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4, 6, 8세 아동의 지식과 추론

        김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443

        국 문 초 록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4, 6, 8세 아동의 지식과 추론 이 연구는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4, 6, 8세 아동의 지식과 과학적 추론이 연령과 과제 종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추론을 통해 아동의 사전지식이 사후지식으로 변화되는지 여부와 사후지식 형성에 어떤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거주 지역 어린이집 3곳과 초등학교 2 곳에 다니는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침(浮沈)현상, 낙하현상, 경사면이동현상에서 ‘무게과제’와 ‘크기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반복측정 변량분석, 쌍체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은 부침현상과 낙하현상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경사면이동현상에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사면이동현상 사전지식 수행 점수는 8세가 6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은 과제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침현상에서는 무게과제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낙하현상과 경사면이동현상에서는 크기과제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은 부침현상과 낙하현상에서 연령과 과제 종류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부침현상에서는 4, 6, 8세 아동 모두 무게과제의 수행 점수가 높았고, 낙하현상에서는 4, 6, 8세 아동 모두 크기과제의 수행 점수가 높았다. 둘째,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과학적 추론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현상 모두에서 4세보다 6, 8세의 추론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추론은 부침현상과 경사면이동현상에서 과제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침현상에서는 무게과제의 추론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경사면이동현상에서는 크기과제의 추론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추론은 부침현상에서 연령과 과제 종류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부침현상에서 4세와 6세의 무게과제 수행 점수가 크기과제 수행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8세의 수행에는 과제 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현상 모두에서 4세보다 6, 8세의 사후지식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부침현상에서 과제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침현상에서 무게과제의 사후지식 수행 점수가 크기과제의 수행점수보다 더 높았다.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부침현상에서 연령과 과제 종류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부침현상에서 4세와 6세는 무게과제의 수행 점수가 더 높았다. 그러나 8세는 과제 종류에 따른 수행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과학적 추론 후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세 현상에서 모두 사전지식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침현상에서 4, 6, 8세 아동 모두 사전지식보다 사후지식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무게과제보다 크기과제에서 부침현상 사전지식과 사후지식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낙하현상에서는 4, 6, 8세 아동 모두 사전지식보다 사후지식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에서 낙하현상 사전지식과 사후지식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경사면이동현상에서 4, 6, 8세 아동 모두 사전지식보다 사후지식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에서 경사면이동현상 사전지식과 사후지식의 차이가 더 컸다. 다섯째,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 형성은 과학적 추론과 사전지식의 영향을 받았다. 부침현상에 대한 사후지식 형성은 크기과제 추론, 무게과제 추론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낙하현상에 대한 사후지식 형성은 무게과제 추론, 크기과제 추론, 크기과제 사전지식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경사면이동현상에 대한 사후지식 형성은 크기과제 추론, 무게과제 추론, 크기과제 사전지식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 연구는 물체의 움직임 현상(부침현상, 낙하현상, 경사면이동현상)에 대한 4, 6, 8세 아동의 지식과 과학적 추론이 연령과 과제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추론 후 형성된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사후지식이 사전지식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추론과 사전지식이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사후지식 형성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 소프트웨어 산업의 노동이동 및 지식확산과 지역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윤종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29

        The importance of the software industry is growing with the ri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oftware (SW) is a set of coded instructions that control electronic machines that process binary data to perform specified tasks. SW is viewed as a new element of production that supports data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or technologies, since the ability to use and integrat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intrinsically related to the ability to develop SW. As a result, the geographical division of labor between SW-centered the capital regions and manufacturing- centered the non-capital regions is no longer effective, and the non-capital regions are increasingly desirous of SW convergence. Despite various policy attempts to foster the local SW industry, the regional inequality in the SW industry remains unresolved. The share of SW corporate employees in the capital region fell by 2.2 percentage points from (90.4 to 88.2) % in 2010 to 2020, demonstrating that the SW industry is still concentrated in the capital region. This is due to the localization economies of the SW industry, such as labor mobility and knowledge diffusion. SW is an information good with high fixed costs, low marginal costs, non-rivalry, and non-excludability. On the other hand, SW engineers develop their skills by job hopping, and are evaluated based on their wages. Because of these two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for SW corporates to internalize technology or train SW engineers, and to recruit good SW engineers, they are forced to locate in clusters. As wages for SW engineers rise due to poaching competition,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the SW industry could become more concentrated in the capital region. SW engineers quickly raise their wages by accumulating human capital through frequent job hopping at clusters. Regions with a high level of human capital and a concentration of high-tech industries have a large wage disparity, and the regional wage gap is caused by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A regional wage gap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W industry can cause labor mobility of SW engineers, which in turn can lea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W industry, and the raising of wages. As a result, SW industry agglomeration, labor mobility, and knowledge diffusion may exhibit a positive cumulative causation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are as follow: First, do regional wage gaps in the SW industry affect labor mobility and knowledge diffusion? Second, do labor inflows and knowledge absorption affect per capita wages at the regional level?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2020, the regional wage gap had a negative impact on labor inflows. Regions with high wage level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labor inflow from regions with low wage level.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experience and skills required in regions with high human capital levels, and it can be said that regional heterogeneity in the human capital of SW engineers has increased. Second, labor inflows in 2020 had a negative impact on regional wage. This means that SW engineers from other regions are characterized as substitutes. Combining the two analysis results, higher wage regions receive less labor inflow from lower wage regions,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labor inflow on regional wages. As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pplied to the model of De Groot et al. (2009), the change in wage reduction due to labor inflow is reduced, and thus the regional wage gap remains. Furthermore, if localization economies emerge as employment increases due to labor inflows, regional inequality may rise as a result of the cumulative causal process between regional wage gap and labor mobility. This study’s empirical findings imply that labor mobility may exacerbate regional inequality in the SW industry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Three policy implications are proposed. First, polici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gap in human capital of SW engineers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Providing a sufficient labor market size where SW engineers can job hop can increase the wages of SW developers, and induce the location of the SW industry. Second, a policy that only quantitatively increases the number of SW corporations in non-capital regions may not be effective. Without a system to recompense SW engineers for accumulating human capital, there may be a higher concentration of SW industry in the capital reg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innovation clusters, such as urban convergence zones, in the downtown of local metropolitan areas. SW engineers migrate to metropolitan areas with favorable living conditions, or innovative regions with R&D corporates. Also, explicit knowledge, such as SW patents, will be cited from regions with more SW faculty to regions with fewer SW faculty. Enhancing the innovation capacity of downtown in local metropolitan areas requires attracting R&D corporations with a high demand for SW,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Concentrating the innovative capabilities of non-capital regions in the downtown of local metropolitan areas will lessen the human capital gap in the SW industry, and ameliorate regional inequality in the SW industry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의 등장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이하, SW)는 이진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적 기계가 특정한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코드명령어의 집합을 말한다.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고 융합하는 역량은 SW를 만들 수 있는 역량과 직결되기 때문에, SW는 데이터를 다른 분야 혹은 기술과의 융합을 촉진하는 새로운 생산요소로써 인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SW 중심의 수도권과 제조업 중심의 비수도권 간 지리적 분업구조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비수도권에서 SW융합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지방의 SW산업을 육성하려는 여러 정책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SW산업의 지역불균형 해소는 요원하다. SW산업 법인 종사자 수의 수도권 비중은 2010년 90.4%에서 2020년 88.2%로 2.2%p 감소해, SW산업은 여전히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SW산업이 노동이동과 지식확산 등 지역화경제가 강력하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SW는 고정비용은 크지만 한계비용은 작고, 비경합성과 배제불가능성을 가진 정보재다. 한편, SW개발자는 이직을 통해 자신의 기술력을 숙련하고 임금을 통해 평가받는다. 두 특징은 SW기업이 기술을 내재화하거나 SW개발자를 숙련하기 어렵게 만들며, SW기업은 좋은 SW개발자를 구인하기 위해서 집적지에 입지할 수 밖에 없다. 인재영입 경쟁으로 SW개발자 임금이 상승하면서, SW산업의 수도권 쏠림이 더 강화될 것이라는 우려는 커지고 있다. SW개발자는 집적지에서의 잦은 이직을 통해 인적자본을 형성하면서 임금을 빠르게 높인다. 한편, 인적자본의 수준이 높고 첨단기술산업이 집중된 지역은 임금불균형이 크며, 지역간 임금격차는 인적자본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즉, SW산업의 집적에 의한 지역간 임금격차는 SW개발자의 노동이동을 유발하고, 이는 다시 SW산업의 집적으로 이어지며 임금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SW산업의 집적과 노동이동 및 지식확산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누적적 인과 과정을 보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질문을 가정하였다. 첫째, SW산업의 지역간 임금격차는 노동이동과 지식확산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노동유입과 지식흡수는 1인당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가? 지역간 임금격차는 상용근로자 1인당 급여총액의 도착지와 출발지 간 차이로, 노동이동은 SW개발자의 경력직 이직으로, 지식확산은 SW특허 피인용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두 가지의 실증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때, 노동유입을 다른 지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노동이동의 합, 지식흡수를 다른 지역으로부터 흡수되는 지식확산의 합으로 명명한 후 변수로 반영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2020년 지역간 임금격차는 노동유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도착지가 출발지보다 임금이 크면, 도착지로의 노동이동은 감소한다. 높은 인적자본 수준을 가진 지역에서 요구하는 경력이나 숙련도를 만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며, SW개발자 인적자본에 대한 지역간 이질성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둘째, 2020년 노동유입은 임금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다른 지역으로부터 유입되는 SW개발자가 대체재 특징을 가짐을 의미한다. 두 결과를 종합하면 임금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으로부터 노동유입이 감소해, 노동유입에 의해 임금이 낮아지는 부정적 효과가 감소한다. 즉, 임금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으로부터 노동이동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한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De Groot, H. L. et al(2009)의 모형에 적용해 해석한다면, 노동유입에 따른 임금감소분이 더 적어지면서 지역간 임금격차가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노동유입에 의해 고용이 증가하면서 지역화경제가 나타날 경우, 지역간 임금격차와 노동이동간 누적적 인과 과정에 의해 지역간 불균형은 커질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노동이동에 의해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SW산업의 지역불균형이 더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세 가지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SW개발자의 인적자본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SW개발자가 이직이 가능한 노동시장 규모를 제공함으로써 SW개발자의 임금을 높이고, SW기업의 입지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SW기업의 수를 양적으로만 늘리는 정책은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SW개발자가 인적자본을 축적하면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비수도권의 SW기업 수를 늘리는 정책은 수도권 쏠림을 더 높일 수 있다. 셋째, 도심융합특구 등 지방광역시 도심에 혁신거점 조성이 필요하다. SW개발자는 양호한 정주환경을 가진 대도시나 R&D기업이 입지한 혁신적인 지역으로 이동한다. 한편, SW특허 등 형식적 지식은 SW교원이 많은 지역에서 SW교원이 적은 지역으로 인용된다. SW개발 수요가 높은 R&D기업의 입지를 유도하고 산학협력을 통해 지방광역시 도심의 혁신역량을 높여야 한다. 비수도권의 혁신역량을 지방광역시 도심에 집중시킨다면, SW산업의 인적자본 격차를 줄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SW산업의 지역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동도움에 대한 지식, 부담감, 빈도 실태조사

        김수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32414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동도움에 대한 지식, 부담감, 빈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요양원 6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47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보건복지부(2019a)에서 발간한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의 목차와 내용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초안을 작성하고 간호학 교수 및 장기요양기관 관계자들로부터 내용타당도를 점검받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동도움에 대한 지식 점수는 총 30점 만점에 27.61점이었고, 지식 평균 정답률은 92%이었다. 이동도움에 대한 지식 하부요인은 ‘이동안전’이 9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동도움에 대한 지식 문항은 ‘휠체어 잠금장치 사용하기’, ‘휠체어로 내리막길 내려가기’, ‘환경적 위험요인 확인하기’가 모두 100.0%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동도움에 대한 부담감 점수는 총150점 만점에 94.27점이었고, 부담감 평균은 3.14점이었다. 이동도움에 대한 부담감 하부요인은 ‘휠체어 이동도움’이 3.7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동도움 부담감이 가장 높은 문항은 ‘바닥에서 휠체어로 이동시키기’가 4.27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동도움에 대한 빈도 평균은 4.93점이었다. 이동도움에 대한 빈도 하부요인은 ‘이동안전’이 8.7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동도움 빈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휠체어 잠금장치 사용하기’가 11.48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동도움에 대한 지식과 부담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빈도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분석 결과 ‘50세 미만’이 ‘50세 이상 60세 미만’보다 이동도움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8.09, p=.000).

      • 대졸자의 취업이동 패턴과 이동요인 분석

        김지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51

        지식기반산업이 국가와 지역의 경제의 측면에서 중요해진 이후로 인적자본개발과 축적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지역 경쟁력의 척도 중의 하나로 우수 인력을 유지·보유하며 적정한 일자리의 제공이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졸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만큼 인적자본 확보에 유리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인적자본이 수도권에만 집중된다는 것이다. 지방 대학의 경우 이미 학생 유치에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방 대학을 졸업한 대졸자들도 수도권으로 직장을 잡고자 하는 현상이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취업난을 겪는 반면에 지방에서는 인력난이라는 상반된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졸자들의 취업이동 패턴을 분석하고 취업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어떠한 지역특성이 취업이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항로짓모형을 통해 개인, 주거, 취업, 문화 환경의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의‘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의 2005년도부터 2008년까지 3개년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였고 이때 비수도권 대졸자와 수도권 대졸자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이동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경우 주로 남성, 자격증과 직업훈련 경험이 없고 원래 출신 고등학교가 수도권인 경우로 나타났으며 이직횟수가 증가할수록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에서는 수도권과 가까운 지역의 대학을 졸업할수록 수도권으로 이동할 확률이 높았으며 대도시에서의 이동 확률은 낮게 나타났다. 취업환경변수의 경우 지식기반산업과 기업의 규모 그리고 취업기회가 모두 (-)의 영향을 보였고 문화·여가환경변수들은 오히려 (+)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경우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본 결과 남성일수록, 원래 출신 고등학교가 비수도권일수록, 직장이 광역시에 위치할수록, 그리고 주거환경이 비교적 좋고 대기업이 많을수록 비수도권으로 이동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방의 인적자본 이동을 막기 위해서는 교육, 산업, 지역적 측면의 정책이 필요하다. 즉, 대학에서는 대졸자의 전문적인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방정부는 이러한 인력들이 일할 수 있는 산업 환경 창출을 위해 지식기반산업 유치에 힘을 써야할 것이다. 또한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을 모색하여야 한다.

      • Investigation of transportation and urban mobility challenges in mega events : a text mining approach

        Prikhodko, Polina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32218

        Mega-events (ME) have been granted with a prominent position within the urban agenda of modern cities. The significance of these events stems from their potential to act as catalysts for the urban development of a city, presenting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m as global cities. A ME hostage serves as a platform for a country to demonstrate its capabilities and achievements on the global stage, and the effectiveness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becomes a decisive factor in the success turning the event into blessing or a cur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jor challenge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ME visitors from transport services on the example of the Russian Federation. Using the Text Mining Approach unstructured data from multiple data sources is structured, the key transportation issues are identified and either validated via in-depth interviews with ME visitors and experts.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policymakers, local authorities and urban First/Last Mile mobility companies. 메가 이벤트(ME)는 현대 도시의 도시 의제 내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사들의 중요성은 도시의 도시 발전을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여 도시를 글로벌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에서 비롯됩니다. ME 인질은 한 국가가 글로벌 무대에서 역량과 성과를 발휘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하며, 도시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이 행사를 축복이나 저주로 바꾸는 데 결정적인 요소가 됩니다. 본 연구는 러시아 연방의 사례에서 교통 서비스에서 ME 방문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과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텍스트 마이닝 접근법을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 소스의 비정형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ME 방문자 및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요 운송 문제를 식별하고 검증합니다. 이 연구는 정책 입안자, 지방 당국 및 도시의 퍼스트/라스트 마일 모빌리티 회사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한국형 엘리트의 탄생 : 동남아시아인 한국(어)학 전공 대학원생의 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3198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knowledge mobility in western-centric globalized academia, based on a qualitative survey of the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t Kore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tudents’ scholar/researcher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nd at their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policy aspect of Korea that involves attracting more foreign students and expand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Southeast Asian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is a compromise of their semi-global dreams. The mo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usually focuses on the US/West, the perceived center of economy and academics. Choosing Korea as the loc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jobs and trying to achieve the dream of becoming a knowledge elite through Korea not only requires compromises and rationalization but also affects students’ elite identity and attitude after studying abroad. Second, this thesis clarifies how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void discrimination through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responses by intertwining their identity as a university student in Seoul with their identity as a Southeast Asian, which, on its own, often evokes low status connotations in Korean society. The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people of their country of origin by emphasizing their personal value and abilities and sometimes resort to agreeing with the assertions of discrimination in order to ingratiate themselves wi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eir experience of neglect and alienation within the academic setting of Korean Studies (or language)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erfection of the elite identity they pursue. Third, this thesis presents their elite identity as that of a “Koreanized elite.” This term implies an imperfect elite identity created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Korean academia that they have acquired while studying in Korea, in conjunction with the economic dependency rooted in the ongoing master-disciple relations and research grants affecting them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hile they are professors of Korean Studies (and/or language) at their local universities, they are not fully recognized as Korean Studies scholars within the realm of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As both beneficiaries and co-conspirators of Korea's national promotion, these Southeast Asian scholars maintain multifaceted and complex feelings for Korea. This thesis highlights knowledge mobility from the periphery to Korea, whi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se Southeast Asian students, whose aim is upward class mobility by studying abroa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lites, and how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 continues to affect their elite identities beyond their periods of academic exchange.

      •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 개선 연구

        권영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9615

        지식산업 및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였으며, 그 결과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클라우드를 통해 사람과 사물이 서로 연결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으로 더욱 지능화된 4차산업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식산업센터도 크게 변하고 있다. 도입 초기 제조업 중심의 아파트형 공장(지식산업센터)에서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 벤처산업 등으로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순하고 폐쇄적인 공장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원시설과 입주업종의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복합적이고 개방적인 공장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의 감염 차단을 위한 고민과 인권 사각지대에 놓인 건물관리자들의 활동공간 등 공용공간에 관한 관심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최근 공급되는 지식산업센터는 민간주도의 분양사업이 대부분으로 사용자를 위한 편익보다는 공급자의 수익성에 중점을 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민간과 공공 각자의 역할분담으로 환경과 제도를 개선하고 관리자와 입주자 등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도와 입주기업의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수준 높은 공용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도입배경과 시대적 변화, 관련법과 제도 등을 고찰하고 아파트형공장에서 지식산업센터로 명칭이 변경된 2010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공급된 30개 지식산업센터의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해 문제점 도출과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편익을 고려한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부연구내용은 건물 유지관리와 입주자의 업무지원을 위한 관리공간, 이용자들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간, 건강과 위생을 위한 위생공간, 휴식과 사색을 위한 휴게공간 등 4가지 공용공간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공용공간을 위치, 면적, 개수, 형태 등 각각의 특징과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도적 측면과 계획적 측면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를 통해 지식산업센터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공용공간에 대한 기준이 없어 연구대상마다 면적과 형태, 위치, 개수 등이 서로 달라 상호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특히 관리공간 중 관리사무소는 96.7%, 용역원실은 100%가 지하에 위치해 환경이 열악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지식산업센터 가이드라인 마련이 공용공간 환경을 개선하는 좋은 방안이라 판단된다. 둘째, 기준과 지침 준수 시 용적률과 높이 완화,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도 도입을 통해 사업참여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민간주도의 공급비율이 전국기준 92.4%, 본 연구대상은 100%로 조사되어, 민간이 스스로 공용공간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휴게공간 중 공개공지는 용적률 완화적용을 받은 비율이 연구대상 전체의 50%로 사업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앞으로 확대시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건축계획 기준과 기반시설이 우수한 계획입지의 공급확대와 공공주도형 지식산업센터의 공급확대로 공용공간에 대한 기준 제시와 함께 선도적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주도형의 공급으로는 공용공간 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계획입지가 연구대상 전체의 46.7%(전국 40.2%)로 공개공지 등 기반시설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잘되어 있었고, 현재 전국기준 공공주도의 공급비율이 7.6%로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공공의 선도적 역할로 공용공간 개선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계획적 측면으로 첫째, 관리공간은 채광과 환기, 안전 등을 고려하여 선큰의 활용이나 지상에 계획하고, 각 실은 남녀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리 배치해야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용역원실의 경우 87%가 지하에 있어, 채광과 환기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설치 비율이 13.3%, 남녀 구분이 되지 않은 비율도 16.7%로 조사되었다. 채광과 환기,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개선책으로 관리공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동공간은 출입 통제시스템 적용과 비즈니스 기능을 도입하고, 엘리베이터 간 거리 기준을 마련하고 홀의 너비 등을 업무시설의 기준에 맞게 확대 도입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방문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 시스템 적용 사례는 없었으며, 라운지와 같이 휴게와 대기, 비즈니스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을 제공한 비율은 전체의 10%로 조사되었다. 엘리베이터의 배치형식은 분산형이 전체의 53.3%로 연면적 60,000㎡를 초과하는 대상에서 적용되었다. 엘리베이터 홀의 너비는 평균 3,355mm(업무시설기준 4,000mm)로 조사되었다. 업무시설의 기준을 도입하는 것이 이동공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셋째, 위생공간은 입주자용 샤워실을 추가로 설치하고 샤워. 탈의. 화장실은 같은 영역에 배치하고, 입주업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남녀의 비율을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중 입주자용 샤워실을 제공한 사례는 없었으며, 샤워 탈의 화장실을 함께 갖춘 비율은 전체의 23.3%로 낮았고, 미설치한 비율도 36.7%로 위생에 대한 환경이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실 변기의 남녀비율은 정책적인 이유로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었다. COVID-19로 전염병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중요한 대안이라 판단된다. 넷째, 휴게공간은 공개공지 범위확대와 함께 층별 휴게시설을 확대하고 운동기능과 휴게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휴식 공간을 도입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결과 공개공지는 현행법상 100%가 지상에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간층과 지붕을 활용한 옥상 휴게공간의 비율은 전체의 83.3%로 조사되었다. 중간층의 휴게공간이 분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공개공지를 지상층의 외부공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도입해 사업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이득을 주는 것이 휴게공간을 확대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대안이라 판단되었다. 실내 휴게공간은 인터넷과 시청각, 운동이 가능한 설비를 갖추는 것이 휴게공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을 주제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 분석과 함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이 공공과 임대를 제외한 민간공급과 분양형 센터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고, 전국이 아닌 서울 경기를 대상으로 한정해 특징과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급방식과 전국을 대상으로 제도적인 개선과 함께 건축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어 : 공용공간, 관리공간(관리사무소, 회의실, 용역원실, 우편물수취함, 무인택배보관소, 재활용품보관소, 주차장), 이동공간(로비, 복도,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홀), 위생공간(화장실, 샤워실, 탈의실), 휴게공간(휴게실, 공개공지, 옥상휴게공간)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 industry and informatization era, humans and objects are now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 and digital clouds.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intelligent. Consequently,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is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First of all,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changed from a manufacturing-driven industry (flatted factory building) to a knowledge industry, information communications industry and venture industry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his in turn has brought many changes from simple and closed factories to complex and open factories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support facilities and deregulation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public spaces, such as activity spaces for building managers who are often neglected vis-à-vis human rights, along with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Most of the recent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implement privately-initiated presale projects, showing a tendency to focus on the supplier’s profit margins rather than on the user’s benefits. Therefore, a high level of public space is need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system via a well-designed division of rol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meet the needs of managers and occupants, and support the business activities of tenant compan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ught to examine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changes over time and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based on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30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supplied to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2010, when the name was changed from the flatted factory building to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o 2021, and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public space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considering the user’s benefit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The public spaces we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places: management spaces for building maintenance and support for occupants’ business, moving spaces for users’ movement, sanitary spaces for health and hygiene, and rest spaces for relaxation and contempl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public space, such as location, area, number and shap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both institutional and planning aspects.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ise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hrough the announcement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based on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with different areas, shapes, locations or numbers due to the absence of standards for public spaces. In particular, 96.7% of management offices and 100% of subcontracted workers’ rooms were located in underground spaces with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thus adjudged that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is a good metho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for business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 systems such as the relaxation of regulations on floor area ratio and height, and tax benefits when standards and guidelines are complied with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rivately-initiated supply ratio was 92.4% on a national scale, and the ratio of the research subject was 100%,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private sector’s self-improvement of public spaces. Among the rest areas, the ratio of relaxed floor area ratio applied to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environment as it was 50%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and the expansion sh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present standards for public spaces and take a leading role with the expanded supply of planned locations with excellent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s and infrastructure, and publicly-initiated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The research revealed that a privately-initiated supply that pursues business profits poses limitations in improving public spaces. The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lanned location was 46.7% (40.2% nationwide)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indicating that infrastructure, such as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is well built, and the present publicly-initiated supply ratio is 7.6% nationwide. This suggests that the public sector’s taking a leading role in expanding suppl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ublic spaces.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planning asp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space should be planned in the sunken space or on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lighting, ventilation and safety, and each room should be placed separat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87%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rooms were located in the basement with poor lighting and ventilation. The non-installation ratio was 13.3%, and the ratio of no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was 16.7%.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pace is needed as a basic improvement measure against the problems of lighting, ventilation and saf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ccess control system, introduce business functions, establish a standard for the distance between elevators, and expand the width of the hall to meet the standards of business facilities for the moving space. The analysis found that there were no cases in which the access control system was applied to control visitor access, and the ratio of providing multi-purpose spaces such as a lounge available for rest, waiting and business was 10% of the total. In the layout of elevators, the distributed type was 53.3% of the total, and it was applied to the target with a gross floor area of 60,000㎡ or more. The width of the elevator hall was 3,355mm (4,000mm for business facilities) on average.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standards for business facilities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oving space. Third, the sanitary space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shower room for occupants. In addition, shower rooms, dressing rooms and toilets should be placed in the same area, and the ratio of men to women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nant business categor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cases where a shower room was provided for occupants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he installation ratio of shower rooms, dressing rooms and toilets altogether was low at 23% of the total, and the non-installation ratio was 36.7%, indicating poor sanitary environments.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for toilet bowls has been similar since the mid-2000s due to policy and institutional reasons. I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alternative nowadays as the overall interest in the prevention of epidemics rises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Fourth, it was found that for the rest spac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t facilities for each floor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and to introduce places to relax with various functions for exercise and relaxation.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100% of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were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 the existing laws. The ratio of the rooftop rest space using middle floors and roofs was found to be 83.3% of the total. Since the rest space of the middle floor has a large impact on the sale, it is an effective alternative plan to expand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to the external spaces of the ground floor to give benefits to both the operator and the manager. In addition, it is adjudged that for the indoor rest spaces,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install the Internet, audiovisual and exercise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t spac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public spaces in light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analyze its problems and derive improvements. However, it poses som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because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privately-supplied and sale-type centers, except for public and rental ones, and the research area was also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uture work, it is hoped that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directions for architectural plans will be conducted on various supply methods and all parts of the country, along with institutional improvements. Keywords: Public space, management space(management office, conference room, subcontracted worker’s room, mail box, unmanned courier locker, recyclables storage, parking lot), moving space(lobby, hallway, elevator, elevator hall), sanitary space(toilet, shower room, dressing room), rest space(loung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rooftop rest space)

      • 지역의 산업 및 생활환경 특성이 청년층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공혜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9599

        우리나라는 노동력을 기반으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수도권으로의 청년 인구집중으로 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간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청년인구의 지역이동은 사회적 인구 증가 및 자연적 인구 증가 효과를 동시에 유발하며, 지역사회의 경제활동 인구로서 장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인적자본의 이동이라는 의의가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 이동은 유출지역의 고령화율을 높여 지역의 경기침체 및 활력의 감소, 사회 인프라의 축소, 정주 여건 악화로 이어져 도시쇠퇴와 지방소멸을 초래하게 되어 국가와 지역 차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방정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청년인구의 유입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쏟아내었으나, 정책적 효과는 단편적이고 단기간의 성과에 그치고 있어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학계에서도 지역 차원에서 청년인구의 이동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의 범위를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 이동으로 한정하고 있거나 인구이동의 원인을 일자리·기대 임금과 같은 경제적 요인, 지역 간 거리와 같은 지리적 요인, 지역의 교육·문화 등의 사회적 요인에 관한 단편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경제적 요인을 이동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는 연구들은 지역 산업을 전통 산업의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어, 최근의 기술 및 혁신 산업에 관한 고려는 부족하다. 또한 오늘날의 청년인구는 일과 삶의 균형(Work & Balance)을 매우 중요한 가치로 두고 있어, 청년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거주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역의 정주 여건 역시 청년인구 이동의 영향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에도 이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지역의 산업과 생활환경 특성이 청년인구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정하여, 지역의 기술 및 지식집약산업과 보육환경 및 주거환경이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동하는 청년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전국의 청년인구 이동과 기술 및 지식집약 산업의 현황을 확인하여 요인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둘째, 청년 유입인구의 변화율과 산업 및 생활환경 변수들에 대한 기초통계량 분석을 시행하고, 비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청년인구 유입변화와 산업과 생활환경 간의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한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 지역으로 유입되는 청년인구 이동은 주거환경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기술 및 지식집약 산업과 보육환경은 지역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더미변수와 산업 간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본 결과, 인구 20만 미만의 비수도권 도시에 있는 ICT 산업과 고기술 제조업종은 청년인구 유입률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에 청년인구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산업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South Korea has achieved high economic growth based on its labor force. However, due to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the working-age population is decreasing. Additionally, there is a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leading to a widening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regions. Numerous studies have identified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from non-metropolitan areas to the capital region as a major cause of the widening regional disparities.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has both social and natural population growth effects, and i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ong-term development of local economies as an essential human capital. In particular, the outflow of young people from non-metropolitan area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resulting in economic stagnation, a decrease in social infrastructure, and deteriorating living conditions. This ultimately leads to urban decline and regional extinction, posing a serious problem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Local governments have recognized this issue and have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attract young people.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se policies has been questioned as their outcomes have been limited to short-term and partial achievements. Recent academic research ha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young people's migration at the regional level, bu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to the capital region and have analyzed the economic factors such as employment and expected wages, geographical factors such as distance between regions, and social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culture in a fragmented manner. Additionally, studies that analyze the impact of regional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cent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s are lacking. Moreover, today's young population values work-life balance and seeks comfortable and pleasant living environments. Therefore, the residential conditions that can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ir migration, but research in this area remains insuffici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ries and living environments influence the inflow of young people to non-metropolitan areas and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and childca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on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to non-metropolitan area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and the current status of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and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nationwide. Secondly, it conducts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hange rate of young inflow population and variables related to industries and living environments, and then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industries and living environments on the inflow of young people to non-metropolitan area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young people migrating to non-metropolitan areas prioritize residential environments, while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and childcare environment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regional migration. Furthermore, when examining the influence of regional dummy variables and industries together, ICT industries and high-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located in non-metropolitan citie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200,000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young inflow population. This implies the need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formulate industrial polic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order to attract young people to non-metropolitan areas.

      • 문화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화 재생산 및 이동성 이론을 중심으로

        김유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9595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have led to a gradual improvement in individual capabilities. Each market has also grown at an amazing rate, furthermore, the number of compani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to the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its support the Start-Up policies. However, we also see that the number of closed companies is increasing and that performance-enhancing rates for each organization are inadequate. So,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Reproduction and Cultural Mobility, the authors verified how the Cultural Capital of each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rming an organization Habitus. This paper surveye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Korea. The survey collected 547 questionnaire, and analyzed 503 effective answers except for 44 unfaithful answer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further verified using Smart PLS 3.0 to improve accuracy. The Bootstrapping program is support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s, and used common method bias to analyze the error generated by measuring to the same method. Research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bitu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all significa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both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Habitus had positive consequence on mediate effects and sequential mediate effects. The study’s academic significance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ector has expanded by studying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in management, where the research activities are less active than existing education and sociology. Second, the results proposed other perspectives by accepting and supporting both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bas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ultural Mobility Theory which utilize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during existing and constant discussions. Finally, quantitative measurements and demonstrations of the effects of Habitus, which were only actively studied in qualitative research worldwide, helped to establish a more theoretical basis clearly. The practical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makes sense by demonstrating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ncouraging the accumulation environment of cultur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instrumental in the proposal to form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positive impact on forming organizational cultur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nally, he contributed to the national policy proposals for cultural welfare by presenting the basis for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the promotion of job cre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management strategies which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ach organization will be established and the effect will appear as a positive result.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달과 정보의 보급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 각 시장 역시 놀라운 속도로 가속화하여 성장하고 있으며, 더욱이 정부의 창업 지원정책 시행으로 기업의 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폐업된 기업의 수 역시 증가하고 있어, 각 조직의 성과 향상률은 미비한 현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재생산 이론과 문화 이동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각 개인의 문화자본이 지식경영활동을 촉진하고, 조직의 아비투스를 형성함으로써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조직 활동을 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54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44부의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03부의 유효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된 결과 자료는 SPSS 26.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와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였고, Smart PLS 3.0을 활용하여 추가로 검증하여 더욱 정확도를 높였다. 그리고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구조방정식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동일 방법 측정으로 인한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방법편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문화자본과 지식경영활동, 아비투스, 그리고 조직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가 모두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매개요인인 지식경영활동과 아비투스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순차 매개효과까지 긍정적 영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교육학과 사회학에 비해 연구 활동이 다소 활발하지 않았던 경영학에서 문화자본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 둘째, 끊임없는 논쟁 가운데에 있던 조직 성과를 활용한 문화 재생산 이론과 지식경영활동을 활용한 문화 이동성 이론을 모두 수용하여 지지함으로 다른 시각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성적 연구만 활발히 이루어졌던 아비투스의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실증함으로 보다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자본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여 조직 내의 문화자본 축적 환경 마련을 장려함으로 의의를 가진다. 둘째, 지식경영활동을 촉진함으로 조직 문화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근거로 건강한 조직 문화 형성 제언에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성과 촉진과 일자리 창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 문화 복지에 대한 국가적 정책 제언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각 조직의 성과 향상을 목표로 한 경영적 전략이 수립되고, 그 효과가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제품 개발 지식원천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 ‘S' 전자의 국내 판매된 휴대폰 사례를 기반으로

        박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99501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고성장을 유지해 오고 있는 휴대폰 산업에서 제품 개발 지식원천이 시장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국내 휴대폰 시장에서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S'전자의 사례를 통해 국내외 휴대폰 시장 현황 및 신제품 개발 Process와 휴대폰 기획 Process의 유사점, 차이점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제품 개발을 위한 지식원천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08년 기획되어 2008, 2009년 국내 시장에 출시된 'S' 전자의 휴대폰을 기반으로 매출액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휴대폰 제품 개발에 있어 소비자Needs, 통신 사업자 등의 외부적인 요소들이 매출액의 영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시장을 타겟으로 기획 되는 휴대폰에서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한 마케팅이나 전락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