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기주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단일군 실시 전후설계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활동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F노인전문요양원 치매노인 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식물의 재배와 이용을 잘 배분한 집단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실시 기간은 2003년 3월 8일부터 2003년 8월 30일까지 매 주 1회씩 하여 층 24회를 실시하였다. 이 기간 중에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과 후에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여 변화 사항을 각 대상자 별 로 비교하고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원예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원예활동 평가표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치매노인의 활동 변화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연구대상 치매노인들의 원예치료 실시 전 우울 정도는 평균 17.6점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13.8점으로 감소되어 원예치료가 우울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자아존중감 정도에서 실시 전 평균이 18.6점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7점으로 증가되었고, 원예치료가 자아존중감을 증가를 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원예치료를 실시 초기와 후기의 9가지의 활동 영역으로 변화도를 보았을 때에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았고, 그 중에서 자아개념 및 주체성과 숙련도 및 직업 적응력 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활동변화에서도 언어소통 능력, 자아 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변화를 주어 정서, 사회, 인지 능력 기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between pre- and post-therapy as horticultu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nine demented old adults attending to Day-care center at a F-Aged Hearsay welfare service center located in Generals. They took Part in the groupe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consisting of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the culturing and utilization of plants once a week from March 8 to August 30, 2003, where 25 therapy sessions was held. To verify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HTP in depression using KGDS (Korean fro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elf-esteem using SES (self-esteem scale), and evalu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HTP was found to be absolute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epression level of demented old adults, which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from 17.6 at pre-HTP to 13.8 at post-HTP. Horticultural therapy had also influence positively on the increase of the self-esteem in demented old adults, showing 18.6 and 27 at pre-HTP and post HTP, respectively. In the light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 were fairly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HTP in verbal interaction, self-concept and identity, need-drive adap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particularly, with significance in self-concept and ident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In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demented old adult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fter 25 programs of horticultural therapy. Therefore, these data implicat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despite of several limitations, may be accepted as a effective alternative remediation program in delaying or preventing of dementia.

      • 원예치료사 양성과정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한동휴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has been developed remarkably in the past 10 years, but is faced with a new social change and challenge as the necessity and achievement increase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se issues, this study was done with an aim to propose a mutual supplement and developmental growth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being currently run in horticultural therapist training course which is based on the horticultural industry in Korea. For achieving the aim, this study conducted a sample survey with 187 therapists who passed the second class qualifying examination. They were sampled from three universities. 1. The Current State of Running Horticultural Therapist Training Course o The activities of horticultural therapy are applied in a wide range such as social welfare facility,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 psych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 medical and psychiatric center, weekly protection center, sanatorium, school in general,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nd jail, etc. o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institutionalizes 110 hours and over as a regul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covering the four areas such as horticulture, horticultural therapy, medicine, and social welfare, all of which are necessary subjects for horticultural therapist to be qualified. Such an institutionalization is for cultivating horticultural therapists to be equal in terms of their qualification on a national level. However, the analysis of 16 life-long education centers reveals the following. 1) Total number of teaching hours are ranged from 81 hours at minimum to 112 hours at maximum. 2) The teaching subjects being covered by the 16 life-long education centers are different from the 24 teaching subjects prescribed by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The examples are that 8 institutes cover 20 subjects and over, while another 8 institutes cover less than 20 subjects. Overall, the number of teaching subjects are ranged from 18 at minimum to 23 at maximum. 3) The hours of practice are ranged from 24 at minimum to 48 at maximum. In details for the hours of practice, one institute runs 48 hours, another one institute 45 hours, nine institutes 32 hours, four institutes 28 hours, and another one institute 24 hours. For field trip as a practical study, three institutes run 24 hours, 6 institutes 16 hours, and 7 institutes 8 hours. o The female are all most three times more than male among the 187 samples, showing that females are 78%, and males are 22%. By educational attainment, 96% are the graduates from college and university, while 4% are the graduates from high school. By age, 35% are the twenties, 29% thirties, 31% fourties, 12% fifties, and 2% sixties. *A total of 2,638 have been graduated from horticultural therapy training course for eight years from 2000 to 2007. Cheju national university is ranked first. In terms of number of graduates per course, producing 252 graduates (9.5%) during four years. * The analysis of running the subjects being run by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16 universities illustrates that Cheju National University is ranked first in terms of number of teaching subject and teaching hour. * These would mean that the students have a strong sympathy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due to low individual financial burden caused by the fact that Ch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supported fiance for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 * It is hypothesiz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 being run in local universities will be activated if local governments and/or public organizations support finance for securing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tabilized number of students. 2. The Current States of Educational Condition by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 Demand on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 Educational Condition: The order of educational contents by subject illustrates that the work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practical work of programme is taught most, and followed by the basic principl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echanism of therap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the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horticultural plants, the clinical training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 indoor plant and landscape, the kind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 th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me and the introduction of its items, horticultural therapy and psychiatry, horticultur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medicine, clinical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vegetables), and horticultural therapy and nursing science. o Educational Demand: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ruit tree is demanded most, and followed by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 research method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analysis and programme of the work on horticulture, th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introduction of its items,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indoor landscape), the clinics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the basic principl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echanism of therap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indoor plant and its landscape, the whole area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pressed flower and the decoration technology of flowering plant. o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e samples were satisfied most with the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 and followed by horticultur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medicine, the kind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 (form classification), the basic principl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echanism of therap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indoor plant and its landscape,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whole areas of flowering plant, the biological physiology of flowering plant, horticultural therapy and psychiatry, the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work and the practice of analytic programming, and horticultural therapy and nursing science. * 43% among the total samples responded 'No' on the suitableness of current educational hours, and more than 60% wanted the educational hours should be more or less than 200 hours. * These findings would propose that the current curriculum prescribed by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should be extended as follows. The current teaching hours - three hours of teaching per week and four hours of practice for 16 weeks - should be extended to four hours for teaching per week and four hours of practice for 20 weeks. The total educational hours will be extended from 112 to 160. * It would be desirable to strengthen a suitabl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focusing on their horticultural activities such as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planting and management, applied fine arts, and flower decoration, etc. 3. The Current States of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al Contents, Demand, and Satisfaction o Three scales - work empowerment scale, self-directional scale, and interpersonal scale - were applied to the samples, using three scale items. It was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o The analysis of the qualifying examination of horticultural therapist during the past four years reveals that flowering plant covers 26.5%, and horticultural therapy 22.8%, medical area 29.5%, welfare and others 21.2%. o The medical area focusing mainly on psychiatry, rehabilitation medicine, and working treatment is an area of licensed medical doctor. In this sense, the medical area in horticultural therapy would be enough to be introductory level. o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educational hour for running horticultural therapist should be at least more than 150 hours. A dominant opin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lecture is that local government, as Ch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doing, should support the whole finance. * The educational condition, demand on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ere different in order by educational institute. This would be caused by the fact that each institute has different system in lecturer and educational circumstance. Nonetheless, the demand on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showed a higher score in all of the three sample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graduates from Cheju National University showed a very high satisfaction with all subjects related to clinic practice. * All of the three sample universities showed a very high demand on the area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This would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hours should be supplemented and revised. * Even though medical area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qualifying examination during the past four years, the examination items are mostly those related to the treatment and remedy by professional medical doctor. This would mean that the examination items of medical area are beyond the areas of which horticultural therapist should acquaint and/or the areas of which are not applied to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 With such implications, the samples perceives that about 30% allocated to medical area should be assigned equally to the area of horticulture and social welfare, consult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horticultural therapy. This will be resulted in a focus on the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therapist as a significance of welfare dimension. In addition, the samples perceiv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sychology and consultation techniqu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mutual trust between horticultural therapist and patient. 우리나라의 원예치료사 협회는 지난 10년간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원예치료의 필요성과 성과가 수반되는 요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예 산업을 기반으로 한 원예치료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상호 보완적이며 성장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187명의 원예치료사 2급 자격시험에 합격한 3개 대학 수료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원예치료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 현황조사 ○ 원예치료 활동범위를 보면 사회복지시설 및 지업재활, 정신과재활의학병원, 보건소 및 정신보건센터, 복지관 및 주간보호센터, 요양원, 일반학교, 특수학교, 농업기술센터, 교정기관 등 폭넓게 원예치료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원예치료복지협회에서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우수한 원예치료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교육운영규정에 준하여 원예치료사로서 필요한 원예 분야, 원예치료분야, 의약분야, 사회복지분야를 집중적으로 110시간 이상 교육하도록 했으나, 16개 평생교육원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총교육시간은 각 평생교육원별 112시간 - 최저 81시간 2) 24개의 교육과목 중 20개 이상 과목 이수 8개 평생교육원, 20개 과목 미만 8개 평생교육원으로 나타났으며, 협회에서 지정한 과목수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고 23과목, 최저 18과목 교육되었다. 3) 실습시간은 최고 48시간 실시 1개소, 45시간 1개소.32시간 9개소, 28시간4개소, 최저24시간 1개소로 나타났으며, 견학실습은 24시간 3개소, 16시간6개소, 8시간 7개소이다. ○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수료자 성별 구성비는(설문 187명) 남 41명(22%), 여 146명(78%)로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이수자는 남성보다 여성이 거의 배로서 여성이 많음을 나타냈다. 학력으로 보면 전문대 이상 졸업이 96%(82명), 고졸 4%(8명)로 원예치료사 자격취득 규정의 학력이 전문 학사 이상으로 되어있어 고졸이하는 극히 적었다. 2000년~2007년까지 8년간 원예치료사 교육과정 수료생은 전국 총2,638명이며 그중 제주대가 4년간 252명(9.5%)의 수료생을 배출 하여 타지방 대학과 비교해 볼 때 기당 수료생 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16개 대학별 평생교육 교과목 운영 실태 조사결과 제주대가 실시교과목수, 교육시간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제주도의 교육비 재정 지원 사업으로 원예치료사 교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통하여 교육생들의 개인부담이 적어 교육 호응도와 참여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교육의 질 향상과 안정적인 교육생 확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나 공공부분의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된다면 현재 지방대학의 원예치료사 교육이 활성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원예치료사 교육내용별 교육실태, 교육요구도,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 과목별 교육내용순위를 보면 교육실태에서는 (1)원예치료작업분석 및 프로그램 작성의 실제, (2)원예치료의기본원리와 작용기전 및 효과, (3)원예식물의 재배관리 및 번식, (4)원예치료 임상실습(화훼류 재배관리, 번식), (5) 실내식물 및 조경, (6)원예식물의 종류와 특성, (7)원예치료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지 소개, (8)원예치료와 정신의학, (9)원예치료와 재활의학, (10)원예치료 임상실습(채소류 재배관리, 번식)… (28)원예치료와 간호학 순으로 나타났다. ○ 교육내용 요구도 순위별로 보면 (1)원예치료임상실습(화훼류 재배관리, 번식), (2)원예치료 연구방법론, (3)원에작업분석 및 프로그램 작성의 실제, (4)원예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지 소개, (5)원예치료임상실습(실내조경), (6)원예치료임상(채소류 재배관리, 번식), (7)원예치료의 기본원리와 작용기전, 효과 (8)실내식물 및 실내조경, (9)원예치료분야전체… (28)원예치료임상실습(과수류 재배관리, 번식) 순으로 나타났다. ○ 교육내용 만족도 순위별로 보면 (1)원예식물의 재배관리 및 번식, (2)원예치료와 재활의학, (3)원예식물의 종류와 특성(형태분류), (4)원예치료의 기본원리와 작용기전, 효과, (5)실내식물 및 실내조경, (6)원예치료 임상실습, (7)원예 분야 전체, (8)원예식물생리학, (9)원예치료와 정신의학, (10)원예치료 작업분석 및 프로그램 작성의 실제… (28)원예치료와 간호학 순위로 나타났다. * 현재 교육시간 적절성 여부에 43%가 ‘아니오’를 택했으며, 60%이상이 200시간 내외로 늘렸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조사되었다. * 현재 1주당 3시간 강의, 4시간 실습인 16주 총112시간 협회규정 교육을 1주당 강의 4시간, 실습 4시간으로 늘리고, 20주를 한다면 학기 내에 160시간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교육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원예치료 활동 임상실습이 가장 많았으며, 식물심기 및 관리, 공예, 꽃 장식, 기타(요리, 생활소품 만들기)와 같은 원예활동 중심으로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3. 원예치료사 교육내용 실태, 요구도, 만족도 현황 조사 ○ 원예치료사 자격시험출제경향은 4년간 평균 분야별 분석결과를 보면 원예 분야 26.5%, 원예치료분야 22.8%, 의료분야 29.5%, 복지 및 기타분야 21.2%로 원예치료자격시험 분야별 출제경향은 의료분야가 29.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또한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운영상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교육시간은 150시간 이상 되어야 하며, 강의의 충실도를 위하여서는 제주도와 같이 지자체에서 교육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 각 교육기관 별로 실태, 요구도, 만족도 순위가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각 대학의 강사진에 대한 차이, 교육여건 등과 관련 있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예치료 임상실습에 대한 요구도는 3개 대학 모두 높은 점수를 나 타냈으며, 특히, 제주대의 경우, 모든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 3개 대학 모두 원예치료분야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분야의 교육내용, 교육시간의 보완 개정이 절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원예치료사 자격시험 4개 분야 중 의료분야가 29.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제 문제를 살펴보면 원예치료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의 기본을 검정하는 문항이라기보다는 전문의사들이 처방하며 전문치료에 필요한 문항이 대다수 조사되었다. 또한, 원예치료사가 필히 숙지하여야할 문항이 아니고 임상실습 중에도 적용되는 예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 따라서 의료분야에 할애되었던 약 30%를 원예 분야와 사회복지, 상담, 발달심리 및 원예치료 분야에 고루 배정하고, 의료분야 문항은 원예치료에 필요한 의학기초지식과 임상위주의 문항개발이 필요하며, 복지적 차원에서의 원예치료사 양성에 주력하여야 하며 특히 환자와의 상호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심리와 상담기술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 원예치료가 중증뇌질환 노인의 손 기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득이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중증 뇌질환 노인의 손 기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하는 K병원 노인 병동에 뇌질환으로 인한 치매, 뇌졸중, 등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실험군 7명과 대조군 4명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전반부에는 꽃장식을 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식물심기를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압과 맥박의 변화와, 핀치를 이용하여 손 기능의 변화를 조사 하였으며, 명령, 구성행위, 관념적 행위능력, 동작행위 등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치료평가표(KHY type)를 사용하여 매회 판단력, 기억력, 창조성, 적극성, 집중력, 사교성, 손기능을 평가하였다. 혈압과 맥박에 대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경우 수축기 혈압은 원예치료 실시 전 116.11에서 실시 후 111.78로(p=.235), 이완기 혈압은 실시 전 73.33에서 실시 후 71.39로(p=.058)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경우 수축기 혈압은 원예치료 실시 전 119.71에서 실시 후 113.33으로(p=.009)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이완기 혈압은 실시 전 71.13에서 실시 후 68.37로(p=.074)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맥박수는 대조군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전 76.90에서 실시 후 75.47로(p=.052)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72.56에서 실시 후 76.63으로(p=.036)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손기능(핀치)의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경우 오른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4.48에서 실시 후 3.43으로(p=.024) 유의하게 낮아졌고 왼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3.27에서 2.70으로(p=.121)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양손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군의 경우 전체점수로 보면 오른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57.42에서 실시 후 82.57로(p=.001), 왼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62.50에서 실시 후 90.58로(p=.006) 양손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지능력의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능력의 경우 대상자가 중증 뇌질환 노인으로 언어소통불가와 신체적 퇴화 현상 등으로 시행이 재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개인적으로 높은 편차가 있었기 때문에 수치로는 많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보면 대상자A의 경우 구성면에서, 대상자 B의 경우 동작행위에서, 대상자 E의 경우 구성과 동작에서, 대상자 F는 명령, 구성행위, 관념적 행위에서, 대상자 G는 구성, 명령, 관념적 행위, 동작행위 모두에서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치료평가표의 종합적 결과는 판단력이 원예치료 실시 전 1.8에서 실시 후 2.8로 (P<.008), 창조력은 원예치료 실시 전 2.0에서 실시 후 2.9로(P<.007), 적극성은 원예치료 실시 전 2.2에서 실시 후3.2로(P<.018), 사교성은 원예치료 실시 전 2.0에서 실시 후 2.6으로(P<.010), 손 기능면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2.4에서 실시 후 3.1로(P<.022)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기억력은 원예치료 실시 전 2.1에서 실시 후 2.7로(p=.750), 집중력은 실시 전 2.7에서 실시 후 3.2로(p=.051) 조금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원예치료가 중증 뇌질환 노인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손 기능 강화와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었다. 원예활동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과 창조성, 판단력은 물론 사교성과 활동의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적 기능이 더 약해지기 전에 좀 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으로 원예치료를 실시한다면 중증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hand functions and cognitive abilities in elders with severe brain les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s hospitalized for dementia, stroke, cerebral infarction, etc. caused by brain lesions at the geriatric ward of K Hospital in Gumi City, Gyeongsangbuk-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7) and a control group (n=4).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first part did flower decoration and the second part did plantin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 investigated changes in hand functions using a pinch and evaluated cognitive functions such as ordering, compositional behavior, conceptual behavior and motional behavior. Also, in each session, we evaluated discernment, memory, creativity, activeness, concentration, sociability and hand functions using the horticultural therapy assessment table (KHY type). The results of evaluating blood pressure and pulse are as follows. In the control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116.1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111.78 after (p=.235),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73.33 before and 71.39 after (p=.058),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119.7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113.33 after (p=.009)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71.13 before and 68.37 after (p=.0074)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ulse rate changed from 76.90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75.47 after (p=.052),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but it changed from 72.56 to 76.63 (p=.036),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evaluating hand functions (pinch) are as follows. In the control group, the right hand was 4.48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3.43 after (p=.024), showing a significant decrease, and the left hand was 3.27 before and 2.70 after (p=.121), showing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ight hand was 57.42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82.57 after (p=.001) and the left hand was 62.50 before and 90.58 after (p=.006), both sh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The results of evaluating cognitive abilities are as follows. Cognitive abilities could not be evaluated properly because of the subjects’ inability of verbal communication and physical involution caused by severe brain lesions. In addition, we could not measure improvement based on numerical data because of high variation in each individual. By individual, however, Subject A showed improvement in compositional behavior, Subject B in motional behavior, Subject E in compositional behavior and motional behavior, Subject F in ordering, compositional behavior and conceptual behavior, and Subject G in ordering, conceptual behavior and motional behavior. The result of general evaluation using the horticultural therapy assessment table, discernme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1.8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2.8 after (P<.008), creativity from 2.0 to 2.9 (P<.007), activeness from 2.2 to 3.2 (P<.018), sociability from 2.0 to 2.6 (P<.010), and hand functions from 2.4 to 3.1 (P<.022). However, memory was improved slightly from 2.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2.7 (p=.750) and concentration from 2.7 to 3.2 (p=.051), but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rticultural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hand functions and cognitive abilities, which are essential for everyday life, in elders with severe brain lesions. It was found that horticultura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stability, creativity, discernment, sociability and desire for activities. I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applied systematically and for a long term before elders’ physical functions are irrecoverably deteriorated, it is expected to be very effective in enhancing the life quality of elders with severe diseases.

      • 오감자극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해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오감자극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 자기 효능감과 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은 대구시 달서구 신당동에 위치한 대구재활센터에서 정신분열병환자 중에 대조군 10명, 실시군 10명으로 2006년 3월6일부터 2006년 6월 26일까지 주 1회 총 17회기에 걸쳐 오감자극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오감자극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시각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선명한 색의 꽃과 식물을 사용하였다. 촉각자극을 위해서는 각종 과일, 꽃잎과 식물의 잎, 여러 종류의 가지와 씨앗 등을 사용하였고 자연에서 나는 바람소리, 물소리, 나뭇잎 흔들리는 소리 등을 들을 수 있도록 청각자극을 유도하였다. 후각자극을 위해서는 과일과 허브, 꽃을 사용하였고, 감정조절에 영향을 주는 미각자극을 위해서는 식욕을 돋우는 주황색 계열의 여러 가지 과일과 꽃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감을 자극하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뇌의 취약성 요인인 뇌의 구조적이상,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기능이상에 영향을 주고 뇌의 지적 창조적 영역을 자극하였고 감정조절을 하게하므로 정신사회적 기능과 증상의 개선, 자기효능감 향상과 병식에 영향을 주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 병식평가를 사용하였다. 평가는 원예치료사와 담당 복지사의 주관적인 관찰일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고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 자기효능감, 병식의 조사결과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기존 치료도 병행하였다. 오감자극 원예치료의 정신사회적기능 평가결과 대조군의 경우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실시군은 일상생활수행기능 항목에서 사전 2.93점에서 사후 3.55점으로 .62점이 높아졌고 .05수준의 유의차가 있었다.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기능항목에서는 사전 2.52점에서 사후 3.21점으로 .69점이 높아졌으며 전체적으로는 사전 2.73점에서 사후 3.83점으로 1.10점이 높아져서 .001수준의 고도의 유의차를 보여서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로의 복귀에 중요한 요인인 정신사회적 기능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사회적증상 평가결과에서 대조군은 충동 및 탐닉, 총 증상점수에서 사전보다 사후검사에서 증상 점수가 높아져서 오히려 증상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군의 경우는 우울 및 불안, 충동 및 탐닉행동, 정신병적 증상, 모든 하위항목에서 점수가 낮아졌고 특히 우울 및 불안항목은 .01수준의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신사회적 전체증상과 특히 우울 및 불안항목의 증상호전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평가결과에서 대조군과 실시군 모두 일반적인 효능감과 구체적인 효능감에서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군의 대상자별 결과로 보면 두 개의 하위항목에서 각각 8명의 점수가 높아졌고 전체에서는 9명이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사회로의 복귀에 중요한 요인인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높아졌지만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개인과 개인 간의 하위항목의 항목별 차이가 큰 변수로 생각되었고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오감자극 원예치료 실시후 정신분열병환자의 병식평가결과는 대조군과 실시군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치료를 통한 오감자극으로 정신분열병환자의 병식증상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대구재활센터 관계자의 의견에 따르면 정신분열병환자의 재활에 병식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고 병식의 개선이 매우 어려운 부분이라고도 하였다. 따라서 정신분열병환자의 병식개선을 위해서는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원예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여서 단계적으로 장기 적용하는 것이 앞으로 원예치료사들이 추구해야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과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원예치료에 참가한 회원 중 80%가 시설내의 보호 작업실에서 보수를 받고 일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분열병환자들에게 오감자극 프로그램을 처음시도를 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충분하지 못한 점이 많았다. 특히 청각에서는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는 정도에 그쳤다. 따라서 청각을 비롯한 시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을 자극 할 수 있는 식물소재의 개발과 함께 좀 더 자극을 줄 수 있는 오감자극 원예치료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오감을 효과적으로 자극해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재활에 영향을 주는 정신사회적 기능과 병식개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오감자극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사회로의 복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following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five senses stimulating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mental social dysfunction abilities, self-esteem, and self-awareness of disease on schizophrenic patients. Horticultural Therapy took place in Daegu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Shin dang-dong.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nine adult males and one adult female, while seven adult males and three adult females were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rom March 6, 2006 until June 26, 2006. To this day, hospitals place their main focus on decreasing symptoms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order to reduce mental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prescribing medications may not be the only approach. Society has the responsibility to help these patients adjust to society and prevent any social inequalities from hindering their return to society. The data were measured and investig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Insight Scale. Observations and opinions by horticultural therapists were also contributed to the result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Paired-t-test through comparison of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During horticultural therapy, flowering plants of various colors were used to stimulate vision. Patients were told to feel different types of soil and rocks to stimulate their sense of touch. Through outdoor activities, the sound of nature such as wind, water and foliage were encountered to stimulate their sense of hearing. Plants with odors such as herbs, flowers, and fruits were manipulated to stimulate their sense of smell. Furthermore, patients tasted tomatoes, pepper, and fruits like kiwi, pear, orange and apple that they planted themselves in the garden to stimulate their sense of taste. After performing the five senses stimulating horticultural therapy,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much of a difference when resul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variation of .001 in the mental social abilities category for depression and instability. Also, there was a variation of .01 in the self-efficacy scale. Mean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Insight Scale. From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five senses stimulating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ental abilities and relieving mental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indoor garden that was setup in front of the Rehabilitation Center helped improving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We believe that this has also improved their social skill. Currently, 80% of members being treated by horticulture therapy are getting paid for working in protective environments. Such programs suggest hop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will soon be able to return to society.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creating a very well organized five sense stimulating therapy will have a long-term effect on improving the mental social dysfunc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 원예치료가 우울증해소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중년여성 중심으로-

        강신영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원예치료가 우울증해소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중년여성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강 신 영 지도교수 김문성 본 연구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우울증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중년 여성들 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에 참여 하도록 하여 주관적 방법과 객관적 실험을 통 해 그 효과를 검증하여 중년여성들의 정신적 건강 회복 및 건강한 환경을 제안하고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한 실험 설계 연구이다. 실험기간은 2012년 11월 7일부터 2013년 3월 27일 까지 주1회씩 20회기에 걸쳐 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는 하남 시에 위치한 하남 자활센타 에서 일하는 중년여성들 중 우울증을 겪고 있는 실험대상 8명을 선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식물을 매개체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 구로는 우울(Depression)지각 측정인 이소우외 3인(2003)이 개발한 ‘한국 인의 우울 측정도구 개발연구’를 이용하였으며 스트레스(Stress)는 박순영 (1999)이 개발한 지각 측정(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도구를 사용 한 주관적 평가를 사전, 사후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별도로 사전에 원예활 동에 대한 흥미를 묻는 설문지 검사와 사후에 원예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 검사를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원예활동 관찰 평가표를 매 회마다 작성하여 지속적인 변화도를 살펴보았다. 이 기간 중에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과 후에 우울을 측정하여 변화사항을 각 대상자 별로 비교하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 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우울 및 스트레스 시기별 차이를 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회수별 참여성, 집중도, 감정표현, 호응도, 대인관계, 자신감, 성취감 평균값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우울의 경우에 사전총점 107.25점, 사후 88점으로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하위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정신적양상(p〈.05), 사회심리적양상(p〈.01), 욕구충동양상(p〈.05), 신체적 양상(p〈.05) 우울 하위변인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스트레스의 경우에 사전 총점 43점, 사후 총점 34점으로 사전이 사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하위변인별로 살 펴본 결과 정신적 측면 스트레스(p〈.05)에서만 유이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여성들에 게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향후 치료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단기성 프로그램으로 그치지 말고 꾸준한 장기적 효과를 나 타낼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오현자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초생활 수급권자인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노인 복지관에서 12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2008년 3월 27일부터 7월 17일 까지 15회기 중 10회기 이상 참석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을 평가하였고 매회 프로그램 후 원예활동 평가표에서 9개 항목의 관찰 평가를 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변화에서 12명 중 11명은 증가하였고 1명은 감소하였다. 감소한 이유는 가정사로 여러 가지 큰일을 겪고 건강상의 이유도 있었다. 원예치료 실시 전 사회적 지지도는 전체평균이 15.41이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34.00으로 향상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의 변화에서는 실시 전 평균은 20.58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5.41으로 증가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원예활동 평가에서는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 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 지각 능력과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증가가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old adults have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at welfare center for old adult in Mokpo country. HTP were conducted one time per week from 27 March to 17 July, 2008. To examine the effects of HTP,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processing. And we carried out the observation evaluation by horticultural activity evalution every times. In change of social support, 11 old adults among subjects were increased, but 1 old adult was decreased.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showed high grade of 34.0 after HTP compared to 15.4 before HTP. Self-esteem of twelv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ean value of self-esteem scale was higher by grade of 25.4 after HTP than grade of 20.6 before HTP.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were improved.

      • 방과후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신상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as effect to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reducing stress for after school students. The children entranced after school program at “Daniel Academy for Gifted” in B church, Gwangsan-Gu Gwangju City. The horticulutral therapy program with 12 boys, 12 girls for once a week, total 12 times, from June 10th to September 2nd 2008.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practiced basic activity like seeding some seeds, water culture and grass doll craft easily. Those activities stimulated student’s curiosity and increased concentration. The research evaluation tools gave effect to horticultural therapy valuation chart, question sheets for checking measure of sociality and stres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daily report, House-Tree-People(HTP) measure test. The hrticultural therapy program chart wrote evaluation chart before and after program for test group and sociality measure, and then stress measure used before test and after realization for test group and opposite group. An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daily report was written detail from preparation to grogram progressing context, HTP test tested in advance and after the fact. That it came out good result in the gardening evaluation chart of sociality development (p=0.000), cooperation(P=0.000) and understanding (p=0.000), communication(P=0.001) and personal relation(P=0.001) improved highly as well. The children improved sociality measure(P=0.005), and stress measure(P=0.003) decreased. While researche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children join in this program well and they love their craft, and when they have cooperation activity, they took care of each other and understood each other. Above all things, the changed thing with stand out conspicuously is that the children improved their express their opinion well. So they've got self confidence in personal relati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s progressing program, the children got lots of questions about plant and topic. They considered about growing and protecting of plants. In short, divers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are effected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reducing stress for after school. For revitalizat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 mus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like as interesting and creative and science to children.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방과 후 아동의 사회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B교회에서 운영하는 방과 후 프로그램 “다니엘 영재사관학교”에 입학한 아동 총 48명(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대상으로 2008년 6월 10일부터 2008년 9월 2일까지 주 1회, 총 12회에 거쳐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종자 파종과 같은 기초적인 원예활동과 수경재배, 잔디인형 만들기등 아동들이 쉽게 할 수 있으며 호기심을 자극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는 원예치료 평가표, 사회성 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를 측정하는 설문지, 그리고 원예활동 프로그램 운영일지, HTP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평가표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수 전·후 평가표를 작성하였고, 사회성 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전 실험 - 후 실험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일지는 준비과정에서부터 프로그램진행 내용까지 상세히 기록 평가하였으며, HPT검사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사전 ? 사후 검사하였다. 원예치료 평가표의 사회성 발달에서는 참여성(P=0.000), 협동성(P=0.000), 이해력(P=0.000)이 고도의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P=0.001)과 대인관계(P=0.001)역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회성 척도는(P=0.005)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향상되었으며 스트레스척도(P=0.003)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감소가 되었다. 대상자 전체 평가결과 원예치료프로그램 수행 시 참여도가 좋아졌으며, 자신의 결과물에 애착심을 보였다. 또한 공동작품 활동 시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눈에 띄게 변화된 것은 대체적으로 발표력이 많이 향상되어 대인관계의사소통과 감정표현에서 자신감을 갖게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횟수가 더함에 따라 식물과 소재 질문횟수가 늘어나 식물에 성장, 보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경험은 방과 후 아동의 사회성발달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활성 시키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접근하기 쉽고 흥미가 있으며 창의적이며 과학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원예치료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표현 변화에 관한 연구

        정은희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horicultural therapy for the change of children's emotion expression, I examine the change of the emotion function and emotion expression of children and the change of emotion expression according to a family form. The purposed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ren's positive emotion and the ways of expressing their emotion are affected from an environment and the effects of horiculture therapy program for children's emotion control and expression. Four ?U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were chosen for the subject in this study.. I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the sentence completion, and the analysis of records from the subjects' writing and picture during the examination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measured. The subject A got 118 at the preliminary test but the point rose to 141 at an ex post facto test. He showed the big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the emotion control. The subject B got 114 at the preliminary test, 135 at an ex post facter tes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use. The point changed from 135 to 150 in the subject C,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all the parts including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the emotion use. The subject D's point ran high from 117 to 151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emotional use and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the change of the children in the emotional control and the ability for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by using emotion.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point from 232 to 276 of the general children,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showed higher difference between 252 and 301. Second, I compared the result of sentence completion test to explore the effect in th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Before the program, the subject A rather hid his opinion than express it, but after the program he expressed not only his emotion but also the will of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positive behavior. Before the program, the subject B tried to make me recognize his emotion, but after that he tried to express his emotion and make the others understand. The subject C didn't express his idea or avoided and showed that he wanted to solve a problem by himself. But after the test, he showed the positive aspect for problem solving by expressing emotion. The subject D expressed his emotion by a violence but after the program he tried to control his emotion and express emotion to his friends. These results tells us that the horicultural therapy affects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such as active self-expression,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friendship. Third, the subjects were supposed to report their observation and emotion through writing and drawing during the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At first, the subject A was indifferent in writing and picture and showed aggressive action enough to tear the report paper to correct the content. But as the program was in progress, he observed plants and expressed his emotion with writing and picture. The subject B often quitted reporting the observation or couldn't complete the report at first. During the program, he little by little showed his interest in expressing his observation with writing and picture and was able to complete his report in time. The subject C drew picture using color and showd the progress in expressing his feeling. The subject D's report of his observation was like scribbling and he repetitively expressed human body apart, but after the program he made an observation report with the content and stable picture. From the above, we can make a conclusion like these; (1) The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can affec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2) The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can make a positive effect in emotional control and th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for a single-parent's children. (3) The horicultural therapy influences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friendship among peer and friends through the positiv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제주시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표현의 변화, 가족의 형태에 따른 정서표현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아동기의 긍정적인 정서와 이를 표현하는 방법에 주위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정서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정서지능 검사지, 문장완성검사지와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에 대상자가 작성한 관찰일지와 느낌일지의 글과 그림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우선 정서지능을 측정하였다. 대상자 A는 사전 118점에서 사후 141점을 나타냈으며 정서사고촉진과 정서조절부분에서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 B는 사전 114점에서 사후 135점으로 정서사고촉진과 정서활용에서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 C는 사전 135점에서 사후 150점을 나타냈으며 정서사고 촉진과 정서활용 영역 등 전 영역에서 상승을 보였으며, 대상자 D는 사전 117에서 사후 151점으로 정서활용과 정서사고촉진에서 높·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고 정서를 활용하여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능력에 변화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가정 아동은 사전 232점에서 사후 276점으로 한부모가정 아동은 사전 252점에서 301점으로 한부모가정 아동이 일반가정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문장완성검사를 비교하였다. 검사결과 대상자 A는 사전검사에서는 자기 의사표현을 못하고 감정을 숨기는 등의 표현을 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감정을 표현하면서도 타인에 대한 배려와 긍정적인 행동을 하겠다는 표현의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 B는 사전검사에서는 감정을 인식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사후에는 감정을 표현하여 상대를 이해시키려고 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 C는 사전검사에서는 스스로 자기의사를 표현하지 못하고 회피하거나 혼자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사후검사에는 자기감정을 표현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긍정적인 면을 보였다. 대상자 D는 사전검사에서는 감정을 폭력으로 해결하려 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스스로 감정을 억제하려고 하였으며, 친구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아동의 정서표현에 있어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타인에 대한 배려, 긍정적인 친구관계 형성에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관찰일지와 느낌일지의 작성을 통해 나타난 아동의 글과 그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A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초기에는 글과 그림의 표현에 무관심하였고 관찰일지가 찢어질 정도로 수정하는 등 과격한 행동을 보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식물을 관찰하며 느낀점을 스스로 글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대상자 B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초기에는 관찰일지 작성을 중단하거나 완성하지 못하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자신이 관찰한 것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에 흥미를 보였으며 정해진 시간 안에 관찰일지 등을 완성할 수 있었다. 대상자 C는 색채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것도 향상되었으며 대상자 D는 초기에는 낙서형식의 관찰일지 작성과 사람의 몸을 분리하는 그림 등을 반복해서 표현했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내용을 갖춘 관찰일지작성과 그림에서 안정적인 표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첫째, 원에치료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표현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조절과 정서표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아동의 긍정적인 정서표현변화를 통한 또래 및 친구관계를 원만하게 형성 유지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적 변인을 중심으로

        홍승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의 기존 연구물들의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정리하고, 원예치료의 전체평균효과 및 심리적인 변인별 즉 자아존중감·우울·불안·사회성의 평균효과크기 등을 비롯하여 각각의 연구관련 변인별 평균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논문은, 메타분석이 가능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연구물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점수와 표준편차가 제시된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발행된 원예치료와 관련된 논문 120여 편 중에서, 심리적 변인과 관련된 논문은 40여 편 그 중에서 메타분석에 적합한 2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93으로 큰 편에 속하는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네 가지의 심리적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분류하여 평균효과크기를 구한 결과, 자아존중감(1.24)과 불안(1.15)의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우울과 사회성은 중간 정도 이상의 효과크기를,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사회성의 순서로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연구대상 관련변인별 효과크기에서 연령과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 본 결과, 중/고등학생(0.60)보다 유아/초등학생(1.10)과 성인(1.26)에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장애 유무의 유형별에 따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또, 장애유형(정신지체·정신질환·신체질환)별로도 각 집단 간 평균효과크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진행 특성(집단크기·총 시행횟수·주당 시행횟수)에 따라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집단크기는 4-6명(1.63)일 때와 11-20명(1.63)일 때 효과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21-25회의 경우 2.74로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시행횟수가 대체로 16회 이상일 때 효과가 큰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성과와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연구라는 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이루어질 원예치료의 효과와 성과의 연구 설계에 실제적인 지침이 되길 바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구성 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conducted in Korea during 1998-2005, using meta-analysis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utcome research. 22 studies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found to be 0.93, indicating that horticultural therapy was highly effective in overall. Among the variables used to compa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dependent variables, client's age, the number of sessions, and the number of clients were foun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compared by their four psychological variables, Self-esteem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s and in order of anxiety, depression, sociality. When they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lient's age, the infants/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ult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administered 4-6 participants and 11-20 participants in a group, more than 16 sessions were found to be generally effectiv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horticultural therapy produce highly effective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Limit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offered.

      • 원예치료가 청각장애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주란 목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emotional bal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in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Ten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of Mokpo city and Muan-gun branch, Jeonnam, Korean Association of the Deaf participated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programs consisted of 10 to 14 sessions which were conducted every year from 2013 to 2016.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10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self-esteem, depression, emotional bal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program each year, and the preference of program was investigated every year. And, the drawing evaluations were conducted after the program in 2014.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2013, self-esteem was higher by grade of 29.8 after program than grade of 22.5 before program, and it showed th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subjects preferred ‘packing the pot of spray chrysanthemum’, ‘creating the topiary’, ‘planting the ivy’, ‘making the center piece using a scented candle’, and ‘planting the cyclamen’ programs.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2014, depression was lowered by grade of 37.5 after program than grade of 42.7 before program,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emotional balance was increased by grade of 2.3 after program compared to grade of 0.3 before program. The subjects preferred ‘planting the tropical orchids’, ‘making the dish garden’, ‘making the plum pickle’, ‘making the pressed flowers using hydrangea’, ‘making the mosquito repellent spray’, ‘making the natural herbal soap’, and ‘making the watermelon salad’ programs.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2015,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higher by grade of 59.2 after program than grade of 53.5 before program, and it showed th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subjects preferred ‘making the basket garden’, ‘making the aroma scented candle’, ‘making the mini bouquet’, ‘decorating the mini phalaenopsis’, and ‘making the celosia flower tea’ programs.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2016, self-efficacy was increased by grade of 74.5 after program compared to grade of 62.2 before program,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subjects preferred ‘decorating the bamboo and orchids’, ‘making the wet tissue solution’, ‘making the succulent plant garden’, ‘dying the handkerchief with onion’, and ‘making the garden with hydroponic plants’ programs. Overall,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on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based on testing results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emotional bal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청각장애 여성의 자아 존중감, 우울 , 감정균형조절, 자기 효능감, 및 자기 정서표현성 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농아인협회 전남 목포시지부와 무안군지부의 청각장애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10~14회기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년도 별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우울과 감정균형, 정서표현성,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고, 매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4년도 회기별 원예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그림평가를 실시하였다. 2013년에 목포시지부 청각장애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자아존중감은 실시 전 22.5점에서 실시 후 29.8점으로 7.3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들은 ‘향초를 이용한 센터피스 만들기’, ‘소국화분 포장하기’, ‘토피어리 만들기’, ‘아이비 덩굴심기’, ‘시클라멘 식물심기’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 목포시지부 청각장애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우울은 실시 전 49.0점에서 실시 후 43.9점으로 감소하였고, 감정균형은 실시 전 0.3점에서 실시 후 2.3점으로 높아져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상자들은 ‘서양란 심기’, ‘접시정원 만들기’, ‘매실장아찌 담기’, ‘수국 꽃 누르기’, ‘모기퇴치 스프레이 만들기’, ‘천연허브비누 만들기’, ‘수박화채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2015년에 무안군지부 청각장애 여성 대상으로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정서표현성은 실시 전 53.9점에서 실시 후 58.8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보여 주었다. 대상자들은 ‘바구니 정원만들기’, ‘아로마 향초 만들기’, ‘미니꽃다발 만들기’, ‘미니 호접란 장식하기’, ‘맨드라미 꽃차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2016년에 무안군지부 청각장애 여성 대상으로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자기효능감은 실시 전 62.2점에서 실시 후 74.5점으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대상자들은 ‘대나무와 풍란 장식하기’, ‘물티슈 용액 만들기’, ‘다육식물정원 만들기’, ‘양파로 손수건 염색하기’, ‘수경식물심기’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청각장애 여성의 우울이 감소하며, 자아존중감, 감정균형,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 등 삶의 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