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자전거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섭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산업화가 진전되어 갈수록 생활환경이 변화하고 각종 교통수단의 발달로 도시내에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다.현재 우리나라 도시들의 대기환경은 매우 열악하며 특히, 대도시권의 대기질은 OECD회원 국가의 주요 도시 중에서 최하위 수준에 있다. 이렇게 심각한 대기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자전거는 자동차 대체 교통수단으로 이용할 경우 대기오염 감소 뿐 아니라 도시환경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 개인의 건강 증진 등의 효과를 모두 고려한다면 자전거가 우리에게 실질적으로 주는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수원시를 중심으로 자전거 관련 법·제도, 시설 현황 등을 검토하여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저해하는 요인을 찾아내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원시 자전거이용에 대한 시민과 담당공무원 및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이해 정도를 파악하여 앞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대체교통수단으로 적극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수원시 전체 39개 동을 대상으로 임의 선정하여 동별로 10명씩 390명의 주민과 전문가 및 담당공무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일반주민 292명(74.9%), 전문가집단 88명(88.0%)이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일반주민과 전문가들 모두가 요즘 저탄소·녹색성장을 비롯한 국가정책과 개인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자전거 타기운동에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하였던 자전거의 특징 및 이용현황, 자전거 법·제도현황, 해외 자전거 활성화 사례 등은 향후 우리나라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방향 설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09. 12. 학번 : 20081311012 성명 : 김 재 섭

      •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식품구성자전거와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와 실천도의 연구

        홍은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고 영양정보를 통한 실천도를 파악하여 향후 학생들에게 영양정보에 대한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설문조사는 2012년 9월 용인시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의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중 남학생은 58명(53.7%), 여학생은 50명(46.3%)이고, 5학년은 50명(46.3%), 6학년은 58명(53.7%)이다. BMI는 저체중군 42명(38.9%), 정상 49명(45.4%), 위험체중 10명(9.3%), 비만 7명(6.5%)이고 가족수는 3-4명이 가장 많았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정도는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다. 식품구성자전거의 그림을 바탕으로 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을 구성했다. 조사대상자의 식품구성자전거에 대한 인지도는 18.5%이고, 5학년보다 6학년의 인지도가 높았다.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물의 양은 501-1000ml의 응답률이 높았는데, 이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2010)보다 낮았다. 각 식품군의 이상적인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곡류군, 고기·생선·계란·콩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류는 기준섭취량보다 낮은 응답분포가 나타났고, 과일류, 유지·당류는 기준섭취량보다 높은 응답분포가 나타났다. 특히 유지·당류에 대한 남학생의 응답평균은 42g으로 실제 하루섭취량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BMI가 높을수록 과일의 하루 섭취량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식품구성자전거의 자전거의 의미를 잘 파악하고 있는 응답자는 47.2%였고, 식품구성자전거의 뒷바퀴의 식품군 비율 순서를 나열하는 질문에 남학생은 고기?생선?계란?콩류와 채소류, 과일류와 우유 및 유제품의 비율순서를 혼동했다. 식품구성자전거의 유지·당류의 그림 면적이 작은 이유는 ‘몸에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69명(63.9%)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의 각 세부지침사항을 바탕으로 질문을 구성했다. 조사대상자의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 인지도는 6.0%이고, 6학년보다 5학년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BMI의 위험체중, 비만군은 모두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편식의 의미, 섭취해야하는 우유의 종류, 짠 음식, 단 음식, 기름진 음식, 불량식품, 유통기한에 대한 이해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골고루의 의미, 표준체형, ‘천천히’의 정도, 영양표시에 대한 질문에는 낮은 이해도가 나타났다.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을 통한 실천도에서는 ‘아침식사를 꼭 먹습니다.'(M=4.28), ‘가족과 함께 식사하도록 노력합니다.'(M=4.22)등의 일반적인 질문의 항목에 대한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고, ‘채소류의 식품을 하루 분량에 맞게 섭취합니다.’(M=3.48), ‘나이에 맞는 키와 몸무게를 알아서 표준체형을 유지합니다.’(M=3.44)의 항목은 실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양정보의 관심도에 따른 영양정보 실천도는 영양정보에 관심이 매우 많다고 응답한 그룹의 영양정보 실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세부적인 항목과 지침에 대한 이해도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볼 때, 학생들이 정확한 정보를 통해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영양정보의 보조자료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영양정보에 대한 추가 연구가 계속된다면 효과적인 교육자료 개발 및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오픈소스 기반 자전거 관리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서울자전거 따릉이 시스템 제안

        김상현 崇實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대와 관심 속에 서울자전거 따릉이 출범하여 초기에는 다양한 문제가 도출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저조한 이용률을 보였으나, 현재 법제도 개정, 대여소와 자전거 추가 등 많은 노력의 결실로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서울자전거 따릉이 관련 학위논문이 없어 다른 지역의 공공자전거 관한 연구 및 학술자료, 논문을 참고하여 서울자전거 따릉이 1년간 운용실적, 대여소와 자전거 Original Data를 활용하여 시·공간적 이용현황 및 개선점, 홈페이지 시민의견수렴 게시된 글을 통해 이용자 특성 및 불편사항을 확인하였다.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분석을 위해 프로토타입으로 오픈소스를 활용해 구현해 보고 6개의 Rule Base(자전거별 사용률 분배, 대여 및 반납시 회수율과 회수시간 확인, 이용자 관리, 대여소 통신 SQ(Station Quality)관리, 특정 서비스 문구 알람, 자전거 재배치) 제안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과 기회를 도출해 보고 서울자전거 따릉이 향후 계획 수립간 지표자료로 활용하여 비즈니스 성과도 기대한다. October 15, 2016, Seoul's bicycle Ddaleungee was the first anniversary. By the first half of 2016, it showed a low rate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frequent bicycle accidents, shortage of bikes stations, but from the second half, based on the revitalization of bicycle use such as revision of bicycle legal system, addition of bikes stations and bicycles,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ublic transport. About bicycle rental history O/D and bikes stations information for 3 months from June 2016 to August, due to shortage of publicity due to the analysis result target, teenager's low utilization rate (no usage rate in 60s), bicycl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rearrangement and inconvenience of Ddaleungee were derived. Based on this systematic and diverse analysis and open source based Rule Base which utilizes the public data that is currently being provided (offering data as necessary) I propose to contribute to this revitalization of Seoul bicycle Ddaleungee. Through this research, Rule Bas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ment results, city / spatial usage, bulletin board and various public data, so that the bicycle Ddaleungee in Seoul will be a good indicator for future planning I'm sure. Because it is a paper studied by the first Seoul bicycle Ddaleungee in KOREA.

      •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자전거 최적경로 탐색 기법

        양정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위기와 지구온난화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기반이 되는 자전거도로는 지형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고 있어 실제 많은 이용자가 자전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통근, 통학 등 출·퇴근용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주로 운동이나 여가활동을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어 활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거도로의 편리한 접근성과 연속성을 위해 지형적 요소를 고려한 최적의 노선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 이용에 있어서 생활교통으로의 접근이 활성화 되도록 통학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적경로의 연산에 있어서 경사도와 교차로를 고려한 식을 도출하였으며, 변형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 Algorithm)을 적용해 최적 노선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자전거도로의 노선은 지형적 요소를 고려해 설계해야하며,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이동을 요구하는 통학용 자전거도로의 경우 단순하게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노선을 선정하기 보다는 횡단보도나 교차로에 의한 대기시간과 경사에 의한 속도 증감을 고려한 최단시간을 기준으로 노선이 선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전거도로의 개선 및 확충하는데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global energy crisis and climate change have recently emerged as major global issues, an increased attention on green growth leads to the greater importance of bicycl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However, bicycle routes, the very foundation of encouraging the use of bicycle, are being developed without a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factors, and not many people use bicycle. Moreover, utility of bicycle is decreasing because people bicycle for the purpose of an exercise or a recreational activity rather than of the purpose of commuting to work or schoo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select the optimum bicycle route considering geographical factors to enhance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of bicycle routes.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accessibility of bike as a daily transportation means, the study focuses on the bicycle’s role of commuting to school or work. To this aim, it devised a formula with a consideration of slope and crossroads to calculate the optimum route, and applied modified Dijkstra Algorithm to find out a means to select the best rou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icycle routes should be developed with a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factors. Moreover, it also indicated that route of bicycle routes for commuting which requires a quick arrival at destination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shortest time path considering increasing or decreasing speed due to a slope and waiting time at crosswalks or crossroads, rather than simply on the basis of transport distance.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of effectively improving and expanding bicycle routes which are on the continuous rise.

      • 자전거 轉換 效果 推定을 통한 자전거이용활성화 方案 硏究

        장지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자동차 통행의 증가에 따른 교통혼잡 완화를 위한 접근방식은 첫째, 교통시설의 공급과 기존시설의 효율성 증대(transport systems management strategies)에 초점을 두는 공급관리 정책과 둘째, 기존 공급위주 정책의 한계성에 주목하여 수요의 조절을 통해서 교통문제를 다루려는 교통수요관리 정책(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policy)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재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요관리기법 중에서 “수단의 전환” 특히, 승용차에서 자전거로 수단 전환 방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자전거수단분담 증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승용차 통행 억제 정책과 병행하여 자전거이용활성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교토의정서 발효와 지구온난화 문제의 심각성은 교통분야 정책 패러다임이 적색교통 위주의 교통정책에서 녹색교통 위주로 바뀌어야 함을 말해준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교통정책의 대상을 차량이 아닌 인간, 소통이 아닌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한 교통정책이어야 한다. 이것이 친환경적 녹색교통수단인 자전거가 대안적 교통수단으로 중시되고 있는 이유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전거 전환 효과 추정을 통하여 자전거이용활성화 정책 추진의 당위성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전거 전환 효과 추정 방법은 승용차 운행관련 사적비용을 km당 비용(원/km)으로 환산하고, 도출된 km당 비용을 승용차를 이용하는 정부대전청사 입주 직원을 대상으로 자전거 전환 효과를 추정하였다. There are two approaches to ease traffic congestion: TSM and TDM. Transport systems management strategies(TSM) focus on traffic infrastructures supply and the infrastructures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policy(TDM), which evolves from the limitation of TSM, concentrates on demand adjustment of using traffic infrastructures. This article discusses modal change among many kinds of TDMs as a solution for traffic congestion, and especially studies conversion device from cars to bicycles. This article suggests also that, in order to increase utilizing bicycles, diverse policies of car traffic constraints and various policies of bicycle use vitalization are driven forward. With the effectuation of Kyoto protocol, the seriousness of global warming tells us that the transport policy paradigm has to be converted from red modes to green modes. The new paradigm targets switchover from vehicles to human being itself, from energy-consuming carriers to environment-centered, sustainable tranport means. This is the reason that bicycles is seriously considered as a green mode alternative. This study suggests the justifiability of bicycle use increase policy and bicycle use vitalization through estimating effects of bicycle transfer. The estimating method: in the first place, estimates personal car-driving cost of persons in Deajeon Goverment Complex, and then converts the estimate to cost per km (won/km), finally estimates the effect of bicycle transfer of the same persons.

      • 공용자전거 대여시스템 보안을 위한 경량화된 ECDH 알고리즘

        김병욱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Now, "Green Growth" is hot issue because there are many problems like a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igh oil price. And many people are trying to overcome it. To solve that partly, "Riding a Bike" movements are occur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Europe. More than 10 countries put "Public Bike Rental Service" in operation to encourage "Riding a Bike" movement and other countries are trying to such service. Also within the country, "Public Bike Rental Service" is developed and operated locally. After its standardization, local services will be introduced of standard of "Public Bike Rental Service". Worldwide, the diffusion rate of smart phone is increasing steeply so users of smart phone can use many convenience services by smart phone. Therefore we can assume the "Public Bike Rental Service" will be used by wireless network and mobile device as a smart phone. Bu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security issue that can occur while users are using "Public Bike Rental Service". Therefore we must use secured data channel during data transfer so cryptography algorithm is necessary. But mobile device like a smart phone has low-speed CPU so its calculate speed is slower than server. It can make a problem when they are establishing secured channel between mobile device and server. This paper assumed the environment that "Public Bike Rental Service" by mobile device and analyzed problems that can possibly occur in such environment. To apply secure channel between mobile device and server easily, this paper designed and evaluated light-weight ECDH algorithm. We verified there is time diminution of client side public key calculation process through evaluation result. 환경오염, 고유가 등 많은 문제 때문에 세계적으로 녹색성장이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이를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럽지역을 비롯한 각국에서는 자전거 타기 열풍이 일어나고 있다. 자전거타기를 장려하기 위해 세계 10개국 이상이 공용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외 국가·도시들도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기술·제도적 노력을 쏟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자치단체별로 공용자전서 시스템을 개발, 운용중이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표준화 진행이 마무리 되면 자치단체들이 같은 표준을 기반으로 공용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시행할 전망이다. 현재 많은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고 앞으로 더욱 확산될 전망인 모바일 스마트폰 등의 기기 활성화로 인해 향후에는 여러 가지 서비스들이 이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전망이며 이에 따라 공용자전거 대여 서비스도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망을 이용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들이 공용자전거 대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대두될 수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보안이다. 따라서 모든 개인정보 전송 시에 보안이 적용된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암호 알고리즘 적용은 필수가 될 것이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기 특성상 상대적으로 적은 연산속도 때문에 많은 연산이 필요한 암호화 설정 과정이나 암호화, 복호화 과정에서 많은 무리가 생길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공용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경을 가정하고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암호화 적용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공개키 설정 알고리즘인 경량화 된 ECDH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약 25%의 클라이언트 측 공개키 연산 시간 감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대중교통환승을 중심으로 한 자전거 접근 시설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조선구 서울산업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친환경적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은 교통정책의 국제화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적합한 교통전략으로의 전환이 불가피 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두되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전략으로서 자전거의 이용과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인식하는 것과 자전거를 대중교통과 연계하여 이용 가능한 자전거 연계환승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해 교통수단으로서의 활용성을 높이면 대중교통 특히 도시철도의 문제점인 출발지와 도착지의 문전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교통 수요를 대체하여 친환경 교통으로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자전거 교통의 선진국에서는 자전거 이용활성화 사업을 대규모로 추진하였고 그 결과 커다란 효과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대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서 이용하기위한 대중교통과 자전거의 연계에 관한 실제적인 환경, 디자인 기준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 환승센터의 자전거 접근시설을 역사유형과 동선에 따라 분류하고 교통, 공공시설로서의 디자인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고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중교통환승에 따른 자전거 접근시설의 디자인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근거리대중교통환승의 유형과 자전거와 연계된 교통환승 유형을 분류 하여 도식화 한다. 근거리 대중교통환승은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시철도역사 유형을 고려하여 자전거의 접근에 대한 연계환승시설의 주요 요소를 공간의 연결에 따라 재배열한다. 디자인평가 논문, 공공디자인사례, 자전거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디자인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평가표를 작성한다. 서울과 인천의 근거리 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연계현황, 연계환승시설의 사례조사와 평가표를 통한 분석을 통해 자전거 접근시설 디자인평가 요소의 적정성 검토와 디자인방향에 대해 종합한 후, 디자인 요소를 정의 한다. 이상의 과정을 전개한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리 대중교통환승의 중심인 도시철도 역사의 형태를 역시설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승하차 동선에 따라 자전거 접근 시설을 역 외부시설, 내부시설, 이동시설, 차량 내 시설로 분류하였다. 둘째, 자전거 시설관련 지침, 규칙과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공공디자인평가 논문의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고려요소를 접근성, 안전성, 사용성, 공간합리성으로 정리하고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표를 작성하였다. 시설에 대한 요소의 중요도는 접근성, 안전성, 사용성, 공간합리성 순이다. 셋째, 서울, 인천 4개역의 환승 공간 동선분석, 국내, 국외자전거 주차시설, 경사로와 전동슬로프, 입구와 연결로, 열차 내 자전거 거치 시설, 자전거 사인시스템을 조사하였다. 넷째, 평가표를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자전거 주차시설의 공간부족, 주차대수의 부족, 대중교통과의 접근성, 자전거 도로와의 단절, 체계적인 자전거 사인시스템의 부재의 문제와 자전거 휴대 탑승시 역사 내 이동과 차량 고정시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으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층 주차시스템과 공간 활용방안, 사용요구에 따른 주차시설 다변화, 보행로?자전거도로?차도의 분리와 자전거도로의 연결, 제한적인 시설의 효율적 이용과 동선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위한 안내 및 유도 사인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 friendly transport means is international trend and it is unavoidable for our country to move toward the transport strategy which fits this trend. As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 strategy raised at this point, riding a bicycle and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 can be said.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recognize bicycle as the means of transport and the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for bicycle to connect public transport should be arranged. If bicycle is more used as the means of transport through connection between bicycle and public transport, the accessibility to entrance of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can be improved. Now public transport, especially urban railroad shows problem in the accessibility to entrance of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 is expected replacing existing transport demand through smooth connection bicycle and public transport. The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bicycle transport proceeded, in large scale, activation of riding bicycle to solve rapidly growing urban environment problems and the endeavor is leading to successful result. Though our country is proceeding business for activation of riding bicycle, it is true that practical environment and the design standard related to connection between public transport and bicycle is po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ransfer center of public transport and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centered on railway station according to type and moving line of railway station, and to analyze through evaluation on design as transport and public facilities and to suggest design element. The study method and procedure is as follows. This study made diagram classifying the types of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and the types of transport transfer connected to bicycle to draw design element of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based on public transport transfer through precedent research and internet site. Because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is made focusing on urban railroad station, main elements of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for access of bicycle are re-arranged according to connection of space considering the types of urban railroad station. The evaluation sheet is made out drawing elements for design evaluation through analysis of articles for design evaluation, public design cases and bicycle related law. And design elements are defined after review on reasonableness of design evaluation elements for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and synthesis of design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onnection bicycle and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in Seoul and Incheon, case survey of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and evaluation sheet. The result based on abov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forms of railroad station which is the center of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tation facilities and also classified the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into external facility, internal facility, movable facility and facility inside vehicles according to the flow line of take- on and get- off. Second, this study clarified design consideration elements into accessibility, safety, usability and space reasonableness through analysis of guidances related to bicycle facilities, rules and urban design guidelines and cases of public design evaluation articles, and then the evaluation sheet was made out based on these four elements. The order based on the importance degree of elements for facilities is accessibility which is most, safety, usability and space reasonableness, the least. Third, this study analysed the line of flow in the transfer space of four stations in Seoul and Incheon, and examined domestic and foreign parking facility for bicycle, inclined road and motorized slope, entrance and connecting road, facility fixing bicycle inside train and bicycle sign system. Fourth, through analysis based on evaluation sheet, this study drew the problems : lack of space for parking bicycle, lack of bicycles parke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severance to bicycle road, absence of systematic bicycle sign system. And there is problem in movement of bicycle in the station and fixing facility, when people take on train carrying bicycle.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 for improvement : multiple floor parking system for efficient use of space and space use methods, diversification of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needs, separation of walk road, bicycle road and drive way, connection of bicycle road. An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guide sign system for efficient use of limited facility and natural flow line together with design elements for the suggestions.

      •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진섭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자동차수는 급속히 증가하여 현재 1732만 대를 넘어섰으며, 자동차 중심의 교통정책은 만성적인 교통체증과 주차난 등 도시교통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소음과 매연 등 도시환경은 날로 악화되어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으며,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국제사회에서 최우선 의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자동차 중심의 공급관리 교통정책은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날로 악화되는 도시의 교통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대중교통과 녹색교통 중심의 교통수요관리 정책으로의 전환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정부에서도 기후변화 협약, 고유가 등 국제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고 국민의 삶의 질 제고와 물류 및 교통혼잡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친환경적 대중교통체계로의 전환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정책을 마련 중에 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자전거를 도시교통수단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자전거 이용 촉진을 위한 각종 사업의 시행과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전시의 경우, 2008년 말 현재 496㎞의 자전거도로가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2015년까지 자전거 수단분담률을 10%까지 높이기 위하여 자전거전용도로 등 인프라 구축과 함께 시민 공용자전거 운용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대전시 자동차 수는 2008년 말 현재 53만9천여 대에 이르고, 승용차 수단 분담률(도보 제외 경우)도 급격하게 상승하여 55.7%로 이르는 등 도시교통 및 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전시에 설치된 자전거도로는 대부분 보행자겸용도로로서 주로 보행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자전거이용자는 이를 피해 보도를 이용하는 사실상 이름뿐인 경우가 많다. 또한 주요 시설과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지역적 편중이 심각하며, 각종 안전 및 편의시설이 정비되어 있지 않아 자전거이용을 활성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가 추진해온 자전거이용시설 정비 및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전시민의 자전거이용 실태 및 의식 등을 분석하여 대전시를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ue to rapidly increasing numbers of vehicles which are up to more than seventeen million now, coming along with urbanization, motor-car-oriented transportation policies cause not only chronic traffic congestion problems and parking problems but also noise and fumes so that urban environment keeps on worsening seriously day by day. And climate change issue such as global warming according to increasing use of fossil fuel has become a number one agenda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there has been a limit in our transportation policies headed for motor-car-oriented supply management system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its explosive increase in an efficient way, the whole policy has to turn into public and green transportation-centered demand management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living condition of the people and to solve environmental and transportational problems. Curr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making various policies to activate bicycle use and turning into eco-friendly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order to deal with rapid change of global environment such as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igh oil price as well as to enhance quality of people's lives and to lessen traffic congestion charge. Thanks to these efforts, it was reached to national consensus to settle bicycle as an urban transportation method. Besides, local self-government bodies are actively on the progress under promotion of bicycle use and activation of its related business and various discussion. In Daejeon, for example, bicycle use takes 2.6% of all transportation methods by installation of 496㎞ of bicycle roads that would be increased upto 10% by 2015. However, traffic congestion problem and urban environmental sickness are getting worse as now numbers of motor vehicles are reached upto more than half million(5.39 hundred thousands) and the using rate of motor vehicles rapidly increased upto 55.7%. Moreover, 98% of current bicycle roads has designed along with pedestrian roads that resulted in lack of linkage with other main facilities, local imbalance, avoidance of using by lack of safety and convenient facilities. This study is to solve urban transportation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Dae-jeon city and to seek how to develop bicycle as a proper means of main transportation to make the city comfortable and livable by researching distinctive features and theories of bicycle and home and abroad model policies and documents in that field. Also, this study suggested possible plans to activate bicycle use as a means of urban transportation based on research of present status on bicycle facilities and analysis of customer survey on its problems in Daejeon.

      • 자전거 이용자의 의식구조와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강창오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자동차의 증가는 심각한 도심 교통문제로 나타났고, 이러한 교통문제는 교통 혼잡, 대기오염의 악화, 고유가 유발 등 많은 악영향을 야기했다. 최근에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자동차소통을 위한 성장 위주의 교통정책에서 친환경, 사람 중심의 정책을 모색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자전거 이용을 적극 장려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전거 이용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함으로서 자전거 관련시설 등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이용자들의 의식구조와 행태는 어떤지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파악하여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정책의 우선순위나 공간적 범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쾌적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안정성과 타 수단에서의 전환을 적극 유도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구시를 비롯하여 국내의 주요 도시와 외국의 자전거 이용 사례와 현황을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자전거이용이 활성화되어 있는 선진 국가와 우리나라의 자전거 보유 비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보관소 같은 이용시설 등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이용자와 비이용자간의 의식특성과 공통의 특성을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 총 622명 중 43.1%가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용자 중 성별분포를 살펴보면 남자는 71.6%를 차지 여자는 28.4%로 나타났고,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의 시민이 6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주 이용목적으로는 레져 및 운동이 61.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용이유로는 건강 증진이 33.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레져 및 취미(22.8%), 즉시 이용가능(19.8%)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학생이 5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직장인이 35.4%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이용자 중 81.9%가 과거에 자전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를 이용하는 통로로는 인도(28.7%), 자전거 및 보행자 겸용도로(27.2%), 차도 외측(26.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통로로는 44.8%로 절반에 가까운 시민들이 차도 위 자전거 전용도로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사항으로는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자전거 전용도로 건설 및 자전거 우선정책의 도입(전체 30.7%)을 첫 번째로 꼽았다. 무엇보다 이용자의 안전이 가장 고려되어야 한다. 자전거 이용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전거를 타는 이용자가 안전하다는 판단이이 들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타 교통수단 및 자전거 이용자 모두가 쾌적한 교통 환경에서 공존하기 위한 방법들을 다시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 볼 과제라고 생각한다.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growing number of cars have contributed to the urban traffic problems. And it had a bad influence on a traffic congestion, air pollution, and high oil price.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countries have recently changed their traffic policies from the growth-driven to the eco-friendly and human-centered one all over the world. Among these policies, they began to encourage people to use bicycles.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using bicycles. They have failed to achieve their goals including the bicycle fac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icycle users' consciousness structure and behavior, seek a measure to minimize these problems,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priority of policy and spatial range, make a pleasant traffic environment, and then entice its safety and the shift from other vehicles. To achieve these purposes, several cases and the existing state in major cities including Daegu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ere reviewed. The result showed that Korea and advanced countries in which bicycle use has flourished had a quite low rate of bicycle ownership and a few facilities such as bike routes and drop-off spots. Daegu citizen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Based on it, consciousness structures and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bicycle users and non-users were analyzed to promote the use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622 respondents, 43.1 percent used bicycles, that male and female users were 71.6 and 28.4 percent, respectively, and that users under 20s took up the highest rate of 60.8 percent. The main purpose of users was leisure and sports(61.2%). The main reason for bicycle use was health promotion(33.6%), followed by leisure and hobby(22.8%) and prompt usage(19.8%). For users' occupation distribution, the most users were students(52.4%), followed by workers(35.4%). Among non-users, 81.9 percent responded their prior experience of usage. The most used bicycle route was sidewalk(28.7%), followed by combined route(27.2%) and road outsides(26.1%). Almost half of respondents(44.8%) showed that their desired route was the bicycle-only route. Both of users and non-users responded that the most urgent task to be improved was to build bicycle-only routes and introduce policies for the high priority of bicycle(30.7%). Above all things, their safety must be first considered, because bicycle users should ensure their safety in order to continue to use the vehicle a lot. We should consider seeking a measure for other vehicles and bicycle users to coexist in the pleasant traffic environment.

      • 자전거 타기와 발기능저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윤장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자전거 타기와 발기능저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윤 장 호 (비뇨기과학 전공) (지도교수 : 민 권 식) 의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연구배경 및 목적 : 자전거 타기로 인한 배뇨장애나 성기능장애에 대한 일치되지 않은 여러 보고로,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선택을 망설이거나, 전문가에게 조언을 요청하였을 때 명확한 해답을 제시한 경우가 없어 이번 연구를 통해 자전거 타기와 성기능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부산지역 자전거 동호회 및 출퇴근용으로 1년 이상 자전거 타기를 한 사람 50명과 (자전거군) 수영, 마라톤 동호회 회원들 50명(비자전거군)을 대상으로 국제 발기능측정설문지(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 조기사정진단설문지(Premature Ejaculation Diagnostic Tool, PEDT)를 작성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 체질량지수, 운동량(기간, 횟수, 시간) 안장종류에 따라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전체군을 대상으로 측정한 점수는 IIEF와 PEDT가 57.3±8.8, 5.1±4.0 이었으며, 자전거군과 비자전거군에서 IIEF의 발기능 점수는 26.0±4.3, 25.3±3.5 (p=0.38), PEDT 9점이상의 조기사정을 보이는 정도는 20%와 24%로 (p=0.26)으로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IIEF 설문의 4가지 세부 항목인Erectile Function (EF), Intercourse Satisfaction (IS), Orgasmic Function (OF), Sexual Desire (SD)을 연령대별로 비교한 결과 40대까지는 EF, IS 점수가 자전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EDT점수의 경우는 모든 연령대에서 조기사정을 보이는 정도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자전거군에서 발기능저하의 위험인자로 연령, 체질량지수, 운동량(기간, 횟수, 시간) 안장종류를 조사해 본 결과 연령만이 유일하게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β=-0.36, R2=0.12, p<0.01). 발기력 점수로 발기장애의 정도를 분석하였을 때, 자전거군과 비자전거군에서 38%와 50%로 자전거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중등도 이상의 발기장애는 자전거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자전거 타기는 남성성기능에 있어서 전반적인 점수와 발기력과 발기지속시간 및 삽입만족도에서 자전거를 타지 않은 군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연령대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50대 이상에서는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특히 만족감이나 성욕의 정도 및 사정에 있어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차이가 없었다. 다른 모든 운동과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맞는 장비의 착용과 운동량이 지켜진다면 자전거 타기가 남성성기능 및 사정장애를 악화시키지 않으며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는 효과 있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Key word : 자전거타기, 성기능장애, 발기능부전, 조기사정 ABSTRACT Correlation Study of Bicycle riding and Sexual function Jang-Ho Yoon (Urology) (Advisor: Prof, Kweonsik Min)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 Bicyclist population-based studies have assessed variations in the burden of erectile dysfunction (ED) by time-period of bicycle exercise. To estimate prevalence rates of ED by bicycle exercise and determine the contribution factor as non-bicyclist. Methods : Survey is a study of erectile function and ejaculatory symptoms as non-bicyclis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hand at bicycle parade and community club. A total of 100 men (50 bicyclists and 50 non-bicyclists aged 30-70 years from the city of Busan. Self-reported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 and Korean Premature Ejaculation Diagnostic Tool (PEDT) was used. ED assessed using the EF. IIEF erectile function domain scores were used both as a continuous variable and dichotomized as ≤25 vs. ≥26. Results : Overall erectile function score is 57.3±8.8 in IIEF, 5.1±4.0 in PEDT. IIEF (EF domain) score and PEDT (above 9 portion) are 26.0±4.3/ 25.3±3.5 (p=0.38), 20%/ 24% (p=0.26) in bicyclists/non-bicyclists group. IIEF has four domains, Erectile Function (EF), Intercourse Satisfaction (IS), and Orgasmic Function (OF), Sexual Desire (SD). In age-adjusted, thirty to forty group have higher scores of IIEF, EF and IS, but over fifty group hav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Also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 of PEDT on all age group. We found the risk factors of ED in bicyclist group, age, body mass index (BMI), saddle type, exercise activity (experience, time, hour) were analyzed, but age was the only related risk factor on ED (coefficient β=-0.36, R2=0.12, p<0.01). The prevalence of ED (EF ≤ 25) was 38% and 50% in bicyclist and non-bicyclist group respectively, but bicyclist group showed relatively high rate of moderate to severe ED. Conclusions : Bicycle riding group has higher erectile function, intercourse satisfaction, orgasmic function, sexual desire and ejaculation function. Thus bicycling is effective activity preserving men’s erectile function, when one’s proper equipment and exercise quantity. Key Word : Bicycling, Erectile Dysfunction, Impotence, Premature eja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