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初等英語敎科書 構文과 原語民 兒童英語構文 比較 分析

        김은실 誠信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우리나라 3, 4, 5, 6학년 교과서의 구문과 원어민 아동영어 구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인터넷으로 인하여 세계는 보다 가까운 이웃이 되었다. 인터넷 정보의 80%이상이 영어로 쓰여 있다는 사실에서 영어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영어는 단지 학습과 시험의 대상이 아니라 21세기 세계시민으로 살아나갈 아동들의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초등영어교과서가 이러한 시대의 요구를 발맞추어 살아있는 생생한 표현들을 잘 담아내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원어민 아동영어와 우리나라 교과서에 나오는 구문을 비교 분석하는 본 논문이 우리나라 초등영어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먼저 원어민 아동영어와 우리나라 영어교과서에서 나오는 구문을 비교해 보았을 때 다른 점이 있다고 가정을 내리고 그럼 어디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내려고 하였다. 원어민 아동영어 구문을 수집함에 있어서는 처음 원어민 아동이 그들의 모국어를 배우는 시기의 구문을 원어민 유아(infant & toddler), 학교진학하기 전 영어를 유치부(kindergarten), 그리고 초등저학년의 영어구문을 초등저학년(pre-teen)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다. 분석기준은 15가지 항목 단/중/복단/중/복(Type of sentences), 문장의 형식(Verb-based Basic Structures),문장의 종류(Sentence Types & Discourse Functions), 시제(Tense & Aspect), 태(Passive Voice : Subject ←Object), 법(Mood : Tone/Attitude),관계사(Relative : Linking Antecedents with Modifying Clauses), 특수구문(Sturctural Variations),분사구문(Participle Clause), 준동사(Verbals),접속사(Conjunctions:LinkingPhrases/Clause),연결사(Cohesive Markers), 비교구문(Comparition), 의사소통기능(Function), 이독도(Readability) 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총 15개 항목 중에서 원어민아동은 다양한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나라 교과서 구문은 단/중/복문에서 단문이 90%이상이 보이고 시제에서도 현재시제가 지배적이며 수동태, 가정법, 관계사, 분사구문, 연결사구문은 전무한 상태였고 접속사에서는 and, but의 한정된 표현만이 수록되어 있었다. 원어민 유아(infant & toddler)에서도 보이는 구문이 비교구문은 6학년교과서에서만 찾아 볼 수 있었다. 문장의 이독도(Readability)에서도 학년의 단계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교과서는 쉬운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는 원어민 유아(infant & toddler)보다도 쉬운 문장들이었다. 본 논문에서 강조하는 바는 너무 우리 교과서가 우리 초등아동들의 인지수준을 너무 낮게 보는 경향이 있고 그래서 학생들의 즉각적으로 말하게 하는 발화에 너무 비중을 두는 인상을 받았다. 이 결과 너무 쉽고 제한된 표현들만을 교과서에 싣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되도록 초등아동들에게 영어에 많이 노출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EFL상황에서는 여러 여건상 어렵다. 그러나 교과서마저도 너무 제한된 표현과 쉬운 문장들만을 수록한다는 우리 초등아동들의 영어능력신장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결국 이것은 좀더 실생활에 필요한 영어회화 전문 사설영어학원에 의존하거나 아니면 조기영어교육에 의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하겠다. 따라서 문법사항이 혹은 구문이 어렵더라도 실생활에 잘 사용되는 구문이라면 수록되어서 다양한 영어표현에 익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너무 말하고 쓰는 부분에 너무 중점을 두지 말고 좀더 살아있고 생생한 구문들을 수록하기 위해서는 아동들의 이해측면도 고려를 해서 생생한 영어표현에 많이 접하도록 해야 하겠다. 그러나 이렇게 다양한 영어표현들을 교과서에 수록한다는 것은 자칫 영어를 처음 접하는 아동들에게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을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현들을 가르치되 아동들이 전부 알아야 하고 암기해야 한다는 것을 강요하지 말아야 하며, 그 표현들을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서 그러한 구문들이 아동들에게 내재화 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겠다. 구문 분석함에 있어서 흥미로운 사항이 있었는데 4학년 구문에 우연히 준동사가 있었다. 그 표현을 보니 Nice to meet you!라는 구문이었다. 이것은 준동사 구문이고 문법사항을 얘기하자면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다. 이것은 4학년 아동에게 설명하기에는 어려운 구문이었으나 이 표현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익숙한 구문이고 아무 무리 없이 초등학생들이 사용되는 구문이다. 이런 예가 있듯이 문법사항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자주 쓰이는 구문들을 실생활과 결부해서 사용하도록 한다면 익숙한 구문이 될 것이고 이러한 표현들이 더 이상 어렵게 아동들에게 다가가지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을 마치고 바라는 점은 공교육으로서 우리 초등영어교육이 사설영어학원에 의지하지 않고 내실 있는 영어교육이 되었으면 하고 그런 방안으로서 우리 초등영어교과서가 많은 교육적 관심과 좀더 실질적인 연구 분석으로 교재편찬에 심혈을 기울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esirable ways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ext analysis. To think of the ultimat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least we should prepare the ability for Korean children to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quite freely in the future. At this point, I doubt very much whether English textbooks in Korea will be able to cover this. Therefore, I analyze the construction by comparing Korean English textbooks and English storybooks for children in ESL sett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must be a difference of English structure between Korean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nd English storybooks, I will try to know how and where it take place. The analyses of each English structures are conducted according to 13 criteria : Type of sentences, Verb-based Basic Structure, Sentence Types & Discourse Functions, Tense & Aspect, Passive Voice : Subject ←Object, Mood: Tone/Attitude, Relative : Linking Antecedents with Modifying Clauses, Sturctural Variations, Participle Clause, Verbals, Conjunctions : Linking Phrases/Clause), Cohesive Markers, (Comparition), Function, Readabil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Korean English textbooks contain simple and limited English expressions, even though the cognitive level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is higher than children of ESL set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nglish education, this is an undesirable way that Korean elementary students have no opportunity to have contact with authentic English expressions through the text books. Thus I insist that Korean English textbooks should use various English expressions whether they are difficult to explain the matter of grammar. But there is much room for consideration that Korean children stir up their morale in learning Englis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don't have to urge the Korean elementary students to memorize all the expression in textbooks. English textbooks should have authentic English expressions in relation to the real world and should encourage Korean elementary students to use those expressions in real context. In order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society, it is required to conduct a study to develop textbooks. And also the people responsible choosing the Elementary English textbook must put forth all their energy to choose a textbook through the much educational passion and substantial study. I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both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nd English education in Korea.

      • 음성분석을 통한 초등학생의 영어 억양 분석

        최성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제어인 영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일이 증가하면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도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음성 언어 중심의 영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음성언어 교육과 관련된 대부분의 영어교육 프로그램이나 영어교과 교재들은 분절음인 자음과 모음의 발음을 중요시해왔다. 그러나, 점차로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하여 초분절 음소들(suprasegmental phonemes)인 강세(stress), 운율(rhythm), 억양(intonation), 발화 지속시간(duration) 등이 발화 행위에서 맡고 있는 역할과 비중에 대해서도 많이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억양을 음의 높낮이를 이용한 의사전달 방법으로 정의 내리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억양은 말하고자 하는 사람의 의도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써,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억양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영어교육에서 억양 교육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음성분석 컴퓨터 프로그램 프랏(praat) 4.0을 이용하여 평서문, Wh-의문문, Yes/No-의문문의 문장 형태별로 원어민의 표준 억양 구조와 초등학생들의 억양 구조를 비교․분석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로 학생들이 억양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발화하도록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7차 교과서 내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문장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영어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ㅇㅇ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학생들에게 원어민과 대화를 한다고 가정하면서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도록 지시하고 컴퓨터에 직접 녹음하였다. 초등학생들과의 비교에서 표준이 되는 원어민을 선정하기 위하여 9명의 다른 원어민과 비교하였다. 억양의 전체적인 형태의 비교에 초점을 맞추되, 국어와 영어 발음상의 큰 차이점에 해당하며 억양의 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되는 성조활강과 성조전환을 주요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억양을 분석한 결과와 그에 따른 지도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 음조점과 최소 음조점을 비교해보았을 때, 초등학생들이 원어민에 비해 영어 발화의 음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것은 아니다. be-동사나 대명사와 같은 기능어에서 음조를 올리는 등 올바른 위치에서 최대 음조를 올리지 못했기 때문에 전체 억양 곡선의 형태도 달라진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대체로 잘 표현하고 있는 높낮이나 강약의 자질은 살리되, 이 자질이 표현되는 적절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일이 필요하겠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평서문과 Yes/No-의문문보다는 Wh-의문문에서 억양 형태가 원어민과 큰 차이를 보인다. Wh-의문문에서 한국어 의문문의 억양이 그대로 전이되어, 상승조로 발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평서문을 발화할 때보다 Wh-의문문을 발화할 때 음조의 범위도 줄어들고, 오류의 종류도 많아졌다. 한편 학생들은 성조활강이 포함된 문장에서보다는 성조전환이 포함된 문장에서 원어민과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원어민과 비슷한 형태로 억양을 발화하는 학생들은 성조음절을 잘 지키며, 성조전환과 성조활강의 주파수, 진폭, 시간 등이 원어민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이 원어민과 가깝게 발화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초등학생들은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영어 수업시간을 통해 실제로 여러 차례 발화해 보았기 때문에 성조음절에서의 성조전환과 성조활강이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초등학생들은 각 단어나 음절을 따로따로 발화하면서, 성조의 변화 없이 단조롭게 들리는 경우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억양곡선의 형태도 끊어지고, 평탄하게 나타난다. 영어의 억양은 한국어에 비하여 발화의 폭이 넓고 풍부하다는 의식적인 지도를 통해서 외국어로서 배우는 영어이지만, 억양을 적절히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등 영어를 지도하는 교사는 수업시간에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실제로 발화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어린이 스스로 영어 억양의 높고 낮음과 리듬감을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 문맥과 상황에 따른 표준 억양의 유형을 제시해 주어야겠다. 언어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발음의 영역은 모국어 개입이 크기 때문에 습득이 어려우면서도, 일찍 지도를 시작하면 효과를 많이 볼 수 있는 부분 또한 발음이다. 초등학생들은 구강구조가 완전히 굳지 않은 유연한 상태이므로,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올바른 억양 지도를 통해 억양을 정확하게 구사하여 자신의 뜻을 상대방에게 올바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억양은 외국어 교수에서 일차적으로 강조하여 교육해야 할 부분이다. As communication through English, the international language, has increased,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lso aim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laces its focus on teaching spoken English. However, most English education programs and textbooks have placed their importance on 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Yet progressively, people have co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uprasegmental aspects such as stress, rhythm, intonation and duration. Especially, intonation which is a way of communicat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mmunication skills. With a general consensus on the concept that teaching intonation is important in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 acoustic analysis program called praat 4.0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nton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f an English native speaker in declarative sentences, Wh-interrogative sentences, and Yes/No-interrogative sentences. And ways to improve children's intonation to standard have becom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Twel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 sentences from the current English textbook. They were asked to read those sentences as if they were talking as naturally as they can. One native speaker of English read the same sentences. Even though the focus was to compare the whole, general shapes of intonation, the analysis of tone slide and tone shift were also important factors not only in differentiating Korean subjects and English speakers but also in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tone patter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differences in the intonation patterns. First, the result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Wh-interrogative sentences, the followed by Yes/No-interrogative sentences. The number as well as the type of intonation errors in Wh-interrogative sentences was the largest.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max. and min. pitch points showed that intonation r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not certainly worse than that of a native speaker. Due to the fact that students bring up the pitch to its maximum level in technical words such as be-verbs and pronouns, the whole intonation curve varied greatly from one another. Third, some students pronounced the sentences almost at the same level of native speakers, as far as general shapes of intonation curves are concerned. The reason for this conformity is that the students' pattern shows the similar variation within tonic syllables, and their pattern also possesses frequency, amplitude, and time length tha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native speaker. However, other students had a monotonous curve, since they do not know how to differentiate the exact location of stress. Fourth, even if students attempted tone slide and tone shift, there is no great variation within a syllable or no great change in their whole pattern. In addition since they pronounce each word separately, many discontinuities were found in their intonation curves. In sum, all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need to teach the children to feel the rhythm of English intonation by providing plenty of opportunities to actually pronounce sentences within authentic situations. Through the conscious teaching with the emphasis on the facts that English has a wider variation in its tone than Korean,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properly. Compared to other areas of language, intonation is an area where most people have hard time learning because of their mother tongue. However, intonation is relatively easy to bring out dramatic improvements and changes if they start to learn at an early st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ir advantage of linguistic flexibility, have better a chance to properly learn English intonation than the grown-ups. For smooth communication, intonation has to be taught right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English with the greatest possible emphasis.

      •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정효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의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이 확산되면서(Gordon 외, 2013; McMilan, 2011) 교실수업에서 평가는 수업과 단절되어 학습자의 학습결과를 평가하는 활동이 아닌, 수업과 연계되어 학습자를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성장을 돕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나라 교육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학생 평가 시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의 과정을 평가하여 모든 학생이 교육 목표에 성공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a).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 말하기 지도와 자기평가,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4학년 5종 영어 교과서의 말하기 자기평가 영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어전담교사 또는 담임교사로 4학년 학생들의 영어를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3인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거쳐서 수정ㆍ보완한 후에 10주 동안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태 분석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말하기 자기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이 말하기 능력 및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둘째, 초등 5종 영어 검정교과서의 말하기 자기평가 활동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말하기의 인지적인 요소만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정의적인 요소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과서는 거의 없었다. 5종 교과서 모두 자기평가 후 추가활동을 할 수 있게 디지털교과서에 콘텐츠를 제시하였지만, 자신의 능력에 맞게 말하기 후속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코너를 제시한 교과서는 2종에 그쳤다. 셋째,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연구반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및 태도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사후 말하기 평가 당시 학생들의 감정, 기분, 긴장감,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미쳐 학생들이 말하기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연구를 진행하기 전보다 학생들의 말하기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수업 중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는 있었지만 이러한 변화가 단시간에 말하기 능력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넷째, 연구기간 동안 표적 집단 심층면담을 통해 자기평가 활동에 임하는 학생들의 반응 및 태도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말하기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았다. 아울러 학생들은 말하기 자기평가 시 객관적인 입장에서 자신의 말하기 능력과 태도를 평가하려고 노력하였다. 세 번째, 네 번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은 학생들의 말하기 학습 동기, 태도 등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이러한 변화가 말하기 능력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후속학습을 실천해야 하는데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가 잘 안 된다는 어려움이 있다. 즉, 수업과 연계된 자기평가 후 학습자의 지속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해서는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정과의 연계 지도나 온라인 매체를 통한 학생 맞춤형 지도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및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향후 초등영어 교과서 개발 시 수업과 자기평가가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선순환적 평가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자기평가 후 후속학습을 자기 주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수업과 연계된 자기평가는 말하기 학습 동기 향상에 영향을 주었지만 자기 주도적 후속학습 실천이 잘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셋째, 수업과 연계된 자기평가 모형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해보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자기평가 연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지만, 언어의 네 기능은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업과 자기평가를 연계한 듣기, 읽기,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직접 의사소통 활동에 함께 참여한 동료가 평가한 결과와 자기평가 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초등영어교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 담임교사와 전담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주지윤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It has already been 10years since English was instituted as a regular course in elementary schools. Englis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getting better than before, so it is urgent to get 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fo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glish teacher's quality at Elementary school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tudy, 20 teachers who are teaching English at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two. The one is a group of teachers who had graduated University of Education. They major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other one is a group of teachers who had majored in English. Both of the group were surveyed with 20 questionnaires about their cultural background and teaching style. A new test which is based on TOEIC is designed specially for teachers by the researcher. There are 50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and 50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in the test. 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urveyed with 22 questionnaires about their learn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English. They were tested with 10 questions which they would learn next semester to understand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s too easy for students so it is essential for teachers to use their own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make effective English class. Second, according to the research which showed English test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and English teachers, English teachers' score was little bit higher than homeroom teachers'. Thir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ultural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about their own English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English teachers. To make more effective English educational system in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by English training system of the government to be effective English teachers. Also the teachers who have teacher's license for middle and high school may get certain systematic ways to teach at elementary school as 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본 연구는 현재 초등 영어 교육이 어느 정도의 전문성을 가진 교사들에 의해 지도되는 지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통하여, 향상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영어 실력에 맞는 전문성을 가진 영어 교사를 수급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초등교육을 전공한 그룹과 영어교육을 전공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열 명으로 구성된 집단에게 듣기 50문항과 문법과 어휘력, 독해 50문항으로 이루어진 영어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실력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교사의 신상과 영미문화에의 친숙도, 해외 거주 경험, 영어 수업 방식 등과 관련한 설문지를 영어 평가지에 포함시켜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공정한 비교를 위하여 모든 응답자는 경력 10년 이하의 교사들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제 학생들의 영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2007년 2월 현재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급한 후에 배울 6학년 교과서의 내용으로 영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짧은 설문지를 곁들여 이들의 영어 학습 배경에 관한 결과를 얻었다. 위의 방법으로 조사·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초등학교의 국정교과서는 실제 학습자의 수준에 비해 난이도가 낮아 학습자의 학습 욕구를 상승시키기 위한 교사의 보충자료와 문화적 자극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의 영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담임교사와 전담교사 집단의 영어 듣기와 독해실력을 비교해 본 결과, 전담교사들의 점수가 미세하지만 일정하게 담임교사의 점수를 상회하였다. 셋째, 담임교사와 전담교사의 영미 문화에의 친숙도와 영어 사용에의 자신감, 해외 거주 경험 등의 설문 조사에서도 영어 교사로서의 자질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성을 가진 초등 영어 교사를 수급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영어 교육을 전공한 중등 영어 교사 자격증 소지자들이 초등 영어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한다. 둘째, 초등교육을 전공한 교사들 중 영어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을 선발하여 다양한 영어 연수와 교수법 연수를 통해 초등 영어 수업의 질적인 향상을 모색한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하여 전문성을 지닌 초등 영어 교사들이 교육의 현장에 투입된다면, 아직 변화의 과정에 있는 초등 영어 교육의 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영어 쓰기 활동에서 동료 평가와 자기 평가의 활용가능성

        이수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수․학습과 평가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평가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또한 매우 크다. 현재 거의 모든 학교에서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200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 결과에서 수행평가는 교육 정책기관,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그 의미가 명확히 이해되고 있지 않았으며, 수행한 수행평가 적용의 타당성에서 미흡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4기능의 균형적 발달이 강조되며 학습자들의 표현 기능, 그 중 쓰기 기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쓰기에서 피드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인수 학급에서 교사가 느끼는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이 크고 자기 교정이 있은 후에도 여전히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본교 5학년 대상 사전 조사결과 약 50%의 학생이 쓰기가 가장 어렵다고 답했으며 수행 평가에서 평가기준을 아느냐는 질문에는 62%가 모른다고 답하였다. 이에 학습자들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준거를 가지고 의사소통 중심의 쓰기 과업을 수행한 후 실제 채점자로서 동료나 자신의 글 채점에 참여한 결과를 살펴 초등영어 쓰기 활동에서 동료 평가와 자기 평가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초등영어 쓰기 과업 후 실시한 동료 평가, 자기 평가 결과와 교사에 의한 평가가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영어 쓰기 과업 동료 평가 집단과 자기 평가 집단의 채점 결과는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가? 셋째. 초등영어 쓰기 과업 후 채점 실시 시기에 따라 채점 결과에서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 평가기관의 쓰기 목표와 초등영어 쓰기 평가목표, 5~6학년군 쓰기 영역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기술적 세부사항, 조직성, 내용관련성으로 쓰기 평가요소를 정하였다. 그리고 본교 5학년 수준에 맞는 쓰기 채점 기준표를 재구성하여 각 요소별로 대소문자, 문장부호, 철자, 문장완성, 내용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쓰기 과업은 교과서 2차시에 제시된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 봅시다.’ 부분을 재구성하여 많은 양의 쓰기를 도출하도록 제작하였다. 2회의 채점자훈련을 실시한 후 A반은 동료평가, B반은 자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한국인교사, 원어민교사, 영어회화전문강사에 의한 교사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채점 시기를 쓰기 과업 1, 3은 수행 직후, 2, 4는 일주일 후에 실시하여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FACETS을 이용한 다국면 래쉬 모형, 이원분산분석(2-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점에 대한 채점자간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모두 상관이 있으나 자기 평가가 좀 더 높게 나타났다. Z점수를 구한 후 학생 채점자 1인과 교사와의 상관을 보면, 동료 평가는 36.8%(7명), 자기 평가는 55.6%(10명)의 상관이 있다로 나타났다. 평가 요소에 대한 상관관계에서는 동료 평가의 다섯 요소에서 모두 31.6%(6명)의 학생이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문장부호에서 52.6%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평가에서는 대소문자, 문장부호, 철자, 문장완성 요소에서 44.4%의 학생이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반면, 내용 요소에서는 27.7%(5명)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 채점자 집단에서는 모든 채점자가 로짓값 0의 아래에 위치하여 채점자로서 관대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쓰기 능력이 높은 수험자가 채점을 할 때 관대하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쓰기 능력이 낮은 수험자는 엄격하게 채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과업의 난이도는 수행 직후 채점한 1, 3이 일주일 후 채점한 2, 4보다 더 쉬운 과제로 여겨졌다. 평가 요소에서는 문장부호와 대소문자에 대한 채점이 매우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기 평가 집단의 경우, 채점자 엄격성은 동료 평가 집단과 같은 경향을 보이나 동료 평가 집단과는 달리 능력이 우수한 수험자가 채점자로서도 엄격함을 보여주고 있다. 쓰기 과업의 난이도에서는 과업 1, 2, 4가 적절한 수준으로 보이고, 동료 평가 집단과 같이 쓰기 과업 3이 가장 쉬운 과제로 보여진다. 평가 요소로는 동료 평가와 같이 문장부호와 대소문자의 채점이 엄격하였으나 내용, 문장완성, 철자는 모두 동일한 로짓값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인 채점 시기에 따른 채점 결과에서. 자기 평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동료 평가에서는 유의확률 .05 수준에서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 중 쓰기 과업 2(수행 후 일주일 뒤)를 기준으로 1, 3, 4의 점수 차가 유의미하게 나왔으며 평가 요소에서는 대소문자와 문장부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위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EFL 초기 외국어 학습자인 초등학생도 동료 평가와 자기 평가에서 교사와 비슷한 수준의 평가결과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의 성취기준에 적합한 채점 기준이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이를 학습자들에

      • 교사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초등영어 수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배수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learning motivation is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tivation is also shared worldwide in English education. However, Korean learners do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English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are limited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outside the classroom. In addition, simple play and game-oriented classes that do not fit the learner's cognitive level and English level differences between English learners are analyzed as factors that reduc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to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and examine the effect, this study chose a subject that induce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a class composition using motivational strategy. As a class subject, ‘culture’ was chosen to integrate into English class. Culture is not only related to motivation, but also to 2015 Education which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Various motivational strategies were used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 and curiosity,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culture-fixed sections of the current textbook are centered on research and presentation learning. To find out the change in learners' motiva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motivational strategies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teaching motivational strategies based on culture-integrated English classes,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model of elementary English-Culture class using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Second, how did the integrated model of elementary English-Culture class using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affect the motivation of 4th and 5th graders? Lastly, what are the motivational strategies that are effectively recognized by learners in the integrated model of elementary English-Culture class using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and those that are not?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model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reality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were systematized to be used at each stage of the class and conducted to 4th and 5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where this researcher work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model of elementary English-Culture class using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teaching course plans, student activity sheets and outputs, individual interviews, and teaching journal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To analyze the change in learning motivation, a learning motivation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To find out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teacher motivational strategy used in the cultural integration class, a post-experimental class survey was conducted afterwards. After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 interviews, teaching journals, and student impression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in-depth reason behind the quantitative result. The results derived through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integrated model of elementary English-Culture class using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a motivational strategy suitable for the ‘awareness-practice-experience’ stage model and the ‘introduction-development-rearrangement’’ stage of each lesson were used. For example, the 'interest' motivational strategy was intensively used in the 'awareness' model and the 'introduction' stage of each lesson to increase student motivation and effectively present cultural situations. Second, cultural integration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4th and 5th graders. On the other hand, amotivation decreased. It can be seen that experimental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joyment of English learning itself. However, external motivations differed between grades. In contrast to identified regulation of external motives tha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grades, introjected 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of external motiv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only in the fifth grade students. This may be due to higher academic stress levels in higher grad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used in the culture integrated class, ‘atmosphere’, ‘culture’, and ‘reward’ were the students' effectively-recognized upper macro strategies. On the contrary, 'goals', 'results', and 'personal relevance' were the lowest macro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irst, cultural integration classes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Therefore, cultural integration classes are necessary to improve learners' motivation and develop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necessar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Second, using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integr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atmosphere', 'culture', and 'reward' macro strategies that learners perceive highly, and apply low perceived macro strategies in new ways according to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Finally, there is a need to prepare institutional guidelines for cultural integration classes using motivational strategies. Elementary English instruction books should include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for conducting cultural integration classes. Also, manuals for cultural integration methods and motivational strategies based on field studies and related teacher training is to be conducted to expand teachers' perspective on English classes. 학습동기는 학생의 학습활동과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영어교육에서도 학습동기의 중요성은 전세계적으로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교실 밖에서 실제적인 영어사용의 기회가 제한적인 영어학습 환경에서 우리나라 학습자들은 영어에 대한 중요성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또한 영어 학습자들간의 수준차, 학습자의 인지 수준에 맞지 않는 단순한 놀이·게임 중심의 수업은 영어 학습동기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영어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소재와 동기전략을 사용하는 수업 구성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학습동기 향상과 관련 있을 뿐 아니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성이 강화된 ‘문화’ 소재를 영어수업과 통합하는 문화 통합 영어수업을 개발하고 현 교과서의 문화 고정란이 대부분 조사, 발표학습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동기유발 전략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사 동기전략을 활용한 문화 통합 영어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여 학습자의 동기 변화를 알아보고 활용한 동기전략에 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초등영어 수업모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초등영어 수업은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의 동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셋째, 교사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초등영어 수업에서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인식한 동기전략과 그렇지 않은 동기전략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영어 현실에 맞게 언어·문화 통합 모형을 재구성하고 수업의 각 단계에 활용할 교사 동기전략을 체계화하여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였다.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초등영어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학습 과정안, 학생 활동지 및 산출물, 개별 면담, 교사일지를 해석 및 정리하였다. 학습동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수업 전후에 학습동기 설문지를 배부하여 결과를 양적 분석하였으며 문화 통합 수업에서 활용한 교사 동기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수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후 학생의 내면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학생 면담, 교수 일지, 학생 소감문 등의 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수업에서 모형의 ‘인식-연습-경험’ 단계와 각 차시의 ‘도입-전개-정리’ 단계에 맞는 동기전략군이 활용되었다. 예를 들어 ‘흥미’ 동기전략군은 학생의 동기를 높이고 문화적 상황을 제시할 때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모형의 ‘인식’과 각 차시의 ‘도입’ 단계에 집중적으로 활용되었다. 둘째, 문화 통합 수업은 4학년과 5학년 학생의 내재적 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무동기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실험수업이 영어학습 자체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외재적 동기는 학년 간 차이가 있었는데, 외재적 동기의 확인된 조절은 모든 학년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지만 부과된 조절, 외적 조절은 5학년에게만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갖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랑 관련이 있었다. 셋째,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수업에서 사용한 교사 동기전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분위기’, ‘문화’, ‘보상’은 학생들의 효과적으로 인식한 상위 전략군이었고 ‘목표’, ‘결과’, ‘개인관련성’은 하위 전략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영어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문화 통합 수업은 초등영어학습자의 영어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학습자의 동기 향상과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문화 통합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 진다. 둘째, 교사 동기전략을 활용하면 문화 통합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학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한 ‘분위기’, ‘문화’, ‘보상’ 동기전략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낮게 인식한 동기전략군은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새로운 방법으로 고안되어 적용 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동기전략 기반의 문화 통합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초등영어 지도서는 문화 통합 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및 자료를 포함시키고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화 통합 수업 방법과 동기전략에 대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관련 교사 연수를 실시하여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의 안목을 넓혀야 한다.

      •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에 관한 연구

        이영희 숙명여자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어휘 목록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을 만족시키며 그들에게 유용한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를 제시하는 것이다. 제6, 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하는 독자적인 연구 없이 어휘 목록이 선정 제시되고 있고, 어휘 선정 기준과 기본 어휘 범주가 명확하지 않으며, ‘실용성’의 개념이 소극적이고, 초등학생들의 영어 선수 학습 지식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강북에 위치한 5개 초등학교 학생 575명과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 4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중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휘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목록 도출 자료를 선정하여 자료별 고빈도 어휘의 특성을 살펴보고, 원어민 교재와 7차 교육과정의 어휘 목록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2학년 학생들은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 중 평균 215개(교육과정 전체 어휘수의 37%) 정도의 어휘를 미리 알고 3학년 첫 영어 수업에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 교과서와 교과서의 어휘에 대해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쉽다고 응답했다. 둘째,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영어를 가장 많이 만나는 경로는 비디오나 책을 통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참고자료의 고빈도 어휘를 분석한 결과, 자료의 종류에 따라 어휘의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스크립트는 담화지표에 속한 어휘들이 많았고,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과서는 구어적 성향의 어휘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넷째, 원어민 교재의 어휘와 7차 교육과정 어휘를 15가지 의사소통 영역으로 분류해 비교 분석한 결과, 7차 교육과정 어휘 자체는 비교적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었으나 가정생활, 우주 및 자연, 운동?취미?오락 등 초등학생들의 주요 관심 소재 영역의 어휘가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은 영어 수업 한차시의 적정 교수 어휘수로 3, 4학년은 2.5개, 5, 6학년은 4개가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경력이 많을수록, 영어 교과 담임을 맡았던 교사일수록 어휘수를 더 많이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ESL 교재, 두 종류의 사전, Singapore 초등 교육과정, 초등영어 교과서, 미국 교과 과정의 어휘, 선호자료에서 도출한 어휘 등 7가지 참고자료 중 4곳의 출처에 공통으로 나타난 968개의 어휘를 15가지 의사소통 영역으로 분류하여 교사들의 피드백과 어휘 분석 결과, 어휘력 평가 결과들을 반영하여 772개를 최소 기본 어휘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어휘 목록은 ‘음식’, 생물, 날씨, 자연, ‘운동?취미?오락’, ‘명사’ 영역의 어휘가 보강되었다. Carter(1998)가 언급하였듯이 어휘는 표현의 강력한 지표이다. 특히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고 초급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어휘의 중요성은 그 무엇으로도 대체될 수 없다. 또 한가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언어는 생활 속에서 배워지고 학습의 가미를 통해 다시 생활을 풍요롭게 만드는 활동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생활 영어 중심으로 구어체의 비중을 늘이는 것에서 나아가, 실생활에서 영어를 만나게 되는 다양한 매체들의 어휘를 교육과정 어휘에 포함시켜 영어 수업과 실생활에서의 영어 사용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in the basic word lists prescribed by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a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o recommend new basic word lists that are useful and suitable to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ational curriculas basic word lists had some problems in that the word lists were proposed without any field study, the concept of basic and the standards for selection were not clear, there is a passive and inadequate reliance on practicality, and already acquired vocabulary among students was neglected. To solve these problems,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where questionnaires and vocabulary tests were given to 575 elementary students and 49 teachers at 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Gangbuk area in Seoul. Also, this study analyzed high frequency words from many English sources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were determined based in part on the questionnaire and on the researchers choices. Furthermore, this study compared word lists from native sources (dictionaries & ESL textbooks) with ones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classifying the vocabulary items into 15 categories pertaining to daily life communication, such as school life, color & shape, space & nature,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average score for the vocabulary test among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was 215 out of 300 words. This size comes up to 32.5% of the total items in the basic word lists (578 wo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Moreover, the stud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believed the English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vocabulary items in them were easy. Second, the students received exposure to English more from videos and books than from other sources, such as television and the Internet. Third, every material showed its own characteristics as far as vocabulary focus is concerned. For example, video scripts tended to have a preponderance of discourse markers while English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used many verbal expressions. Fourth, a comparison between the 7th basic word lis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ists from native sources showed a great deal of proximity in terms of similar words used. The 7th curriculum word lists, however, performed poorly on some categories, such as Household life, Space & Nature, Sports, Hobby, & Leisure, topics which proved to be prefer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fth, the teachers responded that 2.5 new words were effective to teach per 40-minute class for 3rd and 4th grades, and 4 new words for 5th and 6th grades. The teachers, however, admitted that the longer they taught English, the more they feel th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new words to teach per clas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ed 772 new basic words as a minimum requirement and suggested that students acquire them completely within four years. The new word lists were based on teachers feedback, vocabulary test results, and vocabulary analysis resulting from 968 words that were found to appear commonly in four out of seven sources used in this study. The study of words is at the heart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s Carter & McCarthy (1988) argued. Vocabulary instruc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elementary English national curriculum because it is tied closely to the goal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learning a language that students can use in their daily life enriches the classroom experience. Thus,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further the interaction between classroom and real-life English. We achieve this by taking note of words from various sources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and incorporating them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word lists.

      • 초등 영어 발음 오류의 음향 음성학적 분석 연구 : 교사와 아동간의 발음 오류 실태 비교·분석

        이혜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 교육에 영어가 도입된 지 6년째에 이르는 현 시점에서 초등 영어 교사와 아동의 발음을 진단하고 그 개선점을 찾으려는 노력은 중요하다. 언어전이 이론이나 대조 및 오류 분석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인 학습자의 일반적인 오류 유형을 제시한 기존의 연구는 많았으나 초등 영어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그 실태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알아보고 그 교육적인 시사점을 찾으려 한다. 한국인이기 때문에 범하게 되는 오류 유형 중에서도 음절말 자음에 모음이 삽입되는 현상과 음절수가 문장 발화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춰 분석해 보았다. 또한, 기존의 원어민의 직관이나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의한 분석 보다는 보다 객관적이고 가시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웨이브폼(waveform)의 형태로 발화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인천 창영 초등학교 교사와 6학년 아동 각각 10명 씩이며 이들의 발음 비교·분석을 위해 원어민 성인과 아동 1명씩을 선정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실험 문항은 6학년이 읽을 수 있는 문장 수준에서 연구자가 직접 만들었고 일부는 교과서와 스토리북(storybook), 기존 연구 등에서 따오기도 했다. 참가자들의 발화 내용을 디지털 녹음기(DAT)로 녹음하여 웨이브 폼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음 삽입 현상은 음절말 자음을 조음 방법에 따라 나누어 실험 문항을 구성하고 어말의 위치에 있을 때와 문장 중간에 있을 때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웨이브폼의 분석 결과 파찰음, 마찰음, 유음, 폐쇄음 순으로 오류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음에 있어 한국어로 표기되어 쓰이는 "Hanmir" 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파찰음, 마찰음, 폐쇄음, 유음의 순서로 모음을 삽입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자음이 어말에 위치했을 때보다는 문장 중간에 위치했을 때, 그 중에서도 뒷 단어의 첫음절이 자음인 경우 모음을 삽입하는 확률이 높았는데, 이는 뒤따르는 단어의 첫음절과 자음군을 이루거나 연음을 제대로 하지 않아 생기는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인 교사와 아동간의 오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아동의 오류 빈도가 높으나 그리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둘째, 음절박자언어인 한국어의 영향으로 음절수에 의해 문장 발화시간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기능어의 수가 점차 증가하나 기본 내용어의 수는 동일한 실험문항을 구성하여 실험한 결과, 원어민의 경우 성인이 총평균 0.49sec, 아동이 0.59sec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한국인 교사는 1.25sec, 아동은 1.91sec로 원어민에 비해 교사는 두 배 이상, 아동은 세 배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성인과 아동을 비교했을 때 원어민은 아동이 총 평균 0.1sec, 한국인은 아동이 0.66sec 더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원어민은 성인과 아동 별 차이가 나지 않으나, 한국인의 경우 아동이 교사에 비해 문장 발화시 음절 수의 영향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초등 영어 교사의 발음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어 연수기회가 확대·실시되어야 한다. 초등 교사의 영어교사로서의 자질과 관련하여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교사 스스로의 영어활용 능력이다. 특히 아동에게 발음의 모델이 되는 교사는 정확하고 훌륭한 발음을 그들에게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교사조차 한국인의 발음 오류 양상에 관한 이해와 지식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발음지도와 연수를 통해 한국인 교사로서 범할 수 있는 영어 발음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전담교사의 체계적인 양성과 활용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둘째, 초등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영어의 자모음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발음지도가 요구된다. 실험 내용 분석 결과 한국인 교사와 아동 모두 개인차가 크고, 같은 오류의 환경 속에서도 적절히 발음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어 일관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는 개개인의 언어지식 정도, 발성, 평소 발음 습관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며, 체계적인 발음 지도를 통해 영어 자모음 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하겠다. 앞으로도 초등 영어 교육의 실태에 관한 끊임없는 연구와 개선의 노력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already 6 years of establishing English education in primary school. In order to develop our teaching system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progress for students to an enhanced level, it is an essential requirement of critically analyzing the current teaching programs and structure in regular basis. There are many prior theses that have studied Korean English learner's common errors rely on language transfer theory, contrastive and error analysis. But, we can hardly find the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So,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onunci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related to the following two error phenomenons. One of the most common mistakes of pronouncing English for Korean English learners is to add a vowel to the consonants at the end of the syllable. And the other is that the speed of the sentence reading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yllables within the sentence. Rather than relying on the intuition of native English speakers and their opinions, in order to obtain the precise and more reliable outcome of this research, we use spectrogram . For the sample selection, 10 students in 6th grade and 10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are selected independently. The test items are designed based on English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storybook and prior theses. Digital audio tape recorder is used for increasing the precision of voice data then the recorded data is analyzed by spectrograph.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ly, we look at the vowel insertion phenomenon. When we design the test items, we intentionally classify the consonants by the manner of articulation and the place within the sent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waveform, "affricate" has the most pronunciation errors, followed by "fricative" , "liquid" and "stop" . But, there is the most frequent vowel insertion phenomenon occurred in "affricate" , then followed by "fricative", "stop" and "liquid" when we ignore the exceptional case of "Hanmir". The vowel insertion phenomenon also frequently occurs when the consonant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 than when it is at the end, because the consonant at the end of the syllable can be consonant cluster with the first syllable of the following word. We can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nunciation errors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except fricative but the discrepancy is still considerably minor. Secondly, we also analyze the effect of syllable-timed rhythm. As we construct the test items, there are sentences that we inte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unction words but retain the same number of content words.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native English speakers and native English speaking primary school students take approximately 0.49 seconds and 0.59 seconds, respectively. However, for non-English background speaking teachers and students take approximately 1.25 seconds and 1.91 seconds, respectively. Therefore the subjects are more likely sensitive about the length of sentence and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subject takes about twice and three times longer to pronounce for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finding, the following suggestion can be made. Firstly,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must have an extensive period of studying English, especially focused on correct pronunciation. Although the sample size seems relatively small and the sample selection might be inaccurate, however it still shows that the teachers require more ongoing trainings in regular basis hence pronunciation error can be minimized. Secondly, we need to develop our understanding about vowel-consonant system. As the result of the previous experiment clearly indicates that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hen it comes down to pronunciation. Since each individual has a different background and educational level which could determine the capabilities and adaptability of learning English. However, we believe that constant and continuous support and training are the key issues for future English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