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學校運營委員會의 運營實態와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경기도 초등학교를 中心으로

        송명숙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운영위원회 제도가 실시된 이후 학교운영위원들의 학교운영위원회제도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인식 및 이해,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인식,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실태, 학교운영위원회 활동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성별, 연령별, 위원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제도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운영위원의 인식 및 이해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운영위원회 구성과 기능에 대한 운영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운영위원의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운영위원의 학교운영위원회 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다섯째, 운영위원의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 방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실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설문지는 5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영역은 「학교운영위원회제도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인식 및 이해」 5문항, 둘째영역은 「학교운영위원회 구성과 기능에 대한 인식」 6문항, 셋째영역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참여 실태」 4문항, 넷째영역은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 실태」 5문항, 다섯째영역은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향」 6문항 총 2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방법은 우편을 통한 설문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2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설문 대상은 경기도 초등학교 100개 학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마다 당연직 위원(1명), 교사위원(2명), 학부모위원(2명) 모두 5명씩 500부를 우송하여 95%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는 성별, 연령별, 위원별로 각 항목을 교차 분석 처리하여 빈도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x^(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에 의해 얻어진 분석 결과를 간추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 시 · 도 조례에 대해서 당연직 위원은 잘 알고 있으나, 학부모위원의 인지도가 너무 낮게 나타나고 있어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학부모위원을 대상으로 시 · 도 조례와 단위학교의 운영위원회 규정에 대해서 철저한 연수가 이루어져야겠으며,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운영위원회가 필요한 이유는 대부분 단위학교의 자율적인 운영이라고 응답하여 앞으로 학교장 책임 경영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학교구성원들의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사항에 대해서 잘 모르는 위원들이 많아 심의 사항에 대한 홍보와 연수가 학년초에 이루어져 운영위원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운영위원회에서 결정된 내용을 일반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알지 못할 때가 많다. 회의록 공개와 심의된 내용을 학교홈페이지나 가정 통신문을 통해서 알림으로서 학교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운영위원회 구성비율에 대해서 많은 교사위원들이 교원위원 구성율을 높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학부모 위원과 교사위원 비율이 비슷하여 어느 한쪽으로 힘이 실어지지 않도록 운영의 묘를 살려야 한다. 여섯째, 학교운영위원을 뽑는 선거에 대해서 대부분이 민주적인 절차를 거쳤다고 응답했으나, 교사위원, 학부모위원 중 아직도 민주적이지 못하다는 의견이 제기 되어 하루속히 민주적인 선거풍토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운영위원에서 심의된 기능 중학교 예 · 결산에 대한 관심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실태는 회의 참여 의식이 부족하고, 참여할 시간 부족으로 나타났다. 회의 개최 시간을 저녁시간으로 바꿈으로서 학교 운영위원회가 활성화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홉째,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상의 문제점은 학교운영위원회 규정과 회의 절차가 복잡하다고 응답하여 형식적인 운영으로 비효율적인 요소를 제거함으로서 업무 추진 효율화를 기해야 한다. 열번째, 학교운영위원회의 학교교육에 대한 권한을 현재 심의 · 자문정도가 알맞다고 웅답하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 선결과제는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지로 나타났다. 열한번째, 학교운영위원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학교장은 다양한 의견 창출과 수렴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지가 필요할 것이다. 이제 학교운영위원회는 명실상부한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뒷받침하는 기구로 학교장이 학교경영에 확고한 철학을 갖고 지역과 실정에 맞는 학교경영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aims at suggesting a means of fostering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by examining and analyzing committee members' understanding on the necessity,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the committee, and their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the committee. In order to achieve such an aim, this writer proposed the following subjects: 1) committee members'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2) committee members'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3) committe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4) committee members' activities in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5) committee members' understanding on the means of fostering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26 question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ve question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the committee; six question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the committee; four questions on the participation in the committee; five questions on the activities in the committee; six questions on the means of fostering the committee.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and collected by mail from sept. 1st to 30th in 2002. 500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0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Five persons (one regular member, two members from teachers, two members from parents) in each of the school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rate of the questionnaires was 95%.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er sex, age, and charge of the members. The results, represented in percentage, were dealt with statistically by 'chi-square'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gular members knew well about the regulations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whereas members from parents knew little about them. In order to foster theoperation of the committee, it is necessary to persuade members from parents to learn the regulations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ittee. 2) Most of the members answered that the committee is necessary for the autonomous management of each school. We should make every effort to settle the autonomous management of school by the principal. 3) Considerable members do not know well about the items of discussion of the committee. So it is necessary that the items are advertised at the beginning of the academic year. 4) Teachers and parents often do not know about the determined items of the committee. In order to encourage parents to have more interest in school affairs, it is necessary to announce the procedure of the committee and discussed contents through the home-page of the school or correspondence. 5) Many members from teachers answered that more teachers should be admitted as members of the committee. Members from parents and teachers should be balanced in number so that the committed may be operated efficiently. 6) Most members answered that the election to members of the committee was democratic. However, some members from teachers and parents answered that the election was not democratic. So completely democratic election should be settled soon. 7) Most members of the committee showed interest in the school budget. This means that parents' interest in the school management is increasing. 8)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of the committee was unsatisfactory. It may be because they should earn their living during the committee hours. So it is desirable to settle the committee hours in the evening. 9) Many members of the committee answered that the regulations and procedure of the committee are too complicated. In order to operate the committe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formal and inefficient factors of the committee. 10) Many members of the committee answered that the power of the committee should be within the present province. The most urgent task of the committee is to induce parents' positive participation. 11) In order to foster the operation of the committee, the principal should listen to various opinions, especially, those of parents. Now,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autonomous management of the school. It will help the principal to manage the school based on his firm philosophy and the situations of the neighboring district.

      • 地方議會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조영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conditions of local council management and its problems for 8 years of local autonomy since the beginning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and aims a t suggesting the activation methods of local council management. The range of research is defined as the whole polit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council. Therefore it make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a t the unit of city, province and metropolis. The time range of research objects is to June of 1998 since July, 1991 when the local council was established first and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national councils is analyzed. As the research methods, first the analysis of literatures including all related books, research papers, records, publications related to local administration is used and visiting the related authority is done as the research needs.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system based on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First,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range and methods of research and Chapter 2 describe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environment with the general examination of local council. Chapter 3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local council management, Chapter 4 suggests the actual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based on the management problems of local council and Chapter 5 is conclusion. It is known through this research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local autonomy depends on how the local council management is activated and how it can play its own roles well.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re is the limitation of central government's roles in root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but it is pointed out by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at local council cannot play its own functions. Therefore this study prepares the method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in diverse ways. First,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local council should be improved and political power of local council be strengthened with the extension of its authority in the side of power and organization structures of local council. Also councilor assistant system should be urgently introduced to enhance the specialization of council management and execute the policy of high quality. Second, regular meetings held twice a year and the number of annual general meetings should be readjusted in the dimens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and improving the session system, and efficiency of monitoring administrative affairs, readjustment of the authority between local council and execution agency and the method to promot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olicy of local council with open management of local council should be sought and pursued. Also the positive union to citizens' movement should be tried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The power of private organizations leading citizens' movement is increasingly extending its influence as it is called the third government and its areas are not limited. Accordingly, the union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potential power and local council is very important in the age of localization. The current local council takes up the defensive position of monitoring council and municipal policies by residents' group or civil groups within the region, but from the positive viewpoint, it can be a stimulus and support system for more practical activity of local council and 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to them is needed. If the institutional complement to lead the direct participation methods such as open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use of residents' participation system, resident summons system and resident vote system are achieved as discussed earlier, these will be the accelerator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와 성과 분석 : 전라남도 초ㆍ중ㆍ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윤명식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학교운영위원회 10년을 시행하면서 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식 및 운영실태, 성과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는 배경변인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는 배경변인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전라남도 초·중·고등학교 운영위원을 대상으로 표집인원은 353명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운영위원회의 인식, 운영실태, 성과를 설문지로 작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운영위원들의 인식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 그리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학교운영위원 종류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77.1%가 학교운영위원회는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고 응답하였으며, 논의한 사항에 대해서는 학교장이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학교장과 학부모위원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심의 ·자문기구 성격이 되어야 하고 위원들의 적극성 및 교육전문성 향상이 우선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는 위원의 정수, 위원의 구성주체별 비율, 위원의 자격, 위원의 선출방법, 심의과정, 결과공개, 운영의 공동체성에 따른 운영과정의 활성화,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및 각 위원의 동반자적 관계에 따른 운영위원의 역할수행능력과 상호관계 부분에서 배경변인별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운영위원회의 성과는 학교운영의 자율화, 민주화, 전문화, 효율화 측면에서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성과의 전문화, 효율화 측면에서 운영위원 종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운영위원회에 대한 서로가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운영실태 및 특성 분석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홍성풍 영산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공인중개사는 우리나라에서 부동산중개업을 하고자 하면 반드시 필요한 자격증이다. 이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격증 보유자만 36만여 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15년 3분기 기준으로 개업공인중개사무소가 90,023개소나 영업하고 있는 국가공인자격증이다. 지금도 공인중개사 시험을 보기 위하여 공부하고 있는 예비자들까지 포함한다면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공인중개사라는 자격증과 직업을 선택하고자 시험에 매달려 씨름하고 있는 중이다. "개업공인중개사"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을 한 자를 말한다. 공인중개사법 제2조 4항 법조문. 개업공인중개사무소가 수행하는 업무를 중개라고 하는데 "중개"라 함은 제3조의 규정에 의한 중개대상물에 대하여 거래당사자간의 매매·교환·임대차 그 밖의 권리의 득실변경에 관한 행위를 알선하는 것을 말한다. 공인중개사법 제2조 2항 법조문. 다시 말해서 토지, 건축물 등 중개 대상물에 대한 거래당사자간의 매매, 교환, 임대차 그 밖의 권리 득실 변경에 관한 중개행위이다. blog.naver.com. 공인중개사는 무엇일까. 에서 인용함 이와 같이 중개대상물인 부동산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소유물 중에서 대체적으로 재산목록 중에서도 최고 고가 목록에 기록될 것이다. 부동산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은 매우 높은 편이며 소비자 행위론적 입장에서 볼 때에도 고관여도를 보이는 품목이 확실하다 할 것이다. 개인이 사고파는 물건 중에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고로 값비싼 물건의 거래를 중개하는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운영실태 및 개업공인중개사의 특성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그 실체가 궁금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운영실태 및 특성 분석에 대하여 연구해 볼 필요성을 느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운영실태 및 특성분석-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전 지역에서 현재 개업공인중개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울산전체를 동구, 남구, 중구, 북구, 울주군으로 5개 지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지역에서 영업 중인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전체사무소를 모 집단으로 각 지역별로 모집단에 산출되는 비율로써 그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본으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였다. 각 지역별로 통계자료를 산출하여 작성 하고, 5개 지역을 합하여 울산시의 전체종합자료로 작성하였다. 울산전지역의 합계는 모집단 1,935개소에 표본 100개소로 전체에 대한 표본 수는 5.2%이다. 설문지 작성 시 질문사항은 몇 가지의 카테고리로 구분가능한데 그 내용으로는 첫째, 사무소의 입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사무소의 운영 실태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셋째, 개업공인중개사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작성된 설문지로 표본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를 중요사항만 종합해서 요약해보면, 울산광역시의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운영실태 및 특성분석에서 제4장 1절의 사무소의 입지특성분석결과는 남구에 가장 많은 사무실이 존재하며, 인구는 평균605명당 중개사무소가 1곳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실의 규모는 10~20평 규모이내이고, 건물 내의 1층에 존재하며, 자택과의 거리는 10 ㎞이내이고, 출퇴근 시간은 30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4장2절의 개업공인중개사무소의 운영실태분석결과는 사무소의 운영연수는 평균 1년~3년 사이가 35%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4년~6년차가 26%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사무소의 개점시간은 오전10시경에 오픈하는 것으로 67%의 응답을 하였고, 폐점시간은 오후7시가 가장 많은 52%를 나타내고 있으며, 휴무일은 매주일요일에 쉬는 것으로 64%의 비율로 조사되었다. 사무소 소유형태는 임대차가 83%로 절대다수를 기록하고 있고, 임대보증금은 평균 1,450만원을 월차임은 평균67만원으로 조사되었다. 또 중점중개대상물은 아파트 및 주택으로 분석되었으며, 개업공인중개사1인이 근무하는 단독중개사무소가 절대다수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 및 간이과세자 중에는 간이과세자가 71%로 조사 되었으며, 중개보조원은 70%정도가 함께 근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평균 거래건수는 1~6건이 68%로 나타났으며, 10건 이상도 15%정도 조사되었다. 수입부문에서는 응답자의 65%가 500만원정도의 수입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700~1000만원정도가 12%, 1000만원이상이 7%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4장 3절에서 연구한 개업공인중개사의 특성분석에서는 남과여의 비율이 47 대53의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연령대는 40대와 50대가 95%로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상이 61%로 고학력집단의 직업군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객들이 본인의 사무소를 방문하는 가장 큰이유로 위치와 주변의 추천 그리고 광고효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인중개사가 꼭 갖추어야할 덕목으로는 신뢰성과 전문성이라고 답한 비율이 96%로 나타났으며, 이는 개업공인중개사들이 반드시 숙지하고 명심해야할 사항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업공인중개 Licensed-real-estate agentis indicate if you wanted to selling real estate in Korea; there are about 36 million people passed the certified test and has 90,023 opening office with official certification in third-quarter of 2015. Including people who are prepared for the test, there will be incalculable people looks for job in licensed-real-estate. “Practicing real estate agents” defines a person who has an opening registration in their estate office under the law. Article 2 Paragraph 4 of the licensed real estate agent law. A practicing licensed real estate office perform tasks called “brokerage” which refers to the sale, exchange and lease of other rights of trade between the parties about the premises of change to arrange an act on the pros and cons prescriptively of Article 3. Article 2 Paragraph 2 of the licensed real estate agent law. In other words, this is an act of broker about the change in trade sale, exchange between the parties on land, buildings and other premises, lease rights of other pros and cons. Adapted from blog.naver.com what is a licensed real estate agent. Thus, premises of real estate is generally listed the best expensive property of individuals owned. Customers have high interest in real estate and high concerned in a theory of conduct consumer’s position. Except special case of individuals who buy and sell stuff, people would curious about the reality of a deal of the most expensive item of a registered real estate office’s operation and qual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in study of operation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a practicing registered real estate office. In this study, evaluate operation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a practicing registered real estate office, mainly in Ulsan. This study aimed current opening real estate in entire region of Ulsan. Divided Ulsan into 5 regions which were Dong-gu, Nam-gu, Jung-gu, Buk-gu, and Ulju-gun. By the number of corresponds to the sample and distributed survey to entire office in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in each region. Creating a statistical data for each region and then combined all 5 regions’ data to create a comprehensive data of Ulsan as a whole. The sum of Ulsan was population at 1,935, 5.2%in percentile. The questions in survey possibly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first, evaluate the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firm; second, evaluate operation status of the office; third, analyz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and the analysis by important result as summary, location characteristicsanalysis of Chapter 4 Section 1 of the opera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office in Ulsan has the most office exist in Nam-gu, and showed average population of 605 people for 1 real estate office. The size of the office is within 10-20 pyeong, mostly on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home within a distance of 10 km, commuting time within 30 minutes. Analyze the result in Chapter 4 Section 2, operation training of office is average of between 1-3 years, showed the largest distribution of 35%, 4-6 years shown the distribution of 26%. Opening hours of the office was 10 a.m. responded 67% of participants; closing hours were 7 p.m. responded 52% of participants. Every Sunday is holiday that closed office responded 65% of participants. Ownership of the office is recorded 83% in majority, the average rent deposit were 1,450 million won and 670,000 won for monthly chime. In addition, the object focused brokerage was analyzed in apartments and houses; one person working practicing real estate office has recorded absolute majority. From normal and simplified taxpayer, simplified taxpayers were 71%; brokerage assistants working together were 70% by analyzed research. The average monthly transactions were 68% of 1-6 cases, 10 cases were 15%. 65% of respondents in income section response 5 million won for their income, 12% were 700-10 million won income, more than 10 million won income were 7%. From Chapter 4 Section 3 of practice analysis of the participating real estate office, ratio of man and woman were 47 and 53; and age of 40’s and 50’s were majority that shown 95%. Highest education shown 61% of bachelor’s degree which were high-level-education, the main reason of visiting one’s office was surrounding recommendation and advertising. The most quality that real estate agent should have reliability and expertise answered by 96% of response that every real estate agent should realize it. The present study showed a small steps moving by analyze op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cipating offices in Ulsan. By this research, people can realize averageop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acticing real estate office in Ulsan. Furthermor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estate agent will show as much same as this. Have some more time, and do such research continuously, it would be easier and helpful to make comparison analysis in data base to see op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acticing real estate office. Also, it expects to be used in communities for several useful areas.

      • 장애인복지시설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보라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급격한 산업사회로 인하여 경제발전과 아울러 국민생활은 크게 향상 되었으나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매우 부족하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국가적 시책은 세계 장애인의 해인 1981년과 장애인 올림픽이 개최된 1988년을 기점으로 크게 달라졌다. 정상화(Normalization)와 재활(Rehabilitation)의 이념 아래 인권의 존중, 생명의 존중, 전 인격의 존중, 정상화의 존중, 평등의식이 장애인 복지의 이념이다. 즉, 인간은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존엄한 개체인 동시에 타인 없이는 내 「자아」가 불가능한 사회적 존재로서 장애인이 속한 그 사회에서 장애인을 차별과 편견으로 대하지 않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사회 구성원이 받는 권리와 기회를 장애인도 평등하게 누릴 수 있는 사회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200여개의 장애인 복지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 수는 점차 늘고 있는 추세지만 그 양적 증대와는 달리 내용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장애인의 복지이념에 위배되는 사례들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실태 파악을 통해 그 문제점은 무엇이며 장애인 삶의 질적 수준을 높여 시설복지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적 검토를 통해 장애인 복지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장애인의 개념 및 장애인 복지시설의 현황을 살펴보고, 장애인복지시설의 현황과 운영실태에 대해서 1)시설측면, 2)수용자측면, 3)종사자측면, 4)시설운영측면 등 4개의 큰 영역으로 구분하여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실태파악을 토대로 4개의 영역에서 10개 분야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법과 제도, 운영과 재정등 시설운영에서 제기되고 있는 각각의 부분들에 대해 분석코자 하였다. 먼저 시설 측면에서는 법과 제도에서 오는 시설 외적부분에 대한 문제로서 ①시설수요 조사 및 수급실태, ②시설의 지역편중과 대형화 문제, ③시설입소과정 및 절차문제, ④무허가시설에 대해서 실태분석을 하였으며, 수용자 측면에서는 수용시설에서 보호되고 있는 장애인의 생계지원 수준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종사자 측면에서는 수용시설에서 장애인을 돌보며 함께 생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의 전문적수준과 처우실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설운영 측면은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시설 운영자를 중심으로 시설 운영 형태와 재원조달 실태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분석을 통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장애인 수용시설의 운영실태에 대한 파악과 이를 토대로 한 문제점을 도출함에 있어 사용된 분석틀을 중심으로 각각의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설측면에서는 시설부족의 문제를 나타나게 한 원인과 그로 인한 파생적인 문제를 다루었으며 그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시설 수요조사 실시와 중·장기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둘째, 시설의 광역화와 소규모를 유도하고 셋째, 실비 입소기준을 완화하고 넷째, 무허가 시설을 양성화하고 최소한의 기초 생계만이라도 가능토록 정부의 예산지원이 있어야 한다. 수용자측면에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기초 생계보호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재원의 확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재활의 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수준높은 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한데 먼저, 전문적이고 유능한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서비스제공에 필요한 최신의 기기를 구입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활용을 위해서는 시설운영자의 단순보호 사고에서 탈피하는 의식전환이 필요하겠다. 종사자 측면에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전문적 소양과 자격을 갖춘 종사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같은 전문 종사자의 확보와 부족인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유인책이 필요한데 우선 보수체계를 높여주어야 하며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며 또 다른 유인책은 수용시설 근무경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다. 일정기간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한 경력을 각종 시험에 일정 비율의 가점을 주므로 부족인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종사자의 처우를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근로 시간을 단축하고 보육사 1인당 담당 장애인수를 줄임으로써 열악한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급여수준을 최소한 동일 직종의 종사자 수준으로 인상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설운영 측면에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개방적인 시설운영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사회에 외부인사의 참여확대와 실질적인 이사회를 개최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둘째, 기부금품등이 공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먼저 기부금품 관리지침을 개정하여 영수증을 의무적으로 발부토록 하고 위반시 처벌 조항을 신설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부금품 내역의 공개를 의무화하여 공고함으로써 편법사용등이 없도록 공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셋째, 시설 운영비 등 지원에 있어서 재정의 부담을 국고로 전환하여야 하고, 지방교부세율을 인상하여 열악한 지방 재정을 충원, 지원이 되도록 하고 또한 사업별 예산의 전용이 가능토록해서 재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복지재원 조달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가칭 복지공동세의 세목을 도입하는 것이다. 일정소득이상의 자에게 일정비율을 징수하여 복지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현상에서 장애인의 인권 존중과 생명의 존중, 그리고 정상화와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 복지 발전 방향을 기대한다. The national life has greatly improved with high economic growth since the arrival of the industrial society. But we really lack consideration and car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comparing with other features of our society. Our government's polic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changed from these starting point; designation of the Day for the World Disabled people in 1981 and holding of the World Disabled people's Olympic in 1988. The idea of the disabled welfare is based on the respect of human rights, life, whole personality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quality under the philosophy of Normalization and Rehabilitation. That is, the idea means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community which promotes the opportunities and right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y should gain more personal and political power, self-determination, full participation and equality withou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with understanding their dignity and value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Now th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s over two hundreds and it is on an increasing trend. But, by contrary to an increase in quantity, welfare facilities and policy for the disabled have lots of problems in qualitative side and we often observe the cases breaking the idea of the disabled welfare. Owing to these recognition of the questions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for the disabled welfare facilities and then intended to show improvement plan of welfare facilities I service to raise the qualitative standard of the disabled life. And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historic development of the disabled welfare, the notion of the disabled through literatures and then tried to approach the present stat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the disabled welfare facilities dividing into four domains: facilities, the user of facilities, employe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This study drew the problems of ten fields in four domains up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n these actual condition, analyzed each problem brought forward in the operation of facilities like the law and system, the operation and finance etc. First of all, on the problem of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d some problems from the external part of facilities in the law and system. : ① the demand survey and the supply and demand research about facilities. ② the regional preponderance and oversized problem of facilities. ③ the entrance process and procedure of facilities. ④the unauthorized facilities. On the problem of the user this study researched the professional knowledge level of the employees who live with them taking care of the disabled and the actual treatment condition for them. Lastly, on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 of facilities I operation and the actual financial resources supply centering around the manager. And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systemic and synthetic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the problems drew in each domain. The improvement plans on the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government have to enforce the demand survey of the facilities and set up a long term plan, the second, lead a great-sphere and a small scale of the facilities, the third, relax the standard of entrance at cost, the fourth, legalize the unauthorized facilities and draw up the budget about the lowest basic living expenses for them. The improvement plans on the user of the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government have to secure the finances to improve the basic living standard, the second, develop and support the various and high level service and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disabled's life and to offer the frame of rehabilitation. Speaking of that in detail, the facilities need to secure the professional and competent human resource and purchase the up-to-date equipments to offer the better servic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need the reform of consciousness breaking from regarding the function of facilities as a simple protection. The improvement plans on the employee are as follows. The facilities need to secure the well grounded and qualified employees. To secure the professional employee and supply the lack of human resources the government have to get a raise in their salary and improve the poor working condition by giving shorter working hours and reducing the number of the disabled for each nursery school teacher and give them incentive in career for service and better treatment The improvement plans on the operation of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first, to manage the facilities openly the facilities have to hold a substantial director's meeting expanding the outside personage's participation, The second, to administrate donations justly the government have to revise the guide about that and get the facilities issue the receipt from the sense of duty and make the punishment provision for the violation and administrate the donations justly going public a breakdown of them not to adopt an expedient. The third, to support working expenses of the facilities the government have to convert a charge of finances to national funds and raise the local grant of tax rates with the local finance supplement. The fourth, to supply the welfare financial resource the government have to introduce items of welfare joint taxation and put welfare financial resource to practical use by collecting a definite rate from the fixed income group.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disabled welfare which support these aim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life and normaliz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 住民自治센터의 運營實態와 活性化 方案

        이각희 경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초록) 정보통신의 기술 발달로 주민등록, 세무, 건축, 교통, 지적 등 행정업무의 상당 부분이 전산화되어 기존의 주소지 읍·면·동에서만 취급하던 대부분의 민원업무가 온라인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처리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행정혁신은 행정기관에도 큰 변화를 불러와 기존 읍·면·동의 업무가 대폭 시·구로 이관되고 잉여된 시설과 인력들은 해당 지역의 주민복지에 투입하는 주민자치센터가 설치·운영되게 되었다. 지난 2001년부터 전국적으로 주민자치센터 운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지만, 그 지역 주민의 공동 관심사와 중요한 의사결정 및 문화·생활·주민복지 등 지역공동체의 중심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단순 취미교실 등의 주민여가 선용이라는 소극적인 역할에 그치고 있다. 시행 5년이 경과된 현재의 주민자치센터가 지나치게 획일적으로 운영되거나 단순한 취미교실에 그치고 있는 주요한 이유로는, 기존의 읍·면·동과 같은 행정기관의 고유 역할에 대한 주민들의 고정된 인식과 더불어 자치센터 운영에 대한 경험의 부족과, 전문 운용인력의 부족, 예산 및 재정의 부족과 철저한 홍보 및 교육의 부족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현행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에 대한 정확한 실태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지역별, 동별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운영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주민자치센터가 본격적으로 설립된 2000년부터 현재까지이며, 조사의 효율화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북구 주민자치센터로 그 공간적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정부와 대구광역시의 정책자료 및 조사대상 구청의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현황과 각종 관련 연구자료를 분석·평가하여 객관적인 측면에서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가급적 현장방문 위주의 평가분석에 치중하면서 우수사례는 문헌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제Ⅰ장 서론과 제Ⅱ장에서 주민자치센터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각 국의 주민자치조직을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조사대상 구청의 24개 자치센터 운영실태를 사무·인력 조정실태, 자치센터 설치 및 운영실태, 주민자치위원회 구성·운영실태와 각 프로그램 운영현황으로 이용주민의 참여현황, 프로그램 선호도, 회비(수강료) 징수 실태, 프로그램의 인지 경로, 운영상의 고충사항들을 살펴보았으며, 자원봉사자 및 시민들의 참여현황 등을 중심으로 면밀히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제Ⅲ장에서 분석된 자료를 중심으로 주민자치센터 기능상의 문제점과 시설 및 프로그램상의 문제점, 주민참여의 문제점, 운용인력 교육 및 낮은 홍보의 부족, 자치단체장의 낮은 관심도, 운영재원 확보의 어려움 등 6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주민자치위원회 구성 및 기능상의 문제점과 기존 읍·면·동의 시설을 이용하는 한계에서 비롯된 시설·재원의 부족, 주민 및 다양한 자원봉사자의 참여 부족,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소극적인 운영과 홍보의 부족으로 이에 따른 각각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의 주된 핵심은 주민자치센터가 현재의 단순 취미공간에서 지역주민 전체가 참여하여 중요한 의사를 결정하고 생활에 필요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지역주민 공동체의 중추적인 기관으로 그 기능을 재정립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지역의 우수한 인력들을 주민자치위원회에 참여시켜 그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주민의 인식 재정립을 통한 재정지원의 확대와 우수한 강사진 및 전문인력의 확보로 시설 및 프로그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이용주민 및 다양한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주민자치센터 운영실태 분석은 보다 안정적인 시간과 예산·인력을 투입하여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했으나, 그러지 못하고 조사대상 구청에서 기존에 조사한 자료의 분석에 그치고 말았지만, 자치센터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바람직한 연구의 노력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통합형 취학 전 교육(Edu-care)의 운영 실태 고찰

        나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유아교육의 중요성으로 자녀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질적으로 우수하고 저렴한 유아교육기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 하에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는 종일제라는 명칭 대신 통합형 취학 전 교육(Edu-care)이라는 명칭으로 새롭게 종일제 프로그램을 2003년 3월부터 서울지역 공립유치원 13곳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취학 전 교육에 대한 운영실태를 고찰함으로써 통합형 취학 전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앞으로 확산될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일반운영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영양·건강·안전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시설·설비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4. 부모교육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질문지에 응답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원감(또는 부장교사) 11명이다. 통합형 취학 전 교육에 대한 운영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도구로써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종일반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운영에 대해 살펴보면,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은 7시부터 20시까지 반일반 전·후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2명의 교사가 교대로 오전·오후 근무를 하고 있었다. 학급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유아로 구성되어졌으며, 학급당 유아수는 20명 이하였다. 오후 교육활동은 오전 교육을 심화하는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토요일 교육활동은 반일제과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방학 중 교육활동은 학기 중과 동일하게 또는 견학이나 관람 등과 같은 문화생활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영양·건강·안전에 대해 살펴보면, 영양관리에 있어서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은 점심과 오후 간식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늦은 시간까지 머무는 유아를 위해 일부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에서는 저녁 간식 제공을 하고 있었다. 점심은 초등학교 급식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가 방학일 때에는 조리사를 고용하여 점심 급식을 제공하고 있었다. 건강관리에 있어서 휴식이나 낮잠은 부모나 유아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 곳이 있었으나 대부분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유아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되고 있었고 교사들은 유아 건강관리를 위해서 응급약품 구비 등 여러 가지 배려를 하고 있었다. 안전관리에 있어서 유아들은 개별적으로 등원과 귀가를 하였으며, 놀이시설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유아를 보호·감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 하는 등 안전사고에 대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전사고 후 대처방안에 대한 준비는 아직 다소 미흡하였다. 셋째, 시설·설비에 대해 살펴보면,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은 종일 교육과 보육을 할 수 있도록 냉·난방 시설이나 공기청정기, 조리시설 등과 같은 시설들을 갖추고 있었다. 대부분 초등학교 급식실, 조리실, 양호실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유휴교실의 부족으로 연구 대상 중 4곳(36.4%)에서는 반일반을 이용하여 수업을 하고 있었다. 넷째, 부모교육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들은 주로 등원과 귀가 시간을 이용하거나 가정통신문, 전화상담을 통하여 부모교육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해서 교사들은 학교, 놀이터 및 공원 등의 지역사회를 활용하고 있었으나 모든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에서 지역사회의 연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했다.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은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많은 예산을 들여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기존 종일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운영시간, 전담교사 확보, 학급당 인원 수, 시설·설비 등에 있어서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이 초등학교에 병설되어있기 때문에 시설·설비를 위한 공간 부족이 문제점으로 남아 있었으며, 건강과 안전 관리 측면에서 교사들은 여러 가지로 배려하고 있었으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대처를 위한 배려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었다. 비록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이 아직은 시범적 단계로 미흡한 점은 있지만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은 시대적 요구에 의해 시행된 것이므로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고 많은 유아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Early childhood education industry in Korea is rapidly changing along with the changes in both social and individual life style. The demand for all-day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of the increase in nuclear family, double-income house, and higher standards of living. Therefor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executed the Edu-care program in Public Kindergarten since 2003 to meet this n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conditions down to the Edu-care program in public kindergarten including general administration, facilities, nutrition, health, and safety as well as parent educ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y.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had been distributed to 13 teachers who work in public kindergarten running the Edu-care program.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11 respondents and then gathe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1.0. In general administration, the Edu-care class consists of 20 young children or less age from 3-year-old to 5-year-old. The Edu-care program offers an extended schedule from 7:00am to 8:00pm instead of from 9:00am to 5:00pm. Two teachers take charge of the Edu-care class, and they take turns in working hours. The Edu-care program spends more time for free-choice activities and physical exercise than for adult-directed creative activities and instruction. General administration in the Edu-care program satisfies parents. Each public kindergarten provides facilities to manage the Edu-care program efficiently, and also runs a security system. Kindergartens maintain outdoor places such as playgrounds, sand area or water play area as well as relaxation places. They equip air-conditioners, washers, kitchens, and restrooms for children, and so forth. Facilities are the one of essential factors for high-quality education and care. For the nutri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Edu-care program, the kindergarten supply lunch and snacks planned by a dietitian, and children usually have lunch in either half-day classrooms or Edu-care classrooms. Regarding the health care of young children, teachers prepare the place for children to take a nap or rest, and first aid kit is ready to prevent an unexpected accident. Additionally, teachers always provide against an emergency. For the safety, parents take their child to the kindergarten and pick them up from the kindergarten individually. Teachers regularly check up play-toys, equipments and facilities, and teaches children how to protect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nutrition, health, and safety is increasing because young children stay longer in the kindergarten. The cooperation among kindergarten, parents and community is also necessary.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 directly or indirectly, and community offers various opportunities that cannot learn from teachers to children. The Edu-care program teachers currently communicate with parents by letters, phone calls, and meetings for parent education, and also contact with community by using children' libraries, government or public offices, and parks or playgrounds. Nevertheless, the communication among them is not sufficiently utilized. Therefore, the Edu-care program manager should try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with family and community. In conclusion, young children have limitless potential for the future, and they have the right to receive concentrated care and education in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industry has to make a successive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re program.

      •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C시 운영자의 관점에서

        최복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C시를 중심으로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운영에 대하여 운영자관점에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C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지역사회 노인교육 운영에 관한 운영자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평생교육 차원으로써 좋은 노인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C시의 노인교육 전담기관 7개 기관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C시에서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전담 운영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C시의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운영자들은 노인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시의 지역적 특징으로 인한 학습자간의 이질성 현상이다. 비교적 도시화가 많이 이루어진 도심지역에 거주하면서, 학력수준이 높은 노인들과 C시 외곽 농촌지역에 주로 거주하면서 학력수준이 비교적 낮은 노인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기관 운영에 직면하게 되는 딜레마가 있었다. 둘째, 노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운영자의 업무 과중으로 연결되어지는 현상이다. C시의 노인학습자들은 학습의 측면과 더불어 관계 형성의 측면에서 노인교육 전담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그들은 단순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학습을 목적으로만 기관을 이용하지 않는다. 기관을 이용하면서 학습자들과 운영자와의 정서적 관계형성을 통해 상호 동질감을 느끼고 기성세대와의 소통하며 자신의 고충을 해결하려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노인 참여자의 외로움 및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운영자에게는 새로운 업무의 형태로 인식됨에 따라 스스로 업무의 과중을 자각하게 만든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의 과도기적 현상이다. C시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은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과 신체활동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의 2/3에 해당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고령화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국가·사회적인 분위기의 확산 및 노인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에 다각화 현상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미비한 현실이다. 운영자 또한 이러한 현실을 적극 공감하고 있지만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우수사례, 정형화된 틀 및 제도적 조건들이 뒷받침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넷째, 각 기관 간 프로그램 중복 및 비 차별성으로 인한 노인교육 질적 저하 측면이다. 각 기관 유형별로 프로그램을 다섯 개의 범주에 의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중복되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각 기관별로 대부분 비슷한 교육 형태와 운영 방식을 가짐으로써 차별성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노인교육의 양적인 팽창을 가져왔을 뿐 질적인 깊이를 더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C시의 노인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크게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던 부분인 자료 및 통계의 보전 및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각 기관별로 다소 많은 부분에서 이를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노인교육의 흐름 및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지표를 찾기 어려웠다. 또한 운영자가 노인학습자들의 이질성과 다양성, 급변하는 그들의 인식을 공감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현실적인 한계를 느끼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제도적 틀의 변화가 선행되고 운영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덧붙여져 지금까지의 노인교육에서 탈피하여 그들의 다양한 요구를 적극 수용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교육을 계획하고 구성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예비 노인을 위한 퇴직 전 노후 준비교육의 실시를 통하여 퇴직을 앞 둔 고령자들이 미리 퇴직 후에 겪게 될 역할 상실과 그 밖의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극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C시의 노인교육이 지역사회 노인들을 위한 구심점이 되기를 바래본다. 또한 지방 중소도시뿐 아니라 대도시 또는 농어촌 지역의 노인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운영 형태와 운영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노인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 및 개선이 필요하다.

      • 老人醫療福祉施設의 運營實態 및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칠곡군, 성주군 중심으로

        박명숙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산업화에 따른 의료기술의 발달과 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세계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의 문제를 가족 부양의 범위를 넘어선 사회 국가의 문제로 인식하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인복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2002년 4월 8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엔 주체의 '제2차 세계 고령화회의'에서 코피 아난 사무총장이 "평균수명이 늘어났다는 것은 인류의 큰 업적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인구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은 이제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 " 라고 언급한바 있다. 의학의 발달로 노인수명이 연장되고 장기유병노인 인구가 늘어남으로 가족보호자들에게는 육체적 · 정신적으로 많은 부담을 가져다주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선진국에서도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은 급속도로 진전되어 사회 ·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여성의 사회진출이 중가하고 가정은 핵가족화 되는 상황 속에서 가족 보호자의 노인부양 책임 의식조차도 약해져 만성 질환을 가진 장애노인 인 경우 가정 내에서의 관리에만 의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들의 생활은 자식들이나 친지들이 책임지고 부양하는 것이 당연시 되었으나, 급격한 도시화와 핵가족화, 더욱이 최근 국제통화관리기금체제(IMF) 이후 가족해체와 경제적 빈곤으로 노인의 지위가 하락하고, 심지어 학대와 유기를 당하는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노인을 가정에서 가족이 보호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미풍양속이나, 가족구성원의 보호능력이 부족하고 여건이 불충분함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 내에서 부양받지 못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노인인구 또한 급속히 증가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필요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을 확충하여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하고 전문 인력을 채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노인들이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생활이 가정에서처럼 불편하지 않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서비스 가운데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보호를 위주로 하고 있는 요양시설은 서구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열악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고 비록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이 재가노인복지 서비스 위주로 간다고 하더라도 아직은 필요 불가결한 시설복지 서비스의 여건 개선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국가에서 지원하여 운영하고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대한 시설현황, 운영비, 직원의 배치와 급여수준, 시설종사자의 전문화에 대한 운영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장기요양보호와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관한 국내에서 발행된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논문, 정부간행물, 보건복지부 정책자료, 각종 노인복지세미나 자료들을 수집 ·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문제점으로 1)시설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 수에 비하여 시설의 부족과 도시와 농촌간 수급 불균형, 2)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는 시설운영비가 현실에 불합리, 3)시설종사자의 배치기준의 불합리와 급여수준 열악, 4)시설종사자 중 80%를 차지하는 생활지도원의 자격기준 불명확 등을 지적하였다. 이상에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운영실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그리고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경북 칠곡, 성주 등 지역 실무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구조적인 면에서 -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시설건립에 더 많은 예산을 확충하여야 하며, 전국에 있는 시설 현황을 고려하여 시설 건립시 시도별 안배를 고려하여야 하며, 입소결정을 시 · 군 · 구에서 하는 것을 전문 인력인심사위원이 배정되어 결정하도록 하며, 또 지방자치제에 따라 지역별로 입소를 제한하던 것을 탈지역화로 상호 공유 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재정적인 면에서 -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는 예산을 현실화 하여야 하며, 시설운영비 지원을 입소자 인원에 따라 지급 율을 적용하여 소수인원이 입소하였을 경우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시설의 대규모화를 막기 위하여 "시설표준지원산정표"를 적용 지급하여야 하고, 지방별로 시설종사자에게 지급되는 특별수당을 보건복지부에서 일괄적으로 책정 지급으로 일원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인력적인 면에서 - 입소 노인들에게 질 좋은 서비스와 근로기준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1일 8시간, 주당 44시간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인력 추가지원과 종사자의 급여수준을 직급에 따라 공무원 급여와 연계하여 지급해야 할 것이며, 시설종사자의 80% 정도의 생활지도원에 대한 자격을 케어복지사로 하며 노인전문 간호사제도를 신속히 도입하여야 할 것 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