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정은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to enhance their social competence by proving the factor that affects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0 children 3 to 5 year-old attending kindergartens and childcar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reg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adapted from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 by Kim Hye-Yeon (2008)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s To measure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also used; it was revised by Oh Jee-Hyun (2010) with some contents of ‘Children Temperament Measurement’for 3 to 7 year-old children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Thomas, Chess and Korn (1977). In additi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s measured by ‘assessment of peer competence’ which was devised by Park Joo-Hee and Lee Eun-Hae (2001) in order to measure child peer competence with evaluation from their teacher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compute the average and standard variation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temperament of young child, social competence as well as to verify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 sociability, pro-sociality, personal initiativ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intimacy and conflict, sub-variables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Intimacy, one of sub-variables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had positive correlation and other sub-variable, conflic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it. Seco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pro-sociality and personal initiative,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pproach-withdrawal,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sub-variables of temperament of young child. On the other hand, reactivity, one of sub-variables of young child’s temperamen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pro-sociality and personal initiative,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 Approach-withdrawal,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which is some sub-variables of child tempera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variables of child social competence. In case of reactivity, i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itia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sociality. Third, it is proven that the variable which affects sociability, as child social competence, is intimacy, sub-variabl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approach-withdrawal, quality of mood that are sub-variables of child temperament. Also it is proven that the variable which affects prosociality, one of child’s social competence is intimacy, a sub-variabl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and reactiv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child temperament. Lastly, it is proven that variables which affect personal initiative, one of child’s social abilities, are intimacy, sub-variabl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approach-withdrawal,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sub-variables of child’s temperament. It can be said that the variable which affects all of sub-variables is intimacy, the sub-variabl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quality of mood, the sub-variable of child’s temperament. 본 연구는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향상을 돕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및 어린이집의 만 3~5세 유아 30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교사-유아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 Pianta(1991)가 제작한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STRS)로 김혜연(2008)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Thomas, Chess와 Korn(1977)이 개발한 만 3~7세 유아를 위한 「유아 기질 평가」의 내용 중 오지연(2010)이 수정해 사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능력은 교사의 평가를 통해 아동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사-유아의 관계, 유아의 기질, 사회적 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은 교사-유아의 관계의 하위 변인인 친근감과 갈등 모두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의 관계의 하위 변인 중 친근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갈등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은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인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 중 반응성의 경우,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중 친사회성과 주도성과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 중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는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반응성의 경우 주도성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친사회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유아의 관계의 하위 변인인 친근감과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 중 접근-회피성, 기분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유아의 관계의 하위 변인인 친근감과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 중 적응성, 기분상태, 반응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유아의 관계의 하위 변인인 친근감과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 중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유아의 관계의 하위 변인 중 친근감과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 중 기분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 유아의 기질, 행동억제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장윤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child’s task challenge and motivation development and appropriate parenting information by examining correlations among child’s tempera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effects on 5-year old child’s response to task rechallenge.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 202 pairs of 5-year old children enrolled in 12 daycare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In order to examine child’s response to task rechallenge, puzzle task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child and questionnaires for collecting data on child’s tempera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circulated to mother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18.0 software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atterns, differences, correlations and causal effects of the main variables. Main results of the paper are the following. First, children exhibit a higher level of challenge orientation than the median value, and the levels of child’s tempera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parenting behavior as perceived by mothers, with the exception of overprotection and excess allowance, also ar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s. Child’s use of a longer time to finish puzzles after experiencing a failure is related to effort attribution and aversion to challenge. Also, the value of self as perceived by child after experiencing a failure is shown to be related to ability attribution, expectation of future task and challenge orient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in child’s task rechallenge due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boys tend to show a higher level of task rechallenge due to ability attribution than girls, and a child of a working mother tends to show higher levels of conditional self-value and challenge orientation as perceived by the self with respect to his/her ability to play puzzles than a child of a stay-home mother. Third, the sub-variables of child’s tempera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partially exhibit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and are related to child’s challenge-oriented response or challenge aversion to previously failed tasks. Fourth,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child’s tempera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child’s task rechallenge,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children with sensation seeking or risk aversion traits exhibit tendency for greater behavioral inhibition, children of mothers with overprotection and excess allowance in parenting show higher levels of aversion to challenge, and children of stay-home mothers preferring parenting with limitations show higher levels of challenge orientation. The results of sub-variable analyses suggest that as children do not exhibit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refer parenting with limitations, children are more likely to exhibit ability attribution and challenge orientation, and as children have higher levels of patience and mothers prefer parenting with love and encouragement, children show higher levels of effort attribution and challenge orientation. Also, as children show higher levels of patience and stay-home mothers prefer parenting with love and encouragement, children tend to exhibit higher levels of response with goal orientation to complete the failed tasks, and as children show lower levels of risk avers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refer parenting with overprotection and excess allowance, children tend to have higher expectations of task completion even after failures. On the other hand, regression results are not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effect on children’s conditional self-value. This paper confirms that child’s tempera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ve effects on child’s challenge oriented or challenge averse response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mother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temperament to avoid creating a risk factor for new challenges, avoid excessively inhibiting their behavior and perform compassionate parenting such as setting restrictions and providing encouragement for children to try challenges even after experiencing failure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offer education on parenting through child care and educational facilities at the society level in order to expand the meaning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lay-focused education that promotes child’s autonomy and new challenges.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유아 기질, 행동억제 및 어머니 양육행동 변인 간 관련성 및 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도전과 동기 발달에 대한 이해 및 바람직한 양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12개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02쌍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별 유아를 대상으로 퍼즐 과제와 면접을 실시하였고, 유아의 기질, 행동억제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어머니용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변인들의 양상, 차이, 상관관계,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유아들은 중앙값보다 높은 수준의 도전 지향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 어머니들이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행동억제 및 양육행동에서도 과보호·허용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중앙값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실패경험 전과 실패경험 이후 퍼즐을 완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은 노력귀인과 도전 회피적 반응을 보이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패경험 전과 실패경험 이후 유아 자신이 지각하는 자기 가치는 능력귀인, 미래 수행에 대한 기대 및 도전 지향적 반응을 보이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 과제 재도전 반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은 남아가 여아보다 능력에 귀인하는 재도전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취업한 어머니의 유아보다 전업 어머니를 둔 유아가 실패 이후 자신의 퍼즐 수행 능력에 대해 지각하는 조건부 자기 가치와 도전 지향적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 행동억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하위변인은 부분적으로 정적 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유아가 실패한 과제에 대하여 도전 지향적 반응을 보이는 것 혹은 도전 회피적 반응을 보이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기질, 행동억제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극추구 또는 위험회피 기질인 유아의 행동억제 성향이 높고 어머니가 과보호·허용 양육행동을 지향할수록 유아가 도전 회피적 반응을 보이며, 전업 어머니가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지향할수록 도전 지향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별 분석결과는 유아가 자신의 행동을 억제하지 않고 어머니가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지향할수록 유아가 능력에 귀인하며 도전 지향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인내력 기질이 높고 어머니가 온정·격려 양육행동을 지향할수록 유아가 노력에 귀인하며 도전 지향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내력 기질이 높고 전업 어머니가 온정·격려 양육행동을 지향할수록 유아가 실패한 과제에 대하여 완성을 위한 목표지향 반응을 높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가 위험회피 기질이 아니고 행동억제를 덜 하며 어머니가 과보호·허용 양육행동을 지양할수록 유아가 실패 이후에도 미래 수행에 대한 기대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조건부 자기 가치에 대한 영향력은 회귀식이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가 가진 일부 기질과 행동억제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도전 지향적 반응 혹은 도전 회피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의 새로운 도전에 위험요소가 되지 않도록 자녀의 기질을 이해하고 행동을 지나치게 억제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실패경험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도전할 수 있도록 한계를 설정하고 격려하는 애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도전과 동기 발달을 지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으로 유아의 자율성과 새로운 도전을 장려하는 놀이 중심 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아교육 및 보육 기관을 통한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 유아-교사관계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다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effect of the infant's disposition, emotional control, and infant-teacher rel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 influence of the infant's disposition, emotional control, and relationship of infants and teachers on the problem behavior. For this, this study targeted 210 infants aged 3~5 from 2 daycare centers and 2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criteria by Ji-Sook Kim(2000) who adapte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PBQ)' developed by Behar and Stringfield(1974) for infants aged 3~6 was used to measure the problem behavior of infants. This criteria transformed the questions of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Rutter, 1967) which was a standardization problem behavior criteria targeting school age children in accordance to preschool children. It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infants with the emotional problem. In order to measure the infants' disposition, the criteria that Minjeong Kang(1997)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e infant disposition evaluation for infants developed by Thomas, Chess, and Korn(1977) into 4 subcategories: accessibility/evasion, adaptability, mood state, and reactivity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infant's emotional control ability, the emotional control checklist for infants by Eunjin Yeo(2009) who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 by Shields and Cicchetti(1997) was 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was measured using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STRS) produced by Pianta(1991).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and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sought to examine the general nature of the study targets first and Cronbach's α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calculated in order to apprehe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 Als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infant's disposition, emotional control, and correlation between the infants-teacher relation and the problem behavior.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each variable had on the problem behavior. The study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disposition difference of infants following the infants' sex,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mood state. That is, it was shown female infants had a higher level of positive emotional state than male infants. Second, to examine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difference of infants following the infants' sex, it was shown male infants had a higher level of negative emotional control than female infants. Thir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following the infants' sex, it was shown female infants had a higher intimacy of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than male infants. Fourth,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problem behavior following the infants' sex, it was shown female infants had a lower level of the hostile aggression, hyperactivity incompactness, and overall problem behavi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infants' disposi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ontrol and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as the infants' accessibility/evasion and adaptability were high, as the mood state was positive, the level of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was low. As the reactivity was high, the level of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was high. Also, As the degree of the emotional control was high and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was close,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became low. As the degree of the conflict and reliance was high in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appeared many times. This result will be able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infants showing the problem behavior in the infant education field by examining what effect the infants' disposition, emotional control, and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had on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 및 유아와 교사의 관계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2개소, 유치원 2개소의 만 3·4·5세 유아 21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Behar와 Stringfield(1974)가 만3~6세 유아를 위해 개발한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PBQ)'를 번안하여 사용한 김지숙(2000)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 문제행동 척도인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Rutter, 1967)의 문항들을 학령 전기 아동에 맞게 변형하여,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는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Thomas, Chess와 Korn(1977)이 개발한 유아를 위한 유아 기질 평가를 강민정(1997)이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 반응성의 4가지 하위범주로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Shields와 Cicchetti(1997)의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수정, 보완한 여은진(2009)의 유아용 정서조절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관계척도는 Pianta(1991)가 제작한 Student - 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을 사용하여 유아-교사 관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Cronbach's α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 및 유아-교사관계와 문제행동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기분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긍정적 정서상태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남아가 여아보다 부정적 정서조절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여아가 남아보다 유아-교사 관계의 친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여아가 남아보다 적대공격성, 과잉행동산만 및 전체 문제행동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 및 유아-교사관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유아의 접근/회피성, 적응성이 높을수록, 기분상태가 긍정적일수록 전체문제행동이 낮았으며, 반응성이 높을수록 전체 문제행동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정서조절 정도가 높고, 유아-교사관계가 친밀할수록 전체 문제행동이 낮아짐을 알 수 있고, 유아-교사관계에서 갈등, 의존이 높을수록 전체 문제행동을 많이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유아와 교사의 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수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기질과 자아개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4개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남아 60명(51.3%), 여아 57명(48.7%), 총 117명의 유아와 그들의 교사 14명이었다. 유아의 기질 검사를 위해 Gordon(1981)의 유아용 기질 검사를 강민정(1997)이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는 Bently와 Yeatts(1974)의 'I feel.... Me feel'을 임춘금(1995)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ianta(1991)의 교사 지각용 유아-교사관계 척도를 이진숙(2001)이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의 일반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s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간의 관계 간에는 유아 기질의 하위요인인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 반응성 모두가 교사-유아간의 관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새로운 자극이나 상황에 긍정적 접근을 잘 하고 상황 변화에 대한 높은 적응능력이 있으며 상황에 기분 좋게 반응을 잘 하는 유아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반대로 새로운 자극을 피하고, 상황변화에 느리게 적응할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반응을 잘 하는 유아와 교사는 갈등적이고 의존적인 관계에 있었다. 한편,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유아는 교사와 갈등적이고 의존적인 관계에 있었고, 친밀감은 낮았던 반면,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는 유아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 간에는 인지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이 높은 유아가 교사와 갈등이 적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problem of child's temperament and the self-concept, and how it relates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 1. How is child's temperament related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2. How is child's self-concept related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3. How is child's temperament related to his/ her self-concept?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is 117 children (male 60/ female 57) and 14 teachers in the 4 kindergartens in Suwon, Kyonggi. For the child's temperament test, this study uses the Kang (1997)'s questionnaire based on Gordon (1987)'s. For the child's self-concept test, this study uses Leem (1995)'s modified model of Bently and Yeatts (1974)'s "I feel... Me feel."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this study uses Lee (2001)'s adapted teacher-child relations index originally made by Pianta (1991). The data analysis is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to se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and Pearson's correiation factor is us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temperament, the self-concept,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other data is analyzed by using SPSS for window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sub-factors of child's temperament (approach-withdrawal,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intensity of reaction) are meaningfully interrelated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child who show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ew stimulus or situation, adjusts well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and reacts to the situations with less tension, keeps closeness with the teacher. Yet, the child who avoids a new stimulus, adjusts poorly to the changing situations, and ha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new circumstances, is in conflict with, or dependent on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 child who sensitively reacts to the situations is also in conflict with, or dependent on the teacher; the child who does not react sensitively keep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child's self-concept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hild who has more recognition and social self-concept is less likely to be in conflict with the teacher. Third, there are no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self-concept.

      • 유아의 기질과 행동억제간의 관계

        김명숙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through the eyes of the teachers of young children.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e 137 of three- and four- years olds children. infants and 15 preschool teachers of those children in Busan city of Korea. 'Infant Temperament Evaluation for Teacher' developed by Thomas, Chess and Korn in 1977 and translated by Sim in 2001 and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 invented by Park in 1998 were the major tools of data collection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0.0 Statistics Program and t-test, Cronbach's 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ession Analysis and Method Stepwise were appli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temperame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s. Girls seem to be more adjustable to the new situation compared to than boys while temperament difference of age like quality of mood and intensity of reaction appears more high in 4 years infant than 3 years old children. Second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ehavioral inhibition according to sex and age. There's no gender difference but it was found that boy increased the score a little more than girl and 4 years old children behavioral inhibition appears a little lower than 3 years olders. Third, there exist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The children who have lower approach-withstand, adoptabil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among infant temperament low grade variable element appear more behavioral inhibition. There's no relation between quality of mood among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behavioral inhibi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temperament variable element is intensity of reaction and next is approach-withstand.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 study on variable element about child's tempera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carried out very rare case. From this study, it was implied that teacher'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may help the children's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future.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억제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성별에 따라 유아의 기질과 행동억제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연령에 따라 유아의 기질과 행동 억제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기질과 행동억제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유아의 기질이 행동 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 4세 유아 137명과 그들의 교사 1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T homas , Chess와 Korn(1977)이 개발하고 심은희(2001)가 번안하여 사용한 교사용 유아 기질 평가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행동 억제를 평가하기 위하여 박성연(1998)이 제작한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 I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ronbach's α,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추가법(Method S tepw is 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연령에 따라 기질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성별 기질의 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접근- 회피성, 적응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 기질의 차이는 만4세아가 만3세아에 비해 기분상태, 반응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연령에 따라 행동억제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가 없다. 성별로 볼 때 남 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다만 남아가 여아보다 점수들이 다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별에서는 만4세아가 만3세아에 비해 행동억제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행동억제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다. 유아의 기질 하위변인 중 접근- 회피성, 적응성, 반응성이 낮은 유아일수록 행동억제를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행동억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질의 변인은 반응성이고, 그 다음이 접근- 회피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행동억제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가 극히 드문 현 상황에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억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유아의 부정적 기질 성향은 그들의 행동억제 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요약컨대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억제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유아의 건전한 사회 정서적인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어머니와 유아의 기질적 조화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

        안문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적 조화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조화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모-자녀의 기질조화유형은 어떻게 구분되어지며, 각 유형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2. 모-자녀의 기질조화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보육시설 만 3~5세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이다. 조사대상은 유아의 담임교사와 그들의 어머니이다. 유아의 기질에 대해 응답하는 교사용 설문지와 어머니 자신의 기질과 양육효능감에 대한 어머니용 설문지 600부를 배부하여 436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40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정 Dunca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유아의 기질조화유형 파악을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여섯 개의 군집 수를 지닌 군집분석 결과를 채택하였다. 각 군집의 특성은 군집 1의 경우, 어머니와 유아 모두 주의지속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군집 2의 경우, 어머니와 유아 모두 활동수준, 융통-경직성은 높으나 주의집중성, 주의지속성이 낮게 나타났다. 군집 3은 어머니와 유아 모두 접근-철회성, 기분은 높으나 어머니는 주의집중성, 주의지속성이 높고 활동수준, 융통-경직성이 낮고 , 유아는 융통-경직성, 활동수준이 높고 주의집중성, 주의지속성이 낮게 보여 서로 반대되는 성향을 나타냈다. 군집 4는 어머니와 유아 모두 접근-철회성, 기분은 높으나 활동수준이 낮았다. 군집 5는 어머니와 유아 모두 활동수준, 주의집중성, 주의지속성이 높고, 유아는 접근-철회성, 융통-경직성, 기분이 낮았다. 군집 6의 경우 어머니와 유아 모두 기질 특성의 모든 항목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기질적 조화 양상에 따른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와 유아 모두 접근-철회성, 기분은 높고 어머니는 주의집중성, 주의지속성이 높고 활동수준, 융통-경직성이 낮고, 유아는 융통-경직성, 활동수준이 높고 주의집중성, 주의지속성이 낮은 기질조화유형일 때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높았다. 어머니와 유아 모두 기질특성이 낮은 조화유형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신장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명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교사간 평정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를 도우며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경상도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세~만 5세 유아 232명이다. 유아의 기질은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것으로 박혜원이 수정·번안한 아동용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사용하여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 수줍음을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감정코치 척도(John Gottman, 남은영, 2007)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은 Merrell(1996)이 개발하고 이진숙(2001)이 번안한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PKBS)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 평가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인 과잉행동과 공격성, 내면화 문제행동인 사회적 위축과 불안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 평가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와 교사 평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평가에서는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인 공격성에, 교사 평가에서는 과잉행동, 공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는 남아가 여아보다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했고, 교사는 남아가 여아보다 과잉행동,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남아가 여아에 비해 외현적 문제행동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였다. 즉 어머니가 교사보다 내면화 문제행동에 더 예민하게 인식하고 내면화 문제행동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어머니와 교사가 평가한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 평가에서 기질은 정서성, 사회성, 활동성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다. 즉 정서성과 활동성이 높고, 사회성이 낮을때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 기질과 관련한 교사 평가는 활동성, 정서성, 사회성, 수줍음의 순으로 활동성과 정서성이 높고, 사회성과 수줍음이 낮은 기질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와 교사 평정에서 정서성과 활동성이 높은 기질과 사회성이 낮은 기질이 유아의 외현화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 평가에서는 정서성, 수줍음, 사회성, 활동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정과 수줍음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 기질이 낮을 때 사회적 위축과 불안과 같은 내면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평가는 정서성, 수줍음 순으로 정서성과 수줍음이 높은 기질일 때 내면화 문제행동을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와 교사 평정에서 정서성과 수줍음이 높은 기질에서 내면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대해 어머니와 교사 평가를 비교해보면, 어머니의 평가에서 유아의 외현화, 내면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수용적이지 않을 때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사 평가에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기 문제행동의 이해를 돕고,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eacher's ratings on problem behavior. It provides basic data to help par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and guides the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 based on 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2 preschoolers aged 3 to 5 who are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do and Gyeongsang-do. The temperament of the preschoolers were measured by the method of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EAS) (Buss and Plomin, 1984). To measure mothers' acceptance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on, the emotional coach scale (John Cartman, Nam Eun-young, 2007) was modified and used.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PKBS) (Merrell, 1996) was used to measure the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teacher evaluations.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can be sorted into two groups: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are outward acts such as hyperactivity and aggression.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are exhibited through anxiety and social withdrawal. Second, a clear difference between gender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behavioral evaluation of preschooler gender by mothers and teachers. The mothers’ evaluation show that boys have aggressiveness originated from a sub-factor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an girls. And The teachers evaluated boys as more aggressive and hyperactivity. This result shows that boys have more prominent external problem behaviors than girl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evaluations of infants' problem behavi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but differences in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other is more sensitive to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than the teacher and is looking at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fourth, it’s the result of analyzing about the relative influence that the temperament of the preschooler and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thers on the problem behaviors evaluated by the mothers and the teacher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mother’s evaluations on the extroverted problem behaviors of the preschooler, effective temperaments are shown in the order of emotionality, sociality, and activity. Problem behaviors were high when emotion and activity were high and sociality was low. I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 the temperament evaluated by teachers was high in activity, emotionality, sociality, shyness in order, and high in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 in the temperament with low sociality and shyness. This shows that the temperament with high emotionality and activity and the temperament with low sociality affect the externaliz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 in the evaluation of the mother and teacher. In the mother's evaluation of preschooler'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emotionality, shyness, sociality, and activity were in the order. When emotional well-being and shyness were high and sociality and active temperament were low,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uch as social contraction and anxiety were affected. Teachers' evaluation of preschooler'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showe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when emotionality and shyness were high in order of emotionality and shyness. Therefore, in the mother and teacher evaluation, emotionality and shyness have an effect on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When comparing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cceptance attitude according to the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with the teachers' evaluation, In the mothers’ evaluation, the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were high whe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ther was not recep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teachers’ evaluatio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the preschooler was high in the control attitude of the mother. In conclusion, I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temperament of the preschooler and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guide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er.

      •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정영선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성향을 파악하고 유아의 조화로운 발달과 사회적으로 유능한 유아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우리나라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27명과 그들의 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 Sparrow, Balla, Cicchetti가 1986년에 개발한 바인랜드 사회 적응행동 검사(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를 이영자, 이종숙, 양옥승(1987)이 한국판으로 번안해 놓은 것을 이정선(1999)이 간편형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용 유아 기질 척도(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는 Thomas와 Chess(1977)가 뉴욕종단 연구를 통해 개발한 3세-7세 유아 기질검사를 고태순(1997)이 한국실정에 맞게 간편형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성향은 기분의 전환이 쉽게 잘 이루어지는 반면 낯선 사람이나 낯선 또래에 대해 쉽게 친숙함을 보이는 경향은 낮았다. 둘째, 유아의 기질은 선천적인 것이고 유전적인 것이므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평가에서는 교사의 교육경험과 가계의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의 평가에서는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세분화하면, 유아의 기질 중 대인관계적응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영역 중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수준은 사회적 안정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전환성은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on social competency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explore ways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bilit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7 children between age 3 and 5 with their mothers and teachers. To measure childhood temperament, Thomas and Chess's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translated and simplified by Ko(1997) were used and to measur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Sparrow, Balla, and Cicchetti's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translated and simplified by Lee(1999) were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1. 3 and 5 year old Korean children changed mood easily but less friendly with strangers. 2. Children's tempera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meaning children's temperament was indeed innate. 3. Among the surveyed demographic variables, household income was found to influence mother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children's age, sex, and birth order were found to influence teacher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4. Children's temperament did influenc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Interpersonal adjustment" influenced "Social Activity", "Social Security", and "Cooperation". "Activity Level" influenced "Social Security", and "Change of Mood" influenced "Compliance to Social Rules".

      • 보육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의 관계

        김진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보육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의 관계 본 연구는 만 3세, 만 4세, 5세 남녀 유아들의 기질과 수학적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며, 이들이 갖고 있는 기질적 특성과 수학적 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성별, 연령)에 따른 유아기질과 수학적 성향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수학적 성향은 관계가 있는가? 3. 사회 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 경기지역에 위치한 민간, 법인,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담임 보육 교사 18명이 만 3세, 4세, 5세의 원아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용 유아 기질 평가 Thomas, Chess와 Korn(1977)이 개발한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를 위한 유아 기질 평가의 내용 중 Gordon(1981)의 기질 유형 기준에 근거하여 강민정(1997)이 수정한 도구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성향 검사 도구는 담임 보육교사가 윤세은(2011)이 유아용으로 개발한 6가지의 하위요소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 흥미성 ) 검사도구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사후분석으로 Scheffe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기질과 수학적 성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아의 수학적 성향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에 따른 수학적 성향간의 관계에서는 유아는 접근-회피를 잘 할수록 수학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는 적응을 잘하고 기분 상태가 좋은 경우 수학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연령이 많고, 접근-회피성을 높게 나타내는 유아일수록 수학적 성향 중 융통성, 자신감이 높아졌고, 유아의 연령이 많고 적응성이 높은 유아일수록 수학적 성향 중 지속성, 자기점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수학적 성향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유아의 기질과 수학적 성향은 관련이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육교사가 유아의 기질을 이해하고, 기질에 따라 유아들에게 맞는 수학 교육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보육 교사 , 유아 기질 , 수학적 성향

      •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송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of the age group.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21 childcare teachers and 255 mot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childcares in Incheon region;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from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explor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the current study used a research tool of Park Hye-won(2012), which revised EAS (Emotional, Activity, Sociability) temperament model of Buss and Plomin. In addition, a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through factor analysis by Kim Young-hee(1995) was also used; Kim's scale revised Children' Playfulness Scale of Barnett(1990). 'Social Competence: Kindergarten' scale was used in pursuance of measuri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by Doh and Falbo, but in the study, Seo Yoo-jin(2005) scale is referred. This study utilized T-test, ANOVA, Scheffé,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varied by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Boys outperformed their female counterparts in sub-factors of playfulness such as physical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Age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manifest joy and sense of humor. Likewis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showed discrepancy in ability of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s among social competence, temperament and playfulness. Interpersonal adjustment, a sub-variable of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ity and sociability,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hyness. Those variables are sub-variables all under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sub-variables of playfulness, such a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manifest joy and sense of humor. Popularity and leadership, a sub-variable of social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manifest joy and sense of humor, which are all sub-variables of playfulness.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 sub-variable of social competence, and age. Social participation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variables of temperament such as activity and sociabilit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yness. Lastly,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overall social competence and activity; social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ynes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variables of children’s playfulness, which are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manifest joy and sense of humor. cognitive spontane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yfulness, are Third, it is examined that sense of humor, physic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yfulness, are variables that affect interpersonal adjustment, a sub-variable of social competence. Among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activity, shynes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opularity/leadership of young children. Furthermore, age, social spontaneity, and manifested joy are influential variables for social participation. Lastly, emotionality, shyness, physic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are variables that have serious effects on overall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돕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255명과 학급의 담임교사 21명이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이 개발한 유아용 EAS(Emotional, Activity, Sociablity)척도를 수정․보완한 박혜원(2012)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0)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번역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oh와 Falbo(1999)가 개발한 사회적 능력 척도: 유치원용(Social Competence: Kindergarten)을 서유진(2005)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t-test와 ANOVA, 사후검증(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성의 하위 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유머감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연령에 따라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놀이성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은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기질 및 놀이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중 대인적응성은 유아의 기질의 하위 변인인 활동성, 사회성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수줍음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중 인기도/지도력은 유아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중 사회적 참여는 유아의 연령, 유아 기질의 하위 변인인 활동성, 사회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수줍음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능력 전체는 유아 기질의 하위 변인인 활동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수줍음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 대인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유아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유머감각, 신체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 인기도/지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기질의 하위 변인인 활동성과 수줍음,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 사회적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유아의 연령과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기질의 하위 변인인 정서성과 수줍음, 놀이성의 하위 변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 유머감각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