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Op. 30, No. 3>에 관한 분석 연구

        김수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독일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Op. 30, No. 3》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그는 고전시대의 음악과 낭만시대의 음악의 과도기적인 작곡가로, 그의 초기 작품들은 온전한 고전 시대의 형식을 보인다. 하지만 후기 작품들로 갈수록 그의 혁신적인 시도로 인해 낭만시대의 음악이 도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베토벤의 행보는 후세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음악의 역사를 변화시켰다. 베토벤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Op. 30, No. 3》은 고전적인 소나타 기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악장간의 조성 관계와 악구간의 조성 관계, 다채로운 리듬, 갑작스런 다이나믹의 변화 등 고전주의의 틀에서 벗어나는 부분들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이 곡은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초기의 곡들보다 피아노와 반주의 역할이 대등하게 연주되기 시작하는 곡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베토벤이 활동하던 때인 고전주의 시대에 낭만 음악의 요소들이 생겨난 그 배경을 살펴본 후,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에서 보여지는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작곡가 베토벤의 생애와 작품 경향, 그가 어떤 기법을 사용하여 본인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작품에 사용하였는지 연구 한 후, 연주 해석을 통해 실제 연주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about 《Sonata for Violin and Piano for sonata Op. 30, No.3》composed by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a representative German composer. He was a composer who is in the transition between classical and romantic eras, and his earlier compositions showed complete form of classical age. However, as his later works, the innovative attempts he made led to the arrival of the music of the romantic eras. His achievements not only changed the history of the music but also gave predominant influence on posterities. In 《Sonata for Violin and Piano for sonata Op. 30, No.3》composed by Beethoven, even though it was based on classical technics of sonata, Beethoven seemed to apply new techniques such as changing tonality between the movements or phrases, using humorous rhythms, applying sudden changes of dynamics in the music, and so on. Furthermore, starting from this music, the roles of piano and accompaniment were played more equally than Beethoven’s earlier violin sonata. In this thesis, we first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elements of romantic music in the period of classicism in where Beethoven mainly worked, then examine about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from Beethoven’s violin sonata. Moreove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actual performanc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Beethoven’s performance after studying his life, the trend of works, and the way of applying his idea to his work using various techniques.

      • 라오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표현 수행양상 연구 : 비교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nalyzes Laotian KSL(Korean as Second Language) learners' linguistic ability in performing politeness expression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ts finding highlights cases both in pragmatic transfer and failure caused by Laotian linguistic cultural factors. To demonstrate this, this research adopts a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hich consists of seven situations and also considers Relative Power(P) and Social Distances(D) together.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imposition for each situation, subjects are requested to mark their responses in a five-point Likert Scale. Finally, it conducted follow-up interview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as a qualitative resear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Laotian and Korean students enrolled at Korean universities both in language schools and graduated schools.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 The Laotian KSL learners tend to use avoidance strategy when they encounter a 'Face' threatening situations.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they use several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Face Threatening Act(FTA). Firstly, they use endings with respectful expressions(honorific) such as '-haeyo' not only for superiors but also for friends; Secondly, they use apologetic expressions; Thirdly, the terms of address are used as a politeness marker; and Finally, they try to make literal translation from the Laotian language. Meanwhile, Laotian KSL learners often cause pragmatic failures when they use direct and conclusive utterances because of their lack of linguistic resources. Its result would provide good reference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particularly focusing on politeness expressions, which help Laotians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gether.

      • 자유학기제를 위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

        김수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ducational value of opera collage and to suggest a novel method of instruction for opera by research in the opera collage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cable to free-semester music activity.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purposes of opera and opera collage are reviewed before the proposal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tion. A 14-class teaching/learning plan for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pplying opera collage is suggested based on this section. The opera collage program consists of 3 stages. Students learn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pera and opera collage in the first introductory stage. The second developmental stage focuse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opera music. Students choose an opera song based on their preference and practices a drama performance founded on the chosen piece. The final stage concludes with a performance and review. All class content consists of student-participation focused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ypical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e grading method uses the free-semester system’s process-based grading and other various evaluation tools. To facilitate a link betwee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s, the choice of opera pieces was limited to ones in middle school textbook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 creative musical drama specified by the intent of its creator can be conceiv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opera. Second, the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can be augmented by learning about the numerous opera music contained in textbooks. Third, a drama can be recreated based on students’ real life to be used as a musical tool to express their emotions. Fourth,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student-focused creative processes. Fifth, students are able to explore careers by roleplaying and experiencing positions in opera. The opera collage program allows a comprehensive experience in the broad artistic characteristic of opera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more, it will inspire intrinsic motivation in music, popularize opera in the public sphere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opera as being difficult and obscure, and provide a positive effect of students adopting opera in daily life. Thus, there is hope for this study to be actualized as a real class and for further research to continue developing opera collage. 본 논문의 목적은 오페라 콜라주의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고 자유학기제 음악 활동에서 활용 가능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오페라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필자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자유학기제의 개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개념 및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를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지도안 14차시를 제안하였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도입 단계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이론적 배경을 학습한다. 전개 단계는 오페라 제재곡을 학습하고 학생 참여 활동이 중심이 된다. 학생들은 선호에 따라 제재곡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극을 창작하며 오페라 콜라주 공연을 위한 연습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마무리 단계는 본 공연과 평가를 실시한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의 주요 수업 내용은 자유학기제에 추구하는 협동 학습, 토론 등 학생 참여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평가 방식은 자유학기제의 과정 중심 평가와 다양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 또한 자유학기제와 일반 학기와의 연계를 실천하기 위해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제재곡을 선정한다. 본 연구를 통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페라의 종합 예술 특성을 바탕으로 창작자의 의도에 따라 창의적인 음악극을 창작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다양한 오페라 악곡을 학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로 극을 재창작하여 그들의 정서를 표현하는 음악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넷째, 학생 중심의 창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고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오페라와 관련된 직업 탐구와 역할 체험을 통해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오페라의 종합예술 특성을 포괄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내재적 동기를 고취시키고 오페라가 어려운 음악이라는 인식을 전환 시켜 오페라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오페라를 생활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 되기를 바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오페라 콜라주의 다양한 발전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한일 초등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경제교육 내용변화에 관한 연구

        김수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경제교육 내용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 개정 내용에 대한 고찰은 사회교과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제교육의 내용 변화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분석은 교육과정 개정이 함의하고 있는 교육철학의 변화를 찾아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양국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은 비슷한 시기에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개정될 때마다 변화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는 각각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공민적 자질 함양이라는 목표 즉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경제교육은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복잡한 경제현상 속에서 삶의 질을 추구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경제적 사고방식을 습득시켜 합리적인 경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능력을 육성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우리나라 해방 이후 교수요목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상의 경제교육 내용과 같은 시기 일본의 1947년판 학습지도요령에서부터 2015년판 개정 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된 소학교 사회과 경제교육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분석을 통해 도출한 양국 경제교육의 내용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경제교육 내용 변화의 특징은 첫째, 환경확대 원리의 기계적인 적용에서 탄력적 적용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학년별로 다루어지는 경제교육의 내용과 양에 대해서는 일관된 체계성을 갖지 못하고 특정 학년에 집중되어 왔으나 개정 교육과정에서 점차 탄력적 적용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경제교육의 측면에서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과 계열성이 추구되고 있다. 경제영역에서도 학습량 감축 및 내용 중복 해소를 통해 주제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고 학습량과 수준의 조정을 통한 핵심역량이 강화되었다. 셋째, 시장경제를 기초로 하는 경제학 개념 사용이 확대되면서 교과 내용의 소재가 추가되고 있다. 기존 교육과정의 유지나 재배치가 아닌 새로운 내용의 소재들을 추가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다. 넷째, 경제 개념과 경제 원리를 중시하여 경제학 이론 부분이 교육과정에 많이 반영되고 있다. 미국의 경제교육 표준을 중핵으로 수용하여 경제개념의 원칙에 좀더 충실하게 구성하려고 하였다. 일본의 경제교육 내용 변화의 특징은 첫째, 학습자의 성장에 따라 학습내용을 통합적으로 배열하려는 원칙을 지키며 생산과 소비, 일본의 산업 그리고 자연 환경의 이용 등 지역사회 모습에서 광역도시, 국토환경으로 내용 확대를 통한 통합적 구성을 이루고 있다. 둘째, 경제학적 접근이 아닌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관심을 두게 하는 생활 밀착형 교육이다. 경제교육의 목표를 주로 지역 또는 국민 생활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 경제활동의 의의를 이해시키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학의 개념이나 이론의 학습보다는 지역이나 일본에서 실제 경제활동, 경제생활과 그 의의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일본의 초등경제교육이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지역 산업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현실 경제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방법과 함께 경제개념 이해와 경제사고력 육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경제교육은 자본주의의 구조적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적인 사회 인식, 즉 현실의 노동·생산·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노동자에 대한 사회 인식의 중요성과 노동관계의 개선, 사회복지의 증진에 필요한 태도 육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초등 사회과 경제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경제교육이 경제학 교육이 아닌 경제교육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현재 사회과 교육에서 경제교육의 영역이 확대·심화 되면서 초등의 수준에 맞게 경제학 개념을 이해하기 쉬운 표현으로 서술되고 있지만, 여전히 추상적 개념이 많은 편이다. 보다 효과적으로 사회과 목표인 민주시민의 책임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경제학 이론 중심의 개념 사용이 아닌 생활경험과 체험 위주의 교육과정이 교과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활 중심의 체험학습 확대를 통하여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제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경제교육의 내용이 학습자의 흥미를 끌고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계속성 및 계열성의 원리에 따라 학년별로 균형있게 배치되고 조직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 내용의 연계성과 영역 간 통합성을 지향하여 학습 내용의 적정화를 통해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경제교육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 일관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학년별로 다루어야 할 기본 경제개념 및 원리에 대한 표준안을 정립하여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경제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시급하다.

      •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사정과 관리 및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태도

        김수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사정과 관리 및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에 100병상 이상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노인요양병원에 방문하여, 2017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 중 근거기반 통증사정과 관리 수행도는 홍성정과 이은주(2012)가 국내타당성을 조사한 RNAO (2007) 가이드라인을 김희량 등(2016)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근거기반 실무태도는 Aarons (2004)가 개발하고 홍인화와 은영(2015)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고,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증사정 권고사항 수행도가 높은 항목은 통증사정기록(3.67±0.59), 통증 재사정(3.66±0.65), 통증사정 파라미터(3.65±0.65)에서 수행도가 높았다. 반면에 통증사정결과에 대한 의사소통(3.07±0.67), 광범위한 통증사정(3.24±0.74)이 다른 권고사항에 비해 수행도가 낮았다. 2. 통증관리 권고사항에서 수행도가 높은 항목은 효과적인 기록에 대한 수행도(3.62±0.74), 마약성 진통제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오심·구토에 대한 수행도(3.58±0.60)이었다. 수행도가 낮은 항목은 통증관리 계획수립 항목에서 수행도(2.83±0.76)와 약물적 관리에서 적절한 진통제 선택에 대한 수행도(2.94±0.73)이었다. 3.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태도에서는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3.15±0.67점이었다. 가장 태도가 높은 항목은 ‘내가 그것을 정확하게 상용하는 방법을 충분히 배웠다고 느끼면 적용할 것이다’ 가 3.65±0.88점, ‘이치에 맞는다고 생각되면 적용될 것이다’ 가 3.37±0.95점이었고, ‘나는 대상자를 돕기 위해서 새로운 유형의 치료나 중재를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는 2.96±0.97점, ‘직관적으로 호감이 생긴다면 적용할 것이다’ 는 2.92±1.00점으로 낮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증사정 수행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요양병원 근무특성에 따라서는 근무유형(F=3.13, p=.009), 초과근무시간(F=3.95,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증관리 특성에서는 통증경험 있는 군(t=3.24, p=.001), 통증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한 군(t=4.39, p<.001), 근거기반 통증관리 간호지침에 대해 알고 있는 군(t=3.50, p=.001), 임상통증관리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에(F=3.48, p=.033)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증관리 수행도는 직위(F=3.72, p=.026)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증관리 특성에 따라서는 통증교육 경험 유무(t=4.38, p<.001), 통증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한 군(t=3.97, p<.001), 근거기반 통증관리 지침을 알고 있는 군(t=3.10, p=.002), 통증관리 지침을 임상에서 항상 준수하는 군이 다른 군보다 통증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았다(F=3.41, p=.035).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태도는 결혼상태(t=2.07, p=.039), 이전병원 근무경력이 있는 군(t=2.08, p=.03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요양병원 근무특성에 따라서는 현 요양병원 규모(F=3.83, p=.023)와 근무유형(F=2.70, p=.02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호스피스병동이 있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t=2.18, p=.030). 통증관리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통증사정 수행도와 통증관리 수행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75, p<.001),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태도는 통증사정 수행도(r=.24, p<.001)와 통증관리 수행도(r=.25, p<.001)와의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근거기반 통증사정 및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통증사정 수행도(3.46±0.48)는 통증관리 수행도(3.32±0.52)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통증사정 결과에 대한 다학제팀과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해 통증관리 계획수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 다학제팀과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통증사정과 관리에 대한 표준화된 양식의 개발 및 확산이 필요하고, 노인요양병원 간호사가 독자적 기능을 할 수 있는 비약물적 통증관리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는 근거기반 실무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임상 적용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볼트를 이용한 PHC 파일 연결기구의 응력 해석

        김수은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 사용된 PHC파일을 연결하는 방법은 기존의 PHC파일 연결 방법과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볼트조립공법은 강판과 수평 및 수직 볼트를 사용하여 PHC파일 연결 부위를 연결한다. PHC파일 연결은 L형판, 원형판, 사각 너트, 수평 볼트 및 수직 볼트로 구성된다. 수직 볼트는 PHC 파일과 L형판, PHC파일 및 원형판을 연결하며, 사각 너트는 원형판에 용접된다. 수평 볼트는 L형판 측면의 구멍과 원형판에 용접된 사각 너트를 조여 PHC파일을 연결한다. PHC말뚝의 구조적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PHC말뚝과 볼트 연결부는 유한 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BAUQS를 사용하여 3D Solid 모델로 모델링 하였다. 실제 볼트 체결은 ABAQUS에서 사용되는 Contact 및 Tie 조건에 의해 연결되었다. Mesh는 정사면체 형태이며, 구멍이 있는 곳은 더 세밀하게 분할하였다. PHC파일 연결에 대한 분석은 압축, 인장, 휨 및 전단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은 사각너트의 수를 8개에서 12개까지 증가시키면서 진행하였고, 안전 계수는 분석 결과와 항복 응력을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8개의 사각 너트가 있을 때, 압축 및 인장 해석에서 항복이 발생했다. 이를 강화하기 위해 사각너트 수를 2개 증가시켰다. 사각 너트의 숫자가 10일 때, 인장 해석에서 항복이 발생하여 2개의 사각 너트를 늘려 보강하였다. 사각 너트의 수가 12인 경우, 4개의 해석에 대한 모든 연결부의 안전율이 1 이상 계산되었다. 따라서 사각 너트의 수가 12개일 경우 PHC파일 연결부의 안전 계수가 압축, 인장, 휨 및 전단 해석에서 1보다 크기 때문에 PHC파일 연결부의 안전성이 확보된 것을 확인하였다.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HC file used in this study differs from the original PHC pile connection method. The bolting method used in the study uses steel plate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bolts to fasten the PHC pile connections. The PHC pile connection consists of a L-section plate, a circular plate, square nuts, horizontal bolts and vertical bolts. The vertical bolts connect the PHC pile and the L-section plate, the PHC pile and the circular plate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square nut is welded to the circular plate. The horizontal bolts connect the PHC pile by tightening the hole in the side of the L-section plate and a welded square nut that is welded to the plate.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PHC pile, the PHC pile and bolt connections were modeled to 3D solid model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BAQUS. The actual bolted connection is idealized by the contact and tie condition given in ABAQUS. Mesh is a regular tetrahedron form, and where holes are more finely separated. The analysis of the PHC pile connection was carried out for compression, tensile, bending and shearing. The analysis progressed the number of square nuts from 8 to 12 and the safety factor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yield stress. When there were 8 square nuts, the yield occurred in the compression and tensile analysis. To reinforce this, the number of square nuts increased by 2. When the number of square nuts was 10, the yield occurred in the tensile analysis so increased the two square nuts to reinforce it. When the number of square nuts was 12, the safety factor of all connections for all four analysis was calculated above 1. Thus, when the number of square nuts is 12, the safety of the PHC pile connection has been secured because the safety factor was greater than 1 in compression, tensile, bending and shear analyses.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용을 위한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개발

        김수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that can contribute improvement of clinical nursing competency by helping the build-up of systematic assessment capability and evaluate the protocol by applying it to the clinical practice cours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During the clinical training course of adult nursing held between August 29th and October 5th, 2022 in K university hospital, 23 students among 36 third-year students assigned to two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is protocol after implementation, changes in scores of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path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i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were analyzed. Their perception of the Patient Rounding Scale was measured only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tocol.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fo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comprised nine assessments and referral to a nurse if needed: level of consciousness, pain, personal needs, position, intravenous injection, oxygen supplying system, nasogastric/ nasoenteric tube, maintenance of urine bag, and environmental risk for fall. Participants did intentional rounding at least 2 times per da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ommunicational and interperson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hile score changes of empath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not significant. In qualitative evaluation, four main topics including relational growth, getting to know the practical field, becoming a nurse, and facing reality barriers were drawn. Conclusion: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encourages nursing students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nurses,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linical training. It would be effective for clin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to nursing practice courses would be expected. Thi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fostering of competent nurses who are essential fo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이루어지는 관찰 학습보다는 체계적 사정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임상적 판단 능력 증진과 실무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도적 간호수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실습에 적용하여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개발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임상실습에 적용한 후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의도적 간호순회적용 전, 후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효능감, 공감능력, 그리고 환자안전역량을 측정하여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일군 전후설계이며, 프로토콜 적용 이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순회 인식을 적용하였다. 2022년 8월 29일부터 10월 5일까지 K대학병원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중 내과계 간호단위이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두 곳에 배정된 3학년 36 명 중 23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로 초점집단면담을 5명에게 실시하였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의식수준 사정, 통증 사정, 개인요구 사정, 체위 사정, 말초정맥주입 사정, 산소 사정, 비위(장)관 사정, 소변주머니 사정, 낙상예방을 위한 환경 사정으로 구성된 프로토콜이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수행 후 정량적 평가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효능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공감능력과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에서 관계의 성장, 현장을 알아감, 간호사가 되어감, 현실에 부딪히는 장애(벽)의 4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로써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어 임상실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하며, 또한 환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임상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표준화된 간호순회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임상에서 요구되는 실무중심적인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터넷 영어학습 사이트를 활용한 초등학교 3학년 6명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관한 연구

        김수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자는 수업 시간 이외의 시간을 적극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EBSe 영어학습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면소재지의 소규모 학교의 3학년 1개 학급 6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16주 동안 주 3회씩 컴퓨터실에서 아침활동과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EBSe 인터넷 영어학습 사이트를 활용한 개별학습을 하였다. 아동들은 스스로 일주일 단위로 학습할 프로그램 내용과 시간을 정하는 계획을 세웠고 계획에 따라 학습하며 학습일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학습일지에 매일 자기 평가를 하였으며 매주 소감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자는 학습일지를 구안하였고, 아동들의 학습을 안내하였고 학습활동을 도왔으며, 관찰·면담한 내용의 일지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모든 활동의 분석을 통해 각각의 아동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명의 아동 중 선경, 자은이, 혜민이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였다. 이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학습을 하였으며 자기평가와 소감문 쓰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매주마다 잘 수행하였다. 즉 선경이와 자은이는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학습일지를 잘 작성하였고 후속활동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자신의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하여, 후속활동으로 우유팩 카드를 만들어 게임 활동을 하며 단어나 문장을 익혔다. 특히 본 연구 전에 자기 주도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혜민이는 ‘초등 3학년 영어’와 ‘SEL 2(Ⅱ)’ 프로그램을 매주 규칙적으로 학습하고자 계획을 세웠고 본인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끝까지 학습하기 위해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세워 학습하는 점이 관찰되었다. 후속활동으로도 혜민이는 친구들과 달리 자신만의 단어 수첩을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바다는 자기 주도적 학습에 있어 중간적인 위치에 있었다. 영어학습 능력은 우수한 편은 아니었으나 계획에 의한 학습, 자기 평가는 잘 수행하였다. 그러나 면담 내용을 보면 선생님께 칭찬 받고 싶어서 열심히 하였다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내적 동기가 약함을 알 수 있었고 영어 공부하는 시간이나 양을 선생님이 정해주면 좋겠다는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수완이와 미라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완이는 학습계획을 세움에 있어서도 친구들이 하는대로 따라하는 경우가 많았고 학습활동에도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관찰되었다. 미라는 한글의 읽기, 쓰기에 어려움이 있어서 학습일지를 기록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영어학습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둘째, 아동들은 모두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정의적 영역의 향상을 보였다. 자기평가를 보면 아동들은 거의 ‘잘 했어요’에 표시하였고 ‘보통이에요’에는 가끔 표시하였으며 ‘노력할게요’에 표시한 경우는 한 번도 관찰되지 않았다. 소감문의 기록을 보면 아동들은 학습에 대한 재미, 더 많이 공부하고 싶은 욕구, 듣기, 읽기 등의 향상으로 자신감 상승 등의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혜민이의 경우 ‘앗싸~’ 등의 표현을 사용하며 흥미를 표현하고 있고, 수완이의 경우 소감문의 내용이 항상 ‘재미있다’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인터넷 무료 영어학습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아동의 눈높이에 맞추어 개발되어 주기를 기대한다. 이는 사교육비의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며 우리나라 영어 교육 발전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how autonomously six Korean third graders learned English utilizing an English Internet site while their teacher guided them at a computer lab three times a week for sixteen weeks. Every week each child planned which content at the Internet site they would utilize and performed their study based on their own study plans, and kept learning diaries. The researcher helped them at the lab whenever they asked her, and wrote observation reports usually after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ll six performed their English studies various ways. Among the six children, Sun-gyeong, Jah-eun and Hye-min performed self-directed learning very actively. These children made their study plans and performed learning activities, evaluated their learning and kept learning diaries diligently every week. That is, they utilized the Internet site in self-directed ways. Sun-gyeong and Jah-eun competed with good intention and tried very hard to utilize the Internet site for their English study. In addition, they had suggested many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ze the words learned at the Internet site so that they could learn words and phrases while performing the activities. Particularly, Hye-min, who was not an active learner before the study, planned to learn ‘English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at the Internet site and chose ‘SEL 2(Ⅱ)’ programs for her English study every week on a regular basis. Hye-min wanted to make her own word cards in her own way writing four words in one page, while the others made word cards putting down one word each card. During the winter vacation, however, Sun-gyeong and Jah-eun performed their English study utilizing the Internet site as they planned, while Hye-min did not utilize the Internet site regularly as she had planned. Bada's self-directed learning at this study was less active than Sun-gyeong, Jah-eun or Hye-min. English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 was not very excellent, but she performed learning and self-evaluation as planned. Outside the class, she performed learning activities quite actively such as repeating English words loudly and writing English words on the board during lunch time. However, she said that she studied English hard because she wanted to be praised by the teacher at an interview, and revealed her passive attitude towards her English learning. Although she had planned for self-directed learning during the winter vacation, it was observed that she put the plan into action. All in all, at this study Bada did not study English as ctively as Sun-gyeong, Jah-eun and Hye-min did. Su-wan and Mi-rah did not utilize the Internet site actively while they took part in the study. S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was rather passively performed at this study. They followed the process of this study well, but did not show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In many cases, Su-wan just imitated the friends for making plans for learning and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learning activities at the class. Since Mi-rah's learning ability of Hangul was behind, she had difficulties to read and write Hangul so that she could not perform the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due to difficulties in recording her learning at her learning diary Although she made words cards as her friends did, she did not seem to know how to utilize the word cards. She did not or could not utilize the internet site during the winter vacation. At individual interviews, Su-wan and Mi-rah said that they preferred teacher-directed English learning to self-directed English leaning. Second, all of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 in affective domain while participating in the study. At their learning diaries, they evaluated their learning in three different ways: 'I did good job', 'My effort was average' or 'I need to try even harder'. All of the children marked 'I did good job' in the most cases, 'My effort was average' sometimes but never 'I need to try even harder'. It means that they were so confident about their trials and efforts to learn English while they took part in the study. At their learning diaries, they wrote their interests in learning, willingness to study more, increase in self-confidence and their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improvements. ‘The class was Interesting’, and ‘the class was good’ were the most frequently written in the learning diaries. In the case of Hye-min, she described her interests by using expressions like 'Wow~' and Su-wan always wrote 'the class was interesting' in his learning diary. In conclusion, the six third graders' English learning based on the Internet site was performed in self-directed ways. The Internet site helped them stimulate and promote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 current study was a good example to show that Internet-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s can be utilized successfully for elementary students. The current study results imply that more Internet-based English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who need to be helped regardless their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 한국형 엘리트의 탄생 : 동남아시아인 한국(어)학 전공 대학원생의 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knowledge mobility in western-centric globalized academia, based on a qualitative survey of the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t Kore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tudents’ scholar/researcher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nd at their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policy aspect of Korea that involves attracting more foreign students and expand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Southeast Asian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is a compromise of their semi-global dreams. The mo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usually focuses on the US/West, the perceived center of economy and academics. Choosing Korea as the loc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jobs and trying to achieve the dream of becoming a knowledge elite through Korea not only requires compromises and rationalization but also affects students’ elite identity and attitude after studying abroad. Second, this thesis clarifies how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void discrimination through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responses by intertwining their identity as a university student in Seoul with their identity as a Southeast Asian, which, on its own, often evokes low status connotations in Korean society. The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people of their country of origin by emphasizing their personal value and abilities and sometimes resort to agreeing with the assertions of discrimination in order to ingratiate themselves wi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eir experience of neglect and alienation within the academic setting of Korean Studies (or language)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erfection of the elite identity they pursue. Third, this thesis presents their elite identity as that of a “Koreanized elite.” This term implies an imperfect elite identity created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Korean academia that they have acquired while studying in Korea, in conjunction with the economic dependency rooted in the ongoing master-disciple relations and research grants affecting them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hile they are professors of Korean Studies (and/or language) at their local universities, they are not fully recognized as Korean Studies scholars within the realm of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As both beneficiaries and co-conspirators of Korea's national promotion, these Southeast Asian scholars maintain multifaceted and complex feelings for Korea. This thesis highlights knowledge mobility from the periphery to Korea, whi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se Southeast Asian students, whose aim is upward class mobility by studying abroa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lites, and how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 continues to affect their elite identities beyond their periods of academic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