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사립 고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생활지도와의 관계

        강호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adaptation of students at school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enhance students's values,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their behaviors. So as to help this,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vate or public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tudent guidance to help find solutions to meaningful student guidance. Also, this paper analyzes how job satisfaction affects student guidance. It is assumed with the results that positive elements should be reinforced and negative ones improved. The purpose is to help teachers become more capable in guiding student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 guidance, and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the following issues have been set. A. Does job satisfaction degree to which teachers of high school perceive mak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B. Does student educational guidance that teachers of high school perform mak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C. What relationship is betwee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of private or public high schools and student educational guidan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tools for research, and the questions of KTO(Korean Teacher Opinipnnaire) and those of Kim Chang Geol(2003)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Also, so as to measure student guidance, items developed by Wi Kyung Su(2008) were used as a basis and chosen items were refined to be used. There were 24 job satisfaction questions and 16 questions for student guidance. The total number is 40. The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410 teachers in public or private high schools, and 37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However, since 21 questionnaires were not good enough, 354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executed t verification, member fluent assay, verification after one's death, correlation analysis for analysis about special quality by investigation subject person's variants. Special quality by variables were divided by sex, teaching profession antecedents, position and by school establishments, and divided by establishment are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institution. Divided by sex are male and female teachers. Divided by position are head teachers of departments and general teacher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n data analysis is α =.05. The statistics process program uses in processing of data uses and handled SPSS/Win 15.0.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getting through the above process. Research issues A. Does job satisfaction degree to which teachers of high school perceive mak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igh school teachers' sense of job satisfaction was an average of 3.60, and low rank areas appeared self-identity, educational guidance, teaching subjects, class management, mutually cooperation and professionalism extension. Seeing this, the teachers sense the lowest in self-identity in the highest category and the lowest in administration work. That is, the teachers recognize the professionalism well and have a pride in their jobs.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regarding sex,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foundation of the school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positions. Head teachers are more active in doing their jobs and have more satisfaction than normal teachers. Gender was not important in job satisfaction, but in student guidance, male teachers have got more satisfaction than female one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is because male teachers are more active. Teaching experiences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but administration work, student guidance, innovation and satisfaction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Under the Scheff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n and twenty-one years and between eleven and twenty-one years in administration work, and between ten and twenty-one years in student guidance and between ten and twenty-one years in innovation and satisfaction in life at school. This indicates that teachers with more job career do their work more flexibly with more experiences and know-how and feel more satisfied. With regard to the position, head teachers had more satisfaction than general teach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Head teachers'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administration work, classroom management, student guidance, innovation and satisfaction, and self-identity in the analysis into the low areas. They are more active in what they do, and this shows their higher satisfaction. School establishment did not g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in lower area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ubject teaching, student guidance, innovation and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he private school teachers especially had a good deal of satisfaction in innovation and satisfac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public school teachers. B. Does student educational guidance that teachers of high school perform mak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 teachers appeared to do their job passionately and sincerely in students guidance especially in low areas such as the sympathy of student affairs,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understanding students and how to guide. Among the low areas, how to guide was recognized most important. It is followed by understanding students,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the sympathy of student affairs. This shows that the teachers consider how to guide and understanding really important. Regarding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nd school establishment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여 건전한 가치관의 형성 및 교우관계, 생활태도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의 학생생활지도에 있어 공·사립 고등학교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느끼는 직무만족도가 학생생활지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의미 있는 학생생활지도를 위한 방안을 찾는 과정에 도움이 되기 위해 공·사립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생활지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여 긍정적인 요소는 더욱 활성화시키고 부정적인 요소는 개선하면서, 직무만족을 극대화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생활의 교육활동에서 학생생활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다양한 사회변화와 학생들의 가치관 및 생활 태도에 적응하고 지도하기 위한 유능한 교사와 학교가 되도록 하는 데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공·사립 고등학교 교사들이 느끼는 직무만족도와 학생생활지도에 관하여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이나 학생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고등학교의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도는 배경 변인별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나. 고등학교의 교사가 수행하는 학생생활지도는 배경 변인별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다. 공·사립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생활지도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실시했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개발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KTO: Korean Teacher Opinipnnaire)의 문항과 김창걸(2003)이 제작 사용한 것을 기초로 하였고 교사의 학생생활지도를 측정하기 위해 위경수(2008)가 제작 사용한 것을 기초로 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문항을 선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 24문항, 학생생활지도 16문항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공·사립 고등학교 교사 410명을 무선 표집하여 배포, 그중 375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21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54부를 통계 처리 하였다. 통계 처리 방법은 조사 대상자의 변인별 특성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별 특성은 성별, 교직경력, 직위별, 학교설립별로 나누었으며, 설립별 구분은 공립과 사립으로, 성별 구분은 남교사와 여교사로, 직위별 구분은 부장교사와 일반교사로 구분하였다. 자료 분석에서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하고 자료의 처리에 사용한 통계 처리프로그램은 SPSS/Win 15.0를 사용 처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가.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도는 배경 변인별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 직무만족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지각 수준 전체 평균은 3.60으로 나타나 보통 이상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자기정체감, 생활지도, 교과지도, 학급경영, 상호협동 및 전문성 신장, 혁신도 및 만족도, 인간관계, 행정업무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볼 때 고등학교 교사들은 직무만족의 하위영역으로 ‘자기 정체감’에서 가장 높게, ‘행정업무’에서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 정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교사들이 교직의 전문성을 잘 인식하고 있으며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직무만족도에서 성별, 교직경력별, 학교설립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직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장교사들이 일반교사들에 비해 직무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일반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성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생활지도에서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특히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남교사가 학생을 지도하는 면에서 더욱 더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력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행정업무, 생활지도, 혁신도 및 만족도에서는 있었다. Scheffé test를 실시해본 결과 직무수행의 행정업무에서는 10년 미만과 21년 이상 사이, 11-20년 미만과 21년 이상 사이, 생활지도에서는 10년 미만과 21년 이상 사이, 학교생활의 혁신도 및 만족도에서는 10년 미만과 21년 이상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학교의 전반적인 행정업무나 생활지도면에서 경력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보다는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연하게 교직생활을 하고 있으며 높은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직위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부장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하위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부장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행정업무, 학급경영, 생활지도, 혁신도 및 만족도, 자기 정체

      •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

        박태윤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발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생활체육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다단계 유층집락무선표집(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의 표본추출은 서울시 4개지역(강남, 강북, 강동, 강서)에서 선정된 각 2개소씩, 총 8개소의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생활체육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각 30명씩, 총 240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으며,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되었다. 실제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총 197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측정도구는 Chelladurai와 saleh(1978)가 개발한 스포츠 지도자 행동 검사지(Leadership Scale for Sport: LSS)를 사용하였고, 지도자신뢰 측정도구는 Schindler와 Thomas(1993)가 개발하고 이재연(2002)이 번안·표준화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지도만족 측정도구는 Weiss 등(1967)이 개발한 미네소타만족질문지(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설정된 변인의 하위영역별 신뢰도검증과, 각 변인별로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산출 및 일원변량분석과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지도자신뢰,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들이 연령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권위적으로 느끼고, 수입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에 긍정적으로 느낀다. 또한 운동기간이 길수록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에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한편, 권위적 행동에 있어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운동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2-3일 참가하는 집단이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권위적 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운동강도에 따라서는 훈련과 지시행동에 있어서는 1시간 이상 참가집단이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집단이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민주적, 사회적 지지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노인체육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신뢰는 수입,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강도, 동거형태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수입이 많을수록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으며, 운동기간이 길수록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다. 운동시간이 길수록 성실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으며, 혼자 사는 노인들이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연령, 수입, 운동빈도, 교육수준, 동거형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연령은 68-71세 집단이 내재적인 만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으며, 수입이 많을수록 외재적, 내재적 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운동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2-3일 참가하는 집단이 외재적, 내재적 만족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초졸집단이 외재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집단이 외재적인 만족을, 부부 및 자녀 집단이 내재적인 만족을 느끼고 있다. 둘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능력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성실성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일관성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일관성, 개방성에 신뢰를 한다. 반면에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능력에 대한 신뢰는 줄어든다. 셋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체육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외재적, 내재적으로 만족을 느낀다. 넷째, 노인체육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신뢰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체육 지도자의 성실성과 개방성 측면에서 신뢰를 하게 되면 노인들은 외재적, 내재적으로 만족을 느낀다. 다섯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은 인과관계가 있다. 즉, 지도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지도자신뢰는 지도유형과 지도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 생활체육지도자의 감성리더십과 운동몰입이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방훈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리더십과 운동몰입이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의 상업스포츠센터와 생활체육클럽의 회원이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 표본을 추출하였고 총 298명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감성리더십, 운동몰입, 및 지도만족의 차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감성리더십에서 자기관리능력, 자기인식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관계관리능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운동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도만족의 하위요인인 지도기술능력, 지도자 자질만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경력에 따른 감성리더십은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운동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도만족의 하위요인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목적에 따른 감성리더십은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운동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도만족의 하위요인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종목에 따른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기관리능력, 자기인식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도만족에서는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감성리더십은 지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리더십이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관계관리능력 요인이 지도만족의 하위요인인 지도기술능력과 지도자 자질만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관리능력 요인에서는 지도기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운동몰입은 지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몰입은 지도만족의 하위요인인 지도기술능력, 지도자 자질만족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무용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만족의 관계

        강지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이 인지한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지도자의 지도효율성을 높이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무용수행과 성취를 높이는 지도자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0년 현재 무용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강원도에 소재한 예술 고등학교 와 무용학원에서 무용전공 연습을 하고 있는 일반 고등학교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249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3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46명의 표본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지도유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무용지도 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 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지도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1학년이 2학년에 비해 자신의 무용교사를 민주적 행동유형으로 인지하고 있다. 또한 현대무용과 발레전공자는 한국무용전공 학생들에 비해 자신의 무용교사 룰 긍정적 보상행동유형과 사회적 지지행동유형으로 인지한다. 둘째, 무용지도유형이 지도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민주적 행동과 훈련과 지시행동, 사회적 지지행동유형은 능력신뢰와 개방성 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보상행동유형은 부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민주적 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은 일관성 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보상행동은 일관성 신뢰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용지도자 신뢰가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도자신뢰는 지조만족의 하위변인인 외재적 만족과 내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지도유형이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무용지도유형의 하위 변인인 민주적 행동과 훈련과 지시행동, 사회적 지지행동유형은 외재적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보상행동과 권위적 행동유형은 외재적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민주적 보상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유형은 내재적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권위적 행동유형은 내재적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무용지도자의 행동유형은 학생들의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만족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획일적인 지도자 중심의 지도보다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학생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은 무용전공 학생들에게 지도자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지도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함으로써 무용지도자가 학생들의 지도효율성을 높이며, 이에 따라 학생들의 무용수행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만족이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조성구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만족이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조 성 구 본 연구는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만족이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지도자들에게 효율적인 지도유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중학교 태권도 남녀 선수 15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2011년 3월 전북 남원시에서 개최된 전국종별태권도선수권대회 중등부 대회의 시합장을 방문하여 유층무선표집법(random sampling)으로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6문항, 독립변인인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관련문항에서는 다요인 리더십 질문지(MLQ) 40문항과 선수들의 현재 운동상태에 대한 지도만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지도만족질문지(MSQ) 2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인지된 경기력을 측정하는 질문으로는 4문항을 적용하였다. 각 문항들은 Likert 5점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남자선수들 집단이 다소 높은값을 나타내었고, 3학년 고학년 선수들 집단, 운동경력이 7년이상인 집단, 지도기간이 3년이상인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입상경력은 입상경력이 없는 집단이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이 경기력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중 예외적관리 요인이 경기력 향상인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기력 상승인지에는 개별적배려, 예외적관리 요인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기력 만족인지에는 카리스마 요인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예외적관리, 개별적배려 요인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기력 만족인지에는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지도만족이 경기력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인지, 상승인지, 승리확신인지에는 내재적 지도만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기력 만족인지에서는 외재적 지도만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atisfaction with it on Taekwondo Players' Perception of Athletic Performance Jo Seung-Ku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The current paper is aimed at suggesting effective types of leadership by investigating in detail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leaders and Taekwondo players' satisfaction with such leadership on their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For this aim, a survey was conducted to 150 male and female players who took part in the Taekwondo Championships Korea for Secondary Schools in Namwon-si, Jeollabuk-do in March 2011. Questionnaires composed of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s (MLQ) and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s (MSQ)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who were selected by means of stratified random sampling at the venue. Such analyses a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is study by using SPSS 12.0 statistic program. From the analyse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demographic characters revealed that the group of male players responded to such leadership with relatively high scores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group of 12th graders, that of players with more than 7-year athletic career and that of leaders with 3 years or longer experience as instructors. Meanwhile, the group of players without medal winning career scored relatively high points. Second,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ing the perception of athletic performance that exceptional factors of management amo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layers' perception of improved athletic performance and that personal concern of leaders imparted a positive influence on players' perception of improved athletic performance, followed by factors of exceptional control. With regard to awareness of satisfaction with athletic performance, a negative influence was indicated in the factors of charisma, while a positive influence was reported in the exceptional management and personal concern in order. Any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leaders, however, had no impact on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athletic performance. Third, from the analysis of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leadership on awareness of athletic performance, it became obvious that intrinsic satisfaction of players with leadership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awareness of enhancement and increase of their athletic performance as well as their conviction of victory, whereas, extrinsic satisfaction of players with leadership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awareness of satisfaction with their athletic performance.

      • 변혁적 리더쉽과 지도만족이 탁구 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최이영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1985년 경영학 등 여러 사회 과학 분야에 적용시키기 위해 개발된 변혁적 리더쉽과 이에 따른 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청소년 탁구 지도자의 지도 유형 및 선수들의 지도 만족을 조사하여 향후 리더쉽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탁구협회에 선수로 등록된 중, 고등학교 선수 남자 70명 여자 118명 전체 188명을 대상을 집단추출 설문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교 탁구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쉽 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최근 리더쉽 연구에서 다수 채택되고 있는 Bass(1985)가 개발한 다요인 리더쉽 설문지(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LQ)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스포츠 상황에 적합하도록 초안을 작성하여 내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선수들의 지도 만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Weiss, Dawis, England와 Lofquist(1967)가 개발한 지도 만족 질문지(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aire: MS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 방법은 일원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유의도 수준은 a=.05로 설정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별 성별에 따라 변혁적 리더쉽의 차이는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에 비해 지도자에 대한 카리스마와 개별배려, 지적자극, 조건보상 및 예외관리의 변혁적 리더쉽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급별로는 고등학교 지도자가 중학교 지도자보다 더 지도적 카리스마가 높으며 또한 선수에 대한 개별적이 배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탁구선수의 코치는 30대와 40대 그리고 50대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데, 연령별로 선수들이 인지한 변혁적 리더쉽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지도자의 연령이 50대 이상인 선수들이 40대 혹은 30대 지도자에 비해서 카리스마, 개별배려, 지적자극, 조건보상 등을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외관리에서는 30대 이하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내재 만족은 선수가 스스로 인식하는 지도력에 대한 만족을 의미하며, 외재만족은 경기외적 요소에 대한 지도력의 만족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기력은 선수 스스로가 인지하고 있는 경기수준을 의미한다. 내재만족과 외재만족 그리고 경기력 모두 남자선수가 여자선수에 비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변혁적 리더쉽의 인지는 차이가 있으며 학교 급별로는 카리스마와 개별배려, 그리고 코치 연령별로는 카리스마, 개별배려, 지적자극, 조건보상, 예외관리에 차이가 있고 탁구선수의 성별 경기만족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치 연령별 경기만족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탁구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쉽은 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지적자극과 조건보상 그리고 예외관리를 잘 할수록 선수의 경기력은 긍정적이다. 즉 지도자의 지적 자극을 빈번하게 사용할수록 선수들은 경기만족이 높고 지도자가 선수를 개별적으로 배려할수록, 예외적 관리를 잘할수록 경기력 상승세를 높게 인지하며 선수는 승리확신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도자의 지적자극은 경기만족과 더불어 승리확신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카리스마 조건보상 및 예외관리 등의 변혁적 리더쉽은 승리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coach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layer's satisfaction in athletic performance in youth table tenn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developed in the area of social scienc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in 1980'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further train and counsel table tennis players. Toward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criteria. 1. The present researcher conducted survey on 188(70 male and 118 female students)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whose preference indicators are distinctive. 2. Investigated 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 by conducting a survey on behavioral types of leaders, using a questionnair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LQ) developed by Bass(1985). 3. In addition, investigat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leader's leadership, by using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aire: MLQ developed by Weiss, Dawis, England and Lofquist(1967). 4.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Hypothesis wa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P-value, a=0.5. From the process presented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reates different gender-based behaviors. Unlike females, male players respond more to lots of subordinate factors of transformation, such as: Charisma, individual consideration, intellectual stimulus, and conditional compensation. Second, Although coaches of table tennis player are un their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found in players'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coaches' age. Third, the satisfaction of player exposed to leadership brings about inner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exterior satisfaction means the satisfaction of players regarding the game-exterior factors. And sports performance means players' cognition about the game strategies/tactics. Putting these conclusions together, various 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 the athletic performance of table tennis players. The better we manage the intellectual stimulus, conditional compensation, and special training, the more affirmative the players' performance. Therefore, the intellectual stimulus provided by the leader affects the players' satisfaction on games, confidence of victory. On the other h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such as Charisma, conditional compensation, and special training do not affect affirmatively on the possibilities of victory.

      •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쉽 유형과 선수성숙도 및 지도만족의 관계

        신년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성숙도 및 지도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 대한테니스 경기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선수들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법에 의해 195명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조사도구로 리더십 유형은 Chelladurai와 Saleh(1978)가 개발한 스포츠 지도자 행동 검사지를 김병현, 김준성, 이종영, 이한규, 장윤진 및 하형주(1989)가 한글로 번안한 설문지와 선수의 성숙도 측정은 Hersey와 Blanchard(1977)가 개발한 하위자 평가척도를 김우성(1995)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도만족을 묻는 문항은 Minne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1967)를 유성식(1991)이 수정한 척도를 운동종목의 특성과 대상에 맞게 재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조사대상자를통한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기입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5.0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선수성숙도와 지도만족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라 여자선수가 남자선수에 비해 선수성숙도가 높았다. 둘째,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성숙도는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더십의 유형 중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과 선수성숙도와 관계가 있었다. 셋째,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지도만족은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더십의 유형중 훈련과 지시행동과 지도만족에 관계가 있었다. 넷째, 테니스 선수들의 성숙도와 지도만족은 관계가 있다.

      • 배드민턴 클럽지도자의 출신별 리더십 행동유형과 지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형주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Abstract A study on leadership behavior type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leadership for each background of badminton club leader Major in Sports Education: Lee Hyung-joo Advising Professor: Lee Man-ki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the influence of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type for each background of badminton club leade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participant that had the subjects of 200 badminton participants in life sports that the elite backgrounds lead and 150 participants led by the leader of living sports from 37 badminton clubs in Gimhae City, Gyeongnam for a total of 350 adult males and females and it has made the analysis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of level of preference and level of satisfaction, analysis of correlations of leadership type and level of satisfaction, and analysis of correlations for leadership type and level of prefere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self-evaluation filling technique and the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 12.0 to implement the average comparativ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undertaken for the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is shown as follows. 1. As a result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following each age,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20s, 30s, 40s, 50s, and 60s for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as a result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following each grade,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beginner, no record of competition, team B, team C, and team A for the authoritative factor. As a result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following each education level of leaders,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graduate school, university, others, and high school for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high school, others,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for the authoritative factor. As a result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following each occupation,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student, functional and production, sole proprietorship, employee, government employee, housewife, professional and others for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sole proprietorship, housewife, employee, functional and production, others, professional, government employee and student for the authoritative factor, and as a result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following each club member,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31~40 persons, 30 persons or less, 41~50 persons, 51 persons or more for the authoritative factor. 2. As a result of leadership factor analysis following each background in leadership, it showed that the background in athletes had higher rate than the non-background in athletes for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while the non-background in athletes had higher rate than the background in athletes for the authoritative factor. 3. As a result of level of preference analysis following each background in leadership, it showed that the background in athletes had higher rate than the non-background in athletes and, as a result of level of satisfaction analysis following each background in leadership, the background in athletes had higher rate than the non-background in athletes. 4.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background in athlete leadership type and level of preference, it showed the correlations in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the influence on the level of preference was shown to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social factor and authoritative factor and,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non-background in athlete leadership type and the level of preference, it showed the correlations in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the influence on the level of preference was shown to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social factor and authoritative factor. 5.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background in athlete leadership type and level of satisfaction, it showed the correlations in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the social factor, and the influ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authoritative factor and,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non-background in athlete leadership typ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t showed the correlations in the training instruction, positive and democratic factors, and the influence on the level of preference was shown to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authoritative factor. As shown in the above study result, in order to facilitate the living sports badminton facilitation, there would be a need for more diverse studies for diverse and systematic instruction method on leaders, plan to buil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leaders, development of leaders and others. 국문요약 배드민턴 클럽지도자의 출신별 리더십 행동유형과 지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체육교육전공 이 형 주 지 도 교 수 이 만 기 본 연구는 배드민턴 클럽 지도자의 출신별 리더십 유형의 차이가 참여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경남 김해시 소재 37여개의 배드민턴 클럽 중 엘리트 출신이 지도하는 생활체육 배드민턴 참가자 200명과 생활체육 지도자 출신이 지도하는 참가자 150명의 성인 남․여 350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요인 분석, 선호도 및 만족도 분석, 리더십 유형과 만족감의 상관관계 분석, 리더십 유형과 선호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기입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 및 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평균 비교 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별에 따른 리더십 요인 분석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에서는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급수별에 따른 리더십 요인 분석 결과 권위적 요인에서는 초심, 출전경력없음, B조, C조, A조의 순으로 나타났고, 지도자학력별에 따른 리더십 요인 분석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에서는 대학원졸, 대졸, 기타, 고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권위적 요인에서는 고졸, 기타, 대졸, 대학원졸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에 따른 리더십 요인 분석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에서는 학생, 기능․생산직, 자영업, 회사원, 공무원, 주부, 전문직,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권위적 요인에서는 자영업, 주부, 회사원, 기능․생산직, 기타, 전문직, 공무원, 학생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클럽회원수별에 따른 리더십 요인 분석 결과 권위적 요인에서는 31~40명, 30명이하, 41~50명, 51명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지도자 출신별에 따른 리더십 요인 분석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에서는 선수출신이 비선수출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권위적 요인에서는 비선수출신이 선수출신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지도자 출신별에 따른 선호도 분석 결과 선수출신이 비선수출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자 출신별에 따른 만족도 분석 결과 선수출신이 비선수출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선수출신 리더십 유형과 선호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 권위적 요인보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고, 비선수출신 리더십 유형과 선호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 권위적 요인보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선수출신 리더십 유형과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 사회적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권위적 요인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고, 비선수출신 리더십 유형과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훈련지시․긍정적․민주적 요인, 사회적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권위적 요인보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생활체육 배드민턴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도자들에 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지도방법 및 지도자 인력관리 체계 구축 방안, 지도자 양성 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지도만족과 수업몰입, 수업정서 및 미래 삶의 기대 간 구조적 관계

        황효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지도만족과 수업몰입, 수업정서 및 미래 삶의 기대의 집단 간 차이와 변인 간 관계를 밝히고, 지도만족과 미래 삶의 기대 간 관계에서 수업몰입과 수업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각 변인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각 변인은 어떤 관계를 지니는가? 셋째, 지도만족과 미래 삶의 기대 간 관계에서 수업몰입과 수업정서는 매개효과를 지니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상의 설정을 이 연구에서는 편의 표본 추출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을 선정하여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90명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문항 분석과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값을 활용하였고,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집단 간 차이와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충청북도의 초등학교 일곱 곳을 선정하여 해당 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994명의 설문을 최종적으로 연구에 활용하였다. Cronbach’s α값을 활용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도만족, 수업몰입, 수업정서, 미래 삶의 기대 요인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설정한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연구에서 관찰변인의 다변량 정규성을 파악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정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도만족과 미래 삶의 기대 간 관계에서 수업몰입과 수업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각 요인 간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지도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수업구성만족 요인과 기능향상만족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5학년 학생들, 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시 지역 학생들, 학교 규모에 따른 차이는 12학급 이하와 31학급 이상의 학교 학생들이 모든 지도만족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과 운동능력,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는 모든 지도만족 요인에서 높은 편이라고 응답한 학생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체육수업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 학년에 따른 차이는 5학년 학생들, 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시 지역 학생들, 학교 규모에 따른 차이는 12학급 이하와 31학급 이상의 학교 학생들이 모든 수업몰입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과 운동능력,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는 높은 편이라고 응답한 학생 집단이 모든 수업몰입 요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정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 학년에 따른 차이는 5학년 학생들, 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시 지역 학생들, 학교 규모에 따른 차이는 12학급 이하와 31학급 이상의 학교 학생들이 모든 수업정서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과 운동능력,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는 높은 편이라고 응답한 학생 집단이 모든 수업정서 요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미래 삶의 기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래경제생활, 미래건강생활, 미래자아실현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5학년 학생들, 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시 지역 학생들, 학교 규모에 따른 차이는 12학급 이하와 31학급 이상의 학교 학생들이 모든 미래 삶의 기대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과 운동능력,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는 높은 편이라고 응답한 학생 집단이 모든 미래 삶의 기대 요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는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지도만족, 수업몰입, 수업정서, 미래 삶의 기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지도만족과 수업몰입, 수업정서 및 미래 삶의 기대 간 구조모형이 실증자료 예측에 적합한 모형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최초에 설정한 제안 모형이 만족할 만한 적합도 수치가 나오지 않아 수정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수치를 확인하였다. 수정 모형에서는 수업몰입이 수업정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삭제하고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모든 적합도 지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설정한 수정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도만족과 수업몰입, 수업정서 및 미래 삶의 기대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의 표준화계수(β)와 유의성(C.R.) 값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도만족과 수업몰입, 수업정서 및 미래 삶의 기대 간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몰입, 수업정서와 미래 삶의 기대 간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종적으로 설정한 수정 연구모형에서 독립변인으로 제시된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지도만족과 종속변인으로 제시된 초등학교 학생들의 미래 삶의 기대 간 관계에서 수업몰입과 수업정서가 매개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제시된 변인들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살펴보았다. 지도만족이 수업몰입과 수업정서를 통해 미래 삶의 기대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도만족은 수업몰입과 수업정서를 매개로 하여 미래 삶의 기대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지도만족이 미래 삶의 기대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도만족은 수업몰입과 수업정서를 매개로 미래 삶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에서 체육수업을 지도하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음이 밝혀졌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체육수업에 대한 기대와 흥미가 감소한다는 점을 인지하여 동기부여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칭찬과 격려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과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상호작용만족을 높이고, 흥미롭고 다양한 수업구성을 통하여 수업구성만족을 높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체육수업 시간은 노는 시간이라는 잘못된 인식에서 벗어나 정해진 교육과정의 성취수준과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되, 교육과정의 핵심성취수준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즐거움과 재미 등 긍정적 정서 경험을 만끽할 수 있도록 재구성된 교육내용의 제시가 필요하다.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지도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몰입하여 긍정적 정서 경험을 만끽할 수 있도록 체육수업을 준비하고 실시해야 할 것이다.

      •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이 지도효율성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현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86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이 지도효율성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 현 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요약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이 지도효율성과 지도자 신뢰 및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전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전문성 제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레크리에이션의 선택적 참여를 증대시켜 보다 수준 높은 여가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레크리에이션 발전에 도움을 주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U광역시, G도에 소재하고 있으며 최소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댄스스포츠교실, 자전거교실, 노래교실, 실버 아쿠아로빅 동호회원 36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비 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 추출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IBM statistics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 지도효율성, 지도자신뢰, 지도만족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은 지도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은 지도자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은 지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의 인지된 전문성은 지도효율성, 지도자신뢰, 지도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자들이 수준 높은 여가생활을 영위하거나 레크리에이션으로 인한 개인의 발전과 성취 증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지도자들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