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포츠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범진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2025 국내석사
본 연구는 스포츠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지도자 신뢰 및 운 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스포츠 지도자들이 적절한 커뮤니케 이션을 통해 스포츠 현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도전략 수립에 기 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에 소재한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 및 스포츠 활 동 참가자 중 지도자에게 6개월 이상 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는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불성 실한 응답을 한 12부를 제외한 최종 188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방법은 PASW 22.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 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지도자의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은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지도자의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은 운동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의 지도자 신뢰는 운동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스포츠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지도자 의 신뢰 및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도자는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잘 인지하 고 습득하여 수업만족이 높이고 스포츠 참여자들로 하여금 운동을 지속하 고자 하는 운동 지속의사를 높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지도자는 운동 참여자들에게 지속적인 개인 상담과 지도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다양한 운동 경험을 통해 운동 참여자와 소 통함으로써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즐겁고 유용하게 운동을 지도해야 될 것이다. 지도 시 호응, 이해를 돕기 위한 제스처 등을 충분히 화용하여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관 리, 개발 및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용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스포츠 지도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지도자 신뢰, 운동지속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지도자신뢰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균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This study is to conduct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s in followership, leader trust, and movement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35 students of northwestern Chinese martial arts majoring in 6 universities located in Liaoning Province, China, who composed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that can be analyzed and excluded from analysis after passing through are coded,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I got the same result. Firs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of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is positive (+) on the sub-factor of followership, activenes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s positive (+) on independence, a sub-factor of followership.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of the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ability, which is a sub-factor of trust in the lead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of the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sense of achievement, which is a sub-factor of athletic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followership of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 in China did not affect the trust in the leader. Fifth, it was found that the followership of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 in China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ports. Sixth,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 trust (sincerity, ability) of Chinese martial arts instructor had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athletic satisfaction. 본 연구는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지도자신뢰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국 랴오닝성 소재 6개 대학의 중국무술 중 소북권 전공 학생들 735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회수한 후 답변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사전검색을 거쳐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자료는 부호화(coding)하였으며, SPSS 26.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지적자극, 개별적고려)은 팔로워십의 하위요인인 능동성,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자극, 개별적고려)은 팔로워십의 하위요인인 독립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은 지도자신뢰의 하위요인인 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은 운동만족의 하위요인인 성취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팔로워십은 지도자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팔로워십은 운동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소북권지도자의 지도자신뢰(성실성, 능력)는 운동만족의 하위요인인 성취감과 환경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지도자의 셀프리더십이 지도자신뢰 및 회원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he leader trust and members satisfaction of swimming coac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6 people selected from using people for swimming pool in JeonRaBukDo JeonJu city, Iksan city, Gunsan city. Samples were extracted by purpose sampling method. 240 surveys were collected, and removing those that have no or insufficient answer, total 216 surveys were used as data in actual analysi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by self-leadership of swimming coach. Using SPSS 18.0 version for Window, freque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carries out Scheffe' for posteriori tests, and also carries ou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figure out the relation of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relationship of swimming coach self-leadership by swimming members personal characteristic",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ta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factor of gender, age, career of swimming, and of the job. Second, "relationship leader trust of swimming coach self-leadership would make an influence on sincerity(constructive thought), ability(constructive thought, behavior center, natural compens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factors of sincerity, ability have a meaningful influ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der trust. Finally, "relationship members satisfaction of swimming coach self-leadership would make an influence on satisfaction(constructive thought, behavior center), dissatisfaction(constructive thought, behavior center, natural compens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factors of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have a meaningful influ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members satisfaction.
실업팀 복싱 지도자의 신뢰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팀 동료관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검증
박원희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이 연구는 실업팀 복싱 지도자 신뢰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팀 동료관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에 위치한 복싱 실업팀 엘리트 선수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지도자신뢰, 대인관계 유능성, 팀 동료 관계, 운동지속 차이 검증한 결과, 팀 동료 관계의 하위요인 동료지지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팀 경력에 따른 지도자신뢰, 대인관계 유능성, 팀 동료 관계, 운동지속 차이 검증한 결과, 지도자신뢰의 하위요인인 배려성과 팀 동료 관계 하위요인 유대감에서 4년 이상 경력 집단이 4년 미만 경력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와 운동열정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지도자 신뢰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팀 동료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신뢰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
박태윤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이 연구는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발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생활체육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다단계 유층집락무선표집(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의 표본추출은 서울시 4개지역(강남, 강북, 강동, 강서)에서 선정된 각 2개소씩, 총 8개소의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생활체육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각 30명씩, 총 240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으며,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되었다. 실제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총 197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측정도구는 Chelladurai와 saleh(1978)가 개발한 스포츠 지도자 행동 검사지(Leadership Scale for Sport: LSS)를 사용하였고, 지도자신뢰 측정도구는 Schindler와 Thomas(1993)가 개발하고 이재연(2002)이 번안·표준화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지도만족 측정도구는 Weiss 등(1967)이 개발한 미네소타만족질문지(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설정된 변인의 하위영역별 신뢰도검증과, 각 변인별로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산출 및 일원변량분석과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지도자신뢰,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들이 연령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권위적으로 느끼고, 수입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에 긍정적으로 느낀다. 또한 운동기간이 길수록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에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한편, 권위적 행동에 있어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운동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2-3일 참가하는 집단이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권위적 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운동강도에 따라서는 훈련과 지시행동에 있어서는 1시간 이상 참가집단이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집단이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민주적, 사회적 지지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노인체육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신뢰는 수입,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강도, 동거형태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수입이 많을수록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으며, 운동기간이 길수록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다. 운동시간이 길수록 성실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으며, 혼자 사는 노인들이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연령, 수입, 운동빈도, 교육수준, 동거형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연령은 68-71세 집단이 내재적인 만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으며, 수입이 많을수록 외재적, 내재적 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운동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2-3일 참가하는 집단이 외재적, 내재적 만족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초졸집단이 외재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집단이 외재적인 만족을, 부부 및 자녀 집단이 내재적인 만족을 느끼고 있다. 둘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능력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성실성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일관성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일관성, 개방성에 신뢰를 한다. 반면에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능력에 대한 신뢰는 줄어든다. 셋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체육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외재적, 내재적으로 만족을 느낀다. 넷째, 노인체육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신뢰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체육 지도자의 성실성과 개방성 측면에서 신뢰를 하게 되면 노인들은 외재적, 내재적으로 만족을 느낀다. 다섯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은 인과관계가 있다. 즉, 지도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지도자신뢰는 지도유형과 지도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중국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수행능력 및 무용자신감의 관계
유약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of Chinese dance majors. and to provide academic materials for the dance professional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ir dance ability, so a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variables of the instructor trust were set as altruism, sincerity and ability of openness. the variables of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were set as dance performed confidenc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the variables of dance confidence were set as physical confidence and internal confidence.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 hypothesis research model was set up, and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support the research resul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32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dance in 11 provinces of China, mainly Hebei province and Guangxi province. In the recovered questionnaire, apart from 17 respondents who believed tha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had no credibility (double-filled, unfilled, false information, etc.), 315 respon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dance confidenc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some attention differences have not been verified, and all factors such as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have no average difference in attention statistically. 2) According to different grade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dance major student in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In the instructor trus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altruism, sincerity and ability of openness. I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ance performed confidenc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In the dance confidence,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onfidence. 3) According to different major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dance major student in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In the instructor trus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altruism, sincerity and ability of openness. I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ance performed confidenc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and dance performed achieve. In the dance confidence,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onfidence and internal confidence. 4) According to the different dance experiences, among the differences of dance major student trust on the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there is no statistically average difference in all the factors of trust on the instructor trust. I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dance performed confidenc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In the dance confidence,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onfidence and internal confidence. Second,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 instructor trust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1) In the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their instructors trust, only altruism has a noticeable effect on the dance performed confidence 2) In the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their instructors trust, only sincerity has a noticeable impact on the dance performed achieve. 3) In the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their instructors trust, altruism and sincer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1) Among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the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hysical confidence. 2) Among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the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nternal confidence. Fourthl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 instructor trust and dance confidence 1) Among the instructor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None of the three factors has any influence on physical confidence statistically. 2) Among the instructor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altruism has a noticeable effect on their internal confidence
대학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가 스포츠자신감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이혜선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가 스포츠자신감과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지도자신뢰와 경기력에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한유도회에 등록된 대학선수 33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되었다고 판단되는 자료 30부를 제외한 총 300부의 설문지가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의 하위요인 중 감성적 신뢰와 행동적 신뢰가 스포츠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신뢰는 스포츠자신감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정신적 준비와 코치지도력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도자신뢰의 하위요인 중 행동적 신뢰와 감성적 신뢰만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스포츠자신감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지지에만 인지된 경기력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지도자신뢰와 경기력과의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선수들의 높은 경기력에 있어 지도자와의 신뢰가 중요하다. 또한 평소에 지도자를 신뢰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스포츠자신감은 경기력에 승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자는 강압적인 지도가 아닌 선수를 이해하고 인격적으로 존중하며, 선수들에게 긍정적인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면 선수들도 지도자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경기상황에서도 신뢰하는 지도자의 지시를 통해 자신감을 얻어 최상의 경기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자신감이 지도자신뢰와 경기력사이에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입증하였지만, 스포츠자신감 만으로는 경기력 향상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외에 경기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적용시킨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judo players’ trust in their instructor on the sports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while identifying any mediator effect of sports self-esteem in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sports performance. This study subjects were 330 university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Judo Association. A total of 300 sets of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valid final samples in this research, excluding 30 sets deemed poorly answered or missing some of the contents. SPSS 23.0 program was employed herein for data research to run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emotional trust and behavioral trust among the sub-factors of university judo players’ trust in their instructo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ports self-confidence. Cognitive trust showed a significant effects solely on physical/mental preparation and coach’s leadership among the sub-factors of sports self-confidence. Of the sub-factors of instructor trust, behavioral trust and emotional trust affected perceived game performance. Among the sub-factors of sports self-confidence,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game performance.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trust and game performance, sports self-confide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or effect. To sum the findings above, instructor trust is important in producing high performance of athletes. It was also found that sports self-confidence could work as an important factor for athletic performance and game result. Therefore, instructors need to understand and respect players with positive caring instead of coercive training. Then, players would improve their trust in instructors while gaining more confidence from their trusted instructors in game play to realize their best performances. This study proved that sports self-confidence functioned as an important parameter between trust in instructor and athletic performance. However, since the sports self-confidence alone cannot be clearly explained as a factor determining players’ athletic performance, subsequent study is necessary to apply diverse other parameters usefu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본 연구는 골프지도자 이미지와 지도자 신뢰, 고객충성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고객회원의 골프지도자에 대한 신뢰 향상과 골프참여의 기회를 넓히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K, J시의 지역구별 골프연습장 이용고객을 모집단으로 하고 성별, 연령을 고려한 유층집락무선표집 방식에 의해 선정한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3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지도자 이미지와 지도자 신뢰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었다. 둘째, 골프 지도자 이미지와 고객충성도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었다. 셋째, 골프 지도자 신뢰와 고객충성도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었다. 넷째, 골프 지도자 이미지와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지도자 신뢰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지도자 신뢰가 실업 태권도 선수의 의사소통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이미연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 신뢰가 실업 태권도 선수의 의사소통과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태릉선수촌에 입촌한 실업팀 선수들을 제외 한 나머지 실업팀 선수 191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도자 신뢰, 의사소통, 경기력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능력, 일관성, 충성심, 개방성 요인이 높아질수록 의사소통(개방형)과 경기력(지능, 정서, 동기, 정신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신뢰가 실업 태권도 선수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성실성, 능력, 개방성이 실업태권도 선수의 의사소통 하위요인 중 개방형 의사소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 신뢰가 실업 태권도 선수의 경기력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능력, 일관성, 충성심, 개방성이 실업 태권도 선수의 경기력의 하위요인 중 지능, 정서, 동기, 정신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지도자의 신뢰가 의사소통과 경기력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ach’s trust and Taekwondo competiter's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of corporate tea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on 191 players of corporate teams except for players training in Taeneung Korea National Training Center. Validity test and reliability test of the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on coach's trust,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by using SPSS 21.0. Based on these method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integrity, ability, consistency, faithfulness and opennes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oach's trust, the higher communication (open type) and performance (intelligence, emotion, motivation, mental strength). Second, coach’s trust had significant effect on Taekwondo competiter's communication in corporate teams. coach's integrity, ability and openness had positive (+) effect on open communication among sub-factors of Taekwondo competiter's communication of corporate teams. Third, coach's trust also had significant effect on Taekwondo competiter's performance of corporate teams. coach's ability, consistency, faithfulness and openness had positive (+) effect on intelligence, emotion, motivation and mental strength among sub-factors of Taekwondo competiter's performance of corporate teams. In sum, it is interpreted that coach's trust had significant effect on Taekwondo competiter's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태권도 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작용이 지도자신뢰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act with leaders in the Taekwondo players to find out how this affects the leader trust and athletic performance. Research participants to achieve the aim was selected for the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of 330 people registered with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Data collection was used for leaders and player interaction, trust leaders, athletic performance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used with SPSS 21.0. Through this process wer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interaction of leaders and taekwondo athlete gives a posi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credibility. That leader is a frequent dialogue with the players and, to map the technology to develop a career, to the encouragement to give the confidence and know-how for the efforts and guidance to pursue a player and belief the players to have a leader confidence positive It gives the effect.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leaders and taekwondo athlete gives a posi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That leader is leading technology players and frequent conversations, and so raise a career, and to the encouragement to give the confidence and know-how for the efforts and guidance to pursue a player and faith is the player to increase athletic performance It gives a positive effect. Third, Taekwondo leaders confidence gives a posi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of athletes. That is a better life movement Taekwondo athletes feel the intimacy and trust for the assessment and recognition of coaches and integrity of the ability of the leaders to gi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gnitive performances. 이 연구는 태권도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작용이 지도자신뢰와 운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참여자는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 등록을 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 33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지도자와 선수 상호작용, 지도자신뢰, 운동성과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기초통계 값의 기준치를 넘지 못한 13개 설문지를 제외한 317개 설문지로 자료처리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태권도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작용은 지도자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지도자는 선수와 자주 대화를 하고, 선수경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술을 지도하며, 자신감을 주기위한 격려를 하는 것 그리고 선수와 믿음을 쌓기 위한 노력과 지도를 위한 노하우는 선수가 지도자신뢰를 갖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태권도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작용은 운동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지도자는 선수와 자주 대화를 하고, 선수경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술을 지도하며, 자신감을 주기위한 격려를 하는 것 그리고 선수와 믿음을 쌓기 위한 노력과 지도를 위한 노하우는 선수가 운동성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태권도지도자신뢰는 선수의 운동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태권도선수가 지도자의 능력에 대한 평가와 성실함의 인식 그리고 지도자에 대한 믿음이나 친밀감을 느끼는 것은 운동생활을 더 잘 하고 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