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및 사회적 관계와 비행이행 간의 관계 연구 : 경제적 배제의 조절효과

        한진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 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 취약청소년들의 비행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청소년들의 비행은 청소년시기 뿐 만 아니라 성인시기 2차 범죄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청소년시기 비행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또한 우리 사회가 좀 더 안전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사회범죄 발생률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및 가족관계, 친구관계,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 등의 사회적 관계가 비행이행에 예측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및 사회적 관계와 비행이행 간의 관계에서 경제적 배제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위비행을 경험하는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사회적 관계는 비행이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위비행 경험하는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사회적 관계는 비행이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제적 배제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KYPS) 1차와 2차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취약청소년은 1차 년도 지위비행만을 경험한 청소년들이다. 연구대상은 1차 년도 지위비행만을 경험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2차 년도 1,23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모형은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및 사회적 관계와 비행이행에서 경제적 배제의 조절효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 가족관계, 학교관계가 중비행으로의 이행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의 자아통제가 탈비행으로의 이행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들의 비행이행은 자아통제, 가족관계, 학교관계가 중비행으로의 이행이나 탈비행으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지위비행 지속 대비 중비행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통제와 경제적 배제, 학교관계와 경제적 배제 등 2개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비행으로의 이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저소득 계층의 경제적 배제 청소년들에 있어서는 자아통제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소득 수준이 높은 상류층의 청소년들에 있어서는 학교에서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위한 적극적인 배려와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지위비행 지속 대비 탈비행으로의 이행과정에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통제와 경제적 배제, 학교관계와 경제적 배제 등 2개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탈비행으로의 이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류 소득층의 청소년들에 있어서는 자아통제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개입전략이 요구된다. 그리고 소득 수준이 낮은 저소득 계층의 청소년들에 있어서는 학교에서의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보일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위비행을 경험한 취약청소년들의 비행이행에 자아통제와 사회적 관계가 경제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의 의의와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one of the important social problems in our society, delinquency of vulnerable adolescences is becoming the problem. Adolescent's delinquency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at it leads to second crimes in adulthood as well as in adolescence. One of the important things in our society to be safer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to reduce the incidence of social crim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self- control, family relationships, friendships, school relationships and community relationships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act as a predictor of delinquency transition. Furthermore, this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exclu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social relationships and delinquency transi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 the self-control and the social relationships of vulnerable adolescents experiencing status delinquency affect delinquency transition? Second, does the economic exclusion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self-control and the social relationships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In this study, primary and secondary survey data of the Korean Youth Panel(KY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vulnerable adolescents analyzed ar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only the status delinquency during first yea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34 adolescents at the second year, which is ones who only have experienced during first year. economic exclusion in self-control, social relationships and delinquency transi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analysis metho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ntrol, family relationship and school relationship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acted as influential factors in the transition to serious delinquency. Furthermore, self-control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acted as an influential factor in the transition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As a result, it was empirically proven that in the delinquency transi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self-control, family relationships and schoo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in the transition to serious delinquency and desistance from delinquency.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performed by inputting the interaction terms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into serious delinquency compared to status delinquency sustenance, are as follows. Variables of self-control, economic exclusion, school relationships and economic exclu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In order to reduce the transition to serious delinquency,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strategy is needed to strengthen the level of self-control of economically excluded adolescents of low income class. In addition, active attention and efforts for high-income adolescents are needed to enable them to have a positive life attitude in school as the countermeasure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performed by inputting the interaction terms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in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compared to status delinquency sustenance, are as follows. Variables of self-control, economic exclusion, school relationships and economic exclu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ition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intervention strategy is needed to strengthen the level of self-control of high-income adolescents. In addition, active attention and efforts for adolescents of low income class are needed to enable them to have a positive life attitude in school as the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or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social relationships on economic exclusion in the delinquency transi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Furthermor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plans for future's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 지위비행이 청소년 범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형자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It can be said that among various social problems faced by contemporary society aspiring to a welfare state, such as disease, poverty, crime, environment pollution, etc., juvenile delinquency that has failed to adapt to reality, is the most serious. The early stages of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since it decides the existence or not of juvenile delinquency or adulthood cr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he first misconduct period of juvenile status offense and juvenile delinquency due to the tendency of early juvenile offenses. It tried to define juvenile status offense within the areas of juvenile offenses as a normative behavioral problem, to consider and classify the social environment into psychological, domestic, school and peers and to examine suitable improvement programs. In addition, it materialized the types of status offense that have not yet been generalized, classified the systems of status offense and concretely described subsystems. In order to make the argument of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status offense coincide with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Jong Won Lee, adding Young Eun Moon's four groups of status offense: entertainment/custom type, authority/resistance type, expression type and group type. Based on the above classification system, a total of 191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237 male and female youthful offender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 all types the first experience of prominently early status offense for youthful offenders was a sign of delinquency. Therefore, the seriousness of status offense should be identified as early as elementary school age, which is the period when status offenses are most likely to occur, and make adolescents understand that the values and necessity of social norms are not merely persistent demands. Additionally the fact that status offense does not originate only from the environment surrounding adolescents but also from their own problems should be made understood and if they become conscious of this responsibility, the juvenile delinquency should decrease in number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Firstly,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youthful offenders surveyed were restricted from one region and therefore the results obtained cannot be generalized nationwide. Secondly, according to various researchers, the classification per type of status offense cannot be generalized. Thirdly, longitudinal data could not be used when researching the first experience period of status offense.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reas of status offense to explain juvenile delinquency and if the above mentioned limitation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uture researches it could provide valuable foundations to theories of juvenile delinquency.

      •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배영지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upon juvenile status delinquency to give material of prevention of the status delinquenc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ounteractions against juvenile status delinquency. The subject was 329 students at high school in central part of South Korea. SPSS 18.0, frequency and Cronbach's α for test of reliability of scale were use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he findings were: First, self-control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juvenile status delinquency, and self-control had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 upon juvenile status delinquency. Pursuit for adventure, preference of physical activities, selfishness, anger temper and impulse that were other factors of preference of simple subject of self control had influence upon juvenile status delinquency. Second, general efficacy of sub factor of self efficacy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upon juvenile status delinquency, and general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juvenile status delinquency. This study put an emphasis upon values of not only juvenile self-control but also self-efficacy to do counseling intervention of juvenile status delinquency and to lessen juvenile status delinquency, and discussed limitations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지위비행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지위비행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 지위비행에 대한 대처 방안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부권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서 Cronbach's α를 검토하였으며,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Pearson 상관분석,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과 청소년 지위비행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기통제력과 청소년 지위비행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자기통제력 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통제력의 하위요인 중 단순과제 선호를 제외한 모험 추구, 신체활동 선호, 자기 중심, 화기질, 충동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청소년 지위비행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효능감과 청소년 지위비행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상담개입의 필요성과 지위비행 감소를 위하여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의 향상의 중요함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1)

      • 일반 청소년과 경찰서 입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관한 연구 : 지위비행과 범죄원인론을 중심으로

        박기대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 청소년과 중비행을 저지른 경찰서 입건 청소년 간의 지위비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데이터 중 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3년차 자료(2005년)를 토대로, 일반 청소년과 경찰서에 입건된 청소년으로 집단을 나누어 집단별 지위비행(흡연, 음주, 무단결석, 가출 횟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회유대이론, 일반긴장이론, 사회학습이론에서 추출한 변인들이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어떤 이론이 중비행으로 이어지지 않은 일반 청소년 집단의 지위비행을 잘 설명하는지도 살펴보았다. 3012명의 일반 청소년과 113명의 경찰서 입건 경험이 있는 청소년 총 3125명의 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중 가장 많이 경험한 지위비행은 음주였으며, 그다음은 흡연, 무단결석, 가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흡연, 음주, 무단결석, 가출모두 경찰서 입건 청소년의 경험 횟수가 더 많았으나, 무단결석을 제외하고는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유대이론의 참여 중 수련활동과 사회학습이론의 정의가 유의미하게 음주 횟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련활동에 잘 참여하지 않거나 정의 관념이 낮은 청소년 일수록 음주를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사회유대이론이 일반 청소년의 지위비행을 설명함에 있어 다른 이론들에 비해 비교적 큰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위비행 중 음주, 담배, 가출에서 일반 청소년과 경찰서 입건 청소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지위비행이 중비행에 이르는 과정이라는 청소년 비행의 기존 이론들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n the status delinquency between a group of adolescents without serious delinquent records and a group of adolescents with a booked on charges of serious delinquency. Differences on the status delinquency (i.e. cigarette-smoking, alcohol abuse, number of unauthorized absence and run away) between a group of adolescents without criminal history and a group of adolescents with a booked on charges of serious delinquency is analyzed based on the 3 year collected data of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Youth Pannel Survey(KYPS). Also, effects of variables extracted from Theories of crime, Social bonding theory, General strain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on the status delinquency is analyzed. Moreover, identification of which theory best explains the status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without serious delinquent records. A total of 3125 (3012 adolescents without serious delinquent records; 113 adolescents with a booked on charges of serious delinquency)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ere subjected to the analysis and result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experienced status delinquency was alcohol abuse among participants and followed by cigarette-smoking, number of unauthorized absence and run away. Second, all status delinquent factors including alcohol abuse, cigarette-smoking, number of unauthorized absence and run away were more experienced by the adolescents with a booked on charges of serious delinquenc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verified except for the unauthorized factor). Third, during participation in training, definition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significantly affected alcohol abuse factor. In other words, adolescents who does not participate in training or adolescents who has low sense of justice had higher tendency to abuse alcohol. Fourth, the most effective theory to explain adolescents' status delinquency was social boding theory. Significance,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지위비행의 위험군 탐색에 관한 연구

        박영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청소년기는 아동기와 성인기를 연결하는 과도기로, 신체적·심리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청소년기의 부적절한 적응은 문제행동으로 이어져 성인기의 범죄 및 부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그렇기에 청소년 지위비행의 예방을 위해 지위비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차자료 분석 연구로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7차년도(2016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청소년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x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 1,979명 중 비지위비행 집단은 1,715명으로 전체의 86.7%, 지위비행 집단은 264명으로 전체의 13.3%로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x2=54.55, p<.001), 고등학교 유형(x2=24.81, p<.001), 가족의 경제수준 평가(x2=18.95, p<.001)에서 지위비행 집단과 비지위비행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 지역(x2=0.18, p=.914), 보호자의 근로여부(x2=3.83, p=.147), 가족구성(x2=3.40, p=.065)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개인내적 특성 중 정서문제(x2=4.26, p<.001), 진로정체감(x2=-2.04, p=.042), 주관적 성적 평가(x2=32.49, p<.001), 성취가치(x2=-5.82, p<.001)에서 지위비행 집단과 비지위비행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자아탄력성(x2=0.45, p=.653), 삶의 만족도(x2=-0.68, p=.500)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4) 발달환경적 특성 중 긍정적 양육방식(x2=-5.21, p<.001), 부정적 양육방식(x2=2.88, p=.004), 부모의 방임(x2=3.62, p<.001), 부모의 학대(x2=2.99, p=.003), 교사관계(x2=-2.49, p=.013)에서 지위비행 집단과 비지위비행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또래애착(x2=-1.18, p=.237).은 비지위비행 집단과 지위비행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5)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의 실제값과 예측값이 일치하는 정확도는 약 86.7%였다. 또한 청소년 지위비행 위험군의 특성은 남자이면서 긍정적 양육방식을 낮게 인식하는 군으로 지위비행 비율이 전체 청소년의 지위비행 비율보다 3.66배 높았다. 두번째, 지위비행 위험군은 여자이면서 정서문제와 성취가치를 낮게 인식하는 군으로 36.4%가 지위비행 청소년으로 이는 전체 청소년의 지위비행 비율보다 2.73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6) 의사결정나무모형에 의한 청소년 지위비행 영향요인의 중요도는 긍정적 양육방식, 성별, 정서문제, 교사관계, 성취가치 순으로 확인되었다. 즉, 청소년이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낮게 인식할수록, 성별이 남자일수록, 정서문제를 높게 인식할수록, 교사관계를 낮게 인식할수록, 성취가치가 낮을수록 청소년의 지위비행 위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지위비행의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부모가 부모 역할의 학습을 통해 긍정적 양육방식을 적용하고 청소년과 부모의 요구에 맞는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인 남자 청소년의 지위비행 예방을 위한 중재가 더욱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정서문제의 중재를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추후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며 청소년 지위비행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교사관계 영향을 고려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유도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청소년의 성취가치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을 확인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한 연구로 청소년의 지위비행을 낮추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둔다. Adolescence is a transition period connecting childhood and adulthood, which undergo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appropriate adaptation in adolescence causes some negative problem behavior, which can also lead to crime or negative social changes in adulthoo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juvenile status offens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status offense and then intervene appropriately. As a secondary analysis, this study adopted the analysis data of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which is 7th year(2016) panel analysis data in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conducted by Korean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also,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in order to obtain technical statistics and x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s analysis method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1) Of the 1,979 subjects in this study, the non-status offense group was 1,715, 86.7% of the total, and the status offense group was 264, 13.3% of the total.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fence group and non-status offense group, according to the assessment results of gender(x2=54.55, p<.001), the type of high school(x2=24.81, p<.001), and the family's economic level(x2=18.95, p<.001) in demographic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school districts(x2=0.18, p=.914), working conditions of guardians, and their family composition(x2=3.40, p=.065). 3)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e section of emotional problems(x2=4.26, p<.001), sense of career identity(x2=-2.04, p=.042), subjective grade evaluation (x2=32.49, p<.001), achievement value(x2=-5.82,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fence groups and the non-surface offense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ection of ego resilience(x2=0.45, p=.653), satisfaction with life(x2=-0.68, p=.500). 4) Amo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positive parenting(x2=-5.21, p<.001), negative parenting(x2=2.88, p=.004), negligent parenting(x2=3.62, p<.001), parental abuse(x2=2.99, p=.003), teacher relations(x2=-2.49, p=.01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atus offense groups and non-status offense groups. Peer attachment(x2=-1.18, p=.237), on the other han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5) The accuracy of the decision tree model analysis was approximately 86.7% in the actu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In addition, the rate of the Juvenile Status Offense High Risk Group were 3.66 times higher than the overall Juvenile’s Status Offense Rate, which is male and low on positive parenting. The second high risk group of the status offense was the group which is female and low on emotional issues and achievement values, with 36.4% being status offense juveniles, 2.73 times higher than the overall juvenile status offense rate. 6) The importance of factors influencing juvenile status offense by decision tree model was identified in order of positive parenting method, gender, emotional problems, teacher relationships, and achievement value. In other words, the lower level of positive parenting, the higher male gender, the higher emotional problem, the lower teacher relationship, and the lower achievement value raise the higher risk of status offense for juvenil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Parents should apply a positive parenting style by studying parent’s role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mediation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juvenile and parent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tatus offence of the male juvenile, which is a high-risk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more interven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male juvenile group. I, also, propose a later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rehensive program for the mediation of juvenile emotional problems, and a therapeutic approach considering the impact of teacher relationship is needed to fundamentally resolve juvenile status offense. It is needed educational measures helping the teenagers to improve the achievement value, which is helpful to adapt to their school life and to prevent the juvenile status offense probl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subsequent research of nursing arbitration programs to reduce juvenile status offense by identifying high-risk groups of juvenile offense and identifying related factors.

      • 청소년기의 비행친화적 지식구조가 초기 성인기의 내재화와 외현화 증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청소년의 지위비행과 범죄행동의 이중매개

        최창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used social schematic theory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us offenses and high school students' criminal behaviors on the longitudinal effect of the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of adolescence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The present study included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2010 (N=2,351).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in adolescence including 3 elements (hostile view, immediate gratification, and cynical view),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status offenses in middle school, and criminal behaviors in high schoo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in adolescence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and bootstrapp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test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tatus offenses in middle school and criminal behaviors in high school. SPSS 26.0 and Mplus 8.7 program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the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in adolescence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were significant. Second, the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in adolescence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status offenses but not on high school students' criminal behaviors. Finally, the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in adolescen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externalizing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through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us offenses and high school students' criminal behaviors. Finding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attern of juvenile delinquency and its long-term impact led to maladjustment in emerging adulthood through a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tatus offenses, which can be overlooked, as a starting point for delinquency. These findings suggest preventiv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to address youths’ cognitive factor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field of juvenile delinquency. Key words: social schematic theory,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hostile view, immediate gratification, cynical view,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status offenses, criminal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인지도식이론(Social Schematic Theory)을 적용하여 중학교 저학년 시기의 비행친화적 지식구조(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가 초기 성인기의 내재화와 외현화 증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중학교 고학년 시기의 지위비행과 고등학교 시기의 범죄행동의 이중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의 중학교 1학년 2,351명(여 = 1,17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모형에 포함된 변수는 적대적 시각, 미래폄하 시각, 냉소적 시각을 포함하는 중학교 저학년 시기의 비행친화적 지식구조, 초기 성인기의 내재화와 외현화 증상, 중학교 고학년 시기의 지위비행, 고등학교 시기의 범죄행동이다. 이때, 청소년기 비행 및 초기 성인기의 내재화와 외현화 증상에 성별의 영향을 통제하였고, 초기 성인기의 내재화와 외현화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초기 성인기의 가구소득과 가족구조의 영향을 통제하였다. SPSS 26.0으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8.7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고, 부트스트랩(bootstrapping) 기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저학년 시기의 비행친화적 지식구조는 초기 성인기의 내재화와 외현화 증상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교 저학년 시기의 비행친화적 지식구조는 중학교 고학년 시기의 지위비행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고등학교 시기의 범죄행동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저학년 시기의 비행친화적 지식구조가 초기 성인기의 외현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중학교 고학년 시기의 지위비행과 고등학교 시기의 범죄행동이 이중매개하는 발달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행친화적 지식구조를 통해 청소년 비행이 발생하는 양상과 초기 성인기의 부적응으로 이어지는 종단적 영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청소년의 비행을 중학교 고학년 시기의 지위비행과 고등학교 시기의 범죄행동으로 발달 시기에 따라 구분해 조사함으로써 중학교 고학년 시기의 위험성이 간과될 수 있는 지위비행이 이후의 심각한 비행으로 발전하기 쉬우며 현재의 개입보다 더 적극적인 예방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행친화적 지식구조가 청소년 비행의 원인이자 장기적으로 초기 성인기의 부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임을 밝힌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입에서 그동안 간과되었던 청소년의 인지적 요소에 대한 실질적 접근을 고려하게 한다. 해당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의 부적응이 초기 성인기의 부적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장기적 관점에서의 지원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가족 내 사회자본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의 조절효과

        차홍숙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을 예방하고 개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지점으로 가정과 학교에 관심을 두었다. 이는 청소년의 가장 밀접하고 중요한 환경체계라는 데 그 이유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가족 내 사회자본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가 가족 내 사회자본과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중점사업 학교 중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 표본은 남학생 137명, 여학생 113명 총 25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족 내 사회자본과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 간의 관계에서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내 사회자본이 부족할수록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 경험이 많았다. 둘째,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가 높을수록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은 감소하였다. 셋째,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가 높을수록 가족 내 사회자본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었다. 다시 말해 가족 내 사회자본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교육복지사와의 정서적 유대가 가족 내 사회자본이 부족한 저소득층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교육복지사의 배치를 확대하여 저소득층 청소년의 부족한 가족 내 사회자본을 보완해 주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을 예방 및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중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families and schools as points to prevent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and enhance interventional effectiveness. It is because those places form an environment system that is most crucial and closest to adolescents.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will verify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n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and whether a variable of emotional bonds with social workers of education has regul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in family and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Fo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to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and middle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rs attending schools subject to Busan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otal 250 students, 137 male and 113 female students. For data analysis, SPSS 22 was utilized. To verify if emotional bonds with social workers of education have regul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in family and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if social capital in family is less,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tend to experience status offenses more. Second, if emotional bonds with social workers of education are stronger,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tend to experience status offenses less. Third, if emotional bonds with social workers of education are stronger, social capital in family influences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less. In other words, emotional bonds with social workers of education have regul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in family and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emotional bonds with social workers of education influence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low-income family tending to lack social capital in family which has hardly been dealt with i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crucial empirical data suggesting that it can be an effective way to prevent or reduce adolescents’ status offenses to establish political and practical plans to complement social capital in family for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by increasing and arranging social workers of education afterwards.

      • 靑少年 地位非行의 原因에 關한 實證的 硏究

        김동욱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86

        청소년의 지위비행은 청소년 개인적 사실을 나타내는 동시에 사회 병리로서 사회의 문제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사회병리 척도로서 반영 내지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부적응 행동의 하나인 지위 비행은 사회와 개인이 서로 관련되어 일으키게 되는 것이므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측면의 원인을 검토, 고찰,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가정과 학교, 사회에 대한 적응능력을 함양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내 3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에 관한 실태와 각 요인별 원인과 비행관계, 지위비행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 개인의 가정환경은 성격형성과 가치관의 정립, 자아개념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환경에 문제가 있을 때 인격형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이것이 비행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또한 청소년에 대한 비교육적 체벌빈도와 비행관계 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이차일탈 집단의 42.6%가 부모로부터 비교육적 체벌을 당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부모의 체벌이 청소년들을 음주나 흡연비행으로부터 이차적 일탈 행위로까지 이어져 청소년 개인보다 사회적 위협으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한 요인이 라는 것이다. 둘째, 지금의 학교는 시험성적에 의한 단선적 인간평가, 피리고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는 유치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부모의 지나친 경쟁의식과 과열된 비행의 원인 중 입시위주의 교육이라는 응답자가 비행집단 중 52.8%나 된다는 것은 문제의 심각성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성적이 나쁘면 소속 집단에서 신뢰를 받지 못하게 되고 점점 학교생활에 취미나 의욕을 잃어 학교에서 소외되고 냉대를 받게된 학생들은 본인의 기대와 성취도간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청소년 비행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셋째, 전체 응답자의 28%가 유해업소나 대중매체를 통한 유해물의 접촉기회의 증가로 인해 비행화 된다라고 응답하였으며, 또한 응답자의 63.4%는 놀이공간 및 문화시설의 부족하다고 응답해, 현실적으로 청소년들의 문화, 정서적 순화기능을 위한 공간부족이 유해업소등 끌어내는 요인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유해업소와 대중매체의 끊임없는 청소년 유인과 욕구불만의 청소년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충족시키지 못한 것들을 사회와 접촉하여 욕구를 충족시키려 할 때 결국 청소년들은 비행화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위에서 살펴본 대로 청소년 지위비행은 어느 한 분야의 문제만은 아니다. 학교, 가정, 지역사회가 해야 할 일을 할 때 비로소 청소년 비행의 해결의 실마리가 보일 것으로 본다. The wrong-doing by young students is caused not only by each student's own problems but also by structural problems of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It also reflects pathological phenomenon of the society. So, hidden Juvenile delinquenc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world which surrounds th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world which affects young students, lies in adjusting the students to school and society. Questionnaires, surveyed by 3-highschool-students in Pusan to get their opinions about the cause of juvenile delinquency,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 home background surrounding young boys has an important effect on forming personality and identity of the boys. An unhealthy home background may bring about the misdeed of sons and daughters. For example, the 42.6% of the boys in delinquency group said that they had experienced unreasonable physical punishment from their parents. Corporal punishment done by parents can be a one of the major causes of wrong doings. And it may drive the young students to smoking and drinking, which are some symptoms of the wrong-doings. Secondly, the problem in school education is another cause which leads young students to misdeed. The problem comes from excessive competition in entering university. And it results in judging a student only by school record. The 52.8% in delinquency group have said that they were victims of the excessive competition system. The low achievement in school have made them lose their self-respect in home and school. Thirdly, the harmful surroundings such as pornography, drug and alcohol have seduced them out of home and school. They are much more influential on young students than parents and teachers are. Wrong-doing by young students is not their own problem. It is also the problem of home, school and community which surrounds them. The problem of hidden juvenile delinquency will be solved only through efforts made by home, school and community.

      • 우리나라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인성이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성평가요인을 중심으로

        장정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4

        The Korean university entrance exam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the regular admission type and the nonscheduled admission type according to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NCEE), student record, and use method of cover letter. Although the regular admission type has merits in terms of the economic/temporal efficiency of the entrance exam system through the score ranking of the NCEE, it intensified the competition among students and aggravated the entrance exam stress. Howeve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represented as the nonscheduled admission type is being evaluated positively despite the demerit of cost and time because it singles out the talented persons with the socially rightful personality.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imed to single out the talented persons with the great personality by leading a complementary relation amo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by means of the public education. Therefore, it sets the students’personality a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index and confirms the personality through the transcript of school records and the cover letter. It recognizes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delinquency and personality among them and is actively using the delinquency for the personality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inappropriate personality. However, the empirical study on the practical relation between the delinquency and personality as an important standard evaluating the student’s personality is very deficient because the personality evaluation factor in Admission Officer System focuses on the positive ability the students should have and most studies related to the student’s delinquency focus on the occurrence cause for delinquency rather than the deterrence of delinquency. For this reason, it is controversial to use the delinquency as a result of the negative personality in evaluating the personality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study direction of the delinquency can be sugg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While the negative personality is explained as a cause for the delinquency, the rightful personality can be seen as a factor that can deter or control the delinquency. Criminology has handled the personality as a cause for the crime occurrence until now. It intend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linquency as a characteristic the negative character had by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 However, the personality evaluation factor of current Admission Officer System is regarding a rightful ability to control the delinquency as a personality focusing on the nature. In other words, it understands it as a variable nature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character the man has inherently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Howev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ere are few studies which tri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linquency and personality in consideration of this difference of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personality as a broad meaning encompassing the character and nature, and explored and verified the factor that could evaluate the real personality in the school life through the specialist group. Also, the explored personality was reconstructed into a questionnaire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nsion that could cause the delinquency, social bond that could control the delinquency, and personality targeting 3rd-year students in high school who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ollege entrance exa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in terms of reducing the delinquency through the rightful personality that whether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on the status delinquency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school-exclusive policemen. For this, 1,50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and total 1,045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data except for ones written by 1stand2nd-year students in high school who did not apply for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which were written insincerel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as verified by means of SPSS 18.0, Amos 18.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e tension and delinquency were in a positive(+) relation and if the tension was high, the delinquency heightened. However, it was revealed the ten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sonality. Also, it was confirmed the social bo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and it was revealed if the social bond heightened, the personality heightened. However, the social bond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delinquency. It was confirmed the person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elinquency and if the personality was high, the delinquency decreas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ion and delinquency by the medium of the social bond and delinquency, it was revealed the social bo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ion and personality. This result means that if the tension weakens the social bond, the personality also gets lower. Finally, as a result of confirming if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on the delinquency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school-exclusive policemen, it was revealed there was a difference of delinqu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between the students in school with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students in school without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However, whether there were school-exclusive policemen did not influence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on the delinquency. Keywords: personality, personality evaluation factor, tension, social bond, status delinquency, admission officer system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의 활용 방법에 따라 크게 정시전형과 수시전형으로 구분된다. 정시전형은 수학능력시험의 점수 서열화를 통해 입시제도의 경제적·시간적 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학생 간 경쟁을 부추기고 입시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부작용을 낳았다. 그러나 수시전형으로 대표되는 학생부종합전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공교육을 활용해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이끌어 훌륭한 인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학생의 인성을 가장 중요한 평가 지표로 하고 있으며, 학교생활기록부 및 자기소개서를 통해 인성을 확인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비행과 인성의 밀접한 관계를 인식하고 학생의 비행을 부적절한 인성의 결과로써 인성평가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인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비행과 인성의 실제적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인성평가요인이 학생이 갖추어야 할 긍정적 능력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학생의 비행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가 비행의 억제보다는 비행의 발생 원인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인성을 평가하는데 부정적 인성의 결과로 비행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비행은 인성을 이해하는 관점 따라 연구방향이 다르게 제시될 수 있다. 부정적 인성은 비행의 원인으로 설명되지만 올바른 인성은 비행을 억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범죄학에서는 인성을 범죄 발생의 원인으로 다루어 왔다. 즉 성격적 측면에서 인성을 이해함으로써 부정적 성격이 가지는 특성으로 비행과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학생부종합전형의 인성평가 요인은 성품을 중심으로 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올바른 능력을 인성으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본래 인간이 지니고 있는 성격과 타인과의 관계 지향적 의미로써 교육을 통해 변화 가능한 성품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성의 차이점을 고려해 비행과 인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했던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격과 성품을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써 인성을 개념화 하고, 학교생활에서 실제 인성을 평가할 수 있는 요인을 전문가 집단을 통해 탐색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탐색된 인성은 설문으로 재구성하여 대학입시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비행을 유발할 수 있는 긴장, 그리고 비행을 통제할 수 있는 사회유대와 인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올바른 인성을 통해 비행을 줄이고자 하는 측면에서 지위비행에 대한 인성의 영향이 전문상담교사와 학교전담경찰의 유·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고등학생 1,500명을 표집하여 현재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하지 않은 고1, 고2 학생과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045부를 최종 자료로 활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 18.0, Amos 18.0을 활용하여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긴장과 비행은 정(+)적 관계로써 긴장이 높으면 비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긴장은 인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유대는 인성에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회유대가 높아질수록 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유대는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인성은 비행에 부(-)적 영향이 있었으며 인성이 높을수록 비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사회유대와 비행을 매개로 긴장과 비행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유대가 긴장과 인성의 관계에 있어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긴장이 사회유대를 약화시키면 인성 역시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인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문상담교사와 학교전담경찰관의 유·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전문상담교사가 있는 학교의 학생과 전문상담교사가 없는 학교의 학생은 인성에 따라 비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전담경찰의 유·무는 인성의 비행에 대한 영향에 차이가 없었다. 주요어: 인성, 인성평가요인, 긴장, 사회유대, 지위비행, 학생부종합전형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전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노미경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2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개념과 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교사가 학생 생활지도와 학부모 상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청소년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며, 비행을 줄이고 나아가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역할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전문계 고등학교 5개교의 2학년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37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처리 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과 One-way ANOVA,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이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부모의 교육정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비행정도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으며, 비행정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비행을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교육정도는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수용, 과잉적이였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통제적으로 지각하였고, 부모의 교육정도에 따른 자아개념과 비행 차이는 없었다.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청소년 비행정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태도를 과잉으로 지각하였으며, 경제적 수준과 비행정도는 비례하였고, 자아개념은 200~400만원 집단이 가장 긍정적 이였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아개념은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아개념도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따른 청소년의 비행정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양육태도 비과잉-과잉영역에서 지위비행과 정적 상관을 부모의 양육태도를 수용-거부영역에서 반항적 비행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지위비행을 줄이며, 자녀에 대한 칭찬과 격려, 공감이 반항적 비행을 줄이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concept and delinquency in an effort to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guidance and parent counseling provided by teachers and the self-concept of teens. It's ultimately meant to let adolescents grow into eligible and sound members of society without committing delinquen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sophomores from five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city of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77 students were analyzed by SPSS 15.0 program. Independent-sample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cademic credential of parents and living standard t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elf-concept and level of delinquency, gender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their self-concept, and the boys committed more delinquency than the girls. The parent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The better-educated fathers were considered to be more receptive and overprotective,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were deem to be more governing.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 parent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self-concept and delinquency. The parent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their self-concept and level of delinquency differed with living standard. The students who were better off found their parents to be more overprotective, and living standard was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delinquency. Those whose family income was between two and four million won had the best self-concept. Second,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made a difference to self-concept. Those who viewed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more favorably had a better self-concept. Third, perceived parenting styl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degree of delinquency. But parental overprotection/non-overprote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tatus delinquency, an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efiant delinquency. It indicated that parents' concern and expectations for children led to less status delinquency on the side of the students, and that their praise, encouragement and sympathy were followed by their children's less defiant delinq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