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실업자를 위한 직업훈련 활성화 방안 연구

        정다은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장기실업자에 대한 정책 중 직업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장기실업자가 실업자직업훈련을 통하여 재취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실업자직업훈련을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장기실업이 사회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여러 가지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으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어 온 것은 각 개인의 인적자본 손실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기실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 축적을 통한 장기실업자의 취업능력을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장기실업자를 위한 훈련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대량실업 이후 실업자를 위한 훈련은 대부분기존의 일반적인 훈련프로그램에서 장기실업자를 수용하는 형태로 진행되어 장기실업자의 특성을 반영한 훈련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기실업자의 특성을 훈련참여와 연관시켜 파악함으로써 장기실업자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훈련 프로그램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현재 실업자직업훈련에 참여중인 실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2002년 3월 한달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여기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훈련참여자의 정태적인 특성(성, 연령, 학력, 실직 이전의 사업상 특성 등)과, 동태적 특성(실업기간)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청년층 장기실업자의 규모는 많으나 연령이 높을수록 12개월 이상 장기실업자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학력별로 대졸과 고졸의 장기실업자의 절대적인 수는 많으나 학력이 낮을수록 장기실업자의 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장기실업자가 구직활동 경험이 많으며, 구직 및 직장제의의 주된 형태는 비공식적인 방법이 많은데, 이것은 노동시장에서 장기실업자에 대한 정보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직장불일치(job mismatch)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실업자의 훈련참여 및 훈련직종 선택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실직 이후 곧바로 훈련에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훈련을 택한 이유로 대졸이상과 청년층에서는 ‘개인의 능력개발을 위해’ , 고졸이하 학력집단과 중·장년층 연령집단에서는 ‘창업을 위해서’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령과 학력 등 장기실업자의 특성에 맞는 훈련직종의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훈련을 받기 전에 상담을 받은 실업자는 응답자의 절반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훈련을 받는 중에는 38.2%만이 상담을 받았다고 응답하고 있어 장기실업자를 위한 상담이 취약하여 훈련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훈련 전부터 상담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훈련 중 애로사항으로는 응답자 대부분이 ‘생계의 어려움을’을 꼽아 훈련기간 중 소득보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가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직업정보서비스의 강화. 훈련에 참여하기 전과 훈련 중 그리고 훈련 수료후의 상담을 체계화하고 훈련 수료 후 지속적인 직업정보서비스의 제공으로 훈련의 손실을 줄이고, 훈련의 내실화를 꾀한다. 둘째,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창업의 가능성이 있는 직종을 선별하여 금전적인 지원을 강화하고, 현실적인 창업기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청년층 장기실업자를 위하여 기업채용시 면접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실업자를 채용하는 업체에 채용장려금을 지급하는 연계방안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장기실업자의 훈련기간 중 생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실업급여 수급기간의 연장과 훈련수당의 연장지급의 방안을 마련한다.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e importance of job training, which is one of the policies for the long-term unemployed, and to check out the current problems in job training management. and finally to propose the plan of how to activate training programs so that they could be employed through it. The fact that the long-term unemployment is a social and national problem could be discussed in many aspects. But the most serious one is that the unemployment is a personal loss of human resource. For that, it is necessary to fortify the abilities of long-term unemploy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human resources. And job training program should be going on the right track. But in the Republic of Korea, since the mass dismissal of 1998, most of job training programs have just adopted those long-term unemployed from the pre-existing general training programs, where the particularities of the long-term unemployed were igno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linking the program participation to those particularities of the unemployed The questionnaire was made for 1 month, March 2002, to those who took part in job training programs as of 2002, The following is the result. Considering program participants' static characteristics like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s, business experiences before dismissal, and kinetic ones like unemployment term, it is noticeable that the scale of young long-term unemployed is large as a whole and that the older they are, the higher the ratio of long-term unemployed (over 12 months) is. Especially as fo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the number of people who got an education from high schools or colleges is large, but the lower education they got, the higher the ratio of long-term unemployed is. Meanwhile, the long-term unemployed have much experience of job hunting activities and the forms of job offers are usually unofficial, which is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long-term unemployed in labor markets. This seems relevant to the problem of job mismatch. In terms of training program participation of the unemployed, when they just got out of work, usually they don't take part in the program immediately. And their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varies from "to develop one's ability" for the young people and highly-educated to "to commence one's own business" for older people and relatively lowly-educated. This show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job train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they have, like age and education. And just half of the participants have consultations before training programs begins. and just 38.2 % of all, during the program. It means that the consultations for the long-term unemployed is not systematic.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consultations even before training programs starts. Lastly most answerers said that they have difficulties of livelihood during the training. So the income preservation during training program is immediate problems to solv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is report offers three activation methods as following. First one is job information service. The consultation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systemic. And providing job information service constantly, we should minimize the loss of training and make the training effective. Secondly, we need to make characterized programs. So it is indispensable to give a financial aid to the possible business plan and practical information about their new business. and it is necessary to give the young unemployed many chances for job interviews and to give bounties to the companies which employ the long-term unemployed. Lastly, the extension of duration for existing unemployment and training allowance is necessary because of those possible financial difficulties they might have during training programs.

      • 고학년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취업불안,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 코로나 발생 이전 대학생과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 간 다집단 분석

        정다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career adaptability, job-seeking anxiet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indecision on career indecision of senior undergraduate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many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COVID-19 that lasted for about two years and undergraduates who did not experience COVID-19.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92 undergraduates from the 2019 Youth Panel Survey and 263 students recruited throug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in 2022. After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fter that, using Mplus 7.4, equation analysis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major variables of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for two years and who did not. Job-seeking anxiety,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the group of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and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lower in the group of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in ex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indecision. Second, the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data, and the effect of all major variables on career indecision was also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and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external occupational vlaues on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using bootstrapping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s a result, two pateh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on career failure decis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failure decis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a multi-group analysis, two relation of the model has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rst, the path coefficient from job-seeking anxiety to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than for undergraduates who did not. Second, the path coefficient from job-seeking anxiety to career indecision was significantly lower for undergraduates who suffered from COVID-19 than for undergraduates who did not suffer from COVID-19.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job-seeking anxiety,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level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and the paths from job-seeking anxiety to career adaptability were different. In other words, if a senior undergraduates who feels high job-seeking anxiety experienced COVID-19, it expected they have a lower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indecision than it has not experienced COVID-19. This stud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career indecision by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anxiety, occupational valu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indecision. Also, it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other interventions are needed in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s of undergraduates who have experienced COVID-19. 본 연구에서는 취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대학교 3학년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불안과 직업가치관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적응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약 2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로 인한 많은 환경적 변화를 경험한 대학생과 코로나를 경험하지 않은 대학생들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취업불안,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 진로미결정에서 집단 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모형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조사 2019년도 자료의 492명의 대학생과 2022년도에 배포한 설문지를 통해 모집한 263명, 총 7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26.0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후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Mplus 7.4를 통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하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 뒤, 연도에 따른 다집단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취업불안은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미결정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인 내적 직업가치관과 외적 직업가치관은 모두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미결정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코로나를 2년 동안 겪은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 간 주요 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취업불안, 내적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코로나를 겪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 집단에서 취업불안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성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외적직업가치관과 진로미결정에서는 집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취업불안, 직업가치관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진로적응성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주요 변인들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또한, 취업불안, 내적 직업가치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외적 직업가치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연구모형의 3개의 경로 중 2개의 경로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취업불안이 진로적응성을 거쳐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내적 직업가치관이 진로적응성을 거쳐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이 집단에 따라 경로계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에 따라 두 개의 경로계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이 코로나를 겪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취업불안에서 진로적응성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이 코로나를 겪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취업불안에서 진로미결정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취업불안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은 감소하고 진로미결정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적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외적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에 따라 취업불안, 내적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의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취업불안과 진로미결정 경로, 취업불안과 진로적응성 경로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높은 취업불안을 느끼는 고학년 대학생이 코로나를 경험했다면, 경험하지 않은 것보다 더 낮은 수준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으로 나타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취업불안,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 진로미결정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진로미결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코로나를 겪은 고학년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에 다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분석

        정다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수준을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지도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의 중등 특수교육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 전체 항목의 평균은 Likert 5점 척도에서 4.27이었고 자기인식 및 자신에 대한 지식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결정하기 영역을 가장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실행도 수준 전체 항목의 평균은 Likert 5점 척도에서 3.95였고 자기인식 및 자신에 대한 지식 영역을 가장 많이 실행하고, 결정하기 영역을 가장 적게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등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는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의 제1사분면에 위치한 영역은 선택하기, 문제해결, 자기옹호, 자기인식 및 자신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고,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아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의 제3사분면에 위치한 영역은 결정하기, 목표설정 및 획득, 자기관리 및 자기조절로 나타났으며,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서 제4사분면에 위치한 문항은 자신의 행동 평가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분석을 통해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나타난 자기관리 및 자기조절 영역의 자신의 행동 평가 항목, 결정하기, 목표설정 및 획득, 자기관리 및 자기조절 영역과 현재 수준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나타난 선택하기, 문제해결, 자기옹호, 자기인식 및 자신에 대한 지식 영역을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지도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초기 성인기의 성인 불안정 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의 매개효과

        정다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의 불안정 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기 성인기 불안정 애착,관계중독 그리고 정신화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초기 성인기의 불안정 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전국 지역의 범위의 초기성인기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2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고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총291부(남성 94부, 여성 197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SPSS 25.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성인 불안정애착(애착 불안,애착 회피)과 관계중독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애착불안과 관계중독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애착회피와 관계중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성인 불안정애착은 정신화와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가졌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애착불안은 정신화와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가졌다. 애착회피는 정신화와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관계중독과 정신화는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보인다. 둘째, 매개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성인 불안정 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 불안정 애착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정신화가 다시 관계중독에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성인 불안정 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 연구결과를 입증하였다. In this work, we wan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early adulthoo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ult instability attachment, relationship addiction, and mentalization?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early adultho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surveys of early adult men and women in a range of region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91 copies (94 men and 197 women) were analyzed through SPSS 25.0 as the final study subjects, except for 11 questionnaires with unfaithful response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showed that adult unstable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static (+) correlation. Looking at the subfactors, attach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static (+) correlations, while attachment 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adult instability is a significant misfit with mentalization. Second, the analysis of mediated effec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ed effect of mentaliz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is due to adult attachm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influenced by the site again serves as a medium for influencing relationship addiction. As seen abov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in the effect of adult instability attachment on relationship addiction.

      • 교육적 실천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정다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Korean society is made up of members with diverse racial and ethnic backgrounds, and the government has been proposing policies to revit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2006 as a response to this.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chool education is the teacher, and especially in multicultural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Previous studies on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mainly focused 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as the curr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content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domest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lready practicing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on a daily basis.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vealed in educational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practiced by teacher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Diverse family types’, ‘Countries and cultures of the world’, and ‘Human rights and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category of diverse family types, teachers believ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include not only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families who are considered ‘abnormal’. In the second category, when teaching the contents of countries and cultures around the world, the teachers often had students research and present data about the countries and cultures they were interested in, rather than unilaterally transferring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third category, human rights and discrimination,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entire contents of human rights and discrimination could be multicultural education, but what they mainly mentioned was discrimination based on skin color, race, and ethnicity. If so, how did teachers teach these content categories? First, the teachers used a variety of visual materials to help students “see” and understand the existence of others they were not normally aware of. In addition, teachers either did not mention ‘abnormal’ students at all or used them as ‘human resources’. Finally, teachers made students feel that they could be the one who expereicne discrimination and injustice through familiar examples or mock experiences. Combining the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vealed in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are analyzed as follows. First, when teachers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relate it to multicultural students, but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Second, they did not have only one of the three main viewpoi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but mixed them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rd, in designing th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goal was to cultivate an attitude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among knowledge building, attitude cultivation, and action. 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양한 인종적·민족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대처로서 2006년부터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학교 현장에서 중요한 것은 교사이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있어서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는 주로 다문화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삼아 왔다. 그러나 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되면서 국내 초등교사들은 이미 일상적으로 다문화교육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연구에서도 이러한 변화된 학교 현장의 모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교육적 실천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실천한 다문화교육 수업의 내용은 ‘다양한 가족 형태’, ‘세계 여러 나라와 문화’, ‘인권과 차별’, 이렇게 크게 세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범주인 다양한 가족 형태의 경우, 교사들은 다문화가정뿐만이 아니라 한부모 가정, 조손 가정 등 ‘일반적이지 않은’ 가정으로 여겨지는 다양한 가정에 관한 내용 전반이 다문화교육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보고 있었다. 두 번째 범주인 세계 여러 나라와 문화의 내용을 수업할 때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학생들로 직접 자신이 관심을 가진 나라와 문화에 대해 자료 조사하고 발표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 번째 범주인 인권과 차별의 경우 교사들은 인권과 차별에 관한 내용 전반이 다문화교육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었지만, 주로 피부색, 인종, 민족 등에 대한 차별을 위주로 언급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교사들은 이러한 내용 범주를 어떤 방식으로 수업하였는가? 먼저, 교사들은 다양한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평소에 자신이 알지 못한 다른 사람의 존재를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교사들은 교실 안의 ‘다른’ 학생이 상처받을 것을 우려하여 아예 언급하지 않기도 하였지만, 때로는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친숙한 예시를 들거나 모의 경험을 통해 언제든지 차별과 부당한 일이 ‘나의 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에서 드러나는 다문화교육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을 이해할 때 다문화학생과 관련짓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관한 대표적인 3가지 주요 관점 중 한 가지만을 고정적으로 갖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혼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지식 쌓기, 태도 함양하기, 행동으로 실천하기 중 이해와 공감에 기반하여 태도 함양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었다.

      •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 : 거부민감성의 중재효과

        정다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공포증으로 세분화하여 사회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이 중재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7명(남 158명, 여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공포증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과 사회불안의 하위차원에 속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공포증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거부민감성도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그리고 사회불안의 하위차원에 속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공포증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거부민감성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공포증과의 관계에서 중재효과를 보였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의 관계에서는 중재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존연구를 토대로 거부민감성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관계에서 중재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의 하위유형 중 사회공포증과의 관계에서만 중재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냄으로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jection sensitivity is moderating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For this, 357 college students (158 males and 199 femal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the social phobia scale, internalized shame scal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social phobia and social anxiety.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social phobia and social anxiety. Second,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had an interactive effect on Social phobia. This suggested that Internalized sham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l anxiety, and it is significant that lowering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in a social context that causes performance anxiety among the subscales of social anxiety can alleviate performance anxiet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 지역 내 사회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지원사업 운영 및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 대전의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및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정다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전 지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해 지원사업인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과 꿈다락토요문화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운영 및 평가체계 개선방안에 관하여 진행되었다. 현재 대전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과 꿈다락토요문화학교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공적자본이 투입되는 지원사업이며, 이에 지원사업의 평가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자는 다년간 대전 지역에서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과 꿈다락토요문화학교의 모니터링 사업에 참여해온 바가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 단체와 프로그램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사업을 통해 나타나는 변화와 성장, 긍정적인 효과, 혹은 문제점과 에로사항을 겪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이 두 사업은 오랜 기간 동안 운영되고 평가되어 누적된 역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니터링을 통한 결과가 원활하게 환류되지 않아 매년 같은 문제를 반복하는 양상을 띄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보고,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평가에 대해 분석하여 평가 체계의 개선 필요성을 제고했다. 또한, 대전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운영 체계를 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을 다졌다. 최근 3년 간의 모니터링 결과보고서를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하여 대전시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평가체계를 분석하고 평가결과를 통해 나온 이슈를 정리했다. 더불어 지역 내에서 오랜기간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평가를 수행해온 평가 단체를 대상으로 FGI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대전의 평가체계의 문제점과 환류가 되지 않는 구조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했다. 이에 지역 내 사회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해 메타평가를 도입과 더불어 운영체계의 개선와 평가체계의 개선 방안을 각각 도출했다. 지원사업의 운영 체계에 관하여는 운영 환경 개선,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유입 및 관리 방안, 평가체계에 관하여는 평가 환경 개선, 평가 결과 활용과 환류 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 제시 했다. 본 연구는 비록 한정적이지만 자료로 이용할 가치가 있는 평가 사례들을 검토, 정리하고 지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운영과 평가체계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and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examples of Regional Characterization Cultural Arts Education and Kkumdarak Saturday Cultural School, which are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in Daejeon. Currently implemented in Daejeon, Regional Characterization Cultural Arts Education and Kkumdarak Saturday Cultural School are support projects for which public capital is injected as part of the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The assessment of these support programs is essential. For many years, this researcher has participated in evaluating Regional Characterization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he Kkumdarak Saturday Cultural School in Daejeon. After evaluating the organizations and projects performing the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for a long time. I saw changes and growth, positive effects, or problems that have arisen as a result of the programs. Despite a long history of operation and evaluation, the two programs have not been evaluated and adequately, resulting in the same problem being repeated every year. Thus, the overall flow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and the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assessment of the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support programs was analyzed to enhance the need for an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status of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support programs in Daejeon and analyzing the operating systems. Based on the last three years evaluating result reports, I analyzed the assessment system of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support programs in Daejeon and engaged with issues which rose from the assessment results. In addition, the FGI survey was conducted on assessment groups that have conducted assessments of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support programs for a long time in the region to find ways to improve evaluation systems that are not fed back about problems in Daejeon. This resulted in improvements to the operating system and improvements to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region. Concerning the operation system of the support program, th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inflow and management of participants in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he system for the assessment,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environment,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eedback system were all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viewing, summarizing, and suggesting changes to the operation of local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system, although it is limited to the cases that are used.

      •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영남사물놀이 수업지도안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정다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eaching guidance that could be us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of education. Through Yeongnam Samulnori, which uses the Orff method of teaching,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cepts of various musical elements and find the following teaching guidelines to improvise. First,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which is the goa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urriculum proposal on the theme of Yeongnam Samulnori was composed of 10 classes. Because rhythm, expression, and creativity are improved through improvisation, the ultimate goal of Orff teaching method, the teaching guidance was designed in the order of imitation, exploration, reading sheet music, and improvisation. Second, the language rhythm, the learning medium of Orff‘s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students in the familiar language according to the oral sound of samulnori, presenting a new speech rhythm. Also, they planned the class guidanc so that students could create their own language rhythms and cultivate impromptu and creativity. Third, the rhythm of Yeongnam Samulnori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and a differentiated guidance plan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repetitive rhythm patterns of samulnori instruments and the tone according to the pitch using Ostinato, a musical element of the Orff teaching method. It is hoped that the class guidance plan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classes such as music subject classes, after-school schools, and autonomous semester systems, so that samulnori learn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ll be applied more efficiently, and that the Samulnori teaching method, which applies various methods of teaching, will continue to be research and development. Search terms: Samulnori, Samulnori education, Samulnori class guide, Yeongnam Samulnori, Orff teach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