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소득이동에 관한 연구

        조윤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disabled through the income mobility. While previous research delved into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manifested among the disable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is research elaborates on the unequal distribution through a long-term perspective of income mobility that reflects dynamic changes of income distribution among individuals and households. Furthermore, due to lack of comparable research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is research diagnoses the extent of income inequality among the disabled from 2005 to 2011, including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further analyzes income mobility of the disabled. First of all, setting income distribution of the disabled in 2005 as the base, this research analyzes income mobility of the disabled from 2006 to 2011 through rank mobility from Wodon&Yitzhaki(2001). However, due to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direction of income inequality, the research analyzes directions of quintile movements via transition matrix. Moreover, for absolute income mobility among the disabled, the research utilizes quantity-mobility devised by Beenstock(2004). Furthermore, the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income mobility on the extent of income inequality through elasticity coefficient from Fields(2008). Lastly, the research adopts absolute income mobility coefficients from Sanghoon Seok(2009a) and analyzes variou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come mobility of the disabled: demographic, human capital, disability, labor market, and welfare policy. The research conducts panel analysis through the Stata 12.0/SE, considers idiosyncrasies of the individual panel, and utilizes fixed effect model that minimizes endogeneity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and errors. The data procured for the analysis originate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Welfare between 2006 and 2011. Because the research derives the income mobility based on the income distribution of 2005, it is based on disposable income from 2005 to 2011. The research subjects not only incorporat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s above 15 but also includ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both samples with disability and those without disability demonstrate low rate of relative and absolute income mobility during the designated period and hint at continuation of long-term income inequality. The result not only signifies low reverse movement among the high-income and low-income strata but also illustrates low downward movement of the wealthy and upward movement of the poor. Furthermore, income mobility become invigorated, and relative income mobility of the samples with disability outnumbered that of the samples without disability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Vulnerable positions that the disabled take in the labor market and their low-income occupations contribute to the quintile changes. Especially, downward movement of the wealthy exceeded upward movement of the poo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not only led to deterioration of the manufacture industry, central to employment of the disabled but also shrank the occupations for the disabled in general. The contractionary economy stimulated downward movement of the middle class—employers, entrepreneurs, and permanent workers among the disabled. Moreover, absolute and relative income mobility of the disabled demonstrated aft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id not contribute to equaliza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In other words, the income mobility after the Lee administration results from the loss of income due to economic risks and thus lacks equalization effect. This analysis illustrates that income mobility after 2008 is unfavorable in that short-term macroeconomic cycle mobility,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ncreases temporary changes for people without wealth and technology. Lastly,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leading to increase in the real income of the disabled and decrease in the income inequality, the research suggests that more economic agents in the household,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 and white collar workers, more public social welfare services contribute to positive changes in income mobility. Thus, to prevent relative income mobility of the disabled originating from unstable economic conditions, the research argues for expansions of decent jobs to increase the median income of the disabled, social welfare services to support services necessary for employment, and income guarantee policy to ensure safe and confortable lives even in unemployment. It is imperative that the government abandon the conventional requirements for low-income support policy, such as severity and category of disability, and expand the range of the support recipients. Also, the research expects a transformation of employment policy to the disabled centered approach to guarantee equal occupational opportunities and provide sustainable jobs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2005~2011년 동안의 우리나라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인 장애인의 불평등한 현실을‘소득이동’의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 나타나는 소득불평등과 빈곤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개인 및 가구의 소득분포의 동적인 변화모습을 반영하는‘소득이동’을 측정하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장애인의 불평등한 현실을 구체화화였다. 이를 위해 첫째, 거시적인 측면에서 2005년을 기준으로 2006~2011년 동안 장애인의 상대적 소득 이동을 Wodon & Yitzhaki(2001)의 순위 이동(rank-mobility)으로 측정하였다. 특히 순위이동은 소득이동의 방향을 측정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하여, 이행매트릭스(transition matrix)를 통해 분위별(5분위) 이동의 방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장애인의 절대적 소득이동의 변화를 Beenstock(2004)의 양적이동(quantity-mobility)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Fields(2008)의 탄력성 지수를 통하여 장애인의 소득이동이 소득불평등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였다. 넷째, 석상훈(2009a)의 절대적 소득이동 지수를 활용하여 장애인 소득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장애인 소득이동의 영향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측면, 장애측면, 인적자본측면, 노동시장측면, 복지제도측면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패널 분석을 실시하며, 패널 개체간의 고유한 특성들을 고려하고, 설명변수와 오차항의 내생성 문제를 해소하는 고정효과모델(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TATA 12.0/SE 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2006~2012년(7차년도)에 실시한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였다. 종속변수인 가처분 소득은 2005~2011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5세 이상의 경제활동인구 뿐만 아니라 비경제활동인구까지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장애인 및 비장애인 모두 적은 수준의 상대적 및 절대적 이동을 보이고 있었으며, 장기적으로 소득불평등 수준의 격차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는 부자 집단과 저소득층 집단 간의 역이동이 적을 뿐만 아니라, 부자 집단의 하향이동과 저소득층 집단의 상향이동도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이명박 정부’이후에 들어와 소득이동이 더 활발해 졌으며, 장애인의 상대적 이동이 비장애인에 비하여 더 많이 존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은 장애인 집단은 비장애인에 비하여 저임금 그리고 불안정한 일자리 등에 집중되어 있어, 노동시장에서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나타나는 분위별 이동이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저소득층의 상향이동 보다는 중산층 이상 집단의 하향이동이 더 두드러지는 절대적 및 상대적 이동이 강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2008년의 세계경제의 하락으로 인한 금융경제의 위기가 변수가 되어, 장애인이 다수 고용되어 있는 제조업 분야의 쇠퇴와 장애인의 일자리 감소를 이끌어, 장애인의 중산층 이상의 집단인 자영업자와 고용주 그리고 상용직 근로자들의 하향 이동을 양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이명박 정부’이후에 나타난 장애인의 상대적 및 절대적 소득 이동은 소득불평등 균등화 영향에 긍정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이명박 정부’시기의 장애인 소득이동은 경제적 위험에 의하여 소득이 상실되어 나타난 결과로서, 이러한 소득이동에 의한 소득불평등 균등화 효과는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결과는 본 연구의 핵심으로 2008년 이후에 나타나는 소득이동의 발생은 거시경제순환 이동(short-term macroeconomic – cycle mobility)에 의한 것으로(Hojman, 2000), 기술이 적거나 가난한 사람들일수록 단기 변동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시기에 나타난 장애인의 소득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장애인의 실질적 소득을 상향이동 시켜 소득불평등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인들을 미시적 측면에서 고정효과모델로 분석한 결과, 가구내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가구내 피부양자가 적으며, 교육수준이 높고, 전문가 및 사무종사자일수록, 그리고 공공사회복지서비스의 수가 많을수록 소득이동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평균소득을 상승시키고,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도록‘괜찮은 일자리’와 사회복지서비스의 확대, 그리고 노동을 하지 않더라도 안락한 삶을 지낼 수 있는 소득보장정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저소득층 중심, 장애 정도, 그리고 장애유형 등의 정책 대상 기준들을 허물어 장애인 전체를 사회복지정책대상자로 포괄하고, 실질적으로 장애인의 소득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급여수준의 확대가 필요하다. 더불어 장애인집단내에서의 평등한 일자리 마련과 지속적인 일자리 확보를 위하여 일반고용보다는‘장애인당사자 중심의’새로운 탈출구로서,‘장애인당사자 중심의’고용정책과 장애 유형별 적합한 직종개발이 요구된다.

      • 장애노인의 우울감에 관한 연구

        공혜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examin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depression of the disabled elderly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where the social interest was increasing regarding the mental health of the disabled elderly and provided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decreasing the depression of the disabled elderly accompanied by ' Problems of the elderly' and ' Problems of disability' which were compounded owing to the large increase of the disabled elderly and the data which was important about the politic direction which was related with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I used an original data published in 2006,which was the first year of the panel survey of getting older. I selected 4129 old persons aged 65 who lived from the area which excepted Jeju-do and made an O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research ran as follows. The first, the disabled elderly in the whole occupied 7.5%. The second, as a result of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the disabled elderly and the not-disabled elderly, the depression of the former was 10.28 marks and that of the latter 8.13 marks, so the depression of the disabled elderl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not-disabled elderly. The third, in case of the old persons who were comm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ubjectively economic condition, the existence of spouse, the limitation of ADL, the limitation of IADL,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meeting with neighborhoods, friends, and relatives, the existence of one's house, and living together or not with one's offspring affected the depression in the order of them. But there was no meaning differ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annually total household income, meeting with offspring, and the existence of disability. The fourth, in case of the disabled elderly, the existence of spouse, subjectively economic condi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meeting with neighborhoods, friends, and relatives, and the distinction of sex affected depression in the order of them. But there was no meaning difference of the depression according to dwelling area, age, educational level, The existence of one's house, annually total household income, the limitation of ADL, the limitation of IADL, living together or not with one's offspring,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In addition, duplication disability had no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s well.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the suggestions run as follows. I think we need the integrated service which is appropriate about the disabled old persons who get older and older and must provide the service which is integrated and actual for them in the welfare field of the aged and the disabled elderly, not as the respective service and must propose the method which can decrease depression and discuss about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from preventive dimension as well.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노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 보고, 장애노인 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복합된 형태의 ‘노인문제’와 ‘장애문제’에 따른 장애노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개입 방안과 이와 관련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문제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노인 중 장애노인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장애를 가진 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우울감 수준은 어떠한가? 즉, 장애를 가진 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우울감 수준이 다른지 살펴보았다. 셋째,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했을 때에도 장애 여부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넷째, 장애노인만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경제상태, 건강상태, 가족관계 특성, 사회적 지지와 함께 중복장애 여부를 통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인 2006년의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대상 65세를 기준으로 4,165명만을 선택하였다. 그 중 학력에 응답하지 않은 노인 3명과 종속변수인 우울감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33명을 제외한 최종 표본의 크기인 4,129명을 대상으로 OLS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노인 중 장애노인은 7.5%를 차지하였다. 둘째, 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우울감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장애노인의 우울감은 10.28점, 비장애노인의 우울감은 8.13점으로 장애노인의 우울감이 비장애노인의 우울감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노인의 경우에는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배우자 유무, ADL 제한, IADL 제한, 사회활동에의 참여, 이웃·친구·친척과의 만남, 주택의 자가 여부, 자녀와의 동거 여부 순으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연간 총 가구소득, 자녀와의 만남 그리고 장애 여부에 따라서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노인의 경우에는 배우자 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이웃·친구·친척과의 만남, 성별 순으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지역, 연령, 교육수준, 주택의 자가 여부, 연간 총 가구소득, ADL 제한, IADL 제한, 자녀와의 동거 여부, 자녀와의 만남, 사회활동에의 참여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복장애 여부에서도 장애노인의 우울감에는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고령화와 맞물려 장애노인에 대한 적절한 통합적 서비스가 필요하며 장애노인을 위해서 노인복지와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각각의 서비스 제공이 아닌, 통합적이고 실제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장애노인집단의 우울감에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울감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예방적 차원에서 개입의 필요성이 또한 논의되어져야 한다.

      • 신장장애인의 직업재활 인식과 욕구에 관한 연구

        최정미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취업 신장장애인의 취업가능성과 취업 신장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유지를 위해서 직업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신장장애인 특성에 대한 이해와 미취업 장애인과 취업 장애인의 직업재활 인식정도 및 욕구를 파악하고 신장장애인의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의 만 19세-59세 경제활동 연령 196명(취업 97명, 미취업 99명)의 등록 신장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분석, t-test, Anova, 교차분석, 요인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장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취업 장애인의 경우 남자가 대다수였고, 치료유형은 주간혈액투석과 야간혈액투석이 같은 비율이었으며 건강상태는 미취업 장애인보다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의 직업유지를 위해서는 고용환경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미취업 장애인의 경우 치료유형은 대부분 주간 혈액투석을 하고 있었으며, 장애발생 전후의 높은 무직비율의 증가를 통해 신장장애가 직업유지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취업 장애인의 경우 직업재활의 인석정도가 높았으며, 요인분석을 통한 직업능력에 대한 인식정도 또한 미취업 장애인 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그러나 직업재활 정보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직업재활 기관의 활성화와 서비스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취업 장애인의 47.5%와 미취업 장애인의 53.5%가 재취업·취업의 욕구를 갖고 있으나, 구직활동의 적극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직종은 자영업을 선호하며 근로형태는 시간제 정규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는 창업과 융자지원, 취업알선의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며 미취업자는 일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가질 수 있도록 직업교육을 실시하여 직업능력 개발을 통한 취업알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장장애인의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장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으로 취업중인 장애인에게는 근무시간의 유연화와 치료환경이 조성되어야하며 미취업 장애인에게는 차별과 편견으로 취업기회가 박탈당하지 않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하겠다. 또한 신장장애인의 장애특성을 이해하는 직업재활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며, 직업재활서비스기관의 확대로 일선 지역 직업재활시설이나 장애인복지관 등 관련기관에서도 직업재활 관련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renal disabled which influenc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purpose of the employment possibility in the unemployed renal disabled and the successful vocation keeping in the employed renal disabled. It is also to show the directions and concrete strategies of the improved vocation rehabilitation programs. The subjects were 196 renal disab1ed between 19 and 59 years old (the employed 97, the unemployed 99) in Incheo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es, t-test, Anova, cross tables, and factor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rough the analyses of the general character in the employed disab1ed,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the ratio of jobless. It is also investigated the day time hemodialysis is the alike the night time hemodialysis in the treatment types, and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mployed is better than the unemployed. It is wanted the needs of the improved employment for the vocation keeping.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they receive the day time hemodialysis, in the view of the increase of the high unemployment, the renal disabled has difficulty in the vocation keeping. 2. The employed disabled is higher in the awarenes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e awareness degree through factor analyeses is also higher in the employed disabled. But it is appeared that the awareness about the information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is lower in both groups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As a result, the revitalization of the improved vocation rehabilitation centers and the public information is needed more and more. 3. It is appeared that though the employed disabled (47.5%) and the unemployed disabled (53.5%) have needs of the employment and re-employment, they are less positive in the employment activity. They want independent enterprises and flexible part time works in work type the employed is needed the service of the commencement of an enterprise specific economical support, and vocational introduction. And the unemployed is needed the vocational introduction to have working ability and skill through the vocational education. In conclusion,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revitalization of the renal disabled. It is needed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awareness in the renal disabled. The flexible duty time and the treatment environment must be prepared for the disabled. The system supports must be followed to keep the opportunity of the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ecause of the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lso, it is needed the intervention of the specialist wh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renal disabled. Through the expans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centers. It is needed the proper political supports for everyone to use the service easi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the local disabled vocation centers or the disabled welfare centers.

      •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김성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age Determinants and Employment of the Disabled Kim, Seong 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d group for the disabled and non-employed group to further study on what factors would classify these two groups, and find out what factors would determin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wage of the hired disabl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on-employed disabled. The existing advance studies had the analysis in the data form with the neglect in inter-relationship at the two stage in employment and wage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d on employment and wage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resulting in unabl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non-employed disabled. In other words, by taking only the employed disabl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it had the analysis of the wage determinant factors without considering the error following the fact of employment to have the limitation of presenting only the fragmented result of two levels of employment and wage. Under the study, it applied and verified with the Heckman's 2-Stage Model to solve the heteroskedasticity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OLS) for the methodological problem and heighten the feasibility of the research model. For this purpose, the Probit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issue of employment for the first stage, and the sample selection model was applied to implement the Regression Analysis(OLS) on the wage as the second stage. The characteristic variable of each disabled was structured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receiving social welfare, head of household, and subjective class, and the personal capital characteristics was structured with education and occupational training while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was structured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disability type,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illness, help on ordinary living, and multiple disability. An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nd residence area are included. The detailed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employment 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as the first stage research issue, the Probit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atistically noticeable showing was made for the employment determinants for gender, age, marital status, receiving social welfare, and head of household, and the human resource capital characteristics for education level while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illness, and help on ordinary living. In other words, as for the male disabled (p<.001) to be younger (p<.001) and non-recipient disabled (p<.001), the head of household of the disabled (p<.001) has the higher possibility to land a job. And, the higher possibility was shown for the disabled with high education level (p<.05), the disabled with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o be better than average (p<.001), and the disabled with relatively minor level of disability (p<.001). Also, the higher possibility to land a job was shown for the disabled without chronic illness (p<.05) and the disabled not requiring help on ordinary living situation (p<.001). On the other hand, from the demographic factors, subjective class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and, from the human resource capital factor, occupational training and disability type for disability factors, multiple-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of characteristics in the labor market and residence area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In order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wage 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as the second stage research issue, the Regression Analysis (OLS) was implemented on the wage determinate with the subject of the disabled as classified as the employed disabled under the first stage(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ariables that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s were gender, age, marital status, receiving social welfare, head of household, and subjective class, and under the personnel capital characteristics, it was education level, and under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it was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illness, and help on ordinary living. In other words, the wage level was higher for the male disabled (p<.001) with younger age (p<.001), the married disabled (p<.001), and non-recipient disabled (p<.001). And, the wage level was higher for the head of household of the disabled (p<.001) and the middle to upper class disabled (p<.001) with the subjective class. For the case of the education level, the wage level was higher as the education level, tends to be higher (p<.001). And, the wage level for the disabled (p<.001) was higher for the disabled whose disability is relatively minor (p<.001), without chronic illness (p<.05) and not requiring any help on ordinary living.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onnel capital factor, the occupational training did not ha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 and from the disability factors, disability type and multiple disability did not ha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 while, from the labor market factor, discrimination and residence area did not ha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wage determinants under this research model with the Regression Analysis(OLS) result implemented only for the employed disabled, gender, marital status, 국문초록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사회복지학과 김성희 지 도 교 수 정무성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취업집단과 비취업집단간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떠한 요인이 이 두 집단을 구분짓게 하는지 파악하고,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장애인의 임금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지는지를 비취업장애인의 특성까지 고려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이 취업과 임금이라는 두 단계에서 상호연계성이 무시된 채 각각 절단된 자료형태로 분석됨으로서 비취업장애인의 특성까지 고려되지 못하였다. 즉 취업장애인만을 분석대상으로 함으로서 취업여부에 따른 오차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취업과 임금 두 차원의 각각 분절된 결과만을 제시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적 문제점 즉 회귀분석(OLS)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이분산성 현상을 해결하고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Heckman의 2단계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단계로 취업 여부에 대한 probit 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로 표본선택모형(sample selection model)을 적용하여 임금에 대한 회귀분석(OLS)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개인의 특성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상태, 기초수급 여부, 가구주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으로 구성되었고, 인적자본 특성은 학력, 직업훈련 여부로 구성되었으며, 장애특성은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유형, 장애정도,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 중복장애 여부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노동시장 특성으로 차별여부, 주거지역이 포함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단계 연구문제인 장애인의 취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대한 prob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기초수급 여부, 가구주 여부가, 인적자본특성에서는 교육수준이, 장애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정도,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가 취업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남성장애인이(p<.001), 연령이 적을수록(p<.001), 비수급장애인이 (p<.001), 가구주인 장애인이(p<.001) 취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은 장애인이(p<.05),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장애인이(p<.001), 장애정도는 경증인 장애인이 취업할 가능성이 더 컸고(p<.001), 만성질환이 없는 장애인이(p<.05), 그리고 일상생활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애인이(p<.001) 취업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인구사회적 요인 중 주관적 소속계층, 인적자본 요인 중 직업훈련 여부, 장애요인 중 장애유형, 중복장애 여부 그리고 노동시장 요인의 차별여부와 주거지역은 장애인의 취업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단계 연구문제인 장애인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1단계(취업 여부)에서 취업된 장애인으로 분류된 장애인을 대상으로 임금결정에 대한 회귀분석(OL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기초수급 여부, 가구주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이, 인적자본특성에서는 교육수준이, 장애특성에서는 장애정도,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가 임금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남성장애인이(p<.001), 연령이 적을수록(p<.001), 기혼장애인이(p<.001), 비수급장애인(p<.001)이 임금수준이 더 높았고, 가구주인 장애인(p<.001), 주관적 소속계층이 중상층인 장애인(p<.001)의 임금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p<.001) 임금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장애정도가 경증이고(p<.001),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p<.05), 일상생활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장애인이(p<.001) 임금수준이 높았다. 반면 인적자본요인 중 직업훈련 여부, 장애요인 중 장애유형, 중복장애 여부, 노동시장요인 중 차별여부와 주거지역은 임금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모형에 의한 임금결정영향 요인 분석결과를 취업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OLS 분석결과와 비교해 보면, 성별, 결혼상태, 수급자 여부, 가구주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 교육수준, 장애정도는 동일하게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나, 직업훈련 여부, 주거지역은 취업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OLS 분석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는 본 연구모형의 분석결과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 두 분석결과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장애인이 취업되지 않은 이유를 고려하지 못한 채 취업장애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취업정책 수립에 있어 취업장애인의 특성 이외에 취업하지 못한 장애인의 특성 즉,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못한 장애인의 특성까지 고려한 취업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주요어: 장애인, 취업, 임금, 프로빗 분석, 회귀분석(OLS), 헤크먼의 2단계

      •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 개발

        김민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 요약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 개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e-Learning 전공 김 민 규 이 연구는 웹 접근성에 대한 고찰로 기존의 개발자 중심의 평가 문항을 보다 사용자에게 합당할 수 있도록 장애인 중심으로 개발하고 중요도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하여 잠정적 평가 준거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모형은 3개 평가 준거영역(신체적 제약, 정신적 제약,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제약)과 7개의 준거요소(시각장애의 웹 접근성, 청각장애의 웹 접근성, 지체장애&#8228;뇌병변장애의 웹 접근성, 정신장애의 웹 접근성, 정신지체장애의 웹 접근성, 하드웨어의 웹 접근성, 소프트웨어의 웹 접근성)로 구성하였다. 이 준거 모형을 토대로 우선 56개 평가문항을 제작하였으나 문항 검토 팀과 이러닝 전공 교수의 2단계 수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0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그런 다음 이 문항들을 가지고 웹 콘텐츠 및 장애인 관련 전문가 149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 각 평가문항이 갖는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문항들의 중요도가 5단계 척도에서 전반적으로 2.81에서 4.28 사이에 분포 되어 중요도가 떨어지는 6개 문항이 제거하여 전체 24개 문항이 채택되었다. 또한 각 문항들 간에 공통요인이 존재하는 지를 살피기 위해 검증 통계값을 구했다. 각 요인 전체에서 KMO(Kaiser-Meyer-Olkin)값은 모두 .50이상이었고, Bartlett 구형성 검정치 역시 신뢰도 99%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기 때문에 문항들 사이에 공통요인이 존재한다고 판단 할 수 있었다. 이 문항들을 통해 확인된 공통요인을 하위요인(준거요소)으로 정하고, 각 하위요인별 시각장애의 웹 접근성, 청각장애의 웹 접근성, 지체장애&#8228;뇌병변장애의 웹 접근성을 요인Ⅰ(신체적 제약)로 묶고, 정신장애의 웹 접근성, 정신지체장애의 웹 접근성을 요인Ⅱ(정신적 제약)로, 하드웨어의 웹 접근성, 소프트웨어의 웹 접근성은 요인Ⅲ(정보통신 보조기기의 제약)으로 묶어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 준거모형을 도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완성된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 준거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절성 여부를 알려주는 지수인 개략화오차평균 값이 .07에서 .08로 대체로 양호한 정도였고, 비교합치도 및 비표준합치도는 각각 .92에서 .98, .91에서 .96으로 적합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요인Ⅰ과 요인Ⅱ, 요인Ⅲ의 Cronbach α 값은 각각 .86과 .79, .74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하위요인들의 값도 .70 ∼ .82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는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에 있어 장애인의 신체적·정신적 제약으로 인한 웹 콘텐츠의 사용성, 명확성, 대체성, 일관성과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호환성 테스트 등 웹 콘텐츠의 접근성 여부를 확인하고 또는 개발하는데 지침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웹 콘텐츠 개발자와 컨설턴트, 홈페이지 운영자등에게 웹 접근성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성찰의 기회와 웹 콘텐츠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핵심되는 말: 웹 접근성, 평가도구, 장애인.

      • 장애인 복지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김태현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들에게 직접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전달하고 있는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생활재활교사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무에 대한 만족 수준,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직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설장애인들에게 보다 높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경기도 장애인생활시설의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현장설문방법과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는 우편설문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기법은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생활재활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생활재활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재활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으로는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남성의 비율도 기존연구에서 보다는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유무에서는 미혼자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유무에서는 2급 이상의 사회복지사자격증 취득자가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는 기독교가, 사회복지경력은 1년 이상∼3년 미만 인 생활재활교사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직경험은 60%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최종학력별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고, 고학력자 일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직무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 보유 자격증, 이직 경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수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서는 연령과 배우자 유무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승진에 대한 만족도 차이는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동료·상사와의 관계에서는 자격증 급수와 이직 경험에 따른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직무 전반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수와 승진의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생활재활교사의 보수체계와 연관이 있다고 판단된다. 현 보수체계는 전문대학 이상의 학업을 마치고 관련자격증을 취득한 생활재활교사나 그렇지 못한 생활재활교사나 보수와 승진에 차등이 없다. 이는 고학력 전문가의 유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 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학력의 경력 인정 이다. 일반학교 교사와 같이 대학원졸업에 대해서도 경력으로 인정하는 등 기준 이상의 학력을 경력으로 인정하여 호봉에 산정해 주는 것이다. 둘째, 경력인정분야의 확대이다. 현재 생활재활교사가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경력분야에 더해 사회복지시설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분야를 추가로 발굴, 이 또한 경력으로 인정해 주는 것이다. 셋째, 자격증 수당의 신설이다. 관련 자격증 수당을 신설하여 직원들의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넷째, 다양한 근무형태의 개발이다. 획일적인 근무 형태를 탈피하여 시설 생활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근무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인책은 좀 더 다양한 경력의 고급인력들을 사회복지시설에 근무케 하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nhance efficiency of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institutions job and to offer more superior service to the disabled in the facility by understanding the recognition about the job,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job, an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population-sociologic variable after analyzing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a positive way. This study is done through field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ocial workers in GyeongGi-Do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nd postal questionnaire survey, which means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 through postal mail reply. As an analysis techniqu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re carried out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are calculat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to figure out a population-sociologic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workers.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re evaluated to figure out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social workers and t-test and One-way ANOVA are carried out to find out job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population-sociologic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worker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population-sociologic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workers showed the fact that proportion of female was high, but the proportion of male was increasing compared with existing study. On the marital status, proportion of the unmarried was very high and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proportion of junior college graduate was most highest from the this survey. Regarding the presence of certificate, an acquisitor of more than second-class social worker certificate was increasing and a proportion of the social workers whose religion are Christianity and social workers have 1 year to 3 years experience are most highest portion from this survey. More than 60% of them didn't have an experience of changing their occupation. The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age and their last school career, the older they were and the more they had school career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was. Nevertheless satisfaction level about remuneration, the younger social workers have higher satisfaction level than older social workers. Secondly, on a relation between population-sociologic, background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satisfaction level of job was high. In regard of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level,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their final school career, their certificate, and an experience of changing their job was showed statistically and in regard of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level about remuneration,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their age and their spouse was showed statistically. In regard of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level about promo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ll variables. But, in a relation between their colleague and their senior official,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certificate grade and their experience of changing their job was showed statistically. Thirdly, satisfaction level of their job was relatively high. But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remuneration and promotion was relatively low. It is evaluated that this is related to remuneration system of the social workers. In existing remuneration system, there is no difference in remuneration and promotion between a social worker who graduated from more than a junior college and acquires related certificate and a social worker who didn't have a career above. It is estimated that this can be a factor that will obstruct an inflow of highly educated expert. So,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make a policy counterproposal for securing superior professional manpower. First suggestion is a recognition of scholarship as a career. Like a teacher in ordinary school, it is recommended to recognize more than a certain scholarship as a career such as a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graduation from a graduate school as a career and to take consideration of it for a salary class. Second suggestion is an expansion of career field. It is recommended to recognize related career by expanding the field after fixing various fields of professional career, which are needed in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ird suggestion is creation of certificate allowance. It is recommended to pay more allowance to encourage the certificated social workers. Fourth suggestion is a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 modes. It is urged to break uniformed standardized service mode and to develop various service modes, which are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orkers. Those counter measures could be a attractive policy for educated social workers to serve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and improve the social welfare service quality.

      • 장애아동을 둔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 : 부부간 의사소통과 남편의 역할수행을 중심으로

        이대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탄력성의 강화요인인 부부간 의사소통과 남편의 역할수행이 장애아동을 둔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장애아동을 둔 부부의 결혼생활과 장애아동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자는 서울, 인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장애아동 보육.교육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을 둔 부부를 대상으로 주간보호센터 6개소, 조기교육실 2개소, 일반학교내 특수학급 1개소, 유치원 특수학급 2개소로 총 10개소를 선정하였다. 13세 이하의 장애아동의 둔 부부 200쌍(남편 200명, 아내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남편용 100부, 아내용 100부를 통계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을 둔 부부간 결혼만족도에 대한 남편과 아내의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남편이 아내보다 결혼만족도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남편과 아내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아동을 둔 부부간 의사소통의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남편이 아내보다 의사소통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나 남편과 아내의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장애아동을 둔 부부간 남편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남편과 아내 모두 남편의 역할수행에 동일한 점수가 나타나 남편과 아내의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장애아동을 둔 부부간 의사소통과 남편의 역할수행이 부부간 결혼만족도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의사소통이 높으면 결혼만족도도 높고, 역할수행이 높으면 결혼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을 서울과 인천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을 이용하는 부부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는 제한점이 있었다. 둘째,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15유형의 장애를 가진 아동을 둔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폭넓게 설문을 하였는데 분석시 자폐성장애와 기타장애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본 연구결과를 전체 장애유형의 아동을 가진 부부를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한 일정 시점의 평가에만 의존하여 이루어졌으므로 부부의 전반적인 결혼만족도를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몇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설문을 하고 회수하는 과정에서 부부가 서로를 의식해서 솔직하게 답변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아내가 남편것을 대리로 설문지를 작성할 수도 있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질문지와 면담법 등 다른 종류의 연구방법을 함께 병행하여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장애아동을 둔 부부(편부모 제외, 남편과 아내 한쌍)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에 있어 아내의 참여도에 비해 남편의 참여도가 적어 설문지의 회수율이 낮아 남편의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남편의 역할수행이 결혼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편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과 수행은 엄연히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실제로 남편의 역할수행이 어느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의 역할지각과 역할지각에 따른 남편의 역할수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네째,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이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확인하고 함께 다루는지, 어떤 과정을 거쳐 서로 나누고 대안을 만드는지에 대한 질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다섯째, 부부간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은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신의 감정을 가장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대화기술과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노력과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개발과 부부 참여가 요구된다. 따라서, 부부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 주말 프로그램의 개설과 아동(장애아동, 일반아동)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지원시스템도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 intervention by examining the affect the communications and the role of husband hav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rriage for coupl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ne hundred couples each for husband and for wife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3 years old who use child care and educational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regions, and SPSS was used as a method of analysis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t-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rriage between husbands and wives, husbands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or marriage, and there were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Second, for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communication, husbands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Third, for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role of husband, both husbands and wives showed the same valu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of perception. Fourth, communications and the role of husband among the coupl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marriage, a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increases with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and the role of husband.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points of consideration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 si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e couples using facilities in Seoul and Incheon regions. Secon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ouples with children with 15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defined by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and it is difficulty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 to the couples with children with all types of disabilities since the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autistic disabilities and other disabilities when analyzing. Third,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couples'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for marriage since the study is dependent on the evaluation that occurred in a certain point in time using a survey as well as a possibility exists for the wives to fill out the survey in place of their husbands. Therefore, a future study must simultaneously utilize survey and interview so that a more in-depth study can be conducted. Fourth,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ole of husband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rriage. Therefor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husbands and their according fulfillment of the role is needed to accurately identify how husbands are fulfilling their role.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인식,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에 관한 연구

        조용준 서울신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체장애 청소년을 중심으로 ‘정보인식’ 측면 뿐 아니라 이들의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복지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보인식,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접근은 정보인식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활용은 정보인식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 광주시에 소재한 장애인 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지체장애 청소년으로 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이용시설에 방문하여 직접 면접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의 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인식에 대하여 정보인식수준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접근에 대하여 거의 모든 학생들이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고 인터넷 이용 역시 일상생활화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활용에 대하여 인터넷을 매우 잘 이용하고 있는 반면에 각종 유틸리티 및 시스템 관리에는 전혀 이용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보화/정보사회의 인식 정도는 학습자료 검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인식, 정보활용 및 정보접근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보접근은 컴퓨터 사용일수와 인터넷 사용일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관

        김해옥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기에 가치관을 형성하고 바람직한 장애인관을 세우는데 교과서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교과서는 교수-학습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서 의미와 함께 그 시대의 사회ㆍ문화적 가치체계가 반영된 의미체계로서 청소년의 의식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이해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해소하고, 바람직한 장애인관 형성을 위한 교과서의 내용구성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중학교에서 채택한 1, 2, 3학년 전 교과서를 대상으로 장애에 관련된 내용과 삽화, 사진 등을 추출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정리하였다. 이 정리를 토대로 장애관련 내용이 얼마나 다루어지고 있으며, 장애관련 내용 중 장애 유형, 등장인물로서 장애인의 성격, 교과서 단원 내에서 장애인 관련 내용의 위상 등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내용의 횟수로는 전체 교과에서 언급한 과목 수는 47개 과목 중 11개 과목이 다루고 있었으며, 학년으로는 1학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장애관련 내용이 가장 많은 교과는 도덕교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유형에서는 지체부자유가 가장 많이 표현되었는데, 이는 비장애인이 가장 일반적으로 느끼는 장애인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사진이나 삽화로 표현하기 어려운 정서장애나 학습장애는 표현되지 않았다. 셋째,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의 성격은 부수적 인물로 가장 많이 표현되었는데, 장애인이 중심인물이 아닌 글의 내용에 도움을 주는 경우로 표현된 결과이다. 넷째, 교과서 단원 내에서 장애인 관련 내용의 위상으로는 스스로의 삶을 살아가거나 비장애인보다도 더 특별하게 살아가는 장애인을 표현한 주체로서의 장애인을 보는 관점으로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를 가진 사람도 비장애인처럼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는 바람직한 결과로 요즈음의 사회현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해석된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G중학교에서 채택한 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했는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중학교의 모든 교과 과목별 출판사별로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자가 한 사람일 경우 다소 주관적 분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분석자가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좀 더 객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chool textbooks play a great role in forming a sense of values and a desirable view of the disability in adolescence. As objective data requir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a meaning system to which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a specific period is reflected, textbooks have a hugh effect on the formation of teenagers' consciousness. With an awareness of such issues, this study is aimed at eliminating false ideas on the disabled and finding a desirable direction of textbook contents by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disorders in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study, disorder related contents, illustrations and pictures were extracted in the whole textbook for 1st, 2nd and 3rd graders adopted in G middle school and then they were rearranged by grade and subject. On the basis of the rearrangement, analys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amount of disorder related contents, disorder types,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the importance of disorder related contents in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sions are suggested like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number of disorder related contents, it was found that 11 subjects among 47 mentioned disorders and the textbook for 1st graders mentioned the topic most frequently, especially in morals textbooks. Second, regarding types of disorders, physical handicaps were mentioned most frequently because they are typical disorder types recognized by the non-handicapped. Therefore, emotional or learning disturbances were not mentioned because they are not easily expressed by pictures or illustrations. Thir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in textbooks, they were mostly expressed as secondary characters, and which is a result of the description of the disabled not as main characters but as ones merely supporting the story of texts. Fourth, regarding the importance of disability related contents in textbooks, the disabled were mostly expressed as special people leading their own liv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n-handicapped. It seems to reflect the current social phenomena as a desirable result recognizing the disabled can also lead their lives like the non-disabled.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xtbooks adopted in G middle school, so follow-up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the whole middle school textbooks used in Korea according to subject and publishing companies. Second, a somewhat subjective analysis may be carried out by a single researcher, so more objectiv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by a group of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