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대학생활적응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류혜인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대학생활적응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45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진로태도성숙도 검사(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이기학, 1997), 진로결정척도(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 ACDM)에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유형검사(Harren, 1984)를 고향자(1992)가 번안 수정한 척도(정미나, 2011),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 SACQ, Baker, Siryk, 1984)를 현진원(1992)이 번역한 척도(권혜진, 2007)이다. 연구문제에 따라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Cronbach’s ɑ 계수가 산출되었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그리고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상관분석 후 단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상대적 영향력과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3학년이 2학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인문계열과 사회계열 학생들이 진로태도성숙의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의사결정유형, 대학생활적응, 진로태도성숙 간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은 대학생활적응,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정적상관을 나타내며,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부적상관을 나타낸다. 셋째,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합리적 의사결정유형,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결정유형과 진로태도성숙간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의사결정유형의 합리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의사결정유형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부분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대학생활적응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대학생활적응이 진로태도성숙을 촉진시키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decision-making style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data of 457 college students attending as sophomores and juniors was analyzed. The research instrumentsused for this study wer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Gihak Lee, 1997) and the modified criteria (Mina Jeong, 2011) of the Decision-Making TypeTest (Harren, 1984) by Hyangja Ko (1992) which is included in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CDM, and the modified criteria (Hyejin Kwan, 2007)of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Baker, Siryk, 1984) by Jinwon Hyeon (1992). To effectively address the research subject,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Cronbach's ɑcoefficient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relative influence and mediating effect were verified by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fter applying reporter correlat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manifold. First, career attitude maturit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but the junior college student attitudes were higher than the sophomores, the attitud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majors,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y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making styl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Third, the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ereas the intuitive decision-making typ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the rational decision-making and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had a partial mitig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making typ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summary, the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the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and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fluence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an especially signific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making typ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ther words, the decision-making type and the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were important components influencing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a factor that promoted career attitude maturity.

      • 초등 영재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안범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자신의 재능과 적성을 고려하여 올바른 진로를 결정하도록 돕고, 영재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파악하여 영재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지도의 실천 방향과 개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어떠한가 ? 둘째,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 및 교사요인에 따른 초등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차이는 어떠한가 ?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 및 교사요인이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 소재의 6개 지역공동 영재학급 학생 220명과 영재 학급을 표집한 학교를 대상으로 같은 학년의 영재 교육을 받지 않는 일반학생 280명의 학생들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측지가 발견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76부를 제외한 영재학생 `179명, 일반학생 245명을 최종적 연구대상으로 하여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학생의 전체 진로태도성숙도가 일반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태도성숙도 하위 영역별 차이를 분석해 보면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영역에서 초등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요인인 다중지능,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가족요인인 부모의 양육태도, 친구 및 교사요인인 친구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 영역 모두에서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 및 교사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영재학생들은 성취동기와 교사의 지지, 부모의 양육태도의 순으로 진로태도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학생들은 성취동기만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재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이 지능이나 신념, 재능, 성향과 같은 어느 한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기보다는 교사의 지지와 부모의 양육태도와 같이 개인, 학교, 가정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영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의 진로지도가 개인과 학교, 가정이 상호 연계되어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 투입하여 후속 연구를 실시한다면 향후 보다 내실있는 영재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내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바람직한 청소년의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성과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3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의 608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하였고, 분석은 상관분석과, 심리적 독립과 애착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진로태도성숙을 종속변인으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남학생은 아버지로부터의 독립이, 여학생은 어머니로부터의 독립이 진로태도성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중학생은 애착과 독립이 진로태도성숙과 고른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고등학생은 아버지애착 어머니애착이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심리적 독립은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태도적 독립에서만 진로태도성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남학생은 어머니애착과 아버지애착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학생은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년에 따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은 어머니애착이, 고등학생은 어머니애착과 아버지로부터의 독립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고루 영향을 미치나,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어머니와의 애착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계상에서 보여지는 설명력으로 볼 때,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진로태도성숙 전체를 예언하는 절대적 변인이라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성급한 면이 있다.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 이 두 변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과의 관련성과 혼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한국적인 문화 상황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살펴보았지만, 점점 핵가족화 현상에서 오는 가족 상호간의 소외현상을 감안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을 고려함에 있어 현대 가족구조의 변화를 염두에 둔 여러 관련 변인들과의 복합적 관계를 밝혀 봄이 바람직함을 제언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자신의 진로 결정을 앞두고 방황하는 청소년들에게 부모와의 바람직한 관계 속에서 성숙한 진로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작은 길잡이가 되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attachment to par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 desirable career education of adolescents. Survey was conducted to 608 students in 3 middle schools and 3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which regard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as separation variables, career attitude maturity as dependence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consequence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 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independence from father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a significant status in statistics,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the same result in independence from mother.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even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attachment and independence. Bu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in attachment with parents, on the contrary,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was showed in attitudinal independence. Second, for male students,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from par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for female students, more attachment to mother than father influence on that. Thir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achment to mother influence 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from par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for high school students, attachment to mother and independence from father influence on that composit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from parents can attitudinal affect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the most attractive variables is attachment with mother. Judging from the explanation of analysis consequence, however, it's too hasty conclusion that children's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is essential as the variables predi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It's because that there's a possibility of mixture of other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is study,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korean cultural situations is surveyed. In following research, when modern family is getting more alienated because of nuclear family, it is recommendable to survey the complex relationship among other variables relevant changes in modern family structure considering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dolescence. In the end, I hope this research could be a little guidance in giving the basic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for forming the mature career attitude in hopefu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ce who are wandering before making their own career decision.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행동과 정서지능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유은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대사회에서 진로는 개인의 삶에 지속적이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지금까지 진로교육이 대부분 단순한 적성검사나 직업관련 정보제공에 그쳤다면 앞으로는 진로를 인식하고 자신과 직업의 세계를 탐색할 수 있도록 진로 교육과 진로 상담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질 것인지 정하기 위한 과정이기 전에 진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탐색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기 위한 노력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행동과 정서지능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행동,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행동,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 간에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94명이고 측정도구는 부모진로행동(PCBC)척도, 정서지능척도, 진로태도성숙척도 설문지이다. 먼저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Cronbach's α를 산출하고, 성별에 따른 지각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 부모진로행동,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진로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정서지능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감정이입과 정서조절은 남학생이 더 높았으며, 정서지식활용은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지는 않았고,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 중 목적성과 독립성은 남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고 확신성은 여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행동,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 간의 상관관계를 남녀 구분하여 실시하여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부모진로행동,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 간에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여학생은 부모진로행동과 진로태도성숙 간의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남학생과 여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진로행동은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로 인해 각 변인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상관관계가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부모진로행동,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 관계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옥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정상적인 학교교육과 더불어 가정에서의 자녀에 대한 올바른 애착 형성이 자녀들의 자기효능감 내지는 진로태도성숙에 매우 필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진로인식이 싹트는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그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애착에 초점을 맞추어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이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둘째,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부모에 대한 애착검사를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가 개발한 IPPA-R 개정판을 옥정(1998)이 번안 사용한 것을 초등학생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천귀순(2003)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 검사를 위해 김아영, 차정은(1996)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초등학생 대상으로 김재호(2006)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진로태도성숙 검사를 위해서는 Crites(1974)의 CMI 도구를 이기학(1997)이 번역하여 만든 검사도구를 다시 김재호(2006)가 초등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각 측정도구의 구성은 부모애착의 하위변인은 의사소통, 신뢰감, 소외감의 3개의 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의 3개 변인으로, 진로태도성숙은 준비성, 결정성, 확신성, 목적성, 독립성의 5개의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처리 하였다. 애착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애착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과 집단간의 부모애착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은 6학년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38.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을 종합해 보면 부모애착 중에서는 의사소통이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높았고 그 다음은 신뢰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은 6학년 진로태도성숙에 대하여 27.1%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의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설명력을 종합해 보면 부모애착 중에서는 의사소통이 가장 많은 설명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신뢰감, 소외감 순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애착이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애착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대하여 자기효능감에 대한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및 자기효능감 전체가 높게 나타났으며(t=6.36, p< .01) 이는 부모애착이 높은 아동이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부모애착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진로태도성숙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대하여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더 높았으며(t=6.27, p< .01) 이는 부모애착이 높은 아동은 진로 및 직업에 대해 현명한 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 수집능력이 뛰어나고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진로 및 직업이 어느 정도 확실히 정해져 있으며 자신이 주체적으로 진로선택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대한 이해와 부모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자녀의 성숙된 진로발달을 위해서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부모와 자녀의 안정적인 애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담자, 교사, 부모가 자녀에게 해 주어야 할 역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 나아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 향상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It was really important for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hildren to form both ordinary school education and correct attachments for children at home. This affects mostly in elementary school stage raising the career awareness.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heck how the attachment, which elementary students was aware of to parents, takes effect to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hildren focusing on the parents attachment. To check this research target, there are two research issues like below. First, was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tudents taken useful effect for self-efficacy? Second, was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tudents taken useful effect for mature career attitude? To accomplish this research target, we collected data as parents attachment,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rom 429 students of five 6th grad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data from this research was processed for technical statistics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To check the self-efficacy for attachment and mature career attitude, T-test was operated to know the difference amo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according parents attachment in-group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ith putting attachment in independent unit and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subordination unit. To summarize the main result, first, there was no effect for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tudents to self-efficacy 38.7% of 6th grade students. Self-efficacy was affected by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re was effect for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tudents to career attitude maturity. Overall, 27.1% of 6th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ffected by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we learn parents attachment takes effect to self-efficacy and mature career. Third, T-test of self-efficacy was tested to two groups, which have high and low self-efficacy, to check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parents attachment. The more children have parents attachment, the higher all confidence, self control ability, preference of assignment level and self-efficacy are shown (t=6.36, p< .01). This result means the children whose parents attachment was high have high self-efficacy. Fourth, T-tes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tested to two groups, which have high and low mature career attitude, to check the differenc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the parents attachment. The more children have parents attachment, the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hown (t=6.27, p< .01). This research provides data provides the parents role direction to their children based on being aware the important of safe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mature career attitude.

      •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안미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476명(남자 233명, 여자 243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진로지지,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을 측정하였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지각된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 두 변인 모두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나, 진로태도성숙은 자율성지지만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 둘 다 지각된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 두 변인 모두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지각된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지각된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이 다르게 타났다. 남학생은 자율성지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부분 매개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진로지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완전 매개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에 대한 청소년 자녀의 의존과 독립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진로발달을 돕기 위해서 부모와 상담자들이 성차를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arental career-related support and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the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 total of 476 high-school adolesc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perceived parental career-related support,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olescent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ing the relations among the four variables by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for male, there was significant corelations parental career related support,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ere was on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femal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parental career related support,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for both male and female, parental career related support and parental autonomy support explained significantly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ird, for both male and fem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explained significantly career attitude maturity. Finally, for male, only parental autonomy support influenced on career attitude throug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For female, only parental career related support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fully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ese results explained that adolescent dependent and independent for parent played as gender differently. Therefore to assist the career development, parents and counselors should consider gender differences. The implication to counselor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성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빈곤지역이라 할 수 있는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빈곤을 탈피하고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졸업 후 이들이 바람직한 진로선택에 대한 개입과 함께 성숙한 진로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 가족, 사회체계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개인, 가족, 사회체계들이 이들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개인체계를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각 요인들이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청소년들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2,3학년 청소년으로 총 154명이며, 자기 기입식(self-administered)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업성적과 부모의 직업, 학력, 월수입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태도성숙도에 대한 통제변인들과 가족체계, 사회체계와 개인체계의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통제변인 중 학년, 가족체계 중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 사회체계의 교사의 지지, 개인체계인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사회체계 중 부모의 수용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친구와의 기능적 관계가 개인체계인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지지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인체계로 살펴본 자아존중감이 독립변수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와 종속변수인 진로태도성숙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로분석을 통해 각 변인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간접효과보다 직접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즉, 각 체계의 변인들이 자아존중감을 거쳐서 종속변수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 보다 직접적인 영향력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족체계, 사회체계, 개인체계에서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찾고,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진로선택을 위한 사회 복지적 개입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가족체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빈곤 가정을 위한 경제적 자활·자립을 위한 지속적인 직업훈련, 취업알선, 자활근로제공 등을 포함한 경제적인 지원은 필수적이다. 둘째, '자녀양육 교육지원 프로그램'이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사회체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인문계에 비해 진로의 선택이 한정적인 실업계 학생들이 실업계 졸업자의 높은 실업률로 인해 오히려 진로의 결정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전체 중학생의 실업계 진학률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에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청소년들은 여전히 실업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와 함께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세우는 일이 매우 필요하다. 둘째, 상급학교로의 진학과 노동시장 진입에 실패한 청소년들에 대한 개입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90년대 후반이후, 이러한 청소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자활을 위해 설립된 '청소년자활지원관'을 더욱 확대시키고,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체계에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은 매우 필요하다. 학교체계에서 교사 뿐만 아니라 학교사회사업가 혹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학대시켜야 한다. 넷째, 친구와의 기능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학교사회사업가 혹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의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의사소통훈련, 자기주장훈련과 같이 보다 적절한 친구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들과 함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청소년들이 방과 후 또래들과 건전한 여가를 보낼 수 있도록 공간과 프로그램을 마련해 주고,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관심과 흥미에 맞는 동아리를 만들고 스스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개인체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다음과 같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향과 목표를 가진 다양한 접근들이 필요하다. 첫째, 청소년들의 학업능력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이 자녀들의 학업능력의 향상을 위해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학업능력수준을 향상시키고 가정의 교육비 지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되는 '방과후교실' 과 같은 방안들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인지·행동적 접근들이 필요하다. '자기주장훈련, '자기지각 프로그램, '목표의식 프로그램'과 같은 집단프로그램 등은 이 지역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intervene in youth's career determination and help them to possess mature attitude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especially important for us to intervene in the determination of youth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e most typical poverty area in Korea, which help people overcome poverty and live independent and stable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ficly what the determinants of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re. So,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and investigated various influential factors that have effect on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nto 3 systems factors(personal, family and social system) according to the eco-systems perspective. Personal system variance is measured by self-esteem, family system variances by parenting attitude and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ystem variances by teacher support and functional relations with friends. Third, this study looked into relative influences of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personal system variance, self-esteem.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hs of each variables. The study's subject was 154 junior or senior students in high school,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grade, parent's occupation,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of family mad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youths. Second, the factors directly affecting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re of the control variances, grade, self control-control parenting attitude of the family system variances, teacher support of the social system variances, and self-esteem of the personal system variance. Third, the factors positively affecting self-esteem are reception-refusal and self control-control parenting attitude of family system variances and functional relations with friends of the social system variance and self-esteem of the personal system variance. But, teacher support negatively affected self-esteem. Fourth, self-esteem of the personal system variance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 control-control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 support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ifth,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dependent variable is stronger than the indirect effect, the effect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hrough self-esteem of the personal system variabl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in family, social and personal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mplications for family system of youth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re as follows: 1. Youth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were affected by social economic stature of parents. So, to help families to support themselves economic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like vocational training, job placement, self-employment support program as well as to subsidize economic resources. 2. To help parents raise their children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arenting support programs like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and consultation programs that provide counseling for parent's problems. Second, implications for social system of youth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the problems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are and to consider how to solve these problems. Career decisiveness of stud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are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What is more important is the ratio of student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at go on to technical high schools are still high, despite of the general decrease of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So, this study suggested to include a education process that promotes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o systematize synthetical database that can see the general transition from the education market to labor market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2. To help youths who fail to go on to the next stage of education and enter the labor marke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Self-Employment Supporting Organization for Youths" that i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conomic self-support of youths. 3.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intervene in the school system. "The school social work" is an appropriate way of intervening. In school, school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ers who are dispatched from a community organization, cooperate with teachers so that they can help students more effectively. For example, social workers and school social workers can intervene more professionally with students who have problems than a teacher, assess students's problems in cooperations with teachers, and take part in deciding direction of school policies. 4. To support appropriate friendship of youth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group programs in community organizations lik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self-assertive training and to provide space and programs for various club activities. It will be especially useful to help youths organize and manage clubs themselves, because it will promote self-esteem and attitude maturity towar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inally, implications for personal system of youth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re as follows: 1. To promote self-esteem of youths,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ir school grad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s so because many youths who have low school grades have inclination to possess low self-esteem. But, parents that live in permanent-rental apartments have difficulty in paying educational expenses, that is needed to higher the youth's scores.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supplementary education through "after school programs" in community organizations. 2. To promote self-esteem of youth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cognitive and behavior group programs like self-assertiveness training, self-knowledge program, goal consciousness program in community organizations.

      • 고등학생의 부모진로기대 및 부모진로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독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창숙 광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독립이 부모진로기대와 부모진로지지가 어떤 관계를 통하여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심리적독립은 부모진로기대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가정되었으며, 부모진로지지는 심리적 독립과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어, 변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303명(남학생 178명, 여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진로기대척도, 부모진로지지척도, 심리적 독립 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부모진로기대, 부모진로지지, 진로태도성숙에 성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진로기대의 하위요인 중 적성진로기대, 가업진로기대, 경제진로기대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성진로기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일반진로기대, 가업진로기대, 경제진로기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진로지지의 하위요인 중 대화지지와 정보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지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지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모진로기대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심리적 독립의 하위요인별로 측정한 결과 갈등적 독립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적 독립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남학생과 여학생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여학생 집단에서는 갈등적 독립의 조절효과가 전혀 없었으며, 남학생 집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가정한 방향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진로기대를 부정적으로 인식할 경우에 갈등적 독립은 진로태도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부모진로지지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심리적 독립(정서적 독립, 갈등적 독립, 기능적 독립, 태도적 독립)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psychological independence affects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parents’ career support. Psychological independence was assumed to a moderating variable on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arents’ career support was assumed to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with these assumptions. We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ith 303 high school students (178 male students, 125 female one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parents’ career expectation scale, parents’career support scal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cal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hich suggests that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 in parents’ career expectation, parents’ career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s’ career expectation, aptitude career expectation, family business career expectation, and economic career expec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ptitude career expec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 but general career expectation, family business career expectation, and economic career expec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s’ career support, conversa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Convers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information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sychological independenc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nflicting independenc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whe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ing independ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conflicting independence did not significant a moderating effect at all in the female group, but significant a moderating effect in the direction assumed in this study in the male group. Accordingly, when parents’ career expectation was perceived negatively, conflicting indepen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contrary, psychological independence (emotional independence,conflicting independence, functional independence, and attitude independence)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parents’ career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VISA(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모형을 중심으로

        고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진로발달의 태도적인 측면과 행동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자율형 공립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총 415부(남자 179명, 여자 23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진로정체감 지위 척도(Polfeli, et al., 2011)와 진로태도성숙 척도(이기학, 한종철, 1997), 진로준비행동 척도(박완성, 2003)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군집분석과 군집분석의 타당성 평가를 통해 VISA모형을 제안한 Porfeli 등(2011)의 연구 결과에서 미분화 지위를 제외한 성취, 탐색유예, 유예, 유실, 혼미 지위라는 5개의 군집 수가 더욱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진로정체감 지위를 바탕으로 한 군집분석이 유의미하게 이루어졌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과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군집 간에 VISA의 하위차원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판별식이 도출되어 96.1%의 집단이 정확히 분류되었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위의 군집분석 결과는 Porfeli 등(2011)이 제안한 VISA모형의 6개의 진로정체감 지위에서 미분화 지위를 제외한 결과이다. 둘째, 성취, 탐색유예, 유예, 유실, 혼미 지위간의 진로발달의 태도적인 측면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발달의 행동적인 측면인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 결과, 진로태도성숙은 혼미< 유예< 유실< 성취 지위, 혼미< 탐색유예< 성취 지위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은 혼미< 유예< 탐색유예 및 성취 지위, 혼미< 유실< 탐색유예 및 성취 지위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진로정체감 지위는 개인의 올바른 진로선택과 결정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태도 수준은 성취, 유실, 탐색유예, 유예, 혼미 지위 순이었으며, 개인에게 맞는 진로분야를 결정하기 위한 탐색과 선택한 진로에 대한 준비활동을 나타내는 행동 수준은 성취, 탐색유예, 유실, 유예, 혼미 지위 순이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가 어떻게 구분되는 지 살펴보고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진로발달(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itudinal and behavioral aspects of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career identity statu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career identity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total study subjects are 413 high school students composed of 179 male students(43.2%) and 235 female students(56.8%).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the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disper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measurement of this study, the career identity status scale (Porfeli, Lee, Vondracek, & Weigold, 2011),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Lee Ki-hak, Han Jong-chul, 1997)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Park Wan-seong, 2003) are u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ings. First, in this study, the number of clusters of achievement, searching moratorium, foreclosed and diffused statuses excluding undifferentiated status in the results of Porfeli et al.(2011) is more appropriat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luster analysis based on career identity status was meaningful,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ower dimension of VISA among the five clusters and derived significant discriminant equation classified correctly 96.1% of subject of study. The results of the above cluster analysis are the result of excluding undifferentiated status from the six career identity status of the VISA model proposed by Porfeli et al.(2011).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achievement, searching moratorium, moratorium, foreclosed, diffused statuses. As a result of the post test,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diffused< moratorium< foreclosed< Achievement status, diffused< searching moratorium< Achievement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of diffused< moratorium< searching moratorium and achievement status, diffused< foreclosed< searching moratorium and achievement status. In the present study, the degree of attitude to decide the right career choice and decision of individuals of career identity status was the order of achievement, foreclosed, searching moratorium, moratorium, diffused status. The level of behavior to indicate exploration to determine career field to suit individual and preparation activity for the selected career of career identity status was in order of achievement, searching moratorium, foreclosed, moratorium, diffused statu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n importance i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career identity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 가족체계와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 자기제시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곽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For a person, career development is one of the processes to establish his identity and realize his important value. Among main causes which influence one's career development in this variable society, the research to find how the family system which tries to sustain its value and role and family's interaction which affect its members and get affected by his members influence one's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done. And also I tried to find the mediated effects between self-presentation motivation which is the motivation to show his positive image to oth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which shows his confidenc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family system which high school students are conscious of exercise regardful influence on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mediated by self-presentation motivation? 2. Does the family system which high school students are conscious of exercise regardful influence on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mediated b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 compiled data on 338 participants who ar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Kyung-ki and Chung-chung. The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7.0.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Ⅲ (FACES Ⅲ),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cale(SPM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DMSES-SF),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were as follows: First, meaningful association is found between family syst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meaningful association is found between family system and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family cohesion is more associated with self-presentation motivated than family adaptability. Third, it is found that self-presentation motivation is part of mediated cau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meaningful association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amily adaptability is more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family cohesion. Fifth, it i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part of mediated causes through checking mediated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explains that family system gives direct influnc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omprises more part in it.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family system is main factor which upgrade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compris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lso self-presentation motivation is associated with family system and this let find the association of family system and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elf-presentation motivation researched as it is related with self-presentation expectation was a concept used when we talk about social fear and anxiety toward people. I could check out that expectation of society and others and desire to gain recognition of others give positive influence on one's career maturity Second, it i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part of mediated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research conducted for high school students got same results with the researches conducted for elementary, middle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so this indicates that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is main factor mediated by family syst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it was found in career consulting that cohesion of family members and family system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ystem,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students career consulting, it is found that consulting with parents increases family's cohesion and bond and smooth communication in making family's rules through students' participation based on autonomy and rationality help students to prepar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and reach process of maturity. 한 개인에게 있어서 진로발달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가고 자신의 중요한 가치를 실현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해지는 현대의 사회에서 한 개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한 개인이 살아가면서 장기간 영향을 미치고 받는 가족의 상호작용과 여러 가지 변화 속에서 항상성을 유지하고 적응하려는 가족체계가 개인의 진로태도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연구하였다. 또한 한국과 같은 타인의 시선과 평판을 의식하는 사회에서 최근에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동기인 자기제시동기와 개인이 진로결정과 관련된 특정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인지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인이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는 자기제시동기를 매개로 진로태도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는 진로결정 효능 감 을 매개로 진로태도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 위치한 4개의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와 충청도에 위치한 1개의 전문 계 고등학교에서 총 338부의 자료를 SPSS 1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검사 도구는 Olson, Portner와 Lavee(1985)가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Ⅲ(FACESⅢ)를 전귀연․ 최보가(1993)가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Leary와 Kowalski (1995)의 자기제시이론을 근거하여 김남재(1998)가 타당 화 작업을 거쳐서 제작한 자기제시동기척도(Self-presentation motivation scale:SPMS),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단축 형( CDMSES-SF)를 수정하여 이 은경 (2001)이 타당 화 시킨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 척도, 이기학(1997)이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한 척도진로태도 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체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족체계의 하위요인들과 진로태도성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가족체계와 자기제시동기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가족체계가 자기제시동기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가족체계의 두 요인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 중에서 가족 응집성이 자기제시동기와 더 높은 상관을 보인다. 셋째, 가족체계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체계가 진로태도성숙을 직접적으로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만 자기제시동기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설명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볼 때 가족체계가 자기제시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할 때 진로태도성숙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가족체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볼 때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다. 가족체계의 두 요인을 비교했을 때 가족 적응성이 가족 응집성보다 더 높은 상관을 이룬다. 다섯째, 가족체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 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분매개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가족체계가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더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 을 매개로 하여 설명력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본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체계는 자기제시동기를 높이거나 진로태도성숙을 이루는 요인이 됨을 밝혔다.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자기제시동기가 가족체계와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가족체계와 자기제시동기의 연관성을 밝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기제시기대와 관련되어서 연구되었던 자기 제시 동기 는 사회불안과 대인불안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개념인데 진로결정에서 혼자만의 선택이 아닌 사회의 기대나 주변사람들의 시선, 타인에 대한 인정욕구가 개인의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가족체계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 감 의 부분매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나 중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들과 같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고등학생의 시기에도 진로결정 효능감이 가족체계와 진로태도성숙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많은 설명력을 가진 변인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가족체계와 자기제시동기,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통해 진로상담에서 가족구성원의 친밀함과 체계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을 이루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는 시사점을 가진다. 청소년의 진로상담에서도 부모 상담 을 통해 가족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높이며 가족의 규칙을 정하는 부분에 있어서 자율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참여시키는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청소년이 진로를 준비하고 결정하는 성숙의 과정에 이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