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아교육법 제정 및 시안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양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들의 유아교육법 제정 및 시안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의 유아교육법 제정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관련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유아교육법 시안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관련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유아교육법 제정을 위한 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관련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한 공 사립 유치원과 법인, 민간 어린이집 교사 329명 대상이다. 기관유형을 고려하여 균등비율로 무선 표집 하였으며 1기관에 3명의 교사를 원칙으로 하나 소규모 공립유치원의 경우는 예외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연구자와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과 함께 유아교육법에 시안을 중심으로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문항별 응답 결과에 대해 빈도를 산출하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x^(2)검증을 실시하거나 점수화 하여 t 또는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과반수만이 유아교육법 제정에 대해 알고있으며 대다수가 유교육법 제정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를 원하며 유아교육법 제정 필요성을 인식한다. 또한 어린이집보다는 유치원일 때, 읍·면 지역에 위치 할 때,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유아교육법 제정에 대한 인지도가 높으며, 알 수 있는 기회를 더 원했고 유아교육법 제정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한다. 2. 유아교사는 유아교육법 시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찬성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비용』 관련법규에 대한 찬성도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유아학교의 교직원』, 『유아학교의 운영』, 『유아학교의 총칙』, 『보칙 및 벌칙』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장·교감·교사 자격기준』 관련법규 순으로 높은 찬성도를 나타낸다. 시안의 각 조항 거의 모두에서 어린이집 보다 유치원일 때, 읍·면 지역에 위치할 때, 교사의 연령이 30세 이상일 때,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특히 11년 이상일 때 찬성도가 더 높다. 3. 유아교사는 유아교육법 제정을 위한 방안으로 "유아교사의 인식고취"를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며, 다음으로 "유아교육 행정체제의 일원화" "전문가, 교수 등의 적극적인 노력 유도" 그리고 "일반인들의 인식 도모와 정치권의 협조 유도"가 효과적이라고 인식한다. 어린이집 보다 유치원일 때, 읍·면 지역에 위치할 때, 교사의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그 같은 인식의 경향이 뚜렷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nactment and the draf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enact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nd how is it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lated factors (the type, location, and size of the institution and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of the teacher)? 2. W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draf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nd how is it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lated factors (the type, location, and size of the institution and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of the teacher)? 3. W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effective way for the enact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nd how is it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lated factors (the type, location, and size of the institution and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of the teacher)? 329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 children's houses were the subjects for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composed by the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X^(2), t-test (f-test) to find out how the percep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above-mentioned related factor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Only about half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the enact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but most teachers wanted to know about it and felt that there should be a la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and the desire to know about the enactment were higher and stronger if the teacher wa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stead of a children's house) and if the institution was located in a small town (instead of a city), and if the teachers were better educated than his or her colleagues. 2.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support the draf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nd especially supported part in the draft was "Expense" section, which was followed by (in the order of preference) "Teachers," "Management," "Provisions," "Supplementary and Penal Provisions," and "Qualifications for the Director, Assist ant Director, and Teachers." The preference for each item was higher if the teacher wa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stead of a children's house), if the institution was located in a small town (instead of a city), if the teacher was over 30, and if the Teachers were better educated and has worked longer than his or her colleagues (especially when the teacher had been teaching over 11 years). The teachers felt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successfully enact the law is to increas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law, and chose (in the order of importance) "the unifica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effort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professors," and "effort s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of the legislation and to get help from the politicians." This attitude was stronger if the teacher wa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stead of a a children's house), if the institution was located in a small town (instead of a city), and if the teacher was better educated and has worked longer than his or her colleagues.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욕구에 대한 연구

        김양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거를 개발함에 있어서 가장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거주자들의 주거에 대한 요구들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주거에 대한 요구 및 기대사항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고 다양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거주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들의 주거에 대한 욕구를 분석하는 것은 주택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a$$a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거주자들의 주거에 대한 욕구에 대하여 파악하고 그들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여 다양한 거주자의 요구에 맞게끔 주택계획을 세우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30대이상의 남녀로서 2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내용은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주택 특성, 라이프스타일, 주욕구의 중요도, 주욕구에 의한 주거기능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통계를 이용한 수량화 분석으로 하였다.$$a$$a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a$$a조사 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전통주의적 보수형(11.8%), 물질주의적 신봉건형(24.8%), 현실 동조형(23.7%), 진보주의적 보보스형(29.4%), 현실 비판주의형(10.3%)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a$$a첫째, 전통주의적 보수형은 40~50대 여성이 대부분이며 주부가 가장 많은 유형으로 전통적인 가치를 중요시하며, 자식들을 잘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삶의 목표이다. 사회문제에는 관심이 없으며, 물질적인 것에 많은 가치를 두지 않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주거의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공동을 위한 휴식공간을 매우 선호하며, 가사노동이 편리한 홈 오토메이션이 잘 되어 있는 주거를 원하며, 깔끔하고 무난한 스타일의 실내 마감재를 선호한다.$$a$$a둘째, 물질주의적 신봉건형은 30~40대의 사무직 종사자들이 많은 유형이며 특히 남성들 중 가장 많이 속하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자신의 가족이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요시하고, 보수적인 면이 있으며, 물질주의적인 유형이다. 이 유형은 가족들의 건강을 위한 주거기능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접대실을 주거 내에 배치하길 바라며, 브랜드 아파트를 선호하며, 주거의 경제적인 가치를 고려한다.$$a$$a셋째, 현실 동조형은 30대 사무직, 전문직, 주부가 가장 많다. 이 유형은 뚜렷하게 높은 성향이 별로 없으며, 대세를 따르는 경향이 강하다. 다만 사회나 정치문제에 관심이 많다. 또한 자기개발과 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유형이다. 이 유형은 대부분의 주거에 대한 욕구에서 특별히 강한 욕구는 없었으며, 보편적인 주거기능에 만족하는 편이다. 다른 유형에 비해서 브랜드아파트를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a$$a넷째, 진보주의적 보보스형은 여성들 중 가장 많이 속하는 유형이고 30대 전문직이 가장 많다. 이 유형은 자기개발과 표현에 익숙하며 개인주의적인 면이 있지만 주변 사람들 또한 중요하게 생각한다. 타 문화와 유행에 개방적이며, 인기있는 직업을 원하며, 보수적인 면을 싫어하며 물질적인 유형이다. 이 유형은 거의 모든 주거기능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채광이나 향,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드레스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가족간의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단지내의 운동공간을 선호하며, 주거 내에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길 원하며, 취미실을 매우 선호한다.$$a$$a다섯째, 현실 비판주의형은 30대 사무직 남성이 가장 많은 유형이다. 이 유형은 사회적으로 인정받거나 인기있는 직업에 관심이 없으며 보수적인 사상을 싫어한다. 개인주의적이지 않지만 타인과 함께 하는 것도 싫어하고 특별히 중요하게 여기거나 높게 나타나는 성향이 없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주거기능에 가장 무관심한 스타일이다. 특히 다른 유형에 비해서 가족과의 관계와 관련된 기능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지 않은 유형이며, 브랜드 아파트나 홈 오토메이션, 개성을 표현하거나 심미성을 나타낸 주거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a$$a조사 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주욕구의 중요도는 라이프스타일 유형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주지는 않았으며, 진보적 보보스형만 제외한 나머지 유형들은 모두 생리적 주욕구>안전성?안정성의 주욕구>자아실현의 주욕구>사회$$a$$a적 주욕구>자아존중의 주욕구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진보적 보보스형은 생리적 주욕구>자아실현의 주욕구>안전성?안정성의 주욕구>사회적 주욕구>자아존중의$$a$$a주욕구의 순서로 나타났다.$$a$$a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는 주욕구 및 그에 의한 주거기능이 있는 반면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관계가 없이 어느 유형에나 중요하게 여겨지는 주욕구 및 주거기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거계획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어떠한 일반적인 특성이 있으며 주거에 대한 욕구는 어떠한지 잘 파악하여 거주자들의 요구대로 만족할 수 있게끔 주거의 여러 기능에 대해 연구하여 개발시키는 것이다$$a$$a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hous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accurately analyze the housing needs of householders. Housing needs and expectations changed and diversified over tim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in designing the housing to analyze the housing needs of householders after we grasp their life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housing design plan for satisfying the various householders? needs by grasping their housing needs and analyzing their relationships according to types of lifestyle.$$a$$aDocument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used as method of study.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285 people who were over 30 years old. The questionnaire included assessment of general traits, lifestyle, degree of importance of housing needs and function by housing needs.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windows-based SPSS 11.0 statistic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a$$aThe results were classfied into five different types of lifestyle; traditional conservatives(11.8%), materialistic neo-feudalists(24.8%), realistic follower(23.7%), progressive bobos(29.4%), and realistic critic(10.3%).$$a$$aFirst, the traditional conservative type mostly consisted of 40s-50s female, especially housewife. They value housing functions for safety from natural disasters. They prefer public rest space, home?utomation for household duty. They like simple and neat interior materials.$$a$$aSecond, the materialistic neo-feudalists type mostly consisted of 30s-40s clerical staff, especially male. They value housing functions for the health of their family. And they prefer a reception room, brand apartments and consider the economic value of housing.$$a$$aThird, the realistic follower type mostly consisted of 30s clerical staff, professionals and housewives. They do not have a lot of housing needs specifically. Instead, they a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usual housing functions. Especially, they do not prefer brand apartments.$$a$$aForth, the progressive bobos type mostly consisted of 30s professionals, especially female. They value almost all of the housing functions, especially, daylighting, exposure of the house and privacy. They also value a dressing room and time with their family in the house. And, they prefer a space for exercise in an apartment development and a space to express their personalities in the house.$$a$$aFifth, the realistic critic type mostly consisted of 30s male clerical staff. They are indifferent to almost all of the housing functions. Especially, they do not consider housing functions for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They do not value brand apartments, home-automation and a space for their own taste in the house.$$a$$aDegree of importance of housing needs is almost the same according to types of lifestyle, except for the progressive bobos type. The rest of the types show physiological needs > safety needs > self-actualization needs > belonging needs > esteem needs. Progressive bobos type shows$$a$$aphysiological needs > self-actualization needs > safety needs > belonging needs > esteem needs.$$a$$aAs a result, there are housing needs and housing functions which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lifestyl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eeds and functions that are very important regardless of the lifestyle. Therefor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housing, the first consideration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traits and housing needs according to types of lifestyle, so that the housing functions by housing needs can be developed that satisfy the various householders? needs.$$a$$a

      • 겨우살이 추출물이 냉면육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김양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냉면육수의 저장성을 향상 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냉면육수 제조 시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이를 위하여 겨우살이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아질산염 소거능, DPPH free radical을 측정하였고, 겨우살이 추출물을 0, 0.1, 0.2, 0.3, 0.4% 첨가한 냉면 육수를 제조하여 4℃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pH, 총산, 탁도, 색도, 총균수, 휘발성 염기 질소함량, 그리고 관능검사를 하였다. 겨우살이는 수분이 14.7%, 탄수화물은 32.7%, 조섬유는 20.2%로 나타났고, 조단백질은 15.6%, 조지방은 11.7%, 조회분은 5.1%이었다. 겨우살이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533.37 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64.91 mg% 였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3.0과 4.0 보다는 강산성인 pH 1.2에서 분해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연구내용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85.94%이고 ascorbic acid 전자공여능 95.94%와 비교해 보면 약간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DPPH에 의한 radical 소거활성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을수록 전자공여능 효과도 큰 것으로 보인다. 겨우살이 추출물 첨가량을 0, 0.1, 0.2, 0.3, 0.4 %로 달리하여 제조한 냉면육수를 4℃에서 7일간 저장하여 pH를 측정하였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pH는 5.4, 육수의 pH는 5.7, 동치미 국물의 pH는 3.9이었다. 저장 0일에는 모든 첨가구의 pH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낮아졌다. 특히 0.4% 첨가구가 가장 높은 pH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겨우살이 추출물을 0.3% 이상 첨가할 경우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은 pH를 유지시켜 주었다. 총산의 경우 겨우살이 추출물은 0.02, 육수는 0.02, 동치미 국물은 0.23의 총산을 나타내었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산함량이 다소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와 총산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 동안 0.3%와 0.4% 첨가구가 완만하게 증가하면서 낮은 총산을 유지하였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탁도는 0.66 nm, 육수는 0.85 nm, 동치미 국물은 0.29nm이었다. 저장 0일의 탁도는 겨우살이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냉면 육수의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탁도는 증가하였다. 0.3%와 0.4% 첨가구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저장 5일 이후에는 첨가구간에 차이가 줄어들었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냉면육수 명도(L)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값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적색도, 황색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색이 진하게 되었다.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적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도가 증가하는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황색도의 증가가 느려졌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을 0, 0.1, 0.2, 0.3, 0.4%로 각각 달리한 냉면육수의 총균수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총균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였다. 냉면육수의 부패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염기 질소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였고, 겨우살이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휘발성 염기 질소 함량은 적었으며, 증가하는 폭도 적어 부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0.3%와 0.4% 첨가구의 효과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휘발성 염기 질소 함량의 증가가 억제 되었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냉면육수의 기호도에서 색·향미·맛은 0% 첨가구 보다 0.3% 첨가구를 가장 많이 선호 하였고,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한 첨가구가 0% 첨가구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한 첨가구 중 0.4% 첨가구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기호도 검사 결과 0.3% 첨가구를 가장 선호하였다. 강도특성에서 색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강하게 평가하였다. 맑은 정도는 첨가량에 따라 차이가 겨의 없었고, 냄새는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결과는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 0.3% 첨가구 냄새를 가장 좋아했고, 겨우살이 추출물 첨가량이 0.4% 이상이 되면 너무 강하여 좋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신맛은 전체적으로 겨우살이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받아 냉면에 첨가된 동치미의 신맛을 겨우살이 추출물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칠맛의 경우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한 첨가구가 0% 첨가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아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하면 감칠맛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덕내는 겨우살이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받아 겨우살이 추출물이 군덕내 같은 좋지 않은 냄새를 감소시켜 주었다. 이상과 같이 겨우살이 추출물을 0.3% 수준으로 첨가하면 냉면육수의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외식업체와 냉면육수 산업화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이 학습장애 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양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ttributional training using self-instruction on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n mathematics in intermediate-leve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wenty one in intermediate-level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WISC-III intelligence test, the computation subtest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and the mathematic Tes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attributional training using self-instruction and a control group with the general method.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n mathematics,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used.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tilizing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n mathematics pretest scores as covaria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attribution,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elf-efficacy in mathematic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In conclusion, the attributional training using self-instruction is an effective method improving the attribution and the self-efficacy in mathematics in intermediate-leve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많은 학습장애 학생들은 학업성취와 관련해서 부정적이고 낮은 자아개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려운 과제에 대해서도 성취노력을 적게 하며 자신들이 학업실패를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성패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귀인을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특히 학습장애 학생들에게 이런 동기와 관련된 문제들은 인지 및 초인지적인 문제들과 결합하여 더 큰 문제를 초래한다. 전문가들은 전략과 귀인훈련의 기능적인 결합은 귀인훈련을 통해 성공을 노력이나 전략에 귀인하게 되고 실패를 노력부족과 능숙하지 못한 전략 사용으로 귀인하게 되어 과제에 대한 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라 논하였다. 그러므로 학습장애 학생들은 귀인훈련과 인지전략의 상호작용을 통한 중재가 유익하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을 실시하고, 이러한 훈련이 학생들의 귀인성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남양주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5학년 학습장애 학생 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사칙연산 기능, 기초수학 기능 및 지능지수를 함께 고려하여, 짝짓기 과정을 통해 이들을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게는 동일한 사전검사(귀인 검사, 수학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 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20회기(각 회기 당 50분)의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훈련자료로 20회(각 회기 당 40분)의 전통적인 교수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같은 조건 하에서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처리는 귀인성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장애 학생들의 귀인성향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전통적 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귀인성향 점수를 더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장애 학생들의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전통적 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점수를 더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기교수를 활용한 귀인훈련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에게 바람직한 귀인성향을 갖게 하며, 수학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학능력에 결함이 있는 학습장애 학생의 바람직하지 못한 귀인성향을 교정하고 낮은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효과적인 귀인훈련으로 자기교수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업 장면에서 교사가 학생의 수행 결과에 따른 평가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의 계속적인 과제수행 및 학업향상을 위한 동기유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교육현장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가 수행 결과를 제시할 때는 수행 결과 점수 뿐만 아나라 수행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함께 제공해야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귀인을 하는데 유익할 것이다.

      • 지역별 온도변화와 질환별 사망자수와의 관계연구

        김양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literatures, many results are reported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ture changes and the disease death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schaemic heart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from 1993 to 2012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Data are arranged by weekly intervals. For the analysis,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transition time lag effect is considered specially for the aged ≥65 year deaths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daily difference of temperatur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for the ischaemic heart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In conclusion, the greater change of the daily temperature gives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특성연구

        김양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20세기 후반을 지배하는 현상을 지칭하는 가장 핵심적이고 포괄적인 용어로 후기 산업사회의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새로이 대두되기 시작한 문학과 예술의 해체주의적 현상을 가리키는 문예적 개념이기도 하다. 미술분야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중반까지 지속된 모더니즘의 형식 미학에 반기를 들고 출현하였으며,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 회화는 20세기 후반의 주류를 이루는 미술사조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그러한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특성을 그 이념적 특성과 함께 밝히는데 있으며, 동시에 그 의의를 검토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발생, 모더니즘과의 관계등의 일반적인 특성들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회화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회화적 특성의 근거는 탈구조주의에 바탕을 둔 이념적인 특성들에 있으며 이러한 토대위에 뉴이미지 아트와 페미니즘 미술의 개념 및 대표작가들의 작품을 고찰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이 분석된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특성에 관한 의의 및 비판점을 생각하면서 그 미술사적 위상을 고려하고자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일반적 특성을 논함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은 통일되지 않는 문제이며 이것은 모더니즘에 대한 정의를 필연적으로 포함하는데 모더니즘과의 관계는 크게 단절, 연속, 절충으로 논의된다.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주요한 이념적 특성으로는 탈구조주의에서 거론되는 해체주의 및 다원주의, 절충주의 등이 있으며 절충주의의 영향으로 패스티쉬(혼합모작)라는 독특한 표현양식을 볼 수 있다. 이같은 이념적 특성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 회화가 20세기 후반에 크게 융성 하는데, 그 절정기는 80년대 미술경향인 뉴이미지 아트의 성공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회화적성향은 특정한 개념이나 전략아래 뭉친 것이 아니라 각 나라의 국가적 전통이나 역사, 신화, 개인적 과거의 기억등에 근거해 고유한 이름을 가진다. 미국의 뉴페인팅(New Painting), 독일의 신표현주의(Neo Expretionism), 이태리의 트란스아방가르드(Trans Avantgarde), 프랑스의 자유구상(Figuration Libre)이 그 예이다. 또한 70년대의 페미니즘(Feminism)미술도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와같은 포스트모더니즘 회화는 모더니즘 회화의 식상함으로 부터 다양한 양식과 기법으로 활발하게 행하여 지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진정한 진리와 미적가치에 대한 확실한 방향을 제공하지 못하다는 비판적 시각도 있다. 그러나 전대미문(前代未聞)의 복합성과 다양성으로 예술 범주의 폭을 넓혔으며,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사회비판적 의식이 갖는 역사성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21세기 새로운 시대적 변화를 앞두고 20세기 후반의 주류적 회화의 성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Postmodernism is the most nuclear and general term which designates the ratter part of 20 century's dominating phenomea and represents the spirit of the times of post industry society. The term also indicates the literature and arts deconstrction phenomenon which begins to rise newly after the World War Two. Postmodernism in art rose in revolt against the Aesthtics of form of the mordernism which had been preserved till the middle of 20th century, and positioned itself as the main spirit of art in the late 20th century. One aim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ainting and the other is to examine the meanings of post modernism painting along with the idealistic feature in the view of art history. In studying method, the post modernism's conception, origination and general characters were confirmed at first, and then, on this basic concept, the conception of new image art feminism and the works of representitive artists were discussed. At last, considering the meaning and critical poin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ainting analyzed as above, the status of art history is to be handled. On the discussion of the general characters of postmodernism, because the conception of postmodernism is not united, need it not only the including of the definition of modernism but also the connecting with modernism. Its relation with modernism is discussed as connection, severance, and compromise. The main idealistic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ainting includes deconstructionism which is discussed in Post-structuralism, pluralism, electicism and the unique mode of expression named pastishe influenced by electicism. Postmodernism painting thrives in the post-20th centry on the basis of these ideal characters, and it's peak is the success of the new image art tendency in the 80's. This art tendency is not united to a specific conception or strategy but it has its characters based on the convention, history, myths, of each nation and the memory of each person's past. The examples of it are New painting of America, Neo-expretionism of germony, Trans-Avantgard of Italy, Figuration Libre of France. The 70's feminism art also well reflects the charater of postmodernism painting. Although such postmodernism painting is risen from the banality of modernism's painting and presents new possibility by suggesting a variety of modes and methods, it is criticised that it does not provide the confirm way of genuine of truth and value of beauty. However, its variety and complexity wide the art limits, and the meaning of socially criticising character of postmodernism is important in art history.

      • 서양 전래 동화속의 여성상 연구

        김양희 韓南大學校 社會文化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estern fairy tales to which we are familiar today were actually the folk tales that had been handed down orally with legends or myths, and gradually revised according to the lo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se folk tales were originated from the stories in many tribes or countries and had been well known by being written down. They tend to be regarded as a typical literature for children. The Fairy Tales of Charles Perrault and The Fairy Tales of The Brothers Grimm, for instance, had been collected late in the 17th century and published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and today are edited for kids and read by them. Fairy tales can be the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which children can socialize themselves, practice their actual lives, find their role models and their value system, and apply the models and values to themselves. However, many people, especially adults, who read fairy tales for their kids, are inclined to find fault with the stories because they suppose that children are so laking in judgment that they might accept the messages, particularly the gender stereotypes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tales thoughtlessly, even though the fairy tales have had a favorable influence on children's growth so far. I researche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Fairy Tales of Charles Perrault and The Fairy Tales of The Brothers Grimm, analyzed the gender stereotypes of heroes and heroines in Perrault's stories and the patterns of female characters in those of Grimm, inferred from the feminine imag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those images on modern society. I also analyzed the tales revised by modern feminists as the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stories and suggested the desirable feminine images in modern society. In Western fairy tales, heroines are mostly beautiful, obedient, patient, and passive, while heroes generally take an active attitude on their lives with their own wisdom and courage regardless of their appearance. Thus, as children read the stories, they tend to accept the old-fashioned patriarchism unconsciously and misunderstand their gender role that men are active but women are passive. Specifically, the female characters in fairy tales are extremely divided in two parts : the main characters, the good and beautiful women are mainly the princesses or the queens, while ugly women are always vicious. Furthermore, in most case, the terrible female characters who bother the heros or heroines are stepmothers. Thus, we might wonder if these kinds of stories, which make us misunderstand the viewpoi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an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received just as they are. As many writers recognized these kinds of problems, they started to revise the fairy tales to make kids understand female characters correctly. We call these "feminism fairy tales". We should help children to soundly understand the fairy tales that they like to read, and it is desirable for us to guide them to read the books which contain proper sexual identities and the features of positive step-parents. Furthermore, authors should also write lots of new stories that show kids the equality of both sexes. When children read these kinds of fairy tales with the help of the adults, they can correct the wrong point of view on the sexual identities and the prejudices from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