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솝 우화를 활용한 중국어 학습 지도 방안

        임준 상명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는 할당된 수업시간이 주 2시간이고, 대학 입시에서 제외된 과목이기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기 쉽다. 이렇게 시간과 환경의 제약을 받는 조건에서 학 생들이 중국어를 흥미롭게 배우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국어 교수 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솝우화는 모든 고등학생 학습자에게 익숙한 이야기이다. 이솝우화를 활용하여 중국어 교육을 한다면 학습자들의 흥미와 자신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어 수업에 적절한 이솝우화를 선정하고, 수업에 유용하도록 개작하였다. 그리고 실제 동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어 학습에 적절한 이솝우화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여섯 편의 우화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여섯 편의 동화를 원무 그대로 수업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솝우화 개작(改作) 기준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개작 기준에 따라 개작의 과정을 거쳤다. 여섯 편의 이솝우화 원문과 개작 과정을 거친 이솝우화를 모두 제시하였으며, 개작 과정을 통해서 수업에 유용하게 바뀌어진 부분과 중점적으로 학습해야 할 부분을 개작된 이솝우화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개작된 우화를 가지고 실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섯 편의 개작된 우화 중 두 편을 다시 선정해 5차시 수업을 구성하였다. 4차시는 우화의 내용을 학습하고, 학습된 어휘와 문법을 응용 ․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마지막 5차시에는 학습자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역할극을 하는 시간으로 배정하고 수업모형의 마지막 부분에 역할극 대본을 첨부하였다. 이 논문은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이솝우화를 선정하는 기준과 개작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말하고 여섯 편의 우화 원문과 개작된 우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로 이솝우화를 활용한 교재를 가지고 수업을 하는 모형을 제시하여 교수자가 수업자료로서의 이솝우화를 선정․ 개작할 때부터 실제 수업을 할 때까지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은 고등학교 중국어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한 학습자료 및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중국어를 학습하는 여러 학습 대상자를 위한 이솝우화를 활용한 교재 연구가 이후에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

        강희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성과 인성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인성교육의 요소를 재구성하였으며, 『이솝 우화』의 특징과 교훈 분석을 바탕으로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인성은 사람됨, 인간의 성품 등 바람직한 개인이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 설명되었으나 사회적, 시대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인성과 인성교육은 개인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질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추세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노예였던 이솝(Aesop)에 의해 쓰인 『이솝 우화』는 동물, 식물, 사물 등 의인화된 등장인물을 통해 교훈을 전달하는 짧고 재미있는 이야기로서 현실세계를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특징을 지닌다. 예로부터 도덕교육의 교재로 사용되어왔지만 교훈분석 결과 『이솝 우화』는 도덕성뿐만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실생활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이야기로서 그에 따른 다양한 교훈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이 자기이해와 함께 타인과 더불어 살아감에 있어 요구되는 도덕성을 근간으로 상황에 맞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이솝 우화』는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현실에 근거한 삶의 지혜와 판단력을 길러주며,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일깨울 뿐만 아니라 사고력 교육을 위한 교재로 활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솝 우화』가 인성교육적으로 지니는 한계는 관계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대화, 의사소통능력, 공감을 교육하는데 불충분하고, 독자에 따라 『이솝 우화』를 본 뜻과 달리 왜곡되게 해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의 『이솝 우화』는 주로 아동을 위한 도덕교육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솝 우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교훈을 고찰한 결과, 『이솝 우화』는 선과 악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마냥 도덕적이며 착하게 행동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지혜로운지에 대한 교훈을 주는 이야기로 나타났다.

      • 한국 근대 이솝우화 연구

        최나 韓國學中央硏究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examines the enculturation and applications of Aesop’s fables in early modern Korea.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of East Asian society that went through a sudden change during an era of Western expansion, this work analyzes 177 types, totaling 359 stories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early 1920s. Via this foundation, this research then discusses the effects and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Aesop’s fables had on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transition and influence of Western modern culture that began during the Renaissance in the 14th century expanded its scope on an unprecedented scale across the world. As a global work of classical literature, Aesop’s fables are a collection of stories full of typical wisdom passed down by human beings, encompassing aspects of both East and West. These fables written under the name of Aesop, a Greek slave from the 6th century B.C., contain diverse content. In addition to emphasizing the most basic goodness of humanity, Aesop's fables are dominated by dichotomous thinking, black and white logic, logic of power, reversal of prejudice,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values and wisdom. Aesop's fables were passed over to East Asia with the full-scale expansion of the West over the East at the start of the modern era. Today, these fables are used as literary works or contents of traditional and creative fairy tal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ublishing. The diverse themes and concise content of Aesop’s fables expanded their scope indefinitely. Thus, in this study, Aesop's fables are defined by first deciding on a selection criteria and organization the fables. In the process of analysis, comparison and selection, the Perry Index is used as a standard, but currently the most authoritative version of the fables in circulation in the market, the Cheon Byeong-hee copy, and the most circulated version circulated in modern Japan, the Watanabe On version, are us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alongside the Aesop's fables of modern Korea. Modern Korea’s acceptance of Aesop’s fable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two stages. The first was through the early 17th century texts on Western learning and the second stage was through the domains of publishing and education that develop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acceptance of Aesop’s fables is closely connected to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world but their vitality is in the transformation of texts and their enculturation. Above all though, there is especially a need to focus on the oral aspects of the fables. Therefore,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Aesop’s fables as examples of Western learning and also analyzes the aspects of their enculturation as they came to be published in modern media at the time. Using this as a foundation, this work then extracts the fables that most frequently appeared in modern media outlets, looks at corresponding stories within the world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mparatively analyses their transformative aspects. Aesop’s fables were featured in Western learning books and were imported directly into Korea. According to The Society of Jesus’ adaptationism missionary strategy, the books of Matteo Ricci (1552-1610) and Diego de Pantoja (1571-1618)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bringing Catholic missionary teachings to the literati and bureaucrats of China. From the stance of supplementing the Confucian classics, these texts were widely read among the Chinese literati because they marked a new chapter within the discourse in the formation of scholarship that differed from orthodox neo-confucian teaching. Ricci’s works especially were comprised of mild-mannered discussions with well known Chinese nobility;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Aesop became introduced and Aesop’s fables were quoted.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at the time had no difficulty deciphering these texts. Books on Western learning were rejected, but the literati that had been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political sphere, especially those that had doubts about the existing social system, accepted these texts as primary importance. Thus, their focus concentrated on the main content of different western learning that differed from the existing social order of Confucianism and about Aesop’s fables that were quotes as elucidating grounds for a argument and not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m as Western literary work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voluntary acceptance of Christianity as Western learning, it can be inferred that Aesop's fables must have been spoken or transmitted in Korean. The fables that were published in modern media were accepted as imports, but by and large they also gradually began showing aspects of enculturation that went through a transformation and choice that followed the consciousness of Korea’s historic flow. For example, together with the rise of independence and patriotic enlightenment consciousness, Aesop's fables came to be published in new modern textbooks without being referred to from the conscious standpoint of being foreig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fables were used as an official form of children’s character-building education that wa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the spirit of a modern people. Aesop's fables were used as enlightenment texts for the youth of the day,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despoli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nation’s degradation as a colony, while also being used to raise awarenes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tion at the time and also to foster education and skills. Not only this, but they also came used in propaganda within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however, the innate critical nature of Aesop’s fables had internalized a sense of resistance, and thus they were also used as a tool of expressive consciousness of indirect resistance. Aesop 's fables in modern Korea were published into various media and according to changes to the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m, these fables changed in a flexible way and a consciousness of resistance either came to the surface of the text or came to be internalized. Aesop’s fables, due to their innately oral attributes, were transmitted down as oral literature and this can be ascertained through the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ry history. The narrative of Aesop’s fables were thus simplified down in the process, with the fundamental motifs remaining as they had always been while demonstrating receptive features. The concise but familiar narrative was used as a story to draw responses from an audience or to induce a situation. Thus, one is able to gauge the popularity and vitality of Aesop's fables and their cultural enculturation. The symbolic meaning of certain animals came to be formed in combination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In addition, different cultural signs, in the narrative process, were either transformed or eliminated as realistic and also folksy things. Also, transformative aspects of music can be found but were instead passed down as traditional musical ballad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ransformation and acceptance of modern Korea’s Aesop’s fables, this research organizes the literary historic significance of these storie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ime, Aesop’s fables before the opening of the country were used to demonstrate order outside of the social system that had a basis in studying abroad and emphasizing on social ethics and personal cultivation.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Aesop’s fables were then used as texts for educative purposes for children and new forms of 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they embraced the responsibility of the times as a form of enlightenment and educat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tories were used to induce conformity to the system but due to the innate critical nature of the stories, critical consciousness became internalized. Secondly, in terms of media, Aesop’s fables which were recorded as a form of Western learning, were recorded as an objective narrative method and were used as an example for developing the point of the argument. The fables that were printed in journals including magazines of modern Korean students who studied abroad expressed a strong sense of social criticism, thereby expressing a sense of resistance to the era of national sovereignty. Those published in books reveals the author' s tendency or argument directly in the form of a figure with a broad audience in mind. Thirdly, in terms of readers, Aesop’s Fables before the opening of the country were fully introduced aimed at Joseon literati class.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their scope of readership expanded to the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 rise of enlightenment rituals and the crisis situation of national rights abduction. Not only this, it has been internalized with the influx of the literary texts on Western learning, were passed down orally by the masses. Aesop's fables in Korea were not transformed into literary works of high artistic value. Instead, his fables have been in constant dialogue with the ruling system from the aspect of the social func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the fables use animals to easily and interestingly embody ideology for the purpose of transmission to a much broader audience. Above all else, they have came to realize an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function of literature as a way of both learning and pleasure. however, Aesop's fables, amusing, wise tales that embody the art of the way in which one should live one’s life, demonstrate a cynical attitude that also tolerates the order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resignation of reality and thus this is something that one must be wary of when applying them to the dimensions of education. 본 연구는 서세동점의 시대에 급변하던 동아시아 사회 배경을 바탕으로, 17세기 초부터 192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의 총 359편 177종 이솝우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 근대의 이솝우화 수용 및 그 현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솝우화가 근대 한국 문학에 끼친 영향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논술하였다. 14세기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작된 서양의 근대문화 이행 및 그 영향력은 세계적인 범위에서 전례 없이 확장되었다. 세계 고전인 이솝우화는 오랫동안 동서양의 요소를 아우르면서 전해져 내려온, 인간 공동체의 대표적인 지혜가 담긴 집단 창작물이다. 기원전 6세기경의 그리스 노예인 이솝의 이름으로 귀결되는 우화에는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솝우화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선을 강조한 것 외에도 이분법적 사고와 흑백논리, 힘의 논리, 편견의 역전, 가치와 지혜의 중요성이 주축을 이룬다. 서양의 대표적인 가치관을 담은 이솝우화는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서세동점의 확장과 더불어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전래동화나 창작동화와 함께 교육이나 출판의 영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학 작품 혹은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솝우화의 다양한 주제와 간결한 내용은 그 범위를 무한정 확대시킨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선별 기준을 정하여 이솝우화를 정리하였다. 즉 이솝우화의 선별, 대조와 분석 과정에서 페리 인덱스(Perry Index)를 기준으로 하되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가장 권위적인 판본인 천병희 번역본과 근대 일본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와타나베 온 번안본을 근대 한국의 이솝우화 텍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근대 이솝우화의 수용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17세기 초의 서학 저서를 통해서이고, 두 번째는 19세기 말 개항 이후의 교육과 출판의 영역을 통해서이다. 이솝우화의 수용은 서양의 영향력과 긴밀하게 연결되지만 그 생명력은 서사의 변용 및 현지화에 있다. 특히 우화로서의 구전적인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이솝우화가 서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의 현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근대 매체에 가장 많이 수록된 이솝우화를 선택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대응하는 이야기를 찾아 그 변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솝우화는 서학 저서에 수록되어 직접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마테오 리치(利瑪竇, Matteo Ricci, 1552~1610)와 판토하(龐迪我, Diego de Pantoja, 1571~1618)의 한문 저서는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전략에 의하여 중국 문인 관료 계층을 주요대상으로 가톨릭 선교를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이들의 저서는 유학의 고전을 보충하는 입장에서 정통적인 주자학과는 구별되는 학문의 형태로 담론의 장을 만들었기 때문에 중국 문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힐 수 있었다. 특히 리치의 저서에는 중국의 유명한 사대부들과의 온화한 대담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이솝이 소개되고 이솝우화가 인용되었다. 당시 조선시대 문인들은 이를 해독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서학 저서는 배척을 받기도 하였으나 주류 정계로부터 소외된 문인들 특히 기존의 사회 체제에 회의를 품은 문인들 위주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초점은 유학 중심의 기존 사회질서와는 다른 서학의 주요 내용에 집중되었으며, 논거 설파용으로 인용된 이솝우화에 대하여 서양 문학으로 특별히 주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서학으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자발적인 수용을 염두에 두었을 때, 이솝우화가 구전되거나 한글로 전해졌을 수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는 유입 형태로 수용되기도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 근대 역사의 시대적 흐름을 의식하는 데 따른 선택 및 변용을 거쳐 점차 현지화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즉 자주 독립과 애국 계몽 의식의 대두와 더불어 이솝우화는 외래문학이라는 의식이 없이 근대 신식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다시 말하면 근대 국민정신 주조에 필요한 공식적인 아동 인성 교육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국권의 침탈, 식민지로의 전락 등 위기의 상황에서 이솝우화는 청소년을 위한 계몽 텍스트로 활용되어 당면 시국을 의식하고 교육 구국과 실력 양성을 호소하는 데 응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제의 식민 체제 선전에 이용되기도 하였지만, 이솝우화 본연의 비판적인 성격은 내면화된 저항을 담지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우회적인 저항 의식의 표출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근대 한국에서의 이솝우화는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일제의 체제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모하였으며, 그 저항의식은 텍스트 표면으로 드러나거나 내면화되었다. 이솝우화는 우화 본연의 구전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구비문학으로 전승되었으며 이는 한국구비문학대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솝우화의 서사는 구연 과정에서 간소화되었지만 기본적인 모티브는 여전히 그대로 전승되어 수신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간결하면서도 친숙한 서사는 청중의 호응을 획득하거나 구연 상황을 유도하는 이야기로도 활용되었다. 그리하여 이솝우화의 대중성과 생명력을 가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화적인 현지화 양상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일부 동물의 상징적 의미는 집단 무의식과 결합되면서 정형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문화 기호는 구연 과정에서 현실적이면서도 토속적인 것으로 변용되거나 탈락되었다. 또한 음악적인 변용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전통 음악인 타령으로 전승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 한국의 이솝우화 수용 및 변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이솝우화의 문학사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시기별로 보면 개항 이전의 이솝우화는 개인 수양과 사회 윤리 지침의 강조 및 유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체제 이외의 질서를 논증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개항 이후의 이솝우화는 신식 교육과 함께 아동 교육용 텍스트로 활용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대중 계몽과 교육구국이라는 시대적 책임을 담아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체제 순응 유도에 활용되기도 하였으나 우화 본연의 비판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비판 의식은 내면화되기도 하였다. 둘째, 매체별로 보면 서학으로 수록된 이솝우화는 객관적인 서술 방식으로 수록되어 논지 전개를 위한 예증으로 활용되었다. 근대 한국 유학생 잡지를 포함한 저널에 실린 이솝우화는 보다 첨예한 사회 비판 의식을 표출함으로써 국권침탈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저항의식을 담았다. 단행본으로서의 이솝우화는 폭넓은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편저자의 경향이나 주장을 형상적이면서도 직접적으로 드러내었다. 셋째, 독자별로 보면 개항 이전의 이솝우화는 조선 문인 계층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개항 이후에는 계몽 의식의 대두와 국권 침탈의 위기 상황에 따라 청소년 및 일반 대중으로 확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학 저서의 유입과 더불어 이솝우화는 내재화되었으며 대중들에 의하여 꾸준히 전승되어 왔다. 한국에서의 이솝우화는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학 작품으로 변용된 것은 아니다. 대신 이솝우화는 문학의 사회 기능적인 면에서 지배체제와 끊임없이 대화를 진행해 왔다. 뿐만 아니라 동물 형상을 이용하여 이데올로기나 지향을 쉽고도 흥미롭게 구체화시켜 보다 광범위한 대중들에게 전달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문학으로서의 교훈과 쾌락이라는 기능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솝우화는 재미있는 지혜담이자 처세술로 포장된 채, 현실을 체념하고 약육강식의 질서를 묵인하는 냉소적인 태도도 적지 않은 바 이는 교육적인 차원에서 활용할 때 마땅히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 국어과 교과서의 이솝우화 수용양상 : 개화기부터 4차 교육과정까지

        서경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논문은 국어과 교과서의 이솝우화 수용양상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근대와 함께 형성된 교육제도와 교과서에 처음으로 수용된 외국서사문학인 이솝우화가 현재까지 꾸준하게 수록되는 점에 주목하여 연구가 시작되었다. 연구 방법적인 면에서 교과서 속의 끼침의 의미를 염두에 두었다. 교육은 인위적으로 마련한 목적 지향의 인간 육성행위이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교과서에 어떠한 형태로든 영향을 끼치기에 교과서 발간 당시의 시대상이나, 교육관련 논의를 살펴보고 그 속에서 이솝우화 수록 양상의 특징이나 교육적 효과와 의의 등을 밝히는 것을 역점으로 두었다. 첫째, 이솝우화의 정의와 기원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장르가 갖는 특징과 교육적 효과가 어떻기에 우리나라 개화기에 유입된 이래로 국어과 교과서에 꾸준히 실리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각 시대별 특징과 교육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어떠한 특징이 있으며 그것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 국어교육의 흐름을 알게 하고,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 형성의 근간을 살펴보고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이솝 우화 중 ‘욕심 많은 개’를 중심 텍스트로 선정하여 각 교과서별 세부적 차이점을 살펴 수록 양상의 특징이나 교육적 효과와 의의 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각 시대별 국어과 교과서의 이솝우화 ‘욕심 많은 개’ 수용양상을 분석하여 시대적 특징과 수록의 이유와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 이솝우화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신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강민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1

        1997년 각 계의 요구로 시작된 초등 영어 교육은 음성언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듣기·말하기 활동 중심의 연구와 자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 음성 언어에 대한 노출이 한계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6학년의 과정을 살펴보면 음성 언어 뿐만 아니라 문자 언어의 교수·학습 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효과적인 영어 읽기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읽기 활동을 강화하여 영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며, 영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주기 위하여 초등학생 영어 읽기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이솝우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솝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아동의 영어 읽기 능력 신장과 정의적 측면(자신감, 흥미도, 친숙함)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여 보고 효과적인 읽기 지도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연구는 본 연구자가 재직 중인 면 단위 소규모 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22명을 선정하여 16주 동안 32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 전, 제 7차 교육과정 6학년 영어 교과서의 각 단원별 의사소통 기능과 주요 학습 내용 및 기본 읽기 구문을 분석하고, 단원별로 사용될 이솝우화를 선정하여 개작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어진 학습내용과 주제 및 기본 읽기 구문을 자료를 근간으로 이솝우화 개작하였다. 실험 연구 전·후에 같은 내용으로 실시한 아동의 정의적 특성 조사 결과, 아동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 자신감, 친숙함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들에게 학습주제와 관련된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친숙도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슷한 수준의 아동들끼리의 활동을 통해 서로 돕고 자신감을 신장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교실 내에서의모국어 사용을 줄이고 영어 사용을 권장함으로써 아동의 영어 표현 기회를 확대한 것이 자신감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예비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수업 계획과 수업 모형에 따라 영어 수업을 지도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는 읽기 능력 평가와 과정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영어 읽기 능력 평가는 실험 전·후 두 차례 실시하여 결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전에는 100점 만점으로 ‘상’집단이 10명, ‘중’집단이 4명, ‘하’ 집단이 8명이었는데, 실험 후에는 ‘상’집단이 14명으로 증가, ‘중’집단이 6명으로 증가, ‘하’집단이 2명으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읽기 능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고, 학습 집단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정 평가 방법으로는 매 단원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을 마친 후 실험 반 아동들의 자기 점검과 교사 관찰 평가를 네 가지 영역(흥미도, 참여도, 이해도, 자신감)으로 나누어 상·중·하 3단계로 평가·기록하였다. 실험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긍정적인 발전이 보였고 이는 수업 개선의 자료로 삼았다. 연구 결과 이솝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아동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영어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 흥미도가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안된 수업 모형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솝우화를 기본 활동과 더불어 보충·심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야기의 난이도를 조절한 이야기의 개작 활동과 새롭고 흥미로운 읽기 자료를 확보하여 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cused on the spoken language has been implemented since 1997. Many studies condu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re focused on how to teach spoken English; researchers have been more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spoken language rather than the written language. Teaching English in the EFL context like in Korea, however, cannot provide the students with various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frequently. It is necessary to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teach reading because not only the teaching-learning level of the spoken language but also that of the written language is deepe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for Grade 6. We need to enhance our students' reading capabilities and to help them more exposed to English by beefing up English read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way of using Aesop's fable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order to enhance the 6th graders' reading abilities. Two concrete goals are as follows: first, a model for an effective teaching of reading is developed. Second,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in English classes on th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reading abilities and on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s such as confidence, interest, and familiarity are examined. One small class of Grade 6 in a rural area (n=22) was selected and the total number of 32 classes were given to them during the term of 16 weeks. Before experiment, the textbook for Grade 6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First, communicative functions, chief contents to be learned, and basic structures for reading presented in each unit were analyzed. Next, Aesop's fables appropriate for each unit were selected and each fable selected was adapted on the basis of its contents, topic, and basic structure for read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t seemed that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on the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and their familiarity with English learning were positive. Adequate reading materials closely related to each topic helped the students reduce their anxiety of learning English; consequently, those materials helped them enhance their interest in and familiarity with English. Besides,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onfidence in English seemed to be caused by the cooperative activities among students in the similar level. The classroom atmosphere in which the students were encouraged to use English more frequently than their native language might also be the cause of the enhancem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achievement tests of reading and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Students' achievement tests of reading were given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efore the experiment, an advanced group consisted of 10 students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 intermediate and lower levels were 4 and 8, respectively. After the experiment, the number of students at advanced and intermediate levels increased by 4 and 2, respectively. Instead, the number of students at lower level decreased by 6. It seems that students' capabilities of reading in general improved and each group tended to change steadily. The formative evaluation of the students was conducted regularly at the end of the fourth period of each lesson. The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their performance during each class and the teacher recorded her observation of the class. Four categorie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degree of comprehension and confidence were checked and/or recorded by the three-level scale: advanced, intermediate, and low. As the experiment continued, a positive improvement was observed; this observation was considered as th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 might conclude that the use of Aesop's fables in English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not only on the enhancement of students' reading capabilities but also on their familiarity with and, 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n other words, the teaching-learning model made up for this study would be applicable to other English class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y in which Aesop's fables are adapted more specifically to satisfy the students' different levels and in which more interesting reading materials are developed.

      •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학습이 초등학교 6학년 영어읽기 능력신장에 미치는 연구

        정기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학습을 통해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읽기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우화를 이용한 읽기 활동 관련 이론 및 문학 활용 수업의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였다. 둘째, 짝활동과 관련된 소집단활동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셋째,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학습의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자료, 지도절차를 모색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 및 인지적 영역의 향상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두반(A, B)을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연구 대상은 청주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2개반(75명)을 대상으로 영어 시간에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반 모두에게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학습을 실시한 후 실험전과 실험후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두반을 선택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사전, 사후 검증이며 연구기간은 2008년 3월부터 2008년 7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등의 정의적 영역에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활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인 읽기 이해도에 향상을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활동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읽기에 대한 이해력 및 흥미도를 높여 주어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고 이러한 자신감은 영어 학습에 대한 참여도도 높여주어 결국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정보화 시대의 많은 자료를 읽고 이해해야 하는 현 시점에서 본 수업은 보다 많은 활용 가치가 있다고 기대된다. 따라서 영어우화를 이용한 짝활동 읽기 영어 교수 방법은 효과적인 읽기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교사와 흥미있는 영어 수업을 기대하는 학생들 모두에게 훌륭한 도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effective using fable pair learning activity is i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s. In the process it attempts to explor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apply the materials and consequently find out the improvements acquired on student's affective domain(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t) and cognitive domain(reading comprehens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groups are selected randomly. The subjects are two groups of 75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amely class A and class B. Experimental data are collected by pre-test and post-test. As a part of affective domain,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t data are collected by pre-test and post-test. The data are analyzed by using SPSS's t-test statistically. As the other part of cognitive domain, reading comprehension data are done by the same way. The period of this study runs for over 16 weeks from March, 2008 to July, 2008. The research finding are as follows: (1) Using fable pair learning activit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ir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and reading comprehension on English classes. Class A and B both g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wth in students'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2) The teaching method used with fable pair learning activity affect students' English affective and cognitive ability positively s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English ability progressively. In conclusion, fable pair learning activit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s of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fable pair learning activity can be one of good tool for both teachers who are trying to find out fresher and better effective models of English instruction and learners who eagerly want to have interesting and fun English class. In class, the more fable pair reading activity used, the better students' English acquisition promoted.

      • 1888年前伊索寓言汉译研究 : 以《况义》、《物感》、《意拾喻言》、《海国妙喻》为主

        고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중국에서 “寓言”이란 어휘는 《莊子》에 가장 먼저 보이지만, 寓言文學의 實體를 가진 작품은 도리어 “寓言”이란 이름으로 불리지는 않았다. “寓言”이 중국학자들에 의해 문학장르의 하나로 간주되어진 것은 明代와 淸代 장기간에 걸쳐 다듬어지고 발전되었다가 淸末·民國初期에 비로서 확립된 것이다. 그 기간 중 中國寓言의 文體觀念이 定型化되고 명칭이 확립되는 데는 明末 이래 유럽우언의 아시아 전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유럽우언 역시 중국현대우언의 三大 源流 중의 하나로서, 寓言이 구현하는 價値觀과 表現技法 그리고 특정 독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세 측면에서 모두 중국현대우언에 영향을 주었다. 유럽우언이 작품집이란 모습으로 중국에 유입된 것은 이솝우언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서양문학의 번역 역시 이솝우언의 중국어 번역에서 시작되었다. 明代 말기부터 19세기 말기까지의 中譯이솝우언은 明末과 淸末의 서양학문이 동양으로 점차 유입되는 西學東漸의 선봉이 되어 중국과 서양이 융합된 中西合璧 寓言의 근원이 되었다. 이런 연유 때문에 초기의 中譯이솝우언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은 명말의 첫 번째 중역이솝우언집--《况义》와 청말의 첫 번째 중역이솝우언집--《意拾喻言》을 중심으로 이 두 작품집의 번역 특징을 분석해보고, 명말 중국 문인이 모방 창작한 《物感》과 청말에 중국문인이 輯錄하고 改作한 《海国妙喻》를 통하여 두 이솝우언집이 중국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流傳과 影響關係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역사와 문학의 관점에서 이솝우언의 中譯過程과 中國 流入의 배경을 연구하고자 한다. 《况义》는 明末에 창작되었고 《意拾喻言》은 淸末에 출간된 것으로, 두 작품집은 모두 西學東漸의 시기에 탄생하였다. 우선 두 책이 간행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의 차이를 분석하여, 동일한 이솝우언의 중역본이지만 두 책의 각기 다른 운명에 대해 역사적 문화적인 기반을 설명하였다. 중국 動物寓言의 擬人化 부족현상과 동물캐릭터의 형식화의 한계성을 고찰 정리해 보았다. 또한 이솝우언이 서양에서 전파될 때의 證道(종교 교리의 입증), 언어 학습, 아동 계몽, 문학 감상 등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명말에는 중서문화 교류의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개방적이었는데, 《况义》가 창작되기 전에 천주교 예수회선교사들은 중역이솝우언을 산발적으로 천주교의 선교저작 중에 삽입 소개하였다. 《况义》는 천주교선교사가 口述하고 중국문인이 筆錄하는 中西合作의 飜譯方式에 따라 合儒‧補儒‧排佛의 서술책략을 채택하여 천주교의 종교적 색채가 시종일관 표현되었다. 하지만 청말 아편전쟁 이전에는 중서문화 교류의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는데, 《意拾喻言》은 그러한 속박을 타파하고 여전히 中西合作으로, 그러나 서양의 색채는 드러내고 중국적 색채는 감추는 西显中隐의 方式으로 외국인의 중국어 학습, 서방우언문학의 소개, 英国汉学의 발전 이란 세가지 번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력한 토착화(中國化) 번역책략을 구사하여 일관되게 功利的目的을 추구하였다 . 故事構成과 배역의 인물형상, 표현되는 철학사상의 세 가지 측면에서 동서양이 융합된 《况义》의 특색을 살펴보면, 이러한 특징은 그리스 로마우언과 기독교 證道寓言, 중국의 전통우언, 中譯佛經의 譬喩등 몇 가지 문학의 융합에 의해 형성되었다. 동시에 이러한 특색의 형성 은 천주교와 사상과 중국 유가 사상이 조화를 이룬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19세기에 처음으로 漢譯된 이솝우언이자 20세기 초까지 가장 널리 전파된 이솝우언 번역본《意拾喻言》은 각별한 문화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언어교수법과 문학연구의 두 가지 측면에서 《意拾喻言》의 英語註釋文의 直译非規範化와 通俗化, 中國土着化의 번역 특색을 구체적으로 분석 탐구하였다. 이러한 특징이 재판과 報刊의 보급화에 미친 작용을 논의하였다. 텍스트에 일으킨 문학적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故事, 構造, 주제, 인물 등의 측면에서 중국문인이 독자적으로 창작한 우언집 《物感》에 대한 《况义》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李世熊은 《况义》로부터의 수용과 삭제의 기초 위에 토착화한 재창작을 거쳐 中西가 융합된 李世熊만의 독특한 寓言風格을 형성하였다. 1830년대부터 1880년대에 간행된 개신교선교사의 신문잡지(報刊)를 조사 정리하여, 淸末 報刊과 《意拾喻言》의 淵源관계를 탐구해보고, 《意拾喻言》이 선교사 報刊의 우언에 대한 定名과 중국의 우언 창작, 기타 서양우언의 지속적인 중역작업을 선도하는 등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海国妙喻》는 선교사 報刊과 《意拾喻言》의 결연으로 인해, 또한 집록자 張焘의 기독교인이자 풀뿌리문인이란 혼재된 신분 때문에 輯錄과 改寫, 增补의 과정에서 《意拾喻言》의 中國化(토착화)와 通俗化의 특징이 모두 퇴색되어버렸다. 아울러 “合儒’(유교와의 융화)의 전제 아래 기독교와 중국의 전통도덕이 합치되는 부분을 선양하여 사회적 교화기능을 확연히 드러내게 하였다. 이로말미암아 《海国妙喻》는 報刊에서 나왔지만 報刊을 뛰어넘는 특색을 갖게 되었고, 동시에 口岸文人(통상하구에 거주하는 开化文人)의 서양문화에 대한 포용과 개방적 수용태도를 구현해 내었다. 세상에 첫 번째로 선을 보인 《况义》는 중국번역문학사에 있어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고 (문학적, 종교적으로) 독특한 이질적 문화 요소는 중국우언을 풍부하고 충실하게 발전시켰으며, 중서융합(中西合璧)의 모방작 《物感》의 탄생을 직접적으로 촉진시켰는데, 이 두 작품은 모두 중서문화가 융합된 전형적이고 뛰어난 작품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况义》의 전파와 중국우언문학에 끼친 영향은 마치 單騎匹馬로 적진에 깊이 들어간 것과 같아서深度는 있지만 廣度가 부족하였다. 《意拾喻言》의 경우 宣敎士 報刊을 통해 이솝우언의 중국에서의 전파와 영향 측면에서 영역을 개척한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意拾喻言》의 광범위한 전파는 중국우언 장르의 定型과 명칭의 정립을 촉진시켰고, 중국독자의 서양우언에 대한 인지도를 확대시켰으며, 중국본토의 우언 창작에 영향을 주어 中西合璧의 輯錄本 《海国妙喻》의 탄생을 촉진시켰다. 이 두 작품은 조용하게 中西寓言의 거리를 좁혀놓았다. 이는 域外의 문학형식과 문학관념, 창작방법이 신문잡지(報刊)의 확대 속에 중국 본토문학과 접촉하고 충돌하였다가 융합되면서 최종적으로는 중국우언문학의 발전을 촉진하여 중국우언문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어서 중국현대우언의 탄생에 助力하였음을 설명해주고 있다. 이솝우언의 중국우언문학에 대한 영향은 《况义》에서 시작되었고, 《意拾喻言》에서 흥성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작품집은 이솝우언이 중국우언문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의 갖가지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는데, 이 주제는 필자가 앞으로 계속해서 연구해야할 방향이기도 하다. 中国“寓言”一词虽最早见于《庄子》,但有寓言文学之实的作品却并不以“寓言”冠名,“寓言”被中国学者认为是文学体裁之一,是经过明、清两代长时间酝酿,到清末民初才确立的。这其中,中国寓言文体观念的定型定名则与明末以来欧洲寓言东传密不可分。欧洲寓言也是中国现代寓言的三大源头之一,从寓言体现的价值观、表现手法以及针对特定的阅读对象三个方面都对中国的现代寓言产生影响。欧洲寓言成集的引入中国当从伊索寓言开始,西方文学的翻译亦从伊索寓言的汉译开始。从明末到19世纪末汉译伊索寓言,在明末、清末西学东渐中都起到先遣作用,成为中西合璧寓言的滥觞。故此研究早期汉译伊索寓言有其必要性。本论文以明末首部汉译伊索寓言集——《况义》、清末首部汉译伊索寓言集——《意拾喻言》为主,分析其译介的特色,并通过明末本土文人仿作的《物感》以及清末本土文人辑录改写的《海国妙喻》来分析两部伊索寓言集在中国的流传与影响情况。 从历史、文学的角度,研究伊索寓言汉译东传的背景。《况义》成书于明末,《意拾喻言》成书于清末,两书均产生于西学东渐时代。首先分析两书产生社会、文化背景之差异,为两书同为汉译伊索寓言而命运不同做一个历史文化的铺垫。厘清中国动物寓言拟人化不足,动物角色模式化之局限。再分析伊索寓言在西方的流传的功能:证道、语言学习、儿童启蒙、文学欣赏。以及伊索寓言的高度拟人化和动物角色立体化之特色。了解中西寓言主要是动物寓言在未交集前各自的发展轨迹,为中西寓言交集后产生的化学反应做一个铺垫性研究。 明末中西文化交流氛围相对开明,《况义》成书前就有耶稣会士将汉译伊索寓言零星穿插在证道著作中。《况义》延续中西合作惯例,西述中录的创作主体下,采用合儒、补儒、排佛的成书策略,宗教性贯穿始终。清末鸦片战争前中西文化交流氛围相对禁锢,《意拾喻言》突破禁锢,仍是中西合作,但以西显中隐方式,以语言、文学、国家为翻译目的,本土化为策略,功利性贯穿其中。到鸦片战争后中西文化交流解禁,《意拾喻言》以语言学习为主导的版本继续流传的情况。 从故事结构、角色形象、表达的哲理思想三个方面,探讨《况义》中西合璧的特色,这种特色的形成是几种文学的杂糅:希腊罗马寓言、基督教证道寓言、中国传统的寓言乃至相当成熟的汉译佛经譬喻。同时,特色的形成也基于天主教思想与中国儒家传统思想调和的结果。从语言教学(词汇翻译法)、文学两方面,具体讨论《意拾喻言》直译不规范化、通俗化、中国化的特点,以及以上特点对再版、报刊推广产生的作用。 针对文本产生的文学影响进行分析。从故事、结构、主题、角色等方面具体分析《况义》对中国文人独立创作的寓言集《物感》的影响。李世熊在对《况义》接受和扬弃的基础上,经过本土化再创作,形成中西合璧的李世熊寓言风格。耙梳19世纪30年代至80年代的报刊,探求晚清报刊與《意拾喻言》之渊源,分析《意拾喻言》通过传教士报刊对寓言的定名、本土的寓言创作、带动其他西方寓言陆续的汉译方面都具有相当的影响,另外报载的《意拾喻言》图文并茂的形式使得儿童文学初见端倪。《海国妙喻》因传教士报刊与《意拾喻言》结缘,因辑录者基督徒与草根文人杂糅的身份,在辑录和改写、增补的过程中对其中国化、通俗化的特点都有所反拨。并在“合儒”的前提下宣扬基督教与中国传统道德交集部分,彰显其社会教化功能。从而使得《海国妙喻》具有出于报刊而超于报刊的特色,同时体现口岸文人对于西方文化包容开放的接受态度。 敢为天下先,使得《况义》在中国翻译文学史上有不可撼动的一席之地,独特的异质文化(文学的、宗教的)因素丰富充实了中国寓言,直接促成了中西合璧的仿作《物感》的诞生,两部作品都不失为中西文化融合的典范之作。然而,《况义》的传播及对中国寓言文学的影响如孤军深入,有深度,而广度不足。《意拾喻言》则通过报刊对于伊索寓言在中国的流传与影响有开疆拓土之功。其广泛的流传促进中国寓言体裁的定型、定名,扩大西方寓言在中国读者中的认知度,并对本土寓言创作产生影响,促使中西合璧的辑录本《海国妙喻》问世。这两部作品不动声色地拉近了中西寓言的距离。这说明域外的文学形式、观念、创作方法在报刊推广下,与本土文学接触、碰撞到融合,最终推动了中国寓言文学的发展,丰富了中国寓言文学内容,助力中国现代寓言的诞生。可以说,伊索寓言对中国寓言文学的影响始于《况义》,对中国寓言文学的影响兴于《意拾喻言》,两部作品提供了伊索寓言对中国寓言文学影响的种种可能性,这也是本人今后继续研究的方向。 The term “fable” in China has appeared as early as in Chuangtse. But the works of fable literature are not titled with “fable”. “Fable” is regarded as one of the literary genres by the Chinese scholars,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f China over long brewing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mong them, the stereotypes and established name of Chinese fable stylistic concept are inseparable with eastern-spread European fables since the late Ming Dynasty. The European fable is also one of the three major sources of Chinese modern fables, which has an impact on the modern fable of China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fable’s values, technique of expression and specific reading objects. The introduction of the European fable into China was started from the Aesop’s fables, while the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also began with th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From the late Ming Dynasty to the late of 19th century, the Chi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has played an advance role i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learning to the east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late Qing Dynasty, which has become the beginning of the combination fable of Chinese and Western el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arly Chi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This paper is mainly based on the first Chi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in the late Ming Dynasty: KuangYi, and the first Chi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in the late Qing Dynasty: Yi Shi Yu Yan(Esop’s Fabl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ts translation. Moreover, the paper analyzes the spread and influence of the two Aesop’s fables in China through WuGan written by the native writers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Hai Guo Miao Yu”compiled and rewritten by the local writers of the late Qing Dynasty. This paper studies the background of eastern-spread of Aesop’s fabl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literature. KuangYi was written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Yi Shi Yu Yan was written in the late Qing Dynasty, which were both produced in the western learning era. This paper firstly analyzes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difference of the production of the two books, which will make a historical and cultural basis for the two books with different fates as the Chi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Moreover, the paper clarifies the limitations of Chinese animal fable with the lack of anthropomorphic and the modeling of the animal character. And then, this paper analyzes the spread of Aesop’s fables in the West: sermon, language learning, children’s enlightenment, literary appreciation, as well as the high degree of anthropomorphic and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 of animal roles. The paper shows their development tracks before the intersection of Chinese and Western fables, mainly the animal fables, which makes a paving study for the chemical reaction produced after the intersection of Chinese and Western fables.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he atmosphere of Chinese and Western cultures was relatively enlightened. The Jesuits had interspersed in the works of sermon before KuangYi waswritten. KuangYi has continued the practice of Chinese and Western cooperation and applied the book strategy of integration of Confucianism, Complement of Confucianism, and anti-Buddhism. The religious is throughout the book. Before the Opium War in the late Qing Dynasty, the atmosphere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the West was relatively confined. Yi Shi Yu Yan broke through the confinement and stil lwith th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heWest but in the way of theWest, took the language, the literature and the country as the purpose of translation, and took the localization as a strategy with the utilitarian through it. After the Opium War, the Chinese and Western cultural exchange continued. The language-oriented version of Yi Shi Yu Yan continued to spread. The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Western combination elements in KuangYi from three aspects of the story structure, the role of the image and the expressed philosophy thought. The formation of this feature is a mixture of several literary: Greek and Roman fables, Christian allegory, Chinese traditional fables and even quite mature 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t the same time,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s based on the idea of reconciliation between Catholicism and Chines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paper specifical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of non-standardization literal translation, popularization and localization of Yi Shi Yu Yan from three aspects of language teaching (lexical translation method), literature, and the effect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on reprint and newspaper promotion. The paper analyzes the literary influence on text. From the aspects of story, structure, theme and role etc., the paper specifically analyzes the influences of KuangYi on the fables of WuGan which was independently created by a Chinese writer. Based on the acceptance and discard of KuangYi and with the local re-creation, Li Shixiong has formed Chinese and Western combination fable style of Li Shixiong. The paper Sorted out the newspapers of the 1930s and 1980s, and explored the origins of the late Qing Dynasty newspapers and Yi Shi Yu Yan, analyzed the considerable influence of Yi Shi Yu Yan on the fable established name, local fable creation and promotion of other Western fables in the Chinese translation through the missionary newspapers and periodicals.In addition, the Yi Shi Yu Yan published in the newspaper with the form of pictures and texts made children’s literature begin to take shape. “Hai Guo Miao Yu”became attached to Yi Shi Yu Yan through missionary newspapers and periodicals. Because the mixture identity of compilers are Christian and the grassroots literati,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popularization have a little washback in the course of compilation, rewriting and supplement. And under the premise of integration of “Confucianism”, the book promoted the intersection between Christian and Chinese traditional moral to highlight its social education function. Thus, “Hai Guo Miao Yu” has the characteristic of originating from newspaper but beyond the newspaper, meanwhile, it reflects the inclusive open acceptance attitude of the port literati for Western culture. Dare to be the first of the world, KuangYi has held an unshakeable place in the history of Chinese translation literature. Unique heterogeneous culture (literary, religious) factors enrich the Chinese fable and directly contribute to the birth of WuGan, an imitation works with the combination of Chinese and Western. Both works are models for the integration of Chinese and Western cultures. However, the spread of KuangYi and its influence on Chinese fable literature is like an isolated force with depth but lack of range. Yi Shi Yu Yan has great contribution in the spread and influence of Aesop’s Fables in China through newspaper. Its wide spread has promoted the stereotypes and established name of Chinese fable genre and expanded the recognition of Western fables among Chinese readers; it also has an impact on the local fable creation, which promoted the born of the compilation of combination of Chinese and Western “Hai Guo Miao Yu”. These two works quietly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Chinese and Western fables. This shows that the literary forms, ideas and methods of overseas contact, touch and blend with the local literature with the promotion of newspaper, and final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fable literature, enriched the content of Chinese fable literature, and help the birth of modern Chinese fables.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Aesop’s fables on the Chinese fable literature begins with “KuangYi”, and the influence on Chinese fable literature prospers with Yi Shi Yu Yan. The two works provide all the possibilities of the Aesop’s fables on the Chinese fable literature, which is also the direction of my future research.

      • 尹致昊의『우순소리』저본 연구

        최선아 영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o find the original script of “Usunsori” I searched figures who contacted Yun Chi-Ho thoroughly based on his journal in this research. George R. Loehr who was a teacher of Anglo Chinese College was confirmed as an author of HaeHoonYooSul(孩訓喩說) which is the one of translated Aesop's Fables by western authors under the influence of EuSeupYooUn(意拾喩言) made by Robert Thom, and he is the same person with Brother Loehr on Yun's journal frequently and also belonged to the same Anglo Chinese College. I investigated Yun's journal in his Anglo Chinese College period and Jwaong Yun Chi-Ho Letters(佐翁尹致昊書翰集) in detail to find out the influence to translation of “Usunsori” by confirming George R. Loehr who is an author of HaeHoonYooSul(孩訓喩說) and Brother Loehr on Yun's journal is same person. As a result, Brother Loehr and George R. Loehr had been confirmed as the same person, and Yun's teacher George R. Loehr wrote HaeHoonYooSul(孩訓喩說) on 1900, student Yun Chi-Ho published “Usunsori” on 1908. George R. Loehr wrote HaeHoonYooSul(孩訓喩說) earlier and he acted as a catalyst to the birth of “Usunsori” as his teacher. And the dean of Anglo Chinese College Young John Allen let student Yun Chi-Ho to be exposed to Aesop's Fables naturally by publishing ManKookGongBo(萬国公報 The Chinese Globe Magazine) With reviewing translation trend of EuSeupYooUn(意拾喩言) by Robert Thom which is presumed to be one of original script and “Usunsori”, I tri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ranslation under each periodic background. As a result, compared to EuSeupYooUn(意拾喩言) which was made in Sinicized Aesop' fables of Chinese education for western people, “Usunsori” by Yun Chi-Ho was wrote for the enlightenment of majority of people by translation in radically changing environment among Japan, China, Western powers. But even though they had different purpose, Yun Chi-Ho eventually translated to let readers contact author directly without any interference as possible as EuSeupYooUn(意拾喩言) by Robert Thom. Also I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Usunsori”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eHoonYooSul(孩訓喩說). Robert Thom in 1840, George R. Loehr in 1900, Yun Chi-Ho in 1908 used translation method with their own message to deliver depending on each periodic environment and their social status. As we can see, translation is not just translation itself equivalence to it but also we can understand messages which it delivers enough when understood at wider point of view including language, culture and periodic background. 1908년 윤치호에 의해 제작된 『우순소리』는 20세기 초 조선의 번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작품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그 저본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분명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번역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 인물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순소리』의 저본을 찾기 위해 3단계에 걸쳐 조사하였다. 첫째, 윤치호의 일기와 『(국역) 佐翁 윤치호 서한집』등을 바탕으로 윤치호가 접촉한 인물들을 면밀히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윤치호의 『우순소리』는 다수의 이야기가 『의습유언(意拾喩言)』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을 참고하여 집필되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우순소리』는 선교사와 중서서원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근거로 먼저 중서서원의 교사이자 목사 조지 알 로에(Rev. Geroge R. Loehr)가 상해상무인서관(上海商務印書館)에서 로버트 톰의 『의습유언(意拾喩言)』을 저본으로 우화집 『해훈유설(孩訓喩說)』를 출판했다는 점과, 윤치호의 일기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인물인 「Brother Loehr」와 조지 알 로에는 동일 인물로, 윤치호의 스승이자 먼저 『이솝우화』를 번역한 번역가로서 『우순소리』의 집필에 촉매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중서서원의 학장 알렌이 창간한 「만국공보(萬國公報)」로 『의습유언(意拾喩言)』의 우화들을 정기적으로 게재함으로써 당시 학생이었던 윤치호는 자연스럽게 우화들을 접했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마지막으로 『의습유언(意拾喩言)』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해훈유설(孩訓喩說)』과 『우순소리』에는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스토리가 총10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솝우화』 중 현존 선본(先本)인 『그리스 본』에 기인하여 『우순소리』의 내용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그 조사를 바탕으로 로버트 톰의 『의습유언(意拾喩言)』, 조지 알 로에의 『해훈유설(孩訓喩說)』, 와타나베 온의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 『우순소리』를 각각 비교 분석하여 그 저본을 추적하였다. 먼저 『의습유언(意拾喩言)』과 『우순소리』를 비교 검토한 결과, 『의습유언(意拾喩言)』의 개정판 『이사보유언(伊沙菩喩言)』에는 종교적 신화적인 이야기가 대폭 생략되어 출판되는데, 그 생략된 이야기가 『우순소리』에 번역되어 재등장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윤치호는 『이사보유언(伊娑菩喩言)』등과 같은 개정판을 본 것이 아니라 직접 『의습유언(意拾喩言)』를 보고 『우순소리』를 집필했을 개연성이 크다고 보았다. 또한 『의습유언(意拾喩言)』과 『우순소리』가 제작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번역 경향을 비교한 결과, 번역의 원 목적은 서로 달랐지만, 윤치호는 로버트 톰과 같이 “가능하면 독자에게 간섭하지 않고 작자가 독자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으로 번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해훈유설(孩訓喩說)』의 구성과 특징을 조사하여 『우순소리』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은 『우순소리』가 창작되는 과정에 모티브가 되는 이야기를 제공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 『우순소리』를 비교 분석한 결과,『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는 토마스 제임스의 『이솝우화』를 일본어로 초역(抄譯)이고, 『의습유언(意拾喩言)』의 저본은 로저 러스트레인지 경의 영역으로 각각 그 저본이 다르고, 『우순소리』의 번역 방식도 『의습유언(意拾喩言)』과 비슷하며,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조사에 근거하여, 『우순소리』는 『伊娑菩喩言』와 같은 개정판이나 와타나베 온의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를 보고 번역했다기보다는, 『의습유언(意拾喩言)』을 직접 보고 참고했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볼 수 있다. 1840년의 로버트 톰, 1900년의 조지 알 로에, 1908년 조선의 윤치호는 눈에 보이지 않는 ‘価値’를 통해 각자의 시대적 상황과 자신들의 신분에 맞춰, 각자의 목적에 따라, 번역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번역을 단순한 형식적 등가의 개념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언어의 문제뿐만 아니라 문화와 시대적 배경까지 포함해서 광범위한 시점에서 작품을 볼 때 그것을 제작한 이가 전하고자 하는 진정한 메시지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이솝우화의 효과와 활용방안

        이정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1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focuses on sustaining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formed in elementary school. Reading skills in an EFL situation like Korea are more important than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EFL students rarely have an opportunity to speak English outside of English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written word surrounds us dai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is problem is to strengthen reading activities, like offering them a lot of materials to read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effective ways to use Aesop's Fables as reading materials and to find the positive effects of EF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eaching Aesop's Fables in an extra English class once a week for 18 weeks. The research problem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will analyze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on learning English. 2) This study will analyze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on improving EF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is experimental. The subjects consist of 70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of N middle school in Dalseong-gun, Daegu.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learned Aesop's Fables. The reason for choosing them is that they are easy and interest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s important that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reading English through Aesop's Fables. A textbook which the students in subject groups are not learning in English classes is used as teaching materials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for this study is based on a questionnaire,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est scores and English examination scores in this schoo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es, all students in two groups answer the questionnaire concerning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After Aesop's Fables classes,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answer the questionnaire for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on reading comprehension. All the students in the two groups take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ests twice to collect the data. The material for the tests used is Multiple Reading Skills B by Richard A. Boning(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esop's Fables' classes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ir learning English. Second, Aesop's Fables are more effective materials for getting students to show interest in other English reading materials. Third, Aesop's Fables are more effective materials for preparing for the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at English examinations in this school than other textbook materials . Based on the above results, Aesop's Fables help students increas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The students gain interest in other reading materials through Aesop's Fables classes. The fables will form the basis of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English. Therefore, the research for a variety of reading materials development using proper fabl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needs to be conducted to promote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and to improve thei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the future.

      • 영어동화를 이용한 영어학습에서 배경지식의 역할

        이은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실질적인 영어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한다는 지속적인 지적에 따라 문자 언어인 읽기와 쓰기보다는 음성 언어인 말하기와 듣기의 교육에 더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은 수업시간에만 영어를 접할 수 있는 제한적인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임에도, 공식적으로 영어를 처음 접하게 되는 대상인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들의 교과서를 살펴보면 문자는 거의 없고 오직 한글로 된 설명과 그림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한적인 EFL 환경에 있는 아동들이 동화를 많이 접하게 되면 어휘력 향상과 더불어 표현력과 상상력까지도 향상된다. 그리고 다양한 직·간접적 배경지식이 쌓이게 되어 이해력이나 상황 판단력, 상대방의 감정에 대한 공감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갖게 된다. 동화를 영어 교육에 적용할 경우에 외국어 학습이란 이점과 더불어 이러한 장점까지도 함께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뛰어난 점을 다양하게 가진 동화를 영어 교육에 활용할 때 어떤 동화를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동화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면 아동이 접해 본 적이 있는지, 없는지로 나눌 수가 있다. 이것은 다시 배경지식을 가진 동화와 가지지 않은 동화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배경지식의 유·무에 따라서 실제 영어 수업 후에 어떠한 결과의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수업은 경상남도 양산시 소재의 D초등학교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에 사용할 동화를 배경지식 유·무에 따라 각 4권씩 총 8권을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의 진행은 2015년 9월 한 달 간 매주 월요일과 수요일에 한 차시씩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의적 영역에 관한 설문지와 실험 수업에 대한 설명 등을 위하여 실험 수업 전·후로 각 한 차시씩 추가하여 총 10차시에 걸쳐서 진행하였다. 평가는 선정 동화에서 발췌한 단어를 통해 어휘 평가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험 수업 이후 각종 설문지와 평가지 자료 분석은 SPSS 10.0과 엑셀 2007을 활용하였다. 위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아동들은 배경지식을 가지지 않은 동화를 평균적으로는 조금 더 선호하였으나 각 동화별로 선호도는 다르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아동들은 영어 동화를 활용한 실험 수업 이후 영어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이 모두 증가하였고 부정적인 면은 감소하였다. 셋째, 배경지식을 가진 동화보다 배경지식을 가지지 않은 동화 평가지의 평균 향상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경지식을 가진 이솝우화를 통한 영어 수업에서보다 배경지식을 가지지 않은 창작동화를 가지고 영어 수업을 할 경우 아동들의 영어 어휘 향상도의 평균이 더 높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파닉스 과정을 마친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영어 수업을 진행할 때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창작동화를 선정한다면 영어 학습 결과가 향상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