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東地域의 貿易代金決濟 實行에 관한 考察 : 信用狀方式을 中心으로

        이경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스라엘을 제외한 중동지역 21개국은 서구사회와는 달리 이슬람이란 종교가 이들 의식구조의 중핵을 이루고 있으며 상관행이나 관습도 종교교리에 따르는 이질문화권이다.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원유수입의 대부분을 이 지역에 의존하고 있으며, 건설부문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는 지역이다. 또한 상품교역도 IMF 이전 36억달러에 그쳤으나 1998년도에는 65억 8,600만 달러로 크게 신장되었으며 종교나 안보상 문제가 없는 상품은 어느 것이나 수출할 수 있는 지역적 특성을 갖고 있다. 1500억 내지 2000억 달러의 시장인 대중동 수출이 아직도 부진한 데에는 이들의 무역관행에 대한 인식부족과 대금결제상의 사고빈도가 높아 동지역 수출을 기피하고 있는데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무역관행을 숙지하고 중동신용장의 특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통해 대 중동교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무역클레임 및 대금미회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 외의 연구문헌과 최근 동 지역으로부터 내도된 200여건의 신용장을 수집분석하고 중동지역과 거래하는 상사들의 체험 및 부도사례도 수집 검토하여 부도예방에 관한 대책도 제시하고져 한다. 꾸란 및 예언자의 언행록인 하디스 해설서에서 상관행에 관한 내용을 발췌 및 검토를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 특유의 상관행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硏究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제 1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정하였다. 제 2 장에서는 貿易代金의 決濟方法을 국제관습에 따라 설명하고 貿易代金 결제시 신용장방식의 거래가 他決濟方式보다 유리한 점을 밝히고, 대중동 수출입현황도 국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제 3 장에서는 中東地域의 商慣習의 生成背景, 國際協商과 中東協商을 비교분석하고 이들의 商慣行을 설명하였다. 제 4 장에서는 一般地域에서 내도되는 信用狀과 中東地域에서 내도된 信用狀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特殊條件에 대한 제조건을 심층분석하였다. 제 5 장에서는 中東지역의 信用狀去來 慣習과 不渡豫防을 언급하였으며, 제 6 장에서는 논술한 내용을 요약하고 中東地域 特殊性에 대한 인식제고를 강조하는 것을 결론으로 삼았다. 국제간 무역대금결제는 송금방식과 추심결제방식 및 신용장방식으로 구분된다. 중동지역과는 대부분 신용장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소액거래시 송금방식으로도 이루어진다. 신용장방식의 대금결제는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제반 서류가 엄밀일치를 요구하고 있다. 통상 일반지역에서 요구하는 서류는 상업송장, 선화증권, 보험증권, 포장명세서 및 원산지증명서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비해 동지역 신용장은 많은 잡다한 서류를 요구하며 애매모호한 표현이 많아 이를 수출상이 숙지하지 못함으로써 부도를 받게 된다. 실예로 상업송장에는 필히 제조업체의 상호와 주소를 기재토록 하며 제조된 제품은 한국산이란 점도 명기토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선화증권 상에는 도착지 에이젼트의 상호와 주소를 명기토록 하고 내용물부지약관 또는 하주에 의한 내용표시(shipper's load and counter)는 어느 선박회사이든 B/L상에 인쇄되어 사용되나 이 지역에서 내도되는 신용장은 이를 하자사항으로 보고 있다. 보험도 CIF의 경우 매도인이 부보하나 中東신용장의 경우 자국내 보험회사에 부보토록 요구하고 있으며 과다한 보험료를 송금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EDI로 발행된 서류도 거절하며 특히 특수조건상에는 많은 잡다한 서류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이들 특유의 상관행이나 의식구조 및 가치관을 숙지하지 못한데에서 비롯됨으로 우선 이들의 상관행을 언급하고 상거래의 특성을 언급하였으며, 무역은 협상의 단계를 거치므로 일반적인 국제협상과 중동인의 협상상의 차이점을 밝히고 계약체결시 유의점도 언급하였다. 또한 중동신용장의 특성을 언급하고 요구되는 서류의 기재시 유의점도 밝혔다. 특히, 특수조건상에서 요구되는 각종 기재사항도 언급하고 계약관습, 운송, 보험, 금융 및 요구서류 등의 관습과 연계하여 비교검토 하였다. 끝으로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요약하고 동지역과 거래시 업계나 관련기관이 공동으로 유의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동지역과 거래시 이들의 종교인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거래선과 친밀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중동아랍인들의 독특한 협상관행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하고 이들의 일방적 협상관행에 인내하며 신용을 쌓도록 한다. 셋째, 계약시 앞에서 언급한 대로 신용장상에 국제관습에 어긋나는 문언은 삭제토록 사전에 합의하고 견품도 선적품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품질클레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각종 서류작성시 신용장의 내용을 숙독하고 이해할 수 없는 조항은 전문가의 자문을 받도록 한다. 다섯째, 의심이 많은 중동인들은 처음에는 중개인을 통한 거래를 한다. 그러나 일단 믿음이 있으면 직접거래를 하고, 믿는 사람과의 거래시 다소 손실이 있어도 이를 감수하는 면이 있으므로 신용을 쌓도록 한다. 아직도 우리나라에는 중동지역 무역관행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이 지역은 단일문화권의 시장으로써는 큰 시장이므로 이들의 무역관습에 대한 학계, 무역관련 단체 및 기업 등의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Islam in the twenty-one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excluding Israel dominates the whole their lives in the Middle East. The Muslim adhere to the Sharia(Islamic Law) which totally rule the religious obligations in the society. Despite the market can cover the imports ranging from US$150 billion to US$200 billion, the exports from Korea to the Middle East market still show dullness. Owing to poor recognition of the market and frequent non-payment of amount, many traders hesitate to export goods to the Middle Eas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our export, and to suggest the possible institutional devices to prevent trade claims and non-payment.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ives, I analyzed about 200 kinds of L/C's from the Middle East, books and case studies. Also Islamic trade customs were analyzed and excerpted from Quran and the prophet's memoir - Hadith. This study also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refers the objectives,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refers to the customs and priactice of trade payment according to the int'l customs, and more favorable L/C basis than other settlements in paying for the goods. Chapter 3 refers to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rade customs in the Middle East and their comparative analysis. Chapter 4 refers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C's between the Middle East and other areas, and also all conditions of special clauses. Chapter 5 refers to trade customs in L/C basis and prevention for non-payment, and Chapter 6 refers to summary of the study. Int'l settlements of goods in trade mainly consist of remittance basis, collective basis and L/C basis. But most of settlement with the Middle East is being made under the L/C basis, and remittance basis for a little amount of trade. Islamic traders require the exporters to observe strict compliance with L/C conditions and also require more documents, besides commercial invoice, bill of lading, insurance policy, packing list, and certificate of origin. Their L/C's contain too ambiguous conditions for the exporters to memorize them, and make them frequently go bankrupt. For example the traders necessarily request maker's firm name and address and clear writing of ‘Korean origin’ on the commercial invoice, and agent's firm name and address at destination on the bill of lading. Usually ‘shipper's load and count’ is printed on the B/L by the shipping company, but the L/C's from the Middle East declare them ‘defective remarks’. The seller usually effects insurance under CIF basis, but L/C's from the Middle East require the underwriters in their region to effect insurance, and also require the exporters to remit too much premium. They also reject the electronic messages based upon EDI, and require miscellaneous documents in the special clauses of L/C. Under such situations, I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Islamic trade customs and business negotia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take such measures as jointly necessary toperform successful business as follows: First, in dealing with the traders in the Middle East, we must highly recognize the Islam and reinforce familiarity with business connections. The Middle Easterners endow high value on private relationship. Second, we must understand the peculiar trade customs in business negotiation, be patient with their unilateral attitude of negotiation, and try to be constantly trusted by them. Third, before contracting, we shall agree with them in advance to delete the clause on the L/C which is contrary to int'l customs, then will be able to prevent the possible claims for quality. Fourth, in preparing for all kinds of documents, we must ful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L/C, and any clause beyond understand needs consulting from experts. Fifth, the traders in the middle East, who are so questionable, at first do business through the broker. But after finding counterpart's confidence they select direct dealing, and are willingly to suffer from somewhat loss with the reliable counterpart. The exporters out of the Middle East must highly recognize the customs and practice of trade payment mechanism in the Middle East countries. If they ignore the customs and practice, they shall get unpaid by the issuing banks in the Middle East owing to lack of recognition of what the buyers voluntarily require.

      • 한국개신교인의 이슬람에 대한 인식과 대 이슬람권 선교정책 : 중동지역 중심으로

        안상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인의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중동지역의 이슬람권 선교정책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1970년대 중동건설 붐으로 시작된 한국개신교회의 이슬람권 선교가 30여 년 지속되면서 중동지역 선교에 나름대로의 성과가 있었다. 일부이긴 하지만 이집트, 요르단 등의 정부로부터 인가된 교회와 신학교가 설립되었고, 한국교민은 물론이고 일부 무슬림들이 회심을 하고 기독교인이 되어 이슬람권에 선교를 하는 경험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선교사와 기독교인들이 학교와 병원을 통한 구호지원, 스포츠와 문화를 통한 교류 등으로 민간외교관이 되어 중동지역에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고 선교 기반을 다지고 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슬람에 대한 공격적 선교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슬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대 이슬람권 선교에서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교회는 어떠한 노력하고 있는가를 성찰해 보아야 할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개신교의 대 중동 이슬람선교 과정을 통해 이를 반추해 보고 이슬람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가운데 새로운 선교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지금까지의 이슬람권 중동선교활동에 대한 역사적 과정을 통해 나타나 있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개신교의 대 이슬람권 중동선교역사 속에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어떤 발전적 선교대안이 제시될 수 있는가? 셋째, 과거 한국개신교의 대 이슬람권 선교에 나타난 문제점들과 이에 대한 발전적 선교대안을 토대로 더 효율적이고 더 안전한 대 이슬람권 선교를 위해서 필요한 한국의 목회자들과 교인들의 중동지역과 이슬람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넷째, 목회자들과 교인들의 이슬람에 대해 나타난 인식을 통해 대 이슬람권 선교의 새 패러다임은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중심의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두 가지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개신교 교인들과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 이슬람에 대한 인식은 선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 선교의 방법에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이슬람권 선교에 대한 장애 원인으로는 중동국가들이 이슬람 국가이며 또한 선교를 불법화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인식과 함께 선교단체들과 선교사들의 잘못된 선교방식 때문이라는 인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효과적인 이슬람권 선교 방식으로는 중동에 대한 역사, 문화, 종교 등 그들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선교사 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중동지역 선교를 위한 문제점으로 제시된 내용을 몇 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한국개신교회의 선교가 현지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공격적 선교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무엇보다도 중동지역에 대한 정치적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아무런 선교전략도 없이 봉사단이나 단기선교단의 형태로 나가서 일시적인 효과를 노리는 선교를 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지의 상황을 무시하고 마치 정복자처럼 기독교를 전하려는 태도는 잘못된 것이다. 둘째, 이슬람 인식의 문제이다. 한국개신교인들은 이슬람에 대해서 무지할 뿐 아니라 상대방의 사상과 문화를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교리를 앞세운 우월적이고 일방적인 선교를 행하려 든다. 따라서 중동 현지인들에게 한국식의 교회와 신앙생활을 요구하는 것은 문화우월주의에 근거한 잘못된 선교방식이라는 것이다. 현지의 문화적 상황에 대한 정보와 연구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효과적 선교가 이뤄질 수 없고, 오히려 장기 사역에 방해가 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셋째, 업적 위주의 선교를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해외선교에 대한 열기가 선교현장에 나타나 선교지 교회 간 지나친 경쟁을 유발시키는 등 부정적인 측면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더욱 많은 선교사를 해외로 파견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좀 더 위험한 지역에 선교사를 파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일시적이고 짧은 기간에 선교에 대한 성과를 보기 원한다. 이런 선교방식은 장기계획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 중동의 선교 현장과는 전혀 맞지 않음을 반성해야 한다. 넷째, 이슬람을 연구하고 중동을 깊이 이해하는 선교사 인력 부족하다는 인식이다. 그동안 이슬람과 중동지역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중동지역에 파송되는 선교사도 지역 상황을 모르고 현지에 진출하여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오늘날 지역연구가 발전되고 전문가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는 좀 더 계획된 방법으로 이슬람 지역의 선교사 인력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우선 신학교는 신학교대로 선교사들을 위해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신학과 문화인류학, 이슬람, 아랍 중동지역학 등 지역적인 특성을 살린 교육을 해야 한다. 교회와 함께 이들을 양육하고 양육된 사람들이 준비될 수 있는 과정들을 함께 하며 선교지에 도달할 수 있을 때까지 협력해야 한다. 다섯째, 이슬람권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다. 다행스러운 점은 국제 정치변화가 선교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것이라는 단선적 사고에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최근 종교 간의 대화나 다른 종교에 대한 다원주의적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이슬람을 우호적으로 이해하고 선교해야 한다는 이론을 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의 이슬람권 선교에 대한 제언을 하면, 첫째, 체계적인 선교전략 수립과 협력관계의 바탕 속에서의 선교 모형 개발해야 한다. 또한 이슬람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선교와 다원화된 종교사회에서의 선교를 위한 평화 공존과 대화 추구해야 한다. 아울러 바른 신앙과 인격, 신학과 가치관을 갖고 있는 선교를 들 수 있다. 둘째, 한국개신교회의 선교정책에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대안으로 전문가 그룹의 적극적 활용과 선교적 마인드를 가진 선교단체 관련 실무자들의 네트워크 형성, 중동 선교사들의 개인적 경험들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실천적 대안으로 이슬람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확산과 기독교와 이슬람 간의 대화 그리고 상황화에 맞는 선교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셋째, 이슬람권 선교는 오직 인내로 이뤄져야 하며, NGO를 통한 사회봉사,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 선교, 문화를 통한 선교 접촉점 확보 등 실질적인 선교방법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슬람권 선교는 복음의 열정만큼이나 정확한 이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독교와 이슬람은 역사 가운데서 특별한 갈등과 경쟁관계를 형성해 왔지만 우리는 그 둘을 자연스런 이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여유와 지혜를 가져야 한다. 그들은 이미 기독교에 대해 상당한 오해를 하고 있으며, 이슬람 세계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란 사람들에게 그런 오해를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선교사들의 신실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오랜 세월을 두고 인내하며 노력해야 할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mission policies for Muslim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rotestants in Korea on Islam. The missionary work of Korean churches in the Islamic world that began with a boom in construction in the Middle East in 1970's has gained substantial achievements in the area with 30 years of missionary history. Churches and theological seminaries authorized by Egypt's and Jordan's governments have been established and some Muslims as well as Koreans in the regions become christians and experience missionary work in the Islamic world. In addition, Korean missionaries and christians give good images of Korea in the Middle East and build a solid foundation for missionary work, becoming civil diplomats through relief aid in schools and hospitals and interchange in sports and cultur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aggressive missionary work in Islamic countries has become debatable in Korean society, it is a time to speculate what efforts Korean churches that have played a big role in missionary work in the Islamic region make in order to understand Islam correctly. In this study, Korean churches' missionary work in Islam for the Middle East was examined and the following issues are suggested and attempted to be inquired, having a recognition that new missionary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a correct understanding of Islam. First, what are problems seen in historical process of missionary work in Islam in the Middle East? Second, what alternative plans for the missionary work can be suggested by analyzing problems observed in Korean churches' missionary work in Islam for the Middle East? Third, how is Korean pastors' and christians' recognition on Islam to conduct more effective and safe missionary work in Islam based on the problems of past Korean Protestants shown in missionary work in Islam and developmental alternative missionary plans? Fourth, how should new paradigms be established in missionary work in Islam through the pasters' and christians' perception on Islam? In order to the purposes of this study, researches focusing on documents and an analysis through an on-the-spot survey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for Korean pastors and christians,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issionary work in Islam and also showed negative opinions on missionary methods. Major obstacles in missionary work in Islam included Islamic countries that illegalize missionary work and wrong missionary methods conduced my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missionaries. In addition, comprehensive researches on Islamic countries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Middle East, cultures, religions and etc, and training programs for missionaries should precede for effective missionary methods in Islam. Examining the problems with missionary work in the Middle East; First, Korean churches' missionary work tends to be aggressive, no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Middle East. First of all, they aim to expect temporary effects, sending voluntary groups or a short-term missionary group without any missionary strategies and 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 Middle East. The attitude to expand Christianity as a conqueror, neglecting the situation of the Middle East. Second, the problems a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on Islam. Korean Protestants appear to be ignorant about Islam as well as attempt to conduct predominant and unilateral missionary work with their religious doctrine, never trying to recognize other's thoughts and cultures. Therefore, to require people in the Middle East to follow Korean style churches and religious life is considered as a wrong conception of missionary work based on cultural supremac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effective missionary work cannot be conducted without researches and information about the cultural backgrounds in the areas and, furthermore, that can be obstacles for a long-term missionary work. Third, achievement-oriented missionary work should be sublated. Negative aspects such as excessive competitions among the churches in missionary sites caused by Korean churches' passion for overseas missionary work causes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y have a tendency to send missionaries to dangerous regions and expect to have achievements in a short period during the process of sending missionaries overseas. They should reflect their short-term missionary methods in the Middle East since a long-term plans are required in the area. Fourth, missionary supply that studies and understand the Middle East deeply is not sufficient. All the while, missionaries dispatched in the Middle East and Islam have faced many difficulties due to a lock of understanding of local conditions and information. Today, as local studies are developed and the number of professionals increases, it is required to develop missionary supply in Islam with more systematic methods. First of all, theological seminaries should provide missionaries with educational courses focusing on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Islam, Arab, and the Middle East studies in the long run. Along with that, churche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educate them and offer courses to prepare missionary work in target regions. Fifth, a new recognition on missionary work in Islam is required. Fortunately, the changes in unilinear concept that causes a positive result on international political changes were observed. Recently, the voice in the necessity of the conversation among religions or multicultural approaches and understanding is raised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insist the theories to conduct missionary work and understand Islam friendly has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Korean churches' missionary work in Islam are made as below. First, systematic missionary strategies and missionary models based on a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missionary work that respects a variety of Islamic cultures, peaceful coexistence for missionary work in a multi-religious society and the conversation should be made. In addition, missionary work with right religious belief, personality, theology, and values is required. Second,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seen in Korean churches' missionary work, it is necessary to utilize professional groups actively as political alternative plans, establishing the network of a staff in charge with missionary minds, systematizing personal experiences of missionaries in the Middle East. As practical alternative plans, it is required to expand and understand Islam correctly, the conversation between Christians and Islams, and missionary policies suited to the situations in target areas. Third, patience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in conducting missionary work in Islamic countries and practical missionary methods such as providing social services through NGO, conducting missionary work for foreign workers, and securing the missionary contact point through cultures are suggested. In conclusion, it is known that correct understanding is as important as passion for missionary work in Islamic countries. Although Christianity and Islam have build a rivalry relationship through the history, we should have a composed attitude and wisdom to consider them as natural neighbors. They already misunderstand Christianity and the only key to solve the misunderstanding for people born and raised in Islamic regions is to show the missionary's sincerity. It will be a task that requires much perseverance and efforts for a long time.

      • 중동지역 이슬람을 위한 선교전략에 관한 연구 : 방송선교를 중심으로

        인소윤 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의 목적은 중동지역에 살고 있는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방송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는 중동지역에 살고 있는 무슬림들을 너무 도외시 해왔다. 그 이유는 중동 지역의 선교가 어렵고, 중동 지역에서 이슬람의 세력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한국교회의 선교사역이 미미한 원인이 있다고 분석되어진다. 그러나 본 연구자의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이유는 중동 이슬람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선교전략이 개발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복음에 적대적이고 현지인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어려운 중동 이슬람 지역에서도 방송을 통해서는 집안까지 복음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더 나아가 중동지역의 무슬림들에게 방송선교는 복음의 닫힌 문을 열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선교전략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중동지역에서는 정부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위성방송을 통하여 무슬림들이 살고 있는 안방까지 방송을 통해 복음이 수신될 수 있도록 허락하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한다면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방송을 통하여 중동의 무슬림들에게 예수그리스도에 관한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중동지역의 이슬람을 위한 효과적인 선교전략으로 방송선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어진다. 제Ⅰ장은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 연구 범위와 한계로 구성한다. 제Ⅱ장은 중동 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대해서 연구한다. 제III장은 이슬람의 역사와 교리를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제Ⅳ장은 중동지역 무슬림을 위한 방송 선교전략을 한국교회가 반드시 적용하고 활용하도록 하기위해서 방송선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알아보고 방송 선교전략의 효율성을 총체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한다. 제Ⅴ장은 결론 부분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본 논문이 도출해 낸 중동 지역의 효과적인 선교전략인 방송선교전략이 지니고 있는 중요성과 가치를 설명한다. 또한 오늘의 한국교회가 중동 지역 선교를 효율적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방송을 가지고 선교전략을 활용하고 적용하도록 제언하는 것으로 본 논문을 끝맺는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strategy of broadcasting" in order to preach the gospel to Muslims in the Middle East. Currently, Korean churches have disregarded Muslims living in the Middle East. It is analyzed that the reason why the Korean churches do not try their best to do the missionary work is that it is hard to do a missionary work in the Middle East as Islam has a very strong, dominant, influence on the Middle East. However, this paper proposes that another important reason is that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has not been developed to spread the Christian message effectively in the regions of the Middle East. Factors impacting this proposed mission statement include overcoming the religious and socio-cultural barriers that make Christian evangelism extremely difficult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Islam. The author therefore proposes that the major methodology to be used is by broadcasting the Christian message via the various media available in today’s technically advanced world. Using broadcast media in all its natures, all of which are available in the countries occupying the Middle Eastern region, is considered to be a very effective means of evangelization as it allows people to listen and watch the programs that they wish to view without any overt interference of the local authorities, be they governmental, secular, or religious in nature. Without the interference of the local authorities, the gospel of Jesus Christ can be shared with those who would choose to listen to it. Based upon this premise, this thesis will suggest a plan for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to disseminate the Christian message throughout the Middle East through the use of media broadcasting. This thesis has the following composition. Chapter Ⅰ is an introduction and composed of the necessity, purpose, study methods, and rang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Chapter Ⅱ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the Middle East. Chapter Ⅲ intensively examines and analyzes the history and religious dogma of Islam. Chapter Ⅳ examines the role of missionary works through broadcasting and its influences in order for Korean churches to apply and utilize the mission strategy through broadcasting to Muslims in the Middle East, and suggests an efficient mission strategy through broadcasting in general. Chapter Ⅴ is the conclusion,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thesis on the whole and explain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proposed broadcast based mission strategy. Finally, this thesis will be finished by suggesting that today's Korean churches utilize and apply the mission strategy using broadcasting to achieve their hoped for missionary works in the Middle East efficiently.

      • 중동지역 주얼리시장을 위한 수출 경쟁력 있는 디자인 연구 : 두바이시장의 중심으로

        최여림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중동시장은 풍부한 자원과 높은 생활수준으로 귀금속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사회여건이 매우 단조로운 관계로 뭔가 새로운 것, 즉 Something new에 대한 욕구가 매우 강하다. 그러면서도 자신들만의 전통을 중요시여기고 아랍 특유의 스타일을 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중동에 수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문화적, 산업적 배경을 이해하여야 하겠다. 현재 중동지역 귀금속 시장의 현황을 고찰하고 중동지역 귀금속 시장의 수출입실태와 우리나라와의 교역관계 살펴봄으로 시장 동향을 파악하였다. 중동지역 주얼리 거래의 중심지인 두바이 시장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지역의 트랜드를 조사, 연구 하기위해 두바이 귀금속 시장을 방문하고 현지의 중동 바이어와의 정보를 교류하였으며 중동으로 수출하는 업체와의 개발에 참여하므로써 디자인의 개발 범위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자인은 중동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선호하는 아라베스크의 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새로운 트랜드에 입각하면서 수출 경쟁력을 갖는 신제품을 연구 개발하였다. 아라베스크의 기하학적인 면에서 볼 수 있는 반복, 대칭을 통한 디자인과 꽃과 나뭇잎의 문양을 단순화하여 디자인 하였다. 기존의 링 귀걸이와는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옆면에 아라베스크의 장식적인 문양을 넣어 제품을 개발하고 현재 풀세트의 중동 수출 제품의 새로운 디자인으로 조금씩 개발의 물결을 타고 있는 중동의 귀금속 디자인의 변화를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개발은 국내 귀금속 산업의 발전과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중동지역의 주얼리 시장의 개척을 위한 수출의 근간을 마련하여 국내의 주얼리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우리의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디자인 개발 방향제시로 수출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e Middle East jewelry market has been growing with its rich resources and high standard of living. Since its social condition is monotonous, people there have very strong desire for something new. At the same time, they attach importance to their own tradition and ask for the style peculiar to Arab. So, in order to have competitiveness in export to the Middle East, one must understand its cultural and industrial background. This thesis has examined current state of jewelry market in the Middle East region and grasped market trend by looking into the actual import/export conditions of jewelry market there and its trade relation with Korea. It has studied focusing on Dubai market, the center of jewelry trade in the Middle East. To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trend of this region, I visited Dubai jewelry market and exchanged information with Middle Eastern buyers there and came to have a scope of design development b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an exporting company to the Middle East. The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taking Arabesque shape as its motif which can be seen commonly and preferred in Middle East region and based on a new trend, which has export-competitiveness. It was designed through the repetition and symmetry that can be seen in geometrical aspect of Arabesque, simplifying the patterns of flower and leaf. With a design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inged pendant, I developed the product putting the decorative pattern of Arabesque on the side and tried to make change in jewelry design of the Middle East which ride the flow of development little by little currently with the new design of the full-set export products to there.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can develop Korean jewelry industry and rai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rie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jewelry industry by preparing the basis of export for the pioneering in jewelry market of Middle East region. Our technological strength with high standards and the presentation of direction for design development will be the motive power that enables u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export market.

      • 中東地域 信用狀의 特性에 關한 硏究

        이인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71

        중동지역은 서구문화권에서 생성 발전되어온 국제상 관습과는 상이하게 다른 이슬람교회에 입각한 독특한 상관습을 갖고 있는 지역이며, 이슬람 교리에 역행하는 여하한 국제상관습도 인정하지 않고 있는 특수지역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중동지역으로 부터 내도된 신용장의 내용과 특수조건들을 분석하고 향후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간략하나마 그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금미회수 등 제반위험을 사전에 방지 하고자 하였다. 중동지역은 국제상업회의소가 제정한 화환신용장통일규칙을 준수하나 동규칙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특수조건들을 많이 추가함으로써 이로인한 클레임 등의 무역분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동지역의 상관습에 대한 보다 철저한 연구가 있어야 하며, 특히 신용장상의 특수조건이 있을 경우 운송서류 등 관련서류 작성에 세심한 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Middle East has its own unique culture developed for a very long time without any connection with non-Islamic countries. No doubt, the uniqueness has been established predominantly by the doctrines of Islamism, which regulates the whole lifestyles of the peoples in this part of the world. The Islamic Law(Sharia) is basically the whole totality of religious accountabilities governing the entire life and business of this region. International commercial customs are to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business are smoothly performed. On the contrary, those commercial customs in the Islamic Law are based on the Holy Qura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form the unique commercial and business customs that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regions, and do not accept any other commercial customs that are general international trade. This study primarily intends to analyze the general and special conditions stipulated in the commercial documentary credit in The Middle East, especially consid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In cas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ary credit employed in main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were founded they are used in setting many problems which are arising from export business. Expo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conomic development of our contry an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promote business relationship with these Middle East countries without any problems arising from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and differences of business customs in documentary credit. Of course, the Middle East countries confirm to the UCP (the uniform customs and practice for documentary credit) of the ICC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But, in reality, most of documentary credit in the Middle East include more complicated special conditions are as followings; shipping Marks Time Limit for presentation Confirmation Transforable Transport documents Packing method shipping advice etc.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Credit in the Middle East which are initiated by The Islamic Laws based on the Holy Quran. For this purpose the conditions of documentary credit were analyzed.

      •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 분석 : 중동지역환경과의 상호관련을 중심으로

        김상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미국 오바마 당선자가 미 대통령에 취임한 2009년 1월 21일부터 2013년 1월 20일까지 제1기 오바마 행정부로 한정한다. 왜 오바마 행정부는 1기에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에 입각하면서도 북한정부에 대하여 대화와 제재를 병행하는 ‘선의의 무시’와 ‘전략적 인내’ 정책을 채택․지속했는가? 오바마 행정부는 1기에 대외정책 우선순위에서 북한 문제를 포함시키지 않은데다 북한 비핵화에는 장기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해 이 정책을 채택․지속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임기개시 전에 “오바마-바이든 플랜”에서 ①아프가니스탄 안정화, 이라크 주둔 미군철수, ②핵 문제, ③이란문제가 우선순위를 차지했다. 왜냐하면, 오바마 행정부가 임기개시 전에 엄습한 세계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전비(戰費)가 투입되는 아프가니스탄․이라크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동지역에서 미국-이스라엘 패권유지에 도전하는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을 저지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비해 북한문제는 오바마 행정부 입장에서 세계적 강대국인 중국 및 러시아 정부와 협력하여 일정 한계 내에서 통제․조정가능하고 북핵이 이란핵과는 달리 지역안정을 파괴할 만큼 위협적이지는 않다는 것이다. 클린턴․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에서 고찰되듯이 북핵폐기를 위한 군사적 제제수단 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 막대한 경제지원 없이는 북핵폐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 때문에 북한이 핵 폐기로 정책변경을 하기 전까지는 오바마 행정부는 북핵폐기를 장기적 사안으로 간주하여 경제제재를 지속하면서 경제지원은 물론 일체의 보상 없이 기다린다는 정책을 지속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미국의 일반적인 대외정책 노선과 이의 구체적 실천인 대북정책을 분석해 남북한에 미치는 미국의 영향력을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입장이 아니라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견지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학문적 토대 구축에 기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남한은 미국의 대외정책에서 우선순위에 해당되는 사안을 파악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외교적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라도 미국의 대북정책을 한미동맹이라는 기존관계를 초월해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엄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먼저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미국의 대외정책노선을 분석하며 일반적인 대외정책 노선이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적용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틀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오바마 행정부 1기 전반부의 대북정책을 분석한다. 오바마 행정부가 정책적 우선순위에 입각해 대북 ‘선의의 무시’와 ‘전략적 인내’ 정책을 실시하면서 북한은 2차 핵실험을 했다. 그리고 급박하게 오바마 행정부를 압박하는 ‘중동지역환경’과 남북 간 갈등으로 오바마 행정부가 중국과 협력해 대북 대화재개로 선회한 과정을 파악한다. 제4장에서는 오바마 행정부 1기 후반부의 대북정책을 고찰한다. ‘중동지역환경’과 제1차 북미고위급 회담, 제2차 남북비핵화회담을 거쳐 북미 간 입장이 접근했다. 이리하여 2011년 2․29 합의가 도출됐고 북한의 로켓발사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북한과 오바마 행정부의 온건조치로 북미 간 접근노력이 시작된 과정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오바마 행정부가 제재에 중점을 둔 ‘선의의 무시,’ ‘전략적 인내’ 정책을 채택했지만, 2010년 11월 중간선거에서 패배한 뒤 대화에 중점을 둔 온건조치를 취한 과정까지 총괄정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전망으로 종결짓는다. The scope of this study is between inauguration of President Barak Obama on Jan. 21, 2009 and the end of the his first term on Jan 20, 2013. While based on liberal internationalism during his first term, why did his government pursue 'benign neglect' and 'strategic patience' toward North Korea? His government did not accept the North Korean issue as policy priorities since North Korea's lingering issue of the denuclearization, it regarded, was basically very time-consuming to resolve. Even before beginning of Obama administration "Obama-Biden Plan" stated three most urgent issues to solve: firstly, stability of Afghanistan, secondly, nuclear issues and thirdly, Iranian issues. This is partly because it cost too much budget to overcome international economic crisis that had started before his new government. The USA had better stop Afghanistan and Iran wars as early as possible. The USA also had to prevent Iran from maintaining nuclear weapons that intimidate regional supremacy of USA and Israel in the Middle East. However, it is possible for Obama administration to cooperate with China in controlling and mediating North Korea to some degree. The North Korean nuclear is not infirmatory as much as that of Iran. Similar to North Korean policies of both Clinton and Bush administrations, it is nearly impossible for Obama administration to employ military sanctions to have North Korea discard its nuclear weapons. The administration considered North Korean nuclear issues long-term ones. Its solution is, while keeping economic restriction, the USA is simply waiting until the issue is solved without economic assistance or any other compens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merica's general foreign policy and policies on North Korea and to provide objective and scientific analysis on them rather than ideological stance. South Korea should find out priorities of American foreign policies to preserve greater autonomy in its foreign policies. South Korea also scrutinize foreign relations with other counties such as China, Russia, Japan beyond relations with America. This study is composed of several chapters. Chapter one is introduction and Chapter Two is theoretical background, dealing with American foreign policies in general along with North Korean policies of Obama administration. Chapter Three analyzes North Korean policies of the first-half period of the first term of Obama administration. Obama administration committed benign neglect and strategic patience on North Korea while North Korea took its second test on nuclear weapons. Obama administration resumed talks with North Korea with the aid of China under the Middle-Eastern circumstances and South and North Korean conflicts as well. Chapter Four inquires into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term of Obama administration. Stances between USA and North Korea became closer through the Middle Eastern circumstances and the first USA-North Korean high-level talks and the second South and North Korean non-nuclear talks. The Chapter also looks at cooperative approaches between the USA and North Korea by Obama administration and their agreement achieved on 29th of February, 2011 despite North Korean launch of rockets. Finally Chapter Five conclusively covers moderate policies and dialogue of President Obama, focusing on his benign neglect and strategic patience despite its defeat in the mid-term election in 2010. The Chapter also handles evaluation and prospect of Obama policies on North Korea.

      • 중동지역 여성 복식의 미에 대한 연구

        김세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중동지역 여성 복식의 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문, 책, 패션잡지, 인터넷 기사, 논문 자료를 활용하여 그 개념과 구성요소, 특징을 조사하였다. 특히 재스민 혁명으로 시작된 20대에서 30대의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변화되는 복식 스타일과 복식 미에 대한 미적 범주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미학의 이론과 개념을 역사적으로 연구하여 미학을 보편적이며 포괄적으로 정의한 타타르키비츠의 미적 범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석지역은 중동 국가 중 신흥시장으로 떠오르는 걸프협력기구(GCC: gulf cooperation council)의 6개 국가로 한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신문, 책, 패션잡지, 인터넷 기사 등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양복식사와 복식 미학, 중동지역 문화와 여성의 패션연구 등 관련논문을 참조하였다

      • 수출용 귀금속 캐쥬얼 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동지역 중심으로

        김홍희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68

        IMF시대에 몰아닥친 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귀금속 수출업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표면화되고 있다. 국내 경기의 악화로 수요에 비해 공급 과잉이 지속되면서 가격하락은 불가피 한 상황이 되었고, 그 가격하락은 한계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기존의 귀금속 업체들이 급변하는 국내시장을 빠르게 파악하고,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한 결과일 것이다. 자본주의의 논리로 본다면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지 못 한다면 쓰러지는 것이 당연한 결과이다. 귀금속 수출업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경기의 침체와 더불어 중동지역으로의 수출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국내시장의 부진을 수출로 만회하려는 분위기가 확산되었다. 이로인해 수출건의 주문물량의 확보를 위한 과당경쟁이 가격하락의 주 요인이 되었고, 중동지역 수출의 경우 IMF이전상황의 공임의 절반 수준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정에서 이제는 국내 귀금속 시장에서 유통되어오던 귀금속의 디자인에 한계를 드러내면서 바이어들의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와 함께 중동지역 소비자들의 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자본의 과감한 투자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먼저 중동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인 소비 상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귀금속시장의 문제점과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동수출에 선두적인 위치를 고수하고 있으며, 빠른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국내기업을 모델 기업으로 선정하여, 바이어들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반응하며 더 나아가 바이어들의 취향을 선도해나갈 것을 목적으로 하는 차별화 된 캐쥬얼 스타일의 디자인을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개발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계와 업계의 장점을 살려 공동연구에 의한 디자인 개발과 첨단기술의 도입으로 산학 협동의 충분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동지역에 있어서의 충분한 조사 결과로 막연한 디자인의 개발이 아닌, 문화적 배경을 이해함으로써 타당성을 가진 디자인의 장신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셋째, jewel CAD등의 첨단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점점 짧아지고 있는 새로운 디자인 교체 싸이클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산학연계의 필요성과 고급인력 개발 특히 디자이너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첨단 장비와 기술력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개발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투자만이 높은 수준의 기술력축적과 디자인 개발의 방향제시로 이어지면서 국내 귀금속 업계의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국제 경쟁력 뿐만아니라 국내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critical spray conditions. The C3Hs was used as the fuel and it was injected into dissimilar gases at critical pressure and subcritical temperature of the injected fluid. The gases in the surrounding were N2, CO2 and He. In the conditions of this analysis, the flow region was changed from Rayleigh region to wind-induced region when the volume flow rate is varied from 36 ml/min to 360 ml/min. The thermodynamic state of the fuel injected was varied from sub critical state(Pr=1, Tr=0.9) to critical state(Pr=1, Tr=1). The analysis of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ackaged program, called "CFD-AC + " (CFD Research Corporation) which incorporates a finite difference scheme and a k- ε turbulence model. The results shows that the length of spra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volume flow rate, but the spray angle is decreased with it. The flow condition is changed from sub critical state to critical condition, so that the spray mode is changed from liquid injection mode to gas injection mode because of varying density of fuel rapidly with temperature. When the spray length in the critical spray is compared with that in the subcritical spray, it is decreased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ngth of the furnace could be decreased. The spray angle also i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density(ρ_s/ρ_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