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연구 : 피아노 교육을 중심으로

        김양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피아노 교육에서 초견 능력은 연주와 창작을 비롯한 모든 음악활동의 기반이 되며, 학생들에게 습득시켜야 할 가장 유용한 음악적 능력의 하나이다. 이러한 초견 능력의 향상은 폭 넓은 레퍼토리를 다룰 수 있게 하고, 반주와 앙상블 등의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접할 수 있게 하여 음악에 흥미와 즐거움을 더해 줄 것이다. 오랜 세월동안 수많은 음악 교사들이 초견은 가르쳐서 되는 문제가 아니라 타고나는 능력이라 생각해 왔다. 그러나 초견 능력이 부족한 것은 학생의 타고난 능력의 한계보다는 체계적 훈련과 경험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즉, 선천적인 소질보다는 후천적인 연습에 의해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과거의 선입견을 버리고 초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강조하고, 초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여 그에 따른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를 크게 눈과 손, 기억력 중심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눈 중심의 연습 방법에는 모양 읽기, 앞서서 읽기를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시각의 범위를 넓혀 음표를 단위화해서 읽고, 손보다 앞서서 읽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패턴 읽기의 방법으로는 선율 패턴, 화음 패턴, 리듬 패턴, 조성 패턴에 대해 살펴보았고, 손 중심의 연습 방법에는 눈과 손의 친밀감을 기르고 손끝의 감각을 기르는 연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억력 중심의 방법으로는 단계적인 기억력 증진 방법과 다음에 예상되는 음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견을 잘하기 위해서는 연주하기 전에 악보를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곡의 템포· 조성·박자를 파악하고 선율·화음·리듬 패턴을 살펴본다. 그리고 초견에 방해되는 요소들-임시표, 도약음, 덧줄, 보표 변화, 음역 변화 등을 주의해서 정확하게 연주해야 한다. 또한 악보에서 눈을 떼지 말고 건반을 손의 감각으로 치며, 같은 템포를 유지하여 규칙적이고 끊어지지 않는 리듬과 박자를 계속 느끼며 연주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초견 훈련 방법을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능력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히 적용하면 초견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이처럼 초견 능력 향상은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악이 주는 다양한 즐거움을 느끼게 할 것이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초견 훈련 방법을 통하여 초견 능력을 향상시키고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초견 지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자 한다. The ability of sight-reading becomes the foundation of all musical activities including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and creation of musical pieces, and is one of the most useful musical abilities that students need to lear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sight-reading will make students handle wide range of repertoire, encounter diverse musical experiences, such as accompaniment, and ensemble, and will add amusement and delight for the students. For a long time, numerous music teachers have thought that the ability of sight-reading is an innate ability, not to be taught. However, the reason for insufficient ability of sight-reading is more derived from the lack of systematic training and experiences, rather than from the limitation of student's innate ability. That is, acquired practice, rather than innate talent, can develop the ability of sight-reading.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ability of sight-reading in piano education, without bias in the past, studie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ability, and presented the corresponding teaching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important factors in sight-reading by classifying them into eyes, hands, and memory. As the eye-focused practice method, this study presented shape reading and reading in advance. Here, it is important to broaden the range of vision, read notes, and read a musical score prior to hands. As a pattern reading method, the melody pattern, chord pattern, rhythm pattern, and composition pattern were looked into. Concerning a hands-focused practice method, the fostering of familiarity of eyes and hands, and cultivating the sense of finger tip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Finally, concerning a memory-focused method, this study proposed a step-by-step memory enhancing method, and a method to foster an ability to forecast sound to follow next. To do sight-reading well, students should scrupulously examine a musical score before playing the song. First, tempo, composition, and beat of the concerned song should be identified, and its melody, chord, and rhythm pattern should be looked at. A student needs to be careful about factors disturbing the ability of sight-reading, such as accidental, chape, added line, staff change, and compass change, and should precisely play the song. A student should not deviate their eyes from the musical score, and press the keyboard using the finger's sense, maintain the same tempo, and feel and play the regular and constant rhythm and beat. When the methods to train the ability of sight-reading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dequately appli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student's level and ability,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improving the ability of sight-reading. The improvement of sight-reading can make various musical activities smooth, and help students feel diverse pleasures from music. Indeed, through the sight-reading trai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study stresses to improve the ability of sight-reading and the importance of sight-reading teaching in piano education once more.

      • 단계별 거문고 초견 지도방안 연구 : 예술고등학교 거문고 전공생을 중심으로

        박정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견(初見)은 연주자의 다양한 음악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 음악 활동이다. 연주자에게 필수적인 악보의 해석력과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기초가 되는 능력이며 나아가 연주자들은 초견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흡수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은 음악가들이 활동 범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범세계적 활동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국악기 연주자들이 오선 악보에 대한 초견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국악 특성화 예술고등학교에서는 고등학교 과정부터 전공 교과에 초견 교육을 포함하였으나, 이는 학생의 음악적 성장과 발전이 아닌 작품 혹은 음악 요소 중심 교육을 통한 성공적인 대입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통음악 교육계의 미비한 초견 연구 현실을 반추하고, 공식적인 초견 교육이 시행되는 예술계 고등학교 거문고 전공생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초견 훈련 및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에서 제시한 초견 교육 방법은 그 필요성과 방법 등에 대한 서구 문화권 학자들의 연구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이 중 한국음악의 정체성을 포괄할 수 있는 이론을 간추리고, 이를 국악 초견 교육 현장에 응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악기 초견 교육 관련 선행연구 세 편과 국악 특성화고등학교 2개교의 거문고 초견 교육과정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초견 교육 관련 연구는 피아노 훈련법을 토대로 한 서양 음악적 훈련방안을 제시하였을 뿐, 국악기와 우리 음악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초견 교육내용 및 방법은 전통음악의 정체성이 간과되거나 구전심수(口傳心授)의 도제식 교육 위주로 이루어져 학습 목표와 지도계획 간의 부족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행 국악 초견 교육과정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전통음악과 거문고의 특징을 토대로 서양음악 요소를 결합한 테크닉 훈련방안을 제시하고, 고등학교 거문고 전공생을 위한 3단계의 초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승이라는 명분 아래 강조되어 온 구비전승 식 교수법에서 벗어나 우리 음악의 정체성이 반영된 초견 교육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국악 학습자들의 연계성 있는 음악 학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체계적인 거문고 초견 교육을 통해 거문고 학습에 대한 대중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국악 저변의 확대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는 바이다. Acquiring skilled performance techniques with a creativeness is essential for Korean instrument musicians. As sight-reading skill drastically reduces the time needed to learn to play a new piece and enables musicians to play spontaneously without practice. It is highly complicated process which needs various component skills. However, up until now, there is no thesis of sight reading specialized in geomungo which considers all relevant factors such as Korean Music theory, geomungo technique, sight-reading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and so forth. In the contrast to previous thesis(of sight-reading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ight-reading curriculum designed to help geomungo teachers and students have interest and efficiency in sight-reading thorough effective training method based on fundamental music resources of Korean Music and playing mechanism of geomungo. This study reviews the available research about sight-reading, categorizing the findings under different subheadings defined with Korean Music features. This thesis additionally deals with the various method to improve sight-reading skills and reinterpret several factors on sight-reading proficiency, considering of geomungo playing mechanism and learning environment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geomungo.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e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technique skills of geomungo is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posture and playing technique, rhythm, pitch, and score reading. In teaching plan for geomungo sight-reading, students would classified in three steps and organized with the theory of both Korean and Western Music, focusing on geomungo frets and playing technique. Despite extensive analysis in teaching and training method, curriculum designed for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geomungo have not yet been borne out in this thesis. However, as there is relatively little study on effective sight-reading program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 it might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studies. It is an indisputable fact that sigh-reading research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 needs to first put emphasis on expansion into globalization.

      • 초견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연구 : 피아노 교육을 중심으로

        권수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Nowadays, the musical instrument called a piano has become the most familiar and popular to many people because of the base of various expressions and wide musical activities. Also, it plays a key role in music education because it has various utilities such as solo, accompaniment, and ensemble. In piano performance, the sight-reading can give an easy access to music works and can take part in musical activities such as vocal music accompaniment or chamber music accompaniment. Although the sight-reading is one of area to be required lots of efforts for so long time until learners master the musical ability, most learners give up piano studying without overcoming during this period. In other words, the sight-reading refers to the ability that can be learned as a skill that helps learners handle a wide range of genre and repertories. Although the only simple method that has been said as follows ‘if the accompanimen! t is conducted plentifully, the sight-reading ability advances’ were the whole in the sight-reading learning, in recent years, researchers wh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gradual methods and the importance of the sight-reading are groping methods. In this study, I suggested the effective practical method, instead of the preconception which the sight-reading ability is innate, and emphasized both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sight-reading education to improve the sight-reading ability. And I largely explained the sight-reading by dividing the important factors into ‘sight-based practice’ and ‘memory-based practice’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they are subdivided as follows: the former into ‘shape-reading’, ‘pre-reading’ and ‘pattern-reading’- containing 3 patterns into ‘melody pattern’, ‘tonality pattern’ and ‘rhythm pattern’; and the latter into ‘memory training’, ‘general key-flow pattern’ and ‘musical ! experience accumulation’. I experimented with 10 students who leveled from Czerny 30 to Czerny 40 in this study on how this study can enhance the sight-reading ability of leaners. Before the experiment, I checked the problems first. And I showed the cards that consist of points drawn by melody-pattern applying actual music sheets and let learners connect these points and paint the position of points on the sheet exactly. And then, I found that the sight-reading ability gives an easy access to the sight-reading learning as I mentioned. In conclusion, the systematic and gradual sight-reading guidance has to be enforced from the first stage for the sight-reading ability. When the sight-reading guidance is conducted, I think that teacher's efforts for guidance should be necessary to supply the contents inducing the process of logical thought. 오늘날 피아노라는 악기는 표현의 다양함과 폭넓은 음악활동의 기반이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하고 사랑 받는 악기가 되었다. 또한 독주, 반주 ,앙상블 등 그 용이도가 다양해서 음악교육에서 중요한 부문을 차지한다. 피아노 연주에 있어 초견은 음악작품에의 접근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성악반주나 실내악반주 등의 음악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초견은 성숙된 음악적 능력을 습득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가장 오랜 기간동안 노력을 해야 할 영역 중 하나인데,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이 기간동안 친숙하지 못하고 거부감을 일으켜 피아노학습을 포기하고 만다. 다시 말해, 초견은 학생으로 하여금 폭넓은 장르를 접할 수 있게 돕고 다양한 레퍼토리를 다룰 수 있게끔 하는 하나의 기술로서 후천적 학습에 의해 터득되어질 수 있는 능력이다. 초견 학습에서 ‘반주를 많이 하면 초견 실력이 는다.’는 식의 단편적인 방법들만이 전부였지만, 최근에 와서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방법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초견의 중요성을 깨달은 연구가들이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견 능력이 타고난 것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초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초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연습방법을 연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초견에 있어서의 중요한 요소들을 크게 눈과 손 중심의 연습과 기억력과 예측능력 중심의 연습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눈과 손 중심의 연습방법에는 크게 모양 읽기, 미리 읽기, 패턴 읽기로 나누고 패턴 읽기를 다시 선율적 패턴과 조성 패턴, 그리고 리듬 패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기억력과 예측능력 중심의 연습에는 기억력 훈련과 일반적인 조의 흐름패턴, 음악적 경험 쌓기로 나누어 훈련방법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연구되어진 내용이 얼마나 초견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지 체르니 30번에서 40번 수준의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전의 문제점들을 먼저 살펴본 후, 눈과 손 중심의 연습방법을 중심으로 한 이 실험에서는 실제악보를 적용하여 선율패턴으로 그린 점들을 카드로 만들어 보여주고 이 점들을 연결하고 점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면으로 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훈련들은 초견 학습에 더 쉽고 용이하게 근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초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끝으로 초견 능력을 위해서는 반드시 초기단계부터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초견 지도가 실시되어져야하며, 초견 지도시에 논리적 사고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학습내용을 제공하려는 교사의 지도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 연구 : 피아노 교육을 중심으로

        강성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피아노 교육은 음악교육의 기초로 인식되고 있고 정서 함양을 위한 보편적인 사회교육의 하나로 널리 인식되어 있다. 피아노 교육에서 초견 능력은 음악적 능력을 습득함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고 음악적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데 잠재적인 근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초견 능력이 타고난 것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초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초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연습 방법을 연구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초견에 있어서의 중요한 요소들을 크게 눈 운동과 기억의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했고, 눈과 손 중심의 연습 방법에는 모양 읽기, 앞서서 읽기, 패턴 읽기와 손 연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음표를 하나 하나 읽지 않고 단위화해서 읽고, 손보다 앞서서 읽는 것이다. 기억 중심의 연습 방법으로는 단계적인 기억력 증진 방법과 예측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견 연주를 잘하기 위해서는 연주하기 전에 반드시 악보를 먼저 꼼꼼히 살피면서 곡의 템포·조성·박자를 검토하여 곡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선율·화음·리듬 패턴을 살펴보고, 임시표와 그 밖의 초견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살펴서 연주할 때 정확하게 반응해야 한다. 또한 악보에서 눈을 떼지 말고 건반을 손의 감각에 의존하고, 작은 실수에 반응하지 말며, 곡 중간에 멈추지 말고 박자와 템포 그리고 리듬을 계속 느끼면서 연주한다. 본 논문을 통해 제시한 연습 방법이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능력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된다면 초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Modern piano education is generally recognized as a fundamental part of music education overall, and is also recognized as a means of social education through its inducement of emotional well-being. In this regard, sight-reading ability is not only integral in piano education for bringing about heightened and advanced musical ability, but also through its role in promoting the pleasure of music itself. This thesis argues that sight-reading ability is enhanced through repeated efficient practices, as opposed to innate talent. To that end, this thesis examines two important factors, namely sight-based practice and memory-based practice, and relies in large part on related musical literature. In regards to sight-based practicing, this thes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shape-reading", "reading -ahead", "pattern-reading", and "hand-practic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skill of reading notes by unit and visual recognition of the notes in advance of actual manual playing are emphasized. For memory-based practices, methods of gradual improvement in memory and predictive abilities are suggested. For good sight-playing, it is important that the performer has a thorough grasp of the fundamental components of the particular piece of music by previewing in advance factors such as tempo, tonality, and meter. As well, the performer must be aware of those other components such as melody, chord, pattern of rhythm, and accidentals (which often serve as distracts in sight-reading) so that he may be able to react accordingly. In addition, the performer must keep his eyes on the music at all times, relying on their hands and senses to react accordingly on the keyboard. Also, he should not react to minor errors in his performance, nor stop playing mid-piece, but rather continue playing by absorbing the beat, tempo, and rhythm of the music. If the methods outlined in this thesis are effectively implemented by students with view to their individual skill levels and abilities, improvements in their sight-reading abilities may also be expected.

      • 초견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고보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music plays a crucial role in cultivating aesthetic senses and building up a balanced character, we learn and expand musical activities through vocal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listening, etc. from childhood. In order to learn a specific music instrument, we invest time at least 1~2 years or even up to 5~6 years, but few students have abilities to play immediately when they are given a new score. Sight reading is an ability to play a new score accurately without practice. This ability is, so to speak, a very important element in music because it not only makes it easy to access musical works and but also brings a wide range of repertoires in musical activities. Thus,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sight reading, examined various factors of memory,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required for sight reading, and presented a number of teaching methods through several training methods, difficulties and coping solutions for enhancing sight reading ability. That is, we mentioned a number of points to be careful about including common bad habits in sight play (groping, looking at the keyboard frequently), and suggested training methods for improving sight reading ability like gaining sense through practice using only the eyes and the hands, acquiring the sense of melody, chord and rhythm through practicing basic patterns, and improving memory through practicing memory and prediction skills. Lastly, by making a teaching plan based on the discussion, we proposed specific practice methods and examined the learning effect of the methods. 음악은 인간의 정서함양과 인격조화의 균형을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우리는 어릴때 부터 성악, 국악, 기악, 작곡, 감상 등 음악활동의 범위를 넓혀가며 익히는 것이 좋다. 어느 한 악기를 공부할 경우 짧게는 1~2년, 길게는 5~6년 정도의 시간을 투자하지만 새로운 악보를 제시했을 때 바로 연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학생은 흔하지 않다. 초견능력은 처음 대하는 악보를 연습 없이 정확히 연주해 나가는 것으로 음악활동에 있어서 작품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폭넓은 레퍼토리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견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억력과 시창·청음 등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고, 초견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방법들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통해 여러 가지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다양한 훈련방법으로는 눈과 손 중심의 연습방법을 이용하여 감각을 익히며 기본 패턴 연습으로 선율, 화음, 리듬 등의 기초적인 훈련을 다지도록 하였으며, 기억능력과 예측능력 중심의 연습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암기력 향상을 꾀하도록 하였고, 초견연주에 있어서 범하기 쉬운 나쁜 습관(더듬거리는 것, 건반을 자주 쳐다보는 것) 등에 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것을 활용한 지도안을 통해 구체적인 연습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학습효과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초견 교육의 가능성 모색 및 커리큘럼 개발

        김수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견이란 첫 눈에 악보를 읽고 시각, 청각, 운동감각, 기억과 인지능력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즉각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초견 능력은 연주자가 다양한 작품에 보다 빠르게 친숙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전반적인 음악성을 향상시키고 자신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피아노 전공자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이다. 해외의 음악학교에서는 이러한 초견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고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초견 교육에 대한 필요성조차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해외의 초견 교육 사례를 통해 초견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가능성을 다방면으로 모색한 뒤, 이를 반영한 초견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초견의 원리 및 요인을 살펴보고 그 가치와 중요성을 짚어보았다. 다음으로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교육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현재 초견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해외 학교 중 미국 음악학교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클리블랜드 음악학교 초견 담당교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습 대상의 특성 및 수업 목표, 교수 학습방법의 특징, 초견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다방면으로 논의하였다. 피아노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해서는 대학 전공자 수준의 초견 교재인 『건반 초견』(Keyboard Sight Reading)과 『건반 악기에서의 초견 연주』(Sight Reading at the Keyboard)를 분석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중요시한 요소를 연주 전 자세, 눈의 움직임, 호흡하기, 리듬 읽기, 연결을 위한 운지법, 도약하기, 수평적 읽기와 수직 읽기, 총보 읽기의 여덟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상기 내용을 토대로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학기 과정의 초견 교육 커리큘럼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초견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고 더욱 풍부한 레퍼토리를 쌓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 전문 연주자가 지향해야 할 초견 능력은 단순히 음표를 소리로 빠르게 바꾸는 것을 넘어서, 곡의 음악적 구조와 의미를 더 깊이 파악하는 단계에 도달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연습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이제는 초견을 연주에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과정이 아닌 체계적으로 가르쳐야 할 영역으로 인식해야 하며, 더불어 초견 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커리큘럼 개발 연구에 힘써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초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커리큘럼 개발을 통해 초견 교육의 내용 및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육적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내 음악학교에서 초견 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아동기의 효율적인 피아노 초견력 지도방안

        박낭화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견력은 연주와 창작을 비롯한 모든 음악 활동의 기반이 되며, 가장 유용한 음악적 능력의 하나이다. 이는 테크닉과 음악성 등의 음악적 능력을 습득하는데 있어 불가결한 요소이고, 일생 동한 음악적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잠재적인 근원이 된다. 이와 같이 초견력은 음악교육에서 있어 중요한 기초가 되기 때문에 교사들은 학생들을 위해 초견지도가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기의 효율적인 피아노 초견력 지도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논하였다. 본론에서는 피아노 초견과 교수법에 관한 전문 서적, 피아노 전문 잡지, 문헌 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초견지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초견지도의 다양한 접근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아동기의 피아노 초견력 지도방법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 교재로는 알프레드(Alfred) 초견교재와 베스틴(Bastien) 초견연주곡집을 분석하여 어떠한 구성과 내용으로 초견력의 지도과정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알프레드는 리듬치기, 즉흥연주, 악보읽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베스틴은 선율, 리듬, 조성, 건반 감각 기르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연구되어진 것을 바탕으로 아동기의 초기 학습단계의 초견력 지도방안을 개인 레슨 시의 수업 지도안과 그룹 레슨 시의 수업 지도안을 예로써 제시하였다. 끝으로 초견력 향상을 위해서는 초견지도가 피아노 교육 시작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하며, 지도 시에 아동기의 학생들로 하여금 단계적이고, 논리적 사고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교사의 노력과 함께 다양한 교재와 프로그램 등이 필요로 할 것이다.

      • 피아노 초견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민숙자 단국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7

        피아노는 음악적 표현 가치가 높은 악기이고 독주, 반주, 앙상블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그러므로 피아노 지도는 음악교육에서 중요한 부문을 차지하게 된다. 피아노 지도에 있어 초견능력은 음악작품을 쉽게 집근할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폭 넓게 레퍼토리를 다룰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다. 또한 피아노 작품은 복잡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초견능력은 더욱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초견능력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으로 지도해야 할 것인지의 방향설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연구절차는 초견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행 논문을 동하여 분석하였고 초견교재들을 분석함으로써 초견연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학습내용으로 한 교제를 채택하됐고 마지막으로 그 교재에 준하여 초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을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행논문을 분석해 본 결과 시창과 청음능력, 반주.합주의 경험이 초견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촉각.시각.청각의 감각기능이 초견연주에 기본적인 바탕이된다는 것을 뜻한다. 초견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감각기능 요소에 기초를 두고 씌여진 교재는 Wilhelm Keilmann의 INTRODUCTION TO SIGHT READING이었다. 이 교재를 기본으로 한 지도방법은 우선 눈을 감고 건반을 찾는 연습, 두음 사이의 음정을 인지하는 연습, 전위화음 연습의 터치감각 익히기이며 선율의 윤곽을 음계로 된 그룹, 음정으로 된 그룹, 화음으로 된 그룹, 반복으로 된 그룹으로 보는 것과 곡의 특징적인 리듬패턴을 찾아내어 음악의 이미지를 읽어내는 음악 읽기이다. 또한 조성 변화에 손이 즉시 음직이도록 음계 감각을 느끼게 하는 전조 연습과 연주하고 있는 다음 마디의 악보를 보며 이론과 구조의 특징을 기억해줄 수 었는 기억력 증진 연습이다. 초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첫째, 눈이 악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건반을 감지할 수 있는 손 끝의 촉각능력과 음높이를 귀로 감지할 수 있는 청각능력을 기른다. 둘째, 시각의 범위를 넓혀야 하며 선율의 움직임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볼 수 있는 음악적 시각능력을 기른다 . 셋째, 다양한 리듬형태들을 미리 몸에 익혀서 좋은 초견을 할 수 있도록 능력을 기른다. 피아노 연주에서 기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초견능력을 위의 방법을 통하여 향상시키고 피아노 지도에 었어서 초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Because piano is the musical instrument whose the remrkable musical value, it has various utilities such as solo, accompaniment, and ensemble. Thus, teaching lessons in piano plays a key role in music education . In teaching lessons in piano, the sight-reading ability works as a media which gives an easy access to musical pieces . And it is also a technique that can play repertoires variously. Because of its complexity piano piece requires the sight-readong ability and determining the way how to teach to improve that ability become the criteria for playing a variety of musical types. First of all, the procedures of this paper has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ight-reading ability on the basis of the precceding papers. Then, by analyzing tile published four sight-reading text books comparatively, the text book whose study contents are tile factors affecting the sight-rending performance is selectcd. Filially, tile efficient mettled to improve the sight-reading ability has been sought based on that text book. In the analysis of the precceding papers, I found the fact that sight-sing, music dictation ability, accompaniment and the experiences in chorus are all influencing factors in sight-rending capability, which explains that tile sight, tactile sense, auditory ability are tile basic foundations of the sight-reading performance.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terials on tile sight-rending, INTRODUCTION TO SIGHT READING authored by Wilhelm Keilmann primarily, exclusively aims at tile sensibility-related factors. This book recommends followings: tile practice to find the key with eyes closed, the perceiving exercise to find the intervals, improvement in the touching sensibility for inversion, tile shape of tile melody as tile group of the musical scale, or as the group of intervals, group of harmony, as tile group of repetition, and finally tile musical reading that perceive the musical image by scarching for tile typical rhythmic patterns. Modulation practices that helps feel the musical sense to operate the finger immediately following the variation of the key and the memory practices for memorizing the characterisrics of the theory and structure shown in the next tune while performing the current one are both necessary. In the study to enhance tile sight-reading ability, I found the following. First, improvement of tile auditory ability to perceive the height of the code through the ear and the tactile ability of the finger end for better concentration on the music alone. Second, improvement of the musical sight capability to categorize the variation of the rhythm widening tile sight scope into a single group. Third, facilitating the better sight-reading competence through familiarizing the various types of rhythm in advance. The sight-reading compctence, known as the basec factor in piano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rugh the above mentioned procedures and furtherly I insist on tile importance of sight-reading competence in teaching lessons in pian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