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전지역 디자인 전문인력 수요 전망과 재교육 연구

        김정아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Daejeon Metropolitan city made a public announcement of the city vision, 'Daejeon, the special cit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ity is focusing on its development.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a city concentrated with scientific infrastructure and technical capability which is an optimal plac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mportance of 'soft-power' has been in a spotligh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omestic design industry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core importance for soft-power. For though domestic design competitiveness is in at an internationally high level, cities are not properly respon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situation, training and empowerment for professions with expertise and skills for active response to this revolution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urrent empowerment of design specialists and outlook of the demand in Daejeon as well as problems in the actual condition of reeducation provided by design companies and improvement plans. Also, the study includes a theoretical review as well as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a current situation of design companies in Daejeon and Chungchung areas for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for design specialist reeducation in Daejeon area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on design specialist labor demand and actual condition of reeducation in Daejeon was conducted and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used to discuss improvement plans for training professional design manpower and re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development plans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of design specialists in Daejeon as follows. First, the demand by each field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field of design industr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ment of field in digital/multimedia design, service/experience design, and design-infra (design-based technology) is required. Thus, improvement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existing fields and development of design convergence fields are suggested for the plan. Second, the demand by manpower structure and development plan. Daejeon needs staffing of manpower at a beginning level and specialization and advancement of middle- and high-quality manpower as well as the educational plans separated from each field, position, and level of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a plan for training professional designers who is capable of convergent thinking and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existing fields and another plan for creating design-led new business with education focusing on understanding of different fields. Third, the demand of new design business and development plans for it. Daejeon is focusing on new industrial busin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requires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fields. For this reason, it is significant to train design convergence experts and develop design-led business. Fourthly, the study presents the demand of design re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it. Current professional design companies' reeducation gives unbalanced attention to strengthening fundamental empowerment and they hardly provide reeducation for middle and high-quality manpow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mportant to provide reeducation for each position and the study suggests a plan to properly arrange basic and convergence capacity according to position for designing capacity training, creativity/business capacity education, convergence and other trainings. Fifth one is regulatory support. Regulatory support is required for better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reeducation. Colleges ne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stablishing convergence design department and professional school, diversification in majors through integrated departments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 expansion of master's and doctor's degree, and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 and contract-based department. Industries need to develop in-house training program, train and utilize specialists in reeducation, and expand support for training designers. Research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conduct studies on convergence design technology, 3D printing technology, CMF (Color, Material, Finishing), and many others and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developing design industry and issuing support ordinance, systematic support through hiring professional manpower, financial and labor support for re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by utilizing RDC (Regional Design Center).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ose plans in the future so that the plans are actually applied by consistent improvement in reeducation and training people for professional designers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capability of professions in Daejeon and utilization of the labor and the city's succ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enhancing design power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대전광역시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을 비전으로 선포하여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과학 인프라와 기술 역량이 집적된 도시로 4차 산업혁명의 최적지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국내 디자인산업은 소프트파워의 핵심으로써 그 중요성과 역할이 강조된다. 그러나 국내 디자인경쟁력이 세계적 수준인 데에 비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인산업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 및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현황과 수요 전망, 디자인 전문회사의 재교육 실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재교육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와 대전ㆍ충청지역의 디자인 전문회사 현황을 조사ㆍ분석하였다. 또한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수요 전망과 재교육 실태에 대하여 설문을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결과를 종합하여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개선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분야별 수요 및 개선안이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디자인산업의 분야로써 디지털/멀티미디어 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자인인프라(디자인기반기술) 분야의 발전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기존 분야의 산업경쟁력 강화와 디자인 융합 관련분야 발전의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력구조별 수요 및 개선안이다. 대전지역은 초급인력의 확보와 중ㆍ고급인력의 전문화 및 고급화가 필요하며, 영역별, 직급별, 학력별로 분리된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크게 기존 분야의 역량 강화 및 융합적 사고가 가능한 전문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방안과 타분야의 기술이해 중심 교육으로 디자인 주도형 신비즈니스를 창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디자인 신산업 관련 수요 및 개선안이다. 대전지역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신산업 비즈니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분야와의 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디자인 융합전문가의 양성과 디자인 주도형 비즈니스 개발이 중요하다. 넷째, 디자인 재교육 수요 및 개선안이다. 현재 디자인 전문회사의 재교육은 기본 역량 강화에 치우쳐있는 실정이며 중ㆍ고급인력에 대한 재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직급별 재교육이 중요하며, 디자이닝 역량 교육, 창의ㆍ비즈니스 역량 교육, 융합 및 기타 교육에 기본역량과 융합 역량을 직급에 따라 적절하게 배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제도적인 지원이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문인력의 원활한 양성 및 재교육을 위해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융합디자인학과와 전문대학원 설립, 융합학과 및 연계전공을 통한 전공 다변화, 석ㆍ박사과정의 확대,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계약학과의 설치 등, 산업체에서는 사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재교육 전문가 양성 및 활용, 디자이너 교육 지원의 확대 등, 연구소에서는 융합디자인 기술 연구, 3D프린팅 기술 연구, CMF(Color, Material, Finishing) 연구 등, 지자체에서는 디자인산업 육성 및 조례 제정, 전문인력 채용을 통한 체계적 지원, 재교육을 위한 예산 및 인력 지원, RDC(Regional Design Center)를 활용한 전문교육의 실시 등과 같은 산학연관의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향후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실제 적용 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와 활용도에 기여함과, 대전광역시의 디자인파워 증진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의 성공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특성 분석

        오종호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요 약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특성 분석 論文 提出者 吳 鍾 浩 指 導 敎 授 林 允 澤 산업단지는 국가의 산업발전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물적자본이다. 산업단지개발은 제조업 입지의 효과적 공급, 국가전략산업의 집중과 집적이라는 긍정적 효과로 이어져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20년이 넘는 노후 산단은 고부가가치 산업의 부재, 산학연 연계의 취약, 청년 인력 기피, 기반시설의 미비, 산단의 복합화 미흡 그리고 산업의 융복합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경제의 장기적 침체와 고령화 및 생산 인구감소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제조업의 부가가치 감소 그리고 서비스업 비중의 증가 등 사회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산업의 구조적 환경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산업단지도 미래를 향한 첨단 유형으로 변화되어야 할 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입지, 교통, 토지이용 등 유형별 특성과 직주근접, 복합화, 대학연구소 연계 등 산업단지 관련 최근 이슈의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파악하고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도시 도심 인근의 주변에 주거, 문화, 여가 등의 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으로서 접근이 용이한 고속화도로에 인접한 곳에 주로 입지한다. 토지이용 구성에서는 공공시설의 비중이 줄어든 반면, 산업용지, 지원용지 및 복합용지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에서는 첨단산업, 지식산업, 연구개발, 스타트업 등이 주를 이루고, 규모는 대형보다는 중소형 산업단지 위주로 첨단화가 진행되고 있다.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직주근접을 추구하고, 고급인력이 대도시 도심입지를 선호함에 따라 산업단지의 소규모화, 토지이용의 복합화, 수직빌딩형 복합 산업공간화 그리고 대학․연구소와 연계하는 과학 산업단지 등으로 스마트화하고 있다. 캠퍼스 혁신파크는 직주근접, 도심 입지 그리고 복합화 및 대학, 연구소 연계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 미래형 첨단산업단지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시설 측면에서는 버티컬시티가 평면적으로 소규모화하면서 용도 복합적이며, 공유경제와 네트워크의 실현이 가능한 스마트 산업단지의 형태라 볼 수 있다.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개발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는 입체적 복합적 이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조성되며, 산업공간의 버티컬시티화가 요구된다. 둘째,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의 성공을 위하여 캠퍼스 혁신파크를 지역의 선도적 첨단 과학 산업단지 모델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고급두뇌를 지역의 대도시로 유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활복지 측면의 유도책과 혁신적 첨단 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미래는 산업 전반에 기술혁신이 확대되고 동시에 사회혁신을 수반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제도나 산업 환경이 사람(인간) 중심으로 변화하여야 한다. 즉,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가 도시 내 자족공간으로 산업단지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스마트화, 융합화, 첨단화되는 것이 미래형 첨단 산업단지가 추구하여야 할 방향이라 할 수 있다.

      • 반도체장비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직무교육과정 설계와 훈련기자재 구축방안

        최정환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반도체 장비 실무인력의 양성을 위한 직무교육과정 설계와 훈련기자재 구축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첫 번째로, 반도체 장비 산업의 시장 현황과 전망, 반도체 장비 실무 인력의 현황과 양성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기존 직무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반도체 산업 현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을 통해 반도체 장비 직무 요구 사항과 핵심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국가직무표준의 능력단위 정의와 매칭 여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NCS 훈련기준 활용 방안에 따라 능력단위별 훈련기준을 조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인 반도체 장비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직무교육과정 설계와 훈련기자재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반도체 장비 직무의 핵심 역량 습득을 위한 교육 로드맵은 대학과 민간 교육 기관에서 실무형 전문 인력 양성에 활용될 수 있으며, 국가적으로 반도체 장비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판형 연속원심분리기의 미생물 수확효율 증대에 관한 연구

        전형곤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A Disc Type Continuous Centrifuge(DHC Centrifuge) divides substance from the liquid phase through administering centrifugal force to the liquid sample. The force is created by high speed spinning of the central spindle, which causes frictional heat between the spindle and the liquid sample as well as the spindle and the bearing that supports the spindle, resulting in the elevation of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Existing continuous centrifuges cools down the chamber by simply circulating coolant through the external jacket of the centrifuge. However, this method didn’t solve the problem that causes significant damage to liquid samples that are susceptible to temperature such as samples for biotechnological, pharmaceutical, biological applic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oling system that can steadily control the internal temperature while maintaining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of the DHC centrifuge is essential. It is an important task to design and develop a cooling system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and cover lid of the DHC centrifuge. Finally, we suggested the DHC centrifuge with cooling system which can anticipate the stable and effective separation and harvesting of industrial micro organisms in bioindustry. As a result, we can advance not only domestic but global market with this system. Disc type 연속원심분리기(DHC 원심분리기)는 중심의 회전체가 고속으로 회전을 하면서 챔버 내의 유체를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유체에 원심력을 주어 물체를 분리하기 때문에 회전축과 유체 그리고 회전축을 지탱하고 있는 베어링과의 마찰열 때문에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존의 연속원심분리기에서는 외부덮개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시켜서 단순하게 열을 낮추는 방법으로 냉각을 하고 있는데, 열에 약하거나 민감한 미생물(생명공학, 제약, 바이오 분야의 산업용)의 경우에는 수확효율이 낮아지는 큰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미생물 수확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샘플의 온도를 낮추어 투입하는 방안과 DHC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컨트롤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개발, 부착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방법과 저온샘플 투입방법의 수확률 비교실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저온샘플 투입방법의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고 보다 근본적으로 판형 연속원심분리기에 새로운 냉각시스템을 개발, 부착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함으로써 산업용 발효 미생물의 수확효율을 증대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은 국내외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꼭 필요한 기술이므로 이를 토대로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산업단지의 사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민감도 분석

        강종구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During recent decades, national policy on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has changed from 'ordinary industrial complex(OIC)' to 'mixed-use industrial complexI(MIC)'. While OICs aim to provide land for factories or workshops, MICs are composed of industrial and supporting land such as residential, commercial or cultural land use,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ensitivity of each factors of feasibility of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On the cases of OIC and MIC development, sensitivities of discount rate, land purchase cost, construction cost, business duration and disposal rate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all factors put higher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IC than OIC. It is because that MICs are normally have bigger business size and longer business period. Furthermore, the feasibility of MICs are mainly dependent upon the sales conditions of residential or commercial land which are largely rely on the market situation. In case of OICs development, business duration and disposal rate are more sensitive than cost factors such as construction or land purchase cost. On the other hand, case of MICs show that variation of cost factors has much influenced on the total feasibility. It can be inferred that effort to shorten business duration for OICs and to reduce initial costs for MICs are very effective to the feasibility of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 이후 계속된 산업용지의 양적 공급 위주 정책이 최근에는 지역과 입주예정 산업의 특징을 반영한 복합형 산업단지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산업단지와 복합산업단지로 구분되는 산업단지의 유형별로 사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할인율, 보상비, 공사비, 사업기간 그리고 분양율 등의 요인에 변동이 있을 때 사업성이 얼마만큼씩 변화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산업단지와 복합산업단지에 대하여 각각 한 개씩의 사례를 정하여 요인별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분석대상 요인들의 변화에 대하여 복합산업단지에 대한 민감도가 일반산업단지에 비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합산업단지의 경우 개발규모가 크고 사업기간이 길며, 주거·상업용 토지 등 시장상황에 의존하는 사업요인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일반산업단지는 보상비, 공사비 등 비용요인의 영향이 미미한 반면, 분양율이나 사업기간의 변동이 사업성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합산업단지의 경우 할인율 등 비용요인의 변동이 전체사업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상황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를 제외하고는 일반산업단지의 경우에는 사업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노력이, 복합산업단지의 경우에는 보상비와 같은 원가를 절감시키려는 노력이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사업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산업재해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J사 중심으로

        정미숙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안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말로는 안전제일을 내세우지만 실제적으로는 품질이나 생산성 향상을 우선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렇다 보니 일부 현장근로자들은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안전수칙을 위반하면서까지 작업을 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J사의 5년간 산업재해 사례 및 근로자들의 설문조사, 그리고 기존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재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예방대책을 수립,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준고령 근로자들에 대한 세심한 교대근무 배치 및 인력관리가 안전보건관리 측면에서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J기업의 사례를 보면 50세 이상의 준고령인 근로자들의 평균 산업재해가 41.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부여본부의 경우에는 62%를 기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둘째, J사의 산업재해가 타 계절에 비해 봄철에 많이 발생하므로 봄철 안전관리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주된 원인이 춘곤증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봄철 춘곤증 예방을 위한 각종 산업안전보건 활동 및 행사를 실시, 산업재해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내실 있고 다양한 안전교육과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며 안전교육 미이수자에 대한 철저한 재교육과 보호구 미착용자에 대한 벌칙금 부여 등의 제재조치가 요구된다. 또한 작업 중 가장 졸린 시간(13:00~15:00)에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졸린 근로자를 관찰하여 안전캔디를 지급하거나 근로자 스스로가 스트레칭을 하도록 도구 등을 비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개개인의 위험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그 위험요인을 해결해 나가는 위험예지훈련을 생활화해야 한다. 예컨대, 작업현장에서 Tool Box Meeting, 원 포인트 위험예지훈련 등을 실시하는 한편 위험예지훈련 경진대회를 분기 별 1회 정도 개최하여 수상자에 대한 포상 및 인사가점을 주어 근로자들의 안전의식을 고취해 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최고경영자의 ‘안전제일’ 경영방침에 따른 근로자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에 대해 철저히 관리해 나가는 능동적 안전문화 조성이 시급하다. 즉, 위험성평가를 통한 위험요소 개선활동이 필요하다. 현재 3개 본부가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근로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및 직업병 발생 원인을 찾아내고 유해․위험정도를 판단, 개선을 반복하는 노․사 협력적 자율안전보건활동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보건개선제안제도 등을 통한 우수제안 근로자에 대한 포상실시 및 사례발표 등 전사적으로 참여하는 안전프로그램을 기획, 시행함으로서 안전의 중요성을 근로자들에게 심어줄 필요가 있다. The importance of safety can 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most companies assert safety first, but in reality they tend to have placed top priority on quality and productivity. Some field workers work in violation of safety rul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would often have industrial accidents. In this thesis, I suggested appropriate preventive measures by analyzing industrial accident cases occurred for five years of company J and workers' survey, and by reviewing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y are as follows. First, personnel management including meticulous shift work and rotation task for older workers should be made strictly in terms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In case of company J, rate of industrial disaster of older workers who are more than 50, took 41.2% out of total. Especially that of Puyeo Paper Plant has recorded 62%. Therefore radical measures are needed for this. Second, Industrial disasters occurred more in spring than in other seasons, so safety management will have to be enhanced in spring. Therefore, to reduce industrial disaster variou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to prevent spring fatigue are needed. Third, several measures for improvements of safety consciousness are required. A variety of safety training is more important but penalties for those who have not received safety training and for people without protective equipment are required. Also, to increase safety awareness for risks of individual, hazard prediction training such as Tool Box Meeting and One Point Risk hazard training shall be proceded. CEO holds a risk prevention contest and gives a reward and performance rating score to winners to enhance workers' safety awareness consistently. Fourth, according to the chief executive of the 'Safety First' management policy, building of proactive safety culture that the workers themselves handle risk factors is urgent. For this proposal, the company-wide safety and health programs including safety awards and cases presentation are needed to be planned .

      • 전력산업 연구개발에 적합한 품질경영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은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전력산업은 독점적 지위에서 경쟁체제라는 시스템으로 변화를 하면서 품질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과거보다 더욱 높아졌고, 이로 인하여 연구개발에도 품질을 적용토록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전력산업 연구개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벤치마킹, 설문 및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력산업 현장에서 연구개발 산출물을 사용하는 고객들이 운영하는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분석과, 전력산업관련 연구소들과 우수한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인 타 연구기관들도 벤치마킹하였다. 또한, 이 모든 기관들과 일부 전력산업과 관련된 학계에 설문지를 보내 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2002.7.1일부터 시행된 제조물책임법(PL)에 대한 대응방안을 전력산업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고객과 연구종사자들이 공히 필요로 하는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은 ISO에서 요구하는 요구사항들과 유사하게 "품질경영시스템", "경영책임", "자원관리", "제품실현", "측정, 분석 및 개선" 항목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였다. 그러나, 연구업무는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와 같이 연구 성격이 다양하여 이를 ISO에 따라서 수행하라고 요구하기가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아 ISO의 요건을 연구업무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요건을 "품질경영시스템", "연구책임", "자원관리", "연구개발", "측정, 분석 및 계선" 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성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품질관리를 할 수 있도록 품질경영플랜이라는 양식을 활용하도록 제시하여 모든 전력산업 연구개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산업 연구개발에 적합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electricity industry recently changing from monopoly to competitive system, the view points of customer in electricity industry has become different from the past paradigm, which requires quality assurance to apply into R&D projects. Accordingly, it was peformed to suggest the plan establishment fo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rough case benchmarking, questionnaire, document analysis such as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 site which is the user of R&D results and electricity R&D institutes reports and the like. In order to cope with PL(Product Liability), the standpoint of electricity industry was considered as well. It is concluded that requirements on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customers and researchers are similar to those of ISO statements which are management responsibility,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It is, however, not appropriate that R&D should be peformed by the ISO requirements since, R&D is not standardized items meaning it is dealing with various fields such as basic, applicati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rojects. Hence, it is suggested that ISO requirements would be modified to R&D projects, which is compatible to electricity industry R&D projects.

      • 중대재해처벌법이 소규모 정보통신공사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최희진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산업재해는 개인의 노력과 의지만으로 예방할 수 없다.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되었지만, 산업재해는 많이 감소하지 않고 있다. 여전히 산업현장에서는 많은 노동자가 크고 작은 위험에 노출되어 다치거나 장애를 입거나 사망하는 사고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책임의 주체를 분명히 하고 그 의무위반에 대하여 형벌을 가중하는 내용의 ⌈중대재해처벌법 등에 관한 법률⌋, 일명 중대재해처벌법(이하‘중처법’이라 함)을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법은 사업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기관장들의 처벌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단, 상시근로자수 5~50인 미만, 건설 공사비 50억 미만 기업은 3년간 유예하여 2024년 1월부터 적용받게 된다. 이 법의 특징은 근로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의 안전권도 확보하고자 현장에서 일어나는 산업재해는 물론 여러 기관이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까지도 포함시킨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처법 시행이 3년간 유예되는 소규모 정보통신공사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중처법 대비 상황을 파악해 보고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합의된 의견을 도출하는 델파이 분석을 통해 중처법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출된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측면에서는 무엇보다도 최고경영자 또는 사업주의 적극적인 안전의식 고취와 안전보건 확보의무 등 책임 및 법령에 관한 이해를 통해 필요한 안전관리 시스템구축 및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업의 최고경영자나 사업주의 의무적인 안전교육 참여, 대응 매뉴얼 제작 및 시행 교육, 안전 관련 장비 보유 확대 및 작업 환경 개선에 힘써야 한다. 또한 안전관리 및 정보통신기술 관련 전문가 양성을 통해 안전을 기반으로 하는 작업설계 및 관리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근로자 측면에서는 지속적인 안전 관련 교육과 함께 행복한 직장생활이 이루어지도록 여러 가지 건강 및 급여 등 복지개선과 사내 분위기 조성에 힘쓸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근로자들이 안전장비 착용이나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작업 매뉴얼 및 지시서에 따라 작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 측면에서는 중처법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소규모 기업을 위해 안전관리 시스템구축에 따른 재정적 지원과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위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 시스템을 보다 전문화하여야 하고 산업별 세분화하여 교육의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기존의 중처법 관련 홈페이지를 수정 보완하여 기업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는 플랫폼 구축도 필요하다. 이렇듯 기업과 정부와 근로자는 중대재해예방을 위해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후 같은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예방하여야 한다.

      • 대덕산업단지 관련 이해집단간 악취오염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박정규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전지역 산업단지의 경우 많은 환경개선 노력의 결과로 악취, 대기질 및 수질, 생태환경 등의 오염도가 과거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으나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의 환경문제 중 악취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대덕산업단지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기존 지역주민들과 신규 전입 지역주민, 공무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악취에 대한 체감도(Feeling thermometer)와 개선정도(Improve journey),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여야 하는 방법 등을 조사하여 이해 집단간 악취오염 인식차이를 비교하여 악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은 목상동지역과 석봉동지역주민 모두 대부분 불만족하고 있었고, 산업단지 환경피해 중 가장 큰 원인을 악취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석봉동지역의 경우 소음·진동 피해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악취 강도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심하고 견디기 어려운 정도 또는 매우 심하고 견디기 어려운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당초 예상과 달리 신규전입세대인 석봉동 지역에 비해 원주민인 목상동 지역이 상대적으로 악취 강도를 심하게 느끼고 있었다. 또한 하루 중 악취가 주로 감지되는 시기는 새벽 시간이 가장 심하다고 인식하였다. 행정기관의 대덕산업단지 환경관리 행정에 대한 인식의 경우 지역주민의 경우 잘 안 되고 있다고 인식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공무원과 전문가의 경우 잘 되고 있다고 인식하여 이해 집단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과거에 비하여 대덕산업단지 환경오염 개선정도에 대한 인식의 경우 지역주민은 개선되지 않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공무원과 전문가의 경우 평균적으로 많이 개선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대덕산업단지 환경오염 현황 및 저감시책에 대한 인식도 지역주민과 공무원, 전문가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고 지역주민들은 환경오염 현황 및 저감시책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산업폐수 슬러지 유중 건조 실험 연구

        신호현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산업 하․폐수 슬러지 유중건조 및 실험 연구 논문제출자 신 호 현 지 도 교 수 엄 태 인 본 연구에서는 하․폐수슬러지의 발생량 증가와 유기성 슬러지의 직매립 금지, 런던협약에 의한 2012년부터 하수처리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국내 하․폐수종말처리장의 증설과 함께 각종 사업장(타이어제조시설-2개 사업장) 폐수처리시설에서 다양하게 배출되는 하․폐수슬러지의 적정처리 및 재이용을 위한 튀김 증발건조방식의 일종인 유중증발 건조기술을 이용하여 폐수슬러지를 처리한 후 건조 전후의 공업분석, 원소분석, 중금속분석, 발열량 측정을 하고 반응 시간, 반응온도와 같은 건조조건에 따른 슬러지의 함수율 변화를 측정하여 각 조건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유중증발 건조기술에 의한 폐수슬러지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처리 방법을 고찰하여 슬러지를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유중건조실험은 건조장치에 정제유 1L에 폐수슬러지를 각각 50g, 75g, 100g을 투입하고 반응온도는 130℃, 140℃, 150℃, 160℃의 변화를 주었으며, 또한 반응시간은 6분, 8분, 10분, 12분의 변화를 주었다. 건조시간과 건조온도의 최적의 조건에서 유중건조 된 슬러지를 공업분석, 원소분석, 중금속분석, 용융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중건조 기술로 각 산업단지의 폐수슬러지를 건조시킬 때 최적의 조건은 건조온도 150℃에서 건조시간 1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함수율은 KS-산업단지 1.4wt.%, MS-공업단지 1.3wt.%로 산업단지별 함수율은 전체적으로 2wt.%이하로 건조가 잘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유중건조 전 저위발열량은 함수율이 높고 고정탄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KS-산업단지 270kcal/kg, MS-공업단지 1,130kcal/kg로 나타났고, 유중건조 후 저위발열량은 KS-산업단지 6,250kcal/kg, MS-공업단지 6,490kcal/kg로 나타났다. 발열량의 증가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대부분 증발하면서 가열 기름 일부가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3. 유중건조 후 탄소(C)성분은 KS-산업단지 55.44wt.%, MS-공업단지 55.80wt.%를 나타내었고, 수소(H)성분은 KS-산업단지 9.21wt.%, MS-공업단지 9.96wt.%로 유중 건조 전 보다 높은 함량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와 같이 탄수소의 함량이 높은 발열량을 나타낸다. 4. 유중건조 후 중금속을 분석한 항목은 HCN, Hg, Cd, Cr, Pb, As, Cu이다. 2종의 산업단지 폐수슬러지 전부 As를 제외(단, KS-산업단지0.007mg/L)한 6개 중금속이 분석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