의 방문 주소로는 외상이 649명으로 50.6%로 제일 많았고, 동통이 20.7%, 부종이 10.2%, 출혈이 7.5%, 보철 2.9%, 내과 2.5%, 교정 1.4% 순의 비율을 보였다. 진단명에 따른 환자들의 방문 원인 분류는 외상이 620명으로 48.4%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외과적이 16.8%, 보존적 원인이 14.9%, 치주(6.2%), 내과 4.6%, 보철(2.9%), 교정(1.2%), 기타(5.0%) 순이었다. 소아 환자들만을 조사하여 진단명별 분류를 해보았을때는 외상성이 58.7%로 과반수를 넘게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보존적 원인이 6.1%로 뒤따랐다. 일차처치 비율을 살펴보면 외상성 원인에서는 dressing(33.8%), 약처방(30.2%), 국소마취(22.4%), splinting(23.1%)등의 비율을 보였다. 외과적 원인에서는 약처방(31.4%), 지혈(28.9%), dressing(27.8%), 국소마취(21.6%), I&D(16.%)의 비율을 보였다. 보존적 원인에서는 약처방(44.1%), 국소마취(43.5%), dressing(8.2%), I&D(6.5%)의 비율을 보였다. 치주적 원인에서는 약처방(48.6%), 국소마취(29.7%), dressing(18.9%), irrigation(16.2%), RP(12.2%) 등의 비율을 보였다. 내과적 원인에서의 일차처치는 약처방(32.1%), dressing(28.2%), TMJ reduction(21.8%)의 비율을 보였다. 보철적 원인에서의 일차처치는 cementation이 60.0%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교정은 wire cutting의 비율이 50%를 보였다. 주요어 : 치과병원, 응급실, 환자 분석, 방문 원인, 일차 처치 학 번 : 2011-22441 박미연

      • 장애인의 치과병원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

        배수연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0

        This study focuses on amenities for disabled people’s access to dentists and finds out the oral-hygiene facilities’ problems and solutions. It is to heighten their accessibility to dentists by providing basic, relevant data and aims at their complete social integration in the long term. For the purpose, the study listed dental-hospital amenities based on the Law on Living Convenience of the Disabled, Aged and Pregnant and observed 66 dentists located in Seoul. By research item, the amenities were classified into ‘installed,’ ‘improperly installed’ and ‘uninstalled’ for status analysis while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outcome, medium equipment’s installation rate was the highest while those of internal facilities, hygiene-related or guidance equipment were much lower. In addition, every dentist’s amenities were far from sufficient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like convenien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even though the installation of those were mandatory. Especially, none of the 66 dentists maintained the voice guid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bringing about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As the result shows, people with disability still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going to dentists, both physically and architecturally. Korean society, though i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menities for the disabled is on the rise and much improvement is being made, still has a long way to go. To socially integrate people with disability, it is thought that stricter amenities installation standards should be in place and more specific and practically applicable manuals are necessary by facility and equipment. At the same time, the standards concerning ameniti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hearing impaired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more researches and studies so that they can go to dentists with conven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