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동 맞춤형 광고에서 인지된 유용성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효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68

        본 연구는 행동 맞춤형 광고에서 제품 유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물은 광고 유형(행동 맞춤형 광고, 맞춤화되지 않은 광고)과 제품 유형(실용적 제품, 쾌락적 제품)에 따라 총 4가지로 구성되어 2x2 집단 간 요인설계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19~39세 일반 성인 234명을 대상으로 5월 26~27일 이틀간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행동 맞춤형 광고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아지지만, 인지된 유용성에 비해 프라이버시 염려는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행동 맞춤형 광고는 인지된 유용성에 완전 매개되어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소비자의 행동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행동 맞춤형 광고에서 제품 유형을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으로 나눠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on advertising attitudes in behavioral customized advertising. The experiment consisted of 4 types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type (behavioral customized advertisement, uncustomized advertisement) and product type (Utilitarian products, Hedonic products), and factor design was conducted between 2x2 group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May 26-27 for 234 general adults aged 19-39. As a result of the study,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s are high in behavioral customized advertisements, but privacy concern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compared to perceived usefulne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hat behavioral customized advertisements were completely mediated by perceived usefulness and influenced advertisemen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meaningful study in that the product type is classified into utilitarian products and hedonic products in a behavioral customized advertisement provided based on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 자율주행차 운전방식의 인지된 개인화가 신뢰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택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5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user trust and usability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 driving style. In experiment, the participant used the simulator to perform the manual driving first, and then experienced autonomous driving with personalized message was given or not, respectivel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driving style of autonomous vehicle has positive effects on trust in automation, intention to use, and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driver 's propensity to drive and user trust and usability of autonomous vehicle. The results show that personalization of driving style affects the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 positively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personalized service of autonomous vehicle. 이 연구는 자율주행차의 운전방식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가 신뢰도와 사용성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시뮬레이터를 사용해 먼저 수동주행을 한 후 각각 개인화 메시지가 주어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자율주행 체험을 하도록 했다. 실험결과 자동화 신뢰도와 이용의도, 만족도 차원에서 자율 주행 운전 방식 개인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운전자의 운전 방식 성향과 신뢰도 및 사용성 간의 상관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운전 방식 개인화가 자율주행차의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율주행차의 개인화된 서비스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 상품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중심으로

        최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36

        Product recommender services help save consumers time searching information amid the flood of online information, and algorithms are still being developed for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ecommend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recommender system(Hybrid-filtering system, SNS-based recommender system, Bestseller recommender system) on consumer’s perceived benefit(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risk(privacy concer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sion to click was high in the order of Hybrid-filtering, Bestseller, and SNS-based system. Privacy concern was high in order of SNS-based system, Hybrid-filtering, and Bestseller.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on the type of recommender system and perceived usefulness were significant. Finally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 and privacy concern had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intension to click. It has theoretical significant that this study compared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ommended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providing and developing future recommender service. 상품 추천 서비스는 범람하는 온라인 정보 속에서 소비자의 정보탐색 시간을 절약하는데 도움을 주며, 계속해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추천을 위한 알고리즘이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적용하여 추천 서비스 유형인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지인기반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인지된 유용성, 프라이버시 염려, 클릭의도)을 비교하고자 했다. 또한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에 있어서 인지된 개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클릭의도는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 지인기반 추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프라이버시 염려는 지인기반 추천,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 순으로 높았다. 인지된 개인화는 인지된 유용성에 있어서 추천 서비스 유형과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유용성은 클릭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프라이버시 염려는 클릭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비교하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실무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유튜브 개인화 서비스가 사용자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마리야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15934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활용한 개인화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대중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형태와 달리, 개개인의 선호와 필 요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여 서비스 이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세계인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Youtube)’는 개인화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현한 대표적 모 델이다. 학자들은 유튜브의 선풍적인 인기를 바라보며, 영상 플랫폼의 차별화된 특 성이 사용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요인이라 제시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유튜브의 개인화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개인화 서비 스와 사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개인화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인은 개인화된 정보, 개인화된 공간, 개인화된 커뮤니티, 개인화된 상호판매 총 4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의 개인화가 높을 수록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 된 유용성이 더 크며, 지속적인 이용의도가 더 강할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수집된 300부의 유효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요인 분석과 내적 일치도 검증을 통해 각 요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한 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특히 구조방정식 실시에 앞서 연구모형이 적합한지 확인했고, 경로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 개인화 서비스 요인 중 개인화된 정보와 개인화된 공간이 모두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개인화된 정보는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개인화된 커뮤니티는 인지된 유용성만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개인화된 상호판매는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를 중심으로 개인화 서비스가 사용자의 미디어 이용에 미친 영 향을 검증하였다.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1인 미디어 공간에서 개인화 서비스의 효 과를 검증하였기에 개인화 연구의 폭을 확장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술수 용모델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개인화 서비스의 각 구성 요인이 사용자의 이용의 도에 미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개인화된 커뮤니티나 개인화된 상호판매보다 개인 화된 정보와 개인화된 공간이 사용자 인지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파악됐 다. 개인화된 정보는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이와 같은 요인이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보다 강하게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개인 화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 Virtual personal world model for personalized and intelligent ubiquitous computing service framework

        강창덕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15594

        Advances in the processing capability, storage capacity, and battery life start golden age of the mobile computing devices. The proliferation of the mobile computing devices turns the focus of computing away from desktop personal computers and towards collaboration among several mobile devices, traditional personal computers, and servers. Unfortunately, as the usage of mobile computing devices has increased, the amount of user effort required to operate these devices has increased as we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ser distraction CMU? Aura which addresses the importance of distraction free computing and several studies appears. We will see Aura in Chapter 2.Besides the mentioned user distraction problem, in the past computing paradigm, computing environment is divided into physical space and electrical space which provides services to users based on physical space. But in today? computing environment, electrical space pervades the physical space. Dividing our computing environment into physical and electrical space doesn? have a meaning any more. As time goes, the number of devices which may embody considerable computing power will grow and services will be more diverse and more segmente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ill be more complex computing environment than it has ever been.It is important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at users are blessed with adaptive and intelligent services using context-aware technology. But it is hard to take into account all the element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o make services adaptive to user because, as mentioned earlie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comes to have a heavy complexity in their resources? variety.To make complex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o personalized and effective,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new ubiquitous space model, Virtual Personal World model (VPW), which can be used for providing adaptive and intelligent services to users. VPW model is a virtual personal space which re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a user for understanding user? intention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VPW consists of user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and VPW itself information to capture user? current ubiquity status. To show user? VPW to other elements in ubiquitous computing (like service providers and other users), VPW-profile is generated. VPW-profile is a snapshot of current user? VPW.Using VPW, our basic goal was personaliz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rough telling what is in user? VPW or not. But it does not fulfill the requirement of user? distraction-free. So we specify the main devices for input and output, which are important for users to enjoy autonomic ubiquitous services. This feature and some related problems make conflicts in multi-user and multi-devic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for providing adaptive services to each user. We suggest some algorithms to resolve the problem in other paper and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s in multi-user and multi devic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using VPW-profile.Ubiquitous computing paradigm aims to give seamless and user distraction-free autonomic service provision in anywhere and anytime. Namely, service mobility and autonomic service behavior are basic need for ubiquitous computing services. To support those features, we suggest VPW intelligent service framework which can cope with the user? seamless environment-changes and user? intention-changes. In the framework, services continuously subscribe user? VPW-profile until he dies because of user? explicit exit command, self-control of exit, or service failure. Subscription of user? VPW-profile enables to handle user? temporal changes and progressive changes.To perceive the progressive situation changes, VPW-manager continuously updates VPW-profile with the user? location, user? main input?utput devi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user? service status. To handle temporal changes, user? VPW-manager gives user? intention through the VPW-profile. To capture the user? intention, we make priorities table for several candidates. Services who receive the VPW-profile parse the user intention field and decide what to do according to their own policy.Five scenarios are given to distinguish the prominence of our work from other projects. In the scenario, we show the movement of user attention, accuracy for representing the situation of the user, appropriateness of autonomic actions and invisibility of control. In supporting the above properties, VPW is superior to others. Specially, appropriateness of autonomic actions is major concern in this paper.For evaluation we assume the simple intelligent house environment. In the house, there are five rooms. And they all have basic devices, speaker, light devices, and sensors. Some rooms, like kitchen, have special purpose device. Another important element in ubiquitous computing, services can reside in local home server, personal ubiquitous terminal, or in the device itself. In the house, the user moves each room randomly in a step and invokes some services related with the location or the schedule. And the house also invokes the some services related with the user sometimes using the rule and system policy. In the evaluation, we want to capture the user? intention and know service? automatic behaviors are appropriate or not in the current situation by the method which uses location-based model, cluster-based model, and our VPW-based model. We measure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the response time during the decision in each step. Finally we are able to obtain more user satisfaction than other models by 5-20%. Of course the amount of response time is heavier than others. But the heaviness can be ignorable as against the benefit of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사용자들과 자원들이 존재하는 복잡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화, 지능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가상 개인공간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마크 와이저의 예측대로 유비쿼터스 환경은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결합으로 매우 복잡한 제 3의 공간이 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인지 기술은 각각의 사용자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서 오래전부터 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초기의 상황인지 연구들은 센서정보를 일차적으로 가공하여 응용에게 전달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현재의 연구는 이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고수준의 정보를 생성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는 상황인지 기술을 통해 복잡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정보들을 선택하여 개인화 공간을 구축하는 것이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개인공간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표현하고 모델링하여 서비스들에게 제공하고, 이를 제공받은 서비스들은 이를해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여러 논문들과 프로젝트들을 분석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를 표현하기 위해 필수적이고 중요한 정보들을 선택하여 가상개인공간을표현하기 위한 정보들을 정리하여 사용자 가상개인공간 프로파일을 정의하였다. 가상개인공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우리는 현재 상황에서 사용자의의도를 추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이두 정보들은 서비스들이 단순히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적응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용자의 의도와 추상적인 상태에 부합하는 서비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의도와 상반되거나 거리가 먼 서비스들은 중지 혹은 취소를 하는 등의 지능적인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서비스 네고시에이션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편리한 장치들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서 우리는 가상의 홈 환경을 가정하고, 각 방들에 여러 장치들을 배치하고 기본적인 서비스들을 배치하였다. 사용자는 각 방들을 이동하면서 자신의 의도 혹은 서비스나 장치들에 내재된 규칙이나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서비스들을 호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가 바뀜에 따라본 연구의 가상개인공간 모델과 위치기반, 클러스터 기반의 연구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대한 통계를 내었는데 약 5~20% 정도의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은행업 성차별의 복합구조와 인지적 배제에 관한 연구

        안리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9516

        This thesis analyzes that sex discrimination is a complex structure of institutional exclusion and cognitive exclusion through study on the promotion of South Korean banks.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sex discrimination, they have focused on identifying external structural conditions that discriminate against women. Despite academic and policy efforts, sex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continues. This research raises the issue that a supply- side study that focuses on women in the labor market is needed to explain how sex discrimination structures persist. Cognitive exclusion studies provide a puzzle that explains how sex discrimination persists in gendered organization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ed organization of South Korean banks and women lasts the order of male dominance. The gender-base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South Korean banks makes institutional exclusion and maintains the order of male dominance through organizational arrangement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arrangements consist of the structure of workforce,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and job placement. Institutional exclusion means that women are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groups who have the opportunity and resources for promotion. Increasing competition in South Korean bank industry,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workforce and store management strategies, and job segregation by sex are factors in organizational arrangements that sustain gendered organizations.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the working time regime of long hours, and cultural symbols that underestimate women's performance constitut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ed organizations. The gender-base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a South Korean bank affects the gendered interactions among its members. Gendered interactions share and reproduce stereotypes and negative images about women. Exaggeration due to women’s visibility and the homophily tendency seen in men reinforce stereotypes about women. Institutional exclusion occurs in the promotion process due to the gender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gendered interactions of South Korean banks. Institutional exclusion affects women's interpretation and response to promotion. Women interpret their situation related to promotion to evaluate their probability for promotion and determine how to respond. Discriminatory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work-family conflict, the pressure to increase sales performance, and individualization of risk management affect women's interpretation of the probability of promotion and career success. Cognitive exclusion was predominant in the study participants. They appear in specific ways such as negatively evaluating their promotion potential, lowering their career goals, and limiting their will to advance and career success. Cognitive exclusion means that women exclude themselves from the mainstream group where they can get opportunities and resources for promotions. This is the result of women's interpretation of her situation and her structural position, recognizing the institutional exclusion of gendered organizations.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around workplace and home have intersectionality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age, marital status, and rank.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around work and homes are interrelat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age, marital status, and rank. In this research, modes of cognitive exclusion are presented: compliant, isolated, and self-adjusted. In the type of the compliant, receptive attitudes to the order of male dominance in the gendered organization affect cognitive exclusion. Cognitive exclusion appears in the entry into the labor market or early stages in their careers. They choose occupations that have been socially thought to fit traditional femininity. Since they think women are more likely to leave when they are married, they are less willing to achieve career success early in their career. The compliant limit their own chances of success in line with social stereotypes of femininity and their role in the labor market, which is restricted by gendered organizations. In the type of the isolated,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ex equality at work and at home, and critically questioning sex discrimination, influence cognitive exclusion. Pressure within and outside the gendered organization that individualizes the responsibility for solving the problem of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work-family conflict isolates them from the organization. Because of this isolation, they negatively evaluate their promotion potential and lower their career goals. The isolated think that the cognitive exclusions are due to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the gendered organization. In the type of the self-adjusted, women experience cognitive exclusion because of the mixed gender perception that criticize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embraces traditional gender role expectations. Due to mixed gender perceptions, the constraints of career success due to work-family conflict are felt more than other types. In contrast to the isolated criticize gendered organizations that individualize the responsibilities of work-family conflict resolution, the self-adjusted seek to find the cause of failure to resolve work-family conflict. The self-adjusted tend to internalize the pressure of individualization and consider cognitive exclusion as their choice. Women who have the same level of human capital as men and who have been hired through the same career path as men are expected to achieve career success at work through equal competition with men. Howeve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n gendered organizations create a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lthough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have spread and women's human capital has increased, paradoxically, adapting to the company by overcoming the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has become a new task for women in gendered organizations. As the gap between expectations for career success and real experiences has increased and neoliberal individualization and performance-based practices have been emphasized, self-limiting willingness to advance and downward revision in career goals are a new list of doing gender in gendered organizations. In addition, cognitive exclusion is a social defense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order of the gendered organization, reproducing the structure of sex discriminati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exclusion and cognitive exclusion constitutes the complex structure of sex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n banks. 이 논문은 은행의 승진과정 분석을 통해 성차별이 제도적 배제와 인지적 배제의 복합구조로 되어있음을 밝혔다. 기존 성차별 연구들은 여성을 차별하고 제약하는 외부의 구조적 조건을 밝히는 데 주목했다. 이 논문은 그간의 학술적,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왜 성차별 구조가 지속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노동시장의 여성에 주목하는 공급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갖는다. 이 논문은 인지적 배제 연구를 통해 젠더화된 조직에서 어떻게 성차별이 장기지속 되는지 설명하는 하나의 퍼즐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은행의 젠더화된 조직구조와 여성 사이의 상호관계가 남성우위의 지배질서를 지속시킨다고 보고, 젠더화된 조직 내 성차별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대응에 주목했다. 은행의 젠더화된 조직구조는 인력구조, 인사관리관행, 직무배치 등의 조직배열과 조직문화 등을 통해 제도적 배제를 만들고 남성우위의 질서를 유지한다. 제도적 배제는 여성을 승진의 기회와 자원을 얻을 수 있는 주류집단에서 배제하는 것이다. 은행업의 경쟁심화로 인한 인력구조 및 점포운영전략의 변화, 성별직무분리 등이 젠더화된 조직을 유지하게 하는 조직배열의 요소이다. 위계적 조직문화와 장시간 노동규범, 여성노동을 저평가하는 문화적 상징 등은 젠더화된 조직의 조직문화를 구성한다. 은행의 젠더화된 조직구조는 조직구성원 간의 젠더화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젠더화된 상호작용을 통해 여성에 대한 차별인식이 공유되고 재생산된다. 소수집단인 여성이 갖는 가시성, 조직 내 불확실성과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남성의 동종선호 경향 등은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고정관념을 강화한다. 이렇게 은행의 젠더화된 조직구조와 젠더화된 상호작용에 의해 승진과정에서 제도적 배제가 나타난다. 은행의 제도적 배제는 승진에 대한 여성의 해석과 대응에 영향을 미친다. 여성은 승진과 관련한 상황조건 해석을 통해 자신의 승진가능성을 평가하고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한다. 직장에서의 차별경험, 일-가정 갈등, 은행의 성과주의로 인한 영업실적의 부담, 문제해결 책임의 개인화 등이 여성의 승진가능성 해석에 영향을 주는 상황조건이다. 이 논문의 연구참여자들에게서는 인지적 배제의 행위양식이 지배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승진가능성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경력목표를 하향조정하며 승진의지를 제한하는 등의 구체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여기에서 인지적 배제는 여성이 자기자신을 승진기회와 자원을 얻을 수 있는 주류집단으로부터 제외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여성이 젠더화된 조직의 제도적 배제를 인지하여 여성이 자신의 상황에 대해 해석하고 자신의 구조적 위치를 정의한 결과이다. 직장과 가정을 둘러싼 여성의 노동경험은 연령, 혼인상태, 직급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교차성을 가지며, 각자의 상황조건에 따라 젠더화된 조직의 영향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발현된다. 서로 다른 조건에 대한 상황정의와 해석에 따라 인지적 배제의 행위양식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순응형, 고립형, 자기조정형으로 인지적 배제의 행위양식이 나타났다. 성평등에 대한 인식, 전통적 성역할 기대에 대한 태도, 직장 내 차별경험 및 일-가정 갈등 유무 등에 따라 행위양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순응형은 남성우위의 젠더화된 조직질서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이들의 인지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며, 입직단계나 입사 직후의 초기단계에서 인지적 배제가 나타난다. 전통적인 여성성에 부합한다고 사회적으로 생각되어 온 직업을 선택하고, 여성은 결혼하면 퇴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경력단계의 초기에 경력성공을 이루고자 하는 의지가 낮다. 여성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젠더화된 조직이 제한하는 노동시장에서의 역할과 경력목표의 범위에 맞춰 스스로를 제한한다. 고립형은 직장과 가정에서 성평등을 지향하고 성차별에 대해 비판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인식과 태도가 인지적 배제에 영향을 미친다. 직장 내 차별과 일-가정 갈등 해결의 책임을 개인화하는 조직 내외의 압력이 이들을 조직으로부터 고립시킨다. 이러한 고립으로 인해 자신의 승진가능성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경력목표를 하향조정하는데, 고립형은 자신에게 나타나는 인지적 배제를 젠더화된 조직의 구조적 조건 때문이라 생각한다. 자기조정형은 여성차별을 비판하면서도 전통적 성역할 기대를 수용하는 혼합적 젠더인식 때문에 인지적 배제를 경험한다. 이 때문에 일-가정 갈등으로 인한 직장생활의 제약을 다른 유형에 비해 크게 느낀다. 고립형이 일-가정 갈등 해결의 책임을 개인화하는 젠더화된 조직을 비판하고 인지적 배제의 원인을 젠더화된 조직의 구조적 조건에서 찾는 것과 달리, 자기조정형은 일-가정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는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조정형은 개인화의 압력을 내면화하는 경향을 보이며, 경력목표를 하향조정하고 승진에 대한 열망을 제한하는 것을 자신의 선택이라고 받아들인다. 남성들과 대등한 인적자본을 갖추고 동일한 채용경로를 통해 입직한 여성들은 남성과의 평등한 경쟁을 통해 직장에서 경력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기대하지만, 젠더화된 조직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승진과정에서 제도적으로 배제되면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경험한다. 성평등 인식이 확산되고 여성의 인적자본이 높아졌지만 역설적으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극복하여 기업에 적응하는 것이 젠더화된 조직에서 여성이 수행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 승진의지의 자기제한과 경력목표의 하향조정은 경력성공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괴리가 심해지고 신자유주의적 개인화와 성과주의가 강조되는 상황에서 여성이 젠더화된 조직에서 행하는 새로운 젠더수행의 목록이다. 인지적 배제는 여성들이 은행의 제도적 배제로 인해 조직에서 이탈하지 않고 경력을 지속하게 하는 젠더수행 목록이면서 조직 전체에는 젠더화된 조직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방어기제가 되어 은행의 성차별 구조를 재생산한다. 제도적 배제와 인지적 배제의 상호관계에 의해 은행업 성차별의 복합구조가 구성된다.

      • OTT 플랫폼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이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혜택과 인지된 위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곽언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150

        최근 인터넷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OTT 플랫폼도 많이 발전해왔다. OTT 사용자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언제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 정보가 많아지면서 사용자가 수많은 정보에서 자기가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을 위해 많은 플랫폼에서 개인화 추천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자에게 이용 만족이나 지속 사용을 유도하는 도구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화 추천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편리를 가져온 동시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요구함에 있어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문제에도 많아졌다. 기존에 OTT 개인화 추천시스템 관련한 연구 대다수는 추천시스템과 이용 만족, 기대일치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기반으로 OTT 플랫폼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특성과 프라이버시 문제 인식이 사용자가 인지된 혜택과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지속 사용 의도까지 어떻게 이어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OTT 플랫폼 개인화 추천시스템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을 주요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22년 12월 29일부터 2023년 1월 29일까지 총 한 달간 진행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16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6.0과 Smart PLS 4.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추천시스템 특성으로 보이는 정보 품질인 완전성, 이해 용이성, 개인화, 관련성, 보안성이 인지된 혜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지속 사용 의도까지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라이버시 염려와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성이 인지된 위험에 영향을 미치고 지속 사용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OTT 플랫폼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영향을 탐구하는 자료이다. 또한, 정보 시스템 성공 모델 중 정보 품질로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OTT 개인화 추천과 프라이버시 계산이 사용자 인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OTT 포함한 온라인 환경에 대한 학문적 확장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이후에도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향후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OTT platforms have also developed a lot. OTT users can always enjoy content in various ways, such as smartphones, computers, and tablet PCs.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online information, it is not easy for users to find the information they need from a lot of information. For this situatio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on many platforms, becoming tools that induce users to be satisfied with or continue to use. However, as thes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s bring convenience to users, users have also increased in privacy issues as they demand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OTT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s are studies on recommendation systems, usag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It is judged that related research is needed due to a situation in which privacy problems are recognized and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Therefore, based on the theory of privacy calculation,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how the characteristics and privacy problem recognition of the OTT platform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affect the benefits and risks perceived by users and how they continue to use the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people who have experience using the OTT platform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in China.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one month from December 29, 2022 to January 29, 2023, and a total of 316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unfaithful questionnaire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6.0 and Smart PLS 4.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mpleteness, ease of understanding, personalization, relevance, and security, which seem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benefits and continued use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privacy risks affect perceived risks and negative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This study is a data that explores the impact of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privacy calculation theory, which was not covered much in previous studies on the OTT platfor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were identified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by information quality among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expansion of the online environment including OTT in that it examined the impact of OTT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and privacy calculation on user perception. It is expected that interest in privacy issues will continue afterwards an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 숏폼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TikTok을 중심으로

        샤오이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134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platform content platform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the effect of continuous use was empirically analyzed and verified that the perceived risk level of user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and the perceived value. Chinese users with experience using TikTok's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urvey.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five days from October 29, 2023 to November 2, 2023, and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the produced questionnaires online. A total of 51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those with no experience or unfaithful answers in the TikTok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6.0 and AMOS 23.0.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th analysis, hypothesis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the accuracy, novelty, popularity, and ease of the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rough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and the privacy exposure of the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rough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ha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roug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was found that the diversity and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the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th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racy, diversity, popularity, reliability, ea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ersonalization, privacy exposure and perceived value of the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was found to be controlled by the perceived risk level, and the novelty of the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had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important to develop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for a short platform content platform, and it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basic data for compan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privacy exposure. 본 연구에서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으며 이용자의 인지된 위험 수준이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과 지각된 가치간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중국 틱톡의 개인화 추천시스템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중국 이용자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3년 10월 29일~2023년 11월 2일까지 5일 동안 진행하였고, 제작한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여 총 5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틱톡 개인화 추천시스템에 대한 경험이 없거나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총 51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6.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경로 분석, 가설 검증, 다중회귀 분석으로 조절효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정확성, 신규성, 대중성, 용이성은 지각된 가치의 완전매개 효과를 통하여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프라이버시 노출은 지각된 가치의 완전매개 효과를 통하여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신뢰성은 지각된 가치의 부분매개 효과를 통하여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인지된 유용성은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다양성, 지각된 개인화는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정확성, 다양성, 대중성, 신뢰성,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지각된 개인화, 프라이버시 노출과 인지된 가치의 관계는 인지된 위험 수준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신규성이 조절효과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숏폼 콘텐츠 플랫폼의 개인화 추천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요시해야 한 점을 제시하였고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노출 시각으로 기업이 향후의 서비스를 발전에 기여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기대된다.

      • e러닝의 환경요인이 이용자들의 인지적, 정서적 반응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백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086

        The dramatic increase in e-Learning enrollments in higher education is likely to continue. These e-Learning environments have made learning much more convenient by stretching the spatial and temporal barriers. their effectiveness, however, remains to be examined. In this research, the author explore the importance of e-Learning interface, online community, contents and personalization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the author divides e-learning outcome into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 Indeed, e-Learning for psychomotor outcome has been viewed as impossible. The autho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ory and practice.

      • 스마트폰 모바일광고에서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 영향요인 연구

        이강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50301

        스마트폰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국내 모바일 광고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정보소비 및 미디어 이용행태도 급격히 바꾸고 있으며, 모바일 산업과 모바일 광고업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모바일 광고 효과측정 모델에서 탈피하여 소비자의 특성과 스마트폰의 특성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모바일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의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첫째, 광고 관여도가 광고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광고 관여도가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정황인지가 조절하는지 알아 보았다. 세째, 광고 유형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모바일 광고의 가장 큰 특징인 상호작용성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았고, 광고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이에 대해 스마트폰 사용자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광고 관여도는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여도와 지각된 상호작용성과의 관계를 정황인지가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광고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도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모바일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으로 자기통제권을 높여주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과 개인화 강화 등 상호작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인지-행동 관점에서 스마트폰 사용자는 일반폰 사용자 대비 관여도가 높은 만큼 모바일광고도 기존 검색광고, 배너광고, 애플리케이션 광고(IN-APP AD)에서 더 나아가 위치정보, QR(Quick Response)코드, AR(Augmented Reality),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과 결합되어 맞춤형 광고로 진화한다면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