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정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W초등학교 6학년 5개 학급 중 연구자가 운영하는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스트레스 대처능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동질성을 보이는 다른 1개의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으며, NLP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김혜진, 2007), NLP 집단상담이 ADHD 아동의 학교적응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김종운, 2002),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김선화, 2006), 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윤정남, 2007), 스트레스대처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분노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김은정, 2006)에 사용된 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NLP 전략들, 그리고 「우리 아이 속에 잠든 거인을 깨우는 NLP」(이소희 역, 2005)에 제시된 활동 내용이나 전략들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박진아(2001)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 12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경험보고서와 상담자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도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습득하고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 가정, 학교생활에서의 다양한 문제 상황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에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놀이활동 중심의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NLP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며, 교육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볼 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NLP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xecute the stress repelling ability improvement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the target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and verify how it affects stress repelling ability. The study problems established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clarify what should be the contents of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ncrease stress repelling ability, and secondly to clarify whether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ress repell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As for the subject of study, a class managed by researcher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that shows consubstantiality to it as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5 senior classes in W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Stress repelling ability improvement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is devised based on counsel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 In-Woo(1995), and the following were revised, complemented and used to fit this program's purpose: The effects of NLP counsel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benefit(Kim Hye-Jin, 2007), The effects of NLP group counseling on ADH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behavior changes(Kim Jong-wun, 2002), The effects of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ation anxiety(Kim Sun-Hwa, 2006), The effects of stress repelling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s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Yoon Jung-Nam, 2007), The effects of stress repelling train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ger expression and self-respect(Kim Eun-Jung, 2006), NLP that awakens the giant in our child(translated by Lee So-Hee, 2005).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of Park, Jin-A(2001) is used as a test tool,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nalyzed by Mixed ANOVA at SPSS/Window 12 as data processing, and an experimental report and the counseling contents are analyzed and submitt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 for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dealing with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ss repelling abilit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repelling abil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Also, experiment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reaction in contents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which shows that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ss repelling ability has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stress repell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o use it to enable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in actively and effectively coping with problems in their personal, home and school life, by acquiring effective stress repelling ability and improving positive stress repell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playing activity centered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lower-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o train the ability to deal with the stress from daily life effectively and positively. Second, the NLP has been actively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the effect has been established. As we have shown that NLP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educational aspects from previous research, it has to be considered to draw up a plan that various NLP studies wi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can be continued.

      • 게슈탈트의 알아차림과 접촉경험을 중심으로 한 예술치료가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증진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 couples in their 30s and 40s from the J Foreign Counseling Center in G, Gyeongsangbuk-do, to find out the effect of Gestalt's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recognition and contact experience on enhancing the relationship. Starting with research design in November 2020,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The measurement tool used the Kansas Marital Situation Sca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KMSS), which measures the patterns and patterns of marital conflict developed by Schumm et al. (1986). The marital communication scale developed by Kang Jeong-sil (2015) used the marital communication scale, and Hudson30's Index of Marital Satisfaction (IMS) was used as the marriage satisfaction scale. For data process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fter applying the pre-test and the program of the measurement variable, a pre-post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to confirm the degree of change, an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5%.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couple conflict comparison. As a sub-factor,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it was significant during the convers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beginning of the problem.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pre-post comparison of marital communication, the dictionary was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sub-factors, self-expression, relative acceptance, and mutual understanding all had high dictionarie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the pre-post comparison of marriage satisfaction, the dictionary was high,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couple B, couple D, couple E, couple F, couple I, and couple J had a high postmortem, and couple C, couple G, and couple H had a high dictionary, but al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rough observation journals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at the communication of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anged positively afte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physical contac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dea of marriage choice was positively changed through the program.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us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First, it is said that they are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most of them were families whose wives were multicultural. In the future, if the husband organizes a multicultural family in a 5:5 ratio, he will be able to deal with more practical cases of conflict between multicultural couples. Second, this study has a two-month suspension period in the middle due to COVID-19. Although it is a social emergency,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ograms at the same time in case such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ird, there was a limit to expressing deep feelings because the languages used by couples were different. The wife, who was not familiar with Korean enough, and her husband, who did not know her mother tongue, were insufficient to unravel the stories and aspirations hidden in a lasting conflict. Although the program was accompanied by an interpreter,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by providing personal counseling at the same time.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박정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t. This study also aims to induce the need of change of parent recognition on this matter and the interest in children's playfulness, to suggest right parental attitude, and to give useful information on parent education to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1. How does parental attitude differ? 2. How does parental attitude differ by gender and age? 3. How does children's playfulness differ by gender and age?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47 children aged 4 and 5, their father or mother, and their teachers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Daejeon. The questionnaire for parental attitude is Schaefer'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ranslated by Wonyoung Lee (1983). For children's playfulness,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is used, which was invented with the concept of playfulness defined by Barnett (1991) & Lieberman (1977).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rents for parental attitudes and teachers for children's playfulness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in order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T-test was used to know the differences by age and gender.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for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linearregression was implemented for analysing the impact of parental attitude on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rental attitud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all the categories of parental attitudes: loving, refusing, autonomous, and controlling attitudes.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parental attitude by children's gender, in particular in the refusing attitude, while there i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parental attitude by children's age. However, in the loving attitude, 4-aged group gained significantly higher marks than 5-year group. Thi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by children's gender and age. Particularly in physical playfulness as one of sub-category of children's playfulness, boys show better physical spontaneity than girls significant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by children's age. For cognitive spontaneity as one of sub-category of children's playfulness, 5 aged children show higher marks than 4 aged children while 4 aged children show statistically higher marks in happiness expression than 5 aged children. Fourth,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loving attitude and children's social spontaneity. As father's controlling attitude is higher,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y of children is higher.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ntrolling attitude and children's physical spontaneity while there i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fusing attitude and children's cognitive spontaneity. However, overall there i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조사해 연구해 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바람직한 방향 정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이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의 양육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5곳에 취원 중인 만 4,5세 유아 147명과 그들의 부모인 아버지 147명과 어머니 147명 총 441명이다. 연구도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Sc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를 이원영(1983)이 번안한 것으로 고영미(1995), 김은희(1996), 최유경(1999), 배문주(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바있는 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Barnett(1991)이 Lieberman(1977)의 놀이성 정의에 기초하여 제작한 유아용 놀이성 평정도구(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질문지를 각 교육기관에 배부하여 그 중, 부모의 양육태도질문지는 연구 대상인 유아를 통해 아버지 어머니가 따로 작성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고,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령과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각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버지, 어머니 둘 다 거부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아보다 남아에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만 5세보다 만 4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을 살펴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신체적 자발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놀이성의 하위영역에서 인지적 자발성은 만 4세보다 5세가 높게 나타났고, 즐거움의 표현은 만 5세보다 만 4세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애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놀이성의 하위영역인 사회적 자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통제적 태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관계에서는 어머니의 통제적 자발성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발성이 높으며, 어머니의 거부적 태도가 높을수록 인지적 자발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 개인가치성향이 외식기업의 PPL과 브랜드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정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외식소비자들은 가치 추구형 소비자들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의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소비충족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기업들은 존재가치를 형성 하고 있다. 즉,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존재가치가 곳 소비자들의 가치성향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소비자들의 개인가치 성향에 따라서 추구하는 PPL과 브랜드 이미지, 상표태도 대한 선택적 사항과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방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과 그 요인을 이용한 앞으로의 활용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가치 성향, PPL, 상표태도, 브랜드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대한 이론 적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념적 의미를 고찰한다. 둘째, TV 드라마에 노출 되는 PPL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태도유형 특성을 파악 한다. 셋째, PPL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유형에 따른 상표 태도 및 브랜드 이미 지의 영향 관계를 파악 한다. 넷째, PPL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유형에 따른 재방문의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 한다. 다섯째,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식시장의 성향 및 미래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적 연구방법으로 논문, 정기간행물, 서적, 연구보고서, 관련기사자료들의 이론적 고찰을 재조명 하고, 이러한 이론적 근거인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문헌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실증연구도 병행하였다.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3년을 기준 연도로 설정하고, 2013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 까지 2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로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까지 PPL에 노출된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는 개인가치성향, PPL광고, 상표태도, 브랜드 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조명하였다. 즉, 제 1장은 서론으로 개인가치성향과 외식기업 PPL 및 재방문 의도와 관련된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명했고, 제2장 에서는 개인가치성향과 외식기업 PPL 및 재방문 의도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 3장 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요인을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 및 측정도구를 설명하였다. 제 4장 에서는 설문조사와 관련하여 표본의 신뢰성, 타당성을 평가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검정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결과가 나타내는 시사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으며, 제 5장 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를 통한 한계점을 기술함으로써 앞으로의 보다 발전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연구(literature study)와 실증연구(empirical study) 두 가지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문헌연구 로는 외식소비자들의 개인가치성향에 관한 이론, PPL에 관한 이론, 상표태도,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이론, 재방문의도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구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자기기입 설문 조사법을 사용하였고, 서울,경기 거주 하는 일반인을 500명을 대상으로, 응답된 자료는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PPL경험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개인 가치성향, PPL, 브랜드 이미지, 상표태도, 재방문의도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인 가치성향은 PPL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외적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 일수록 PPL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높아지는 반면 내적가치가 높아지면 PPL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PPL 긍정적 효과는 개인가치성향의 하위요인별 내. 외적가치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PPL긍정적 효과는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서비스품질 이미지와 고객추구 이미지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PL 상표태도에도 긍정적 효과가 높아짐으로 상표태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고객추구이미지, 서비스품질 이미지가 높아지면 재방문의도의 하위요이인 심리적 요인은 상승한다. 이는 심리적요인의 향상은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인별 서비스품질 이미지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브랜드이미지의 하위요이인 서비스품질 이미지와 고객추구 이미지가 상승 하면 물질적 요인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상표태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의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요인과 가치적 요인은 상승 하게 된다. 개인가치성향에 따른 재방문의도에서는 외적가치가 높을수록 재방문의도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방문의도는 개인가치 성향의 외적가치가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해 준다. 외적 가치가 높은 소비자들 일수록 PPL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외식기업은 외식소비자들의 개인의 가치 성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가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서 PPL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와 상표태도의 향상으로 고객만족과 재방문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확대해야 한다. PPL 역시 소비자들로 하여금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 하도록 개발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강한 촉진 수단이 될수록 노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하여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집단을 서울. 경기지역의 일반인들을 통한 양적조사에 국한 되었던 점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났으며 후속연구에서는 좀더 지역적으로 확대하여 여러 표본집단을 통해 연구를 하는 것이 좀더 정확한 결론을 도출할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단계별 구매행동에 대한 결론이 아닌 부분적인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결과 한계점을 나타냈으며, 후속연구에서는 구매행동의 단계별 세분화 연구를 통해 고객들의 원하는바에 반응함으로써 경쟁기업들과의 차별화 전략과 경쟁 우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시기업의 PPL광고를 측정함에 있어서 광고효과에 대한 수용자 유형별 측정을 통한 선행연구에서는 광고반응에 대한 태도연구가 통제되어진 실험법에 의해 연구 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수용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사료 된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제언을 정리 하자면 개인가치 성향에 따른 수용자 태도별 유형화 작업을 통해 외식기업의 보다 세분화된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여 할 수 있으며, 외식기업은 PPL의 신뢰성을 높이고 차별화 전략수립으로 잠재적 충성고객의 확보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또한 고객의 외식가치 측정에 따른 고객욕구 마케팅에 기여 할 수 있으며 개인가치 성향에 유형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틈새시장을 고려하여 한 집단의 특성을 파악 적용하여 경제적인 시장 세분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과 미술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정연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현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C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중에서 부모의 동의를 얻은 유아 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자기표현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문이다.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자기표현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은 총 3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1-3회기로 친밀감과 관계형성의 단계로서 대상유아들은 어린이집에서 같은 반이라 대상유아들간의 친밀감은 형성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대상유아들의 내면적인 욕구발산을 이끌어내고자 대상유아 자신을 표현하고픈 별칭을 가지게 하였고 연구자와의 친밀감과 관계형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2단계는 4-9회기로 정서 안정 및 욕구표출단계로서 대상유아가 하고 싶어하는 매체로 자유롭게 표현하게 하고 대상유아 내면세계의 자아를 통해서 욕구와 취향을 탐색하고 표출할 수 있는 기회로 삼는다. 연구자는 대상유아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촉구하는 보조자 역할을 치료원칙으로 하였다. 3단계는 10-17회기로 자기표현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단계로서 정서 안정과 욕구표출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주제를 주어 주제에 맞게 그림을 그리고 다양한 재료를 접하고 표현성을 살림으로서 유아의 자기표현과 창의성의 향상을 이룬다.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료중간에 다소 기법이 들어갔다. 그 이유는 통제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법을 통해 대상유아들이 다양한 매체경험을 통제 받지 않고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능력향상에 대한 변화를 관찰해 보면 전체적으로 49점 정도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별 평균점수의 변화를 보면 활동과정평가 15점, 표현능력평가 23점, 감상능력평가 12점으로 각 하위영역의 점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창의성의 변화를 관찰해 보면 전체적으로 26점 정도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별 평균점수의 변화를 보면 유창성 27점, 독창성 27점, 민감성 24점, 개방성 26점으로 각 하위영역의 점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미술치료를 통하여 유아들의 정서안정과 욕구표출이 된 후에 자기표현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전제로 해석되어야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을 대전광역시의 C어린이집에서 여섯 살 된 유아 50명 가운데 4명으로만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유아에게 일반화시키는 데는 한계를 갖는다. 둘째,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연구자가 실험을 주도하는데 따른 실험자 효과(Experimenter Effect)가 연구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실험자의 효과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본 연구가 이러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자기표현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처음으로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자기표현과 창의성이 낮은 유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민주화 이후 사회복지정책 및 사회복지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사회권을 중심으로

        박정연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의 사회복지의 발전은 시민사회의 확장과 시민사회운동의 확산 등 정치적 환경의 변화가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의 정치적 변화는 1987년 6월 민주화운동으로 시작되었다. 1987년 6월 민주화운동을 통해 한국은 일련의 정치적 변동을 경험하였고, 그 결과 절차적 민주주의를 획득하였다. 정치적 민주화 이후 정치변동은 한국의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그 결과 국가가 국민에게 복지를 제공할 의무를 명시한 9차 개정된 헌법에 의해 국가가 운영되고 있으며, 사회권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987년은 현대정치사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영역에서도 분수령이 되었다. 이러한 절차적 민주주의의 완성을 통해 사회복지 환경이 크게 변화되었음을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주주의 이론과 자본주의 경제 속에 민주주의 원리에 따라 평등한 사회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모순되어 보이는 자본주의 경제시스템, 민주주의 제도, 사회보장체계를 통합한 마셜의 시민권이론을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 심각한 한국에서 사회양극화와 불평등 구조를 해결하려는 사회정책으로 학문적‧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정치적 민주화 이후에 역대 정부 대통령의 취임사, 사회복지관련 국정목표와 방향, 그리고 사회복지관련 법에서 사회권 보장의 문제를 탐구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87년 한국의 정치적 민주화는 사회복지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그 과정에서 형성된 사회복지담론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정치적 민주화 이후 변화된 사회복지정책의 방향과 내용은 무엇인가. 즉 각 정부의 대통령 취임사와 국정목표 및 방향에서 사회권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셋째, 87년 정치적 민주화 이후 개정된 사회복지법의 법률 조항들은 사회권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는가. 사회복지법의 제‧개정 과정에서 변화시킨 동력은 무엇인가. 연구질문을 탐구하기 위하여 정치적 민주화 이후 즉 1988년 노태우 정부로부터 박근혜 정부 2016년까지 30년간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대상은 역대 대통령의 취임사, 역대 정부의 사회복지관련 국정목표 및 방향 그리고 사회복지관련 법률이다. 국민의 사회권 보장 문제를 정책이 선언되는 취임사로부터 국정방향 및 목표와 사회복지정책의 구체적인 실현 형태인 사회복지관련 법에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정책 관련 자료는 사회권 보장의 범주 “정책의 보편적 경향성”, “재원의 국가책임”, “권리의 범위(확대)”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사회복지관련 법은 <사회보장기본법>,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아동복지법>으로 법률 제정의 목적, 기본이념, 권리수준, 권리범위, 급여의 내용, 국가의 책임, 국민의 책임, 비용의 요소를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정치적 민주화 이후 사회권의 대두와 함께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법, 사회복지제도들이 활발하게 제기, 시행되고 있어 외형적으로나 가시적으로 사회권이 확장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87년 민주화와 함께 양적‧질적으로 사회복지가 확대된 것은 시민권적 권리인 사회권이 확장된 진일보한 측면이 있었다. 연구결과로서 집권 정부의 이념적 성향으로 인하여 각 정부별로는 사회권이 선별적으로 축소, 강화되고 있긴 하나 정치적 민주화 이후 전반적으로 사회권과 국가 책임의 강화를 보여주고 있다. 새로 만들어지는 사회복지관련 법들은 단기간에 확장과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역대 정부에서 사회권의 보장은 정부별로 정부의 성격 및 경제성장 논리와 사회복지재원으로 인해 차이가 나타난다. 역대 정부 모두 강조하고 있는 생산적 복지는 시장경제와 복지정책사이의 균형을 강조하고 있지만 사실은 생활보장의 측면보다 자립화 지원에 대한 노동연계복지를 강조하고 있다. 생계급여에 근로조건을 부과하여 복지의존을 핑계로 복지개혁의 반대론자들에 대한 공세를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대중 < 노무현 < 이명박 <박근혜 정부로 올수록 사회보장의 측면보다는 고용과 일이 중심이 되어 사회권을 시장경제에 종속시키는 자활사업의 방향이 민주정부 이후 정부에서는 더 강화되고 있다. 사회복지법 분석의 연구결과는 사회복지법이 법의 정당성, 원칙성보다는 집권 정부의 복지이념에 따라 정책수립의 의도에 맞게, 필요에 따라 끊임없이 개정되었다. 민주정부와 보수정부의 가치와 철학 등이 복지정책의 하부목표로 내려갈수록 영향을 크게 미치고, 세부적인 사회복지법 법률조항 개정에도 영향력은 작동하였다. 2012년 사회보장기본법 개정, 2014년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개정이 그 일례이다. 집권정당의 복지이념은 사회복지정책에 이어 사회복지법 조항 하나하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995년과 2011년의 사회보장기본법의 개정과정에서 법개정 결과는 친보수세력에 의해 집권 정부의 의도대로 개정되었다. 사회복지담론을 형성하고 논쟁을 통해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을 구축했던 내용들이 기본이 되기도 하였지만 행정부 중심의 개정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2000년 국민기초생활법 제정과 아동복지법 개정과정은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개정의 직접적인 동력은 시민사회단체와 사회복지전문가들을 포함한 친복지세력들의 존재와 활약이었다. 국민의 사회적‧복지적 요구들이 친복지전문가들에 의해 정책 제안되고, 사회운동화 되었을 때, 사회권이 보장된 사회복지정책이 결정되어졌다. 친복지세력들은 사회권의 확장성을 위하여, 집권 정부의 복지이념과 무관하게 한국의 상황에 맞는 복지국가에 대한 장기플랜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주의 과정에서 국민들의 집단적인 힘에 의한 사회적 신뢰와 합의를 바탕으로 복지국가의 비전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역대 정부 대통령의 취임사, 사회복지관련 국정목표 및 방향, 그에 따른 사회복지법에서 사회권의 보장 정도와 의미는 개별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에서나 사회복지법 등에서 어떤 일관성을 가지고 사회권이 확대되어 온 과정임을 입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개별 정부 내에서도, 정치적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 30년 동안에도 보편적 복지를 향한 일관성 있는 정책의 흐름을 형성하지 못한 것은 정책에 사회권을 어떻게 담아내야 할지에 대한 가치와 집권 정부의 민주적인 능력 등이 복지이념에 따라 분절되거나 단절되었기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사회권은 삶의 질과 직결된다. 삶의 질에 대해 어는 정도 만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권리가 보장된 것이라 할 수 있는가는 불분명하지만 사회권의 범주가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장수급권과 복지급여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정당하고 합당한 조건과 대우를 받으면서 일하고 공정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경제적 권리, 사회적 위험에 대하여 포괄적인 사회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사회적 권리, 그리고 고유한 풍습과 문화를 포함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누릴 수 있는 문화적 권리 등 다양한 내용이 인간의 기본 권리”로 사회권이 재인식‧재정립 될 필요성이 있었다.

      •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연구

        박정연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시장은 해가 갈수록 그 규모와 숫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 시장 전반을 다룬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총 19년간 진행된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클래식 음악을 제외한 중대형 규모로 진행된 대중음악 페스티벌 총 109개였으며, 이들을 총 11개의 요소별로 분류하였다. 이 조사대상을 바탕으로 크게 두 가지로 형태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분류 요소별 분석이다. 총 109개 페스티벌을 대상으로 9개의 분류요소별로 빈도, 교차분석을 시도하였으며, 19년간 진행된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일반적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2일 이상의 형태로 많이 진행되었으며, 개최시기는 여름과 가을에 집중되어 있었다. 개최지역은 서울지역이 가장 높은 개최율을 나타냈으며, 재원조성형태에 있어서는 민간 형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입장료는 유료 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는 주제별 분석으로 주요음악장르별 분석, 지속기간에 따른 분석, 시기별 구분에 따른 분석 세 가지로 진행되었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음악별 분석에서는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락 중심 페스티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팝 중심 페스티벌,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재즈 페스티벌, 월드뮤직 페스티벌 순으로 나타났다. 각 주요 음악장르에서 나타난 요소별 세부 특징은 상이했다. 지속기간에 따른 분석에서는 10년 이상 장기 지속한 페스티벌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락 중심과 재즈 페스티벌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개최지역에서는 서울지역 외 경기인천, 그 외지역 등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재원조성 형태에서는 민간+공공의 형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입장료의 형태는 유료가 무료보다 조금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구분에 따른 분석에서는 각 시기별로 중심이 되는 음악 장르들이 변화하였는데, 1기는 락 중심과 재즈 페스티벌, 2기는 팝 중심 페스티벌, 3기는 팝 중심과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비율이 높아졌다. 개최시기에서는 1,2,3기 모두 여름과 가을이 높은 비율을 나타냈지만, 3기에 들어서는 페스티벌이 개최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봄에 개최되는 빈도수도 높아짐으로써, 1기와 2기에 비해 페스티벌 개최시기가 다양화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위의 분석들을 통해 19년 동안의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시장의 주요 특징과 흐름 및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도 다양한 관점의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Despite the increase number and size of the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 market over the year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market in gener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for 19 years from 1999, when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were fully activated in Korea, to 2017. The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109 popular music festivals held in a medium to large scale excluding classical music, categorized them with 11 elements. Based on the categorizations, two types of analysis were attempted. The first part is an analysis by classification element. A total of 109 festival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cross tabs analysis according to 9 classification factors. The general features of popular music festivals held for 19 years are as follows.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were mostly held in the form of more than two days, and the festivals were concentrated in summer and fall seasons. Seoul area showed the highest holding rate, the ratio of private type was high in the form of financial resources, and admission fee was higher in paid form. Second, th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ree types - main music genre analysis, duration, and peri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major music genre analysis, the rock-centered festival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followed by pop-centered festivals, electronic music festivals, jazz festivals and world music festivals. The detailed features of each major music genre were different.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duration, I focused on festivals that lasted more than 10 years, and the rock-centered and jazz festivals were higher in percentage. In the holding area, it was evenly distributed in Gyeonggi, Incheon and other areas except Seoul area. In the form of financial resources, the type of private + public was the highest, and the paying type of admiss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fee free.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period, the main music genres changed over years. In the first period, the rock-center and the jazz festival were higher, the second period is the pop-center festival were higher, and the third period is the pop-center and the electronic music festival were higher in ratio. At the time of the festival, both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festival had a high rate of summer and fall, but the number of festivals in the third period’s festival increased and the number of festivals held in spring increased, seen as a transformation. Through the above analysis, I can see the major features, trends and changes for 19 years of the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 market. Based on the current study, I expect that there will be many active research with various perspectives on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 간에 어떠한 차이 및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 간 관계는 어 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G광역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직무만족은 조성연(2011)의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 KCTJS척도로 측정, 교사효능감은 Enochs와 Riggs(1990)가 연구 개발한 교사의 교사효능감 검사 도구(STEBI)를 신혜영(200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소진은 Maslach와 Jackson(1981)이 연구 개발한 도구를 오선균(2011)이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 측정변인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고, 변인의 정규분포 확인을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배경변인별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heffer검증을 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 간 차이가 있었다. 교사효능감은 연령, 결혼여부, 경력, 급여, 근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은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경력, 근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 결혼여부, 근무유형에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이 높으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심리적 소진을 적게 느낄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부분이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가 보육업무에 전념함으로써 직무에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심리적 소진과 같은 부정적 요인이 심화되지 않도록 다각도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박정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성격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여 자기신뢰를 가져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심리적 독립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대학생활에서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여 미래 직업 및 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심리적 독립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30부를 회수하였으며, 그중 무응답이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설문지 8부와 조사하고자 하는 연령에서 벗어난 6부를 제외한 총 416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증, F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따른 성격강점, 진로준비행동, 심리적 독립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성격강점, 진로준비행동, 심리적 독립의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강점은 이공계열보다 인문사회예술계열이 높게 지각한다고 나타났고, 학점이 높을수록성격강점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준비행동 전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가지고,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학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적 독립 전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점이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 학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차이분석 결과에 따라 성별, 계열, 학년, 학점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들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성격강점, 진로준비행동, 심리적 독립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강점이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이 부분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대학생의 진로탐색 및 준비활동에 있어서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이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이 대학생활 중에서 성격강점과 심리적 독립과 같은 내적 요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관 간 연계를 통한 종합적인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to future jobs and society by rais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that makes autonomous decisions with self-trust in which they recognizes and utilizes character streng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niversity students at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K-AVIS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scale.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30 were collected, of which a total of 416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luding 8 questionnaires with unresponsive or insincere responses and 6 copies out of the age to be surveyed. Data analysis uses the SPSS 26.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character strength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Final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strength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character strengths was found that humanities and social arts were perceived higher tha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 higher the credit, the higher the overall character strength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grade. As for the overal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emale students tended to have a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the grade and grade,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As for the total psychological independence,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iliates and grad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differe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results appeared according to gender, affiliate, grade, and credit.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independence partially mediated and affected. Tak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psychological independence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comprehensive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through inter-institutional linkage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develop internal factors such as character strengths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during colleg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