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委任立法의 立法的 統制에 관한 硏究

        김종필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ubstantial number of exercising authority vested upon the executive branch that directly influences on people is made in the form of delegated legislation today that the direct control on the delegated legislation is a way of strengthening the power to control the government by the National Assembly. By verifying once again for the content of delegated legislation enacted by the executive branch, it will be the beginning of urging the delegated legislation to be fair and prudent, and also, it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blocking the enactment of delegated legislation that is only for the benefit of administration purpose, one of the major problems of the delegated legislation.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o the control of the National Assembly on delegated legislation, in particular, the direct control method of the National Assembly. If the direct control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is introduced against the delegated legislation, the relevant issues on the delegated legislation may be supplemented. While a broad range of delegation is made on the matters that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administration is required, the matters that requires immediate action depending on the detailed situation and others on a selective basis, review may be made whether the objectives of the delegation is reflected or the detailed scope of delegation is complied through the objective review of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course of enacting the delegated order of the executive branch or before the legislation takes the effect. By doing so, the inherent function vested on the National Assembly may be performed pursuant to the legislative function in principle. Accordingl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historic background, case studies and the principles of the Great Britain, the United State and Germany where the legislative control of delegated legislation is most well suited today, and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the study is made for the realistic control plan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delegated legislation in Korea. The Great Britain that selected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is a country most well maintained its control mechanism of the delegated legislation by the legislative branch, and this is attributed to the ruling structure being in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In particular, the system that the delegated legislation is submitted to the Parliament is the unique controlling mechanism of delegated legislation that the Great Britain has, and whether to submit the delegated legislation for all delegated legislation to the Parliament, like Korea, is not mandated but determined whether to veto to submit it to the Parliament under the legal authority vested upon by individual law. This is to make individual review on whether to have the Parliament itself to make the legislation from the time of enacting the individual law or to delegate it to the executive branch by considering the expertise available for the administration. This will bring the full compliance to the principle of the legislative right to enactment and at the time, values the expertise of the administration. The legislative veto of the legislative branch on the delegated legislation, a direct control, in the US, may be exercised when the right of legislation is delegated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standard of legislation is clearly set for the technical reason, lack of professional specialty of the Congress and others. By controlling the delegation order with the legislative veto system, it may relax the Congress on the fear of 'unlimited delegation' while increase the delegation of authority to strengthen the executive branch. Accordingly, the Congress may grant more flexibility necessary to the executive branch and it subsequently enables the exercise of power that can be more smooth, efficient as well as the mutual check and balance between the national bodies in the modern administrative state. Also, in Germany, when the congress delegated the right to legislation to the executive branch on the possibility of congressional cooperation, the applicable right to legislation is waived, and the congress has only the right to legislation under the laws and the right to legislation by the legal order is in the executive branch. Considering the foregoing, they may be an argument that the congress shall not intervene on the delegated orders. However, the congress may exercise its influence on formation, issuance and existence of the delegated orders by considering the delegated order not as the unique authority vested inherently but is a derivative authority formulated from the right to legislation of the congress. The right of legislation of the government can be taken away at any time that it is not an imposition of disadvantage to the executive branch if certain limitation is applied from the beginning. Looking into the issue in Korea,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e is rather insignificant in controlling the delegated legislation. For the executive branch having the right to submit the legal agenda, if the administrative agency submits the agenda on the delegation issues for its own sake, the National Assembly passes it automatically. The National Assembly simply reads the delegated orders that is executed through the forwarding system in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afterwards. It is deemed to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direct control mechanism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ts authority of National Assembly, which has demoted to 'Law Passing Branch'. It is likely not to have any problem in its introduction of this system under the constitution. The provisions of Article 40, "legislative right is bested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regulations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of Article 75 and Article 95 of Constitution are interpreted as to define the original right to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by Article 40 and the derivative administrative right to legislation under Article 75 and Article 95, that the National Assembly not only may exercise the influence on the formation, issuance, and validity of derivative legislative delegated authority as the inherent legislator, but it also has to take the responsibility on its contents. Also, there is a room for a difference in opinion but it is deemed to find basis on the control on the delegated legislation in the right to control of the government by the National Assembly. Also, the possibility of review and veto by the National Assembly can be a potential control mechanism to force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o be prudent during the delegated legislation enactment process, as well as contributing to urge to have the necessary professional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in the National Assembly to make delegated legislation review. It is hope herewith that the granting of responsibility to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delegated legislation is to be the beginning point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make efforts on more political issued.

      • 교육 관련 위임입법의 개선방안 연구

        황주연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위임입법은 미국, 일본,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근대화가 이루어지면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과학기술 발달 속도가 빨라지고 국가의 역할이 많아지고 국민 복지 향상을 위한 노력이 증대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위임입법의 양이 증가하였다. 교육은 국민의 기본권 그리고 국민의 복지 향상과도 관련이 깊다. 이에 교육 관련 위임입법도 확대되고 있다. 교육을 통한 자아실현 욕구가 확대되면서 교육 관련 정책의 양도 늘어나고 관련 예산도 확대 편성되고 있다. 「헌법」 제31조는 교육에 대한 전문성 및 자주성 그리고 국민의 교육권 보장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 및 평생교육에서 교육제도, 교육운영, 교육재정, 교원 지위 등 기본적인 교육 사항을 법률로 지정·운영하고 있고 이를 근거로 하여 다양한 법규명령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의 자주성을 신장시키고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기 위한 자치법규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위임입법의 확대와 더불어 법률유보원칙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우리 헌법 제31조 제6항은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라고 하여 학교교육제도를 비롯한 교육제도의 기본 사항에 대해 법률유보원칙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행정기관 및 자치단체에 의해 교육규정이나 교육제도 등이 입맛에 맞게 바뀌지 않게 보호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에 교육 관련 위임입법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확대되고 있는 일반 법률 위임입법과 교육 관련 위임입법에 대한 판례를 비교하고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교육 관련 위임입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그 결과 국민의 기본권과 관련된 교육 관련 법령은 법률유보 확대를, 교육을 통한 복지 향상과 자아실현을 위한 정책에 있어서는 위임입법을 확대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委任立法의 統制에 關한 硏究

        이장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most states today legislators delegate at least some of their tasks for the sake of efficiency. The executive delegates are in charge of the regulations and laws tha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most scientific and technical areas. The delegation of legislative power has become increasingly in need as the society changes into a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one. It is therefore imperative that the delegates work with flexibility and efficiency. Yet, appropriate supervision and control over them is a rising issue and the central discussion in this dissertation. The need for supervision is without question. However, there are only few conceivable and practical ways of control. The difficulty in finding more appropriate control comes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egislative delegation's role in the legislative system. We have been unable to break out of the outdated conception that legislative delegation is similar to and thus should operate as administrative delegation. However, administrative delegation was based on the executive power and dates back to the times of constitutional monarchy. Unlike, administrative delegation, the necessity and the operation of legislative delegation must be understood as an additional means for the State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s of the People and to implement the values of democracy. The State should not use legislative delegation as an end itself, with coercion or in a way that disturbs the balance of power. The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branches work together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What frustrates their unique given roles touches upon the very basis of democracy and the legitimacy of the powers that the People conferred to their own State. From this perspective, legislative delegation is merely a functional specialization. The Congress and the Government work jointly to work it out. While the Congress carries out its role as the central legislative body, the government is having its shares in the rule-making process. The Congress makes the laws of fundamental constitutional importance. And it is up to the delegated executive body to take care of the more detailed and meticulous legislative tasks. This way, legislators are not overburdened and can devote themselves to more critical matters. On the other hand, increased legislative delegation may weaken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Congress and ultimately, undermine the legitimacy of a democratic government. The trend to delegate the legislation in specialized areas was accelerated as the government become more actively involved in social welfare. By allowing legislative delegations, the ideal of democracy, that of self- government via an elected representative body, is sacrificed for laws are legislated by a non-elected body. The request and need of the People can be neglected more easily. Therefore, figuring out an efficient yet controlled system of legislative delegation is ultimately a question of restoring the weakened democratic link between the legislative body and the People and making the People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uch a delegation. Put it another way, it is a matter of blending democratic and constitutional values into legislative delegations so that nothing is sacrificed at the end. One influential way of controlling legislative delegations is through the judiciary. Judicial review is based on the fundamental judicial power: reviewing constitutionality and lawfulness of the regulations and preventing arbitrary and unfair application of the laws. Because the judiciary's passive nature, judicial review is possible only in limited circumstances. Time-consuming and complex formal procedures may also be an obstacle to efficient control. Small delays can have an remarkable impact. Therefore, while judicial control is an important way of control, it works only to supplement other means for it has its own limitations. The executive must exercise self-control. It has the duty to correct problems stemming from legislative delegations before the Congress or the Court steps in. Self-control can free it from external interruptions, which, as a result, may allow them to improve efficiency and ultimately to preserve its independence. Nevertheless, internal control has its drawbacks as well: it is based on autonomy and might give away prudence to efficiency. The level of control the Congress can have over legislative delegations cannot extend beyond the frame of the separations of powers. Independence of another limits one's power. The separation of powers is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branches. Congress, by allowing legislative delegations, parts with some of its own legislative power. By doing so, it chooses to respect the autonomy of executive delegates in terms of deciding what and how to create specialized regulations. However, this is not to say that the executive should be left without any supervision from the Congress. On the contrary, the whole issue presented here deals with the need and ways to implement democratic and efficient ways to control it because the system is not fully trustworthy. Control by the Congress is the most logical and efficient way of supervising legislative delegations. However, it was the Congress's own limitations, its lack of knowledge in certain specialized areas, that necessitated legislative delegations. One way out of this dilemma is to resolve the very lack of professional and technical knowledge of the Congress members. Building smaller committees to scrutinize over the issues that need to be delegated, increasing self-consciousness of its own lack of knowledge and the problems embedded in legislative delegations and asking an external private organization for help can be strongly suggested. At the end, whatever ways of control we can conceive, they must be evaluated in light of the Constitution. They can exist if and only if they are constitutional and further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 사회보장행정에서의 의회유보와 입법위임

        정다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오늘날 사회보장행정은 사회국가원리의 실현을 위해 중요한 행정영역인 급부행정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는 법률유보의 원칙이라는 법이론의 적용에 의해 다양한 사회보장행정법제가 마련되어 있는 현황을 통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보장행정에 있어서 강화된 법률유보 원칙으로서의 의회유보가 완전히 적용되고 있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의회유보는 본질성설을 이론적 전제로 하여 특별히 본질적인 사항에는 반드시 의회법률에 의한 규율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하는 원칙으로, 오늘날 과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입법위임에 한계를 설정하고 이로써 의회에게 입법의무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법치국가의 원리, 민주주의의 원리, 기본권 보장의 원리 측면에서 그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는 의회법률은 이의 수권에 의하여 행해지는 행정작용에도 더 큰 정당성을 확보하게 한다. 특히 의회의 인적 정당성 측면과 심의 과정에 따른 절차적 정당성에 의하여 의회법률은 민주주의의 원리에 더욱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행정현실에 있어 위임입법이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대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대한 기본권 관련성과 정치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사항에 있어서는 의회유보 원칙을 통한 입법위임 금지가 관철될 필요가 있다. 이는 사회보장행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오늘날 판례는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를 추상적 권리로만 이해함으로써 사회보장행정에 광범위한 입법재량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광범위한 입법재량은 사회보장행정의 입법 전반에 영향을 미쳐 의회유보의 적용 완화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수익적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급부행정의 영역이라는 것을 이유로 사회보장행정에서의 입법위임 활용에 대해 관대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판례의 태도를 통해 확인된다. 또한 입법위임의 한계 원칙인 포괄위임금지원칙에 있어서도 사회보장행정에는 완화된 기준이 부여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는 학설의 다수 견해와 같이 자유권적 기본권과 대등한 구체적 권리성을 인정받을 필요가 있다. 또한 급부행정과 침해행정이라는 행정작용의 구분은 급부행정의 중요성 증대를 통해 오늘날에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할 것이다. 덧붙여, 사회보장행정은 급부행정의 한 영역이기는 하지만 그 특수한 성격으로 인하여 급부행정에서 통용되는 일반원칙이 그대로 적용될 수도 없다. 따라서 사회보장행정에서의 입법의 문제는 현 수준보다 엄밀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의회유보 원칙의 적용은 이의 출발이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보장행정에서는 해당 사회보장제도의 적용대상자 및 급여수급권자에 관한 사항, 사회적 위험의 내용에 관한 사항, 재원에 관한 사항, 급여의 내용 및 수준에 관한 사항 등 매우 본질적인 사항들이 의회법률로써 규정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사회보험법인「국민연금법」과 공공부조법인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서는 이러한 의회유보 사항들 중 많은 내용들이 입법위임을 통해 위임입법에 의하여 규율되고 있다. 사회보장법제에서 법치국가의 원리, 민주주의의 원리, 기본권 보장의 원리가 충실히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항들이 의회법률로 전환되어 규정될 필요가 있다.

      • 조세의 위임입법에 관한 연구

        김중택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6

        현대국가는 조세국가라고 불릴 정도로 그 재정운용의 재원에 조세에 의존하고 있다. 조세란 일반적으로 국가가 수입을 조달할 목적으로 특정한 개별적인 보상 없이 사경제로부터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화폐 또는 재화를 의미한다. 조세는 법률의 근거 없이 국가는 조세를 부과·징수할 수 없고, 국민은 조세의 납부를 요구 받지 아니한다는 조세법률주의가 현대에는 그 내용이 약화되어 실질적 조세집행에 있어서는 법률에 규정되어야 할 사항들이 위임입법에 의하여 명령이나 시행규칙 등에 의하여 과세 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 보장과 평등권보장의 침해문제가 발생한다. 현대 사회는 법률에 의하여 과세해야 한다는 조세법률주의 대원칙이 약화되어 가고 있다. 이유는 현대사회의 정치적·경제적 사회현상이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고, 이에 따른 해당 법률을 제정하고, 그 해당법률의 취지를 살려 즉각적으로 세법을 개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법률에 모든 내용을 규정할 수 없어 명령·규칙·예규·유권해석등에 의하여 세금을 부과 징수되고 있어 조세에 대한 신뢰상실과 조세저항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민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위임입법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세입법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행정입법의 문제점으로 의회가 기본적으로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재산권 침해와 직결되는 조세법의 제정 또는 개정에 전문성 부족, 자료접근성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국회의 입법기관으로서 역할 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위임입법은 헌법 75조에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정하는 위임 받은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을 발할 수 있다”라고 규정 되어 있다. 그러나, 조세 법규는 국민의 기본권을 직접적으로 제한하거나 침해할 소지가 있는 법률로서 엄격하게 제한적으로 규정되어야 하지만, 조세의 부과와 집행에 있어서 시행령에 포괄적으로 위임한 경우가 많고, 특히 규칙이나 예규·유권해석등에 의하여 과세되는 경우가 많아 결국 조세법률주의를 무력화 시키고 있다. 포괄위임입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결 요지의 대부분은 법률조항의 입법취지, 당해 문구의 일상적 의미, 조세법의 성질등을 종합하여 당해 조항이 충분한 예측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합헌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조차도 조세법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헌법제판소의 판결은 국고주의적인 해석이라고 판단된다. 위임입법에 의한 조세의 부과·징수는 국민의 재산권을 직접적으로 침해함으로써 선의의 피해자인 납세자가 발생된다. 2002년 조세불복현황에 따르면 환급된 세액이 10,959건에 4,152억원에 이르고 있어 그 내용도 대부분 불명확한 조문은 국가의 이익으로 해석함으로써 납세자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있다. 조세법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법을 해석하고 세액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재산을 어떻게 평가하고, 소득을 어떻게 계산할 지에 대한 규정 등이 법률에 규정되지 않고 위임입법 등에 의해 과세 됨으로써 실질적 소득을 산출에 대한 과세청과 납세자간의 불복문제가 제기 되는 점, 조세법이 전체 국민에게 똑 같이 적용됨으로써 억울한 납세자가 발생 되는 점, 조세법의 빈번한 개정으로 개정전과 개정후의 납세자간의 불평등, 조세법의 시행시기로 인한 기득권자에 대한 보호 규정 미미로 인한 불평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위임입법의 개선방안으로는 국회가 국민의 재산권과 사생활 보호등에 좀더 관심을 갖고 조세법의 제정에 참여해야 한다. 또 조세법의 경우 불명확한 사안에 대하여는 납세자인 국민의 이익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조세법의 제정은 전문가인 행정부가 입안하고 집행하기 때문에 비전문성을 지닌 납세자를 보호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소급과세금지의 원칙과 관련하여 조세법의 시행령, 시행규칙을 자주 변경하지 않도록 하여 납부한 납세자와 미납부한 납세자사이에 불평등을 해소하여야 한다. Modern nations rely on taxes for their financial operation as severely as called tax nations. Tax generally means the money or property forcefully collected from private economy without specific compensations for the purpose that the nation procures an income. In modern times,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 that the nation cannot levy and collect taxes, and people will not be demanded for taxation without a legal basis – has been weakened, and those articles that are to be regulated in a law for practical taxation enforcement are imposed by ordinances or enforcement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andate legislation, accordingly infringing the security of people’s property and equality. In modern society,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where taxation is levied by laws has been weakened. The reason is that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modern society have changed too fast,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enact following laws and to reform the tax laws immediately to make the most of the object of such laws. With this reason, all contents cannot be stipulated in laws, so taxes are levied and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ordinances, regulations, established rules and authoritative interpretations, consequently losing the trust for taxation and increasing the resistance against tax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problems of trust legislation which infringes people’s property right as well as relevant improvements. We can count the problems of taxation legislation as below: - As a problem of administration legislation, although the National Assembly is fundamentally the office that represents the people, it does not fully perform its role as a legislative office of the National Assembly for enactment or reform of tax laws, which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infringement of people’s property right due to lack of professionalism and restriction of access to data. In particular, for trust legislation is stipulated in Constitution #75 that “the President can issue an presidential decree for the entrusted article determined by a law in detail.” However, tax laws may directly limit or infringe the people’s basic rights, and thus they should be strictly and limitedly stipulated. Yet, as far as imposition and enforcement of taxation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y are inclusively entrusted in enforcement ordinances, and especially, there are many cases that taxations are imposed by regulations, established rules or authoritative interpretations, which accordingly nullifies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In most cases of decisions by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inclusively entrusted legislations, they are constitutionally decided for the reason that the concerned articles are fully feasible for prediction after generalizing the legislative objects of laws, usual meanings of the concerned sent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ax laws. However, considering that even exports have difficulties to interpret tax laws, we can judge that the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nothing but national treasury-focused interpretation. Imposition and collection of taxes by trust legislations infringe directly the people’s property right and make the taxpayers bona-fide victims. According to the tax disobedience status in 2002, the tax amount returned reached 10,959 cases with 415.2 billion won, and in most contents, unclear sentences are interpreted as national benefits, consequently infringing the taxpayers’ property right. -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ax laws, how to evaluate the property and how to calculate the income to interpret relevant laws and calculate the tax amount are not stipulated in laws, but they are imposed by the trust legislation; and, accordingly, there occur disagreements between the Korea Customs Service and taxpayers regarding how to calculate the practical incomes. - Because tax laws are equally applied to the whole people, there occur suffering taxpayers. - Due to frequent reforms of tax laws, there occurs the inequality of taxpayers between before and after reforms, and there occurs the inequality due to lack of protective stipulations for the vested rights resulting from the enactment date of tax laws. To improve trust legislations,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concerned more about the people’s property right and private life protection and participate in the enactment of tax law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interpret unclear matters related to tax laws as the benefit of the people, who are the taxpayers. The reason is that tax laws are drawn up and enforced by the Administration, which is the expert, so it is natural to protect taxpayers who are not experts. Under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retroactive taxation, taxation-related enforcement ordinance and executive regulations should not be often modified so as to solve any inequalities between taxpayers who already paid taxes and those who do not yet.

      • 의회의 행정입법 통제에 관한 영국법과 우리법의 비교 연구

        전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의회주의는 민주주의 실현에 있어서 근간이 되는 제도이다. 그럼에도 현대사회의 행정국가화 현상과 복지국가화 현상에 의해 입법에 있어서 행정부의 역할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나아가 의회입법사항에 대한 행정부에의 입법위임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영국은 의원내각제 국가로 의회와 행정부의 권력융합의 전통 하에서 입법에 있어서 의회와 행정부의 협력을 헌법적 장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럼에도 행정입법의 광범위한 사용 및 그로 인한 문제점은 영국에서도 공법의 주요문제로서 논의되고 있다. 행정입법은 법률이 아니기에 법원의 사법심사 대상이 되나 그 성격상 사법심사를 통한 권리구제가 어렵다. 나아가 행정입법은 일반적인 행정행위가 아니기에 행정절차상 자연적 정의의 원칙도 적용되지 않고 이를 규율하는 제정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행정입법에 대한 의회관여가 더욱 요청되고 있다. 영국에서의 행정입법 통제는 행정입법 제출절차가 중심이 된다. 행정입법 제출절차는 모법 규정에 따라 단순제출절차, 폐지의결절차 및 승인의결절차 등으로 구분된다. 본회의 심사를 실질화하기 위해 행정입법 검토를 위한 위원회로서 상원 특별명령위원회, 하원 행정입법특별위원회, 양원 행정입법합동위원회 및 본안위원회 등이 설치되었다. 동 위원회 설치에 의해 명백히 위법하거나 체계를 일탈한 행정입법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정책의 적법성과 적정성에 대한 심사가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되고 있다. 행정입법의 확대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문제된다. 민주적 정당성을 이분화하는 대통령중심제를 채택하고 있으면서도, 권력집중 현상과 행정국가화 현상에 의해 국회 입법사항을 행정입법에 위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에 대하여 민주주의 원칙, 권력분립 원칙 및 법치주의 원칙의 면탈이라는 측면에서 지속적인 비판이 제기된다.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1997년 「국회법」에 행정입법 송부제도가 도입되었다. 2000년 「국회법」 개정에서 국회에 위법·부당한 행정입법에 대해 시정요구권을 부여하고자 하는 논의가 있었으나, 위법한 행정입법에 대해 통보권을 부여하는 데에 그치고 말았다. 이는 국회가 행정부의 행정입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나, 행정입법 검토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오히려 국회의 행정부 견제기능을 후퇴시킨 입법이었다. 이러한 지적을 일부 반영하여 2005년 행정기관에 국회 통보내용에 대한 처리결과 보고의무를 부과하는 내용으로 「국회법」이 개정되었으나, 여전히 통보사항 불이행에 대한 이행확보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정책 타당성이 검토기준에서 제외되어 있다는 점 등의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우리 헌법은 유보조항 없이 입법권을 국회에 전속적으로 부여하고 있으며, 행정기관은 국회가 법률로 위임한 사항에 관하여만 위임명령을 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행정기관은 국회에 대해 그 고유한 입법권한을 주장할 수 없으며, 국회에는 그 위임권한이 의도한 대로 시행되었는지 검토하여야 할 헌법적 책무가 있다. 따라서 국회는 행정입법을 검토하여 행정기관에 대해 시정요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법 개정을 통해 우리 법체계에 행정입법 제출제도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Parliamentarism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realization of democracy. Dependence on statutory instrument is intensified by tendency of both administrative state and welfare state. England adopted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and have a tradition of parliamentary democracy. Therefore the administration have played important role in legislation system. Moreover, usage of statutory instrument in England is increased considerably. Statutory instrument itself is not a legislation so is subject to judical review. But generally statute law have authorized administrative body broad discretion, so statutory instrument became hard to review by law court. And statutory instrument is not a typical administrative act so is not subject to Natural Justice. So a victim of illegal or inappropriate statutory instrument could not be ensured a relief. Therefore parliament had better get involved in statutory instruments. Congressional review of statutory instrument in England is mainly conducted by the main floor of English parliament. English parliament adopted the affirmative resolution procedure and negative resolution procedure as a statutory instrument review procedure. And parliament established special orders committee, select committee on statutory rules and orders, joint committee on statutory instruments and merits committee for intensified scrutiny. Same social phenomena occurred in Korea too. National assembly of korea have adopted statutory instrument scrutiny process since 1997. National assembly revised this process in 2000, 2005 but still lack of effectiveness. It is argued that English congressional review system could be adopted by Korean assembly. The Korean constitution have granted the national assembly the right of legislation exclusively. And only with authorization of national assembly, administrative body could enact statutory instrument. And this authorization is not unconvertible. Rather an intervention of assembly in statutory instrument process is required. It is for both deliberative democracy and effective remedy for violation of rights. The adoption of English congressional review system to Korean legislation system would substantially improve democratism and achieve division of powers.

      • 委任立法의 限界에 관한 硏究

        김성수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Nowdays, regulations which are laid down by administrative agencies overwhelm statues which are legislated by legislature, and rule people substantially. So it is truism that effective control of regulation is demanded. The best way of control over regulation is composed of tow parts. One is control by regulation and the other is that throw procedure of ordainning regulation. In German and Korean Law, as in common law, the executive has no inherent legislative powers. The executive can exercise only such legislative powers as are either specifically delegated to it by the legislature or are exceptionally given to it for very limited purpose and as a transitional measure under the basic law The reason for laying down express limits can be seen in the misuse of the delegation of legislative powers under the Weimar Constitution of 1919. The Weimar Constitution, like any other constitution did not have any provision on delegation of legislative power but in fact the legislature almost abdicated its power and functions to the executive by authorizing it to make not only ordinary laws to an unlimited extent but also laws amending the constitution. The Basic Law takes care that that precedent or practice is not repeated any more. This paper indicates that we should improve our problem in controlling over the delegated legislation in terms of a system, by analysing control over delegated legislation in systems of advanced nations

      • 법원의 명령·규칙심사의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최근의 규범통제 재판례를 중심으로

        최승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68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mpowers the Courts to conduct judicial reviews of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crees'). The administrative and self-governmental legislation that comprise the majority of decrees has affected the people’s lives to a greater degree these days, which has led in turn to an increased danger of decrees infringing on people's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e judicial control of decree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has become importan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courts' judicial reviews of decrees, and proposes measures to overcome the related problems. For this purpose, recent decisions by the lower courts and the Supreme Court, covering concrete and indirect norm control for decrees, are examin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the courts' judicial reviews of decrees have been quite frequent, and that norm control for decrees occurs regardless of the trial type. The reasons for norm control have been mostly violations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infringements of fundamental rights, which shows that the courts' judicial reviews of decrees function a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However, some rulings have remained passive controls, without any conduct of the norm control set forth by the Constitution. And even when courts have conducted norm control of decrees,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the decrees not being amended afterward. If the judicial review of decrees remains passive, or if decrees deemed to violate the Constitution or Acts remain in force without amendment, unlawful decrees may infringe on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repeatedly, or harm the very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To overcome such problems, I first propose improvements to the courts' judicial reviews of decrees to ensure active conduct of norm control, from an “intra-trial dimension.” I then propose institutional measures that will allow the results of reviews to lead to amendments of decrees, from an “extra-trial dimension.” 헌법 제107조 제2항은 명문으로 법원에게 명령·규칙심사권한을 부여하고 있고, 이는 제헌헌법 이래 현행헌법에 이르기까지 법원에게 일관되게 부여해 온 권한이다. 명령·규칙에 대한 통제는 오늘날 행정입법과 자치입법의 수효가 증가하고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에 따라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통제에는 행정부, 국회 등에 의한 방법도 존재하나 실제에 있어서는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헌법이 규정한 명령·규칙에 대한 사법적 통제의 중요성과 헌법적 의의는 실로 크다. 최근 들어 법원은 헌법적 판단의 활성화 차원에서 명령·규칙심사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있다. 2016년 재판예규인 ‘명령·규칙 위헌 판결 등 송부에 관한 예규’의 제정을 통해 명령·규칙심사 재판례의 수집과 공유를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2015년 이후 하급심법원에서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 결과를 재판서 내 이유 부분에서만 설시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항목이나 주문에서 표시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오늘날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명령·규칙심사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로부터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의성이 있는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의 도출을 위하여, 법원이 명령·규칙심사의 중요성을 인식해온 전후인 2014년부터 2019년 9월까지 최근 5년여 간 하급심을 비롯한 각급 법원에서 선고·고지한 총 121건의 구체적·부수적 규범통제 재판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법원의 명령·규칙심사는 각급 법원에서 행정입법, 자치입법 등에 대하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행정소송뿐만 아니라 민사·형사소송, 비송사건 등 재판의 유형에 관계없이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급제의 특성상 하급심 단계에서 규범통제 재판이 확정되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하였다. 나아가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사유들은 대부분 위임한계일탈과 관련된 법률유보의 원칙, 평등원칙과 과잉금지원칙 등 헌법상 원칙의 위반과 기본권의 침해로 구성되어 명령·규칙심사의 본령이 헌법에 있고, 명령·규칙심사가 헌법재판으로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일부 재판례에서는 명령·규칙의 위헌·위법성을 확인하였음에도 소극적인 심사방식으로 인하여 규범통제에 나아가지 않거나, 설령 규범통제를 하였더라도 이후 개선입법의 조치가 미흡한 사례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부수적 규범통제의 한계상 법원의 명령·규칙심사는 명령·규칙을 일반적으로 폐지하는 효력은 없지만, 명령·규칙심사가 소극적인 통제에 머물거나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명령·규칙이 개선입법 없이 그대로 존치되는 경우에는 국민의 기본권이 위헌·위법한 명령·규칙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침해될 수 있고, 국가권력의 합헌·합법성을 기반으로 하는 법치주의 원리가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명령·규칙에 대한 적극적인 심사와 그 이후의 개선입법을 위한 제도적 장치는 긴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명령·규칙심사의 개선을 위하여 먼저 ‘재판 내의 차원’에서, 명령·규칙심사를 소극적인 통제에 머무르게 하는 ‘상위법령 합치적 해석원칙’의 성찰 있는 적용을 역설하고,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에 대하여 종전 판례와 같이 대외적 구속력만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헌법이 정하는 규범통제로서의 명령·규칙심사에 나아가야 함을 피력한다. 더불어 재판서 내의 규범통제 재판결과를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명확하고 통일된 표시방안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재판 외의 차원’에서 명령·규칙심사 결과가 개선입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행 행정소송법 제6조에 따른 명령·규칙 위헌판결의 공고 제도를 개선하고, 하급심을 포함한 각급 법원의 규범통제 결과가 명령·규칙의 개정·폐지권한을 가진 행정기관 및 법령정비권한을 갖고 있는 법제처 등 관계 국가기관, 나아가 국민 일반에게 적정히 전달되도록 제도적 장치를 고안함으로써 명령·규칙심사 이후의 개선입법을 위한 행정부, 국회, 지방자치단체 등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