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요양시설에서 원예치료가 치매 노인의 정서와 소근육에 미치는 영향

        전소연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lderly at sanitariums who were suffering from dementia with the aim to understand the impa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ir sentiments and minor muscles. In terms of a research plan, using the before-and-after experiment design, among the four types of Solomon group desig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 people as a control group and 10 as a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a total of 12 sessions of horticultural therapy, once every week from April to June of 2006. The horticultural hea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3 months, each with a 60-minute-session from 2 to 3 pm every Saturday afternoon, including the time for preparation and cleaning up afterwards. The topics of the program utilized tools safe for dementia patients and non poisonous plants. Since the elderly had poor perception and muscular reaction, the chosen programs were simple and had a high percentage of success rates. Moreover, in order to give them pride and self-confidence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 jobs were repetitive in nature. As evaluation tool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measured against GDS, self-respect scale, and emotional balance scale, while their minor muscle systems were also examined. In terms of a change in their depression, the control group showed an average shift from 18.7 to 24.0, which w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This indicated that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erapy, the control group became gloomier. On the other hand, the depression point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therapy, went down from an average of 22.2 to 14.4. This w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as an indication of a decrease in depression. In terms of a change in the feeling of self-respect, the control group went down from 25.2 to 24.8,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hange which indicated no change in self-respect of the control group during horticultural therapy. The change in self-resp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therapy showed an increase from an average of 24.9 to 25.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a change in emotional balance,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change from an average of 14.7 to 13.3,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dicating no change of emotional balance during horticultural therap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n increase from an average of 14.2 to 15.9 in emotional balance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minor muscles, grabbing power, side-holding, three-finger-tip holding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grabbing power, the control group showed an average decrease of power in their left hands, which was ye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Looking at their right hands, which showed an average decrease of power, showed a very significant chang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rapy, an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latter half.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ir left hands showed an average increase of grabbing power,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ir right hands showed an average increase of power between before and after,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ir grabbing. In terms of side-holding power, the experimental group's left hands decreased in their average powe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re was a change on average in their right hands as well, with both the first and the latter halves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dicating a decrease of their function during the period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left hand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average showed in increase in their side-holding power, with a significant change before and after statistically. Their side-holding power of the right hand increased on averag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latter part of therapy and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change in the first half, and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is indicated an increase in their side-holding power. In terms of three-finger-tip holding power, the left hands of the control group showed an average decrease of powe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latter part, and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In their right hands too, three-finger-tip power decreased on averag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first half of experiment, indicating that their function had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horticultural therap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three-finger-tip power in their left hands had increased on averag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occurring in the first and latter halves of the experiment and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change especially in the latter half of the experiment. Their right hands also increased in power on averag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tree-finger-tip powe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experiment and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indicating an overall increase in the three-finger-tip power. In summary, this study show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could impact patients' emotions through changes in depression, self-respect, and emotional balance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it could also influence on their minor muscles through changes of power in grabbing, side-holding, and three-finger-tip holding. All of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could be employed as a method of socio-environmental therapy for patients at long-term sanitariums who suffered from dementia.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such results since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a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tend to stay at sanitariums for quite a long period of time, studies for developing a long-term program for performing horticultural therapy should be conducted mor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정 서와 소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솔로몬의 네가지 그룹 디자인 중 전실험-후실험 디자인을 사용 하여 대조군 10명과 치료군 10명을 대상으로 2006년 4월부터 6월까지 주 1회 씩 총 12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3개월 동안의 원예치료프로그램 을 진행하였으며 매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준비시간과 정리시간을 포함하여 60분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소재들은 치매노인들에게 위험하지 않 는 작업도구와 독성이 없는 식물을 사용하였고 도구에 대한 인지능력과 근육 기능이 많기 떨어지기 때문에 단순하고 완성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선택하였 다. 또한 원예작업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을 위해 반복적인 작업을 실시하였 다. 평가도구로 대조군과 치료군을 대상으로 GDS, 자아존중감척도, 감정균형 척도, 소근육을 조사하였다. 우울의 변화를 보면 대조군은 우울의 변화가 평균적으로 18.7에서 24.0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하게 나와서 치료군이 원예치료를 받는 동안 대조군은 우울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치료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후에 우울의 변화가 평균적으로 22.2에서 14.4로 감소하고, 통계적으로 도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서 우울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보면 대조군은 평균적으로 25.2에서 24.8로 감소하였 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아 치료군이 원예치료를 받는 동안 대조군의 자 아존중감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후의 자 아존중감의 변화가 평균적으로 24.9에서 25.8로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균형의 변화를 보면 대조군은 평균적으로 14.7에서 13.3으로 감소하였 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고 치료군이 원예치료를 받는 동안 대조군의 감정균형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후의 감 정균형의 변화가 평균적으로 14.2에서 15.9로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근육은 장악력과 측면잡기, 세손끝잡기로 변화를 보았는데 장악력의 경우 대조군은 왼손에서는 평균적인 감소가 있었지만 통계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른손은 평균적으로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전과 중간은 매우 유 의한 변화가 전과 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 료군의 왼손에서는 평균적인 장악력이 증가가 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손은 평균적으로도 증가되었으며 전과 후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어 장악력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측면잡기 힘에서 대조군의 외손은 평균적으로 감소가 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전과 후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손도 평균적으로 변화 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전과 중간, 전과 후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가 있어 원예 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기능이 감퇴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군의 왼손은 평균적으로 측면잡기 힘이 증가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전과 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손은 측면잡기 힘이 평균적으로 증가되 었고 중간과 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전과 중간, 전과 후 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가 있어 측면잡기 힘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손끝잡기 힘에서 대조군의 왼손은 평균적으로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중간과 후, 전과 후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손도 평균 적으로 세손끝잡기 힘이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전과 중간 유의한 변화가 있 어 원예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기능이 감퇴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군의 왼손에서는 세손끝잡기 힘이 평균적으로 증가되었고, 통계적으로 도 전과 중간, 중간과 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과 후에서 매 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손도 평균적으로도 증가되었으며 중간과 후 에서 통계적으로 세손끝잡기 힘이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전과 후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가 있어 세손끝잡기 힘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원예치료가 대조군과 치료군에서 우울, 자아존중감, 감정균형 의 변화를 통해서 정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장악력, 측 면잡기 힘, 세손끝잡기 힘의 변화를 통해 소근육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장기요양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의 사회환경적 치료 방법으로 원예치료 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실험 기간이 짧고 대조군과 치 료군의 인원이 제한되어 일반화 하기에는 어려움 점이 있지만 특히 장기요양 시설의 치매노인의 경우는 장기간 있는 것을 가만하면 장기적인 원예치료 프 로그램의 개발과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본다.

      • 원예치료가 우울증해소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중년여성 중심으로-

        강신영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원예치료가 우울증해소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중년여성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강 신 영 지도교수 김문성 본 연구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우울증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중년 여성들 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에 참여 하도록 하여 주관적 방법과 객관적 실험을 통 해 그 효과를 검증하여 중년여성들의 정신적 건강 회복 및 건강한 환경을 제안하고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한 실험 설계 연구이다. 실험기간은 2012년 11월 7일부터 2013년 3월 27일 까지 주1회씩 20회기에 걸쳐 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는 하남 시에 위치한 하남 자활센타 에서 일하는 중년여성들 중 우울증을 겪고 있는 실험대상 8명을 선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식물을 매개체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 구로는 우울(Depression)지각 측정인 이소우외 3인(2003)이 개발한 ‘한국 인의 우울 측정도구 개발연구’를 이용하였으며 스트레스(Stress)는 박순영 (1999)이 개발한 지각 측정(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도구를 사용 한 주관적 평가를 사전, 사후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별도로 사전에 원예활 동에 대한 흥미를 묻는 설문지 검사와 사후에 원예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 검사를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원예활동 관찰 평가표를 매 회마다 작성하여 지속적인 변화도를 살펴보았다. 이 기간 중에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과 후에 우울을 측정하여 변화사항을 각 대상자 별로 비교하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 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우울 및 스트레스 시기별 차이를 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회수별 참여성, 집중도, 감정표현, 호응도, 대인관계, 자신감, 성취감 평균값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우울의 경우에 사전총점 107.25점, 사후 88점으로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하위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정신적양상(p〈.05), 사회심리적양상(p〈.01), 욕구충동양상(p〈.05), 신체적 양상(p〈.05) 우울 하위변인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스트레스의 경우에 사전 총점 43점, 사후 총점 34점으로 사전이 사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하위변인별로 살 펴본 결과 정신적 측면 스트레스(p〈.05)에서만 유이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여성들에 게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향후 치료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단기성 프로그램으로 그치지 말고 꾸준한 장기적 효과를 나 타낼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원예치료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표현 변화에 관한 연구

        정은희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horicultural therapy for the change of children's emotion expression, I examine the change of the emotion function and emotion expression of children and the change of emotion expression according to a family form. The purposed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ren's positive emotion and the ways of expressing their emotion are affected from an environment and the effects of horiculture therapy program for children's emotion control and expression. Four ?U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were chosen for the subject in this study.. I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the sentence completion, and the analysis of records from the subjects' writing and picture during the examination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measured. The subject A got 118 at the preliminary test but the point rose to 141 at an ex post facto test. He showed the big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the emotion control. The subject B got 114 at the preliminary test, 135 at an ex post facter tes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use. The point changed from 135 to 150 in the subject C,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all the parts including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the emotion use. The subject D's point ran high from 117 to 151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emotional use and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the change of the children in the emotional control and the ability for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by using emotion.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point from 232 to 276 of the general children,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showed higher difference between 252 and 301. Second, I compared the result of sentence completion test to explore the effect in th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Before the program, the subject A rather hid his opinion than express it, but after the program he expressed not only his emotion but also the will of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positive behavior. Before the program, the subject B tried to make me recognize his emotion, but after that he tried to express his emotion and make the others understand. The subject C didn't express his idea or avoided and showed that he wanted to solve a problem by himself. But after the test, he showed the positive aspect for problem solving by expressing emotion. The subject D expressed his emotion by a violence but after the program he tried to control his emotion and express emotion to his friends. These results tells us that the horicultural therapy affects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such as active self-expression,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friendship. Third, the subjects were supposed to report their observation and emotion through writing and drawing during the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At first, the subject A was indifferent in writing and picture and showed aggressive action enough to tear the report paper to correct the content. But as the program was in progress, he observed plants and expressed his emotion with writing and picture. The subject B often quitted reporting the observation or couldn't complete the report at first. During the program, he little by little showed his interest in expressing his observation with writing and picture and was able to complete his report in time. The subject C drew picture using color and showd the progress in expressing his feeling. The subject D's report of his observation was like scribbling and he repetitively expressed human body apart, but after the program he made an observation report with the content and stable picture. From the above, we can make a conclusion like these; (1) The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can affec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2) The horicultural therapy program can make a positive effect in emotional control and th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for a single-parent's children. (3) The horicultural therapy influences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friendship among peer and friends through the positiv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제주시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표현의 변화, 가족의 형태에 따른 정서표현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아동기의 긍정적인 정서와 이를 표현하는 방법에 주위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정서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정서지능 검사지, 문장완성검사지와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에 대상자가 작성한 관찰일지와 느낌일지의 글과 그림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우선 정서지능을 측정하였다. 대상자 A는 사전 118점에서 사후 141점을 나타냈으며 정서사고촉진과 정서조절부분에서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 B는 사전 114점에서 사후 135점으로 정서사고촉진과 정서활용에서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 C는 사전 135점에서 사후 150점을 나타냈으며 정서사고 촉진과 정서활용 영역 등 전 영역에서 상승을 보였으며, 대상자 D는 사전 117에서 사후 151점으로 정서활용과 정서사고촉진에서 높·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고 정서를 활용하여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능력에 변화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가정 아동은 사전 232점에서 사후 276점으로 한부모가정 아동은 사전 252점에서 301점으로 한부모가정 아동이 일반가정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문장완성검사를 비교하였다. 검사결과 대상자 A는 사전검사에서는 자기 의사표현을 못하고 감정을 숨기는 등의 표현을 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감정을 표현하면서도 타인에 대한 배려와 긍정적인 행동을 하겠다는 표현의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 B는 사전검사에서는 감정을 인식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사후에는 감정을 표현하여 상대를 이해시키려고 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 C는 사전검사에서는 스스로 자기의사를 표현하지 못하고 회피하거나 혼자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사후검사에는 자기감정을 표현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긍정적인 면을 보였다. 대상자 D는 사전검사에서는 감정을 폭력으로 해결하려 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스스로 감정을 억제하려고 하였으며, 친구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아동의 정서표현에 있어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타인에 대한 배려, 긍정적인 친구관계 형성에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관찰일지와 느낌일지의 작성을 통해 나타난 아동의 글과 그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A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초기에는 글과 그림의 표현에 무관심하였고 관찰일지가 찢어질 정도로 수정하는 등 과격한 행동을 보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식물을 관찰하며 느낀점을 스스로 글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대상자 B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초기에는 관찰일지 작성을 중단하거나 완성하지 못하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자신이 관찰한 것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에 흥미를 보였으며 정해진 시간 안에 관찰일지 등을 완성할 수 있었다. 대상자 C는 색채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것도 향상되었으며 대상자 D는 초기에는 낙서형식의 관찰일지 작성과 사람의 몸을 분리하는 그림 등을 반복해서 표현했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내용을 갖춘 관찰일지작성과 그림에서 안정적인 표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첫째, 원에치료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표현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조절과 정서표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아동의 긍정적인 정서표현변화를 통한 또래 및 친구관계를 원만하게 형성 유지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 원예치료가 중증뇌질환 노인의 손 기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득이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중증 뇌질환 노인의 손 기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하는 K병원 노인 병동에 뇌질환으로 인한 치매, 뇌졸중, 등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실험군 7명과 대조군 4명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전반부에는 꽃장식을 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식물심기를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압과 맥박의 변화와, 핀치를 이용하여 손 기능의 변화를 조사 하였으며, 명령, 구성행위, 관념적 행위능력, 동작행위 등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치료평가표(KHY type)를 사용하여 매회 판단력, 기억력, 창조성, 적극성, 집중력, 사교성, 손기능을 평가하였다. 혈압과 맥박에 대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경우 수축기 혈압은 원예치료 실시 전 116.11에서 실시 후 111.78로(p=.235), 이완기 혈압은 실시 전 73.33에서 실시 후 71.39로(p=.058)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경우 수축기 혈압은 원예치료 실시 전 119.71에서 실시 후 113.33으로(p=.009)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이완기 혈압은 실시 전 71.13에서 실시 후 68.37로(p=.074)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맥박수는 대조군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전 76.90에서 실시 후 75.47로(p=.052)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72.56에서 실시 후 76.63으로(p=.036)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손기능(핀치)의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경우 오른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4.48에서 실시 후 3.43으로(p=.024) 유의하게 낮아졌고 왼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3.27에서 2.70으로(p=.121)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양손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군의 경우 전체점수로 보면 오른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57.42에서 실시 후 82.57로(p=.001), 왼손은 원예치료 실시 전 62.50에서 실시 후 90.58로(p=.006) 양손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지능력의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능력의 경우 대상자가 중증 뇌질환 노인으로 언어소통불가와 신체적 퇴화 현상 등으로 시행이 재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개인적으로 높은 편차가 있었기 때문에 수치로는 많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보면 대상자A의 경우 구성면에서, 대상자 B의 경우 동작행위에서, 대상자 E의 경우 구성과 동작에서, 대상자 F는 명령, 구성행위, 관념적 행위에서, 대상자 G는 구성, 명령, 관념적 행위, 동작행위 모두에서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치료평가표의 종합적 결과는 판단력이 원예치료 실시 전 1.8에서 실시 후 2.8로 (P<.008), 창조력은 원예치료 실시 전 2.0에서 실시 후 2.9로(P<.007), 적극성은 원예치료 실시 전 2.2에서 실시 후3.2로(P<.018), 사교성은 원예치료 실시 전 2.0에서 실시 후 2.6으로(P<.010), 손 기능면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2.4에서 실시 후 3.1로(P<.022)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기억력은 원예치료 실시 전 2.1에서 실시 후 2.7로(p=.750), 집중력은 실시 전 2.7에서 실시 후 3.2로(p=.051) 조금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원예치료가 중증 뇌질환 노인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손 기능 강화와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었다. 원예활동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과 창조성, 판단력은 물론 사교성과 활동의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적 기능이 더 약해지기 전에 좀 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으로 원예치료를 실시한다면 중증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hand functions and cognitive abilities in elders with severe brain les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s hospitalized for dementia, stroke, cerebral infarction, etc. caused by brain lesions at the geriatric ward of K Hospital in Gumi City, Gyeongsangbuk-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7) and a control group (n=4).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first part did flower decoration and the second part did plantin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 investigated changes in hand functions using a pinch and evaluated cognitive functions such as ordering, compositional behavior, conceptual behavior and motional behavior. Also, in each session, we evaluated discernment, memory, creativity, activeness, concentration, sociability and hand functions using the horticultural therapy assessment table (KHY type). The results of evaluating blood pressure and pulse are as follows. In the control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116.1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111.78 after (p=.235),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73.33 before and 71.39 after (p=.058),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119.7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113.33 after (p=.009)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71.13 before and 68.37 after (p=.0074)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ulse rate changed from 76.90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75.47 after (p=.052),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but it changed from 72.56 to 76.63 (p=.036),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evaluating hand functions (pinch) are as follows. In the control group, the right hand was 4.48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3.43 after (p=.024), showing a significant decrease, and the left hand was 3.27 before and 2.70 after (p=.121), showing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ight hand was 57.42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82.57 after (p=.001) and the left hand was 62.50 before and 90.58 after (p=.006), both sh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The results of evaluating cognitive abilities are as follows. Cognitive abilities could not be evaluated properly because of the subjects’ inability of verbal communication and physical involution caused by severe brain lesions. In addition, we could not measure improvement based on numerical data because of high variation in each individual. By individual, however, Subject A showed improvement in compositional behavior, Subject B in motional behavior, Subject E in compositional behavior and motional behavior, Subject F in ordering, compositional behavior and conceptual behavior, and Subject G in ordering, conceptual behavior and motional behavior. The result of general evaluation using the horticultural therapy assessment table, discernme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1.8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2.8 after (P<.008), creativity from 2.0 to 2.9 (P<.007), activeness from 2.2 to 3.2 (P<.018), sociability from 2.0 to 2.6 (P<.010), and hand functions from 2.4 to 3.1 (P<.022). However, memory was improved slightly from 2.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2.7 (p=.750) and concentration from 2.7 to 3.2 (p=.051), but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rticultural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hand functions and cognitive abilities, which are essential for everyday life, in elders with severe brain lesions. It was found that horticultura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stability, creativity, discernment, sociability and desire for activities. I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applied systematically and for a long term before elders’ physical functions are irrecoverably deteriorated, it is expected to be very effective in enhancing the life quality of elders with severe diseases.

      •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오현자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초생활 수급권자인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노인 복지관에서 12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2008년 3월 27일부터 7월 17일 까지 15회기 중 10회기 이상 참석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을 평가하였고 매회 프로그램 후 원예활동 평가표에서 9개 항목의 관찰 평가를 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변화에서 12명 중 11명은 증가하였고 1명은 감소하였다. 감소한 이유는 가정사로 여러 가지 큰일을 겪고 건강상의 이유도 있었다. 원예치료 실시 전 사회적 지지도는 전체평균이 15.41이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34.00으로 향상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의 변화에서는 실시 전 평균은 20.58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5.41으로 증가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원예활동 평가에서는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 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 지각 능력과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증가가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old adults have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at welfare center for old adult in Mokpo country. HTP were conducted one time per week from 27 March to 17 July, 2008. To examine the effects of HTP,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processing. And we carried out the observation evaluation by horticultural activity evalution every times. In change of social support, 11 old adults among subjects were increased, but 1 old adult was decreased.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showed high grade of 34.0 after HTP compared to 15.4 before HTP. Self-esteem of twelv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ean value of self-esteem scale was higher by grade of 25.4 after HTP than grade of 20.6 before HTP.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were improved.

      •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기주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단일군 실시 전후설계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활동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F노인전문요양원 치매노인 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식물의 재배와 이용을 잘 배분한 집단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실시 기간은 2003년 3월 8일부터 2003년 8월 30일까지 매 주 1회씩 하여 층 24회를 실시하였다. 이 기간 중에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과 후에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여 변화 사항을 각 대상자 별 로 비교하고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원예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원예활동 평가표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치매노인의 활동 변화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연구대상 치매노인들의 원예치료 실시 전 우울 정도는 평균 17.6점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13.8점으로 감소되어 원예치료가 우울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자아존중감 정도에서 실시 전 평균이 18.6점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7점으로 증가되었고, 원예치료가 자아존중감을 증가를 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원예치료를 실시 초기와 후기의 9가지의 활동 영역으로 변화도를 보았을 때에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았고, 그 중에서 자아개념 및 주체성과 숙련도 및 직업 적응력 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활동변화에서도 언어소통 능력, 자아 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변화를 주어 정서, 사회, 인지 능력 기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between pre- and post-therapy as horticultu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nine demented old adults attending to Day-care center at a F-Aged Hearsay welfare service center located in Generals. They took Part in the groupe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consisting of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the culturing and utilization of plants once a week from March 8 to August 30, 2003, where 25 therapy sessions was held. To verify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HTP in depression using KGDS (Korean fro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elf-esteem using SES (self-esteem scale), and evalu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HTP was found to be absolute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epression level of demented old adults, which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from 17.6 at pre-HTP to 13.8 at post-HTP. Horticultural therapy had also influence positively on the increase of the self-esteem in demented old adults, showing 18.6 and 27 at pre-HTP and post HTP, respectively. In the light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 were fairly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HTP in verbal interaction, self-concept and identity, need-drive adap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particularly, with significance in self-concept and ident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In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demented old adult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fter 25 programs of horticultural therapy. Therefore, these data implicat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despite of several limitations, may be accepted as a effective alternative remediation program in delaying or preventing of dementia.

      • 집단원예치료 모델 구성 및 적용

        한경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구성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에 나타난 집단 유형과 원예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시킨 집단원예치료 모델의 개발 과정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할 자료 수집을 위해 각 대학 도서관, 국회도서관 및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사용하여 ‘원예치료’ ‘치료적 원예활동’ ‘원예치료 프로그램’ 및 ‘원예활동 프로그램 ‘을 키워드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약 5년간 발행된 원예치료관련 국내 석, 박사학위논문 180여 편을 검색하였고 이 중 연구 설계가 단일집단 사전, 사후를 비교한 실험논문이거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사전, 사후를 비교한 실험논문 총 77편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집단요소에 대한 분석에서 치료사에 대한 분석결과, 모든 논문에서 주치료사는 1인으로 파악되었고 보조치료사는 1인이 29%, 2인이 26%, 3인이 11%로 나타났다. 대상자를 인간성장기와 원예치료를 수행하는 공간, 치료적 문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인간성장기에 따라 성인이 38개(34%)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노인 33개(30%), 아동 23개(21%), 청소년 17개(15%)순으로 나타났고, 치료 및 재활 공간은 80개(72%), 예방공간이 31개(28%)로 조사되었다. 원예활동을 활동의 범주, 활동소재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조사된 총 활동 수는 2,066개였고 이를 활동범주에 따라 구분하면 기르기 활동은 522개(25%), 꾸미기 활동은 1248개(61%), 느끼기 활동은 205개(10%), 기타가 91개(4%)로 나타났다. 활동소재에 따라 구분하면 식물재료는 975개(31%), 화훼자재는 1433개(45%), 기타소모품은 761개(24%)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집단운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원예치료활동이 이루어진 장소, 시간, 집단의 크기 및 구성, 한계와 규칙, 구조성, 개방성과 같은 현재 원예치료 연구들에 나타나 있는 집단운영의 유형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활동 장소는 실내와 실외 활동을 겸하여 수행한 실험이 가장 많았으나 실내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과 큰 차이가 없었다. 활동시간은 주1회, 총12회기가 가장 많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는 10명이 가장 많았고 집단의 구성은 남녀혼성, 성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가장 많았다. 집단의 한계와 규칙을 제시한 실험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Liebmann(1986)이 제시한 ‘A' 'B' 'C' 'D'의 집단 구조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의 개방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었고 일부 논문에서 개방집단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원예활동 구성과 구성된 치료목표를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논문에 제시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Corey(1995)의 집단발달단계에 기초하여 한경희 등(2008a)이 제시한 시작단계, 갈등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였다. 이 중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실험 논문 총 75편을 최종 선정하고 논문 당 2개 이상의 실험이 이루어진 것을 반영하여 총 108개의 실험을 분석하였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원예활동 분석에 따르면 시작단계는 감각자극,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 자존감향상, 인지능력의 향상,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 등과 같이 원예치료의 목적이나 활동자체가 가지는 목적에 대한 제시가 대부분이었고, 집단발단에서의 갈등단계는 집단구성원들 간의 탐색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대인관계나 사회성에 있어서 오히려 위협을 느끼거나 익숙하지 않은 원예활동을 수행함으로 인한 실패와 구성원들 간 인간관계에서의 갈등상황과 관련된 실망감이나 불쾌감과 같은 부정적 심리상태에 직면해야 하는 단계로 사료되나, 조사된 활동의 내용이나 목적은 대인관계, 사회성, 상호작용의 향상, 자신감 및 자아존중감 향상,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 인지기능향상,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 성취감, 만족감의 증가, 감각자극, 기억력 및 주의력의 향상 등과 같은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작업단계에서는 전체의 38%정도가 이해력, 주의집중력, 관찰력, 분별력, 기억력, 숙련도 등을 포함한 인지기능향상, 소근육, 대근육 등의 신체기능 발달, 감각자극과 관련한 내용이었으며 종결단계에서는 전체의 33%정도가 능동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주의집중력, 관찰력, 분별력, 기억력, 숙련도 등을 포함한 인지기능향상, 소근육, 대근육 등의 신체기능 발달, 감각자극과 관련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 내용을 반영시킨 집단원예치료 모델 개발의 결과는 문헌 고찰을 통한 집단발달단계, 이에 따른 치료적 요인 및 운영에 관한 지침을 포함한 집단원예치료 모델의 개념적 틀에 원예치료 연구논문의 집단원예치료의 요소와, 집단유형,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원예활동을 분석하여 집단원예치료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시작단계는 치료사와 대상자, 비대상자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지며 치료사와 대상자, 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와 비대상자 간의 관계형성이 시작되어 신뢰감을 형성하고, 향후 이루어질 활동 및 사용될 식물에 대해 소개하고 집단의 성격과 목적을 제공하며 집단원예치료 참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기본규칙과 유의사항을 제공하는 등 집단을 구조화하고, 집단의 목표 및 개인의 목표를 확인하고 명료화하는 단계이다. 갈등단계는 전체 활동 중, 초반부로 대상자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갈등과 저항이 나타나는 단계로 대상자들끼리 또는 치료사와 충분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단 내에서의 개별 작업 시, 제공된 소재의 배분과 소재의 질에 관련된 갈등, 공동으로 사용하는 소재선택의 전후관계에 있어 대상자들끼리의 탐색과 이해관계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활동결과물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와 관련한 갈등이 발생하게 되며, 하나의 주제와 목표를 위하여 공동 작업을 수행 할 시, 소재의 선택 및 규칙의 수행, 예상 결과물에 대한 각기 다른 이미지, 주어진 역할에 대한 만족도 및 수행의 질과 양의 정도,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 등과 관련된 갈등이 발생되는 단계이다. 작업단계는 선행된 갈등과정을 겪으면서 동료 대상자에 대한 탐색과 이해가 이루어지고 또한 집단원예치료의 목적에 대한 이해도 충분해지며 규칙을 지켜가는 과정을 통하여 집단응집력이 발달되고 강화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종결단계는 치료사와 대상자 모두가 치료가 끝남에 대한 감정을 다스리고 이별을 준비해야 한다. 진행된 집단원예치료의 의미를 돌아보고, 준비단계에서 제시되었던 집단치료의 목적, 목표와 개별 목표, 활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원예치료의 전체원예활동은 실험군을 대상으로 2008년 9월~12월까지 주1회, 총12회 실시되었다. 일반노인의 경우, 매주 화요일 오후2시부터 2시간 50분 치매노인의 경우, 매주 화요일 3시부터 3시간 50분까지 진행되었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치료목표를 설정하여 전체원예활동은 실내, 실외 프로활동을 병행하였고, 실외활동은 주로 '시간 중심형 활동(time focused activities)'을 수행하였고 회기별 원예활동은 평균 50분, 5~8명 내외의 그룹 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집단원예치료의 운영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노인의 정서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우울감은 일반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 0.027*).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일반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27*). This work presents a model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developed the proces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ional frame works through the reference review and the data analyzed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actical therapeutic clients. For the purpose of reference review, one hundred eighty master's and doctoral thesis concerned horticultural therapy for five years(2004~2008) were searched and seventy seven experimental thesis were selected and one hundred eleven experiment were analyzed in this work. The therapists on the research papers is as follows : 100% of one primary therapist, 29% of one secondary therapist, 26% of two secondary therapists, 11% of three secondary therapists, ect. The data about the clients is as follows : as human growth, 34% of adult, 30% of old adult, 21% of children, 15% of adolescent, as division; 72% of cure and rehabilitation, 28% of prevention, as category of therapeutic problem, 81% of mental function, 5% of bodily function, 14% of multiple function. A total of 108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lassified by four stag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number of the whole horticultural activities was 2060: cultivation 522(25%), decoration 1248(61%), appreciation 205(10%), others 91(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group operation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 of the preceding study and the research papers of horticultural therapy in accordance with group size and formation, placement, time, limitation and rule, structure, openness, etc. Most of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nd outdoor activity on the horticultural research paper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s being performed in and outdoor and the experiments of indoor only. In most cases, activity time was 60 minutes, once a week and total 12 times. The size of group was 10 people, adult, and mixed. There were few experiments mentioned the limitation and rule of the group. Most of the group structure were 'A' 'B' 'C' 'D' being presented by Liebmann(1986). There were a few research papers mentioned the openness of the group, but no paper clearly mentioned the opennes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 operating factor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re is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lace and time, time and age, bu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in inning and term. And the other factors are not meaningful correlation. This analysis provide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the steps in developmen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configur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s of four stage (initial stage, conflict stage, working stage, final stage) based on Corey's(1995) and classified by Kyunghee Han(2008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designed to 12 times( 1 to 2: initial stage, 3 to 6 ; conflict stage, 7 to 10; working stage, 11 to 12; final stage). A total of 108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lassified by four stag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developmental stag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shows as follows: At the initial stage,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 purpose of horticultural therapy like sensory stimulation, motor function of body, self-esteem, cognitive function,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ity is presented. At the conflict stage, although the human relationship is faced with conflicts in strange circumstance, the contents of investigated activities are the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hip, sociality, interaction, self-esteem, self-confidence, motor function of body, cognitive, positive psychology, accomplishment, satisfaction, sensory stimulation, memory, attention. At the working stage, 38% of the investigated activities ar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ttention, sensibility, memory, motor function of body. At the final stage, 33% of this are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y, problem-solving, attention, observation, sensibility, memory, proficiency. Reflecting abov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model shows group development stag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lemen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with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frame,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group developmental stage. This model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ctivation that group horticultural therapy improved the effect of therapy for the old adult and was verified the therapeutic elements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horticultural therapy. Group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divided four stage: initial stage(self-introduction, understanding activity, own patch; knowing the buddy system and their patch), conflict stage(planting seedlings and cutting, observation of patch; expression of their feeling and exploring opportunities for mutual understanding), working stage(making flower basket, harvest and making kimchi; gain the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for their work), final stage(writing their family, making X-mas tree, presenting flower and sharing the feeling; understanding group horticultural therapy and preparing their separation). To conclude, horticultural activities show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ve psychology, de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out all stages. But after practical application being analyzed the type of group, the succeeding study of the effect which reveals reflected and amended model is necessary.

      • 방과후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신상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as effect to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reducing stress for after school students. The children entranced after school program at “Daniel Academy for Gifted” in B church, Gwangsan-Gu Gwangju City. The horticulutral therapy program with 12 boys, 12 girls for once a week, total 12 times, from June 10th to September 2nd 2008.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practiced basic activity like seeding some seeds, water culture and grass doll craft easily. Those activities stimulated student’s curiosity and increased concentration. The research evaluation tools gave effect to horticultural therapy valuation chart, question sheets for checking measure of sociality and stres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daily report, House-Tree-People(HTP) measure test. The hrticultural therapy program chart wrote evaluation chart before and after program for test group and sociality measure, and then stress measure used before test and after realization for test group and opposite group. An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daily report was written detail from preparation to grogram progressing context, HTP test tested in advance and after the fact. That it came out good result in the gardening evaluation chart of sociality development (p=0.000), cooperation(P=0.000) and understanding (p=0.000), communication(P=0.001) and personal relation(P=0.001) improved highly as well. The children improved sociality measure(P=0.005), and stress measure(P=0.003) decreased. While researche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children join in this program well and they love their craft, and when they have cooperation activity, they took care of each other and understood each other. Above all things, the changed thing with stand out conspicuously is that the children improved their express their opinion well. So they've got self confidence in personal relati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s progressing program, the children got lots of questions about plant and topic. They considered about growing and protecting of plants. In short, divers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are effected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reducing stress for after school. For revitalizat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 mus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like as interesting and creative and science to children.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방과 후 아동의 사회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B교회에서 운영하는 방과 후 프로그램 “다니엘 영재사관학교”에 입학한 아동 총 48명(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대상으로 2008년 6월 10일부터 2008년 9월 2일까지 주 1회, 총 12회에 거쳐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종자 파종과 같은 기초적인 원예활동과 수경재배, 잔디인형 만들기등 아동들이 쉽게 할 수 있으며 호기심을 자극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는 원예치료 평가표, 사회성 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를 측정하는 설문지, 그리고 원예활동 프로그램 운영일지, HTP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평가표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수 전·후 평가표를 작성하였고, 사회성 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전 실험 - 후 실험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일지는 준비과정에서부터 프로그램진행 내용까지 상세히 기록 평가하였으며, HPT검사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사전 ? 사후 검사하였다. 원예치료 평가표의 사회성 발달에서는 참여성(P=0.000), 협동성(P=0.000), 이해력(P=0.000)이 고도의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P=0.001)과 대인관계(P=0.001)역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회성 척도는(P=0.005)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향상되었으며 스트레스척도(P=0.003)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감소가 되었다. 대상자 전체 평가결과 원예치료프로그램 수행 시 참여도가 좋아졌으며, 자신의 결과물에 애착심을 보였다. 또한 공동작품 활동 시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눈에 띄게 변화된 것은 대체적으로 발표력이 많이 향상되어 대인관계의사소통과 감정표현에서 자신감을 갖게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횟수가 더함에 따라 식물과 소재 질문횟수가 늘어나 식물에 성장, 보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경험은 방과 후 아동의 사회성발달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활성 시키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접근하기 쉽고 흥미가 있으며 창의적이며 과학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심예은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신지체장애인이 직업을 가진 사회인으로서 자립하기까지는 많은 사회적 제약을 겪게 되며, 이를 극복하고 취업이 되더라도 직장 내 적응이라는 또 다른 어려움을 만나게 된다. 정신지체장애인의 취업률은 약 20~30%에 불과한 반면, 이직률은 37%로 높게 나타나며 특히 초기 6개월 이내에 이직을 하는 경우가 전체 이직자 수의 6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취업률 및 직업유지 기간이 현저히 낮은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은 바로 현 직업재활 서비스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기술의 향상에만 치우친 단순 작업 중심의 재활 훈련은 정신지체장애인들이 매일 좁은 공간 속에서 적은 움직임과 기계음 등에 노출되는 근본 원인이 된다. 이는 환경적 스트레스 유발 요인이 되며, 다양한 문제 행동들의 발생을 야기하여 취업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원예활동은 작업의 요소들을 갖추고 있으며 활동 안에서 다양한 직업적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직업재활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시행한 결과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여러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력 증진에 원예활동이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적응력 향상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업적응 훈련의 한 방법으로써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8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인천시에 소재한 N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여 직업재활훈련을 받는 20세 이상의 성인 정신지체장애인 중 담당 직업 재활사에 의해 추천된 11명에게 주 1회 총 33회기의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전?후의 운동, 정서행동, 대인관계 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비모수검정 중 대응표본검정(Paired t-test)의 Wilcoxon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운동능력 총점은 사전 72.07점에서 사후 79.44점으로 평균 9.37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4). 또한 정서행동능력의 결과로는 사전 70.42점에서 사후 80.62점으로 평균 10.2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13), 대인관계능력의 총점은 사전 48.18점에서 사후 56.45점으로 평균 8.27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4). 또한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의 자기인식, 내적 동기화, 자기 효능감 증진, 모의 직업상황 경험 증진을 통해 개인별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대상자의 개별 특성과 참여도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이 직업을 가지고 직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적 측면의 직업적응능력인 운동능력, 정서행동능력, 대인관계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며, 더 나아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인식과 자발성 등 근로자로서의 바람직한 태도의 향상과 심리적 안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직업적응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나아가 직업재활 현장의 훈련 체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get to experience many social limitations before they stand on their own feet as proud social members with a job. Once they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get a job, they are faced with another challenge called adaptation to the work. While their employment rate is only 20~30%, their separation rate is 37%. In particular, more than 60% of those who quit their jobs make the decision in the first six months. One of the biggest reasons why the employment rate and the duration of job retention are so low among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s the problem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imple work-based rehabilitation training inclined towards technology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m being exposed to little movement and lots of machinery noise in a crowded space day after day. Such a cause of environmental stress leads to diverse problematic acts, which can in turn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get a new job. Horticultural activities contain the work elements and allow people to cultivate their diverse vocational potentials. There are many different researches that reported on the improved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capabilitie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horticultural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work adjustment.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help enhance the work adjustment skill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pply the program to a group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examine its impacts on their work adjustment skills, and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s a means of work adjustment training. In terms of data analysis, from August, 2007 to December, 2007 we took subjects of 11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who take part in total of 33 sessions horticultural therapy twice a week at a N rehabilitation center and looked into the before and after difference of horticultural therapy on physical skills, emotional behavior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verified it through the Wilcoxon verification of on non modulus verification Paired t- test. As a result, the subjects' total points in physical skills increased by 9.39 on average from 72.07 before the work adjustm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79.44 after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 Their emotional behavior skills also increased by 10.2 on average from 70.42 to 80.62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3).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increased by 8.27 on average from 48.18 to 56.45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4). The program also had positive impacts on the individual behavioral changes of the subjects by improving their self-awareness,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iency, and job simulation training with differences in the impa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it's concluded that the work adjustm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to enhance the physical, emotional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hich are personal work adjustment skills needed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o get and maintain a job. It's also suggested that the program can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desirable attitud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s workers including vocational perception and spontaneity through qualitative behavior chang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maintain that the work adjustm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an help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mprove their work adjustment skills, will be hopefully put into great use for the training system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n the field.

      • 원예치료사 양성과정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한동휴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has been developed remarkably in the past 10 years, but is faced with a new social change and challenge as the necessity and achievement increase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se issues, this study was done with an aim to propose a mutual supplement and developmental growth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being currently run in horticultural therapist training course which is based on the horticultural industry in Korea. For achieving the aim, this study conducted a sample survey with 187 therapists who passed the second class qualifying examination. They were sampled from three universities. 1. The Current State of Running Horticultural Therapist Training Course o The activities of horticultural therapy are applied in a wide range such as social welfare facility,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 psych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 medical and psychiatric center, weekly protection center, sanatorium, school in general,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nd jail, etc. o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institutionalizes 110 hours and over as a regul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covering the four areas such as horticulture, horticultural therapy, medicine, and social welfare, all of which are necessary subjects for horticultural therapist to be qualified. Such an institutionalization is for cultivating horticultural therapists to be equal in terms of their qualification on a national level. However, the analysis of 16 life-long education centers reveals the following. 1) Total number of teaching hours are ranged from 81 hours at minimum to 112 hours at maximum. 2) The teaching subjects being covered by the 16 life-long education centers are different from the 24 teaching subjects prescribed by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The examples are that 8 institutes cover 20 subjects and over, while another 8 institutes cover less than 20 subjects. Overall, the number of teaching subjects are ranged from 18 at minimum to 23 at maximum. 3) The hours of practice are ranged from 24 at minimum to 48 at maximum. In details for the hours of practice, one institute runs 48 hours, another one institute 45 hours, nine institutes 32 hours, four institutes 28 hours, and another one institute 24 hours. For field trip as a practical study, three institutes run 24 hours, 6 institutes 16 hours, and 7 institutes 8 hours. o The female are all most three times more than male among the 187 samples, showing that females are 78%, and males are 22%. By educational attainment, 96% are the graduates from college and university, while 4% are the graduates from high school. By age, 35% are the twenties, 29% thirties, 31% fourties, 12% fifties, and 2% sixties. *A total of 2,638 have been graduated from horticultural therapy training course for eight years from 2000 to 2007. Cheju national university is ranked first. In terms of number of graduates per course, producing 252 graduates (9.5%) during four years. * The analysis of running the subjects being run by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16 universities illustrates that Cheju National University is ranked first in terms of number of teaching subject and teaching hour. * These would mean that the students have a strong sympathy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due to low individual financial burden caused by the fact that Ch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supported fiance for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 * It is hypothesiz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 being run in local universities will be activated if local governments and/or public organizations support finance for securing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tabilized number of students. 2. The Current States of Educational Condition by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 Demand on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 Educational Condition: The order of educational contents by subject illustrates that the work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practical work of programme is taught most, and followed by the basic principl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echanism of therap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the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horticultural plants, the clinical training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 indoor plant and landscape, the kind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 th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me and the introduction of its items, horticultural therapy and psychiatry, horticultur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medicine, clinical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vegetables), and horticultural therapy and nursing science. o Educational Demand: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ruit tree is demanded most, and followed by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 research method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analysis and programme of the work on horticulture, th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introduction of its items,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indoor landscape), the clinics of horticultural therapy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the basic principl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echanism of therap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indoor plant and its landscape, the whole area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pressed flower and the decoration technology of flowering plant. o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e samples were satisfied most with the cultivation management and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 and followed by horticultur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medicine, the kind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 (form classification), the basic principl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echanism of therap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indoor plant and its landscape,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whole areas of flowering plant, the biological physiology of flowering plant, horticultural therapy and psychiatry, the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work and the practice of analytic programming, and horticultural therapy and nursing science. * 43% among the total samples responded 'No' on the suitableness of current educational hours, and more than 60% wanted the educational hours should be more or less than 200 hours. * These findings would propose that the current curriculum prescribed by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should be extended as follows. The current teaching hours - three hours of teaching per week and four hours of practice for 16 weeks - should be extended to four hours for teaching per week and four hours of practice for 20 weeks. The total educational hours will be extended from 112 to 160. * It would be desirable to strengthen a suitabl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focusing on their horticultural activities such as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planting and management, applied fine arts, and flower decoration, etc. 3. The Current States of Horticultural Therapist Educational Contents, Demand, and Satisfaction o Three scales - work empowerment scale, self-directional scale, and interpersonal scale - were applied to the samples, using three scale items. It was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o The analysis of the qualifying examination of horticultural therapist during the past four years reveals that flowering plant covers 26.5%, and horticultural therapy 22.8%, medical area 29.5%, welfare and others 21.2%. o The medical area focusing mainly on psychiatry, rehabilitation medicine, and working treatment is an area of licensed medical doctor. In this sense, the medical area in horticultural therapy would be enough to be introductory level. o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educational hour for running horticultural therapist should be at least more than 150 hours. A dominant opin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lecture is that local government, as Ch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doing, should support the whole finance. * The educational condition, demand on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ere different in order by educational institute. This would be caused by the fact that each institute has different system in lecturer and educational circumstance. Nonetheless, the demand on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showed a higher score in all of the three sample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graduates from Cheju National University showed a very high satisfaction with all subjects related to clinic practice. * All of the three sample universities showed a very high demand on the area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This would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hours should be supplemented and revised. * Even though medical area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qualifying examination during the past four years, the examination items are mostly those related to the treatment and remedy by professional medical doctor. This would mean that the examination items of medical area are beyond the areas of which horticultural therapist should acquaint and/or the areas of which are not applied to the clinic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 With such implications, the samples perceives that about 30% allocated to medical area should be assigned equally to the area of horticulture and social welfare, consult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horticultural therapy. This will be resulted in a focus on the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therapist as a significance of welfare dimension. In addition, the samples perceiv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sychology and consultation techniqu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mutual trust between horticultural therapist and patient. 우리나라의 원예치료사 협회는 지난 10년간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원예치료의 필요성과 성과가 수반되는 요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예 산업을 기반으로 한 원예치료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상호 보완적이며 성장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187명의 원예치료사 2급 자격시험에 합격한 3개 대학 수료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원예치료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 현황조사 ○ 원예치료 활동범위를 보면 사회복지시설 및 지업재활, 정신과재활의학병원, 보건소 및 정신보건센터, 복지관 및 주간보호센터, 요양원, 일반학교, 특수학교, 농업기술센터, 교정기관 등 폭넓게 원예치료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원예치료복지협회에서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우수한 원예치료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교육운영규정에 준하여 원예치료사로서 필요한 원예 분야, 원예치료분야, 의약분야, 사회복지분야를 집중적으로 110시간 이상 교육하도록 했으나, 16개 평생교육원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총교육시간은 각 평생교육원별 112시간 - 최저 81시간 2) 24개의 교육과목 중 20개 이상 과목 이수 8개 평생교육원, 20개 과목 미만 8개 평생교육원으로 나타났으며, 협회에서 지정한 과목수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고 23과목, 최저 18과목 교육되었다. 3) 실습시간은 최고 48시간 실시 1개소, 45시간 1개소.32시간 9개소, 28시간4개소, 최저24시간 1개소로 나타났으며, 견학실습은 24시간 3개소, 16시간6개소, 8시간 7개소이다. ○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수료자 성별 구성비는(설문 187명) 남 41명(22%), 여 146명(78%)로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이수자는 남성보다 여성이 거의 배로서 여성이 많음을 나타냈다. 학력으로 보면 전문대 이상 졸업이 96%(82명), 고졸 4%(8명)로 원예치료사 자격취득 규정의 학력이 전문 학사 이상으로 되어있어 고졸이하는 극히 적었다. 2000년~2007년까지 8년간 원예치료사 교육과정 수료생은 전국 총2,638명이며 그중 제주대가 4년간 252명(9.5%)의 수료생을 배출 하여 타지방 대학과 비교해 볼 때 기당 수료생 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16개 대학별 평생교육 교과목 운영 실태 조사결과 제주대가 실시교과목수, 교육시간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제주도의 교육비 재정 지원 사업으로 원예치료사 교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통하여 교육생들의 개인부담이 적어 교육 호응도와 참여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교육의 질 향상과 안정적인 교육생 확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나 공공부분의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된다면 현재 지방대학의 원예치료사 교육이 활성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원예치료사 교육내용별 교육실태, 교육요구도,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 과목별 교육내용순위를 보면 교육실태에서는 (1)원예치료작업분석 및 프로그램 작성의 실제, (2)원예치료의기본원리와 작용기전 및 효과, (3)원예식물의 재배관리 및 번식, (4)원예치료 임상실습(화훼류 재배관리, 번식), (5) 실내식물 및 조경, (6)원예식물의 종류와 특성, (7)원예치료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지 소개, (8)원예치료와 정신의학, (9)원예치료와 재활의학, (10)원예치료 임상실습(채소류 재배관리, 번식)… (28)원예치료와 간호학 순으로 나타났다. ○ 교육내용 요구도 순위별로 보면 (1)원예치료임상실습(화훼류 재배관리, 번식), (2)원예치료 연구방법론, (3)원에작업분석 및 프로그램 작성의 실제, (4)원예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지 소개, (5)원예치료임상실습(실내조경), (6)원예치료임상(채소류 재배관리, 번식), (7)원예치료의 기본원리와 작용기전, 효과 (8)실내식물 및 실내조경, (9)원예치료분야전체… (28)원예치료임상실습(과수류 재배관리, 번식) 순으로 나타났다. ○ 교육내용 만족도 순위별로 보면 (1)원예식물의 재배관리 및 번식, (2)원예치료와 재활의학, (3)원예식물의 종류와 특성(형태분류), (4)원예치료의 기본원리와 작용기전, 효과, (5)실내식물 및 실내조경, (6)원예치료 임상실습, (7)원예 분야 전체, (8)원예식물생리학, (9)원예치료와 정신의학, (10)원예치료 작업분석 및 프로그램 작성의 실제… (28)원예치료와 간호학 순위로 나타났다. * 현재 교육시간 적절성 여부에 43%가 ‘아니오’를 택했으며, 60%이상이 200시간 내외로 늘렸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조사되었다. * 현재 1주당 3시간 강의, 4시간 실습인 16주 총112시간 협회규정 교육을 1주당 강의 4시간, 실습 4시간으로 늘리고, 20주를 한다면 학기 내에 160시간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교육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원예치료 활동 임상실습이 가장 많았으며, 식물심기 및 관리, 공예, 꽃 장식, 기타(요리, 생활소품 만들기)와 같은 원예활동 중심으로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3. 원예치료사 교육내용 실태, 요구도, 만족도 현황 조사 ○ 원예치료사 자격시험출제경향은 4년간 평균 분야별 분석결과를 보면 원예 분야 26.5%, 원예치료분야 22.8%, 의료분야 29.5%, 복지 및 기타분야 21.2%로 원예치료자격시험 분야별 출제경향은 의료분야가 29.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또한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운영상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교육시간은 150시간 이상 되어야 하며, 강의의 충실도를 위하여서는 제주도와 같이 지자체에서 교육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 각 교육기관 별로 실태, 요구도, 만족도 순위가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각 대학의 강사진에 대한 차이, 교육여건 등과 관련 있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예치료 임상실습에 대한 요구도는 3개 대학 모두 높은 점수를 나 타냈으며, 특히, 제주대의 경우, 모든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 3개 대학 모두 원예치료분야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분야의 교육내용, 교육시간의 보완 개정이 절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원예치료사 자격시험 4개 분야 중 의료분야가 29.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제 문제를 살펴보면 원예치료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의 기본을 검정하는 문항이라기보다는 전문의사들이 처방하며 전문치료에 필요한 문항이 대다수 조사되었다. 또한, 원예치료사가 필히 숙지하여야할 문항이 아니고 임상실습 중에도 적용되는 예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 따라서 의료분야에 할애되었던 약 30%를 원예 분야와 사회복지, 상담, 발달심리 및 원예치료 분야에 고루 배정하고, 의료분야 문항은 원예치료에 필요한 의학기초지식과 임상위주의 문항개발이 필요하며, 복지적 차원에서의 원예치료사 양성에 주력하여야 하며 특히 환자와의 상호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심리와 상담기술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