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 연구

        양혜진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775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는 4개의 서로 다른 음악적 형식과 악기 편성으로 이루어진 음악으로서,이는 피터 쉐퍼(Peter Shaffer)의 희곡 Equus를 재료로 하여 극에서 가져온 인물과 주제의 상징과 그에 대한 특징 등을 다양한 음악 어법과 형식을 통해 형상화한 작품이다.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의 네 악곡 즉, “알런과 다이사트”, “알런의 독백”, “알런과 질”, 마지막으로 “Equus !”는 희곡 Equus의 극적 구조와 주제의식 , 인물의 성격 등을 작곡자의 입장에서 다시 구성하여 다루고자 하는 메시지를 네 개의 타이틀로 만든 것이다. 또 음악적인 면에 있어서 이러한 문학적 재료와 이미지는 그 표현의 소재가 되었다. 따라서 논자는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와 피터 쉐퍼의 희곡 Equus의 극적구성과 음악적 구성의 상호 관련성을 다루고, 희곡의 문학적 상징이 The Music for Equus에서 어떻게 음악적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논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점을 토대로 하여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를 분석하였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 목적과 그 방법론이 제시되었고, 본론에서는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와 피터 쉐퍼의 희곡 Equus의 상호 관련성과 음악적 상징을 논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의 네 악곡에 대한 분석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논자는 무엇보다도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가 단순히 희곡의 분위기나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한 음악이 아니라 작곡자 나름의 구성을 통해 창작된 음악이라는 것을 중요하게 다루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고는 음악이 문학적 재료를 ‘얼마나’ 충실히 묘사하는가 보다는 음악 그 자체로서 어떻게 구성되고 짜여져 있는 지에 초점을 두어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가 갖는 독립된 음악으로서의 의미를 밝히는데 그 비중을 두고 있음을 언급해둔다. Yang, Hye-jin’s The Music for Equus is composed of four pieces. Each piece has a unique instrumentaion, its musical language, characteristics, techniques, the structure and etc. The Music for Equus is based on Peter Shaffer’s drama, Equus. The composer as well as the writer of this paper wrote her music employing the materials of the symbols and the characters of this drama. The characters, the plot, conflicts, and themes of this drama were analyzed and redefined through four pieces of music: Alan and Dysart, Alan’s monologue, Alan and Jill and Equus !. The title of each music refers to themes of the composition. In this composition, the symbols from the literary work are presented as subjective material of musical expression.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ma and the musical composition, the way literary symbols of the drama were interpreted into musical structure. It is clear that The Music for Equus is not just background music but a musical composition based on the writer’s own analysis and definition on the drama. This dissertation aims to clarify ‘how’ the composer redefined the drama and interpreted literary symbols into music. The purpose and focus of this dissertation were stated in the introduction. The main body consist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rama Equus and musical composition, The Music for Equus, literary symbols of The Music for Equus in the musical composition and analysis of each chapter. The Music for Equus is not just a musical version of the drama but rather a unique creation, based on the composer’s own definition of the drama.

      • 어린이 중국어 문화란 분석 및 언어문화 통합교육 지도방안 연구 : E. Okssar 문화소 이론을 중심으로

        楊惠珍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小学汉语教材的文化内容分析与语言-文化相结合的教学方案研究 以往的汉语教学目标主要在于培养学习者的言语交际能力。如今,其教学目标转为培养跨文化交际能力。语言是文化的载体,为了顺利进行言语交际,不仅需要语言知识,还需要文化知识。因此,汉语学习者不但要学习中国的语言,同时也要学习中国的文化。 小学生也不例外。但是通过对韩国现行小学汉语教材的分析发现:其教学内容侧重于语言技能方面,且教材中的文化因素并未与语言内容有机结合。为了提高小学生的跨文化交际能力,文化因素的选择是至关重要的。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如何在小学汉语教学中培养跨文化交际能力。 本文的主要研究内容如下 : 第一章、阐述研究目的、研究范围、研究方法并考察以往的研究。 第二章、阐述文化的基本定义、文化教学的目标、范围及具体项目。 并且对小学生的特性与总体情况,进行心理学、生理学、认知学角度的研究。 第三章、对汉语教材的文化内容部分进行了分析。且通过考察教材各单元的主题与文化的连贯性来揭示旨在提高小学生交际能力的文化项目的必要性。 第四章、为了语言和文化相结合的教学,把选定的文化项目按 E. Okssar 文化素理论分为语言因素和非语言因素。考察将文化因素分为知识文化和交际文化,选定了符合跨文化交际能力的中国文化内容。选定的交际文化项目有:打招呼、称呼、感谢、肯定和否定、客气、礼物和禁止、数字和谐音、姓名、色彩等。 第五章、针对汉语教材的文化教学问题,重新设计文化与语言相结合的教学方案。 通过本研究可得出如下结论: 第一、小学教材中的文化类型包括精神文化、物质文化、行为文化。精神文化占24%、 物质文化占47%、 行为文化占29%。小学生的认知能力比较差、因此需要按年龄段及认知能力去安排合适的文化类型。 第二、教材中的文化内容侧重于知识文化,约占85%,而交际文化占15%。为了提高学习者的跨文化交际能力,则需要先介绍交际文化、然后介绍知识文化。使学习者更加自主地参与到语言文化课上去。 第三、交际文化包括语言因素和非语言因素。人们语言交际时,使用的非语言交际大约占70%以上、语言交际占30%。 为了顺利进行言语交际、整个文化的因素都应融合到语言学习的内容中去。 第四、教材内文化与语言相关的课文大约占30%,没有关联的课文占70%。分析结果表明:为了解决语言和文化介绍方式,需要语言与文化相结合的教学方案。 本论文的意义在于 : 第一、选择了符合小学生的文化教学内容,并且把文化因素分为语言因素和非语言因素,这有利于培养学习者的跨文化交际能力。 第二、以往的文化教学只停留在阅读知识文化的层次上。而本文重新设计的课文可使学习者掌握听、说、读、写等四个语言技能的同时,也可学到交际文化的内容、并且促使他们主动地参与到汉语文化课的课堂讨论中去。

      • 중,장년 여성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 정서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초록 중,장년 여성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 정서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태권도전공 양혜진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장년 여성의 운동정서를 분석하고, 운동정서와 심리적 행복감,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소재에 여가스포츠 활동을 하는 중장년 여성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결과 운동정서 신뢰도는 .812∼.948로, 심리적 행복감은 .908∼.943, 생활만족도는 .859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연령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45세 이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전문학사이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기타직업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일수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주 5일 이상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기간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5년 이상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시작하게 된 계기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기타항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종목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줄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정서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재미, 활력, 정화, 성취가 쾌락적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정화, 성취가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성취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재미, 긍지, 정화, 성취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재미, 성취가 생활만족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정년 여성의 여가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정서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제공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 보다 많은 중장년 여성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방안이 필요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만족스런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pursues to analyze the exercise emotion of middle-aged women with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identify how exercise emotion can affec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This research selected its subjects from middle-aged women doing leisure sports activities in Seoul and Kyunggi areas and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used SPSS WIN ver18.0 statistical program for our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hows exercise emotion reliability is .812~.948, psychological happiness is .908~ .943, and satisfaction in life is .859.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sses,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are 45 years old or younger.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have bachelor’s or more advanced degrees. In terms of career,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have miscellaneous job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participate 5 days a week or more often. In terms of how long they were engaged in those activitie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have continued their activities for 5 years or more. In terms of their reason why they started,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subject groups who have miscellaneous causes. In terms of the types of their activitie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tatisticall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subject groups who did jump lope. Second, studying how exercise emotion affects psychological happiness shows interest, vitality, catharsis,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pleasant delight significantly. Interest, catharsis,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self-realization significantly. Interest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immersion significantly. Interest, pride, catharsis,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confidence significantly. Third, studying how exercise emotion affects satisfaction in life shows Interest and achievement seems to affect significantly satisfaction in life. When we put together all these results, we can recognize that exercise emotion of middle-aged women with sports activities affects positively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o, we need to provide them with various sports activities in order that they can make their choices of activities more diversely. We need to find the way we can help them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and lead a more satisfying life.

      • 폐경 여부에 따른 여성의 소화불량 증상, 식사 및 건강관련 요인 연구 : 폐경 여부에 따른 여성의 소화불량 증상, 식사 및 건강관련 요인 연구

        양혜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compared the aspects of dyspepsia symptoms, stress, quality of life, eating habits, and nutrients intake of women by menopausal status.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related factors and dyspepsia severity was also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8 women with degree of moderate or above on dyspepsia symptoms who is feels symptoms but does not to interfere with normal daily activities. We classified subjects by menopausal status; pre-(n = 82), post-(n = 46). This study investigated Nepean Dyspepsia Index,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egree of stress by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 eating habits, nutrients intakes. Postmenopausal women had more severe symptoms of dyspepsia than premenopausal women (70.0±18.8, 82.6±27.4, p = 0.000). Dietary fiber intake of postmenopausal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premenopausal women (17.3±0.6, 25.2±0.9, p = <.000). Fat intake of premenopausal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postmenopausal women (59.0±1.2, 52.2±1.6,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eating habi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ealth related factors such as stress (2.1±0.8, 2.1±0.7, p = 0.987), quality of life (18.1±11.4, 18.3±12.6, p = 0.950).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yspepsia severity in pre-/post-menopausal wome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yspepsia severity in pre-/post-menopausal women. Women had different aspects of dyspepsia symptoms, nutrient intake status, and eating habits by menopausal status. A comparative intervention on menopause status should be considered in women with dyspepsia symptom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소화불량 증상을 가진 성인 여성 128명을 폐경 전후로 분류하여 폐경 전 그룹 (Pre-menopause)과 폐경 후 그룹 (Post-menopause)의 소화불량 증상과 스트레스, 삶의 질, 식습관, 영양소 섭취 상태를 비교하였다. 더불어 소화불량 증상과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 같은 건강관련 요인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폐경 전 여성의 pepsinogen Ⅰ은 52.8±21.7 ng/mL이고 pepsinogen 비는 3.9±1.6 ng/mL이다. 폐경 후 여성의 여성의 pepsinogen Ⅰ은 66.8±37.6 ng/mL이고 pepsinogen 비는 3.4±1.3 ng/mL이다. 2) 폐경 전 여성의 지방 섭취량은 59.0±1.2 g이고, 에너지 섭취 대비 지방 섭취 비율은 29.4±5.2 %이다. 폐경 후 지방 섭취량 52.2±1.6 g과 에너지 섭취 대비 지방 섭취 비율 25.7±6.1 %으로 폐경 전 여성 지방 섭취량 및 지방 섭취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3) 폐경 전 여성은 폐경 후 여성 보다 1일 식사 횟수 및 식사 시간이 불규칙한 대상자 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4) 폐경 후 여성은 폐경 전 여성보다 전반적인 소화불량 증상 정도가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70.0±18.8 점, 82.6±27.4 점, p = 0.003). 그 중 가슴 쓰림, 상복부 경련, 가슴 통증, 상복부 팽만감 증상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5) 폐경 후 여성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25.2±0.9 g, 폐경 전 여성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17.3±0.6 g으로 폐경 후 그룹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많았다 (p = <.000). 특히, 폐경 후 여성의 KDRIs 대비 식이섬유 섭취 비율은 100% 이상 이였다. 6) 폐경 전 그룹의 BSEPSI-K는 2.1±0.8 점, 폐경 후 그룹의 BSEPSI- K는 2.21±0.7 점이고, 폐경 전 그룹의 GARS-scale 26.6±14.6 점, 폐경 후 그룹의 GARS-scale 22.9±13.0 점으로 스트레스 총점에 대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 모두 중등도 스트레스로 평가되었다. 또한, 삶의 질을 측정한 지표의 총점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8.1±11.4 점, 18.3±12.6 점, p = 0.950. 7) 폐경 전 여성에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위장관 증상이 증가했고 (R2 =0.087, p = 0.028; R2 = 2.987, p = 0.001), 삶의 질이 낮아질수록 위장관 증상이 증가했다 (R2 = 0.221, p = <.000). 8) 폐경 후 여성에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위장관 증상이 증가했고 (R2 = 0.150, p = 0.030; R2 = 0.217, p = 0.005), 삶의 질이 낮아질수록 위장관 증상이 증가했다 (R2 = 0.438, p = <.000).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화불량 증상을 가진 여성의 폐경 유무에 따른 소화불량 증상 정도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 상태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트레스와 삶의 질 총점에 관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소화불량 증상과 건강관련 인자들 간의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폐경 전 그룹과 폐경 후 그룹의 소화불량 증상 관리를 위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여성의 폐경 여부에 따른 소화불량 증상 양상과 식사 및 건강관련 요인의 차이는 여성의 소화불량 증상 관리에 있어 참고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여성의 폐경 유무에 따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소병원 응급실 전자의무기록을 통한 간호업무 분석

        양혜진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소병원 응급실 전자의무기록을 통한 간호업무 분석 양혜진 지도교수: 김원경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응급실의 전자의무기록을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가 환자에게 제공된 간호업무의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4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였다. 대상은 G광역시 소재 202병상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가 상주하는 지역응급의료기관 응급실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은 환자 5,905명의 전 자의무기록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과 간호업무 기록은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분 석하였고, 간호업무 기록은 신현식과 김지수(2015)가 개발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 업무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의 중증도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으로 평균 연령은 38.69±19.30세이고, 성별은 남자가 2,531명(42.9%), 여자가 3,374명(57.1%)이었다. 2. 임상적 특성으로 내원 환자의 주 호소는 복통이 1,073명(18.2%)로 가장 많았고, 오심과 구토 709명(12.0%), 기침 가래 414명(7.0%), 고열 336명(5.7%), 열상 308 명(5.2%) 순으로 많았다. KTAS 분류는 1∼3단계가 548명(9.3%) 4단계가 2,996 명(50.7%)로 가장 많았고, 5단계가 2,361명(40.0%)이었다. 내원경로는 직접방문이 5,845명(99.0%)로 대부분이었고, 협진부서는 내과 65명(39.6%), 외과 74명(45.1%), 신경과 22명(13.4%)이었다. 협진은 한 번도 하지 않은 경우가 5,738명(97.2%)로 대부분이었고, 처치결과로는 퇴원이 5,529명(93.6%)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체류 시간은 6시간 미만이 5,895명(99.8%)로 대부분이었고, 내원시간은 7시∼15시 1,284명(21.7%), 15∼22시 2,671명(45.2%), 22∼07시 1,950명(33.0%)이었다. 응급실 월별 내원건수는 1월이 1,244명(21.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월 991명 (16.9%), 5월 985명(16.8%) 순이었다. 3. 전자의무기록에 따른 간호업무는 기본간호가 50,060건(54.1%), 응급시술 24.571건 (26.5%), 교육 11,472건(12.4%), 협동 6,219건(6.7%), 상담이 254건(0.3%)이었다. 4. 중증도별 간호업무는 기본간호 영역에서 ‘대상자 문제기록 및 건강자료 수집’이 총 13,747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KTAS 4단계가 7,126건(51.8%)으로 가장 많 았다. 응급시술 영역에서 중증도분류를 제외한 ‘투약, 치료 후 환자반응평가’가 총 5,315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KTAS 5단계가 2,900건(54.6%)로 가장 많았 다. 협동 영역에서 ‘각종 양식 작성’이 총 5,953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KTAS 4단계가 3,022건(50.8%)로 가장 많았다. 교육 영역에서 ‘응급실 퇴원 환자 교육’ 이 총 5,768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KTAS 4단계가 2,959건(51.3%)로 가장 많 았으며 상담 영역은 ‘환자, 가족의 정서적 지지’가 총 205건으로 가장 많았고 KTAS 3단계가 85건(41.5%)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병원 응급실 내원환자의 주 호소는 복통이 가장 많았고 KTAS 4단계 환자가 50.7%를 차지했으며, 응급시술보다는 기본간호업무가 많았으 며, 15∼22시에 내원하는 환자가 45.2%였다. 그로 인한 응급실 내원 시 중증도가 낮 은 대상자에게 부과되는 응급실 본인부담금, 비급여 관리료 등 항목을 설명하게 되 는 간호요구도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과정에 따른 간호진단하에 간호 를 계획하고 수행, 평가하는 기록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에 응급의료체계내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을 재 검토하고, 실제로 제공된 간호내용과 간호제공 후 기록누락의 차이는 어떠한지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줄넘기선수들의 발달요인과 동인 탐색

        양혜진 경희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al factors of jump rope exercise using Delphi technique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s. The expert group that was form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for the achievement of its research goals consisted of 28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as national team members among adolescents, which is the main age group that participates in jump rope exercise. Delphi research results showed 5 factors for psychological development, 6 factors for physical development, 4 factors for participation motives, and 5 factors for persistence motives and analysis results gain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e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development was analyzed as positive psychology, negative psychology, social skill development, psychological skill development, and mental growth. Analysis results of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y showed that importance levels appeared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a sense of vitality,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tress relief and with negative psychology, they appeared in the order of stress and pressure, and with sociality development, they appeared in the order of a cooperative spirit, leadership, the power of unity, and a sense of closeness. With psychological technique development, emotion control was analyzed to have the most weighted value followed by a challenging spirit, imagery, positive thinking, routines, goal setting, condition adjustments, mentality, talking in monologue, and attention concentration, in that order, and with mental growth, weighted value was placed on patience, self-esteem, self-confidence, thoughtfulness, creativity,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at order. Physical development was analyzed to be sensory development, muscle development, body type development,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and self-learning. Sensory development appeared in the order of rhythmic senses, a sense of balance, and a sense of movement and muscular development appeared in the order of lower body development, muscle mass increase, thigh muscles, metabolism, forearm muscles, and calf muscles. Body type development appeared in the order of height growth, weight loss, body shape changes, and physical alignment while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was analyzed to be in the order of muscle strength improvement, endurance, agility, jumping ability,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physical ability. Self-learning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principle review, external correction, repeated practice, attribution activities, and learning diversity. Participation motives were analyzed as recommendations from others, internal motives, and external motives and recommendations from others were analyzed to be in the order of recommendations from leaders,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parents of students while internal motives were analyzed to be in the order of health, longing, determination, and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and external motives were in the order of license acquisition, weight loss, school evaluations, employment goals, height growth, and program connections. Persistence motives were analyzed to be autonomy, relationships, competence, internal motives, and external motives. For autonomy, tournament participation choices had the greatest weighted value followed by time selection and product selection. Relationships appeared in the order of expandability, trust, bonding, a sense of belonging, social support, a spirit of unity, parental recognition, communication, and priestly relations while competence was analyzed to be in the order of technique improvement, a competitive spirit, self-satisfaction, program development, a challenging spirit, recognition of effort, fitness improvement, ambition, self-esteem,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confidence. Also, analysis of the importance value of internal motives showed results in the order of fun, stress relief, enjoyment, attachment, and inertial acts while external motives appeared in the order of expertise and preparations for employ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ed. First, verif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factors through jump rope exercise show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leaders who can maximize the exercise ability effects of athletes. Second, the diversity of jump rope specializing athletes should be expanded to lead and guide the event of jump rope, which is at the starting point of being a professional game event, in international society. Third, policies and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expand the base of jump rope as a professional game and as a sport for all and fourth,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ultiv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 jump rope athletes and lead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ring positive developments to the event of jump rope.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proposals are made. First, these research resul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testimonies of research participants so associated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Second, observ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ositive effects wer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factors. At this, more in-depth follow-up studies on developmental factors are needed.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jump rope athletes so differences may be shown for participants of jump rope as a sport for all. At thi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participants of jump rope as a sport for all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 be compared and studi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vent of jump rope. Fourth, when consider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made, these research results may seem like factors possessed by professional jump rope athletes. At this,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on correlation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game performanc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ethods for the event of jump rope. Lastly, research participants were mostly male. At this, follow-up studies that separate the two gender groups and verify differences will have more significance. 이 연구는 델파이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방법을 이용하여 줄넘기 운동을 통한 심리적, 신체적 발달요인 탐색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문가 집단은 의도적 표집을 통해 줄넘기 운동에 참여하는 주 연령층인 청소년 중 국가대표 경력이 있는 28명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연구결과, 심리적 발달 5요인, 신체적 발달 6요인, 참여 동기 4요인, 지속 동기 5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AHP)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심리적 발달은 긍정적 심리, 부정적 심리, 사회성발달, 심리기술발달, 정신적 성장으로 분석되었다. 긍정적 심리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만족감, 활력감, 성취감, 스트레스 해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심리의 경우 스트레스, 부담감 순으로, 사회성발달은 협동심, 리더십, 단결력, 친밀감의 순서로 분석되었다. 심리기술 발달은 감정조절이 가장 높은 가중치로 분석되었으며, 도전정신, 심상, 긍정적 사고, 루틴, 목표설정, 컨디션조절, 정신력, 혼잣말, 주의집중 순으로, 정신적 성장은 인내심, 자존감, 자신감, 배려심, 창의력, 책임감 순으로 분석되었다. 신체적 발달은 감각발달, 근육발달, 체형발달, 체력발달, 자기학습으로 분석되었다. 감각발달의 경우 리듬감각, 균형감각 운동감각의 순으로, 근육발달의 경우 하체발달, 근육량증가, 허벅지근육, 신진대사, 전완근, 종아리 근육 순으로 나타났다. 체형발달은 키 성장, 체중감량, 체형변화, 신체적 교정 순으로 나타났고 체력발달은 근력향상, 지구력, 민첩성, 점프력, 심폐지구력, 신체적 유능감 순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학습의 경우 원리고찰, 외현적교정, 반복연습, 귀인활동, 학습의 다양성 순서로 분석되었다. 참여동기는 주변의 권유, 내적동기 외적동기로 분석되었으며, 주변의 권유는 지도자권유, 지인의 권유, 학부모 권유 순으로, 내적동기는 건강, 동경심, 결단, 체력향상의 순서로 분석되었으며, 외적동기의 경우 자격증 취득, 체중감량, 학교의 평가, 취업의 목적, 키 성장, 프로그램연계 순으로 나타났다. 지속동기는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 내적동기, 외적동기로 분석되었다. 자율성은 대회출전의 선택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고, 시간선택, 용품선택 순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의 경우, 확장성, 신뢰감, 유대감, 소속감, 사회적지지, 단합심, 부모의 인정, 의사소통, 사제관계 순으로, 유능감은 기술향상, 경쟁심, 자기만족, 프로그램 개발, 도전정신, 노력인정, 체력향상, 향상심, 자존감향상, 성취감, 자신감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내적동기 중요도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재미, 스트레스해소, 즐거움, 애착, 관성적 행위의 순서로, 외적동기는 전문성, 취업준비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줄넘기 운동을 통해 다양한 요인이 발달하는 것이 확인 된 만큼, 선수들의 운동능력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이를 이끌어줄 수 있는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줄넘기 전문선수들의 다양성을 확장시켜 전문 경기 종목의 출발선에 있는 줄넘기 종목을 국제사회에서 주도하고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전문 경기로서의 줄넘기는 물론 생활체육 줄넘기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넷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문 줄넘기 선수 및 지도자의 질적, 양적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줄넘기 종목의 긍정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이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증언을 근거로 하여 추출되었기에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다양한 요인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발달요인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전문 줄넘기 선수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생활체육참가자들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생활체육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 및 연구하여 줄넘기 종목의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연구참여자의 특성을 생각할 때 연구결과는 줄넘기 전문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요인이라고 생각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경기실적과의 상관 및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줄넘기 종목의 트레이닝 법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는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두 집단을 구별하여 차이를 확인한다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양혜진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to prevent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day care teachers and to help the day care teachers reduce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exhaustion by coping effectively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by raising the teachers efficacy of the day car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s.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Is there a modulating effect?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randomly sampled 320 children from 3 ~ 5 years old who were working at day care center in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6, 2018 to December 30, 2018. A total of 314 copies were collected from 320 copies, of which 306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8 copies missing or untrue. The data validity rate was 95.625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job stress,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eachers job stres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eacher efficacy scal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teacher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and direction between the variables. In addi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Fi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eacher efficacy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we analyzed the interaction effect of control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exhaustion,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control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 care teachers, multiple control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regulatory effect. Among the subvariants of teacher efficacy, general efficacy showed a regulatory effect, but personal 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controll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increasing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hat the teacher efficacy is a regulatory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epth and multifacete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reduce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 care teachers.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여 심리적 소진에 효과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심신의 건강 및 소진 감소 방안을 마련하도록 돕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만 3~5세 보육교사 320명을 임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6일부터 12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320부 중 총 314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8부를 제외한 306 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어 자료 유효율은 95.625%를 보였다.측정도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척도 및 인구 통계학적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교사효능감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변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스 트레스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절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교사효능감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효과가 나타 났다.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을 나누어서 살펴보면 일반효능감은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개인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 두 변인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심층적이며 다각적인 후속연구 들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 : 교육환경 분석 및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양혜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Internet of Everyth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ve competence as well as challenge spirit and personality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factor of highly qualified students. As students usually spend a lot of time in classrooms, the design philosophy of classrooms needs to be changed towards improving the creative competence of stud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 provides the reasons why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design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in the context of creativity, and then develops classroom models to improve cre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we analyze research space and work space as well as typical classrooms through the expert Delphi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propose four classroom models which are mainly characterized by the space layouts and color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classroom models are effective to improve cre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at each classroom model is suitable to specific majors of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are threefold. First, we propose four types of classroom models, referred to as L1-10GY71, L2-5Y78, L3-5YR56, and L4-10GY71. These models are derived from criteria on space factor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The space factors include the scale, shape, layout, color of the walls, and lightening, whil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are composed of autonomy, sociality, flexibility, and variety. Second, we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to develop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curiosity, task tenacity, and problem-solving leadership to strengthen their creative competence. Since sub-factors of creativity are mutually correlated, the classroom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all of the criteria with different layout and colors for different majors. Finally, we present assorted layouts of the classroom that can be applied to emerg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classes and debate classes. It is also found from the case study that preferred colors of the classroom are in intermediate value and the all class of chroma is standard combination of Yellow-Red, Yellow, and Green-Yel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ign considerations for building up creative environment in universities are identified as follows. First, creative competence of students depend not only on teaching methods but also on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classrooms.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 needs to be verified by experiments. Second, sub-factors of creative competence should be cultivated to improve creativity of students. In addition, the major of the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the effective desig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Further investigation on this topic is left for future work. Finally, classroom models a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color, layou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an extension of this result, investigation of other space criteria will be an important topic for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창의와 도전정신, 인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제 4차 산업혁명이 현실화 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 초연결·초지능 사회의 패러다임에 따른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학생의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의 물리적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강의실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고찰과 교육 공간 및 업무 공간 사례 분석, 그리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강의실 모델로 공간 요소의 기준에 따라 배치, 색채가 적용되고 다양한 환경 특성을 반영한 네 가지 강의실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추수실험을 진행하여 창의역량 증진 강의실이 대학생들의 창의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은 총 4가지 유형으로 L1-10GY71, L2-5Y78, L3-5YR56, L4-10GY71을 제안하였다. 이 강의실 모델은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간 요소와 환경 특성의 기준에 따라 제시되었으며, 각 모델별로 전공이 다르게 설정되어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대학생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강의실 조성을 위한 공간 요소로써 강의실의 규모, 형태, 배치, 벽의 색채와 조명에 대한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환경 특성으로써 환경의 자율성, 사회성, 유연성, 다양성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강의를 통해 대학생이 증진해야 할 창의역량을 도출한 결과,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호기심, 과제집착력, 문제해결적 리더십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창의역량 요인 간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통합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강의실을 조성하는데 있어, 강의실의 배치와 색채를 고려하고, 전공에 따라 차별화된 공간이 조성되야 할 것이다. 셋째, 창의적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교수프로그램의 방향이 학생주도형으로 자기주도 학습 및 토론식 강의가 늘어감에 따라, 본 연구 결과로 제시한 창의역량 증진 강의실의 배치는 모듬형 배치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사례분석을 통해 추출한 창의 공간 색채는 Yellow-Red, Yellow, Green-Yellow 계열의 중간수준의 명도, 전 수준의 채도를 기준으로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제안한 대학생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강의실 모델을 대학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능력 향상에 있어서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강의실 모델의 강의실 적용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향후 대학에서의 창의적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에 필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창의역량 증진을 위해 교수-학습 방법만이 아닌 물리적 환경 조성은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 이는 기준과 근거에 의거해 제시되어야 하며, 실험을 통한 검증 작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에게 필요한 창의역량의 하위요인이 구분되어 있으며, 전공에 따라 다른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 강의실에서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환경 특성과 배치와 창의 공간 색채의 기준을 도출하여 모델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창의 역량 증진이 필요한 공간에 대해 구체적인 기준을 도출하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