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세희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후 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영재교육에서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S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 초등 수학․ 과학영재 6학년 39명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 12차시를 적용한 후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재교육 2년차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전체 영역과 하위 영역 중 사고전략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영재의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영재교육 2년차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체 영역과 하위 영역 중 자신감 영역, 남학생들의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영재의 민주시민의식 중 준법정신과 정의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남학생은 타인존중과 준법정신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므로 앞으로도 초등 영재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미술관 운영에 대한 책임운영기관제도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희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Executive agency system is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technique that provides more autonomy to national institutions for greater efficiency and enhanced performance. In South Korea, regulatory rules for this system gives considerable degree of autonomy to national institutions in managing their own organization, personnel, and budget. Through this, the director of the agency becomes responsible for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result, which is evaluated on an annual basi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was founded in 1969, and then transformed into an executive agency in 2006 in order to strengthen the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of the museum. This study examines rather MMCA’s transformation into an executive agency, enhanced its operat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competence (researching, exhibiting, and collecting) under the director’s leadership. The concept of autonomy, professionalism in art museum, the logic behind executive agency system, and the background for this system’s adoption in Korea are theoretically examined in Chapter 2. After the overview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MMCA’s institutional change,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for this particular study are suggested. Chapters 3 and 4 analyze two aspects (operat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expected change in managing MMCA under the executive agency system; these two aspects of change are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directorship, major issues, and types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Chapter 5, the changes in operating method and professional tasks of MMCA are comprehensively examined in order to draw out the effects of turning a state-run institution into an executive agenc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MMCA generally strengthened (or activity increased) when the operational autonomy increased. However, this phenomenon was intermittent rather than persistent. The effect of increasing autonomy was positive only when the director’s leadership did not exert too much control over organization’s management. Another finding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and director of the MMCA was directly affected by the role played by government. For instance, appropriately delegating authority from government to the museum director was a key factor that allowed the directorship to strengthen, and led to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s professional performance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control and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national art museu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MMCA’s professional competence is influenced by an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 government, museum director, and professional personnel in the organization. In this dynamic relationship of three parts, ‘institutional factor’ is the museum’s operational autonomy given by the government and ‘personal factor’ is the leadership of museum’s director, which was exercised mainly in the organization’s reform and implementation of a new task system. These two factors in combination affected museum’s dynamics and as a result, professional performance of MMCA under four different directorships showed drastic differences. It was evident that the level of control and autonomy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museum director, and between the director and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ad to remain stable for the national art museum to provide improved and high-quality professional services. 책임운영기관제도는 정부 차원에서 공개 채용한 기관장에게 조직·인사·예산 운영의 상당한 자율성을 주고, 매해 성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책임지도록 하는 조직관리 기법이다. 1969년 설립된 이래 정부의 운영책임 하에 머물렀던 국립현대미술관은 2004년 이 제도 도입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것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가 운영 자율성 증진을 통해 미술관장 중심의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직무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정부는 보았기 때문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2006년 행정형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되었고, 2011년부터는 문화형 책임운영기관으로 구분되어 지난 10여 년 동안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되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책임운영기관제도의 도입이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의 자율성을 어떻게 증진시켰고 그로 인해 미술관의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역량에 어떤 변화를 유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미술관장의 역할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에 따른 제도적 효과와 그 과정에서의 미술관장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이론적 논의로서 미술관(뮤지엄) 운영에서 자율성과 전문성, 그리고 책임운영기관제도의 논리와 한국에서의 도입 배경에 대해 논의하였고, 실제 그 적용 사례로서 국립현대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에 대한 논의와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 질문을 도출하고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책임운영기관제도 도입으로 예상되었던 국립현대미술관의 변화에 대한 두 가지 측면(운영 자율성과 전문성의 변화)을 미술관장 재임 시기, 주요 사안, 그리고 전문 역량별로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책임운영기관제도 도입 전·후의 운영 자율성과 전문성의 변화를 종합하여 ‘제도적, 개인적 요소의 결합’이라는 역학 관계를 도출하고 그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분석 결과 국립현대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 이후 운영 자율성이 증진(미술관장의 결정권한과 영향력 증가)된 시점에 전문 역량이 강화(또는 활동 증가)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지속적이기보다는 간헐적이었다. 운영 자율성 증진의 효과는 대체로 미술관장의 리더십이 조직 관리에 있어서 지나친 통제력을 행사하지 않을 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배경에는 조직 관리 권한을 미술관장에게 적절히 위임한 정부가 있었다. 다시 말해, 미술관장의 구성원 통제·관리 정도는 정부가 미술관 운영의 결정권한을 미술관장에 위임한 정도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들 간의 상호 조건화의 정도가 미술관의 전문 역량 변화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미술관 운영에서 전문성은 ‘정부, 미술관장, 전문 인력(구성원)’ 간 상호의존적이었다. 정부의 권한위임과 통제 정도에 따른 운영 자율성의 변화를 ‘제도적 요인’, 조직에 대한 미술관장의 리더십을 ‘개인적 요인’이라고 할 때 이들 간의 다양한 조합구성이 미술관 운영의 전문성을 결정하는 주요 ‘역학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계열적 분석 결과, 정부가 미술관 운영의 주체들(미술관장, 구성원)에 지나친 통제나 압력을 가하지 않는 제도적 관계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책임운영기관제도가 지향하는 미술관장 중심의 조직 전문성 강화와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토양임을 알 수 있었다.

      • 『캔터베리 이야기』에 나타난 서양 중세 문화

        김세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캔터베리 이야기』는 영국에서 서양 중세를 살아간 당대 최고의 시인 제프리 초서의 마지막 작품이다. 서양 중세 문학의 고전으로, 초서를 포함한 사회각층의 순례자들이 캔터베리 대성당으로 순례를 떠나는 동안에 나눈 이야기를 수록한 책이다. 총 33명의 인물들은 본당신부, 기사, 농부, 수녀원장, 상인, 요리사, 의사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다. 대성당으로 가는 와중에 여관집 주인이 자진하여 안내자가 되고 재미있는 순례의 여정이 되기 위해 순례자들은 돌아가면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게 된다. 이야기의 수준과 주제도 서론에 묘사된 각각의 성향에 부합하며, 그 어조와 전개방식 역시 다양하다.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필자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교육되던 중세 문화의 암흑적 분위기와 침체적 성향에 대해 다른 해석의 실마리를 찾았다. 봉건제도와 장원제로 인해 정적이고 잠식되어있던 중세의 경제는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었으며 이는 중세 사람들의 순례를 부추겼다. 한편 기독교가 지배하고 있던 중세 사회에서 사악함의 기준이며 ‘마녀사냥’의 주요 타깃이었던 여성의 지위가 바스의 여인, 그리셀다, 도리겐 등의 등장인물로 다양한 모습과 어조로 묘사되고 있다. 또한 『캔터베리 이야기』는 지나치게 종교적인 평가인 ‘중세는 암흑기’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개방적인 어조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기독교적인 부분이 지배적으로 드러나는 순례라는 장치를 차용했지만, 탈 기독교적이고, 반 기독교적이며, 직설적이고 외설적인 인물과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한편, 『캔터베리 이야기』는 서양 중세의 종교와 문화를 반영한다. 이야기의 기저에 깔려있는 순례라는 장치는 중세를 대표하는 종교적인 문화이다. 타바드 여관에는 순례라는 장치를 통해 폭넓은 사회계층의 다양한 인물들이 모일 수 있었다. 또한 순례가 내세론적 세계관속에 순례자들과 그들의 이야기를 위치시켜 작품 전체의 지배적 의미가 되었으며 이야기 곳곳에 등장하는 참회적 기능의 바탕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중세사회의 유동성이다. 중세 사회를 정체의 사회요, 부동의 세계요, 장원과 봉건제에 얽매인 세계로 상상해서는 안된다. 중세인들의 유동성은 엄청나게 큰 것이었다. 물질적 현실로서든 심리적 실재로서든 소유권은 중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그들을 고향에 붙들어 놓을 수 있는 물질적 혜택이 전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 정신 자체도 그들을 길 위로 내몰았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버리고 나를 따르라”는 그리스도의 말씀은 교회 가르침의 핵심이었다.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포스트 모던적 역사학은 역사는 ‘문학’이며 그 자체로 ‘언어’이고, ‘텍스트’이며 이로써 ‘허구’이자 ‘발명’이라고 하였다. 그들은 ‘역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극단적인 전제를 안고 있지만, 그들이 말한 역사학의 여러 성격 중에서 ‘문학’성은 배제하기 힘든 사실이다. 그 이유는 역사적 자료가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말해주지 않는다는 점과, 역사가 인간의 활동이기 때문에 목적과 동기, 감정 등을 객관적으로 말해주지 않기 때문에 그 간격을 메울 문학적 상상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우리가 인식하는 서양의 중세와 실재는 커다란 괴리감이 있었다. 문학작품 『캔터베리 이야기』를 통해 중세의 다양한 모습들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지식구조에 커다란 조절작용이 필요함을 각인시켜 주었다. 또한 문학작품을 통한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그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하였다.『캔터베리 이야기』는 문학적 작품으로의 그 가치와 동등하게 역사적 사료로써, 교육적 자료로써 그 활용가치와 가능성이 무한하다고 생각된다. 역사를 알고 싶으면 그 시대의 문학을 읽으라는 말이 있듯이 『캔터베리 이야기』의 다양한 활용과 개발을 통해 서양 중세와 더욱 친근해 질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The Canterbury Tales is the last work of Geoffery Chaucer from England, whose known as the best poetry in the European Middle Age. The book is containing the stories shared by pilgrims form diverse social standing whose visiting the Canterbury Chruch. The 33 characters were having variety of occupation, such as a reverend, a knight, a farmer, the head of nun, a merchant, a cook, a doctor, etc. Each story's level and theme are coincide with each tendency and the tones, and development of story were also various. From The Canterbury Tales, I found the different way of explaining the dark atmosphere and stagnant propensity of the European Middle Age. The economy, which was encroached by feudalism and manorial system, was developing in considerable level, and it instigated the pilgrimage. In addition to Woman's social standing, it was expressed by story of woman from Wife of bath, Griselda, Dorigen in diverse figures and tones. Moreover, sloughed off the prejudice of the 'Dark Middle Age', many characters from the stories are expressed by 'out of Christianity' and 'against Christianity' method. In other hand, The Canterbury Tales reflects the religion and culture of the European Middle Age. The pilgrimage of Middle Age represents the religious culture, and lots of people from each social standing could gather through this. And the pilgrimage was the dominant significance of this book, and it represented fluidity of Middle age. The post-modernistic history, which occurred in the last period of 20th century, defines the history as 'literature', 'text', 'fiction', and 'invention'. Among those characteristics of history, the 'literature' can't be excluded. It is because historical data doesn't express historical facts, and imagination is necessary to fill the gab that occurred by insufficiency of objectivity of a purpose, motivation and emotion because history is act of human beings. In conclusion, through the literary work, The Canterbury Tales, we could find the variety side of Middle Age, and awake us that there is lots of misunderstanding in Middle Age from we usually recognize. Besides, It affirmed u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historical research and education through literary work. It seems that this literary work, The Canterbury Tales, is considered as historical record that has infinite conjugation value and possibility being educational data.

      • 고객이 지각한 에어비앤비 숙박공유 APP의 서비스 품질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신뢰의 매개효과

        김세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객이 지각한 에어비앤비 숙박공유 APP의 서비스 품질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고객신뢰를 매개효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조사대상은 에어비앤비 숙박공유 APP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로서 자기기입법을 통해 설문지 250부를 배포하여 유효하게 나온 233부를 회수하여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이 지각한 숙박공유 APP의 서비스품질은 고객신뢰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이 지각한 숙박공유 APP의 서비스 품질 중 맞춤성·정보제공성과 안전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미성·사용편리성, 반응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비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이 지각한 숙박공유 APP의 서비스 품질 중 맞춤성·정보제공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고객신뢰는 비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보고하였고, 안전성은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를 보고 하였다. 이는 숙박공유 APP의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 품질은 안전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숙박공유 APP의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는 맞춤서비스와 정보제공성 등 서비스 품질 개선을 통해 고객신뢰를 확보하여야 하고, 안전성 및 보안 품질 개선을 통한 지속적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전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customer percep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house sharing app AirBnB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ees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trust. Subject to the research are those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house sharing app AirBnB in Korea, and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urveyed by the self-administered method and a total 233 copies were utilized as the final effective samples. Data processing has been verifi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using SPSS 22.0. The result of the studie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customer percep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house sharing app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on the customer trust. Second, customization·information service and safety, the factors of customer percep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house sharing app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but aesthetic impression·usability and reactivity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Third, the customization·information service the factors of customer percep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house sharing app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acted as a full mediating effect by the customer trust.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report from safety of app service quality to continuous use inten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mean that the most important service quality of house sharing app on continuous use is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s has conveyed the importance of offering customization·information service for build customer trust and continuous management through improve safety and security quality.

      • 폴리펜타메틸렌 나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용융블렌드의 제조 및 특성

        김세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방향족 폴리에스터인 Poly(alkylene naphthalate) (PN)계의 Poly(pentamethylene naphthalate) (PPN) 및 Poly(buthylene naphthalate) (PBN)을 합성한 후 블렌드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축합중합에 의해 PPN 및 PBN을 합성한 후 용융블렌딩하여 PPN/PBN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의 무게조성비 및 블렌드 시간이 PPN/PBN 블렌드들의 구조, 열적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H-NMR 분석 결과 PPN, PBN 두 고분자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PPN/PBN의 상호에스터 교환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수소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DSC 분석 결과 PPN/PBN의 무게 조성비가 1/9, 3/7, 5/5, 7/3, 9/1 로 변화함에 따라 PPN에 기인한 용융온도는 순수 PPN에 비하여 약 2~7℃정도 증가하였으며 PBN에 기인한 용융온도는 약 3~8℃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블렌드 시간이 5, 10, 20, 30 min 으로 변화함에 따라 PPN에 기인한 용융온도는 2℃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BN에 기인한 용융온도는 약 3℃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GA 분석 결과 PP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5% 및 50% 무게 감량온도는 증가하였으며 열분해 후 잔류무게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렌드 시간 10 min에서 5% 와 50% 무게 감량온도 및 잔류무게의 양이 가장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인장특성 분석결과 PPN/PBN 블렌드에서 PP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PN/PBN 블렌드 시간이 10 min 일때의 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블렌드 시간이 20 min 이상인 경우 인장강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PPN and PBN hom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melt condensation polymerization, PPN/PBN melt blending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ntents (wt%) and time (min). The occurrence of the interchange reaction in the blends to form copolymers could not be found by 1H-NMR analysis. But it could be conjectured that the interchange reaction would be occured by 13C-NMR analysis. It was found from DSC thermograms that PPN's Tm of PPN/PBN blends increased and PBN's Tm of PPN/PBN blends decreased as PPN contents increased. As blending time increased, PPN's Tm of PPN/PBN blends decreased and PBN's Tm of PPN/PBN blends slightly decreased. The TGA data showed that tmeperatures for 5% and 50% weight losses temperature of PPN/PBN blend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PPN with increasing contents. And optimum blending time of PPN/PBN blends was 10 min with different blending time. Tensile strength of PPN/PBN blends de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of PPN with increasing contents. The biggest tensile strength of PPN/PBN blend could be obtained at 10min of blending time.

      • '비판의 제도화'에 대한 히토 슈타이얼의 저항 : 빈곤한 이미지의 혁명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세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s at the issue about art regime during the neoliberal era, and considers practical criticism through criticism and work of Hito Steyerl(1966-). Steyerl who proposes criticism which is insightful about circumstances that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digital technology are mediated with reality, develops critical discussions on inherent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by writings, lectures, and video work. Steyerl appreciates the importance of critical role of art, and publicizes critical issues by bringing out the problems that have been cloaked for discussion. To consider Steyerl's criticism and works 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critique, the study examines discourses discussed in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and art historical movements. The institutional critique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late 1960s has noted political and economic ideologies including process that art museums, exhibition space, and art work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whole institution. Some criticized of ‘the museum as an institution’ that advocates autonomy of art and purity of exhibition space that were claimed by modernism art in the part of institutional critique, the others criticized of moral ethical issues arising when business capital sponsors art museums. The artists then challenged the authority that drew a line between everyday life and aesthetical space, and defied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an operator of major art museums through collective action. Contemporary art galleries in changed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have a tendency reflecting the effect of neoliberal capitalist economic system. Spectacle architecture of art museum by famous architects causes regional tourism, and a world-wide network that a few art museums created by branches enhances the brand value. Moreover, operation of contemporary art museums which seeks for effective marketing by complex acceptance of non-exhibition factors shows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based on economic logic. The study aims to examine critical discussions of contemporary art institution as a place wher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globalization are reflected, and notice the defiant attitude of the artist, Steyerl, who has been vocally critical continuously on this issue. Steyerl criticizes that the contemporary art world is the space of exploitation controlled by capital, and looks for a way to practice critical art within the spectacle structure of the cultural industry. 'Poor image' that Steyerl conceptualized indicates a low resolution image whose value has been decreased by marginaliz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Steyerl's methodology that highly borrows those images as work materials is continuing to have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critique in contents, and highly introducing changed media environment formally. Steyerl uses the lumpenproletariat as a metaphor for poor image, arguing of revolutionary potential from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that those images are created. Discussions of poor image that are created from a gap in the frame of big capital expand into the discussion of the invisible existence such as unpaid workers, interns, and guards within the institution in the art world. This study focuses on critical mind of Steyerl who continue with the resistance spirit as a subject of creation and a critic. Also, the study analyzes critical methodology and issues of contemporary art museums that Steyerl suggests based on her critical stance on the connection of neoliberal capital and contemporary art. Therefore, the study considers political remarks made on the site of art by examining Steyerl's criticism and works dividing them into three topics of 'art museums as a culture factory', 'sponsoring art museums by arms industry and ethical problems', and 'criticism of privatization of art'. The study gives significance in that Steyerl's institutional critique is visualizing complex power structure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hich is created from the institution space of art museums, furthermore, it enables reconsideration of a social role of art museums.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미술 제도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고,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 1966-)의 비평과 작업을 통한 실천적 비판에 대해 고찰한다. 인터넷 환경과 디지털 기술이 현실과 매개되는 상황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평을 제시하는 슈타이얼은 글, 강연, 영상 작업을 통해 동시대 미술계에 내재된 정치적, 경제적 권력에 대해 비판적인 논의를 전개한다. 슈타이얼은 예술의 비판적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그동안 은폐되어있던 문제들을 논의의 대상으로 가져와 비판적 쟁점을 공론화시킨다. 슈타이얼의 비평과 작업을 제도비판적 맥락에서 고찰하기 위하여 미술사적 흐름과 동시대적 상황에서 논의되는 담론들을 살펴본다. 1960년대 후반부터 전개된 제도비판(Institutional Critique)은 미술관, 전시공간, 작품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과정과 같은 제도 전반에 놓여있는 정치적, 경제적 이데올로기를 주목해왔다. 제도비판의 한편에서는 모더니즘 미술에서 주장했던 예술의 자율성과 전시공간의 순수성을 표방하는 ‘제도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면, 다른 한편에서는 기업자본이 미술관을 후원할 때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전개되었다. 당시 예술가들은 일상과 미학적 공간의 경계를 구분하는 제도의 권위에 도전하고, 집단적 행동을 통해 주요 미술관의 운영 주체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에 저항했다. 21세기의 변화된 환경에서 동시대 미술관은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영향을 받고 있다. 유명 건축가들의 스펙터클한 미술관 건축이 해당 지역의 투어리즘을 일으키고, 소수의 미술관이 분점을 통해 만들어낸 세계적인 네트워크는 미술관의 브랜드 가치를 강화시킨다. 이와 함께, 전시 외적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을 노리는 동시대 미술관의 운영은 경제적 논리에 기반한 기업화 전략을 보여준다. 전지구화의 양가성이 반영된 장으로서의 동시대 미술 제도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적인 발언을 해 온 예술가 슈타이얼의 저항적 태도에 주목하고자 한다. 슈타이얼은 동시대 미술계를 자본에 지배되는 착취의 공간이라 비판하고 문화산업의 스펙터클한 구조 내에서 비판적 예술의 실천방법을 모색한다. 슈타이얼이 개념화한 ‘빈곤한 이미지’는 디지털 환경에서 주변화된 것으로서 가치가 하락한 저화질의 이미지를 가리킨다. 이러한 이미지를 작업의 재료로 적극 차용하는 슈타이얼의 방법론은 내용적으로 제도비판의 맥락을 이어가고 있으면서도 형식적으로는 변화된 매체 환경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슈타이얼은 빈곤한 이미지를 룸펜 프롤레타리아로 비유하며 이러한 이미지가 발생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로부터 혁명적 가능성을 주장한다. 거대 자본의 프레임의 틈새에서 발생하는 빈곤한 이미지에 대한 논의는 미술계에 있어서 무급 노동자, 인턴, 경비원과 같은, 제도 내에 위치하지만 비가시적인 존재에 관한 논의로 확장된다. 본 연구는 창작의 주체이자 비평가로서 저항적 정신을 이어가는 슈타이얼의 문제의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동시대 미술과 신자유주의 자본의 연계에 대한 슈타이얼의 비판적 입장을 기반으로 그가 제기하는 동시대 미술관에 대한 논제와 비판적 방법론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슈타이얼의 비평과 작업을 ‘문화공장으로서의 미술관’, ‘군수산업의 미술관 후원과 윤리적 문제’, 그리고 ‘예술의 사유화에 대한 비판’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미술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정치적인 발언에 대해 고찰한다. 슈타이얼의 제도적 비판이 미술관이라는 제도 공간에서 발생하는 정치, 경제, 문화의 권력 구조의 얽힘을 가시화하고 있으며 나아가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을 재고하도록 한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 및 이미지 분석

        김세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ryone in modern society has the right to be free and equal and lives together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Changing from a former patriarchal society to a modern society, our society has undergone a change in social gender roles in the midst of great change. Modern society requires more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ability than physical labor. But the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s limits one's potential by making it impossible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various human aspects that can appear in an individual. Therefore, efforts to transform society into a more equal and non-discriminatory society are required in each sector of society. But the gender stereotype in Korean society is deeply rooted in modern society, reproducing gender inequality and even affecting education. The problem of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 will have to be improved because education of fixed gender role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both men and women. Therefore, in this study,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gender equality education can be exercised, I will analyze fiv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rom a gender-equal perspective and discuss problems by finding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To that end, the content of five 2015 revised art textbooks will be reviewed and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studies related to gender ratios and gender equality of figures shown in the textbooks will be analyze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ratio of gender appearance, the overall ratio of males in the works in the art textbook was high besides of females. When analyzing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artworks of the artists and artworks of the students, the ratio of artworks of the artists looked more big rate differences than that of the students. Also, there are not many female artists in art textbooks Second, the analysis of gender-leading ratios in textbooks showed that male were also more likely to be the main characters than female were. The artist works and illustrations showed a greater gender gap between men and women than the student works, which showed little gender difference. Third, when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gender occupations and roles in textbooks, it was found that female's roles showed high levels of household and parenting, and male's roles showed high numbers in soldiers, so that job and role images in textbooks were fixed. In addition, female were more likely to appear as lower class people, and male were more likely to appear as upper class, which allowed them to see discrimination in their occupations and status. Fourth, the image of female and male in art textbooks was analyzed in case studies, although many images of female and male playing traditional gender roles were seen in the past, female were seen changing gender role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several images in art textbook, but it was difficult for male to find the gender roles chang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Externally, male's figures showed much more variety, and female's figures often remained in the standard-looking female form. Fifth, the contents of learning related to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textbooks were not treated in depth as a whole, and the amount was found to be very small. Studies showed that more male appeared in current art textbooks than female, showing an unequal number of sexes, and reflecting inequality in their gender roles and gender status. Female showed some signs of chang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but it was hard for male to find a chang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dicating that male are fixed in appearance. Therefore, more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extbooks are needed, and a balanced composition of art textbooks is required. 현대 사회의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평등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협동적인 인간으로 살아가고자 한다. 이전의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현대사회로 변화하며 우리 사회는 큰 변화의 과정 속에서 사회적 성역할에 변화를 겪어왔다. 현대사회는 육체적인 노동력보다는 지적, 감성적, 창의적인 능력이 보다 요구되는 사회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성 역할 구별은 한 개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간상에 대한 가능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만든다. 따라서 더욱더 평등하고 차별 없는 사회로의 변화를 위한 노력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성 고정관념은 현대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하며 성불평등을 재생산 하고 그것이 교육에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정된 성 역할의 교육은 남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에서의 성불평등 문제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성평등교육이 발휘될 수 있는 교육환경으로의 개선을 목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만들어진 중학교 미술 교과서 5종을 양성 평등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성 차별적인 요소를 찾아 문제점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개정 미술 교과서 5종의 내용을 살펴 분석하고 교과서에서 보여 지는 인물들의 성별비율과 양성평등과 관련된 학습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성별 등장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도판에서 남성의 등장비율이 여성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가작품 및 삽화의 도판과 학생작품 도판의 남녀 등장인물의 비율에서 학생작품에 비해 작가작품 및 삽화의 도판이 더 큰 비율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술 교과서에서 여성 작가의 모습들은 많이 보이지 않고 있다. 둘째, 교과서속 성별 주연 비율의 분석결과, 역시 남성이 주연인 경우가 여성이 주연인 경우보다 많게 나타났다. 작가작품 및 삽화의 도판이 학생작품 도판보다 남녀의 성비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학생작품은 남녀성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셋째, 교과서에 나타난 성별 직업 및 역할 분포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가사와 육아가 높게 나타나고 남성은 군인․무인에 높은 수치를 보여 교과서에 나타나는 직업 및 역할 모습이 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분적으로 여성은 하층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높았고 남성은 상류층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높아 직업과 신분에서 차별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미술교과서의 여성의 이미지와 남성의 이미지를 사례분석 하였는데 여성과 남성 모두 역사적으로 전통적 성역할을 하는 이미지들이 많이 보였다. 여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성역할이 변화되는 모습이 몇 개의 도판을 통해 나타나기도 했는데 남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성역할이 변화하는 모습을 찾기 어려웠다. 외형적 표현에서는 남성의 모습이 훨씬 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여성의 모습은 표준적인 외형의 여성 모습에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교과서 내의 양성평등 교육과 관련한 학습내용은 전체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고 그 양도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행 미술교과서의 내용 속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등장하여 성별 등장수가 불균등한 것을 볼 수 있었고 성역할과 남녀지위에 관한 모습에서 불평등함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달라진 모습이 어느 정도 보였지만, 남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은 찾기 어려워 남성의 모습이 더 고정적으로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강화된 양성평등 교육과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미술교과서의 균형적인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15개정 미술교과서를 양성평등의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에 내재된 성불균형을 바로잡아 미술교과서에서 효과적인 양성평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연계방향을 찾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Positive-normal Operators

        김세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positive-normal 작용소의 몇 가지 성질에 관하여 공부한다. 모든 positive-normal 작용소는 finite ascent를 가짐을 보이고 quasiaffine transform 역시 finite ascent를 가짐을 증명한다. 그리고 Positive-normal 작용소의 invariant subspace로의 제한이 여전히 positive-normal이며 similarity는 positive-normality를 보존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study some properties of positive-normal operators. In particular, we show that every positive-normal operator has finite ascent (i.e., kerT = ker-T^(2)), a quasiaffine transform of a positive-normal operator also has finite ascent, the restriction of a positive-normal operator to an invariant subspace is still positive-normal, and the similarity does not preserve positive- normality.

      • 미술치료사의 창조적 우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과 해석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세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자가 평생을 겪어온 우울에 대하여 무의식적으로 표현된 미술 작업과 꿈들을 분석하고, 주제를 연결하여 그려낸 그림들과 그 해석을 통해 우울에 내재한 창조적인 힘을 발견하여 내적 갈등을 통합하고 치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는 병리적인 관점과 다른 연구자만의 시각으로 본질적으로 다른 측면의 우울과 그 변화과정에 중점을 두어 이를 ‘창조적 우울’로 정의하였고, 본 연구는 그 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으로 상세하게 탐구하였다. 연구의 중심이 되는 기록물로 그려진 미술 작업들은 주로 추상적인 감정 상태와 떠오르는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표현한 것들이다. 이러한 작업들은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주제 속에 이미 의미가 넘치는 여러 상징적 표현들이 나타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의미의 탐색 및 강화를 위해서 분석심리학의 상징해석 관점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해석학적 도구로서 연구방법에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크게 나누어 창조적 우울의 경험에 대한 두 가지 과정과 경험 및 그에 대한 의미의 정의로 요약된다. 첫 번째 과정은 무의식적 미술 표현에 담긴 우울의 의미 해석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무의식적인 표현들로 가득한 그림의 주제들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경험은 점차 변화되는 상징들로 표현된 꿈과 그림의 교차 분석으로 우울의 창조적 능력을 발견하며, 꿈과 그림으로 나타난 상징의 예언적 의미 해석을 통해 과거의 고통스러운 그림자들에 대한 정화와 통합의 과정으로 나아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경험에 대한 의미는 능동적 해석의 차원으로 그려진 세 가지 그림들로 표현되었는데, 각각 치료사의 정체성, 치료적 공간을 만드는 치료사의 능력, 가치들에 대한 나눔과 실천의 의미를 나타낸다.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창조적 우울은 개인들에게 증상이 촉발한 부정적 이미지가 감싸고 있는 내적인 고통과 그림자의 측면을 보다 안전하게 드러내고, 통합 가능한 인격적인 이미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나아가 상징적 그리기와 해석의 작업은 병리적 우울의 상태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이고 금기(禁忌)시 되는 상징적 표현들을 대극의 신성한 이미지들로 변화하도록 이끌어 무의식적 내용을 의식화하는 여정에 필요한 이미지들로 새롭게 갱신하도록 돕는다. 연구자의 경험에서 시작한 연구의 결론은 더욱 많은 가능성들에 대한 탐구 주제를 남기게 되었다. 첫째로는 병리적 현상으로서 우울만이 아닌 우울의 상태에서 촉발되는 창조성의 자기 치유적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연구의 결과는 자발적인 미술 표현과 해석이 더욱 근본적인 치료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임상에서 내담자의 고유한 특성과 자기 주도성에 따른 치료의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과 함께 연구자는 우울이라는 결함을 가진 치료사라는 위축된 생각에서 우울과 고통을 다루고 이해할 수 있는 치료사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세우고, 자신만의 그리기와 해석의 경험과 의미를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능력과 치료적 방법으로 체계화시키고자 노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내담자의 고유한 표현과 해석의 방식과 능력에 기반한 미술치료 방법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써 미약하나마 우울로 고통을 겪는 모든 이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This research demonstrate researcher’s self healing process to integrate internal conflict through analyzing spontaneous art works and dream that occurred in deeply depressed moments in whole life time and then discovering great creativity by connecting repeated images in art works and interpretations on them.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depression in qualitatively different side that against pathological point of view. This selected depressive experiences researched through method of auto-ethnography and the subject entitled as ‘creative depression’ by researcher. Art works that essential resource for research contained spontaneously expressed images which unconsciously flashed into mind and in a state of emotion on that moment of create. Those art works repeatedly represents same themes which already has full of meaningful symbolic express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pply Jungian symbolic interpretation method as the hermeneutic tool to find and enhance the meaning in art works. The result of research present in two different process of experiencing creative de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in expression on it. Firstly, the process present interpretation of the unconscious art works that created by the past depressive period which merely expressed as the contents in the unconscious. Secondly, the process experienced discovering creative power inside the depressive state through series of dream and picture that include symbolic expression. They depicted detail of shadow by the deepest comprehension of painful internal darkness, so through symbolic interpretation of all the painful result that presented in dreams and pictures, therefore subject turn into the process of emotional purification and integration of personality. As the result of those interpretations, another series of picture depicted as interpretation for deepened. Those three picture represent the three different value that achieved through 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creative depression as identity of Art therapist, the therapist’s ability to create safe therapeutic atmosphere, and practicing the value which gain through process of creative depression. As the result of research, there are individual and social value in creative depression that drawn out creative value rather than suppress the symptoms. Creative depression reveal internal pain and shadow side of images safely and then facilitate personification of those images to integration. In advance, this works of transformation discover the hidden sacred images inside the tabooed images that exposed in depressive state and refresh symbolic images which required individuation process. This research remain several inquiry. First of all, unlikely pathological study for depression, this point of view in depression as the catalyst of creativity should be studied to gain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way. Secondly, the result of research demonstrated therapeutic strength in voluntary artistic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client themselves. Therefore, research support the clinical method which focus on help to express client’s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wn initiation interpretation. Followed by this result, researcher rebuilt own identity rooted in art therapist who undergone and understood the pain of depression and under control it. Hence, the research will advancing in theoretical system as clinical process that reflect one’s own experiences of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n pictures. Consequently, this individual journey also propose the other way of therapeutic method that focus on one’s own way to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