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를로-퐁티에서의 '봄'과 소통의 미학

        정은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메를로-퐁티에서의 '봄'과 소통의 미학 철학과 정은희 지도교수 김광명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주체인 몸을 중심으로 세계와 존재를 재구성함으로써 회화의 철학적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여기 봄은 사유와는 다르게 사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사유 이전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철학에서 ‘본다’는 것은 인식하는 주체의 행위였다. 그러나 메를로-퐁티는 본다는 것을 보이는 것 속에 같이 머물면서 엮어지는 살의 세계로 보고 있다. 메를로-퐁티의 후기 철학에서 핵심이 되는 개념은 살(la chair)이다. ‘살’ 개념을 도입하여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한다. 즉 존재의 모든 근원에로 다가가 세계와 더불어 존재를 보다 풍부하게 하는 독특한 존재론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메를로-퐁티가 살 개념을 주조해내는 바탕은 봄(vision)의 구조와 방식이다. 봄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회화는 존재의 문제를 그대로 담아내는데 자신 스스로가 가시적인 것인 동시에 비가시적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존재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메를로-퐁티에 의하면 세계는 의미로 충만해 있으며 지각은 소통의 근거로서 의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의미소통은 말 그대로 의미를 주고받는 것이다. 의미는 일상적인 삶을 돌아보면 쉽게 알 수가 있는데 그것은 언어 활동적인 의식에서만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감정과 정서 등의 차원에서 나타난다. 요컨대 의미소통을 통해 주고받는 의미는 명시적인 것도 있지만 얼마든지 잠재적이고 암시적인 것도 있고 궁극적으로 볼 것 같으면 의미는 행동을 통해 나타나고 전달되고 수용된다. 또한 의미소통에서 주고받는 의미는 그저 행동을 하는 다른 사람의 몸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의미는 다른 사람과 내가 하는 행동을 주고받을 때 함께 수반되는 전체적인 상황을 통하지 않으면 관계를 맺을 수 없다. 따라서 의미소통을 한다는 것은 서로 행동을 주고받을 뿐 아니라 상황을 서로 주고받는 것이며 이러한 사실이 몸과 회화 안에서 동일한 구조로 나타남을 분석한다. ABSTRACT 'Seeing' in M.Ponty and the Aesthetics of Communication JUNG, EUN-HEE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thesis is trying to find a philosophical position of conversation by reconstructing the universe and existence centering around the body that is the subject of perception. This 'vision' is different from thought, but means to exist before thinking with directly interacting with things. In traditional philosophy, 'vision' is a conduct of the subject which recognizes. However, Merleau-Ponty understands that seeing is the universe of la chair staying and weaving in what is seen. In latter philosophy of Merleau-Ponty, the main concept is la chai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la chair', he is trying to overcome a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s, presents unique ontology to enrich the ens with the universe by closing the every origin of the ens. The background of la chair Merleau-Ponty founds is a structure and a form of 'vision'. The conversation based on vision carries the problem of ens as it is, it has a identical form with the ens by revealing that it is visual and non-visual meaning itself. By Merleau-Ponty, the universe is full of meanings, the perception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and empathizes the importance of a signigication. communication of meanings is giving and taking meanings. The meaning is easily recognized in everyday life. It realizes not only in speech functional behavior, but also in the aspect of feelings and so on. To sum up, there is the meaning given and taken through the communication, latent and suggestive meaning. Ultimately, the meaning is conveyed and accepted through behaviors. Furthermore, the meaning given and taken through the mutual understanding is not only limited in the body of a person who behaves. The meaning is not related if it is not considered the overall situation accompanied when oneself and others reciprocate each other's behaviors. Therefore, communication of meanings includes an exchange of not only behaviors, but also the situation one another and it is analyzed that this fact appears as a identical form in both body and conversation.

      • 『大乘起信論』 三細相의 識位 연구 : 曇延?慧遠?元曉의 해석을 중심으로

        정은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대승기신론』의 삼세 개념에 대해 담연․혜원․원효 등 고주석가들의 식위 배대의 내용과 그 근거를 확인함으로써, 고주석가들이 생각한 『기신론』의 심식설과 여래장․생멸심․아리야식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최초의 『기신론』주석가로 알려진 담연은 삼세를 제7식에 배대한다. 그의 『기신론의소』에 삼세에 대한 직접적인 식위 배대가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가 진제 역 『섭대승론』의 영향을 받아서 본식과 6․7식이라고 하는 8식설의 틀로서 『기신론』의 심식설을 해석하고 있다는 점과 일체의 생멸상은 6․7식이라고 한 점, 그리고 육추 전체를 의식이라고 본 점 등을 통해서, 담연은 삼세를 제7식으로 보았다고 추측된다. 혜원 역시 삼세를 제7식으로 보았다는 점에서는 담연과 동일하다. 그러나 혜원은 담연과 달리 『능가경』의 8식설을 근본으로 하고, 『섭대승론』과 『기신론』자체의 심식설을 활용하여 독특한 9식설의 체계를 완성하였다. 혜원에게서 온전한 진여인 여래장은 제9진식이며, 이 여래장이 무명의 영향을 받아 생멸하게 될 때에는 제8아리야식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아리야식에 의지하여 발생한 생멸심은 제7식이다. 생멸의 체는 아리야식이지만, 그 생멸의 개별상들은 6․7식에 속하기 때문에, 그리고『기신론』의 오의설에 따라 오의 중 업식․전식․현식의 삼세를 제7식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혜원은 삼세는 제7식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원효는 『기신론소․별기』에서 삼세는 제7식에 포함될 수 없다고 하고, 삼세가 왜 아리야식에 해당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는『기신론』자체의 교설에서 미세념인 삼세가 곧 아리야식임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시하고, 아울러 다른 경론에서 삼세 개념과 일치하는 구절들을 인용하여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원효는 이를 통해 삼세가 곧 능소미분의 미세념이며, 이것이 불생불멸과 생멸의 화합식인 아리야식 내의 생멸의 측면 중 가장 처음 단계에 위치하는 염오심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주석가들의 삼세상에 대한 식위 배대의 차이는 이들이『기신론』의 여래장과 생멸심, 그리고 아리야식의 관계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혜원은 여래장이 온전한 진여의 상태일 때를 제9진식으로 보았고, 여래장이 근본무명과 화합한 경우에는 이를 아리야식이라 하여 여래장과 아리야식을 동일시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아리야식에 의지해서 생겨나는 생멸심은 제7식으로 정의된다. 때문에 이 생멸심의 개별적 모습 중 하나인 삼세는 제7식에 속하게 된다. 반면에 원효의 경우, 여래장이 근본무명과 화합한 상태를 아리야식으로 본 것은 혜원과 동일하지만, 혜원과 달리 삼세를 제7식으로 보지 않고 아리야식에 포함시켰다. 이는 결과적으로 잠재심이 아닌 구체적인 현실심을 아리야식에 포함시켰다는 특징을 갖게 된다. The concept of "Sanxi"(三細, the three subtle) is to describe how "the pure mind of self-nature"(自性淸淨心) has become contaminated with avidya(無明).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for some differences in the old commentators' analyses on the concept of "Sanxi". This allows to identify how they understand the theory of consciousness(心識說) and tathāgata-garbha(如來藏), ālaya-vijñāna(阿梨耶識) and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生滅心)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Dachengqixinlun. Tanyan(曇延) who become known as the first commentator of Dachengqixinlun, has assigned "Sanxi" to mano-vijñāna(末那識). Huiyuan(慧遠) also has assigned "Sanxi" to mano-vijñāna likewise Tanyan.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anyan has comprehended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Dachengqixinlun as the eight fold vijñāna theory, while Huiyuan has comprehended it as the nine fold vijñāna theory. Another commentator, Wonhyo has claimed "Sanxi" could not belong to mano-vijñāna, it must belong to ālaya-vijñāna. Huiyuan and Wonhyo both agreed on the idea that ālaya-vijñāna is defined as "the reconciliation between 'neither birth nor death'(不生不滅) and 'birth and death'(生滅)" in Dachengqishinlun,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way of the concrete reconciliation. Huiyuan has comprehened that tathāgata-garbha is euqal to ālaya-vijñāna. So he has came to the understanding that for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 occurred by tathāgata-garbha and avidya(無明), belongs to mano-vijñāna. Therefore Huiyuan has claimed "Sanxi" belongs to mano-vijñāna which is the very first stage of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 Wonhyo has not agreed to that, tathāgata-garbha is equal to ālaya-vijñāna. He has comprehended tathāgata-garbha is a state of only the pure mind, and ālaya-vijñāna is in a state of being contaminated. For Wonhyo,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 belongs to ālaya-vijñāna. Therefore he has claimed "Sanxi", the very first occuring consciousness, belongs to ālaya-vijñāna.

      •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유머 이해 연구

        정은희 명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or plays a verbally vital role in smooth communication and perceives discord of a circumstance in a moment, it also accompanies a smile and a laugh as an important factor for attracting interest of others. In addition, interest in humor has risen, because humorous words and behavior can maximiz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y smoothing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eaching using humor works as an important factor of raising the effect of learning. However, i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although their phonology, syntactics, and semantics in language are very similar to ordinary children who are slightly younger, their pragmatic competence that enables them to deliver their ideas using appropriate methods in various circumstances is significantly lower and their short attention results in lack of task accomplishment and they repeat incomplete utterance or behave socially inadequately. Therefo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exchange of humor can have very important influence on 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bility to comprehend humor i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ho are receiving treatment at 3 language therapy centers and attending 4 preschools located in the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s, 28 children of age 3, 4, and 5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of humor, and reaction to humor based on age and sex, and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tool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ability to comprehend humor, a humor comprehension test was conducted using previous studies conducted by Yang Seung Hee (2003), which was based on studies by Kim Jae Suk (1984) and Willis (1997), as the assessment tool for level of comprehension, and as assessment tool for evaluating reaction and recognition of humor, of the 24 cards used by Kang Moon Hee (1982) in previous studies, 12 humor stimulating cards that uses one humor card for one important scenario and 5 humor recognition cards were use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humor based on the age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ages, and in the order of 3, 4, and 5 years of age, their assessment scores increased with increase in age. Second,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action to and recognition of humor based on age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showed higher level of reaction and recognition to humor in children of age 4 and 5 compared to children of age 3, and the result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3 and 4, and between age 3 and 5. Third,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reaction to, and recognition of humor based on sex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and reaction to humor based on age and sex of children, but level of recognition of hum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f 3years of age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Fifth, a positive relation ship was found between all assessment tools for comprehension of humor i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namely, level of comprehension of humor, level of reaction to humor, and level of recognition of humor. The results suggest that if opportunities that provide progressive stimulation of humor based on appropriate ag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received by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more effective results can be achieved in languag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ildren's cognitive standards. 유머는 의사전달에 있어서 언어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황의 불일치를 순간적으로 지각하며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끄는 중요한 요소로서 미소와 웃음을 수반한다. 또한 유머 있는 언어와 행동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원활히 해줌으로써 의사소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유머를 통한 교수방법이 학습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므로 최근 들어 유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그런데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경우 언어의 영역에서 음운론, 구문론, 의미론 등의 영역은 보다 어린 일반 아동들과 매우 유사한 반면 상황에 적절한 방법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화용론 영역에서는 기능이 더 떨어지고, 학습에서도 집중시간이 짧아 과제 수행능력이 부족하며 언어 표현에서도 불완전한 발화를 반복하거나 사회적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게 된다. 이에 유머를 주고받는 것이 학습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유머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소재한 3개의 언어치료실과 4개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중 만 3세, 4세, 5세의 언어발달지체 아동 28명을 선정하여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머 이해도 및 반응·감지도의 차이가 있는지, 유머 이해도 측정 도구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머 이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머 이해도 평가 측정 도구는 양승희(2003)가 김재숙(1984)과 Willis(1997)의 연구를 기초로 고안한 유머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유머 반응도·감지도 평가 측정 도구는 강문희(1983)의 24장 카드 중 한 사건마다 1장의 그림카드를 사용한 12장의 유머 자극카드와 5장의 유머 감지도 카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연령에 따른 유머 이해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 연령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어 3세, 4세, 5세 순으로 아동의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연령에 따른 유머 반응도와 감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3세에 비해 4세와 5세의 유머 반응도와 감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3세와 4세간, 3세와 5세간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성별에 따른 유머 이해도 및 유머 반응도, 유머 감지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두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유머 이해도와 유머 반응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머 감지도에서는 3세에서 남아와 여아의 유머 감지도 차이가 매우 컸으며, 특히 여아의 유머 감지도 수준이 매우 높았다. 다섯째,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유머 이해에 대한 측정도구들 즉 유머 이해도 및 유머 반응도, 유머 감지도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에게도 유아기에 적절한 연령에 따른 발달적인 유머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기회와 교육적인 환경이 마련된다면 인지적인 수준을 고려한 화용적인 측면의 언어중재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상에 관한 연구

        정은희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know whether the image of a father which child would feel through a type of communication with his or her father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age and sex. The types of the communication are divided into two types, affirmative type and negative type and the images of a father are divided into five types, a respectable father type, a wife-loving father type, a generous father type, an always-scolding father type, and a workacholic father type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the types of the images of a father is examined. And whether the mutual ra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types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age and sex is also researched. The propositions for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s. Ι. Are their differences of the images of a fa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age and sex? Ⅱ.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the image of a father. Ⅱ-ⅰ. What relations do the types of communication have to the image of a father? Ⅱ-ⅱ.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sex, do the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of the types of communication with a father and the factors of the types of the image of a father have a difference? Ⅱ-ⅲ. In accordance with the chilren's age, do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types have a difference? 244 third grade and 265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taken 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 the examination of the types of the communications, only the standard 'on father' as used among the standards which was once corrected properly for children and used by Nam, Hyunjoo(1996) and had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corrected standards come from the Min, Hyeyoung's standrads(1990), which were translated by her from the PACI(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 of Olson & Barnes(1982). For the examination of the children's images of a father, referring to 'A stud of the children's thoughts of adults'(1992) of the juvenile research institute, this researcher selected the only items on 'The images of a father' from 'The image of adults in children's thoughts' and corrected them to the level for children and used them after having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he pre-examinations. I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AS program is used so that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a factor analysis, the two-way ANOVA, the pearson co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canonical corelation analysis are used. The summary of this examination can be shown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each has meaningful and different images of their fathers in accordance with their age and sex. When the differences are examined in detail, in the respectable father type,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not with the children's sex but with age, that is, the third grade students could be said to respect their father more than the sixth grade students do. In the wife-loving father type,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chidren's sex and age. In the generous father type,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sex and age. In the generous father type,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sex but with children's age,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third grade students think their fathers to be more generous ones than the sixth grade students do. In the always-scolding father type, no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age but with the children's sex, so it could be said that boys think that their fathers always scold them. Finally in the workaholic father type, the difference is the same and boys think that their fathers always work only. Secon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the types of the images of a father in the whole subject students, it is thought that the children who communicate affirmatively with their fathers think that their fathers are generous and the children who communicate negatively with their father think that their fathers always scold them. Also, it is examined that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factor is connected with the image of a generous father and the negative communicaion factor is connected with the image of an always-scolding father. Third,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group of factor in communication with a father and the group of factor in the images of a father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children' s sex. In other words, in both sexes the degree of relation is high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and the image of a generous father and the degree also highes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communication and the image of an always-scolding father. The result of the canonical corelation analysis also shows that, in both sexes, the degree of relation is high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and the image of a generous father and the degree also highes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communication and the image of an always-scolding father. Finally,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ag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with a father and the types of the images of a father. That is, for both of the 암ree grade and the sixth grade students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has much relations with the image of a generous father and in the image of a workaholic father, third grade students have a meaningful relation not with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but with the negative communication. The result of the canonical corelation analysis of the factors in the types of the images of a father and communication by age shows that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has much relation with the image of a generous father but in the wife-loving father type, third grade students has more relation than sixth grade students. In the negative communication type, the third grade students think the image of an always-scolding father most frequently, the workaholic father next and the sixth grade students think the image of the always-scolding father most frequently, the wife-loving father next, and the workaholic father last. 본 연구는 아동과 아버지간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서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像이 어떠한가에 대해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의사소통유형은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부정적인 의사소통, 2개의 유형으로 나누고, 아버지상은 존경스런 아버지,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 자상한 아버지,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 일만 하시는 아버지의 5개 유형으로 나누어 상호 어떤 관련이 있는지, 또 이들 유형군(의사소통유형군과 아버지상유형군)의 상관은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像은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의사소통 유형과 아버지像과의 관계 2-1) 의사소통유형과 아버지상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2-2)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군(群)과 아버지상군(群)과의 상관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유형군(群)과의 상관은 아동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 244명과 6학년 아동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의사소통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1982년 Olson & Barnes가 제작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인 PACI(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혜영(1990)이 번안한 것을 남현주(1996)가 아동용으로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받은 척도 중 '아버지용'만을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아버지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연구원(1992)에서 연구한 "어른을 보는 아이들의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를 참고로 본 연구자가 '아이들의 마음속에 비친 어른의 이미지'에서 '아버지 이미지'에 대해 묻는 문항만을 골라 아동용으로 수정, 보완하여 예비조사를 거쳐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는 SA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첫째, 사회인구학적인 배경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아버지앗으이 척도와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받기 위해 요인분석하고 Cronbach a 값을 산출하였다. 둘째, 아버지상군의 특성과 의사소통군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셋째, 아버지상과 의사소통의 유형에 대해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하고 넷째, 아버지상과 의사소통의 하위변인간에는 단순상관관계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유형의 하위변인군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아버지상의 하위변인군을 종손변인군으로 두어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상은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을 아버지상에 대한 유형별로 요약해 보면 존경스런 아버지상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고,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있었다. 즉 3학년 6학년보다 아버지를 더 존경스러운 이미지로 자각하고 있었고,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상에 대해서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모두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자상한 아버지상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고,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어 3학년이 6학년 보다 아버지를 더 자상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의 경우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아동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가 여아보다 꾸중하시는 아버지로 지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을 일만 하시는 아버지상에 있어서도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아동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가 여아보다 더 일만 하시는 아버지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유형과 아버지상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아동일수록 자상하신 아버지로 지각하고 있으며, 부정적인 의사소통을 많이하는 아동일수록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로 지각하고 있다. 또한 긍정적인 의사소통변인이 아버지상의 변인 중 자상하신 아버지상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게 해 주고, 부정적인 의사소통변인은 아버지상의 변인 중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을 가장 잘 예측해 주고 있다. 셋째,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군과 아버지상군과의 상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와 여아 모두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자상하신 아버지와 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인 의사소통은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상에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고,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에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준상관분석의 결과도 남아, 여아 모두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자상한 아버지를 가장 잘 예측해 주고 있으며, 부정적인 의사소통은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을 가장 잘 예측해 주고 있다. 그러나 다른 아버지상의 유형들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 남아의 경우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상보다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에 대한 예측력이 높았고, 여아에게 있어서는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보다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상에 대한 예측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군과 아버지상군과의 상관은 아동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단순상관의 결과에 따르면 3학년, 6학년 아동 모두에게 있어서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자상하신 아버지상과 가장 상관이 높았고, 일만 하시는 아버지상의 경우 3학년은 긍정적인 의사소통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고, 부정적인 의사소통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상의 변인군과 의사소통의 변인군의 연령에 따른 정준분석의 경과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자상하신 아버지상을 가장 잘 예측해 주고 있으나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상에 관해서는 3학년 아동들이 6학년의 아동들보다 더 높은 예측력을 지니고 있다. 부정적인 의사소통유형은 3학년 아동의 경우,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상, 일만 하시는 아버지상의 순으로 예측력이 높앗고, 6학년의 아동의 경우는 꾸중만 하시는 아버지, 어머니를 사랑하시는 아버지, 일만 하시는 아버지상의 순으로 예측력이 높았다. 이렇듯 각각의 의사소통유형과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상의 유형이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각각의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음악 교수 학습 방안

        정은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대상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 교수 학습 방안 모색에 그 목적이 있다. STEAM 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초등학교 5학년 대상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대상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 활동들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STEAM 교육 관련 교과목인 음악, 과학, 실과, 수학, 국어, 미술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였고, 음악 교수 학습시 흥미도, 이해도,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타 교과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타 교과 내용을 4가지 음악 활동(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감상하기, 음악 만들기)과 융합하여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 활동들로 제시하였다. 둘째,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 활동 중 K초등학교 5학년 음악 수업에 적용 가능한 활동들을 선별하여 수업지도안으로 개발하였다. 수업지도안은 김진수의 ‘PDIE 절차 모형’을 근거로 설계하였고, STEAM 교육의 3단계 학습 준거(틀)을 ‘상황 제시 – 창의적 설계 – 감성적 체험’ 을 적용하였다. 서울시 소재의 K초등학교 5학년이 사용 중인 교과서 내용으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고, 교과 연계 수업형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지도안의 활동 주제는 ‘성악가처럼 노래 부르기’, ‘환경 사랑 실천을 위한 재활용 타악기 연주하기’, ‘식물과 함께 자연 표현 음악 감상하기’, ‘별자리 이야기 음악 만들기’이다. 셋째, 수업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 후,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 음악 교수 학습 방안의 현장 적용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1개월 동안 5학년 1개반을 대상으로 10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활동 모습 관찰과 활동지 분석 결과 타 교과와 함께 하는 음악 수업 후 음악의 이해도가 향상되었고, 이전의 음악 수업에 비해 음악 활동으로 표현하는데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10차시 수업 후 실시한 수업만족도를 묻는 설문 조사에서도 5점 만점에 평균 4.77점을 기록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설문 조사와 배점 이유 분석 결과 실생활과 연관된 문제 상황 제시와 다양한 활동, 타 교과 요소의 이론 및 경험의 활용이 음악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도, 흥미도, 참여도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 교수 학습 방안으로 STEAM 교육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앞으로 음악 교과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 한국 오페라 공연에 나타난 성격분장에 관한 연구 : <피가로의 결혼>을 중심으로

        정은희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대공연에서의 분장은 종합예술기능의 한 요소로서 배우의 성격을 정확하게 극본이 요구하는 인물화시켜 관객들로 하여금 필요한 성격적 사실을 구체적으로 이해시키는 의사전달수단이다. 또한 분장은 공연을 완성하는데 있어 조명, 의상, 무대장치 등과 함께 가장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이다. 현재 우리 나라는 양적, 질적인 문화발전으로 무대공연의 내용 뿐만아니라 조명, 의상, 무대장식 등의 표현매체도 예전과는 달리 다양해졌다. 분장사를 필요로 하는 분야인 뷰티산업, 패션산업, 광고산업, 영화산업 등 기타문화예술계의 급성장으로 분장사의 수요가 절실한 현실이다. 그러나 등장인물의 체계적인 역할분석 및 분장에 대한 이론적 체계의 미확립, 작품이 요구하는 극중인물창조와 분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등으로 우리 나라 무대분장은 전근대적인 발전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합적인 식견을 겸비한 전문분장사가 양성되기 위해서는 실기중심적인 교육과 함께 인상학, 골상학, 색채학, 조명학 등의 체계적인 이론적 교육이 실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장을 효과적으로 창출해내기 위해서는 분장사가 추상적 감각에만 의존하는 방법보다는 충분한 자료연구와 계획을 통해 등장 인물을 창조해야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즉 분장사는 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및 대본을 충분히 검토하여 배우들의 성격을 파악한 후 분장작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한 실제작업을 통해야만 연출의도에 적합한 인물상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또한 극중인물의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얼굴의 형상, 구조, 형태 등에 따라 인물의 성격이나 이미지 분석이 가능한 인상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러한 인상학적 관점에 의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에 등장하는 주요캐스트들 중심으로 성격분장을 고찰해보고 실제인물에 실행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무대분장분야를 좀 더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상학적 관점에 의해 체계적인 작업을 수행해봄으로써 무대분장의 구체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우리 나라 분장분야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다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들에 의해 학문적차원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본다. In stage performances, make-up is an element of the composite art. It is a means of communication designed to precisely figure actor's or actress' characteristics and thereby, help the audience understand the performance specifically. In addition, make-u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perfecting the performances together with lighting, costume and stage setting. Currently in Korea, as the stage performances have developed in both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such elements as lighting, costume, stage setting and other media of expressions have been more diversified. Make-up is much required by beauty industry, fashion industry, advertising industry, film industry and other cultural or art industries. However, make-up has yet to be based on a systematic analysis of characters' roles and theories, while people are less aware of the roles played by make-up to create desired characters. As a result, our stage make-up may be still at its infant stage. In order to bring up professional make-up artists armed with a comprehensive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educate would-be make-up artists on physiognomy, phrenology and lighting science in a systematic way.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the ways to create desirable make-up effects. Make-up artists should create characters through sufficient research and plan rather than rely on their senses. Namely, make-up artists are requested to carefully analyze the works and scripts to understand characters and thereupon, design a make-up plan and create the characters fitting the requirements of production. In order to grasp the characters correct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characters or their images in physiognomical and phrenological terms. In View of such a physiognomy, th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Le Nozze di Figaro" were analyzed in terms of characteristic make-up and then, a make-up was actually practiced on charac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ur stage make-up in a more logical and systematic way and therefore, apply a more systematic make-up practice in view of physiognomy,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develop our make-up art.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approaching make-up in more diversified and specific ways.

      • 귀금속공예 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주부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정은희 加耶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난 세기 동안 우리나라의 중년의 전업주부에게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자녀 양육 기간의 단축, 여성들의 고등교육이 보편화가 됨에 따라 자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생기는 자아 정체감의 혼란스러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사회구조 변화 속에서 유교사상의 가부장적 전통가치를 수용하지도 그렇다고 완전히 거부하지도 못한 다수의 우리나라 여성들이 정신적 혼란과 정체성 상실감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중년 여성의 삶은 젊음 상실과 폐경을 경험하고 신체적 기능 저하와 더불어서 정신적 역동성 등의 감소로 인하여 우울증적 증상들을 경험하고 이로 인한 자신의 생활 변화에 불안과 함께 스트레스에 인한 무기력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적인 문화 경험적 인지와 사회경험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고 다르기 마련이지만 특히 책임감이 강하고 내성적인 성격의 소유자로서 강박적 성격을 가질수록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한다. 중년기 전업주부들의 성격과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그림 검사도구인 HTP 그림검사와 스트레스 우울 정도를 알기 위해서 PITR 그림검사와 벡의 우울척도지 검사를 시행하였고, 또 가족 간의 역동 및 정서를 알기 위해서 어항물고기 가족화를 실시하였으며 그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벡의 우울척도와 HTP 그림검사, PITR 그림검사, 어항물고기 가족화를 사전̃ˑ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ˑ사후 분석으로 HTP 그림검사, PITR 그림검사, 어항물고기 가족화 등을 분석하여 주요 이슈와 TIME LINE의 공통점을 찾아 집단의 치료목표를 설정하였고 12회기에 걸쳐 프로그램 실행 후 사후검사와 사전검사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시행결과 실험자 A의 사전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체 능력 점수는 -6 점이고 우울척도검사의 점수는 22점으로 중한 우울 상태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체 능력 점수는 -2점으로 4점 상향되었고 우울척도 검사 사후검사에서는 18점으로 4점 상향되어 중한 우울 상태로 분석은 되었으나 가벼운 우울 점수 15점의 경미한 우울상태에 가깝게 분석되어 귀금속공예 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효과가 있었다. 실험자 B의 경우 사전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체 능력 점수는 -5점이고 우울척도검사의 점수는 24점으로 심한 우울상태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체 능력 점수는 –3점으로 분석되었고 2점이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고, 우울척도 검사에서 사후검사에서는 20점으로 4점 상향되어 중한 우울 상태로 분석 됐지만 가벼운 우울 점수에 가까워진 것으로 분석된 것으로 보아서 귀금속공예 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효과가 있었다. 통제자 a는 사전검사에서는 사전검사에서 스트레스 대체 능력 점수는 -4점이고 우울척도검사의 점수는 25점으로 심한 우울 상태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체능력 점수는–5으로 1점 하향되었고 우울척도 검사에서도 24점으로 1점 상향되었으나 그래도 여전히 심한 우울 상태로 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볼 수 없었다. 통제자 b는 말이 없고 사전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체 능력 점수는 -6점이고 우울척도검사의 점수는 24점으로 심한 우울 상태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도 스트레스 대체능력 점수는 –6점으로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았고 우울척도 검사에서도 사전검사와 같은 24점으로 심한 우울 상태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사례를 통해 실험자 A와 실험자 B는 처음 내담자들은 처음은 사람들을 경계하기도 한 모습도 보이고 작업이나 그림을 그리기를 전혀 하지 않으려 하였으나 귀금속공예 기법으로 은을 녹이고 두드리는 작업을 해 가면서 서서히 작업에 몰입하게 되고 흥미를 보이면서 적극적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들과 조명의 밝기와 햇볕이 싫다고 한 실험자도 귀금속기법으로 작업하는 회기가 지남에 따라 햇볕의 따스함도 느끼기도 하며 봄의 색상변화가 예쁘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또한, 색연필이나 사인펜 같은 채색 도구에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색에 대한 반응도 보이면서 사후 검사 시에는 그림을 잘 못 그린다고 말하면서도 채색도 시도 하면서 좀 예쁘게 꾸미려는 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정서적 변화를 보였다. 반대로 통제자 a와 통제자 b는 실험자 A와 실험자 B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을 경계하기도 하고 사전진단 그림검사에 응하기를 두려워하고 사람과의 만남을 싫어하며 바깥으로 나오기를 꺼렸다. 채색도구에 별다른 반응도 없었으며 무기력하여 보이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통제자 a와 통제자 b를 아무런 치유활동 없이 12주 동안 일상생활을 그대로 하게 한 후 다시 사후 그림검사를 한 결과 여전히 무기력하고 사람들 만나기를 싫어하며 집 밖에 나오지 않으려 하며 그림 그리기를 귀찮아하며 색의 반응에도 별다른 것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성격과 심리적 특성검사에서 공통적 성격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벡의 우울척도 검사와 HTP, PITR, 어항물고기 가족화 검사 및 그림분석을 통하여 우울증이 현저하게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이 목적하는 중년기 전업주부 우울증 여성의 치유 호전 효과에 귀금속공예 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효과가 있음을 검증하는데 상당한 부분에 이바지한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 M. C. 에셔에 있어서 공간의 문제 : 기하학적 원리를 중심으로

        정은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에셔(Morits Collelius Escher 1898~1972)의 작품이 갖는 회화적 표현을 그 자신이 사용한 기하학적 원리에 의해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에셔가 작품에서 원근법적 공간과는 다른 독특한 회화 공간을 만들어냈다는 점에 주목하여, 에셔 작품의 중심적 문제를 '공간'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에셔의 작품 중에서 기하학적 시기의 작품을 대상으로 작품의 주요 내용인 '공간의 문제'를 해석한다. 본 논문은 3단계로 진행된다. 1장에서는 회화적 표현이라는 폭넓은 범위 안에서 공간의 문제를 고찰해봄으로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는 에셔의 작품을 공간 절정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체계적인 기하학적 원리에 의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유형인 '평면의 규칙적 분할'은 기하학적인 움직임의 방법들에 의해서 분석된다. 두 번째 유형인 '비유클리드 공간'에서는 포앙카레(J.H. Poincare') 모델에 기초한 작품들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세 번째 유형인 '불가능한 공간'은 특수한 기하학적 배치와 원근법의 수정에 의해 구성된다. 마지막 유형인 '프랙탈 공간'에서는 '프랙탈'의 두 가지 특정인 '자기 닮음'과 소수점 차원인 '프랙탈 차원'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된 회화적 공간의 문제를 2장의 연구를 바탕으로 에셔의 작품에서 총체적으로 해석한다. 연구를 통해 해석해낸 각 공간 유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은 기하학적 방법으로 평면을 규칙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평평한 그림평면의 구조를 탐구한 것이다. 두 번째 유형은 원근법이 기초한 유클리드 기하학이 아닌 현대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수용함으로써 굽은 공간의 구조를 작품화한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그림의 2차원 평면과 실제의 3차원 공간과의 원천적인 불일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설정한 회화적 공간이다. 또한 이것은 그림이 2차원이지만 이를 우리가 아는 3차원으로 인식하려고 하는 관찰자의 의도에 의해서 일루젼으로써의 회화공간이 성립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네 번째 유행에서 소수점 차원을 보여주는 '프랙탈 공간'은 자연물과 수학적 도형 사이의 관계, 그리고 3차원 공간 속 사물과 2차원적 평면 사이의 관계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원천적으로 불일치한 그림 평면과 실제 공간 사이의 관계성 모색으로 평가된다. 또 이들 유행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특징을 현대수학과 물리학의 영역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현대적 공간관과 비교한다. 여기서 '공간의 탄생', '공간의 상대성', '시공간 연속체', '굽은 공간', '순환적 공간' 등의 공통적인 공간의 성질을 찾음으로써 에셔 작품이 시대적인 공간 인식의 반영임을 살펴본다. 따라서 에셔의 작품은 일루젼이 발생하는 공간의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원근법이 제공하는 전통적 회화 공간을 전복시키고 현대적 공간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총체적인 해석이 도출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첫째, 에셔는 작품에서 공간의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미술의 중심적 주제인 일루젼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둘째, 에셔의 작품 제작에 이용된 기하학적 원리는 시대에 합당하게 현대 수학의 성과를 수용한 것이며, 에셔의 회화적 표현을 위해 사용된 것이다. 셋째, 에셔 작품이 보여주는 공간은 현대 수학과 물리학의 영역에서 파급된 공간에 대한 현대적 인식을 통해 파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대적 공간관을 예술적 재능에 의해 독특한 회화적 공간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의 중심적 영역에서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작가 에셔를 재평가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그간 미술의 영역에서 미흡하게나마 이루어져 온 에셔 해석이 시지각이론에만 치우쳐있었던 점에서 벗어나, 에셔의 작품을 '공간'의 문제로 접근했다는 해석의 독창성을 갖는다. 그리고 에셔가 작품제작에 이용한 수학적 원리를 고대의 '황금분할' 이론이나 르네상스의 '원근법'과 같이 예술학의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에셔의 작품을 현대적 공간관의 반영으로 해석함에 있어서, 공간을 직접적 대상으로 다루는 기하학이나 물리학의 개념만을 받아들이고 보다 폭넓은 사회학적 공간개념을 수용하지 못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다. This thesis aims to analyse Escher's works of the period 1937-1969, so called, the mathematical period. To approach the work, the analysis is done by some principles of modern mathematics; Crystallography, non-Euclidean, Cohomology and Fractal. The former two, Crystallography and non-Euclidean mathematics, are used in the ways of his arranging objects in the space of works, as Escher himself manifested. He divides regularly the plane to use Crystallography as 'tiling drwaing series' shows, and constructed curved space to use non-Eudidean, as 'Circle Limit Series' does. Cohomology and Fractal are owed to Roger Penrose and Doris Schattschneider's studies respectively. Escher pointed the problem of traditional linear perspective and suggested curved line-perspective instead. It is supported by Penrose's study that the Escher's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perspective is resulted from Cohomology as in the works of 'Waterfall'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ddition, Escher makes the relationship of object and its representation new. Doris Schattschneider refers that 'Day and Night', 'Development Series', and 'Metamorphosis Series' show Fractal dimension. In accordance with mention above, this study arrives at the conclusion as follow. Escher created works by geometrical principles that are products of modern mathematics. Finally he created unique pictorial representation by new concept of space, which reflects characteristics as 'relatiity of space', 'spacetime', 'recursive space' made by the modern mathematics and physics.

      • 간전이를 동반한 대장암에서 VEGF-A, VEGFR-1, VEGFR-2 발현양상과 신생혈관형성의 연관성

        정은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Colorectal cancer (CR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s across the world, and it is reported to be the major leading causes of mortality in western countries and the incidence, also,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Liver metastasis is a frequent event for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n essential step in the metastatic cascade is angiogenesis. This process is mediated by angiogenic cytokines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his study was designed to show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of VEGF-A, VEGFR-1, VEGFR-2, and microvessel density in colorectal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Material and method: The present study included 45 patients who underwent partial colectomy with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cancer with hepatic metastase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e expression of VEGF-A, VEGFR-1, VEGFR-2, and CD34 protein of primary tumor and hepatic metastases was carried out for the evaluation of the metastatic potential of CRC and microvessel density. The association between VEGF-A, VEGFR-1 and VEGFR-2 expression and the histologic grade of the primary cancer was also analyzed. Result: The gender was 31 men and 14 women. Age ranged from 37 to 88 years with the median 64. The expression of VEGF-A, VEGFR-1 and VEGFR-2 was observed in primary colon cancer (2.67±0.60, 2.11±0.83, 1.96±0.73 respectively), and in each liver metastasis (1.69±0.90, 1.13±0.75, 0.71±0.54 respectively). Microvessel density showed the area of 4.45±2.27% in primary colon cancer, and 2.23±0.84% in its liver metastasis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VEGF-A and VEGFR-1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in primary colon cancer and in metastatic tumor of the liver, while the expression of VEGFR-2 and microvessel density increased in primary colon cancer (p=0.46, p=0.20, p=0.04, p=0.001), as well as when it's associated with only lymph node metastasis (p=0.001, p=0.04). Conclusion: The expressions of VEGF-A, VEGFR-1, VEGFR-2 would increase in liver metastasis and in lymph node metastasis as if they were increased in advanced stage compared to those in early colon cancer. Bu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might be not any particular availability in assessing the existence of metastasis due to the less likelihood of distinction in the expression of VEGF and all in liver metastasis. 서론: 대장암은 전세계적으로 흔한 암 중 하나이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증가 추세에 있다. 대장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가 많으며 특히 간전이가 흔하게 동반된다. 암세포가 원격전이 되려면 암세포유리, 국소침습, 이동, 신생혈관생성, 혈관침습, 혈관내 상피세포로 유착 및 다른 장기 내 성장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 중 신생혈관생성(neovascularization)은 2~3 ㎣ 이상으로 암이 성장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신생혈관생성에는 많은 신생혈관형성인자가 관여를 하지만 그 중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의 원발부위와 간전이에서 VEGF-A, VEGFR-1, VEGFR-2의 발현양상과 그에 따른 미세혈관형성 등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임상병리소견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전남대병원과 화순전남대병원에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암으로 진단되고 간절제와 부분적 대장절제술을 시행한 4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VEGF-A, VEGFR-1, VEGFR-2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한 신생혈관형성인자의 발현을 확인하고, CD34를 통해 미세혈관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45명의 원발성 진행성 대장암환자중 남자는 31명, 여자는 14명이 었으며 진단 당시 환자의 연령은 37세부터 88세 (평균64세)까지 분포하였다. VEGF-A와 VEGFR-1의 발현은 원발 대장암에서 2.67±0.60, 2.11±0.83으로 나타나고 간전이에서 1.69±0.90, 1.13±0.75로 나타났다 (p=0.46, p=0.20). VEGFR-2는 원발 대장암에서 1.96±0.73, 간전이에서 0.71±0.54로 나타났다 (p=0.04). 미세혈관 밀도는 원발 대장암에서 4.45±2.27%, 간전이에서 2.23±0.84%로 관찰되었다 (p=0.001). 림프절 전이가 있는 예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원발 대장암에서 VEGF-A, VEGFR-1, VEGFR-2 발현은 2.70±0.65, 1.97±0.80, 1.93±0.78을 보였고, 간전이에서 발현은 1.73±0.94, 1.03±0.76, 0.63±0.61을 보였다 (p=0.478, p=0.762, p=0.04, p=0.001). 결론: 원발 대장암과 간전이에서 VEGF-A나 VEGFR-1의 발현은 차이가 없었으나, VEGFR-2의 발현과 미세혈관 밀도는 원발 대장암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경우만 선별한 경우도 원발 대장암에서 미세혈관 밀도와 VEGFR-2 발현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원발대장암과 전이암에서 암세포의 성장은 VEGFR-2의 발현과 이에 따른 미세혈관형성의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전이와의 관련성은 추후 간전이를 보이지 않는 대장암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