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공감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경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공감능력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공감능력,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성찰의 하위요인인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가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단순성, 위험추구성, 신체활동성, 자기중심성, 분노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공감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N인문계고등학교 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공감능력,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 공감능력,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자기성찰의 하위요인인 타인이해, 자기이해, 타인탐색이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중심성과 위험추구성이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공감능력, 자기성찰은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고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에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정서조절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는 학생 스스로가 자기성찰을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그들의 자기성찰력을 키우는 쪽으로 관심을 기울이며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적 여건을 만들어 실제로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용하는 등의 실천적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그림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상담이 외상 경험 여성의 불안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조연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rospective counseling on anxiety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on women with painful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married woman in her early 40s who lived in H. The research period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4, 2018 to November 20, 2018, 120 minutes per session per week for introspective counseling using pictures. In the course of the counseling, for you will be able to develop a clear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yourself and achieve self-completion that helps balance and harmony in y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helping to stabilize and adapt to your psychological and emotions, including self-discovery, others-understanding,others-discovery,and self-understanding components of introspection, the focus was on the change of self perception, the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change of clear and positive philosophy about life, and the direction in which post-traumatic growth could be achieved. The research evaluation metho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xiety diagnosis and post-traumatic growth scale test through the pre-post and post-traumatic growth test, and qualitatively analyzed how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chang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drawings, feelings, major counseling contents recorded with prior consent, and the survey results of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core points, the post- score,the subsequent score decreased from 27 points to 8 and 6 points, indicating normal anxiety condition, so introspective counseling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anxiety symptoms in women with traumatic experience, whi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test increased from 40 points to 84 points and 96 points for post-traumatic experience counseling to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dition, a comrade who was anxious and distressed to meet someone could see positive changes in post-traumatic growth: change in self-awareness,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ange in philosophy of life and value change.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that introspective counseling using pictures i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in women with trauma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urther research will also require follow-up studies on how introspective counseling using pictures can have an effect on other perceptions, emotions and behaviors besides trauma experience women's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본 연구는 어린 시절 고통스러운 심리적 외상 경험이 있는 여성에게 그림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상담이 불안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H시에 거주하고 있는 40대 초반 외상 경험이 있는 기혼 여성 A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8년 9월 4일부터 2018년 11월 20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120분씩 10회기로 그림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상담을 진행하였다. 상담 과정에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이해를 증진하고 심리적·정서적 안정 및 적응을 도와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균형과 조화에 도움을 주는 자기완성에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자기탐색, 타인이해, 타인 탐색, 자기이해의 자기성찰 구성요인을 포함하여 자기 지각의 변화, 대인 관계에서의 변화, 삶에 대한 선명하고 긍정적인 철학의 변화로 외상 후 성장을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 평가 방법은 불안진단 척도검사와 외상 후 성장 척도검사를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통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매 회기마다 나눈 그림, 느낌, 사전 동의를 얻어 녹음한 주요 상담 내용, 프로그램 종료 후 쓴 소감문 등과 본 연구자의 관찰 기록 내용을 바탕으로 어떻게 불안과 외상 후 성장 변화를 보였는지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불안 척도에서는 심한 불안 상태를 나타내는 사전 점수 27점에서 사후․추후 점수가 8점, 6점으로 감소하여, 자기 성찰적 상담이 외상 경험 여성의 불안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외상 후 성장 척도 검사에서는 사전 점수 40점에서 사후․추후 점수가 84점, 96점으로 증가하여 자기 성찰적 상담이 외상 경험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또한 누군가와의 만남도 불안해하고 힘겨워했던 내담자는 상담의 회기 고찰을 통한 비교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의 긍정적인 변화 즉,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 관계의 변화, 삶에 대한 철학․가치관 변화의 긍정적인 성장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그림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상담이 외상 경험 여성의 불안 감소와 외상 후 성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그림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상담이 외상 경험 여성의 불안과 외상 후 성장 외의 다른 인지, 정서, 행동에도 어떠한 효과를 줄 수 있는지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성찰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오은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lution Focused Self-Reflection Program for youth that aimed to improve the self-reflection and the resilience of the youth participant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solution focused self-reflection program developed by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Youth Counseling Institute, 2012). The hypotheses that were set up were as following. First, the program will improve the level of self-reflection of the youth participants. Second, the will improve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e youth participants. Of 11th grade students in Y high school in Gyeonggi-do, 17 youth who applied for the program voluntaril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 comparison group was also assigned.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every week for about 100 minutes each, over a total of 8 sessions. Comparison group pre-post test research design model was chosen. To measure the levels of self-reflection and resilience the Self-reflection measurement developed by Hwang Yuyeun(2011) and the YKRQ developed by Sin WooYeul, Kom MinGue, Kim JuHwan(2009) were used. The sub-areas of self-reflection were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self-exploration, other-understanding. The lower areas of resilience were controlling, sociability, and positiveness.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In order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Cronbach’s α was used.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verall, the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vels of self-reflection and resilience of the youth participan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previous research that the solution focused self-reflection program can enhance the self-reflection.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 자기성찰편지가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기성찰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Y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 중에서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신청한 20명을 실험집단에 배정하였다. 전체 8부로 구성된 내용을 2주 동안, 매 100분간 총 8회기에 걸쳐 운영하였고, 연구도구는 정문자, 송성자, 이영분, 김유순, 김은영 공저의 해결중심단기치료(2012)와 중·고등학생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학지사, 2013)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은 사전사후검사 비교집단설계를 택하였고, 실험에 사용한 검사 도구는 황주연(2011)이 개발한 자기성찰 척도 검사와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한 청소년 회복탄력성 척도(YKRQ-27)를 사용하였다. 자기성찰척도는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의 4개 하위요소로 구성된 역채점이 없는 총 20문항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회복탄력성척도는 원인분석력,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 관계성, 커뮤니케이션능력, 공감능력의 아홉 가지 요인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된 총 27문항(역채점 문항: 9, 10, 12, 19, 20, 21번)이다.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개념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 α를 이용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른 변인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 자기성찰과 회복탄력성 변화 척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의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 및 자기성찰 척도 전체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청소년의 자기성찰 정도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자발적으로 참여한 집단이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기성찰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는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이 낮은 자기성찰 정도를 가지고 있었던 청소년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실험집단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감정통제력과 감사하기 및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음에도 원인분석력, 충동억제력, 낙관성, 관계성, 커뮤니케이션, 공감능력 및 회복탄력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회복탄력성 사후검사 실험집단 비교집단 비교에서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회복탄력성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이전에 회복탄력성 점수가 낮은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있었던 청소년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본 실험에서 해결중심 자기성찰 프로그램은 자기성찰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효용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의의로는 자기성찰이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를 통해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고, 원인분석력,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 관계성, 커뮤니케이션능력, 공감능력 및 전체 회복탄력성의 향상을 보여준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자기성찰이 어려움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응적 상태로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인 ‘회복’과 정신적 저항력의 향상, 즉 성장을 나타내는 개념인 ‘탄력성’을 합친 ‘회복탄력성’(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을 향상시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정신적으로 성숙해 가는 역동적인 발달 과정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 자기성찰 척도개발 및 자기관과 자기성찰, 안녕감간의 경로모형 검증

        황주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개인이 가진 자기관의 특성을 바탕으로 자기성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또한 자기영역 성찰과 관계영역 성찰의 수준에 따른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했고, 자기관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델링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자기성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자기성찰 척도는 자기자각,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자각, 타인탐색, 타인이해의 6요인으로 구성되었고, 59문항의 예비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자기 요인(자기자각, 타인자각)이 탐색 요인(자기탐색, 타인탐색)과 혼재되어 변별이 안되었다. 자각의 요인을 제외한 4요인(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한 결과 4개 요인을 추출했다. 4개 요인은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로 확인되었고, 척도의 문항 수는 각 요인당 5문항, 총 20개로 확정하였다. 최종문항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구조는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냈다. 또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렴, 변별, 공변타당도를 검증하여 본 척도가 자기성찰을 측정하는데 타당한 척도임을 밝혔다. 연구 2에서는 자기성찰을 자기영역 성찰과 관계영역 성찰로 나눈 후 각 영역 성찰의 수준(고집단, 저집단)에 따라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자기영역 성찰보다는 관계영역 성찰 수준이 높을수록 안녕감 수준은 높았다. 한편, 자기관과 안녕감의 관계에 자기성찰(자기영역 성찰, 관계영역 성찰)이 매개하는 과정을 구조방정식 모델링 방법을 통하여 분석했다. 모델검증과정은 자기관(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 자기영역 성찰, 관계영역 성찰, 안녕감간의 관계양상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3개의 모델을 제시하고, 모델간 적합도 비교 등의 경쟁을 통해 그 중 가장 적합한 최종모델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독립적 자기관은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자기영역 성찰과 관계영역 성찰을 차례로 거쳐 안녕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상호의존적 자기관은 관계영역 성찰을 매개로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의 유의미성이나 크기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최종모델은 자기관과 안녕감간에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적합한 모델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자기성찰, 자기영역 성찰, 관계영역 성찰, 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 안녕감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scale for self-reflection based on theoretical view and features of self-construal that individuals have. In addition, it analyzed differences depending upon well-being of personal reflection and relational reflection and examin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trual and well-being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1 developed a self-reflection scale and validated i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y preliminary 59 items comprised of 6 factors such as self-awareness,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other-awareness ,other-exploration and other-understanding. The analysis found that the factors of the self-awareness and the other-awareness are mixed with the exploration factors(self-exploration, other-exploration) not to be differentia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four factors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self-exploration, other-understanding) excluding the awareness factors extracted four factors such as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other-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e scale has been decided to have 5 items for each factor to total 20 item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confirmed questions showed that the four factor structure fit the model. Furthermore,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scale,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incremental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conducted, which confirmed that the scale has a validity to measure a self-reflection. Study2 divided self-reflection into personal reflection and relational reflection to analyze differences in well-being in accordance with levels of each area in reflection(High group, low group). It found that well-being shows higher level when relational reflection level is higher rather than personal reflection. Structural equating model was used to analyze how self-reflection(personal reflection and relational reflection) is working between self-construal and well-being. The model verification process suggested three models that can clearly explain relational pattern among self-construal(independent self-constru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ersonal reflection, relational reflection and well-being and the final model which is the most appropriate has been selected through competitions such as goodness of fit comparison among models. It was found that independent self-construal directly affects well-being or it reaches well-being after going through personal reflection and then relational reflection. However, in case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onal construal mediates to reach well-being. In consideration of significance and size of path coefficient and others, the final model has been verified the most appropriate to explain mediated effect between self-construal and well-being. Last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research, follow-up research suggestion were discussed Key Words: self-reflection, personal reflection, relational reflection, independent self-constru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ell-being,

      • 중학생용 자기성찰 척도 개발

        김흥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elf-Reflection Scale(SRS), wich measured the degree of the self reflec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a rating process by experts yielded 75items from previous studies and measuring instruments. Then 34 item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seven hundred thirty seve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flection Scale(SRS) with 34 items related to the contents about self-Reflection was developed. To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737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4-week test-retest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116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 .924), split-half reliability(r = .839), and test-retest reliability(r = .925). Therefore, the consistency of the scale was satisfactory. second, the five factors to the scale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five factors were consisted of 'awareness of maum(心)(10 items)', 'shame(9 items)', 'self examination(5 items)', 'solemn mind and calm oneself in daily life(6 items)', 'self improvement(4 items)'. The factor structure well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the Self-Reflection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현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중 제4단계인 근면성 대 열등감 단계를 완성하고 제5단계인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돈의 시기로 나아가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중 자신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거나 교사와 또래 아동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아동에게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의 한 영역인 자기성찰지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이 아동의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경기도 군포시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남 12명, 여 16명 모두 28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선정하기 위해 6학년 4개 학급 118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한 후 자아존중감과 학습태도의 채점 점수가 낮은 아동 하위 분포 50명 중에서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 14명을 실험집단에 배치하고, 채점 결과 점수가 실험집단과 비슷하나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지 않는 아동 14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서만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를 받았고, 통제집단은 담임교사의 협조아래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사전-사후 검사와 권오정(2007)이 개발한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주 1~2회, 40분씩 12회기로 재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하고 전규혁(1999)이 수정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지』 40문항과 권낙원(1985)이 개발한 『학습태도 검사지』25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2.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학습태도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각각의 결과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후 t검증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이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일반적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태도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학습태도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태도의 하위영역이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하위요인 중 학교공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교우관계, 교사관계에 있어서는 사후검사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핵심어 : 자아존중감, 학습태도,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on 6th graders elementary student's Self Esteem and Learning Attitude. To achieve this, this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1) Is an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6th graders elementary student's Self Esteem? (2) Is an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6th graders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attitude?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subjects of study, 28 students with low pretest scores from 118 students of four classes in the sixth year of a school located in Gunpo,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final study subjects. 14 students were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14 to a control group.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by Kweon O Jeong(2007)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period of 40minutes, once or twice in a week, 12times in all, but only a pre-test and post-test to the control group. As an examination and measurement tool, a self-esteem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Coopersmith(1967), revised by Jeon Gyu hyeok(1999), and that of learning attitude by kweon nak won(1985) were used. Two tests (self esteem and learning attitude) were administered for the pretest and post test.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btained from these tests were analyzed with factorial covariance t-test using SPSS Window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increased meaningfulness and sense of self-esteem between on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was applied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the program was not applied. Secondly,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more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in general esteem, but not in social esteem, scholastic esteem, domestic esteem. Thirdly, there was an improvement of learning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was applied compared to a control group to which the it was not. It showed that the result of t-test , which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s a meaningful comparison. Finally,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more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in learning relationship, but not in company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s the above results show, an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6th graders elementary student's Self Esteem and Learning Attitude. key word: self esteem, learning attitude,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성찰 :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홍희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인간의 출생과 죽음에서 제일 처음과 마지막까지 만나는 사람이 간호사다. 2018년 2월 연명의료 결정법의 시행으로 연명치료를 거부한 환자들이 늘어나면서 임종기의 시간이 연장되고 또한 의료기관을 사망 장소로 많이 이용하면서 간호사들이 임종간호를 하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들이 임종을 위해 임재 해 있는 공간에 따라 간호사들은 다른 임종경험을 하게 되며 이러한 죽음에 대한 대처로 자기성찰을 한다. 이는 한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삶의 의미와 간호사로서의 간호에 대한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성찰을 이해하고, 그 속에 내재된 본질적 주제와 의미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여 시도되었다. 지금까지 근무부서에 따른 임종 경험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좀 더 깊은 내면을 들여다보는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일반병동에서 죽음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성찰에 관한 체험과 본질에 대한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자의 임종을 경험한 후 어떠한 자기성찰을 하게 되었나요?”라는 연구 질문으로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목적적 표집 방법을 통해 서울시 소재 상급 의료기관의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3년 이상, 최근 3년 이내에 임종경험이 있는 간호사 2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5월 20일부터 2020년 8월 20일까지였으며 코로나 사회적 방역 지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면 대면으로 인터뷰와 관찰이 이루어졌다. 추가적인 부분에 대한 내용은 최소한의 만남을 위해 전화 상담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현상과 관련된 개인의 경험을 기술하고 그와 관련된 어원, 관용어구, 문학과 예술작품을 찾아 실존적 탐구를 하였다. 연구자는 개방적이고 반 구조화된 질문으로 시작해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면담 내용을 녹취하였고 필사 후 세분법, 선택적 방법, 전체론적 방법을 사용하여 필사본을 여러 차례 읽었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을 통하여 주제 분석을 하고 마지막으로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결과 4가지 실존체에 대한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2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신체성에 관한 주제는 죽음을 맞이한 환자들의 신체에 관한 성찰로 ‘되돌릴 수 없는 몸에 대해 가여움을 느낌‘, ’편안한 임종이 되기를 바람‘으로 드러났다. 시간성에 관한 주제는 신규 간호사 시절과 현재 경력 간호사가 되어 맞이한 죽음에 관한 성찰로 ‘신규 간호사의 죽음과의 불편한 만남’, ‘죽음에 무뎌지는 경력 간호사가 됨’ 으로 드러났다. 공간성에 대한 주제는 병원이라는 공간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성찰로 ’병원공간의 양면성‘, ’타자에 의해 결정되는 마지막 임종장소’로 드러났다. 관계성에 대한 주제는 환자와 보호자와의 관계, 나 자신과의 관계, 그리고 간호 조직에서의 관계에 대한 성찰로 ‘죽기 전에 만나는 마지막 사람: 간호사’, “감정이입으로 함께 됨‘, ‘나의 좋은 죽음에 대해 계획함‘, ’성숙과 성장의 기회가 됨‘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생생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여 이를 통해 임종환자를 돌보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고 체험의 본질을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임종실의 설치, 임종 전담 간호사의 활용, 학부에서 임종 간호에 대한 교육과 실습의 강화, 한국 실정에 맞는 임상 현장에서의 체계화된 임종간호 교육, 지역 사회 내 호스피스의 가정 연계, 학부 내 인문학 소양 과목 개설 등의 정책적, 학문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성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 실정에 맞는 임종환자의 간호중재 개발과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임종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 자기성찰, 자기효능감, 학업성적간의 관계

        정영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적이 나쁜 학생, 중퇴자, 가정환경이 안 좋은 학생, 낙제자들이 동기가 잘못되어 있고 공부에 대한 열정이 없는 이유 그리고 학교에서의 기본과목의 성적이 나쁜 이유는 사실상 부분적으로는 그들이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정적 환경들을 극복하거나 오히려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전환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음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자기의 내면을 바라보며 검토해 보는 자기성찰은 문제와 사건을 객관적으로 보게 하고 모든 가능한 관점을 고려하여 부정적 정서에 압도되지 않도록 하므로 자기성찰을 잘 할 수 있다면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적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찰 및 그 하위요인인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 중 어느 하위요인이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 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 선호의 어떤 요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학업성적을 바탕으로 알아보는데 있다. 측정도구는 자기성찰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2가지이고 이 연구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통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구했고, 자기성찰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이 각각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들이 학업성적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또, 자기성찰의 어떤 하위요인이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기성찰이 잘되는 학생일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성적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자기성찰이 잘되는 학생일수록 학업성적이 좋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성찰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개인에게 주어진 부정적 환경 속에서도 이를 극복하거나 오히려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전환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성찰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송주영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성찰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 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성찰지능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향 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 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에 의해 실험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대상은 제주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6학년 중에서 2 개 반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여자 13명 남자 14명 총 27명이고, 통제집단 도 여자 13명 남자 14명 총 27명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자기성찰지능과 심리적 안녕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 단은 2달 동안 총 10회기의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 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 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이 사용되었고 유의도 수준은 .05로 정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따른 양적 결과가 지닌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가 관찰 및 소감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기성찰지능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으며, 자기성찰지능의 하위요인인 능 력 및 정서인식, 정서 활용, 판단력, 충동억제, 목표 설정, 성취동기화도 모두 유 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다. 둘째,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인 자아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도 모 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교과기반 자기성찰학습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성찰지 능 및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초등학생들의 자기성찰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교 과와는 상관없이 별도의 프로그램을 적용했던 것과 달리 학생들의 교과 학습 내 에서 자기성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교과기반 자기성찰 프로 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how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ment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hieve this goal,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Question 1. Will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positive influenc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apersonal intelligence? Question 2. Will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positive influenc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o verify the questions abov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is two classes of 6th grade students at D elementary school in Jejusi. 27 children (13 females and 14 males) were pla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other 27 children (13 females and 14 males) were place in the control group. A pre-test measuring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arried out total 10 times was executed for 2 months. Contrastively, the control group had no application of the main program.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given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In verifying the effect of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quantitative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The statistical method verify the hypothesis was used Mixed ANOVA, which was determined with .05 of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er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its sub-factors, Recognition of potential and emotion, Practically using ability of emotion, Decision ability, Impulse control, Establishment about the aim, and Consistency for success.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sub-factors, Self 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The results above that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isting studies on introspe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sed separate program regardless text. In contrast, this study used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so introspection conducted in curriculum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eek for applicability of Text-based Self-reflectiv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