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지행동치료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조은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인지행동 집단 프로그램을 우울과 자살생각을 갖고 있는 청소년에게 적용해 보았을 때 인지행동치료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우울과 자살생각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에 따라 첫째,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에 참석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우울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우울보다 낮아질 것이다. 둘째,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살생각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자살생각보다 감소할 것이다. 셋째, 우울과 자살생각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원주W고등학교 학생 853명을 대상으로 우울증검사(K-BDI)를 실시하였고 그 중 우울수준이 16≦N≦23에 속하는 학생 153명을 추출하였다. 다시 이들을 대상으로 Reynolds-자살생각검사를 실시하여 자살생각의 수준이 77≦N≦90에 속하는 학생 62명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6명씩 무선 할당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형 우울증 검사(K-BDI)와 30문항으로 구성된 Reynolds-자살생각검사(SIQ-Reynolds)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들은 각각 Cronbach-α계수가 .85(본 연구 .888)와 .968(본 연구 .936)로 나타났다. 실험 집단은 주당 2시간씩 11회기에 걸쳐 수업시간을 이용하여 상담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실험처치를 하기 전 사전검사와 하고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 없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사전검사 점수를 가지고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t-검증)을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사전, 사후검사에서 얻어진 점수를 공변량 분석을 하여 인지행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우울과 자살생각수준과의 관계는 상관분석(.558)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집단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우울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집단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우울과 자살생각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가져오는 부정적인 세계관을 긍정적인 세계관으로 바꾸어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학교 안에서의 상담활동 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학생들의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적응적인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Aim of the study are to test how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effects the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Hypotheses exam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ould be less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Second, the suicidal thinking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ould be less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Third, there would b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he suicidal thinking. The depression test(K-DBI) was administered for 853 students of W high school in Wonju and 153 students who indicates the 16≦N≦23 level of depression were selected. And then, Reynolds-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or these 153 students and 62 students who indicates the 77≦N≦90 level of suicidal thinking were selected among them. Finally 16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21 item Korea-Back depression inventory(K-BDI) and 30 item Reynolds-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efficient of Cronbach' is .85(.888 in this research) and .968(.936 in this research).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as performed to the experiment group for 2 hours every week and lasted for 11 weeks at counselor's office in the school. Pre- and post-test were administered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test was used to test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nd ANCOVA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 of depression and the level of suicidal think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in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in decreasing the suicidal think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thinking. Al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omoting adolescents' adaptations to their lifes.

      •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환자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효과

        정명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중간단계의 치료적 접근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 양가성(兩價性)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지원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調鉉病) 환자에게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프로그램은 문학치료의 이야기하기, 창의적 글쓰기, 시쓰기, 삶 쓰기, 드라마 등의 문학치료과정과 인지행동치료의 자기 인식, 타인 인식, 감정표현, 행동수정, 상호작용 촉진 등의 기법을 접목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언어를 찾아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하여 증상에서 오는 사고, 감정, 행동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되고 편안한 마음으로 자신의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프로그램의 주요목적이 적용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00병원 부설 정신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조현병 환자로 그중 텍스트 읽기와 글쓰기가 가능한 남 · 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인원은 총 22명이었으며, 전체 24회기 중 12회기 이상 참석한 참여자로 참여도가 높은 10명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에 대한 변화 분석과 척도를 통한 분석으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2012년 12월부터 주 1회씩 24회 진행하였으며 매 회기는 80분으로 진행하였다.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환자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프로그램 사전, 사후, 추후에 심리적 안녕감 척도와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설계한 연구 설계 방법은 준실험 설계 내에 포함된 피험자 내 설계(within-subject desig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 첫째,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모든 하위요소에서 추후까지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둘째,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들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되고 있었으며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정서표현의 변화에 있어서 양가적인 표현이 줄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소인 개인적 성장 및 자아수용,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등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조현병 환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효과성을 높이고 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이 필요하며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감소는 물론 증상 재발을 예방하여 사회복귀에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핵심 용어 : 인지행동치료, 문학치료, 조현병, 심리적 안녕감, 정서표현 양가성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literature therapy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e mentally disabled as a middle-stage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m. In the study, a cognitive-behavioral literature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for schizophrenia patients attending facilities which supported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program used here was consisted of literature therapy processes, including storytelling, creating writing, writing poetry, writing on life and drama which belong to literature therapy, and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expressing emotions, modifying behaviors and facilitating interactions which belong to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hrough this therapy progra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upposed to become able to find their own language and then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therapy program mainly aimed at leading schizophrenia patients to overcome difficulties caused by their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affected by their disease and to prepare for their future in a stabilized and relaxed mental stat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male and female schizophrenia patients attending a facility which was affiliated with 00 Hospital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supported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subjects were able to read texts and do writings. A total of 22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consisted of 24 sessions. Of the participants, 10 patients who had attended more than 12 sessions were subjected to an analysis of change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n analysis through scal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mposed of 24 sessions, which were held once a week from December 2012. Each session lasted for 80 minutes. In order to found out the effects of the cognitive-behavioral literature therapy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schizophrenia patients, a scale assess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scale assess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 design method used here is the within-subject design included in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behavioral literature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effect lasted in all the sub-factors until later 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schizophrenia patients decreased over time, and the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sub-fa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enhanced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creased their ambivalent expressions with regard to chang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Furthermore, positive changes were detected also in the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individual growth and self acceptance, purpose in lif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 and autonomy. 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literature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in reducing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gnitive-behavioral literature therapy program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in order to raise and maintain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enhance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chizophrenia patients and decrease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also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ir returning to normal social life by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their symptoms of the disease. Key word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literature therapy, schizophrenia, psychological well-be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

        김진주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로 보호관찰소 주요 처분 이상 비행청소년대상 6명을 선정하여 총 12회기에 걸쳐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살펴보면, 1단계는 친밀 감형성 및 자기탐색, 2단계는 역기능적 인지행동 탐색, 3단계는 역기능적 인 지행동 교정, 4단계는 교정된 인지행동 유지를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여 독립 변인을 미술매체 활용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종속 변인을 Novaco 분노측정검사로 설정하여 실험 후 측정도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그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 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의 분노상황 에서의 분노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분노 하위 영역별 결과를 요약하면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 그램은 비행청소년의 분노 하위 각성, 행동영역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 다. 반면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의 분노 하 위 인지영역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면, 미술매체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비 행청소년의 분노와 하위 영역 중 분노 각성영역, 분노 행동영역을 감소시키 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을 통해 비행청소년의 갈 등과 분노상황 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여 적절한 분노와 감정표현으로 긍 정적 행동을 이끌어내고 부정적 행동과 분노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강은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난임 여성을 선별하여 예비 실시한 후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난임 여성의 개인 내적 특성(비합리적 부모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 우울, 불안)과 관계적 특성(결혼 만족도),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사고 및 신념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녀를 출산한 적이 없고, 1회 이상 보조생식술을 경험한 난임 여성으로 선정하였다. 우울(BDI)점수 13점 이상과, 불안(SAI)점수 50점 이상에 중복 해당되며 시험관 아기 시술을 준비하고 있는 24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매주 1회 120분씩 10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 각 척도별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난임 여성들의 난임 사고 및 신념의 변화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회기 내 진행했던 활동 결과물과 녹음 등에서 추출한 내용을 토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집단은 난임 여성의 개인 내적인 특성인 비합리적 부모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 우울, 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집단은 난임 여성의 관계적 특성인 결혼 만족도 전체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되었으나 결혼 만족도 하위 요인에서 부부의 사회적·심리적 동질감 등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집단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사고 및 신념의 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난임 관련 부적응적 사고 및 신념이 적응적이고 대안적인 사고와 신념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난임과 관련된 자신의 자동적 사고와 신념을 찾고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등 다양한 인지적 재구성 활동을 통해 실험집단 난임 여성들의 비합리적 부모 신념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난임 상황을 재해석하는 등의 적극적인 인지적 재구성이 치료적 효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프로그램에서 부적응적인 사고와 신념을 재구성하고, 지속적인 이완 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우울과 불안이 감소되었으며, 이와 함께 문제 해결 훈련을 통해 난임 관련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작업이 결혼 만족도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를 통해 난임 여성들이 경험하는 특성들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의 내용을 이해하여 이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은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시험관 아기 시술에 실패하고 다음 시술을 준비하는 난임 여성들로, 우울과 불안이 가장 많이 보고되는 단계에 있는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인지, 정서, 관계, 삶의 질을 모두 다루는 포괄적인 프로그램 구성을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난임 여성의 개인적 측면(인지, 정서), 관계적 측면(결혼 만족도),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양적 분석뿐 아니라 난임 관련 사고와 신념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실시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들이 난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난임 여성, 인지행동치료, 비합리적 부모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 우울, 상태불안, 결혼 만족도, 난임 관련 삶의 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infertile women's psychosocial adaptation and to prove its positive effect. For this purpose, the need for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first, and from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cater to the need. The final program was constructed after a pilot trial with a group of women suffering from infertility. This study examined changes of internal factors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automatic negative thoughts, depression, and anxiety), relational facto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infertility. This study also attends to the changes of thoughts and beliefs related to infertility as the women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lecte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infertile women who had never given birth to a child and experience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at least once. Twenty-four participants preparing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with a score over thirteen in depression (BDI) and fifty in anxiety (SAI)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Twelve women in the therapy group attended a weekly 120-minute CBT session for ten week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tested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the participants. Second,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test variances of th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pre-test and post-test variances of the two groups. Fourth, Mann-Whitney U Test examined the post-test variances of the two groups. Fifth, in order to complement the result of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infertility-related thoughts of the participants, qualitative data analysis on the results of activities and extracts from the records of each session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showed that the level of internal factors, including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automatic negative though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r the women in the therapy group. Als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 therapy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verall score of marital satisfaction, a relational facto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some of the sub-scales of marital satisfaction including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unity. Third, the quality of life with infert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therapy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thoughts related to infertility showed that the mal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had changed to adaptive and alternative thoughts and belief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and automatic negative thoughts of the therapy group were made from identifying their automatic thoughts related to infertility as well as engaging in various cognitive restructuring activities including Socratic dialogues. This also implies that an active cognitive restructuring, such as reinterpretation of one’s infertility, has a considerable therapeutic effect. Further, this study presented evidence that restructuring of maladaptive thoughts and constant relaxation training can contribute to improving one’s depression and anxiety and problem-solving trai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designed an adequate program for infertile women catering to their experiences and needs through an appropriate investigation. Second, the study targeted the participants who are reportedly marked with the highest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s they are in the stage of preparing for another cycle of In Vitro Fertilization. Third, this study suggested a comprehensive program that covers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factors as well as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Fourth, this study performed not only quantitative analysis of internal (cognition and emotion) and relational (marital satisfaction) factors and quality of life but also qualitative analysis of infertility-related thoughts. Fifth, the program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is available to many counselors for their clinical use. Keywords: infertile wome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automatic negative thoughts, depression, state anxiety, marital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with infertility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Gagn? 수업 설계 기반의 인지행동 미술치료 효과분석

        박미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27

        ABSTRACT Effect-analysis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Gagné class design-based using Smart device Park, Mi Ja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ducational changes and effec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exhibited emotional instability by using Gagné instructional design theory based on smart devic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brain disorders, ADHD and hearing loss and ordinary children who were asked to receive art treatment from their guardians, who were in the second year of elementary school to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a total of fiv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judged to be emotionally unstable by a measurement having school and learning maladjustment and various problem behaviors. During the six-month-long treatment perio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30 times of 80 minute educational treatment per one-to-two times a week. During 80 minutes per session, 60 minutes of art therapy and 20 minute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were applied. The smart devices were used throughout the sessions for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techniques (drawing and molding activities), cognitive re-organization work, behavioral modification techniques, systematic bluntness, social skill training, empathy and landscape training, and self-assertion training. Quantitative measuring tools included the Beck Anxiety Inventory, the Trait Anxious Inventory for Children, and the measure of emotional instability. Qualitative ones were HTP (House-Tree-Person) and KFD (Finishing) for projective Testing. All of the tools were asked and applied both at pre- and post-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ctors of emotional instability including aggression, tension levels, and inferiority complex decreased. Second,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a positive change in a child's behavior were found to occur. Third,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parents critically felt their children’s changes and improvements. Fourth, the changes in paintings were qualitative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based on the Gagné’s instructional design using smart devic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emotional change in children with anxiety.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n the need for systematic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scientific analysis, and feedback. 국문초록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Gagné 수업 설계 기반의 인지행동 미술치료 효과분석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Gagné 수업 설계 기반의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을 드러내는 연구 참가자들의 교육적 변화와 효과를 질적으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뇌전증, ADHD, 청각장애 등의 장애를 가지고 있고 보호자로부터 미술 치료를 의뢰 받은 일반 아동으로 남녀 초등학교 2학년~중학교 1학년생, 총 5명이다. 이들은 학교와 기타 또래 집단에서 부적응 상태에 있고, 학습 부적응과 여러 문제행동이 보고되고 있는 아동들로 사전 측정을 통해 정서불안으로 판정되었다. 6개월에 걸친 처치기간 동안 매주 1~2회에 걸쳐 회당 80분, 총 30회의 치료와 교육이 실시되었다. 회당 80분의 시간 중 미술치료 60분, 인지행동치료 20분이 적용되었으며, 30 차시 동안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기법(그리기 및 다양한 조형활동)을 비롯하여 인지 재구조화 작업, 행동수정기법, 체계적 둔감법, 사회기술훈련, 공감훈련과 조망훈련, 자기주장훈련 등의 교육방법이 적용되었다. 연구 참가자들의 변화를 위해 객관적으로 활동된 양적 측정도구는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소아용 상태 불안척도(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정서적 불안정 척도이며, 질적 측정 도구인 투사검사를 위한 HTP(House-Tree-Person)와 KFD(Kinetic Family Drawing)로 이들을 기반으로 사전, 사후 검사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불안 요소인 공격성, 긴장수준, 열등감이 객관적 수치로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겨났음을 질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가 느끼는 아동의 변화가 질적으로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그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단계별 긍정적인 정서의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Gagné 수업 설계기반의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아동에게 긍정적인 정서 변화의 효과성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교수학습전략의 필요성, 과학적 분석 및 환류기법 적용 등 향후 발전방향이 논의되었다.

      •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혜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27

        Abstract 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the Student Nurses Kim Hye-young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Jung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the student nurses and verify its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of all,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employing the cognitive therapy theory for the student nurses was developed through corrective and supplementary work after preliminary program had been conducted for this study, focusing on empathy training, cognitive reconstitution and communication skill. Secondly, the paper is to examine if there is any change in various factors of empathy after the program is carried out. As subjects of this study, 30 junior-year student nurses who had gone through the state exam for licensed practical nurses before, and completed clinical training at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of S college in Seoul were randomly assigned and even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twice a week for total of 10 sessions. The collected data during the study have been analyzed through SPSS18.0 program and the specific analyzing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an attempt to inspec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s. Second, Kruskal Wallis test as a way of nonparametric test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retest scor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Kruskal Wallis test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post-test scor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and Bonferroni correction as a post-test has been carried out. Fourth, Wilcoxon signed-rank test as a way of nonparametric test has been carried out to compare the scores among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Fifth, Mann-Whitney U test as a way of nonparametric test has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scores in the follow-up 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Sixth, Mann-Whitey U test as a way of nonparametric test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the scores of the pretest and follow-up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EQ-short-K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of empathic variables h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program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have showed that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EQ-short-K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had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ase of the comparison group,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EQ-short-K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have been significantly ascend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whereas there had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llow-up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has been maintained only in the comparison group for 3 months since the program was over. Also, I have found out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ensitivity, a sub-type of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in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sensitivity has been significantly gone up at the follow-up test, which shows the program consistently influenced in enhancing the empathy capability of student nurses. Second, cognitiv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program had been conducte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 of the experimental group have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t has been even more decreased at the follow-up test, which shows the effect has lasted consistently, wherea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 of the comparison group has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at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Especially, dissatisfaction with the reality and desire to change sub-type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not change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but has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follow-up test, which shows the program influenced on the effect even after its termination. Also, positive automatic thoughts, a sub-type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has been significantly elevated only 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its effect is maintained at the follow-up test, wherea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ore decreased at the follow-up test which shows its effect has been maintained. In case of the comparison group, it has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at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Third, the communication of behavioral variabl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and its sub-types,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ommunication skills have been improved,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mparison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student nurses has proved that it is able to maintain empathy capability in the long term. It’s appeared that as key factors of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connect emotions and thoughts, perspective-taking and fantasy to trace and understand others’ feelings and thoughts and the training to have participants’ maladaptive thinking and beliefs hindering in empathy have changed rationally and selectively through cognitive reconstitution affected participants consistently and continued to influence student nurses positively in enhancing the empathy capability even after the termination of program. Also, the study has shown that empathy capability can be maximized when cognitive training is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he nation’s first program focusing on empathic cognitive training. Second, this study has considered nurses’ unique characteristics by adapting student nurses’ irrational beliefs and mal-adaptive thinking to the stage of cognitive reconstitution. Third, this study has proved to be effective where key therapeutic factors of this study such as empathic cognitive training, cognitive reconstitution and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made changes of student nurses’ thinking and beliefs to be adaptive and maintained empathy capability consistently b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base program with the existing emotional one. Fourth, the programs of this research is comprised of empathic cognitive training, cognitive reconstitution and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unlike existing empathy training program enhances communication skill, a empathic behavioral factor, and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 of change, classified into empathy variable, cognitive variable and behavioral variable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Fifth, the program has been administered over senior year student nurses who have completed clinical training, including the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had been through the state exam for licensed practical nurse befor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to enhance the empathy of various professionals, such as doctors, teachers, salespeople as well as the people in the service industries. Key words: cognitive behavior therapy,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erspective-taking, fantasy, cognitive reconstitutio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rrational belief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 혜 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아동가족심리치료 전공 지도교수 김 정 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공감훈련프로그램과 비교 연구를 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예비간호사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공감 인지 훈련,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기술 훈련을 중점으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예비간호사의 공감 변인, 인지 변인, 행동 변인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S 대학교 간호학과에서 임상실습을 마치고 간호사 국가고시를 앞둔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임의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90분씩 10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간 척도별 사전검사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 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 Wallis 검정을 실시하였고,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한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추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내 사전-추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변인인 간호사 공감역량, 단축 공감, 대인관계 반응지수는 프로그램 실시 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사 공감역량, 단축 공감, 대인관계 반응지수는 실험집단에서 사후, 추후검사 모두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집단의 경우 사전-사후검사에서 간호사 공감역량, 단축 공감, 대인관계 반응지수 모두 유의하게 상승한 반면, 추후검사에서는 프로그램 시행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험집단만이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간호사 공감역량의 하위영역인 민감성은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추후검사에서 민감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이 예비간호사의 공감능력 증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인지 변인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비합리적 신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추후검사에서는 더 감소하여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집단은 사후검사, 추후검사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특히 실험집단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하위 영역인 현실불만과 변화욕구는 프로그램 실시 후 변화가 없었으나 추후검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하위 영역인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실험집단에서만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추후검사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고 있었다. 그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추후검사에서는 더 감소되어 효과가 지속되고 있었다. 비교집단의 경우 사후, 추후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행동 변인에서 의사소통은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집단에서만 사후-추후검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하위 영역인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모두 향상되었다. 그러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공감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이는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의 핵심적 요인인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감정-생각 연결하기,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의 공감 인지 훈련과 공감을 방해하는 자신의 부적응적인 사고 및 신념을 인지적 재구성을 통해 합리적이고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훈련이 참여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예비간호사 공감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지 훈련과 병행해서 의사소통기술 훈련을 실시했을 때 공감능력이 더 극대화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공감의 인지 훈련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예비간호사들의 비합리적 신념, 부적응적인 사고를 인지적 재구성 단계에 적용함으로써 간호사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 기반 프로그램과 기존의 정서적 기반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핵심 치료 요인인 공감 인지 훈련,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기술 훈련이 예비간호사의 사고와 신념의 변화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키고 지속적인 공감 능력을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넷째, 공감의 행동적 요소인 의사소통을 향상시켰던 기존 공감훈련프로그램과 달리 공감 인지 훈련,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기술 훈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공감 변인, 인지 변인, 행동 변인별로 분류하여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육과정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임상실습을 마치고 간호사 국가고시를 앞둔 간호학과 졸업반인 예비간호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의사, 교사, 서비스업, 판매원 같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직업군의 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인지행동치료, 공감훈련프로그램,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인지적 재구성, 부정적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살고위험 여대생집단을 대상으로

        박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increased a little but not significantly. Fourth, follow-up tests carried out two month later proved that effects on all factors remained stable. Also, seeking social support, one of stress coping styles, which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post test, showed a different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ifth, analyses of minutes of the therapy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s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turned into alternative and adaptive thoughts, which was considered positive.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difficulty in self-monitoring came to pounder on and figure out their feelings through core mindfulness. This study had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veloped therapy protocols taking characteristics of suicide behaviors into account and applied it to the participants who had once tried a suicide or were diagnosed with high suicide risk in order to prevent suicide behavior. Second, the study added core mindfulness to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facilitate the self-monitoring of the participants with high suicide risk and enhance the effects. Third, suicide related factor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nes to verify the effects systematically and clearly. Those sub groups were reviewed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latter included review of changes in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Also, how long the effects of the therapy lasted was researched with pretests, post tests and follow up tests.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핵심마인드풀니스를 추가한 치료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자살고위험 여대생을 선별하여 예비실시한 후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단계에 따라 기술훈련이 추가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초기단계에서는 인지적 재구성과 이완훈련에 중점을 두고 중기단계에서는 인지적 재구성에 핵심마인드풀니스와 사회기술훈련을 추가하였다. 종결단계에서는 모든 기술을 종합하여 인지적 예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인지행동치료는 자기점검, 자동적 사고와 중간신념, 핵심신념 찾기, 인지왜곡 다루기와 이완훈련, 사회기술훈련을 주요 구성으로 하였으며 핵심마인드풀니스는 기본 기술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거쳐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연속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회기의 진행은 간단한 기분점검과 이전회기 연결, 의제 설정, 과제검토, 마음열기 활동, 활동하기 및 의제 다루기, 과제 제시, 평가 및 느낌 나누기의 순서로 진행되며 프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워크시트 활용,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역할극, 음악이나 미술 등의 예술적 활동, 게임, 시연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B여자 대학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를 통해 지원했거나 추천된 학생들 중 선별하였는데 프로그램 사전에 자살생각 척도(SSI), 무망감 척도(BHS), 비합리적 신념 척도(IBT), 우울 척도(BDI),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SCSS)를 사용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이 중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경우나, 혹은 BDI 점수에서 중정도 우울 수준(moderate depression)에 해당하는 21점 이상과 자살생각 척도 점수 10점 이상의 중복기준을 충족시키는 대상자를 최종적으로 9명 선별하였다. 통제집단은 서울 소재 M대학의 여학생 123명, K여자 대학의 여학생 142명 등 총 26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치료집단과 동일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9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0년 4월 13일부터 2010년 6월 15일까지 한 학기 동안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 더 명확히 검증하기 위하여 자살행동 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으로는 자살생각 척도, 무망감 척도, 비합리적 신념 척도를, 자살행동 관련 정서변인으로는 우울 척도를, 자살행동 관련 행동변인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프로그램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와 치료집단의 프로그램 사전-추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변인들의 변화 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직접 작성한 자동적 사고 및 신념 기록지, 다양한 워크시트,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기록, 보조연구자 및 관찰자의 보고서 등을 중심으로 치료집단 구성원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인 자살생각, 무망감, 비합리적 신념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인지변인 점수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정서변인인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우울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사전검사에서 치료집단 전원은 BDI 21점 이상으로 ‘중정도 우울 수준’을 보였는데 프로그램 사후에는 10점 이하로 낮아져 ‘정상의 수준’으로 감소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행동변인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를 나타냈다. 치료집단에서 문제지향적 대처방식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방식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망적 대처방식과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은 유의하진 않았지만 감소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 결과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 정서변인, 행동변인에서 모두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중 사후검사 시 유의하지 않았던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방식이 추후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치료집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치료집단의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 신념이 대안적이고 적응적인 사고로 대체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초기단계에서 자기점검에 어려움을 나타냈던 치료집단이 핵심마인드풀니스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관찰하고 잘 찾아내는 변화과정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살행동 예방을 목적으로 자살행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자살시도자가 포함된 자살고위험 대상자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치료 프로그램은 인지행동치료에 핵심마인드풀니스를 추가함으로서 자살위험이 높은 대상자의 자기점검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인지적 재구성을 활성화시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었다. 셋째, 체계적이고 명확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자살행동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변인으로 나누어 각각 양적분석 및 자동적 사고와 신념의 변화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였다.

      •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 효과 :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윤혜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사회불안장애는 비교적 많은 사람들의 삶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정신장애이며, 다른 불안 장애와 비교했을 때 낮은 치료 효과가 보고되는 장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엄격한 진단면접을 통해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을 선별한 후,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인지적 취약성의 ‘의지적/통제적인 정보처리 수준(top-down process)’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암묵적/자동적인 정보처리 수준(bottom-up process)’에서의 변화를 함께 유발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암묵적/자동적 정보 처리 수준을 전주의적 주의편향, 암묵적 자존감과 관련된 자기 지식으로 세분화하여,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으로 유발되는 변화의 수준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구조화된 진단면접에서 사회불안장애 진단기준을 충족하는 43명의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이었다. 그 중 24명은 12회기 인지행동치료집단, 19명은 비처치 통제집단에 속하였다. 두 집단 모두 치료 전, 후에 자기 보고식 증상 심각도 평가,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 평가, 자기 보고식 인지적 취약성 평가(자기 초점적 주의, 주관적 확률 및 부담감 평가, 사회적 자기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를 실시하였으며, 얼굴 표정에 대한 탐침 탐사과제(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와 암묵적 연합 과제(Implicit Association Task,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를 이용한 암묵적 자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증상 심각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가의 면접도구인 간이 사회공포증 척도(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Potts, Richichi, Ford, Krishnan, Smith, & Wilson, 1991)도 함께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집단의 경우, 1주일에 1회씩 12주간 치료가 진행되었으며, 3개월 이후 추후 회기를 실시하였다. 치료 프로그램은 Heimberg(1991)의 프로그램을 토대로 권정혜, 이정윤, 조선미(1998)가 개발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여기에는 심리교육, 인지적 재구성, 모의 노출, 실제 노출 및 재발 방지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사전, 사후 평가를 비교한 결과 첫째, 자기 보고식 척도 및 임상가 평정으로 측정했을 때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집단의 증상 심각도,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 자기 초점적 주의, 부정적인 사회적 사건의 발생 확률 및 부담감 추정, 사회적 자기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3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인지행동치료의 효과크기는 -.56~1.71 (평균 1.22) 이었다. 둘째,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경우 IOR (Inhibition of Return)이 발생하기 이전인 초기 주의 과정에서 나타났던 위협적 얼굴 표정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향이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 변화하지 않았다. 셋째,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자신-긍정 형용사의 연합 속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치료를 모두 끝마친 후 위협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경향이 줄어든 사람들의 경우, 부정적인 사회적 사건의 발생 확률에 대한 주관적 추정 경향이 줄어들었다. 다섯째, 치료를 모두 끝마친 후 자신-긍정 형용사의 연합 속도가 평균 이상으로 빨라진 사람들의 경우,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 신념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초기 정보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자동적/암묵적 반응이면서 자기 도식과 보다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상위 개념인 암묵적 자존감이 변화하였다. 인지행동치료가 정보처리 초기에 나타나는 전주의적 과정의 주의 할당까지는 변화시키지 못하였지만, 상황에 대한 반복적 재평가나 위협 상황에 대한 노출, 행동 실험과 같은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보다 깊은 수준의 자기 지식을 암묵적 수준에서 변화시켰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이세연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참여자는 S시 Y복지관의 상담실에서 정서행동상의 어려움으로 놀이치료를 받고 있고 장애진단을 받지 않은 5-8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대한 안내를 하고 동의한 어머니 중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호소한 상위 4명을 선정하였다. 이후 2016년 8월 4일부터 2016년 12월 15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서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을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사전 면접, 행동관찰, 심리검사지, 활동지, 상담 소감문, 회기별 녹음을 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로는 빗속의 사람 검사(PITR), 부모양육스트레스 검사, 비합리적 신념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어머니의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비합리적 신념을 탐색하고 핵심신념을 재구성하여 양육에 대한 신념이 회기별 변화과정과 비합리적 신념 검사를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를 통해 무의식적 신념과 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객관적으로 자녀를 바라보게 되면서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을 회기별 변화과정과 사전⦁사후에 실시한 PITR 검사와 양육스트레스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비합리적 양육신념을 변화시키기 위한 개별사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하여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수를 확보하고 다양한 연령의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rrational belief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others of 5-8 year old children who were not diagnosed as psychological disorder but received play therapy for difficulties in emotional behaviors at Y Welfare Center in S city. Among the mothers who provided consent of this study after getting informed, the top 4 mothers who complained of high parenting stress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received total of 16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of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rom August 4, 2016 to December 15, 2016. For case analysis, the researcher administered pre-interview, behavioral observation, psychological test, activity test, counseling review and recordings including pre and post-test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PITR, Parenting Stress Index and irrational belief test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for pre and post-test.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has shown that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ade positive effects on changes in mother's irrational beliefs. Through the process of therapy sessions and activities, each participant could find their irrational beliefs more specifically and reconstruct them effectively. Second, It has shown that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elped participants to recognize their unconscious beliefs and stress in a concrete w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not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changing irrational parenting beliefs of moth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suggestion on its follow-up studies,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must be increased and art therapy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hould be applied to mothers of children in various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