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백봉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on the social capital in adolescents.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are mentioned as the effect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olicy. This paper also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The Survey for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2011 to October 15, 2011 targeted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Kyonggi-do. 1,198 cases were collected and 1,160 evaluation forms were made use of it. The study utilized SPSS 12.0 for analysis, and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s descriptive analysis, analysis of item-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aised. First, is ther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ocial capital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Third,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need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Fourth, do affect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self-esteem in school. general self-esteem on social capital level? Fifth, do affect a law-abiding spirit, on social capital level? Sixth, does affect school resilience on social capital level? Seventh, which independent factor is the most influential on social capital? The study utilized SPSS 12.0 for analysis, and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s descriptive analysis, analysis of item-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ame as belows: Fir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needs of education welfare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In brief, the advantaged students had more needs on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after-school-culture program. Second, self-esteem and school resilience of the disadvantag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advantaged students. Third, level of trust was higher in the disadvantaged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 the advantag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norms was higher in the advantaged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 the disadvantag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networks was higher in the advantaged students. Fourth,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and general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to trust. To norms, social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school had positive influence but self-esteem in family had negative influence.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and general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to networks but self-esteem in school had negative relation with networks. Fifth,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development, volunteer tendency, diligence, autonomy had positive influence to trust. and law-abiding, diligence, autonomy, leadership had positive influence to norms. To networks volunteer tendency and diligence had positive influence. Sixth, school resilience had influence on social capital. In the subordinate factors school attitude had positive influence on trust, school law-abiding and school interest had positive influence on Norms, school attitude had positive influence and school interest had negative influence on networ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improvement and for the future study. First, when the program is planed, needs of juvenile should be regarde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after education welfare program depending o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olicy learning and culture programs increased but another fields of programs, for exampl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had no changes. Second, the level of trust was higher in the disadvantaged student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o trust were volunteer tendency, diligence and autonomy. To improve trust of juvenil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at students organize voluntary organization themselves in school. Third, the influential factors on norms were law-abiding, school-rules observance, leadership, diligence, self-esteem in school, volunteer tendency, autonomy and schol-life interest. it means that internalized rules standards affect norms observance in group. Therefore, more programs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norms, should be planned. Fourth, to networks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school, diligence, attitude in school, volunteer tendency had influence. Considering social capital comes from relationships, networks is very important. And it is possible that an individual's overall personality is the main factor in relationship. So, it is necessary to empower juvenile and to give them confidence in themselves.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개개인의 삶은 훨씬 풍요로워졌으나 빈부격차와 개인화 그리고 경제위기 이후의 가족해체 등으로 인해 삶의 질은 그다지 높아지지 않았다. 더구나 경제위기라는 사회적 불안이 가정의 해체와 위기를 심화시키면서 가정 안에서 보호받고 발달해야 할 청소년들은 다양한 위험요인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학업에 대한 과열경쟁과 사교육비 지출의 불평등은 빈곤층 청소년의 학교부적응과 학력저하를 초래하는 심각한 교육적 불평등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 교육적 불평등은 단순히 현재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청소년들이 누려야 할 기회와 보장을 저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때문에 이러한 교육차별을 시정하고 청소년들이 미래에 사회구성원으로서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교육복지지원 사업을 펼쳐 그러한 격차를 줄이는 한편 삶의 질을 높이고 청소년들을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을 펼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제 3의 자본으로 대두되는 사회적 자본은 인간관계 상에서 협력을 촉진시키는 일체의 사회적 자산을 일컫는 것으로 사회생활 상 각 부문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도의 압축적인 경제성장에 비해 매우 낮은 사회적 자본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지속적이고 건전한 사회의 성장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확충과 축적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복지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성으로 거론되는 자존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얼마나 영향력을 갖는지 그 관계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집중대상 청소년과 일반대상 청소년의 자존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집중대상 청소년과 일반대상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집중대상 청소년과 일반대상 청소년의 교육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사회성의 5가지 하위영역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여섯째, 학교적응유연성의 3가지 하위영역은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일곱째, 독립변인들 중 사회적 자본-신뢰, 규범, 네트워크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용어가 가진 의미를 확인하는 한편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는 경기도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와 4개 중학교의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 사업 집중대상과 일반대상 학생 1198명을 대상으로 배포, 수거되었으며 이 중 결측치를 제외한 116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프로그램의 각 영역에 대해 집중대상과 일반대상 학생들의 욕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복지프로그램의 학습영역에 대한 욕구는 집중대상 청소년의 욕구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체험에 대한 욕구는 교과외방과후 활동에 대한 욕구는 집중대상 학생들이 더 높았으나 기타 영역에 대한 욕구는 일반대상 청소년들의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건강에 대한 욕구 역시 일반대상 청소년들의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정서에 대한 욕구는 가족상담, 사회성향상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제외하고는 집중대상 청소년의 욕구가 더 높았다. 이렇듯 교육복지프로그램의 각 영역에 대해 두 집단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중대상 학생들의 욕구는 학습영역에 대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총체적 자존감과 학교적응유연성을 집중대상에 비해 일반대상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총체적 자존감은 교육복지집중대상 청소년이 일반대상 청소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존감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은 일반대상 청소년이 집중대상 청소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적 자존감의 경우 일반대상 청소년이 집중대상 청소년에 비해 낮았다. 사회성의 하위영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준법성의 경우 초등집중대상이 초등일반집중대상에 비해 높았으며 중학생은 집단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봉사성의 경우 초등집중대상에 비해 초등일반대상이 높았으나 중학생은 집단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근면성과 지배성은 초중등 모두 일반대상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집중대상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적응유연성에서 총체적 학교적응유연성은 일반대상 청소년이 더 높았고 하위영역 중 학업성적태도의 경우 초등집중대상에 비해 초등일반대상이 높았으나 중학생은 일반대상에 비해 집중대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규범준수의 측면에서는 차이가 매우 미미했으나 일반대상 청소년이 약간 높았고 학교생활흥미에 있어서는 초중등 모두 집중대상 청소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 중 신뢰영역은 초등학생은 일반대상이, 중학생은 집중대상이 더 높았고 규범은 초등집중대상과 중등일반대상이 높았으며 네트워크는 초중등 모두 일반대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존감의 하위영역이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은 사회적 자본 중 신뢰에 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이 높을수록 신뢰도 높아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사회적 자본 중 규범에 대해서는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정적 자존감은 부(-)적 관계를 사회적 자존감과 학교적 자존감은 정(+)적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는 가정적 자존감이 높아지면 규범은 낮아지며 사회적 자존감과 학교적 자존감이 높아질수록 규범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에 대한 자존감의 영향은 모두 학교적 자존감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적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가 높아지며 학교적 자존감이 높아지면 네트워크도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사회성의 하위영역이 사회적 자본 중 신뢰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은 모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이 높아질수록 신뢰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적 자본 중 규범에 대한 사회성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준법성, 근면성, 자율성, 지배성은 규범에 대해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봉사성과 근면성이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유연성이 사회적 자본 중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학교수업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범에 대해서는 학교규범준수와 학교생활흥미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학교수업태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생활흥미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흥미가 높을수록 네트워크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가설 6에 대해서도 하위가설 중 일부는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는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러 독립변인들 중 사회적 자본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사회성 중 봉사성, 학교수업태도, 근면성 등이 중요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외에도 사회적 자존감이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적 자존감과 학교규범준수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규범에 대해서는 준법성, 학교규범준수, 근면성, 지배성 등이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생활흥미, 학교수업태도는 부(-)적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결론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교육복지프로그램 및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이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방향을 청소년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구가 경기도 지역에 제한되어 실시되었기 때문에 일반화시킬 수는 없으나 프로그램의 증가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었으나 학교 차원의 변화인식은 낮았다. 따라서 학습과 문화 프로그램 외에 정서적 지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체적인 사회적 자본은 집중대상 청소년보다 일반대상 청소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으나 네트워크에서는 초등생과 중등생 모두 일반대상이 높았다. 신뢰 또한 일반대상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자율적인 봉사활동을 조직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규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준법성, 학교규범 준수, 지배성, 근면성, 학교적 자존감, 봉사성, 자율성, 학교생활흥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에서 내면화된 사회규범과 그것을 지키려고 하는 의식이 집단의 규범준수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학교에서 학생자율조직을 조직화하고 그 조직의 규범을 지키도록 함으로써 규범을 준수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생활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함으로써 학교에 대한 흥미를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 근면성, 학교수업태도, 봉사성이 있었다. 네트워크는 협력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연결고리이며 사회적 자본이 관계 속에서 생겨나는 자본이라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관계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개인적인 특성 또한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아동의 환경적 특성과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이선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Children of poor families' economical hardship is dangerous because it effects their growth,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are blocked from satisfying their basic and primary desires, and they need a stable family and societal environment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started to heighten the quality of liv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disadvantaged conditions by achieving the education that is needed in every level of life so they can grow as capable adults in a democratic society and realize local education communities. This thesis has the goal of analyzing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targeted school children centered guarding cause and harming cause, behavior intent and psychological social activiti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a total of 719 5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2nd-3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the Gyeonggi-do Ansan region. The frequency test, factorial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4-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the analysis of the response data, and the SPSS 15.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ng research hypothesis through analysis is as below. First, the effects of person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on behavior intent was higher on the poor family students than on normal family students, and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grades got higher.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were higher, and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students' level of planning and self-efficiency rose.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lower as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rises, and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got higher. Second, the intent to move lowered as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were taken toward the effects of family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to behavior intent.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intent of devotion rose as the family's level of support,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rose, and the intent to disregard lowered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and the students' intent to disregard rose as the family's discord rose. Third, the students'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lowered a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as support of teachers as societ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effect gets better, and students' intent to move rose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s and exposure to internet rose.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as the relationship of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got better. Fourth, as the effect of behavior intent to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as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heightened, societal atrophy and depression and anxiety was felt greatly, misbehavior and aggressive activities were frequent, social ability lowered, and the social ability rose a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Fifth,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on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is that as self-efficiency rise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lowers, and as impulsiveness rises, societal atrophy rises as well. Also, as the number of early misdeed behaviors rises,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rises, and the number misdeed behaviors also rose.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responsibility rose,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fell, and as the level of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behavior experiences rose, aggressiveness rose, and as self-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rose, the social ability rose as well. As family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fell and ability rose, and as a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rose, and ability fell. As the family's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aggressiveness rose, and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rose as well. Students who had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had low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aggressiveness was low, and their number of misdeed behaviors was low as well.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 and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and misdeed behaviors increased as well. Also, as the stud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increased, and as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lowered. Sixt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by behavior intent mediated effect as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is that the nearby minus environment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and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lso, the effect of students' relationship to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eachers' support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With these results as the base,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must make a program that can improve planning,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and make sure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cation is done well so students can adapt well to school life. Also,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have effects on misdeed behaviors, so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poor families must be protected from the many harming causes as a social safety net, so they can develop into a healthy member of society. 빈곤가정의 아동은 경제적 어려움 이상으로 발달과 건강 그리고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기본적인 욕구의 일차적인 욕구의 충족의 어려움과 아동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가정환경과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불리한 여건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각 생애 단계별로 요구되는 교육적 성취를 이룸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 지역교육공동체 구현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행동의도 그리고 심리사회적 행동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2․3학년 총 7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응답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t 검정,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4단계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가정 학생들이 일반가정 학생들에 비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동의도가 높았다.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이동의도는 높아졌고 계획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무시 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민주적 양육태도를 많이 가질수록 이동의도는 낮아지고,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 의도는 높았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 민주적 양육태도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충실의도는 높아졌으며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무시의도는 높아졌다. 셋째, 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와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와 충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동의도와 무시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많이 느끼며 비행행동과 공격적인 행동을 많이 하고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의의도와 충실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충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기비행경험이 많을수록 우울․불안 수준은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책임감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을 적게 하며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아졌고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유능성은 높아졌으며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불안은 높아지고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가정의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공격성이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이 낮아지고 비행행동은 적게 하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비행 행동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동의도 매개효과로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변유해환경은 이동의도와 무시의도의 매개를 통해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교사의 지지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었다. 학생들의 교우관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교사의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계획성, 책임감,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의 지지, 교사의 지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회안전망으로서 빈곤지역의 아동과 청소년이 지역사회환경의 많은 위험요인들로부터 보호되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생애 이야기에 대한 형태론적 분석 : 프롭(V. propp)의 민담형태론을 중심으로

        이택수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analyzed the story of Jesus' life shown in the Gospel of Mark with the Morphology of the folk tale studied by Propp (V. Propp), a Russian folklorist. Here, morphology means the research on form. This term is mainly used in botany which is the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plants. Propp analyzed 100 Russian folk tales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ir integrated structure. As a result, he discovered that the behavior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folktales are spread within the range of 31 functions. Based on 31 functions of folk tales discovered by Propp,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body of the Gospel of Mark. The first purpose is to identify the integrated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Jesus' life told by Mark morphologically. The second purpose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 morphologic analytical method that can be an interpretive method faithful to the Bible itself. The third purpose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 new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Gospel of Mark. Under the above purposes,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the study as follows. By examining the concept, definition and genre of folk tales in Chapter 2, the research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m in an exact way by comparing the word folk tale that is, a general perspective of a story with the perspective of Propp. Then, after finding out what kinds of effects have been exchanged and which relationships have been formed between folk tales and the studies, the researcher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ng factor between the two. After that, by generally examining what Morphology of the folk tale of Propp is, the researcher found the Biblical hermeneutic possibility of Morphology of the Folktale. Before morphological analysis about the story of Jesus' life that Mark is telling by Morphology of the folk tale of Propp in Chapter 3, the researcher shortly examined the study history of the Gospel of Mark and gave a general explanation. While, keeping the morphological analysis in mind, the researcher divided the structure of the whole body of the Gospel of Mark by situations. Next, the researcher found functions discovered by substituting the body divided by situations into 31 functions of Morphology of the folk tale of Propp and analyzed the body based on functions. As a result, the morphologic integrated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fe story of Jesus that Mark was telling was able to be known. In Chapter 4,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then finished it mentioning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through evaluation and future study about the results of a folk tale morphologic Bible study. As for the positive sides of the above findings, first, the life of Jesus shown in the Gospel of Mark was the life of fight (H), victory (I), problem (M) and solution (N). This is the morphologic integrated structure of the story of the Gospel of Mark. Through this,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the morphologic analysis method can be used as a useful methodology in identifying the uniqu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the Gospel of Mark as well as other Gospels or narrative Bibles. Second, by substituting the story of the Gospel of Mark for the 31 functions of Morphology of the folk tale characters and analyzing it,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the Gospel of Mark was able to be found through the function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frequently. For example, the function of fight (H) and victory (I) appearing 15 times in the story of the short Gospel of Mark characteristically shows how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Jesus was on earth. Third, by distinguishing characters by action, a character group compared with 7 characters appearing in folk tales was able to be set.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ppearing throughout the Gospel of Mark and Jesus, the main character on the ministry of Jesus could be identified. Fourth, through the morphological study of the story of the Gospel of Mark, this study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ssue of the origin of the story and the Bible. The negative sides of the findings are the limitations of Morphology of the folk tale of Propp as the Bible study methodology. First, the morphologic study of Propp shows whether a folktale is a pure story or not by identifying its structure and type. This is the purpose of Morphology of the folk tale.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ation to derive a deep theological meaning of the Bible. Second, the acceptable range of the methodology is too narrow to apply Morphology of the folk tale to the overall Bible. That is, since the Bible is a collection of various literary forms, a thing which is not the contents of a narrative format has limitations in application. However, given the universality and applicability of folktales, the morphological study of Propp broadens the width of awareness by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with the adjacent areas. It can also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Bible study methods, as the methodology opens a broad and useful area of exploration. 본 연구는 러시아의 민속학자 프롭(V. Propp)에 의해서 연구된 민담형태론(Morphology of the Folktale)으로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생애 이야기를 형태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형태론이란 형태에 관한 연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식물학에서 주로 쓰이며 식물의 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프롭은 100편의 러시아 민담을 분석하였다. 그 목적은 민담의 통합적 구조를 밝히는 것이었다. 그 결과 민담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위가 31개 기능들의 범위 안에서 펼쳐진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는 프롭이 발견해낸 민담의 31개의 기능을 바탕으로 마가복음 본문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목적은 첫째, 마가가 말하는 예수의 생애 이야기의 통합적 구조와 특징을 형태론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둘째, 형태론적인 분석 방법이 성경 자체에 충실한 해석방법이 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셋째, 형태론적인 방법론으로 새로운 마가복음 읽기와 이해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 민담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장르를 살펴봄으로 민담이라는 단어 즉 이야기의 일반적 관점과 이에 대한 프롭의 관점을 비교하여 민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민담과 학문간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알아 본 후 성경과 민담의 관계성과 연결점을 살펴보았다. 그런 후 프롭의 민담형태론이란 무엇인지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 민담 형태론의 성경해석학적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3장에서 프롭의 민담형태론에 의해서 마가가 이야기 하는 예수의 생애 이야기에 대해서 형태론적인 분석하기에 앞서, 마가복음의 연구사를 간략히 살펴보고 마가복음을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형태론적인 분석을 염두에 두고 마가복음 전체 본문의 구조를 상황별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프롭의 민담형태론의 31개 기능에 상황별로 나눈 본문을 대입하여 발견되는 기능들을 찾아냈고, 기능들에 근거해서 본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태론적인 마가가 이야기하는 예수생애 이야기의 통합적 구조와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정리 하고 이어서 민담형태론적인 성경연구의 성과에 대하여 평가 및 향후 연구를 통해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언급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의 긍정적인 면으로 첫째,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생애는 투쟁(H)과 승리(I), 그리고 문제(M)와 해결(N)의 삶이었다. 이것이 마가복음 이야기의 형태론적인 통합적 구조이다. 이것을 통해서 형태론적인 분석 방법은 마가복음 이야기뿐 아니라 다른 복음서나, 이야기체 성경들의 고유한 구조나 특징을 밝히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사용할 수 있음도 밝혀냈다. 둘째 마가복음 이야기를 민담형태론 등장인물 31개의 기능에 대입, 분석하여 빈번하게 등장하는 인물의 기능들을 통해서 마가복음 이야기의 형태론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짧은 마가복음 이야기 속에서 15회나 나타나고 있는 투쟁(H)과 승리(I)의 기능은 지상에서 주인공 예수의 삶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특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셋째 인물들을 행위별로 구별하여 민담에 등장하는 7명의 인물들과 대비되는 인물군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마가복음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인물들과 주인공인 예수의 관계성과, 예수의 사역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이 가능하였다. 넷째, 마가복음 이야기의 형태론적인 연구를 통해서 성경과 이야기의 기원의 문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 하였다는 것이다. 연구결과의 부정적인 면으로 프롭의 민담형태론이 성경연구방법론으로서 가지는 한계점이다. 첫째, 프롭의 형태론적인 연구는, 민담에 대해서 구조와 유형을 파악함으로 그것이 순수한 이야기인지 아닌지를 밝힌다. 이것이 민담 형태론의 목적인 것이다. 이로 인해 성경이 가지고 있는 깊은 신학적인 의미를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민담형태론이 전체적인 성경에 적용되기에는 방법론의 수용범위가 좁다는 것이다. 즉 성경은 다양한 문학양식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이야기 형식의 내용이 아닌 것은 적용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민담이 가지고 있는 보편성과 적용성을 고려한다면 프롭의 형태론적 연구는 이론과 실천의 결합, 인접분야와의 결합으로 인식의 폭을 넓혀 주며, 광범위하고 유용한 탐구의 영역을 열어주는 방법론으로서 성경연구방법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노인복지관 효율성 분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김금환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cause of differences among senior welfare centers in that regard, and to investigat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and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at methods would be effective at assessing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taking into account their circumstances was reviewed, and post-hoc analyses were made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Tobit analysis, which were useful tools to evaluate relative efficiency. After 24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their yearly operating data of 2011 were utilized. A DEA model was employed to evaluate efficiency, which was a useful evaluation methodology for public-service institutions where there were a lot of input and output factors. The welfare programs provided by the senior welfare cent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medical welfare, leisure welfare and community welfare. And then the welfare programs were analyzed by domain. As for the input factors, two models were selected. Model 1 consisted of three selected input factors, which were the number of full-time workers, the number of volunteers and the gross area, and there was an additional environmental input factor in Model 2 besides the three input factors, which was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Both of CCS and BCC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and the size efficiency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and reference groups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cause of inefficiency and to what extent each inefficiency factor should be improved. Besides, super-efficiency method was utilized to make a DMU ranking analysis in an efficient way, and Tobi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C efficiency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efficiency test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DEA efficiency test, Model 2 that included the environmental input variable of the senior citizen population within the jurisdiction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ull-time workers, the number of volunteers and the gross area excelled Model 1 that didn't in technical efficiency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efficienc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ospective elderly users within the jurisdiction. In terms of the medical welfare domain,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of 2.23%(68.1%, 65.8%) between Model 2 and Model 1 in the CCR model, and there was a difference of 4.08%(83.9%, 79.9%) between the two in the BCC model. In the leisure welfare domain, there was a difference of 3.88%(79.2%, 75.3%) in the CCR model, and there was a difference of 4.6%(91.7%, 87.1%) in the BCC model. In the community welfare domain, there was a difference of 1.03%(88.3%, 87.3%) in the CCR model, and there was a difference of 2.42%(95.9%, 93.5%) in the BCC model. Thus, there weren't large disparities between Model 2 and Model 1, which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additional input variable of Model 2 wouldn't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fficiency improvement. Second, which of the technical and size factors would be the cause of inefficiency was investigated, and the mean contrast ratio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between Model 1 and Model 2 were slightly broader than that of technical efficiency between the two in terms of all the three domains. So it could be inferred that inefficiency was more likely to result from the size factors than the technical factors since there was a bigger increase in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The mean contrast ratio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of Model 1 was 105.01% in the medical welfare domain,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echnical efficiency of the same model that was 103.50%. In the community welfare domain, the former was 105.28%, which was higher than the latter that was 105.18% as well. In the regional welfare domain, the former was 102.57%, which also was higher than the latter that was 101.15%. Accordingly, it's found that the size factors were more likely to cause inefficiency. Yet it seems not advisable to view the size factors as the only cause of inefficiency because the differences weren't great. Third, when a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DEA based on the DEA efficiency data, the results of Tobit model analysis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each variable's influence on efficiency and about the direction(positive or negative) of each variable's influ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some implications: First, the usefulness of DEA as an analysis of efficiency was proven, and post-hoc analyseis were carried out in diverse ways by employing DEA and DEA efficiency data. Thus, it's attempted to make this stud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erms of methodology. Second, the programs provided by the senior welfare centers were categorized into medical, leisure and community welfare program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s in detail. Thus, it's attempted to make this stud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and to produce differentiated research models. Third, two different models were prepared in this study. Model 1 was composed of the input factors that were typically considered in earlier studies of social welfare, and Model 2 included an additional environmental variable of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Thus, it's attempted to make this stud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about the efficiency of the inefficient senior welfare centers. Fourth, in relation to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the inefficient senior welfare centers, the senior welfare centers were mostly at a standstill in terms of profit, and it seems advisable to seek strategies of increasing the output without changing the input instead of regulating the input factors. Fifth, all the nation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eople in general call for the publicness and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and welfare policies. So far, publicness is overly stressed, which leads to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welfare service, and not only people in general but the government are worried about the practical effect and impartiality of welfare service. Like the cases of other services of the public sector, it's required to check programs provided by senior welfare centers in terms of efficiency. In that sens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stir up more research efforts on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welfare service of different fields. A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ollow-up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Ye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present general norms for the efficiency analysis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using a DEA model and made various post-hoc analyses based on the efficiency data to give significant suggestions on the service of senior welfare centers.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수준과 효율성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어느 요소들이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이 직면한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성 측정방법을 검토하고, 그 중에서 상대적 효율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과 Tobit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DEA 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24개 노인복지관으로 한정하였으며, 2011년도 1년간의 운영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다수의 투입과 산출요소를 갖는 공공서비스 기관의 효율성 평가에 유용한 DEA 모형을 활용하여 효율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복지프로그램을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의료복지사업, 여가복지사업, 지역복지사업으로 나눠 복지사업영역별로 분석하였으며, 투입요소로써 상근근무자 수 및 자원봉사자 수, 복지관 연면적을 투입요소로 하는 모형1 이외에 관할 지역내 65세 이상 노인인구를 투입환경요소로 하는 모형2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세분화된 연구모형들에 대해 각각 CCR분석과 BCC분석을 모두 진행하였다. 더 나아가 규모효율성과 참조집단 분석을 통해 비효율 노인복지관의 원인분석과 요인별 효율성 개선 목표치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초효율성 기법을 통해 효율적인 DMU의 순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DEA 효율성 평가 결과치를 활용하여 효율성에 미치는 변수의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Tob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노인복지관의 효율성 평가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EA 효율성 평가 결과, 서울시 소재 분석대상 노인복지관들은 상근자수 및 자원봉사자 수, 연면적 외에 관할지역내 65세 노인인구수를 투입환경변수로 투입하는 모형2는 그렇지 않은 모형1보다 기술효율성과 순수기술효율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관할지역내 접근가능한 노인인구수에 따라 효율성의 개선여지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모형2와 모형 1간 차이값은 의료복지사업 CCR모형의 경우 2.23%(68.1%, 65.8%), BCC모형은 4.08%(83.9%, 79.9%)이며, 여가복지사업 CCR모형의 경우 3.88%(79.2%, 75.3%), BCC모형은 4.6%(91.7%, 87.1%)이다. 또한, 지역복지사업 CCR모형의 경우 1.03%(88.3%, 87.3%), BCC모형은 2.42%(95.9%, 93.5%)으로써 모형2와 모형1의 차이는 크지 않음에 따라 모형2에의 추가 투입변수에 의한 효율성 개선의 여지는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비효율의 원인이 기술적 요인인지 또는 규모의 요인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3개 사업영역 모두에서 모형1과 모형2의 순수기술효율성 평균값의 대비율은 기술효율성 평균값 대비율보다 약간씩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순수기술효율성의 증가율이 더 높아 비효율의 원인이 기술적 요인 때문이라기 보다는 규모의 요인에 의한 비효율일 가능성이 더 클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즉, 의료복지사업의 모형1의 순수기술효율성 평균값 대비율은 105.01%로써 기술효율성 평균값 대비율 103.50%보다 높으며, 여가복지사업의 경우에도 105.28%로써 기술효율성 평균값 대비율 105.18%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역복지사업의 경우에도 각각 102.57%로써 기술효율성 평균값 대비율 101.1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효율의 원인이 규모의 요인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그 차이값이 크지 않음에 따라 모든 비효율의 원인을 규모의 요인으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DEA 효율치를 활용한 DEA 사후분석에서 Tobit 모형 분석결과는 각 변수별로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정(+) 또는 부(-)와 같이 영향을 미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 점에서 시사점과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DEA 효율성 분석의 유용성에 대한 입증과 함께 효율성 결과값을 자료로 활용하는 다양한 DEA 사후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방법론적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사업을 의료ㆍ여가ㆍ지역복지사업으로 유형화하여 세부적으로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연구모형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한 투입ㆍ산출요소로써 사회복지분야 선행연구의 투입요소를 반영한 모형1과 추가적으로 환경변수로써 지역내 65세 이상 노인인구를 적용한 모형2로 구분하는 연구모형으로 기존연구와 차별화함으로써 비효율 노인복지관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효율성 분석값 도출을 시도하였다. 넷째, 연구결과 비효율 노인복지관의 효율성 개선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복지관이 규모수익체증 상태인바, 투입요소의 조정보다는 현재의 투입을 유지한 상태에서 산출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하다 하겠다. 다섯째, 노인복지 및 복지정책에 대하여 정부 및 지자체, 국민들은 공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공공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함에 따라 급증하는 복지서비스의 실효성 및 공정성 등에 대해서는 국민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사업 서비스도 다른 공공부문의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효율성 관점에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효율성 분석과 성과평가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성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보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DEA 모형을 이용한 노인복지관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일반적 규범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 결과값을 이용한 다양한 사후분석의 통합연구를 통해 노인복지관의 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많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적지 않다 하겠다.

      •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character strength is a variable that affect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and congruence of the Satir's model during the process.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410 Christians who attend church.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8.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1986)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congruence(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 strength(courage, temperance, justice), self-esteem, congruence and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age; in every variable except character strength(humanity) and congruence (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self-esteem and congruence(intra-psychic dimension, total congruenc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 according to the belief characteristics of Christian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character strength(transcendence), congruence (intra-psychic dimension, spiritual dimension, total congruence),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spiritual training; character strength(justice, transcendence), congruence(spiritual dimension, total congruence), religious well-being and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worship service attendance; in every variable except character strength(temperance) and congruence(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religious activities; and in every variable according to prayer time.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 strength and self-esteem, congruence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op, middle and bottom groups in every variable. Fourth,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every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strength, self-esteem, congruence and spiritual well-being. Character strength, self-esteem and congruence had meaningful effects on religious well-being, and it was explaining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transcendence, spiritual dimension, wisdom and temperance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45%.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57% with the explanation in the order of self-esteem, spiritual dimension, wisdom, transcendence and interpersonal dimen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piritual well-being was 54% with the explanation in the order of transcendence, spiritual dimension, wisdom,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dimension. Fif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ening effect of self-esteem and congr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 and spiritual well-being showed that self-esteem had complete intervening effect on wisdom, and partial intervening effect on humanity, courage, temperance, justice and transcendence. In congruence,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had complete intervening effects on wisdom and temperance, and interpersonal dimension had partial intervening effects. In humanity, courage, justice and transcendence, every sub area of congruence had partial intervening effects.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although character strength had direct effects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its influence and spiritual well-being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self-esteem and congruence. Accordingly, this study contributed to scientific happiness study of Christia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 new resource of character strength in enhancing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In addition, its significance is in the fact that it scientifically verified the basis of intervention of self-esteem and congruence to maximize character strength in order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on preparing a foundation for developing happiness and growth program of Christians.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Satir 성장모델의 자존감과 일치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회에 출석하는 기독교인 41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일치성(대인간 차원), 연령은 성격강점(용기, 절제, 정의), 자존감, 일치성, 영적 안녕감, 학력은 성격강점(자애)과 일치성(대인간 차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월 소득은 자존감과 일치성(심리내적 차원, 일치성 전체)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독교인의 신앙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앙연수는 성격강점(초월), 일치성(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 일치성 전체), 영적 안녕감, 예배참석은 성격강점(정의, 초월), 일치성(영성 차원, 일치성 전체), 종교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종교 활동은 성격강점(절제)과 일치성(대인간 차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개인 기도시간은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 수준에 따른 영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상, 중, 하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 영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은 종교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설명력은 45%로 초월, 영성 차원 지혜, 절제 순으로 종속변인을 설명하고 있었다. 실존적 안녕감의 설명력은 57%였고, 자존감, 영성 차원, 지혜, 초월, 대인간 차원 순이었다. 영적 안녕감은 54%의 설명력으로 초월, 영성 차원, 지혜, 자존감, 대인간 차원 순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다섯째,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지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자애, 용기, 절제, 정의, 초월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일치성은 지혜와 절제에서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대인간 차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자애, 용기, 정의, 초월에서는 일치성의 모든 하위영역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변인에 의해 그 영향력을 증가시키고 영적 안녕감을 더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성격강점이라는 새로운 자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기독교인의 과학적인 행복연구에 기여하였다. 또한 성격강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자존감과 일치성의 개입에 대한 근거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기독교인의 행복 및 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요한복음의 “오병이어 표적”에 대한 상호텍스트성 분석

        박희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요한복음 6:1-15의 오병이어 표적 사건은 그 자체로도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을 드러내는 기적이지만 신학적으로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4복음서에 모두 수록되어있는 이 이적 사건은 공관복음서에서는 단순한 이적사건으로 서술되고 있지만 요한복음에서는 이 이적 사건이 예수와 유대인들 간의 논쟁담화로 이어지고 있다. 즉 본문 저자는 이 이적 사건을 예수의 기독론의 원리와 성만찬의 예표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요한복음의 저자는 이 오병이어 표적사건 없이는 예수의 신성, 즉 하나님의 아들 됨과 성만찬의 원리를 이해할 수 없는 중요한 사건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오병이어 표적사건 자체보다는 성만찬 제정원리와 예수의 기독론을 설명하기 위한 도입예화로 사용할 뿐, 이 표적사건을 중심에 두고 이 사건 자체의 의미 분석이나 성서 내의 다른 책들과의 관련성을 통한 의미 분석은 상당히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오병이어 사건을 중심으로 공관복음서의 기록 내용과의 비교와 요한복음 6장 내의 예수와 유대인의 담화, 구약의 출애굽 사건 텍스트와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그 연구 방법으로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방법인 텍스트성 분석과 상호텍스트성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텍스트성 분석 방법 중 텍스트의 결속구조, 결속성, 상황성 분석을 하였다. 결속구조 분석은 회기법, 환언, 병행구문, 대용형, 생략, 시제와 상, 접속구조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속성 분석은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분석, 전국적 인지패턴 중 프레임, 스키마, 플랜에 의한 분석을 하였다. 이어서 상황성 분석은 텍스트 내의 사건 진행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황점검과 상황관리를 파악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분석은 바흐친의 문학이론 중 주체, 대화주의, 크로노토프, 카니발리즘, 다성구조 등의 이론을 분석에 적용하였으며, 이것들을 근거로 박건용의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따라 동위소와 항수를 발견해내고 그것을 통한 연구 텍스트의 궁극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성 분석에서는 본 연구 텍스트가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사건의 주체가 예수인 것과 오병이어 표적사건은 인간이 아닌 신 만이 일으킬 수 있는 위대한 사건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분석에서는 이 오병이어 표적사건이 바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에서 비롯된 인류 구원사역의 장구하고 거대한 드라마에서, 그 절정에 해당하는 예수의 십자가 죽음을 앞두고 이루어진 ‘보여주는 복음’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표적의 크로노토프임을 알게 되었다. The sign of Five Loaves and Two Fish from the Gospel of John chapter 6:1-14 demonstrates in itself the divinity of Jesus Christ and has some theologically significant meanings as well. Even though this sign is included in all of the four Gospels, the Gospel of John does not describe it as a simple miraculous event just as it is in the other three canonical gospels, leading this event into a subsequent controversy between Jesus and the Jews. Using this sign as the preliminary mark for the principle of Jesus' Christology and for the institution of sacrament, the writer acknowledges that this sign is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Jesus as the incarnate God and the sacrament. However, most studies on the Five Loaves and Two Fish have used this sign as an introductory episode in order to explain the Christology and the sacra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ign itself and its own significance, or how it is related to the other Biblical recordings.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Five Loaves and Two Fish sign itself and its own importance, comparing it with the equivalent events happening in the canonical gospels, evaluating it in terms of the whole context of Gospel John chapter 6,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gn and the Exodus in the Old Testament based on the theory of textuality and intertextuality. This study starts with applying the theories of the text linguistics to see whether this text, as a communicative occurrence, satisfies the standards of textuality such as cohesion, coherence and situationality. As for cohesion, this study analyzes the cohesive devices like recurrence, paraphrase, and junctive expressions, etc. As for coherence, this study designs the cohesive networks representing its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the text in terms of a frame, a schema and a plan as global patterns. As for situationality, this study interprets the situation monitoring and situation management done as the sign event proceeds. Next,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intertextuality, this study applies the literary theories based on Bachtin's dialogism, chronotope, carnivalism and polyphonie, etc. It also adopts the theory of Mr. Geunyong Park, who adapted the theory of Bachtin and created his own intertextually analytic methods of finding isotopie and invariante. Through the analysis of textual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gent of the Five Loaves and Two Fish sign is Jesus, who intends to reveal His Divinity; and that this sign can be done only by God, not by a human being.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textuality, this study acknowledges the sign of Five Loaves and Two Fish as the chronotope and the 'revealing gospel', which was performed just before the crucifixion of Jesus, the Son of God, which is the climax of God's extended, magnificent drama of saving men in history with His great love.

      •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

        장혜진 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solution to increase the middle-age women’ psychological well-being by proving mediated effect between middle-age women’ social service actives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 First,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Third,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depression? Fourth, doe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as a preliminary survey from February 1st through 3rd 2016 for 3 days and the main survey from February 5th through 14th for 15 days which deployed 70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614 surveys questionnaires that were aimed for middle-aged women, aged between 40~64,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servic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SW (SPSS) Ver. (22.0) program which conducted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key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had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analysis is thought to be the reflection of pride and accomplishment of middle-aged women through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community service social network for middle-aged women in local community by building and managing systematic education and human infrastructure. Seco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actor had a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seem to have static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analysis matches with Kwon (2012)’s research analysis, when if one consider their life is satisfying and ordinary life’s emotional experience i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then life satisfaction is also positive. Third, community service factor had an impact on depression. The analysis shows reduce in depression when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become positive. These results match with Kong (2004), Lee (2001), Kim (2006)’s research, if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are well controlled, then they tend to reduce depression. Fourth, the parameter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parameters,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a mediating effects between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life depression. In order for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o be more active, policy initiatives and program development is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사이에서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은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2016년 2월 1일부터 2월 3일까지 3일간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2016년 2월 5일부터 2월 14일까지 15일간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40세-64세 사이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61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PASW(SPSS) Ver.(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분석결과는 현재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중년기 여성이 스스로 자긍심과 성취감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인적 인프라 구축 및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 내에 중년기 여성 사회봉사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고 일상생활에서 정서적 경험이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일 때,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분석한 권중돈(2012)의 연구와 일치한다. 셋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좋아질수록 우울감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신체적으로 만족하고, 가족관계나 대인관계가 잘 유지되면 우울감이 줄어든다는 공보금(2004), 이현주(2001), 김미례(2006)의 연구와 일치한다. 넷째,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 우울감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처럼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가짐으로 삶의 만족을 높이고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정책적 노력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 사할린귀환 시설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위한 집단원예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김경숙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on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at the facility for the permanent returning from Sakhalin and search for the possibility to adopt horticultural therapy to the practice of clinical social work as a new clinical technique. For the study purpose, study targets consist of 15 persons of experimental group and 15 persons of control group who reside at Sakhalin Welfare Center located in Incheon, can act by themselves and agree to the participation in grou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stud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For quantitative research, similar experimental researc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among 11 group therapy factors suggested by Yalom for researcher's subjective evaluation, purification and personal relation learning were selected as therapy factors. To check personal relation and emotional reaction, target behavior observation data were used. To grasp entire situation of group horticultural activity, group horticultural activity evaluation table adapted by Oseas(1961)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verify the result of quantitativ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follows were performed. First,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to grasp demographic characteristic distribution difference between 2 groups and check whether homogeneity was secured between 2 groups. Second, in quantitative evaluatio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ceived the scale of ego integrity before and after therapy so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repetitive factorial design of time (2) x group(2). Therefore,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repeate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statistics. In order to analyz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the result that was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that compares pre-post correlated groups out of Non Porametic Statistics was adopted for comparison. Third, the data for qualitative evaluation were collected over 20 times. Group initial step (1st~5th times), group middle step (6th~15th) and group termination step (16th~20th) were performed. In each session, researcher and researcher's assistant, volunteer, observed each step directly and recorded what they observed in observation data and researcher arranged and analyzed the recor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group horticultural therapy, pre-test about ego integr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115.2 and post-test was 132.53, showing that ego integrity in the test after experiment increased. For pre-test · post-test ego integrity of control group, pre-test was 126.8 and post-test was 117.4, showing that ego integrity decreased. Although the number of cas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ego integr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control group, for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creased in post-test. In other word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use of time and group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 analysis, group's emotional change and behavioral change were checked by analyzing each session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hesiveness, personal relation ability, recognition & troubleshooting ability and motion perception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meaningfully and positively, depending on group development step. The result of inspecting and compa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residing at the facility for the permanent returning from Sakhalin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therapy revealed that all of 6 hypotheses were supported. Group horticultural therapy improved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elder's life, increased the ability to have wise life, changed attitude toward life into positive one and nurtured the ability to adopt old life. It was also effective to accept the fact that they were aged and they would die. The change of experimental group was not high in Hypothesis 6 but control group's ability to accept death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experiment period, showing significant result so it was supported i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hypothesis. It shows that the ability to accept death decreases significantly without horticultural therapy rather than it increases the ability to accept death. Therefore, it shows preventive func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researcher wants to propose several things for developed study in the future. First, the grou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one process to verify the effect. Because it showed significant effect, follow-up study should be continued so that various elderly facilities of social welfare field can use and distribute it helpfully. Second, the study was restricted to 30 people residing at Sakhalin Welfare Center of Inche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rify it by performing experiment to people coming from Sakhalin permanently and residing at other areas. Third, for the old people coming from Sakhalin, their health has been deteriorated because of death and ageing. Although the study was performed to the elderly who has no disease, follow-up study should organize various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old age diseases such as dementia, stroke and depressive disorder for verification. Fourth, it is expected that mental assistance can be given to them by developing various horticultural program for individual as well as grou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uture study should handle this subject. 본 연구는 사할린귀환 시설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위한 집단원예치료 효과를 검증하여 임상사회사업 실천기법으로 집단원예치료가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인천에 소재한 사할린동포복지회관에서 요양하는 시설노인으로써 활동이 가능하고 집단원예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양적 연구로는 유사 실험 연구인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으며, 질적 연구에서는Yalom이 제시한 집단 치료요인 11개 가운데 정화와 대인관계학습을 치료요인으로 선택하여 대인관계성과 정서적 반응을 보기위한 표적행동 관찰표와 집단원예 활동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Oseas(1961)가 번안한 집단원예활동 평가표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첫째, 집단에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포 차이를 살펴보고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양적 평가에서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치료 전과 치료 후에 자아통합감 척도를 받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설계는 시간(2)×집단(2)의 반복 요인설계이다. 따라서 통계는 반복측정치를 포함한 다변량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결과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통계방법(Non Porametic Statistics) 중 사전-사후 상관 집단을 비교하는 윌콕슨 쌍-짝짓기 기호- 순위검증(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셋째, 질적 평가에 대한 자료는 변화의 양상을 살피기 위해 총 20회에 걸쳐 수집하여 집단초기단계(1회~5회), 집단중간단계(6회~15회), 집단종결단계(16회~20회)를 실시하여 각 회기별로 연구자와 연구보조자인 자원봉사자가 매 단계별로 직접 관찰하여 관찰한 내용을 관찰표에 기록하고 기록한 내용을 연구자가 다시 정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원예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자아통합감에 대한 사전검사는 115.2로 나타났고 사후검사는 132.53으로 나타나 실험을 통한 사후검사 시 자아통합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자아통합감 검사는 사전 자아통합감 검사는 126.8로 나타났고 사후 자아통합감 검사는 117.4로 나타나 통제집단의 경우 자아통합감은 낮아졌음을 나타내고 있다. 통제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자아통합감 순위에 차이를 보인 사례수가 의미있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험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시 유의한 차이를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시간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의 원인에 있어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적 평가의 결과 분석은 집단원예치료 프로그램 각 회기별 내용분석을 통해 집단의 정서적 변화와 행동적 변화는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집단발달단계에 따라 연구 대상 집단의 집단 응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지각 능력 등이 의미있고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사할린귀환 시설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자아통합감을 집단원예치료 사전과 사후에 검사하여 비교한 결과 연구가설 6개가 모두 지지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집단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지혜로운 삶을 살 수 있는 능력을 증가 시켰으며 생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꿔주고 지나온 일생에 대해서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노령화 되고 있는 사실에 대한 수용 능력과 죽음에 대한 수용 능력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6에서만 실험집단의 변화가 컸다기보다 통제집단의 죽음에 대한 수용능력이 실험기간 중 현저하게 저하되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가설과는 다른 방향에서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원예치료가 죽음에 대한 수용능력을 증가시키기보다 원예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죽음에 대한 수용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음을 말해 주는 것으로 원예치료가 예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전된 연구를 하기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집단원예치료 프로그램은 그 효과를 검증하는 하나의 과정이었고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관심을 가지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시설에서 유용하게 활용, 보급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인천사할린동포복지회관에 요양하는 30명을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며 사할린에서 영주 귀환하여 여러 지역에서 거주하는 동포들한테도 실시하여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년이 되어 고국에 돌아온 사할린귀환 동포들은 죽음과 노화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에 지장이 없는 노인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치매, 뇌졸중, 우울증 등 노년기에 발생하는 병리가 있는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검증하는 것도 필요하다. . 넷째, 집단원예치료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개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서도 심리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장애인 고용의 기회균등과 유지에 관한 연구 : 능력개발을 중심으로

        이만복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oday, interest in the problem of disabled persons and effort for improving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have increased. The goal of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is based on social unification where all disabled persons organize perfect participation with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is to admit respect and value of human, respect their lives, enable them to live in the environment same as that of general persons and not to discriminate them from general persons. Howeve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disabled persons are in very serious level. Especially, employment discrimination has caused very serious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living right maintenance of disabled persons. In the society searching for efficiency and outcome, it is hard to expect that people can protect disabled persons voluntarily. Therefore, government has prepared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to employ disabled persons in order to reinforce that. In May, 2010,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of disabled persons was 38.5%. It was 23.4% lower than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of entire population, 61.9%. Labor is an important means to guarantee income of human and it is directly connected to survival. Therefor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s of human. It gives very critical effect to economic stability, social position of individual and self-realization. Various opportunities to develop ability should be given to all humans. However, fair employment opportunity is not given to disabled persons by actually restricting the opportunity of disabled persons to participate in ability development process. It causes difficulty in living, decrease of life quality and deepening of social polarization, hindering social unification. For the life of human, fair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labor is very important and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ability of disabled persons, it is mo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sabled persons with social consideration and opportunity in relation with ability development and employment opportunity of disabled persons that have been restricted so that they can have fair human life by enabling them to detect their talents, giving ability development education and having them fair employment opportunity. In addition, fair employment opportunity can be a social welfare policy that is proper for the productive welfare of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e need to provide disabled persons with employment opportunity has been suggested by detecting talents and developing abilities of disabled persons in order to induce social dynamic and productivity. The study was triggered from the appropriateness to establish the method to equalize employment opportunity of disabled persons with ability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analyses such as current status analysis, system, policy analysis, pilot study and advanced countries cases study. The recent trend of advanced countries is that disabled persons are considered as the people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rather than uncomfortable or insufficient existences of society. The reason that disabled persons feel uncomfortable or are not free in society is that society does not create the condition to reinforce their talents and enable them to display their abilities. If their talents are reinforced and properly use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result of social development. As there are various human activities to meet necessary conditions, effective, productive social unification can be achieved when disabled persons and general persons share abilities supplementarily. Fair employment opportunity through ability development is that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given to all disabled persons without discrimination. The reason to emphasize fair employment opportunity is to enable all people to display their latent abilities without restriction. Social agreement of democracy is that country should provide all individuals with opportunities to enable them to display their abilities, search for happiness and get the opportunity of self-realization. Today, productive welfare of modern society can be said as a welfare contributing to production and welfare participating in production. When development abilities of individual are input to welfare field and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disabled person's happiness and country is given, it will be a shortcut to real welfare country. 오늘날 장애인 문제에 대한 관심과 장애인복지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인복지의 목표는 모든 장애인이 사회에서 편견과 차별이 없는 완전한 참여를 이루는 사회적 통합에 두고 있다. 장애인 복지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하고 그들의 생명을 존중하여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똑같은 환경에서 생활하도록 하고 비장애인과 분리하지 않아야 함에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심각한 수준이며 이 가운데서도 고용차별은 장애인의 생존권 유지라는 관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점을 낳고 있다. 능률과 성과를 추구하는 사회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국민들의 자율적인 장애인 보호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이어서 정부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종 장애인고용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ⅰ 2010년 5월 기준으로 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8.5%로서 전체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61.9%보다 23.4% 낮은 수준에 있다. 따라서 노동은 인간에게 있어 소득보장의 중요한 수단으로써 생존과도 직결되므로 인생의 가장 중요한 과업 가운데 하나로써 경제적 안정과 개인의 사회적인 지위보장,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에게는 다양한 능력개발의 기회가 균등하게 주어져야 하지만 현실에 있어서 장애인에게는 능력개발 과정에의 참여기회 조차도 제한됨으로써 고용기회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생계의 어려움, 삶의 질 하락, 사회양극화 심화 등의 모습으로 나타나 여전히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고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교육과 노동의 기회균등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장애인의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우리는 그동안 제한적이었던 장애인의 능력개발과 고용기회 제공에 있어서 사회복지정책적 차원에서 재능발견과 능력개발교육 그리고 고용기회균등을 통해서 인간다운 삶을 살고 생활할 수 있도록 사회적 배려와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용기회균등은 21세기의 생산적 복지에 합당한 사회복지정책이라고 말할 수 있음에 따라 사회의 역동성과 생산성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장애인의 재능발굴과 능력개발을 통한 장애인의 고용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황분석, 제도‧정책의 분석, 선행연구와 선진국의 사례 검토 등에 의한 체계적 분석으로 능력개발을 통한 장애인 고용기회 균등화 방안이 학문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최근에 선진국에서는 장애인을 사회의 불편한 존재나 모든 면에서 부족한 사람이 아니라 다른 개성을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추세에 있다. 장애인이 사회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자유롭지 못한 것은 사회가 그들의 재능을 보완하여 발휘 할 수 있도록 조건을 만들어 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 재능들을 보완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면 사회발전의 결과를 이루어낼 것이다. ⅱ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여러 가지 인간활동이 있듯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보완적으로 능력을 공유할 때 효과적이며 생산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능력개발을 통한 고용기회균등이란 모든 장애인에게 차별 없는 고용기회가 주어짐을 뜻한다. 고용의 기회균등이 강조되는 이유는 모든 사람들이 그들에게 잠재해 있는 모든 능력을 제한없이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에 있다. 민주주의의 사회적 합의는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개인의 행복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국가는 기회를 제공해야 된다. 오늘날 현대사회의 생산적 복지란 생산에 기여하는 복지 또는 생산에 참여하는 복지로 말할 수 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개발된 개인의 능력을 복지현장에 투입하여 장애인 자신의 행복과 국가에 대한 공헌의 기회를 부여할 때만이 진정한 복지국가에 이르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 기독청년을 위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박경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for Christian young adul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helping them to establish a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enhance self-respect, and lower co-dependency. The three concrete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outlook on marriag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2) what influence does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have on the outlook on marriag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and 3) what changes do Christian young adults experience through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ngle Christian young adults with no potential spous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en young adults from Church “E” in Seou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en young adults from Church “N” in Seou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The design of this research was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design, and tools used were marriage outlook questionnaire, self-respect questionnaire, and co-dependency questionnaire, which were existing test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research. Tools for content analysis include self-monitoring report, program evaluation, and follow-up interview evaluation. For this study,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was held once a week, 15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5 session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1) understanding the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2) recovering self-respect, 3) discovering dysfunctional families, 4) understanding co-dependency, and 5) recovering spirituality, based on the premise of leaving the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of marriage outlook,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showed that marriage outlook and co-dependen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as self-respect increases, co-dependency decreases, and values i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marriage increa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on Christian young adults’ marriage outlook,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in marriage outlook test, the contro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61.10 and posttest average of 62.4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58.50 and a posttest average of 54.60, and this lower posttest aver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s shows the enhancement of a Biblical marriage outlook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marriage. In the self-respect 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bu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146.00 and a posttest average of 152.40, having a significant higher posttest average (p<0.05). This shows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respect for Christian young adults. In the co-dependency 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31.30 and a posttest average of 27.70, with a lower posttest score (p<0.05), a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lowering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Thir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reveal to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pretest-posttest self-monitoring report, program evaluation, follow-up interview evalua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in preparing for marriage and the premise of leaving one’s parents, through the guidance of Jesus Christ, they were able to re-establish their vague outlook on marriage into a Biblical outlook of marriage as not a contract, but a promise. They also reported that this program was helpful in recovering self-respect by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God, understanding disfunctional families and co-dependency, and receiving practical help in redefining family relationships. Finall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support group format helped them to change their attitude of suppressing anger, embarrassment, sadness, guilt, or hurt under the frame of faith, but helped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conclusion,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helping young Christians establish a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understand leaving their parents, recover self-respect, and lower co-dep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empir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that will guide the marriage and life of Christian young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을 대상으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성경적 결혼관을 확립하도록 돕고,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동반의존을 낮추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을 통한 기독청년의 변화경험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결혼배우자가 정해지지 않은 미혼기독청년들로 실험집단은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 소속되어 있는 서울 E교회 청년부 10명이고, 통제집단은 대한예수교장로회 노회에 소속되어 있는 서울 N교회 청년부 10명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설계이고,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기존의 검사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결혼관 검사지, 자존감 검사지, 동반의존 검사지이다. 내용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셀프 모니터링지, 프로그램평가서, 추수면담평가서이다. 본 연구에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은 주 1회기, 한 회기에 150분씩, 총 5회기가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1회기는 성경적인 결혼관 이해하기, 2회기는 자존감 회복하기, 3회기는 가족의 역기능성 발견하기, 4회기는 동반의존 이해하기, 5회기는 부모 떠남을 전제한 영성 회복하기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결혼관과 동반의존은 정적상관이 있었고, 자존감과 동반의존은 부적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자존감이 높으면 동반의존이 낮고, 결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가치관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결혼관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 평균 61.10, 사후 평균 62.40으로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58.50, 사후 평균 54.60으로 사후의 경우에 결혼관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01), 이러한 결과는 결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의한 성경적 결혼관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기독청년들의 자존감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146.00, 사후 평균 152.40으로 사후평균이 높게 나타났고(p<0.05), 이러한 결과는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기독청년들의 동반의존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평균과 사후평균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31.30, 사후 평균 27.70으로 사후 평균이 낮게 나타났고(p<0.05), 이러한 결과는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들의 동반의존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의 고백을 통한 변화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사전 사후 셀프 모니터링지, 프로그램평가서, 추수면담 평가서에서 기독청년들은 부모 떠남을 전제한 결혼준비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인도를 받으며 막연했던 결혼관을 결혼은 계약이 아닌 언약관계라는 성경적으로 결혼관을 다시 세울 수 있었고, 하나님과의 관계에 따른 자존감을 회복하며, 역기능가정과 동반의존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가족 관계의 재정립을 이루는 현실적인 도움을 얻는데 본 프로그램이 유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지원그룹 진행방법이 그동안 믿음이라는 틀 안에서 분노나 수치심, 슬픔, 죄책감, 상처 등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억압하던 자신들의 태도를 바꾸어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왔다고 보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기독청년이 결혼을 위해 성경적인 결혼관을 세우고, 부모 떠남에 대해 이해하며, 자존감을 회복하고, 동반의존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청년의 결혼과 삶을 도와줄 수 있는 결혼예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하나의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