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들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연구

        김소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정부출연연구소는 국가 정책의 필요에 의해 정부의 출연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특수한 조직이기 때문에 그 정체성 확립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 라서 전문성을 갖춘 홍보실무자들은 그들의 역량을 발휘하여 효과적인 홍 보활동을 통해 기관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국내 기업 PR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정 부출연연구소의 홍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60여개에 달하고 있는 정부출연연구소의 바람직한 방향성 제고를 위해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들은 과연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들의 조직 내 위상은 어떠한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이 연구가 시작되 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들의 역할에 대한 현황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판단 하에, 국내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들 을 대상으로 8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우수 이론이 제시하는 우수한 PR부서의 조건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홍보실무자들 개개인의 역할 및 역량에 대한 내부적 진단을 통한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홍보실무 자들이 어떤 유형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두 번째 연구문 제로 그러한 역할 유형에 따른 직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는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들의 전문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직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우수 이론이 제시하는 경영진과의 상호작용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 여 경영진의 홍보업무에 대한 관심도와 홍보부서장의 경영권 참여도의 상관관계를 네 번째 연구문제로 도출하였다. 더불어 조직 내 홍보부서의 위 치가 홍보부서장의 경영권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 다. 여섯 번째 연구문제는 홍보부서의 위상을 결정짓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살펴보고, 특히 홍보부서장의 직급이나 경영권 참여도, 홍보부서의 조직 내 위치 등이 홍보부서의 위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정부출연연구소의 홍보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에 대한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7가지 연구문제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부출연연구 소 홍보실무자들의 역할 유형은 관리자 유형보다 기술자 유형에 더 근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로 제시한 역할 유형에 따른 직업 만족도는 역할 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처럼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 무자들의 유형이 여전히 기술자 역할에 치중되어 있는 것은 우수한 PR부 서가 되기 위한 조직 내 홍보실무자들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다음으로 살펴본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들의 전문성과 직업만족도의 관계 및 경영진의 홍보에 대한 관심도와 홍보부서장의 경영권 참여도, 조 직 내 홍보부서의 위치와 홍보부서장의 경영권 참여도는 모두 높은 상관관 계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조직 내 홍보부서의 위상을 결정짓는 요인들 중, 홍보부서장의 직급은 홍보부서의 위상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홍보부서장의 경영권 참여도와 조직 내 홍보부서의 위치는 홍보부서의 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 연구문제인 전략적인 홍보실행의 마지막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홍보활동 평가는 아직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 확보 및 전문적인 인력 양성 등의 인프 라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평가 측정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여러 연구문제를 통해 정부출연연구소 홍보실무자 들의 역할 및 위상에 대해 점검함으로써, 기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해야 할 정부출연연구소 홍보 전략의 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정부출연연구소의 기록물관리 실태와 운용 방안 : H연구소 기록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박재학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GRI) in Daeduk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GRI archives and the necessity of a special department or a specialist for the preservation and Research Complex have had no early period archives for lack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rchives over last 30 years. management are perce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esent state of archives management in GRI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methods for the archive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legal issues of institutional regulations for the GRI archives management? 2. What are the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the archives management in the medium-scale GRI having 300~500 researcher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present state of the archives managemen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has been sent out via e-mail to 30 GRI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from 10th. August to 13th. October in 2005. The questionnaire has been answered by 25 institutes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statistically. Secondly, a case of H institute which has been firstly operating a special department for archives management among the GRI has been reviewed. Through this case study, the effective methods for archives management have been suggested. In conclusion, the GRI archives should be systematically conserved and managed like other archives from universities, public agencies and corporations. The studies on the GRI archives are now on the starting point and more studies should be mad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GRI archives and to establish the record center supported by a special department and a budget.

      • 한·일 공공연구기관 평가시스템의 비교·분석 연구 : 공공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환빈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9679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현재 성과지향적 정부개혁 추진의 일환으로 자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의 핵심주체인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효율적인 평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도 1991년부터 출연(연)에 대한 기관평가가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매년 평가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현행 기관평가시스템이 출연(연)의 연구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국가 정책적 수단으로써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평가를 비롯한 모든 정책평가는 피평가자들의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평가결과를 수용하고 순응하게 함으로써 피평가자들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의 공공기술연구회가 소관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평가와 일본의 산업기술종합연구소가 연구단위조직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평가에 대한 피평가자의 평가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피평가자들은 평가에 대해서 약 2/3가 만족하고 있는 반면에 공공기술연구회의 피평가자들은 2/3 이상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의 설문조사 결과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례분석 대상인 양 기관의 피평가자의 만족도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을 전제로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는 기존의 출연(연) 기관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분석틀을 고찰해 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메타평가의 분석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한국과 일본의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평가제도의 변천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새로운 분석틀을 적용하여 양 기관의 평가시스템에 대해서 비교·분석적 방법으로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로서 한국에서의 출연(연) 기관평가시스템의 발전적 개선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두 기관의 평가시스템을 메타평가하기 위한 평가요소들로서 평가기조요소, 평가자원요소, 평가수행요소, 평가결과 및 활용요소 등 4개의 평가기본요소와 이를 세분화한 13개의 세부요소, 그리고 세부요소를 분해한 25개의 세부평가항목을 설정하고 각 항목별로 메타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13개의 세부요소별로 상대적인 중요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한국의 연구회 소속원들과 출연(연) 소속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개 세부평가항목별로 시스템이론에 근거하여 정책변수와 환경변수의 개념을 도입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정책대안들 중에서 단기간 내에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과 중장기적으로 여유를 두고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구분하여 평가관련 실무자 및 정책결정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 대상 양 기관의 피평가자의 평가에 대한 만족도 차이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은 평가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가요소별 구체적인 수단과 방법의 구비 및 활용 여부이다. 평가의 기본이념으로서 투명성 확보가 구호에 그쳐서는 안되며, 평가요소별로 투명한 평가 시행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수단과 방법을 동원함으로써 평가관련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공정성, 책임성을 확보토록 유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평가의 효율성을 제고시켜 평가가 국가정책으로서 유효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현행 한국의 기관평가시스템 개선은 투명성 확보에 초점을 맞추어, 중장기적으로는 평가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평가결과의 활용(예산 배분 등 도구적 활용), 평가의 목적 및 기본이념의 명확화, 평가주기의 탄력적 운영, 평가 규정의 정비, 평가자원요소(평가예산)의 증대 등을 위해서 노력해야 하며, 단기적으로는 명확한 평가기준의 설정, 평가자와 피평가자간의 이해관계 판단 기준 마련 및 평가자 정보 DB 구축, 평가자원요소(평가지원인력)의 증대, 평가관련 자료 및 정보의 공개(평가결과의 개념적 활용), 평가의견에 대한 피평가자의 소명기회 제공 등의 시스템적 보완이 수반되어야 한다.

      • 대덕연구단지 정부출연연구소의 건강성 진단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윤성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8

        근래 각 대학 및 민간 연구소의 연구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대덕연구단지 정부출연연구소들의 위상과 역할이 다소 약화되고, 대내외적으로 침체된 이미지를 받고 있는 상황에 즈음하여 대덕연구단지 정부출연연구소들이 조직론적 차원에서 어느 정도의 유기체적인 건강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진단해 보았다. 건강성 진단을 위해 개인 차원의 직무만족도, 집단 차원의 응집성, 조직 차원의 풍토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총 150명의 표본중 일부를 제외하고 136명의 설문지를 분석의 표본으로 삼았다. 그리고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 대덕연구단지 정부출연연구소의 건강성은 전체평균이 3.37로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 차원의 직무만족 평균은 3.53, 집단 차원의 응집성 평균은 3.58, 조직 차원의 풍토성 평균은 3.17로서 조직 차원의 풍토성에 대한 건강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또 개인의 직무 만족에 관한 설문문항에서는 복지제도가, 집단의 응집성 설문문항에서는 하위직원의 의견수렴이, 조직의 풍토 설문문항에서는 인사교류 원활 및 선임자의 협조가 상대적으로 낮은 건강성을 보였다. 이 중 인사교류의 원활 및 선임자의 협조 정도는 평균 기준값 3점 이하인 2.88로 나타나서 건강성이 가장 나쁜 것으로 진단되었다. 끝으로, 위와 같은 대덕연구단지 정부출연연구소의 건강성 진단에 기초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질적이지 못하거나 합리적이지 못한 복지제도를 과감하게 조정 및 정비하여 저비용 고효율을 초래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부서장은 포괄적인 차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부하직원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경직되지 않고 창의적인 집단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구성원들에 대한 조직 차원의 인성교육과 레크레이션을 활성화하여 구성원 상호간에 이해와 신뢰가 다져질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아울러, 유기체로서 건강한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 조직구성원이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근무를 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 BSC를 활용한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 연구 : 기관평가지표분석을 중심으로

        김병태 국민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9663

        기관평가제도는 경영관리과정의 최종단계로 평가결과에 의한 인센티브 부여와 피드백과정을 갖는 경영관리의 중심분야 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제도에 대한 유효성 평가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출연 연구기관의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효성에 대한 분석은 기관평가지표가 기관성과를 평가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의 여부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로 검증하였다.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 분석 시 Balanced Score Card(BSC) 모형을 활용하였다. BSC를 활용한 이유는 출연연구기관의 각기 다른 평가제도를 BSC모형의 관점으로 정리하여 분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SC모형의 관점의 가중치를 통하여 미션과의 관계를 분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였다. 첫째, 출연연구기관에 적합한 BSC모형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고객관점과 내부 프로세스관점을 각각 두개의 관점으로 세분화시켜 출연연구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6개 관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는 세 개의 연구회를 나누어서 연구회별로 독자적인 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회의 미션이 차이가 있으므로 특정 관점의 가중치는 연구회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회 내에서도 여러 관점 간에는 우선순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가설들을 기존 평가제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검증한 결과, 기초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및 공공 기술연구회의 미션과 평가제도가 연계되어 있어서 연구회 간에 관한 가설이 대부분 수용되었다. 그러나 연구회 내에서 재무적 관점이 최하위일 것이라는 가설은 전면적으로 부인되었다. 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기관의 의견을 반영한 평가지표의 가중치의 실증분석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기존 제도가 연구기관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평가제도와 연구기관의 의견을 반영한 평가제도 간에 관점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검증결과 양 제도의 관점의 우선순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현행 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추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이 비모수 통계분석이므로 향후의 통계적으로 더욱 정교한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유효한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is important since it is a major process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and its results directly affect not only the incentive amounts of personnel but also the organizational budget amounts. However, there is no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GRI).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stitutional evaluation items and their weights are constructed properly for evaluating institutional outcomes, and in additio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stitutes. A Balanced Score Card(BSC) model was used for this study. Using the BSC model has several benefits. Applying the BSC model to individual GRI's different evaluation systems can provide a common basis for empirical analysis. In addition, since the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a clos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issions and perspectives as well as among perspectives, it is not difficult to construe the hypotheses regarding the GRI's evaluation systems. which can be empirically examined.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draws the BSC model pertinent to the GRI, coming up with six perspectiv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I by extending Kaplan and Norton (1992)'s four perspectives. Second, the GRI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missions. It is hypothesized that the priority of a specific perspective among three groups would be different, and within a group the weights of perspectives would be different. The former hypotheses between the groups are tested using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s and are not rejected in general. It is concluded that the priority of perspective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issions of the groups. Among the latter hypotheses of within-a-group, the hypothesis that financial perspective is not least weighted is not proved and a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hird, the priority of perspectives between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ystem which reflects the GRI's opinions is compared. That is, the test results of within-a-group using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s are compared to those results using the evaluation systems which reflect opinions of the institution personnel. As a result, it can be shown that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does not include opinions of research institutes in some perspectives. Since the test was used non-parametric statistics, this results need to be further examined using more defined method.

      • 지식관리 성과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과학기술계 출연(연)을 중심으로

        정택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60

        1993년 피터 드러커는 (Peter Drucker)가 오늘날의 사회를 ‘지식사회’라고 표현하고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 한 이래, 지식경영 혹은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는 민간과 공공의 영역에 상관없이 매우 중요한 경영의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식의 창출이 핵심가치로 받아들여지는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도 2009년 평가에서부터 기관평가 항목의 하나로 지식관리 체계와 성과를 평가하는 등 지식경영 혹은 지식관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관리 성과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지표가 없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어,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객관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지식관리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문헌과 사례 연구를 통해 지식관리의 성과 측정체계를 구성하는 제반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식관리 성과 측정지표를 포함하는 지식관리 성과 평가모형을 정립하고 평가영역, 평가항목 및 측정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지식관리 전문가가 참여하는 FGI를 통해 출연(연)의 지식관리 특성을 도출하고 지식관리 현황 등을 고려하여, 기 도출된 모형과 지표 등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궁극적로는 출연(연)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지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AHP 분석에 의해 중요도를 산출함으로써, 과학기술계 출연(연)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는 성과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가 지식관리를 통해 산출되는 최종적인 성과만을 측정하는 관점에서 진행되었다면,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평가 이론에 근거하여 지식관리의 제반 영역인 입력, 과정, 인프라, 성과 등 네 가지로 성과의 영역을 범주화하고 이들 영역들의 성과 가중치의 합을 지식관리의 종합성과로 산출하는 성과 평가모형과 지표를 제시 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이를 통해 현재 과학기술계 출연(연)에서의 지식관리와 관련된 제반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이 일반적으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최종 연구 모형과 지표를 개발하고 설문조사 등을 통해 타당성 분석 등을 실시했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개발 모형의 적용 대상이 될 과학기술계 출연(연)에 종사하는 지식관리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FGI를 통해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지식관리 특성과 지식관리 현황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측정지표의 타당성을 검토 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식관리 성과 측정지표의 적합성과 실용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셋째, 과학기술계 출연(연) 지식관리 전문가 FGI에 의해 타당성이 검증된 측정지표에 대해 출연(연)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 함으로써 지식관리 성과 측정지표의 적합성을 확보했다는 점이다. 넷째, AHP 기업을 이용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 성과 평가영역간, 평가항목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를 과학기술계 출연(연) 전체는 물론 집단별로 산출, 제시함으로써 지식관리 성과측정 결과를 점수로 제시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 또는 집단별 성과 평가 등 상황에 맞추어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지표는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지식관리 체계 및 활용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사항들을 대부분 반영한 지표로써 출연(연) 지식관리의 방향성과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연(연)의 지식관리 업무 수행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직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출연(연) 지식관리 전문가 FGI를 통해 출연(연)의 지식관리 특성을 고찰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In 1993, Peter Drucker named the current society the 'Knowledge Societ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Ever since, the term knowledge business or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perceived as an important paradigm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Knowledge Business or Knowledge Management is being promoted through including the evalu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ance among the evaluation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since 2009. However, the evaluation is being done without using a specific measurement indices, which make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less reliable and less objective. This thesis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measurement indices of knowledge management evaluation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We have studied relevant cases and articles to take a look at the basic elements of the components for the knowledg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nd used this information to construct a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y extracting the area, criteria and measurement indices for the evaluation. We also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a FGI consisting of knowledge management experts from government-funded institutes. We have also reviewed the model and measurement indices through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knowledge management in these institutes. We have performed a survey to empirically analyz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as well as to calculate the level of importance through the AHP analysis to come up with an performance measurement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to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result, six key implications can be extracted as follows. First of all, while the other studies have only focused on measuring the final output derived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our study based the theor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 to categorize the concept of knowledge management into input, process, infrastructure and output and used the sum of all these areas to come up with the final result as the final output of knowledge management. We have designed this model to be applicable to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ly, unlike the other studies where they developed the model through the research and performed a survey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model, we have used the ideas and suggestions of the end-users and a group of experts in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from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model which can promote the practical use of the model. Thirdly, we have verified the model developed by the knowledge management FGI through a survey conducted into the actual users of the model to guarantee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Fourthly, we have come up with weight the importance of each specific area of the output measurement through the analyses using the AHP method. Through this method, the result was given in a form of scores and made them possible to utilize in any type of situation. Fifth,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meet most of the requirem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therefore suggest a solid objective and the direction which makes the indices practical. Finally,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e first attempt to perform theoretical review of org'l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management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by forming the FGI for the mod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