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박재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vement activities based on nature experiences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preschoolers who comprised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t one kindergarten in D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ctivities based on nature experiences for a total of 20 times for 10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only movement activities based on Nuri curriculum.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by Yoem(1998) and Children's Playfulness Scale by Barnett(1991)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Yoo(199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NCOVA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children's daily stress and its sub-categor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ctivities based on nature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total score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its sub-categor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vement activities based on nature experiences were effective for reduci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increasing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It is suggested that movement activities based on nature experiences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programs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daily stress and to increase children's playfulness. 본 연구는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광역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학급 58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동수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을 10주간 20회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동작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염현경(1998)이 개발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와 Barnett(1991)이 개발하고 유애열(1994)이 번안한 유아의 놀이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일상적 스트레스 전체 점수 및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놀이성 전체 점수 및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와 놀이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연체험을 통한 동작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와 놀이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성영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는 어떠한가? 2.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구성은 어떠한가? 2-1.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2.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2-3.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2-4.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평가는 어떠한가? 3.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라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반편견 이론의 핵심개념을 명료화하고 반편견 교육의 기본 가치와 방향을 정립하였다. 둘째, 연구동향 분석 및 조사연구 단계에서는 반편견 교육과정의 실천적 준거 수립을 위해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반편견 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반편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실태, 요구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행하여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시안구성 단계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준거와 조사연구를 통한 실천적 준거 내용을 기초로 반편견 교육과정 시안을 개발하고 교육과정 준거를 설정하였다. 넷째, 전문가 협의 및 수정 단계에서는 9인의 학계 및 현장 전문가에게 교육과정 구성체계 및 개발과정,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타당성 질문을 통해 종합적인 평가와 논의과정을 거쳤다. 다섯째,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 확정 단계에서는 전문가들의 의견과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가 반영된 최종 반편견 교육과정을 확정하였다.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구성은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편견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 유아가 정체성, 다양성, 공정성, 실천성을 획득하여 교실 공동체가 변화되고 나아가 사회가 변화됨으로써 존중과 평등의 가치 아래 정서적인 안녕을 누리는 것이다. 둘째, 교육내용은 유아에게 익숙한 생활주제와 교육과정 속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편견의 영역 즉, 능력, 연령, 외모, 계층, 문화, 가족구성, 성, 인종 등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발현적으로 나타나는 유아의 편견과 고정관념, 차별적인 말과 행동 등이 포함된다. 셋째, 교수-학습방법은 교사가 이야기나누기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활동과 하루일과 속에서 촉진자로서 적극적인 질문과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된다. 넷째, 교육평가는 교사에 대한 평가와 유아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교사평가는 교사가 반편견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유아에게 적절한 질문과 상호작용을 통해 반편견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는지, 교실 공동체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평가한다. 유아 평가는 유아가 정체성, 다양성, 공정성, 실천성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를 형성했는지를 평가한다.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적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 적용은 5월 첫째 주부터 7월 넷째 주까지 12주 동안 충청북도 A유치원 만 3세반 학급에 수행되었다. 실험집단 학급의 교사와 교육과정 협의회를 통해 연간교육계획안을 토대로 생활주제와 유아의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반편견 교육과정의 적용을 계획하였다. 연구자와 실험집단 교사는 매주 주간 협의회를 통해 전개된 반편견 교육에 대해 평가하고, 그 다음 주에 계획된 반편견 교육내용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반편견 교육활동은 주로 대·소집단활동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수행되었으며 하루일과 속에서 비형식적으로 수행되는 반편견 교육은 교사의 촉진적인 질문과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개되었다.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처치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아편견 검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반편견 교육과정이 유아의 편견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편견검사 결과를 점수화하여 전체 반편견 점수 증가분에 대해 독립검정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을 제외한 인종, 외모, 계층, 가족구성, 장애 하위 요인에서 t값 5.55, 유의확률 p<.001,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은 유아의 편견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편견 교육과정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반편견 교육 연구에서 초점을 두어왔던 인종의 차이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능력, 연령, 외모, 계층, 문화, 가족구성, 성별 등 편견의 다양한 영역과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단일 인종과 공동체 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다양성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일반 교육과정에 반편견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가 자연스럽게 통합된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해 기존 교육과정과 협력적인 체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유아의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중재의 매개효과

        방혜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유아의 몰입경향성의 관계에서 어머니 중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542명(남아 275명, 여아 267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였다.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박정원(2013)이 수정·재구성한 설문을 본 연구자가 스마트기기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중재는 Nathanson (1998)의 미디어 중재 측정도구와 방송위원회(1991)의 연구의 내용을 수정·보완한 박선영(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유·아동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2011)를 수정·보완한 이명숙(2017)의 도구를 사용하여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유아의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중재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중 호의도와 불안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고, 어머니의 중재 중 권유하는 중재는 보통 정도 수준이고 제한하는 중재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며,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다. 둘째,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어머니의 중재, 유아의 몰입경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호의도와 몰입경향성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고, 불안감과 유아의 몰입경향성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금단,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내성), 어머니의 호의도와 어머니의 권유하는 중재, 어머니의 불안감과 어머니의 제한하는 중재, 어머니의 권유하는 중재·제한하는 중재와 유아의 몰입경향성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금단,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내성)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다. 셋째,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불안감과 유아의 몰입경향성 관계에서 어머니의 제한하는 중재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불안감은 어머니의 제한하는 중재를 통해 유아의 몰입경향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어머니의 불안감은 유아의 몰입경향성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도 하고, 제한하는 중재를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유아의 몰입경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중재 역할의 중요성을 알리고, 더 나은 교육환경의 추구와 실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관련하여 효과적인 어머니의 태도, 중재 방법 및 다양한 대안책에 대해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연관되는 다양한 부모 변인에 대한 연구확대 필요성의 근거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mediation in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ttitude and infant’s immersion tendency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For a research, this study selects mothers from five hundreds and forty three 3,4, and 5 year-old infants (275 male infants, 267 female infants) who attend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s a subject of study. For the mother’s attitude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in this study, it revises questionnaires with mother’s composition edited and revised by Park, Jeong-won(2013) for smart device. For the mother’s mediation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in this study, it revises measurement tools edited and revised by Park, Sun-young(2013) with mother’s composition from measurement tools of media arbitration by Nathanson(1998) and research by Korean Broadcasting Commission(1991). For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into smart device, in this study, it revises measurement tools edited and revised by Lee, Myeong-suk(2017) with mother’s composition from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infant and child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 Moreover, this study conducts mechanical statistics of each variables from the collected data and it also conducts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to find a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Furthermo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mediation for an effect of the mother’s attitude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on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this study conduct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verification procedure for mediating effect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and it also conducts the Sobel test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arameters directly. To summarize it, there is a result as follows. First of all, in case of general tendency about measurement variables, the mother’s attitude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has a high level scale more than average on both favor and anxiety. In case of suggestion from the mother’s mediation, it has a average level scale, however, in case of restriction from the mother’s mediation, it has a high level scale more than average. Lastly, in case of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to smart device, it has a low level scale more than average. Second, there is a meaningfully non-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favor and disorder in everyday life as a sub-factor of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according to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attitude, the parental mediation, and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However, there is a meaningfully statistical relationship according to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and its all sub-factor (withdrawal, disorder in everyday life, directivity of virtual life, and tolerance) and also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favor and mother’s recommendation, mother’s anxiety and restriction, mother’s recommendation and restriction and all factor and sub-factor of infant’s immersion tendency (withdrawal, disorder in everyday life, directivity of virtual life, and tolerance). Third, the mother’s restriction of smart devi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nxiety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and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In conclusion, the mother’s anxiety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has a partial effect on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through the mother’s restriction as the mediation. In other words, the mother’s anxiety can increase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directly and it also can increase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indirectly by restriction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 As a result, at first, this study informs an important role of the parental attitude and mediation about infant’s use of smart device, moreover, it can contribute to help pursuit and implement for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efficient parental attitude, mediating way, and various alternative in regard with the infant’s immersion tendency into smart device. Third, at last, this study become a basis for extending a research for various parental variables in regard with the immersion tendency into smart device.

      • 만 3세반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홍은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반의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과정이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찾아보는 데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반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 활성화를 위한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2. 그 실행과정이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경기도 H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3세 S반에서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만 3세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21일까지 12주에 걸쳐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총 3차의 실행과정을 거치며 각 실행과정은 3주의 실행 후 1주의 평가 및 재실행 계획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동영상 녹화자료, 전사기록자료 및 사진, 참여관찰기록, 연구자 저널, 교사협의 기록, 지도교수와의 면담기록 등이다. 수집된 자료는 수학적 의미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으며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 활성화를 위한 실행과정’과 ‘실행과정이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반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 활성화를 위한 실행과정은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 부족이라는 만 3세반 수학활동 운영에 대한 문제 인식에 따라 개선방안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평가, 재계획하여 재실행하는 순환적 과정이 3차에 걸쳐 실시되었다. 문제 인식에 따른 해결방안은 ‘오전 우유간식 시 일상 속 수학적 경험’과 ‘점심식사 후 이동 시 일상 속 수학적 경험’의 두 가지 활동으로 계획하여 실행되었다. 오전 우유간식 시 일상 속 수학적 경험은 1차 실행: 유아들이 직접 모둠의 친구들에게 우유 배식하기, 2차 실행: 수학적 경험 확장을 위한 환경제공하기, 3차 실행: 유아와 함께 문제 해결하기로 이루어졌으며 점심식사 후 이동 시 일상 속 수학적 경험은 1차 실행: 익숙한 장소의 사진으로 경로 순서지어보기, 2차 실행: 결과적 오류보다 과정에 초점 두어 의사소통하기, 3차 실행: 맥락이 통하는 확장활동 제공하기로 이루어졌다. 둘째, 실행과정이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은 능동적인 태도로 수학적 경험을 즐기는 모습을 보였으며, 수학적 오류를 통해 수학적 의사소통을 하며 서로에게 배우고 수와 연산 능력 및 공간과 도형인식 능력이 향상되었다. 교사는 실행과정을 통해 유아 수 교육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유아와 함께 배우는 교사의 자세를 경험하고 우연히 일어난 상황을 교육적으로 이끌기, 탐구중심의 유아 수학 교육자 되기와 같은 유아 수학 교육자로서의 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 이 논문은 2020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쓰기 능력, 쓰기 흥미와 내용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김상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흥미 주제에 따른 동시 짓기 활동을 통해 유아의 쓰기 발달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 교육적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동시 짓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아들의 쓰기 능력, 쓰기 흥미, 동시에 대한 내용 이해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쓰기 능력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쓰기 흥미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동시에 대한 내용 이해도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공립 유치원인 J유치원과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학급에서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 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16주로 정했으며 연구절차는 유아의 쓰기 능력, 쓰기 흥미, 동시에 대한 내용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3월에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7월부터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20명에게는 Project 접근법에 기초한 주간 교육이 끝난 후 동시 짓기 활동이 이루어졌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사전 및 사후검사로서 유아의 쓰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Lamme과 Green(1990)이 개발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쓰기 흥미 측정 도구는 관찰기록을 하였으며, 동시 내용 이해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는 박혜경(1990)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분석기법은 사전-사후검사간의 점수 차이를 알아보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실험결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해 t-test(t검증)를 실시하였다. 유의도 검증에 이용된 유의수준은 5%(*p<.05)였다. 또한 유아의 쓰기 흥미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와 보조교사가 유아의 행동을 관찰기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쓰기 능력은 동시 짓기 활동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의 쓰기 흥미는 동시 짓기 활동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의 동시에 대한 내용 이해도는 동시 짓기 활동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 그림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서혜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그림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하여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참가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대해 그림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Y유치원의 만5세 유아 2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경제적 수준이 비슷한 3학급을 임의로 구성하였으며, 각 학급에서 유아의 연령과 성별의 비율을 고려하여 남자 12명, 여자 12명으로 24명씩 총48명을 선정하였다. 이들 중의 유아들을 각각 2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다. 그림놀이 프로그램의 실시는 주1회 30분 내지 40분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10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그림놀이 프로그램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그렇지 못한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1) 유창성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유창성을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2) 융통성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융통성을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3) 독창성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제목의 독창성을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4) 상상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상상력을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그림놀이 프로그램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창의성의 각 하위요인들은 차이가 있었다. 1) 유창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성별과 관계없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창성 점수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2) 융통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성별과 관계없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융통성 점수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 독창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독창성 점수에 있어서 남아보다는 여아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4) 상상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상상력 점수에 있어서 남아보다는 여아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상상력과 확산적 사고를 촉진시켜 창의성이 증진되었다. 즉 그림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문제상황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을 모색해 보도록 상상의 기회를 확대시켜 창의성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laying program using painting on Kindergarten children's creativity. The experiment was executed by 24 children of five years old attending Y kindergarten in Busan City.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12 children received group counseling,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anther 12 children received no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 The experiment group was carried out one time every week 30~40 minutes lasting 10 sessions. Instrument of the study are 'Creativity Test'. It was administered two times, before and after the group counseling.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of follow: First, the playing program using painting may be a major factor to develop creativity by stimulating children's curiosity. Because the survey shows that the children taken the playing program using painting had much points than those kids don't taken playing program using painting. So it can learn children's creativity is possible to develop. Second, the resul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n children's total creativeness development to sex. It seems like many pre-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 and creativity. Because before and after inputting the program the test showed that girls had much points than boys on creativeness although there was no effect according to sex in the comparison of increasing amount of each points. Besides it need to consider sex is major factor because girls had more effective results in the program in researching kid's creativeness.

      •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비교 : 중국 광서장족자치구 북해시를 중심으로

        진민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유아 수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광서장족자치구 북해시의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 각 251명 총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를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퍼센트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유아 수학교육의 목적과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F검증과 사후검증을 하였고 수학교육의 교수 방법과 정도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x2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수학교육 목적의 중요성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유치원 교사가 어머니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 형성’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차이가 전체적으로 없었고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다른 내용보다 유치원 교사가 ‘분류, 정렬 및 대응’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중국 어머니가 ‘수, 계수 및 수의 연산’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유아 수학교육의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 수학교육에 적합한 집단형태에 대해 유치원 교사가 소집단활동으로, 중국 어머니가 대집단활동 활동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 수학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역할에 대해 유치원 교사와 중국 어머니는 모두 수학활동 촉진자가 다른 역할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어머니는 교사보다 수학활동 촉진자와 수학 환경 제공자라는 인식이 훨씬 높았으며 반면에 수학활동 계획자와 관찰자라는 인식이 교사보다 낮았다. 수학 학습방법에 대해 유치원 교사와 중국 어머니는 모두 게임이나 놀이를 통한 방법이 효과가 가장 좋고 반면 수학활동학습지를 통한 방법이 효과가 가장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교육에서 적합한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는 다른 평가방법보다 모두 행동 관찰이 유아 수학교육의 제일 적합한 평가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국 어머니가 구두평가와 유아 활동결과물에 대한 인식은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유아 수학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 연령에 적합한 수학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은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는 다른 정도보다 모두 유아가 수학을 배우는 것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를 가져야 하고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중국 어머니의 인식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수학 계산 능력과 숫자에 대한 읽기 능력 정도에서 유치원 교사보다 어머니는 자녀가 실제로 숫자를 읽고 쓰기와 계산을 배우기를 더 원하였다. 소학교 1학년 입학생에 적합한 유아 수학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은 절대 다수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들은 다른 정도보다 유아들이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와 교과 진도에 맞게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였다. 그러나 유치원 교사들은 수학을 배우는 것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가 교과 진도에 맞게 따라가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어머니는 그 반대라고 생각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502 preschool teachers and mothers of 251 preschool teachers in Beihai, Guangxi, China.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determine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The F-test and the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x2 test was carried out to recognize the teaching method and degree of mathematics education. F-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mothers, and they all recognized that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 solve problems was the most important. Although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betwee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ontent, and all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more than any other kindergarten teachers' classify, sort and respond ', Chinese mothers' number, count and number Operatio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econd,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as the small group activity and the Chinese mother as the large group activity. On the role of kindergart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nese mothers recognize that mathematics facilitators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roles, but mothers are much more aware of mathematics facilitators and mathematics providers than teachers. The perception of mathematics activity planners and observers was lower than that of teachers. On the way of learning mathematics,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nese mothers thought that the method through games and play was the best, while the method through the math activity worksheet was the least effective.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found that behavior observation was the mo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an other evaluation methods. Chinese mothers, on the other hand, were more aware of verbal evaluations and outcomes of early childhood activities than teacher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mathematics education suitable for the age of early childhood,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should have more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children's mathematics than any other degree. I think it should be possible, and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hinese mothers. But in mathematics and reading skills, mothers wanted their children to actually read, write, and calculate numbers. Most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agreed that children should follow the confidence, attitude and curriculum of mathematics more than others. Bu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at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mathematics was more important than keeping pace with the curriculum, while my mother felt the opposite.

      •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이현지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multimedia usage and their percep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and the effect of multimedia utiliz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74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charge of ages 3 to 5 in Seoul and Gyeongg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multimedia use by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3. What is the effect of multimedia utiliz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First, multimedia was utilized 5 days a week, and the frequency of using them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institutions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in charge, and they were used in the class for less than 30 minutes a day on average. The activity type was found to be the most used in large/small group activit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institutions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in charge. In the case of activity stage, it was found to be used the most at the development stage. The multimedia contents mainly include web­based contents, which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careers and the ages of children in charg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modified and utilized multimedia materials according to educational purposes, which are different depending on institutions. Second,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 of multimedia, the early childhood teacher responded that multimedia is necessary because there are abundant multimedia contents to use. Many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main purpose of using multimedia is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useful to the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multimedia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multimedia materials for each activity topic to be used in class. To solve the issu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distribute multimedia programs that fit in well with children’s developme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responded that they strongly need a training on the use of multimedia in class relevant to the production and integrate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 The multimedia utilization effect in the class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high, with an average of 3.98 points based on the 5 point sc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ultimedia use in cla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erception of effect of multimedia use had an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with 1 to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actions that supported development, and the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effects of multimedia utilization were found to h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background variables and multimedia utilization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In the ages of the children in charge,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of the four­-year-­old teach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three­year-­ol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ddition, the higher teachers perceive the effects of multimedia utilization, the stronger the interaction i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is stud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actual use of multimedia devices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grasped the actual use of multimedia materials used through computers during the day and analyzed the effect of multimedia utilization educ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gives the direction for the effective ways of utilizing multi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multimedia utilization educ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와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멀티미디어 활용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의 만 3-5세를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과 피셔의 정확한 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는 어떠한가? 2.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멀티미디어 활용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대부분 일주일 중 주5일 활용하고 이는 기관유형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30분미만 수업에 활용하고 있었다. 활동유형은 대소집단활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기관유형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활동단계의 경우 전개단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자료는 웹기반 자료를 주로 사용하고 이는 교사 경력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멀티미디어 자료는 교육목적에 따라 수정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교사는 활용할 자료가 풍부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필요성에 높게 응답했다. 주 활용목적은 생활주제에 맞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어려운 점은 활동주제별 활용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는 유아발달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연수의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한 연수의 내용으로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재교구 제작과 통합적 활용의 내용이었다.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효과는 5점 척도 기준 평균 3.98점으로 나타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멀티미디어 활용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일반적 배경과 활용교육의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 멀티미디어 활용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1-­3년 경력의 교사가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과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5년 이상 경력 교사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효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과 유아교사가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효과 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엔 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인 경우가 1년 미만인 경우에 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담당유아연령이 만 4세인 경우 만 3세인 경우에 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가 멀티미디어 활용의 효과를 높게 인식할수록 멀티미디어 활용 시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위주로 이루어졌던 선행연구와 달리 유아교육기관의 하루일과중 컴퓨터를 통해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자료와 활용 방법에 대해 실제적인 활용실태를 파악하고,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바람직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엄현용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영ㆍ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영ㆍ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영ㆍ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영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영ㆍ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담임교사 116명, 유아반 담임교사 109명 총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다중지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Armsrtong(1994)에 의해 개발된 대학생 및 성인용 MI 발달 평가 척도(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Scale: MIDAS)를 전윤식과 강영심(1997)이 번역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Jorde_Bloom(1988)이 제작한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CJSS)중에서 직무만족도 구성요인만을 송유진(1993)이 번역한 설문지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측정변수의 기초통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에 따른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교사와 유아 교사에 따른 다중지능은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언어지능은 유아교사가 영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성찰 지능은 영아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교사와 유아 교사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지 연구한 결과,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에서 영아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먼저 영아교사는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동료와의 관계가 다중지능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원장과의 관계는 자기성찰 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자체는 언어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근무환경은 자기성찰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고, 보수와 승진기회는 논리수학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동료와의 관계는 자기성찰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으며, 원장과의 관계는 자기성찰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직무자체는 공간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고, 근무환경은 자기성찰 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보수와 승진기회는 대인관계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넷째,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아교사의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대인관계지능, 공간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동료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언어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신체운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직무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공간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공간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근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영아교사의 논리수학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보수와 승진기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의 다중지능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고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중지능 영역이 발전되고, 영⋅유아 교사 각자의 강점지능이 긍정적으로 발휘되며 교사 간에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and how they affect job satisfaction leve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ccomplish this purpos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between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3-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3-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4. How does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ffect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included 116 infant teachers and 109 preschool teachers. Ovaerall, 225 preschool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childcare foundation. MIDAS, which was invented by Armstrong(1994) and translated by Jeon, YounSik and Kang, YoungSim for collegues and adult, was used as a reseach tool to discover multi intelligence Among ECJSS which is invented by Jorde Bloom(1988), job satisfaction component factors were revi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translated by Song, YuJin and used for measuring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and used as a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identify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xamples and basic statistics of measurement parameters. T-tes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fter searching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the linguistic intelligence level was higher of preschool teachers as compared to infant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level was higher with infant teachers over preschool teachers. Second, after searching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infant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than pre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duty, and job environment. Third, after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nfant teachers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hich wa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relevant to interpersonal intelligence, which was a subfactor of multiple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job itself was most relevant to linguistic intelligence. The job environment was the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Promotion opportunities and reward were most relevant to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fter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Duty was most relevant to spatial intelligence, and job environment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promotion opportunities and rewards were the most relevant to interpersonal intelligence. Fourth, the result of research the influence that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 affects job satisfaction level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affects on relationship with coworker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next,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affects on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affect on duty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Spati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spati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affect on job environment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at the last,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affect on reward and promotion opportunity which ar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have a clos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therefore, Knowing that job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areas are developed tha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trengths of each teacher of infants and preschool will be displayed positively, and teachers will also need to find ways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develop programs to help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